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조선조 왕위변동과 정치설화

        문재윤(Mun, Jae-Youn)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2012 한국동양정치사상사연구 Vol.11 No.1

        한국 정치문화 현상에 대한 연구를 보다 심도 있게 진행하기 위해서는 한국의 전통사상과 문화의 특수성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하지 않으면 그 목표를 달성하기 어렵다고 하겠다. 특히 전통의 힘이 강력하게 작용하는 경우에는 더욱 그러할 것이다. 이러한 측면을 유념하면서 본 연구는 조선왕조실록에 기록된 정치설화에 관한 이야기를 분석해봄으로써 조선조 정치사를 보다 심층적으로 이해해 보고자 시도하였다. 군주 관련 정치 설화에 관한 『조선왕조실록』의 각종 기록은 무엇보다 먼저 군주와 왕실에 의한 정치적 지배를 정당화하는 기능을 수행했다고 할 수 있다. 천명에 의해 개창된 조선 왕실이 백성들의 복종과 지지 속에서 계속 존재하기 위해서는 천(天)과의 연계성을 계속 확보할 필요가 있었고, 이에 따라 왕실에서 군주의 탄생과 등극을 예고해 주는 신이한 정조와 꿈들이 왕조 내내 계속해서 이어졌다. 문맥적 상황으로 볼 때, 하늘(天), 해(日), 꿈, 상서(祥瑞), 신이(神異) 등을 바탕으로 하는 군주 관련 정치설화의 현세지향은 건국의 신성화와 왕통의 정통성을 목적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군주 관련 정치설화는 단순히 권력의 정당화 과정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천명의 대행자로서 군주를 신성화시킴으로써 국가통합의 상징으로 만들고자 했다. 이와 같이 조선조 정치과정에서 군주 관련 정치설화가 담고 있는 정치적 의미를 분석하는 작업은 군주와 왕실, 그리고 지배층의 정치의식과 통치론을 이해하는 데 하나의 방법론이 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influence of political tales in political process of the Chosun Dynasty and its political significance. Kings in the Chosun Dynasty were supreme power men. And the Korean tale of ancient times in general describes lives of kings: their birth, growth, marriage, succession to the throne, and death. In other words, it is a biographical description of the mysterious experiences of kings. Especially part in which they get divinity from their birth is common to all. Such a way of description resulted from the idea that the founder of nation should look divine. Korean people believed kings were the existence of divine nature. In this sense we can see that political tales were closely associated with political process.

