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선거주기와 헌법개정

        김정현(Kim, Jung-Hyun) 한국헌법학회 2014 憲法學硏究 Vol.20 No.1

        선거주기에 따라 정치권력의 교체와 대의기관에 대한 민주적 정당성의 부여가 반복된다. 선거주기로는 대통령선거와 의원선거의 주기가 같아 선거시점이 동일한 경우인 동일주기, 대통령선거와 의원선거의 주기가 달라서 각기 별도의 시점에 양선거가 실시되는 경우인 별도주기, 대통령선거와 의원선거의 주기가 다르지만, 부분적으로 양선거가 동일시점에 실시되도록 선거시점을 기술적으로 일치시켜 놓은 경우인 혼합주기가 있다. 동일주기의 대표적 국가는 2002년 헌법개정 이후의 프랑스와 브라질이 있다. 별도주기의 예로는 2002년 헌법개정 이전의 프랑스와 핀란드가 있으며, 혼합주기의 대표적 국가는 미국과 멕시코가 있다. 선거주기는 대통령과 이원정부제에서 입법부와 행정부의 관계의 많은 영향을 미친다. 즉, 정부형태의 변경만큼이나 선거주기의 문제도 향후 개헌논의에 있어서 중요한 사안이다. 한국의 선거주기는 대통령임기 5년, 국회의원 임기 4년에 따른 별도주기로 보아야 할 것이다. 20년을 기점으로 양 선거의 주기가 반복되는 형태이다. 이러한 선거주기에 따라 대통령의 업적과 정치적 입장에 차이가 생기는 만큼 이에 대한 시정이 필요하다. 일각에서는 이에 대한 대안으로 양 선거주기를 일치시키는 것을 주장하지만, 이는 대통령제의 본질인 권력분립원칙과 맞지 않는다. 그보다는 중간선거를 도입해 임기초반선거와 중간선거에서 의원정수의 절반씩을 각각 선출하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는 대표자에 대한 통제기능을 강화하는 한편 의회 내 역학관계를 변경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보다 더 나은 대안이 될 수 있다. It is repeated to change political powers and impower democratic legitimacy towards representative body by an electoral cycle. There are 3 types of electoral cycle; In concurrent electoral cycle, Presidential election coincides with parliament election as the both have the same cycle.But the two elections are held at different times by different cycle in non-concurrent electoral cycle. And mixed cycle of concurrent/ non-concurrent election technically tunes the electoral timing so that those two elections are simulatneously held in spite of its different cycle by origin. France has been representing for the concurrent electoral cycle since its constitution was reformed in 2012 along with Brazil. Before 2012, France had represented for non-concurrent electoral cycle with Finrand. Lastly USA and Mexico represent for mixed cycle of concurrent/non-concurrent elections. The electoral cycle of Presidentialism and Semi-presidentialism has a strong influence on a relationship between legislative and executive. In short, the issue of electoral cycle is as important as the change of government type in reforming constitution in the future. In Korea, the president has 5-year term while Parliament has 4-year term therefore it should be non-concurrent electrol cycle having diffent terms of election. A cycle of the both elections is repeated until the two cross over at 20 years. And this needs to be corrected because President's achievement and political position depend on the electoral cycle. Some insists to make the both elections coincide, but it's not consistent with the essential principle of Presidentialism what is a separation of power. Therefore this is more suggested to institute a midterm election so that total members of parliament are elected half and half by two elections taking place early and middle of the term. This is better alternative in a regard that it brings an opportunity to change political dynamism while it inforces a function of political controls.

