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특집 1 : 반계 유형원과 동아시아 초기 실학 : 반계 유형원 抄象―생애기록물에 대한 통시적 이해"

        양승목 ( Yang Seung-mok ) 한국실학학회 2017 한국실학연구 Vol.0 No.34

        이 글은 『반계잡고』와 『반계유고』를 통해 발굴 혹은 수합된 유형원 관련 생애기록물에 대한 본격적인 분석을 시도한 것이다. 유형원이 서거한 이후, 그의 생력과 학덕 및 업적을 정리한 문건은 100여 년에 걸쳐 총 10편이 제작된다. 일반적인 문인에 비해 많은 수의 생애기록물이 나온 것인데, 18세기 중반 『수록』의 公刊을 요구했던 시대적 분위기에서 그 원인을 찾았다. 그 흐름과 면면을 선명히 드러내기 위해, 유형원의 생애기록물을 시기에 따라 세 개의 그룹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첫 번째 그룹은 그가 타계한 직후 그와 가까운 관계에 있었던 지인들에 의해 작성된 초기 자료들로, 삶의 이력과 평소의 언행을 기록함으로써 그의 인품과 학덕을 기리는 데 중점을 두고 있었다. 이후 『수록』의 가치가 사회적으로 공인되고 그 간행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던 시기에 나온 네 편을 두 번째 그룹으로 묶었다. 이 자료들은 『수록』을 읽은 후 그 주장에 감발한 이들이 찬술한 것으로, 유형원의 최대의 학문적 업적이자 경세론의 결정체인 『수록』의 내용을 소개하고 그 가치를 현창하는 데 상당한 지면을 할애하고 있었다. 유형원의 사람됨이나 행적을 기록하고 추모하기보다 그의 저술과 주장에 초점을 맞추어 그를 그리고 있다는 점에서 앞 시기와 뚜렷하게 대별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수록』이 간행된 이후에 나온 두 편을 따로 묶어 살폈는데, 이 둘은 서로 다른 길을 택했다. 『수록』으로 유형원을 입전했던 바로 앞 시기의 특성이 극대화된 결과물이 있는가 하면, 유형원과 관련된 생력정보를 집대성하여 연보의 형태로 정리함으로써 그에 대한 종합적 이해를 가능하게 한 성과도 있었던 것이다. 유형원 관련 생애기록물을 통시적으로 조망한 이번 작업은 학술사적 위상에 골몰하여 그의 상을 그려온 오랜 내력과 궤적을 확인시켜주었다. 동시에 이 과정은 그간 유형원에 대한 연구에서 배제되었던 화소와 질료들을 다시금 돌아보게 하였다. 이에 대한 다각적이고 입체적인 접근이 유형원 연구의 다음 장을 열어주리라 기대한다. This study aims to analyse the biography of Yu Hyeong-won, discovered or collected through Bangye-japgo and Bangye-yugo. Completing the collection of Yu Hyeong-won’s lifelong records and achievements took a hundred-year in total after his death. The number of pieces collected sums up to ten, which is relatively large number while other scholars’ collections consist of less pieces. The reason of its large volume could be found in periodical atmosphere demanding the publication of Su-rok in 18th century. The biographies could be categorized in three groups by period in order to distinctly differentiate their diverse features and aspects. The first group include early documents written by Yu Hyeong-won’s closest friends shortly after his death. These pieces contain his life history to praise his great personality along with his learning and virtue. The second group contains four pieces written in the period when the value of Su-rok was widely recognized to risen the demands of its publication. The pieces in this group were written by those who were deeply impressed by reading Su-rok, which is a great aggregation of administration theory and said to be Yu Hyeong-won’s greatest academic achievement. The writers spared a lot of pages not only to introduce the contents of Su-rok but also to spotlight its value. The writers of this group had focused more on his book and his opinion rather than his personality or achievements. This makes this group clearly distinguishable from the first one. The last group contains two pieces written after the publication and the release of Su-rok. Each one of this group focused on different point where the first one showed maximized quality of former pieces, while the other collected Yu Hyeong-won’s life history by period for comprehensive understanding. This study helped to trace the path and origin of former Yu Hyeong-won studies by diachronically revising the biography of Yu Hyeong-won. The process has also helped to revise formerly excluded elements and materials once again. Multilateral and stereoscopic approach to those materials could lead to open further stage of the study of Yu Hyeong-won.