      • KCI등재

        베트남전쟁 시기 “죽음의 국유화”와 영혼결혼식

        박선영 한민족문화학회 2023 한민족문화연구 Vol.84 No.-

        이 글은 베트남전쟁 시기 영혼결혼식이 파월 전사자들의 죽음을 애도하는 사회적, 문화적 해결 방식의 하나였다고 보고, 영혼결혼식이라는 비물질적이고 종교적인 의미를 가진 행위가 법적, 제도적 장치와 만나 파월 전사자의 죽음을 국가의 죽음으로 포섭하는 상징으로 변모하는 과정을 추적해보고자 했다. 이를 위하여 당시의 신문, 뉴스영화, 사진 등의 매체 기록 및 소설의 징후적 양상을 분석하여, 영혼결혼식의 사회적 수용 및 그것이 초래한 국가적 의례의 위기, 그리고 이에 대한 국가적 대응 방식 등을 논의하고자 했다. 영혼결혼이란 비정상적인 죽음에 대한 문화적 해결 방법의 한 예로, 죽은 자 간의 또는 산 자와 죽은 자 간의 영혼결혼은 세계 곳곳에서 찾아볼 수 있는 관습이다. 베트남전쟁 시기 한국에서 영혼결혼식은 ‘비정상적인 죽음’을 맞은 원혼을 위로하고 ‘극락왕생’하도록 한을 풀어주는 위령의 차원, 통과의례를 거치지 못한 채 죽음을 맞은 영혼이 죽은 뒤에라도 ‘제대로 된’ 일생과 죽음의 과정을 거치도록 함으로써 ‘완전한’ 조상 또는 조상신으로 위상을 정립하고자 하는 차원, 또한 남은 유족들에게 위안을 주기 위한 장치로서의 차원 등 다면적인 문화적 차원으로 수용되었다. 전통적인 죽음의 상징적 위계질서에 따르면, 전사라는 사건은 ‘비정상적이거나 나쁜 죽음’으로 분류된다. 그런데 국가의 부름을 받아 파병되었던 베트남전쟁 참전 군인들의 전사가 ‘나쁜 죽음’이자 ‘원혼’을 만드는 것으로 분류되는 것은 국가의 입장에서 모순적인 상황이 된다. 영혼결혼은 장례만으로는 충족되지 않는, 또 다른 위령과 해원의 의미를 내포한 것이기 때문에 수많은 전사자들의 가족은 국가의 공식적인 장례 절차와는 별개로, 혹은 그것을 ‘완전한’ 장례 의식으로 받아들이지 않은 채 개별적인 의례를 다시 치렀던 것이다. 이러한 의례의 위기는 의미의 위기를 거쳐 국가의 위기를 초래한다. 따라서 국가는 이러한 의례의 위기를 제도적으로 포섭할 필요가 있었다. 이에 대한 방안으로 베트남전 전사자들의 행렬이 줄을 잇던 1968년, ‘혼인신고특례법’이 제정, 시행되었다. 혼인신고특례법은 전사자들의 영혼결혼식의 법적 지위를 보장하는 것이었다. 베트남전쟁 시기 ‘전투를 포함한 공무’ 중 전사한 이들의 영혼결혼식은 신문, 뉴스영화, 방송 등의 대중매체를 통해 전시되었고 대통령의 ‘인정’이라는 계기를 통해 가시적이고 합법적인 것으로 공인될 수 있었다. 그러나 죽음 이후를 관리하고 통제함으로써 ‘애도의 정치’를 통해 통치 권력을 유지하고자 했던 박정희 정권의 기획은 허약한 재정적 기반과 일원화되지 못한 관리 체계, 통제되지 못한 수많은 의도로 인해 그 취약성을 드러낼 수밖에 없었다. 그럼으로써 이 기획은 무엇보다 ‘죽음의 국유화’의 불가능성을 여실히 증명했다. This article argues that ghost marriages were a social and cultural way of mourning the deaths of the veteran during the Vietnam War, and traces how the immaterial, religious practice of ghost marriages was transformed by legal and institutional mechanisms into a symbol that embraced the deaths of the veteran as national deaths. To do so, it analyzes media records such as newspapers, newsreels, and photographs, as well as manifestations in fiction, to discuss the social acceptance of ghost marriages, the crisis of national ritual that they created, and the national response to them. Ghost marriages is an example of a cultural solution to an abnormal death, and the practice of ghost marriages between the dead or between the living and the dead can be found around the world. In South Korea during the Vietnam War, ghost marriages were embraced as a multifaceted cultural practice, including as a means of consoling the spirits of the deceased who had suffered an “abnormal death” and releasing their spirits for a “paradise rebirth,” as a means of establishing their status as “complete” ancestors or ancestor gods by allowing them to go through a “proper” life and death process after death, and as a means of providing comfort to the survivors. According to the traditional symbolic hierarchy of death, the death of a warrior is categorized as an ‘abnormal or bad death’. However, the deaths of Vietnam War veterans who were deployed at the call of the state are categorized as “bad deaths” and as creating “original spirits,” which is contradictory to the state’s position. Because ghost marriages implies another kind of memorialization and release that is not fulfilled by burial alone, the families of many war dead have reenacted individual rituals separate from the official state funeral process, or without accepting it as a “complete” funeral ritual. This crisis of ritual leads to a crisis of meaning, which in turn leads to a crisis of state, and the state needs to institutionalize this crisis of ritual. In 1968, when the procession of the Vietnam War dead was lined up, the ‘Special Marriage Registration Act’ was enacted and implemented. The Act guaranteed the legal status of ghost marriages for war dead. During the Vietnam War, the ghost marriages of those who died in “official duties including combat” were exhibited through mass media such as newspapers, news films, and broadcasts, and were recognized as visible and legitimate through presidential recognition. However, the regime’s plan to maintain its power through the ‘politics of mourning’ by managing and controlling the afterlife proved to be fragile due to its weak financial foundation, uncoordinated management system, and numerous uncontrolled intentions. In doing so, it demonstrated the impossibility of the ‘nationalization of death’.