      • KCI등재

        ‘주기主氣’ 개념의 딜레마, 그리고 실학實學과의 불화

        한형조 재단법인다산학술문화재단 2011 다산학 Vol.- No.18

        My paper mainly explains why and how I use the 主理-主氣 framework in this philosophical map of Joseon Confucianism. The terms 主理-主氣 are not monopolized by Prof. Takahashi; I find them to be only two trends among six types, which I have analysed “philosophically,” not “genealogically.” I would like to clarify two false impressions which still prevail. Ironically, 主氣 scholars didn’t identify themselves as 主氣, because the label means “to respect bodily desire first”-condemned in the past, however admirable in modern times. Again, it is an irony that today, we admire 主氣scholars as “realists,” and hence we are ready to link the school with “Practical Learning” in late Joseon. But 主氣, especially in late Joseon, was not “Practical” whatsoever; rather it was Anti-Practical. The core issue is that this term is inherently confusing. Is there a way to resolve this issue? It is easy to fall into the fallacy of interpreting 主氣 as “the tendency to emphasize 氣.” This sounds like an anti-Confucian claim because Confucian scholars hold fast to the primary principle of “理 is put before 氣.” If 主理 is translated as “the tendency to empha size 理,” then every single Confucian scholar of Joseon would be a 主理 scholar. This perplexity has led to the following statements:I would like to suggest that we distinguish the different levels of the concept of 主氣 in order to solve this puzzle. 主氣 is under the umbrella of “理學” in that 理 is the highest basis. Let us not forget that 主氣 and 主理 are sub-strata of 理學. In this sense, 主氣 means to “the thinking that emphasizes the practical movement of 氣” under the sub-strata of 理, and not “the tendency to emphasize 氣 more than 理.” If we distinguish the different levels thus, confusion outlined above should be resolved. And 主氣 is not a demeaning term, and it should not longer be used as such. Hasn’t the world changed to the point where the body and its desires are respected nowadays? Furthermore, practically responding to changes in everyday life makes 主氣 more appropriate for today’s living. Rather, excessive praise and great expectation of 主氣 is the issue. People have assumed that 主氣 is closely related to Practical Learning(實學) and is the foundation for the reform-minded in late Joseon. But the actuality was far from it. 