      • KCI등재

        17세기 전란 관련 몽유록의 새 국면

        양승목(Yang, Seung Mok) 동악어문학회 2015 동악어문학 Vol.64 No.-

        이 글은 17세기 전란 관련 몽유록에서 발견되는 ‘죽음의 형상화’가 갖는 의미를 논구한 것이다. 저간의 몽유록 연구에서 이 형상화된 죽음은 으레 현실성 강화의 차원으로 설명되고 말았지만, 이번 논의를 통해 그것은 이 시기 몽유록을 그 주변으로부터 변별하는 중요한 자질임을 확인했다. 대개 몽유록은 실존했던 인물을 소환하기에 죽음과 친한 글쓰기 양식으로 인식되지만, 실정을 해부해본바 전란을 경유한 17세기 초에 이르러 비로소 죽음의 프레임이 가동되고 있었다. 15~16세기에 산출된 몽유록이 죽은 이를 등장시키면서도 그들에게 죽음으로부터 연상되는 여러 인상을 부여하지 않았던 데 반해, 이 시기 몽유록은 이들의 모습을 적나라하게 시각화하고 죽음의 분위기를 연출하고 있었던 것이다. 이처럼 몽유록의 전통에서 변화의 지점으로 지목되는 형상화된 죽음의 정체를 밝히기 위해, 동시기 글쓰기장에 취재된 죽음의 양상을 살펴볼 필요가 있었다. 그 대표적인 양식인 실기류는 전란의 체험이 직접적으로 투영된 만큼 다수의 사례를 보유하고 있는데, 그 양상을 저작의 성격에 따라 크게 둘로 나누어 보았다. 우선 공적 실기류는 죽음을 보고의 대상으로 또는 사건의 경위 중 하나로 취급하고 있어, 몽유록의 죽음과는 접맥하지 않았다. 반면 사적 실기류는 죽음을 기술한 뒤 그에 대한 감정적 반응을 부기하고 있었다. 또 간혹 죽음을 시각적으로 묘사하는 장면도 포착되었는데, 이러한 면모는 죽음을 하나의 사건으로 주시한다는 점에서 몽유록과의 접점을 찾을 수 있는 부분이었다. 하지만 몽유록의 죽음은 이와도 구별되어야 했다. 실기류가 죽음을 다루는 태도와 창작의도 간의 연동을 보여주는 반면, 몽유록은 이 둘의 관계가 어그러져 있었기 때문이다. 몽유록은 이면의 실상을 폭로함으로써 현실 상황을 재편하려는 매우 정치적이고도 이성적인 의도를 갖고 있다. 그런데 형상화된 죽음은 감정적 차원의 처리방식에서 보이는 특징들을 함유하고 있었던 것이다. 이 괴리는 죽음의 형상화가 담당한 기능을 추적하는 발판이 되었다. 형상화된 죽음이 작품의 초반에 배치된 점, 죽은 이들의 감정 분출이 결국 독자들의 감정적 요동을 야기한다는 점 등을 함께 고려한바, 그 일차적인 기능은 독자들의 감정적 수용태도를 우세하게 하는 데 있다고 할 것이다. 한편 몽유록의 작자는 작품 전반에서 이성적 설득보다 감정적 동조를 얻어내기 위한 서술방식을 구사하고 있었다. 이 전략은 독자의 마음을 선동하는 기민한 전략이지만, 자칫 이성적 저항에 부딪히기 쉬운 위험을 안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몽유록의 서술전략을 감안할 때, 작품의 초입에 배치된 형상화된 죽음의 핵심적인 기능은 독자의 감정적 수용기를 활성화함으로써 이성적 무장을 해제하여 이 약점을 보완하는 데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요컨대 죽음의 형상화는 잠복된 이성적 의도를 용이하게 성취하기 위해 독자의 감정적 동조를 조준한 몽유록의 전략을 완성하는 전초적 장치라 하겠다. 이는 죽음을 소재로써 취집한 실기류와 분명한 차이를 보이는 부분이기도 했다. This paper thoroughly discusses a meaning of the ‘embodiment of death’ found in the ‘Mongyurok’ related with the War in the 17th century. While some recent studies have usually explained this embodied death as a mere reinforcement of reality, this study finds that it is an important attribution through which the ‘Mongyurok’ can be distinguished from other works at that time. Although the ‘Mongyurok’ is usually recognized as a death-friendly writing type because it summons some figures who existed in the past, it is found that the death frame had been not worked until the early 17th century passing through the War by analyzing the real condition. In the ‘Mongyurok’ which had been created in 15th~16th century dead characters had appeared, but many impressions associated from the death had been not given to them. On the contrary, the ‘Mongyurok’ written in the 17th century, distinctly visualized the shape of them and produced a mood of death. Therefore, the types of death selected in the contemporary writing field should be examined to identify the embodied death indicated as a point of change in the tradition of Mongyurok. As a representative type, the Silgiryu on which some experiences of the War are projected includes a lot of cases. And the type was largely divided into two ones according to authorships. At first, as the public Silgiryu regards the death as an object of report or details of an event, it is not connected with the death in the Mongyurok, while the private one describes the death and then adds some emotional responses to it. In addition, some scenes where the death is visually described were sometimes captured. From these scenes, some intersections with the Mongyurok could be found, in that they focus on the death as an event. However, the death in the Mongyurok should be distinguished from that of the private Silgiryu, because while the Silgiryu shows a relationship between attitude to engage with the death and intention of creation, this relationship is swerved in the Mongyurok. The Mongyurok has the very political and reasonable intention to reorganize the actual situation by disclosing the truth behind an affair. However, the embodied death contains some features shown in emotional level of treatment. This detachment becomes a scaffold on which a function of the embodied death can be pursued. Given the facts that the embodied death is arranged in the opening part and the emotional outbursts of the deceased result in unrests of readers, the function consequently prevents an opportunity to logically criticize some messages of the author by encouraging the emotional acceptance attitudes of readers. Thus, the embodiment of death may be a strategic device for emotional alignment of readers, in order to easily achieve the reasonable intention concealed in the Mongyurok. This is what makes the Mongyurok distinctly different from the Sikgiryu which selects the death as a material.