      • KCI등재

        코로나19에 대한 죽음 현저성이 정부 대응에 관한 의견양극화에 미치는 영향 : 선택적 노출의 매개효과와 정치적 성향의 조절효과 중심

        김영욱(Yungwook Kim),김혜정(Hyejung Kim) 한국언론정보학회 2020 한국언론정보학보 Vol.104 No.-

        본 연구는 코로나19에 대한 죽음 현저성이 정부 대응에 관한 의견양극화에 미치는 영향에서 선택적 노출의 매개효과와 정치적 성향의 조절효과를 분석하였다. 기존 연구들이 죽음 현저성에서 의견양극화로 이어지는 직접적인 관계를 검증한 것과 달리, 이 연구는 선택적 노출의 매개효과와 정치적 성향의 조절효과를 함께 분석하여 공포관리이론의 외연을 확장하고자 했다. 선택적 노출은 죽음 현저성으로 인한 내집단 편향을 정보탐색 관점으로 확장한 것이고, 정치적 성향은 코로나19 정부 대응이 정치적 맥락에서 해석될 수 있기 때문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하였다. 연구 결과, 코로나19 정부 대응에 관한 일반적 평가에 대한 의견양극화에서만 선택적 노출의 매개효과와 정치적 성향의 조절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정치적 성향이 보수일수록 코로나19 정부 대응에 관한 일반적 평가에 대해 자기 생각과 유사한 정보에 선택적으로 노출함으로써 의견양극화가 더욱 일어났다. 이러한 결과는 사람들이 코로나19 정부 대응에 관해 세부 정책을 체계적으로 고려하기보다 전반적으로 평가함으로써 의견을 형성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분석 결과에 근거하여 위험 커뮤니케이션 측면에서 이론적·실무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COVID-19 mortality salience on opinion polarization, focusing on the mediating roles of selective exposure and the moderating roles of political orientation. Previous studies that deal with mortality salience from the perspective of the terror management theory have focused on examining the direct relationship between mortality salience and opinion polarization. However, the current study expanded the scope of the theory by exploring additional relationships among the variables. Selective exposure extends in-group bias to a point of view of information seeking, and political orientation have some impact because governmental response to COVID-19 could be interpreted via political lens. As results, the mediating effects of selective exposure and the moderating effects of political orientation were significant only in the case of opinion polarization on the general assessment of governmental response to COVID-19. Specifically, the more conservative the political orientation is, the more polarized the opinion on the general assessment of governmental reactions by selectively exposing to information supporting one’s own previous attitude. It suggests that people evaluate the governmental response to COVID-19 by assessing it overall rather than systematically considering detailed policie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were discussed following the research results.