主氣 train of thought is surprisingly more “conservative,” especially in the case of the Noron Faction’s orthodox 主氣 in late Joseon. The Noron Faction was not interested in building industries, improving systems, or learning new ideas and things from foreign civilizations. Why? Because they clung tenaciously to the Classics and were fired up with religious fervor to realize the propriety outlined in the Classics in this world. They insisted that their members suppress any individual desires, respect social status and their respectively order in the scheme of things, and be self-sacrificing in the “responsibility” assigned to them in the family or at work. In conclusion, 主氣 is the furthest from so-called Practical Learning(實學), which, surprisingly enough, developed from the 主理 tradition. There must have been a reason for this paradox. How should we resolve this paradox? 시험 삼아 조선 유학의 지형도를 그린 이후, 몇 가지 의문과 비판이 제기되었다. 그 가운데 ‘주기主氣’를 둘러싼 문제가 가장 첨예하다. 무엇보다. ‘주기’라는 용어가 애매하고 모순되는 의미를 담고 있다는 것 가령 주기의 대표자로 우리는 율곡을 꼽는데, 놀랍게도 정작 율곡이나 그 계열들은 가령 17세기 남당 한원진이나, 한말의 간재 전우 자신들을 결코 주기로 정위하지 않았다는 이의제기가 있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나는 개념의 층위를 구분하자고 제안한다. 주기이든 주리이든 공히 리理를 최고의 근원이자 가치로 한다는 점에서, ‘리학理學’의 우산umbrella 아래 있다. 실제 이 용어는 오랜 연원을 갖고 있는 주자학의 자기정위이다. 주기주리는 리학理學 안의 ‘하위분지下位分枝, sub division’임을 기억하자 이때 주기는 “리理보다. 기氣의 가치를 우선한다”가 아니라 “기의 현실적 작동을 중시하는 사유”의 뜻을 갖는다. 가치와 의미는 그 상위의 리가 쥐고 있다. 그렇다면 주리主理 또한 “리의 현실적 작용을 강조하는 유파”로 번역할 수 있을 것이다.  또 ‘주기’는 유학자들에게 경멸의 주홍글씨였지만, 지금은 시대가 달라져서 거기 붙들릴 필요가 없다. 지금의 시대는 신체와 몸의 욕구를 존중하고, 현실의 변화에 따른 실용적 적응을 건전하게 생각하기에, ‘주기’의 이름은 훈장이지 낙인이 아니다. 오히려 ‘주기’에 대한 과도한 찬양, 넘치는 기대가 문제이다. 주기가 실학적 성향을 갖고 있으며 조선 후기 개혁 마인드의 토대라는 오래된 기대가 있지만 그러나 사태는 정반대이다. 율곡에서 남당으로 이어지는 ‘주기’ 라인의 사고는 놀랍게도, 다른 리학의 갈래보다. 더 ‘보수적’ 성향을 노정했다. 그들은 경전의 지식을 고수하고 재래의 예禮의 이상을 현세에 구현하려는 종교적 열망과 책임감에 불탔던 사람들이다. 그들은 구성원들로 하여금 자신의 욕구와 개성을 억압하고, 주어진 사회 계급과 신분 질서를 존중하고, 가족이나 직업에서 주어진 역할 ‘의무’에 헌신하라고 독려했다. 조선 유학에 있어, 주기는 이른바 실학의 기대와 멀리 있고, 실학은 주리의 계열에서 발전했다.