      • KCI등재

        조선조 술사의 존재 양상과 그 함의

        양승목(Yang, Seung-mok)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2021 동양한문학연구 Vol.58 No.-

        이 글은 조선 시대를 중심으로 술사의 존재 양상을 통시적으로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전통시대 우리 문화사에서 술사가 갖고 있는 위상과 의의를 탐색해본 것이다. 술사란 천문, 지리, 의약, 복서 등 소위 술수지학에 능통한 존재를 지칭하는 것으로, 여러 문헌 및 문학작품 등에서 다채로운 모습으로 산견된다. 『해동이적』, 『해동전도록』 등 이들의 행적을 전면적으로 취합해 기록하고 있는 자료가 대표적이며, 야담이나 소설 등의 다양한 서사물 또한 그 예라 할 것이다. 이러한 자료들을 두루 검토해본바 조선조 술사는 시대의 국면마다 다양한 모습으로 형상화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고에선 이를 세 층위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먼저 16세기는 저명한 술사들이 집중적으로 출현했던 시기로, 이 시기 술사들은 유학자로서의 정체성과 특유의 집단성을 바탕으로 이전과 구분되는 술사상을 구축하고 있었다. 이후 잇따른 전국가적 병란을 경유하며 술사는 다소 달라진 모습으로 포착된다. 위기를 맞닥뜨린 국가와 인민에게 그것을 타개하고 극복할 수 있는 답을 제시하며 자신의 좌표를 보정하였던 것이다. 그런가 하면 후대로 내려오면서 도선적 색채는 거의 사라지고 흥미를 끄는 술수만 남아 앞 시기와는 또 다른 술사의 캐릭터화가 일어나기도 하였는데, 이 과정에서 세속적 욕망과 관심이 강하게 투영되고 있음을 특기해둘 만하다. 술사의 존재 양상에 대한 이러한 통시적 조망은 술사를 도가자류의 아류적 형상 정도로 간주해온 종래의 관점을 극복하는 반성적 사유의 단서를 제공해준다. 이는 나아가 술사로 표징되는 별도의 문화적 입지에 대한 가능성을 타진하게 하는데, 이에 대한 지속적인 탐구를 통해 우리 문화사를 더욱 풍요롭게 이해하는 학적 시좌를 개척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aspects and cultural meanings of diviner in the Joseon Dynasty from a diachronic perspective, and based on this, explores the significance of diviner in the pre-modern cultural history of Korea. Diviner refers to a person who is well-versed and skilled in celestial pattern, principle of earth, medicine and pharmacology, divination, etc. In Korea s pre-modern old books and literary works, they are recorded in various forms. For example, old books such as Haedongijeok(『海東異蹟』) and Haedongjeondorok(『海東傳道錄』) collect and record the activities of diviners. They can also be found in many epic stories such as Yadam(野談) and classic novels from the late Joseon Dynasty. Through a comprehensive review of these materials, it was possible to identify that the diviners of the Joseon Dynasty existed in various shapes according to the times. This article analyzes this issue on three levels. First of all, the 16th century was the time when the famous diviner appeared intensively. The characteristics of diviners during this period are their identity and collectivity as scholars. Based on this, a new diviner was created different from the previous era. Since then, the recurring big war has changed the shape of diviners. Diviners offered solutions to overcome the crisis to the nation and its people, and their personalities changed accordingly. By the 18th and 19th centuries, diviners were characterized in another way. The image of Taoism is almost gone, and only the tricks that attract people s interest are highlighted. It is noteworthy that secular desires and interests stand out in this process. The diachronic analysis as above allows us to reconsider the existing theory that diviners have been viewed as a subclass of the Taoist master. This is more important in that it reminds us of a separate cultural foundation symbolized by diviners. Through continuous research on this, it is expected that a new academic perspective on Korean cultural history will be pioneered.