      • KCI우수등재

        가운뎃점으로 삶과 죽음이 뭉쳐질 때 : HIV 감염의 만성질환화와 삶·죽음의 퀴어성

        서보경(Bo Kyeong Seo) 비판사회학회 2021 경제와 사회 Vol.- No.129

        1990년대 중반 효과적인 표준 치료가 확립되면서 HIV는 더 이상 감염 그 자체로 사망에 이르게 하는 질환이 아니라 약물을 통해 조절 가능한 만성질환이 되었다. 이 글에서 나는 HIV 질환의 만성화에도 불구하고 이를 중대한 삶의 위기로 경험할 수밖에 없었던 사람들의 경험을 기반으로 한국 사회에서 생명 정치가 작동하는 주요한 방식을 규명한다. HIV 감염 이후 신체적 손상과 장기 입원을 경험한 감염인들과 이들을 보살피게 된 가족 및 돌봄자의 경험을 서사화하고, 이들의 경험에서 드러나는 삶과 죽음의 기이한 병치를 살펴본다. 여기서 퀴어성(queerness)은 성 정체성 및 성적 표현의 지표를 한정적으로 의미하지 않는다. 이 글에서 퀴어성은 다종의 비규범성을 폭넓게 의미하며, 특히 생명 정치의 장에서 신체의 생물학적 지속과 사회적 죽음의 기이한 결합이 야기하는 비인간화를 규명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한국 사회에서 HIV 감염이 퀴어 존재의 출현을 야기하고 삶과 죽음의 공시적 기생을 강제하는 양상은 치료 영역에서의 차별과 배제뿐만 아니라 기본적인 친족 관계에서부터 발생하며, 장기 요양의 시장화와 시설화를 통해서 공고화된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인간다운 삶을 불가능하게 하는 조건에도 불구하고 돌봄의 상호성에 기반을 둔 퀴어 친족이 만들어지는 과정을 포착하고, 이러한 실천이 담지하고 있는 관계적 힘의 창발성에 주목한다. In this article, I focus on how queer existence is pushed away from life and pulled toward death by drawing on stories of HIV positive people who had institutionalized in long-term care facilities and of family members and care workers who had taken care of them. Here, I am using the term queer to reveal the oppressive and exclusionary mechanism that turns the HIV positive people into a kind of living dead that has to be removed from the social world. By weaving together ethnographic observations and anecdotes on how HIV-related illness, impairment, and confinement is experienced and survived, I shed light on particular places that are forcefully assigned to queer subjects in contemporary South Korea. I focus on how family, kinship, and nursing facilities actively erase the existence of queer subjects and put them into detention for slow death. By doing so, I examine how the very chance of living a life that is assumed to be valued and cared for is unequally distributed while making the mourning of queer death impossible. Finally, by illuminating the moments in which debilitated, sick, and almost dead people with HIV come back to life through queer kinship, I illuminate how the practices of care and kin-making bring into being an unexpected force of vitality.