      • KCI등재

        전통음악의 양악보에서 장단주기박자와 강약주기박자

        이보형 한국국악학회 2009 한국음악연구 Vol.45 No.-

        한국 전통음악인들은 박자라는 개념이 아닌 장단이라는 개념에 익숙해 있어 전통악보 기보법에 장단보(長短譜)는 있어도 박자표는 없었다. 그래서 그런지 근래에 한국 전통음악을 서양음악 기보법으로 채보하여 기록한 악보에는 서양음악의 박자를 주기로 하는 박자표로 기보한 경우도 있지만, 그보다도 장단을 주기로 하는 박자표로 기보한 경우가 많다. 이런 경우에 장단을 주기로 하는 박자표가 지시하는 박자의 개념은 무엇이며 이것이 또 서양음악에서 말하는 박자와 어떻게 다른가를 규명해야 하는 문제가 생긴다. 필자는 우선 양자를 변별하는 용어가 필요다고 생각하여, 장단을 주기로 하는 박자표가 지시하는 박자를 ‘장단주기박자’라 일렀고, 장단주기박자를 지시하는 박자표는 ‘장단주기박자표’라 일렀다. 그 상대 개념으로 서양음악에서 말하는 박자를 ‘최소 강약주기박자’라 하고 이를 줄여서 ‘강약주기박자’라 일렀고, 강약주기박자를 지시하는 박자표는 ‘강약주기박자표’라 일렀다. 그 동안 장단주기박자표와 강약주기박자표를 변별하지 않고 그냥 써왔던 이유는 양자의 차이를 규명하는 이론이 없었기 때문이라고 본다. 그래서 필자는 이미 다른 논문에서 장단주기박자를 규명하는 이론을 만든 바 있었다. 이 이론은 장단의 리듬 통사적 구성성분의 계층적 집합구조로 규명하고 이것이 장단주기박자를 생성하는 원리를 규명한 것이다. 이에 의하면, 장단 리듬 통사적 구성성분의 계층적 집합구조는 세 층위를 이룬다. 즉 자연태 음악에서는 음들이 2~3개가 집합하여 하 층위 구성성분을 이루는데 이를 ‘최소 리듬 구성성분 요소’(줄여서 ‘리듬소’라 함)라 일렀다. 리듬소들이 2~3개가 집합하여 중간 층위 구성성분을 이루는데 이를 ‘장단 주기보다 작은 리듬 구성성분 유형’(줄여서 ‘소리듬형’이라 함)이라 일렀다. 소리듬형이 2~3개가 집합하여 상 층위 구성성분을 이루는데 이를 ‘보편적인 장단 주기의 리듬 구성성분 유형’(줄여서 ‘여느리듬형’이라 함)이라 일렀다. 이 여느리듬형이 장단주기박자를 생성하는 것이다. 이 이론에 의하여 장단주기박자를 규명되었고 지금까지 잘못 기보된 장단주기박자표를 바르게 적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이 이론을 서양음악문법으로 된 노래의 박자, 즉 강약주기박자에 적용하여 봤더니 자연태에 가까운 노래에서는 리듬 구성성분이 두 층위를 이르는 경우가 압도적으로 많다는 것을 알았다. 즉 음들이 2~3개가 집합하여 하 층위 구성성분인 ‘리듬소’를 이루고, 리듬소들이 2~3개가 집합하여 상 층위 구성성분인 ‘소리듬형’을 이르는 경우가 압도적으로 많았다. 즉 소리듬형이 강약주기박자를 생성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로 봐서 강약주기박자는 장단주기박자의 절반 시가를 이루는 일이 보편적이라는 것을 알았다. 이를 적용하여 한국전통음악의 여러 장단 유형에 나타나는 장단주기박자표와 강약주기박자표로 적는 방법을 제시하였고 지금까지 잘못 기보된 한국전통음악의 강약주기박자를 정리할 수 있게 되었다. 다시 말해서 한국 전통음악에 나타나는 여느장단(보편적인 장단)에 나타나는 장단주기를 강약주기박자로 적게 되면 흔히 두 개의 강약주기박자표로 적게 되는데 앞뒤가 대칭 구조로 된 장단에서는 장단주기의 절반이 되는 강약주기박자표 두 소절을 적으면 되고, 앞뒤가 비대칭 구조로 된 장단의 경우에는 두 가지 서로 다른 강약주기박자로 된 변박자 두 소절로 적게 된다. 이 이론을 적용하여 앞으로 한국 전통음악을 박자표로 적을 때 반드시 이것이 장단주기박자표인지 강약주기박자표인지 표기해야 박자를 바르게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한국전음악을 적은 악보에 박자표를 적을 때 장단주기박자로 적을 것인지 강약주기박로 적을 것인지 정하고 그것들은 장단 리듬 통사론에 의하여 어떤 박자표로 적을 것인지 검증하고 이를 바르게 적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As many of other traditional music shares similar quality in this particular matter, traditional music of Korea is not written in such way where they notify detailed articulations and dynamics. Rather, they simply show types of ‘jangdan’(rhythmic pattern) that the music supposed to be perform with. Recently, many musicians have tried to write out traditional music that is being transmitted orally with the use of western notation. But even when these western notational method is being used, many musicians intentionally write out a type of ‘jangdan’ when designating the rhythmic pattern of the piece prior to the ‘time signature’. In this paper, I have attempted to find out what the major difference between the two systems, ‘jangdan’ and ‘time signature’ is and how these two represent differentiated meaning within the score. First, I felt the need of treating these two different terms - ‘jangdan’ and ‘time signature’ - separately from each other. In order to separate these two concepts, I have used two terms ; ‘rhythmic cyclic pattern’ for designating the beat that is being made due to the cyclic patterns of grouped rhythm which is being used throughout the piece, and ‘rhythmic pattern signature’ for the time signature that is being used to refer the signature for the grouped rhythmic cyclic pattern. On the other hand, there are comparative two terms, related with western notational system which are; ‘dynamic cyclic pattern’ for designating the ‘time signature’ that is being used throughout the score in the western notational system and ‘dynamic pattern signature’ for the signature indicating such pattern. So far, these terms have been used without any distinction due to the lack of particular theory that supports the difference in the usage of these terms. I have written the ‘jangdan’ theory for many years, which specifically deals with the ‘synthetic constitution of the rhythmic hierarchy structure’ in relation to the ‘rhythmic cyclic pattern’ that is composed by the former. The key point of the ‘jangdan’ theory is that, there are three major groups consisting the music. The first, and the smallest unit is ‘small rhythm’ that is composed with two to three small notes. This is the lower level rhythm, the ‘basic rhythmic unit’ of music. When two to three of these ‘small rhythm’ are being combined, it makes ‘small rhythmic pattern’, the medium level rhythm. Finally, when two to three of these ‘small rhythmic pattern’ are combined, it produces the ‘grouped rhythmic cyclic pattern’, which is the last and the upper level of the rhythm of the rhythmic hierarchy structure. In this paper, I have tried to specify these rhythmic structure and its synthetic constitution, and its adaptation in scoring the traditional music in the western notational system. In this paper, I have concluded that the rhythmic structure of traditional music and western style music differ in the composition of its rhythmic cyclic pattern. While the traditional music is consisted with three layers of rhythmic structures which are ‘small rhythm’, ‘small rhythmic pattern’ and ‘common rhythmic pattern’, the western style music only have two layers that are ‘small rhythm’ and ‘small rhythmic pattern’. In the western style music, the ‘small rhythmic pattern’ is the key unit that produces the ‘dynamic cyclic pattern’, which in other words, is represented as ‘time signature’ in the score. In this view, we can say the western ‘time signature(dynamic cyclic pattern)’ has half the length of ‘grouped rhythmic cyclic pattern’, that is found in the traditional musical score. I hope this could be used when clarifying the rhythmic pattern and related matters found in the traditional Korean music compared to that of western music. In the actual scores, I would like to suggest two ways in its adaptation; In case of the ‘jangdan’ which is composed with symmetrical structure, two grouped ‘dynamic cyclic pattern(time signature)’ can be put together and regarded as one ‘jangdan’. When the ‘jangdan’ is consisted asymmetrically, it can be interpreted by putting two different time signature together as one passage. When writing down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in the western notational system, I would like to suggest to clarify whether the score is written using the ‘rhythmic cyclic pattern’ or the ‘dynamic cyclic pattern’(western time signature). I also would like to address that these matters need to be dealt more prudently.