      • KCI등재

        죽음을 앞둔 마음의 나체

        양승목(Seung-mok Yang)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22 동방학지 Vol.201 No.-

        이번 논의에서 목표한 바는 크게 두 가지이다. 하나는 전통시대 기몽문학 작품 가운데 작자 자신의 죽음과 관련된 꿈을 기록한 사례들에 초점을 맞추어 그 내용과 양상을 살펴보고 이들을 아우르는 특징적인 면모를 도출해보는 것이다. 또 하나는 이러한 과정을 토대로 기몽문학 작품을 해석하는 하나의 방법을 구체화해보는 것이다. 이를 통해 기몽문학의 흥미로운 한 국면을 조명하는 한편, 기몽작품을 입체적으로 읽어내는 고유의 독법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먼저 자신의 죽음에 관한 꿈을 꾸고 쓴 작품들은 비록 꿈의 내용이나 그것을 갈무리한 형식이 상이하지만, 죽음에 가까워지는 한 개인의 심리적 나체를 여실히 보여준다는 점에서 공통점을 갖고 있다. 특히 꿈을 통해 대면하게 된 자신의 죽음에 대해 양면적인 또는 다단한 반응과 태도가 간취된다는 것이 특징적인데, 실로 그 양상은 모순과 충돌을 포함한 복합적인 것이었다. 죽음을 앞둔 이의 다단한 심경은 그 자체로 대단한 발견이라 할 것이 아니지만, 그것이 문학작품을 통해 고스란히 드러나고 있다는 점은 의미 있는 대목이라 할 것이다. 다른 문학양식에선 거의 찾아볼 수 없는 것인바, 기몽문학을 심상한 신변잡기를 넘어 유의미한 문학의 한 형태로 주시하게 하는 지점이자, 기몽문학 특유의 가치와 의의를 해명하는 중요한 단서이기 때문이다. 아울러 특기할 점은 이와 같은 분석이 기몽문학에 공존하는 의도한 자기 현시(顯示)와 의도치 않은 이면의 노출(露出)을 면밀하게 읽어냄으로써 가능하다는 것이다. 환언하여 작품에 담지된 심리의 표리(表裏)와 복음(複音)을 검출하는 것이라 할 수 있겠는데, 이 과정을 기몽문학을 보다 풍부하게 해석할 수 있는 하나의 독법으로서 정리하였다. 이는 꿈 및 꿈을 기록한 시문에 비선형적으로 응고되어 있는 다채로운 의미와 정보들을 용해하는 데 중요한 기여를 할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이번 논의의 성과가 규모와 의의에 비해 아직 많은 부분이 미개척지로 남아 있는 기몽문학의 세계를 심도 있게 조명하고 또 하나의 고전으로서 그 가치를 재발견하는 계기와 동력이 되길 바란다. There are two main objectives in this discussion. One is to examine the contents and aspects of dream-recording literature works in the traditional era of Korea, focusing on the cases of recording the writer's own dreams related to death, and derive characteristic aspects that encompass them. Another is to specify a method of interpreting dream-recording works based on this process. Through this, I tried to find a way to read dream-recording literature in abundance while highlighting the unique aspects of dream-recording works. After reviewing several works, the common point of these works is that the writer's attitude, reaction, and inner consciousness of death are mostly two-sided or multifaceted. Such as, dreams show that he is feeling fear and anxiety about death, but after breaking his dream, he discusses that death should be met with a determined attitude. These psychological both ends and tangled voices are the core characteristics of dream -recording works related to death. Through this study, it can be seen that capturing the psychological both sides and various voices contained in works is an important reading method of dream-recording literature.