      • KCI등재

        환멸의 시학과 “죽음의 공동체” -1950년대 자유주의와 시적 전유-

        정영진 ( Young Jin Jeong ) 겨레어문학회 2015 겨레어문학 Vol.54 No.-

        본 연구에서는 시민의 자유 권리에 대한 인식이 정립되어 갔던 1950년대 시에서 자유주의가 어떻게 전유되고 있었는지 고찰하고자 한다. 1950년대 모더니스트 시인들은 시민적/정치적 자유를 강조하고 있었다. 특히 이들은 환멸의식을 내면화하고 있었는데, 이 환멸의식을 바탕으로 정치적 자유에의 지향을 시에서 드러내었다. 본 연구에서 박인환과 송욱에 주목하는 까닭은 이들의 환멸의식이 1950년대 또 다른 시대정신인 부정정신과 결합되어 있기 때문이다. 송욱과 박인환은 죽음을 현상적이고 감각적인 것으로만 활용하는 것을 경계하고, 죽음을 역사현실을 인식하는 매개로 활용했다. 이들은 환멸의식을 바탕으로 ‘죽음의 공동체’라는 시민 표상을 시에 등장시켜, 억압된 한국 사회의 구조에서 자유주의에의 지향을 보여주었다. 박인환은 외부로부터 간섭받지 않을 자유, 즉 자율적인 사고와 행위를 강조했다. 박인환 시에서의 ‘죽음의 공동체’는 ‘익명적 우리’로 나타난다. 박인환은 현대의 ‘익명적 우리’의 존엄함을 보여주고자 했다. 이는 국가재건과 탈후진을 수행할 국민만들기 프로젝트와 선을 긋는 것이자, 사회주의적 지향을 일정부분 함축하는 것이기도 했다. 송욱의 시에서는 타락한 시민 표상으로서 ‘죽음의 공동체’가 등장한다. 송욱은 시민들의 타락상을 대중의 한계로 보지 않고, 사회 체제의 한계로 재정위 한다. 송욱의 1950년대 시에서는 정치적 자유주의가 끊임없이 강조되고 있었다. 그는 자유가 억압된 현실에서의 시민들을 ‘죽음의 공동체’로 설정하고, 퇴행과 타락하는 모습을 적나라하게 드러냈다. 그러나 이것은 당대 자유주의를 개인주의적이고 부도덕한 것으로 낙인찍었던 도덕적 자유 관념론자들의 비판을 그대로 수용한 것이 아니라, 반대로 이들이 그럴 수밖에 없게 만들었던 부자유의 상태, 즉 자본주의 체제와 억압적 통치체제를 비판하기 위한 것이었다. 박인환과 송욱이 창출한 ‘우리’는 사회주의와 자유주의의 결합 가능성을 보여주기도 하고, 1950년대 사회통합과 계몽의 프로젝트에 내재한 도덕주의 및 합리주의에 대한 비판적 인식을 드러낸다. 이는 당대 정치적 자유주의의 한도를 표시하고, 경험주의적 관점에서 한국 현실에서의 정치적 자유주의의 가능성을 모색한 것으로 볼 수 있다. The modernist poets in the 1950s emphasized civil and political freedom. In particular, these poets internalized disillusion, and thus, expressed the pursuit towards political freedom based on this sense of disillusion. The reason why this research focuses on Park In-hwan and Song Wook is that their sense of disillusion is combined with the negative spirit, which is another spirit of the period in the 1950s. Song Wook and Park In-hwan were vigilant in utilizing death as a phenomenal and sensible matter, and thus, utilized such as a medium for perceiving historical reality. They presented the symbol of citizens called as ‘community of death’ based on such sense of disillusion, showing the pursuit towards liberalism within the suppressed structure of the Korean society. Park In-hwan emphasized the freedom not to be interfered from the outside world, hence, autonomous thinking and acts. The ‘community of death’ in the poems of Park In-hwan appears as an ‘anonymous us.’ Park In-hwan sought to show the dignity of ‘anonymous us’ in the modern society. This was to draw a line from the project ‘Making the Nation’ related to national reconstruction and the spirit of escaping from backwardness, while implying a certain part of the pursuit towards socialism. ‘Community of death’ appears as a symbol of corrupt citizens in the poems of Song Wook. Song Wook does not regard the corrupted feature of citizens as the limits of the public, but re-positions it as a limit of the social system. Song Wook`s poems of the 1950s continuously emphasize political freedom. He established the feature of citizens within the reality where freedom was suppressed as the ‘community of death,’ and explicitly exposed the feature of corruption and degradation. However, this was not to wholly accept the criticism of the moral freedom idealists that branded the liberalism of the era as individualistic and unethical, but, on the other hand, was to criticize the non-liberalized condition that provided no other alternative. ,In other words, he criticized the capitalist system and suppressive governing system. ‘Us’ created by Park In-hwan and Song Wook shows the possibility of the combination of socialism and liberalism, and also reveals the critical perception over the moralism and rationalism inherent in the project of the enlightenment and social integration. This phenomenon can be seen as marking the limits of the political liberalism at the time and seeking the possibility of political liberalism within the reality of the Korean society from an empirical perspective.