      • KCI등재

        기고 : "주기主氣" 개념의 딜레마, 그리고 실학實學과의 불화

        한형조 ( Hyong Jo Han ) 다산학술문화재단 2011 다산학 Vol.- No.18

        시험 삼아 조선 유학의 지형도를 그린 이후, 몇 가지 의문과 비판이 제기되었다. 그 가운데 ``주기主氣``를 둘러싼 문제가 가장 첨예하다. 무엇보다. ``주기``라는 용어가 애매하고 모순되는 의미를 담고 있다는 것. 가령 주기의 대표자로 우리는 율곡을 꼽는데, 놀랍게도 정작 율곡이나 그 계열들은 (가령 17세기 남당 한원진이나, 한말의 간재 전우 자신들을 결코 주기로 정위하지 않았다는 이의제기가 있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나는 개념의 층위를 구분하자고 제안한다. 주기이든 주리이든 공히 리理를 최고의 근원이자 가치로 한다는 점에서, ``리학理學``의 우산umbrella 아래 있다. 실제 이 용어는 오랜 연원을 갖고 있는 주자학의 자기정위이다. 주기-주리는 리학理學 안의 ``하위분지(下位分枝, sub division)``임을 기억하자. 이때 주기는 "리理보다 기氣의 가치를 우선한다"가 아니라 "기의 현실적 작동을 중시하는 사유"의 뜻을 갖는다. 가치와 의미는 그 상위의 리가 쥐고 있다. 그렇다면 주리主理 또한 "리의 현실적 작용을 강조하는 유파"로 번역할 수 있을 것이다. 또 ``주기``는 유학자들에게 경멸의 주홍글씨였지만, 지금은 시대가 달라져서 거기 붙들릴 필요가 없다. 지금의 시대는 신체와 몸의 욕구를 존중하고, 현실의 변화에 따른 실용적 적응을 건전하게 생각하기에, ``주기``의 이름은 훈장이지 낙인이 아니다. 오히려 ``주기``에 대한 과도한 찬양, 넘치는 기대가 문제이다. 주기가 실학적 성향을 갖고 있으며 조선 후기 개혁 마인드의 토대라는 오래된 기대가 있지만 그러나 사태는 정반대이다. 율곡에서 남당으로 이어지는 ``주기`` 라인의 사고는 놀랍게도, 다른 리학의 갈래보다. 더 ``보수적`` 성향을 노정했다. 그들은 경전의 지식을 고수하고 재래의 예禮의 이상을 현세에 구현하려는 종교적 열망과 책임감에 불탔던 사람들이다. 그들은 구성원들로 하여금 자신의 욕구와 개성을 억압하고, 주어진 사회 계급과 신분 질서를 존중하고, 가족이나 직업에서 주어진 역할 ``의무``에 헌신하라고 독려했다. 조선 유학에 있어, 주기는 이른바 실학의 기대와 멀리 있고, 실학은 주리의 계열에서 발전했다. My paper mainly explains why and how I use the 主理-主氣framework in this philosophical map of Joseon Confucianism. The terms 主理-主氣are not monopolized by Prof. Takahashi; I find them to be only two trends among six types, which I have analysed "philosophically," not "genealogically." I would like to clarify two false impressions which still prevail. Ironically, 主氣 scholars didn`t identify themselves as 主氣, because the label means "to respect bodily desire first"-condemned in the past, however admirable in modern times. Again, it is an irony that today, we admire 主氣scholars as "realists," and hence we are ready to link the school with "Practical Learning" in late Joseon. But 主氣, especially in late Joseon, was not "Practical" whatsoever; rather it was Anti-Practical. The core issue is that this term is inherently confusing. Is there a way to resolve this issue? It is easy to fall into the fallacy of interpreting 主氣 as "the tendency to emphasize 氣." This sounds like an anti-Confucian claim because Confucian scholars hold fast to the primary principle of "理is put before 氣." If 主理 is translated as "the tendency to empha-size 理," then every single Confucian scholar of Joseon would be a 主理 scholar. This perplexity has led to the following statements: I would like to suggest that we distinguish the different levels of the concept of 主氣 in order to solve this puzzle. 主氣 is under the umbrella of "理學" in that 理 is the highest basis. Let us not forget that 主氣 and 主理 are sub-strata of 理學. In this sense, 主氣 means to "the thinking that emphasizes the practical movement of 氣" under the sub-strata of 理, and not "the tendency to emphasize 氣 more than 理." If we distinguish the different levels thus, confusion outlined above should be resolved. And 主氣 is not a demeaning term, and it should not longer be used as such. Hasn`t the world changed to the point where the body and its desires are respected nowadays? Furthermore, practically responding to changes in everyday life makes 主氣more appropriate for today`s living. Rather, excessive praise and great expectation of 主氣 is the issue. People have assumed that 主氣 is closely related to Practical Learning(實學) and is the foundation for the reform-minded in late Joseon. But the actuality was far from it. 主氣 train of thought is surprisingly more "conservative," especially in the case of the Noron Faction`s orthodox 主氣 in late Joseon. The Noron Faction was not interested in building industries, improving systems, or learning new ideas and things from foreign civilizations. Why? Because they clung tenaciously to the Classics and were fired up with religious fervor to realize the propriety outlined in the Classics in this world. They insisted that their members suppress any individual desires, respect social status and their respectively order in the scheme of things, and be self-sacrificing in the "responsibility" assigned to them in the family or at work. In conclusion, 主氣 is the furthest from so-called Practical Learning(實學), which, surprisingly enough, developed from the 主理 tradition. There must have been a reason for this paradox. How should we resolve this paradox?