      • KCI등재

        도류 취편의 전통과 술가의 분리 : 『진벌휘고속편』의 도류 · 술사 편제방식과 의미

        양승목 ( Yang Seung-mok ) 민족문학사학회·민족문학사연구소 2021 민족문학사연구 Vol.77 No.-

        이 글은 근래 발굴된 19세기 인물지 『진벌휘고속편』 가운데 제3책의 「도류」편과 제5책의 술가류 편목에 초점을 맞추어 그 편제방식의 특유성과 학적 의의를 고구한 것이다. 이를 위해 크게 두 방향에서 논의를 진행하였다. 이 자료는 전대 여러 문헌에 소재한 인물기사를 취집하여 편찬된 것으로, 기존 연구에서 관계문헌이 폭넓게 조사된 바 있다. 다만 직접적인 전사관계를 타진할 수 없는 자료까지 인용문헌의 범위에 넣고 있었던바, 본고에서는 이를 전수 점검하고 추가 조사를 병행하여 편자가 실제 참고했을 것으로 추단되는 자료를 중심으로 다시 정리하였다. 이를 통해 「도류」 편은 종래 이적류 전통의 저술을 기초로 대상인물을 확장하되 기사는 간요하게 정리하는 집필태도가, 술가류 편목은 술기(術技)에 주목하여 별도의 범주를 상정하고 전방위적인 조사를 바탕으로 해당하는 인물과 기사를 적극 포집하는 집필태도가 두드러짐을 확인하였다. 한편 이 책은 인물지의 전통에서 유례가 거의 없는 ‘휘편(彙編)’의 편제방식으로 기획된 것이다. 이와 함께 인물지의 편찬은 곧 인물군상을 통해 작자가 속한 내지 획정하는 세계를 그려내는 행위라는 점에 주목하여, 도류와 술가류 인물에 대해 별도의 편목이 설정된 의미를 살펴보았다. 두 영역의 인물들은 공히 유가 사회에서 역외의 존재로 취급되어 왔으나, 『진벌휘고속편』의 편자는 이들을 여러 인물군상과 나란히 놓음으로 써 이들 또한 세계를 이루는 중요한 원소이자 또 하나의 역(域)과 맥(脈)을 형성하고 있었던 존재들임을 보여주고 있다. 이 과정에 도선적 인물과 술가류 인물을 구분하는 시도가 포함되어 있음은 더욱 주시할 만하다. 양간에 대한 일률적이고 혼종적인 인식의 관성을 극복한 것이자, 술가(術家)에 대한 독자적 지분을 인정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이는 도ㆍ술가류 인물에 대한 시선의 변화를 증언하는 동시에, 당대 인간과 세계에 대한 인식이 확장되는 흐름의 일단이라는 점에서 의의를 부여할 수 있다. This paper is a study on the third and fifth volumes of Jinbeolhwigo-sokpyeon, a recently discovered book on records of pre-modern Korean characters. This section contains considerable records of Taoists and various diviner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clarify the uniqueness of the compilation system and derive academic significance from it. This book is a compilation of articles on characters from various previous literatures. Existing studies have focused on revealing literature data related to this book, and there have been quite good results. However, it was a problem that even documents that were not direct were indiscriminately listed. Therefore, through this study, a total inspection was conducted and additional investigations were also conducted. As a result, only the literature that the author of this book would have directly referenced was selected and organized.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is book was created as a digest version while expanding the subject based on the previously published Haedong-ijeok. On the other hand, this book is a compilation of the characters by classification. This is unprecedented among books that collect articles about peoples. In this type of book, what kind of people are chosen and how people are classified shows the way the author perceives the world. Paying attention to this point, I identified the meaning of taoists and several diviners in independent categories. Taoists and several diviners were alienated from the traditional Confucian society, but the author of Jinbeolhwigosokpyeon treated them the same without discrimination from other characters. This is what the author of this book thinks these people are important beings in the world, acknowledging that they were forming an independent genealogy. It is also noteworthy that diviners, which have not been distinguished from taoists, were viewed as individual beings and their identity was recognized. This has academic significance in that it is one of the aspects that expands the perception of humans and the world in the cultural history of Korea in the 18th and 19th centuries.