      • KCI등재

        1970년대의 유민화된 민중과 디세미네이션의 미학

        나병철 ( Byung Chul Na ) 청람어문교육학회(구 청람어문학회) 2015 청람어문교육 Vol.56 No.-

        1970년대의 산업화 시대는 개발주의 이데올로기가 국민을 동원한 시기였지만 실제로는 많은 사람들이 심리적·실제적인 유민으로 떠도는 시기이기도 했다. 민족중흥을 앞세운 교의적인 위대한 국민의 서사는 수행적 과정에서 양가적으로 디세미네이션의 상태로 미끄러지고 있었던 것이다. 이 논문은 그런 양가적 관계를 삶권력(bio-power)과 죽음정치(necropolitics)의 구성적 관계를 통해 살펴보았다. 당시의 국가적 개발주의는 사람들을 경제성장과 문화생활의 삶권력으로 유혹했지만 농촌이나 빈민촌 출신의 하층민들은 죽음정치적 노동에 시달려야 했다. 죽음정치적 노동이란 죽음에 이르도록 착취하면서 쓸모없어진 신체와 생명은 유기하는 것을 말한다. 이런 죽음정치적 노동은 트랜스내셔널한 맥락의 권력에 의한 것으로 당시의 노동자들은 세계 자본주의의 분할구도에 따라 값싼 노동에 시달려야 했던 것이다. 그 때문에 농촌으로부터의 이주는 있었지만 안정된 정착은 있을 수 없었으며 하층민들은 노동지옥에 시달리거나 정처 없이 여기저기 떠돌아 다녀야 했다. 그런 심리적·실제적인 유민들은 낯선 두려움(unhomely)을 경험해야 했는데 이 당시의 소설들은 그런 심리를 경험하는 사람들의 소외된 삶을 그리고 있다. 우리는 『삼포 가는 길』, 『영자의 전성시대』, 『미스 양의 모험』, 『별들의 고향』, 『몰개월의 새』 등을 통해 그처럼 낯선 두려움을 경험하는 인물들의 삶을 살펴보았다. 특히 『몰개월의 새』에서는 막장에 몰린 죽음정치적 노동자들끼리의 존재론적 연대의 표현이 나타남을 알 수있었다. 다른 한편 이 시대의 소시민이나 중간층의 사람들은 이중적인 상태에서 하층민들의 고통에 공감하게 되는데, 그 과정은 철거민의 문제를 다룬 『아홉 켤레의 구두로 남은 사내』와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 연작(특히 『칼날』)에서 암시된다. 이 시기에 막다른 곳에 이른 사람들의 존재론적 연대나 그들의 고통에 대한 소시민들의 공감은 물밑의 디세미네이션의 연대를 생성시키고 있었다. 디세미네이션의 연대는 개발주의의 국민의 서사를 파열시키면서 초국가적 맥락의 권력에 연관된 죽음정치의 대한 존재론적 대응을 암시하고 있었다. The era of industralization in the 1970s was the period when developmentalism-oriented ideology mobilized the people, but actually many people were adrift as psychological, practical migrants during that period. The pedagogical great national narratives setting forth national restoration were sliding into ambivalent dissemination in the performative process. This paper looked into such ambivalent relations in terms of constructive ones of bio-power and necropolitics. The then national developmentalism tempted people with economic growth and bio-power of a cultural life, but the lower classes from a rural area or poor village had to suffer from necropolitical labor. Necropolitical labor means abandoning bodies and lives which become useless while exploiting workers even up to their last legs. Such necropolitical labor was attributable to power in the frame of transnational context, and the then workers had to be harassed with cheap labor according to the partition composition of global capitalism. Therefore, there was migration from farming areas, but the migrants couldn``t dare to dream about stable settlement; instead of that, the lower -class people had to be pestered by labor hell, or wander about here and there aimlessly. Such psychological, practical drifting people had to experience unhomely fear, and the then novels are portraying the isolated life of the people experiencing such psychology. We looked into the life of the characters who experienced such unhomely fear through the works, such as A Road to Sampo, Young-Ja``s Heydays, Miss Yang``s Adventure, Hometown of stars, and A Bird of Molgaewol, etc. In particular, in the work A Bird of Molgaewol, it is learned that there appears an expression of ontological solidarity between necropolitical workers who are driven into a dead end. On the other hand, the petite bourgeois or people in the middle classes of society during this period came to empathize with the pain of the lower class people in an ambivalent state, and the process is implied in the works, such as The Man who was left as Nine Pairs of Shoes which addressed the issue of evacuees, and serial works of The small Ball shot by a Midget(especially in Knife Edge). During this period, the ontological solidarity between the people who were driven into a dead end, or the empathy of the lower middle class citizens with their affliction were forming the solidarity of behind-the-curtain dissemination. The solidarity of dissemination was implying the ontological response to necropolitics involved in power in the frame of transnational context while rupturing national narratives based on developmentalism.

      • KCI등재

        “내가 죽으면”: 초고령화 일본사회에서 생명정치와 죽음윤리

        김희경 한국문화인류학회 2018 韓國文化人類學 Vol.51 No.2

        This article presents as political agents of biopolitics, rather than as its targets or victims. Through the case study of Nagano Prefecture in Japan, this study explores how the socio–cultural context forces the elderly to dive into the battlefield of biopolitics, even though they are aware that medical technologies and welfare programs cannot guarantee them the ends that they desire. Furthermore, this study explores how the elderly persons’ ontological existences change, and how they weave the ethics of their own deaths in response to this. Through these discussions, this study points to the ways in which biopolitical projects seek to drive out symptoms of death such as aging and decline from the sphere of life, thus involving the inherent risk of contempt and exclusion of the majority of lives that remain caught up in the symptoms of death. 본 논문에서는 노인들을 생명정치의 과녁이나 희생양이 아닌 생명정치를 행하는 정치적주체로 본다. 그리하여 의료기술과 복지정책이 그들이 원하는 마지막을 보장해주지 못한다는 사실을 알고 있으면서도 노인들이 생명정치의 전장에 뛰어들 수밖에 없는 사회문화적 맥락을 고찰한다. 또한 생명정치적 기획 속에 노인들의 존재양식은 어떻게 변화하고 있으며, 이에 대응하여 노인들은 자신의 죽음에 대한 윤리를 어떻게 직조하고 있는지 일본 나가노현사례를 중심으로 고찰한다. 이러한 논의를 통해 본 연구에서는 인간이라면 누구라도 경험하게 될 노화와 죽음에 이르는 과정에 수반되는 쇠퇴를 애써 부정하고 억지로 삶의 영역에서내몰아 버리려는 생명정치적 기획은 죽음의 증후에 붙잡힌 대다수의 생명에 대한 경멸과 배제로 귀착될 위험을 내포하고 있음을 지적한다.

      • KCI등재

        코로나19 사망자 장례와 죽음관리정치

        오지민,오세일 한국인문사회과학회 2022 현상과 인식 Vol.46 No.4

        본 논문은 코로나19 사망자에 대한 국가의 장례 관리 지침이 갖는 사회적 의미를 죽음관리정치 맥락에서 재조명하고, 코로나19 사망자 장례를 주관한 장례지도사가 위험의 개인화 상황 속에서 어떻게 죽음의례를 수행해 나갔는지를 주목한다. 이에 본 연구는 2020년 2월부터 2022년 4월까지 정부가 총 4차례 발표한 장례 관리 지침의 내용을 ‘문헌 분석’하고, 장례지도사 4명을 ‘심층 면담’하여 국가의 죽음관리정치가 갖는 문제와 갈등 상황을 분석했다. 연구 결과, 코로나19 사망자 장례 정책에서 고인의 존엄과 유가족의 애도, 장례지도사의 안전이라는 세 차원의 가치가 충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심층 면담을 통해 코로나19 사망자 장례를 둘러싼 다양한 주체들 간 입장 차이 및 장례지도사들의 상이한 죽음의례 수행성(‘방어적’ 수행성, ‘윤리적’ 수행성)을 포착할 수 있었다. 요컨대 본 연구는 국가의 죽음관리정치가 고인의 존엄성과 유가족의 애도할 권리, 장례도사의 안전 문제 등에 대한 충분한 고민과 제도적 성찰이 부족했던 점, 그리고 장례 현장에 대한 이해와 소통이 부재했던 점 등을 비판적으로 논의하였다. 아울러, 본 연구는 코로나19 사망자 장례 정책의 복합적인 문제를 문화 이론 차원에서 분석 및 규명함으로써 정부의 장례 정책을 보완할 수 있는 성찰적 대안에 관해 제언하였다.