      • KCI등재

        옥수 조면호의 기몽류 글쓰기와 자아의 탐색

        양승목 ( Yang Seung-mok ) 민족문학사학회·민족문학사연구소 2017 민족문학사연구 Vol.64 No.-

        이 글이 겨냥하고 있는 것은 두 가지다. 하나는 19세기 한양을 중심으로 활동했던 걸출한 시인 옥수 조면호의 기몽류 작품을 종합적으로 검토하고 그 경개와 특징을 정리하는 것이다. 옥수는 24세가 되던 해부터 타계하기까지 꾸준히 자신이 꾼 꿈을 기록하였다. 근 60년이라는 세월만큼 그 작품의 수효 또한 상당하여 그의 문집인 _옥수집_에 실린 기몽작품은 시와 산문을 망라해 총 140편에 이른다. 사실상 문필활동을 한 전생애에 걸쳐 자신의 꿈을 섭취하는 글쓰기를 지속한 셈인데, 이렇게 오랜 기간 동안 이렇게 많은 기몽작품이 한 개인의 붓끝에서 탄생한 것은 우리 문학사에서 좀처럼 보기 드문 사례이다. 더욱 눈길을 끄는 것은 이 작품들에 포집된 꿈의 내용과 함의가 그의 삶 각 국면과 흥미롭게 조응하고 있다는 점이었다. 이 조응의 양상을 따져 밝히는 과정은 이 글이 주목하는 또 하나의 성과를 구체화해 주었다. 핵심은 꿈의 기록이 작자의 자아를 탐색하는 경로이자 수단으로서 그 의의를 갖는 다는 것이다. 이때 자아란 작자 스스로 자신을 표현한 의식적 자아와 독자 입장에서 포착할 수 있는 작자의 무의식적 자아 두 층위를 포괄하는 개념으로, 전자를 `드러낸 나`로 후자를 `드러난 그`로 명명하여 그 실제를 분석해보았다. 이러한 작업을 통해 옥수의 기몽류 글쓰기가 갖는 문학사적 위상을 확인하고 자술문학으로서의 가능성을 타진해볼 수 있었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Gimong(記夢) works of 19th Century`s outstanding poet Oksu Jo Myeon-ho and to identify the outline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ose works. Oksu had consistently recorded his dreams since the age of 24 until the day he passed away. Oksujip(玉垂集) contains 140 pieces of Gimong style poem and prose. He had consuming his own dreams during his whole life, which is an uncommon case in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What`s more notable is that the contents and undertones of the pieces interestingly correspond with each state of his life. By identifying the aspect has led to the actualization of this study`s another aim. The key point is the writing of one`s dreams has its meaning as the route and the path of exploring one`s ego. Stated as `ego` here is a concept where both consciously and unconsciously exposed self are combined within. I have named each as `myself revealed` and `himself disclosed` to analyze its nature. The study has come to a conclusion of identifying the status created by Oksu`s Gimong style writings in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And it could also determine the possibility of one`s self-writings as a form of literature.