      • KCI등재

        이제하 초기소설에 나타난 죽음의 형식

        이근영 한국현대소설학회 2024 현대소설연구 Vol.0 No.93

        본고는 이제하의 초기소설에서 ‘죽음이 어떻게 형식적으로 다루어 지는가’를 밝히고 있다. 이제하는 서술 형식을 파괴함으로써 기존 방식에서 벗어나고자 했으며, 환상적리얼리즘을 전유함으로써 감지하기 어려운 진실을 포착하려고 했다. 또한그는 작중인물의 일탈을 통해 세계에 대한 해방을 제시했다. 이러한 기존 연구에‘죽음’은 현실에 균열을 내는 파괴성을 지니는 또 하나의 형식을 형성한다는 점을본 논문에서 개진한다. 침묵하는 ‘죽음’ 뒤에 진실은 은폐되고 현실은 재현된다. 죽음이 일어난 시점을 중심으로 개입의 방식, 서사구조는 달라진다. 죽음이 처음에제시되는 경우는 ‘나’가 회상을 함으로써, 마지막에 나타나는 경우는 인물들의 삶과 죽음을 함께 함으로써, 숨겨진 진실이 드러난다. ‘나’의 개입으로 죽음은 의미가생성되며 사건이 된다. 이때 개입은 죽음이 사건으로 인식될 수 있도록 하는 실천이다. 개입자는 은폐될 수 있는 개인의 죽음을 탈은폐함으로써 사회의 문제로 전환한다. 그때 세계는 변할 수 있는 가능성이 열린다. ‘죽음’은 그것을 바라보는 ‘누군가의 개입’, 그 속에서 찾아낸 ‘진실’과 유기적으로 관계를 맺으며 이제하 소설의형식을 만들어 낸다. This paper reveals ‘how to deal with death formally’ in Lee ze-ha's early novel. Behind the silent ‘death’, the truth is concealed and the reality is reproduced. There are two ways in which death is reproduced. The first case where death is presented is through the recollection of ‘I’, and the last case where death is presented is through ‘I’ sharing the life of death with the characters in the reality of the time. Thus, it reveals the truth behind their deaths. With the intervention of ‘I’, death creates meaning and becomes an event. This intervention is the role of ‘I’ that allows death to be recognized as an event. Intervention moves from individual problems to social problems by revealing death that can be concealed. At that moment, the world opens up the possibility of change. Now, ‘death’ in Lee ze-ha's novel forms a structure through ‘someone's intervention’ looking at it, the ‘truth’ found in it, and an organic relationship with them.

      • KCI등재

        삶과 목숨의 변증법: 휴양패러다임과 프리솔로 암벽등반

        오영훈 ( Oh Young Hoon ) 한국문화인류학회 2024 韓國文化人類學 Vol.57 No.1

        본 연구는 안전장비 없이 암벽을 오르는 프리솔로 등반을 생명정치의 관점으로 분석함으로써 생명권력이 작동하는 양상을 이해하려는 시도다. 이를 위해 문헌연구, 심층면담, 온라인 공론장 분석의 기법을 활용했다. 푸코가 갈파한 근대국가의 생명정치 현상은 에스포지토에 의해 ‘면역화’라는 그 작동 양상이 분석됐다. 생명정치의 면역화란 한 사회가 그 구성원들의 생명을 최대한으로 보장하기 위해 각종 사회적·의학적 병폐들을 제거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허용하는 것을 말한다. 생명정치가 규준으로 정착한 현대 한국 사회의 일상에서 죽음은 격리되었다. 여기서 프리솔로의 금지를 생명정치적 죽음 격리 기제가 작동되는 것으로 본다면, 프리솔로는 격리된 죽음을 부활시키고 이를 다시 모면하는 기술로 볼 수 있다. 프리솔로 등반가는 죽음을 직면함으로써 얻게 되는 삶의 충만함을 말한다. 반면 프리솔로는 전적으로 금지되지는 않았으며, 대신 스펙터클로 화하면서 내셔널리즘의 기제와 생명정치의 면역장치로 전용되었다. 이 연구는 목숨 이상의 삶에의 소통이 부정되는 현상을, 프리솔로를 포착하는 시선의 차이로 분석한다. 카메라의 시선을 매개로 한 프리솔로의 시연, 촬영, 상영은 죽음 모면이 죽음 격리로 전이되는 과정을 포착한다. This research attempts to understand processes of biopolitics by analyzing free solo rock climbing in South Korea. For this aim, I employed literature review, in-depth interviews, and discourse analysis of online sources. After Michel Foucault pioneered the conceptualization of biopolitics in modern societies, Roberto Esposito has recently suggested immunization as the key for the biopolitical. In the South Korean biopolitics, death is quarantined from everyday life, including in rock climbing as a sport largely transformed under the paradigm of recuperation. Banning the free-solo climb would be a display of the mechanism of quarantining death, whereas performing a free-solo climb reinstates death in order to defy it. In this research I document how a free solo climber narrates the fulfilling nature of one’s remaining life after having confronted death. Free solo climbs were not completely banned; instead, they were transformed into modernday spectacles and appropriated for positively nationalistic intentions, and negatively for the immunity dispositive in biopolitics. In this research I focus on the gazes that take on different meanings from free solo attempts. Performing, video capturing and redisplaying of free solo attempts revolve around the transitions from death-defying to death quarantining, and from living to exist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