      • KCI우수등재
      • KCI등재

        조선후기 십승지론의 전개와 ‘살 곳 찾기’의 향방

        양승목 ( Yang Seung Mok ) 한국한문학회 2016 韓國漢文學硏究 Vol.0 No.63

        병화와 기근이 들지 않아 위난으로부터 목숨을 보존할 수 있는 열 군데의 땅, 「정감록」을 비롯한 여러 비결류 저작에 빈출하는 소재인 십승지에 대한 일반의 정의이다. 십승지에 대한 통상의 평가는 숱한 외침과 부조리한 사회현실에 좌절한 민중들의 열망이 투영된 산물 정도이며, 간혹 풍수적 명당이나 조선의 이상향 등으로 소개되기도 한다. 이제까지 십승지의 의미망을 구성하고 있는 내용은 이 정도에 불과한데, 이러한 정의와 평가는 십승지론의 문화사적 함의를 온전히 드러내지 못하고 있다. 십승지론의 전말과 의의를 밝히기 위해 본고는 십승지의 개념과 태동된 배경, 십승지론의 전개양상과 후대적 변모 등을 살폈다. 논의의 성과는 세 가지로 요약된다. 하나는 십승지가 애초 「정감록」에 대한 당대인의 호응과 지지를 유도하기 위한 전략의 일부로 출발했다는 것이다. 십승지론의 본적이라 할 수 있는 「정감록」의 「감결」은 종말론적 상황의 박도를 예고한 뒤 유일한 생존책을 알려주는 이른바 메시아 화소의 전형적인 논법을 그대로 따르고 있었다. 십승지는 외침으로 인한 참화라는 위기로부터 살아남을 방도로 제시되고 있는데, 훌륭한 피란처를 찾아 정리한 「감결」의 선택은 전란의 기억을 환기하며 현실적 공포감을 증폭시킨 것과 조응하는 영리한 전략이었다. 십승지라는 개념이 전란 직후인 17세기부터 유통되었다는 사실은 이러한 독법의 설득력을 높여주었다. 이후 십승지 화소는 당대인의 집중된 관심을 동력 삼아 「감결」로부터 독립하여 그 자체로 하나의 기사를 형성하기 시작한다. 「감결」에 실린 이심계열로부터 남사고계열의 목록으로 다시 피장처류 기사들로 나아가며 독자적인 전개일로를 걸은 것이다. 이 과정에서 확장과 구체화라는 뚜렷한 경향성이 포착됨을 확인한 것이 두 번째 성과이다. 18세기에 이르면 십승지론의 월경이 시작된다. 비결류를 벗어나 야담이나 지리지, 유서류 등으로 그 영토를 넓혀나가는 것인데, 흥미로운 대목은 이 과정이 십승지에 대한 관점의 변화를 동반하고 있다는 점이다. 「학산한언」이나 「택리지」등에서 십승지는 피란보신의 땅이라기보다 비경을 품은 복지, 복생을 보장하는 낙토로 소개된다. 그동안의 십승지론이 위난으로부터 ‘살아남을 수 있는 땅[可生地]’을 찾았다면, 이 시기 인민들은 더 나은 삶을 위한 ‘살만한 땅[可居地]’을 찾았던 것이다. 이처럼 십승지에 대한 조선후기 인민들의 관심은 뜨거웠고 꾸준했다. 십승지론의 이면면한 흐름은 결국 「택리지」로 대표되는 생거지 탐색의 움직임과 접맥하는바, 십승지는 조선후기 문화사의 저변을 읽어낼 중요한 실마리 중 하나라 하겠다. 십승지론의 전모를 검토하고 그로부터 시동된 조선후기 ‘살 곳 찾기’에 대한 관심을 조명해본 이번 논의를 통해 십승지의 의미망을 한층 넓힐 수 있었다. Ten lands where one could preserve one’s life from crisis and peril because these lands were absent of war and famine is the general definition of Shipseungji, which is frequent material in many prophetic books including the Jeonggamlok. The usual assessment of Shipseungji is that it was a product which projected that wishes of the people who were frustrated at the numerous foreign invasions and the unfair social reality, and it also occasionally introduced propitious sites from feng shui and the paradise of Joseon. This has been the amount of content that forms the network of meanings in Shipseungji up to now, and such a definiition and assessment fails to reveal the cultural-historical implications of Shipseungji theory in its entirety. In order to disclose the full account and significance of Shipseungji theory, the present dissertation examined the concept of Shipseungji, the background to its beginnings, its aspects of unfolding, and its posterior transformation. The results of this discussion can be summarized into three points. The first is that, from the very beginning, Shipseungji began as part of a strategy to induce the response and support of the people of the time regarding the Jeonggamlok. The "Gamgyeol" of Jeonggamlok, which can be referred to as the source of Shipseungji theory, intactly follows the typical reasoning of the so-called messianic motif whereby the sudden happening of an apocalyptic situation is heralded and the only way to survive is then instructed. Shipseungji is presented as a way to survive the crisis of terrible disaster resulting from foreign invasion, and choice of "Gamgyeol" which finds and organizes excellent refuges was an intelligent strategy that corresponded to amplified realistic fears by evoking the memory of war. The fact that the concept of Shipseungji had been distributed since the 17th century immediately after a war increases the persuasion of this argument. Subsequently, the Shipseungji motif became independent from "Gamgyeol" with the power it generated from the concentrated interest it drew from the people of the time and began forming its own articles. From the Lee Shim type printed on "Gamgyeol" to the list of Nam Sa-go type, and then again to the Pijangcheo type articles, it took a path of independent development. During this process, a clear tendency of expansion and materialization is the second result. By the 18th century, Shipseungji theory began to go beyond its boundaries. It widened its range beyond prophetic articles to unofficial historial stories, geographies, and encyclopedias, and interestingly this process accompanied change in perspective toward Shipseungji. In Haksanhanun or Taekliji, Shipseungji is introduced as a paradise containing know-how, which guarantees welfare and well-being, rather than a land of refuge and self-preservation. If in the past Shipseungji theory sought ‘survivable land’ against crises and peril, during this period, the people sought a ‘liveable land’ for a better life. The people’s interest in Shipseungji during the late Joseon period was constant and passionate as displayed. This continuous flow of Shipseungji theory eventually joins in with the movement of exploring livable land as represented in Taekliji, and hence, Shipseungji is an important clue for reading base of cultural history during the late Joseon period. The study was able to further widen the network of meanings of Shipseungji through the present discussion which reviewed the full account of Shipseungji theory and shed light on the interest in ‘finding a place to live’ during the late Joseon period, which originated from Shipseungji theory.

      • KCI등재

        서울대학교 언론정보학 교육 40년

        양승목(Seung-Mock Yang),김관호(Kwanho Kim) 서울대학교 언론정보연구소 2015 언론정보연구 Vol.52 No.2

        이 글의 목적은 1975년에 설립된 서울대학교 언론정보학과의 창설 40주년을 맞아 언론정보학과의 커리큘럼 분석을 통해 학부 및 대학원 교육의 변천 과정을 살펴보는데 있다. 구체적으로, 매학기 서울대가 발간하는 수강편람에 기재된 학부와 대학원의 개설교과목을 분석함으로써 매년 학기별로 학부와 대학원에 어떤 교과목이 개설되었고 그것이 학년 또는 학위과정별로, 전공영역별로 어떻게 변해 왔는지 10년 단위의 네 시기별로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지난 40년 동안 언론정보학과의 커리큘럼은 큰 폭의 변화를 겪었고 시기별로도 차이가 있었는데, 여기에는 대학의 교육정책, 학과 교수진의 변동, 미디어환경과 같은 사회적 변화가 주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런 변화의 의미를 해석하고 미래 교육의 방향을 제안하였다. As 2015 marks the 40th anniversary of the SNU Department of Communication, this paper serves to understand the history of its communication education through examining both the undergraduate and the graduate program"s curriculums. In order to obtain data, all course catalogues published by the Office of Academic Affairs during the last four decades were categorized into four consecutive time periods and analyzed to produce a complete list of course titles by calendar year, semester, class, and subject area. The study revealed that the curriculums have gone through a number of significant changes in process of time; the University"s education policy, the Department"s faculty line-up, and social changes such as the development of new media technology were the major influential factors. The meanings of the abovementioned changes and the orientation of future education were also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