      • KCI등재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이 주기성 사지운동증에 미치는 영향

        서천석,윤탁,김의중,정도언,Seo, Cheon-Seok,Youn, Tak,Kim, Eui-Joong,Jeong, Do-Un 대한수면의학회 2000 수면·정신생리 Vol.7 No.1

        배 경: 주기성 사지운동증은 비교적 높은 유병률을 보이는 질환임에도 불구하고 그 병태생리에 대해선 알려진 바가 적다. 또한 고령층에서의 유병률이 높기 때문에 폐쇄성 수면무 호흡증과 동반되는 경우가 많지만 두 질환의 관련성에 대한 기존의 연구에서는 일관된 결론을 찾기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연구보다 더 큰 규모의 대상군에서 주기성 사지운동증의 특징과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이 주기성 사지운동증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방 법: 수면다원검사에 의해 주기성 사지운동증으로 진단 된 320명(남자 192명, 여자 128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대상군의 평균 연령은 53.1세(SD=15.1)였다. 이중 주기성 서천석 41 등 사지운동증만을 가진 대상군이 150명, 주기성 사지운동증과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을 함께 가진 대상군이 149명이었으며 기면병을 동반한 대상군이 21명이었다. 연령, 성별 그리고 병발 질환이 주기성 사지운동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다변량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또한 대상군을 폐쇄성 수면무호흡증 병발 여부에 따라 두 군으로 나누어 사지운동 지표와 수면 지표를 비교하였다. 결 과: 대상군의 시간당 주기성 사지운동의 빈도(periodic limb movement index, 이하 PLMI)는 평균 25.2(SD=24.8)회이고 이 중 각성을 동반한 운동(periodic limb movement arousal index, 이하 PLMAI)은 시간당 3.4 (SD=6.3)회이었다. PLMI와 PLMAI는 모두 연령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남성에서 여성에 비해 PLMI가 더 높았는데(p<0.01) 이는 남녀간의 연령 분포의 차이에 기인하는 것은 아니었다. PLMI를 종속변인으로, 성별, 연령,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의 병발 여부를 독립변인으로 하여 다변량분석을 시행한 결과 성별(t=4.35, p<0.001)과 연령(t=-3.66, p<0.001),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의 병발(t=-2.20, p<0.05)이 PLMI에 유의한 기여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기성 사지운동증만 있는 대상군(n=150), 주기성 사지운동증과 수면무호흡증이 병발된 대상군(n=149)으로 나누어 PLMI, PLMAI를 비교 한 결과 두 집단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두 집단간에 PLMI와 상관성을 보이는 수면 지표에는 차이가 있었다. PLMI가 주기성 사지운동증만 있는 대상군에서는 서파 수면 및 렘 수면의 비율과 각각 음의 상관성이 있었지만 주기성 사지운동증과 수면무호흡증이 병발한 대상군에서는 수면효율과 음의 상관성이 있었다. 결 론: 본 연구를 통해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이 주기성 사지운동증의 시간당 빈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영향이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으로 인해 유발된 자율신경 각성에 의해 매개되었을 것으로 추론한다. Objectives: Periodic limb movements in sleep(PLMS) is a moderately prevalent disorder, of which pathophysiology remains largely unknown. PLMS has been reported to be common in patients with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OSAS), but reports on their relationship have been inconsistent in previous studies. Inconsistency of results may be attributable to insufficient number of the study subjects. We attempted to explore the influence of OSAS on PLMS in a large number of subjects. Methods: Three hundred and twenty subjects(M : F=192:128) with PLMS, as identified by the nocturnal polysomnography, were studied. Sample mean age was 53.1(SD=15.1) years and their mean periodic limb movement index(PLMI) is 25.2/hr (SD=24.8). PLMS subjec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based 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OSAS. Periodic limb movement indices and sleep parameters between two groups were analyz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OSAS on PLMS. Results: Each of PLMI and PLMI with arousal(PLMAI) correlated positively with age. PLMI of men was larger than that of women (p<0.01). The presence of comorbid OSAS independently had influence on PLMI(t=-2.20, p<0.05), but not PLMAI.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in their PLMI, PLMAI and sleep parameters. However, the two groups differed in PLMI-correlated sleep parameters. In PLMS subjects with comorbid OSAS, PLMI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each of slow wave sleep time and REM sleep time. In subjects without comorbid OSAS, PLMI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sleep efficiency. Conclusion: PLMS patients with OSAS turned out to have increased PLMI than those without OSAS We suggest that OSAS patients may have subtle autonomic arousals and these arousals could, in part, express themselves as PLM.

      • KCI등재후보

        韓國儒學史 분류방법으로서의 主理·主氣 개념에 관한 비판적 연구 : 李震相學派와 田愚學派의 論爭에 관련하여

        이종우 동양철학연구회 2004 東洋哲學硏究 Vol.36 No.-

        한국유학사의 분류방법으로서 주로 主理派, 主氣派 개념을 쓰고 있다. 이러한 분류방법은 다까하시 도루가 처음 썼다. 하지만 이 개념은 객관적이지 못하고 편파적이다. 왜냐하면 당시에 主理=正學, 主氣=異端으로 사용했기 때문이다. 다까하시는 이황=주리파, 이이=주기파라고 분류하였는데 그것은 곧 이황=정학, 이이=이단이 될 수밖에 없다. 이 때문에 객관적이지 못한 것이다. 본래 주리, 주기개념은 이황이 四端=主理, 七情=主氣라고 정의하면서 처음으로 등장하였다. 영남유림 柳??은 이이의 理氣설을 主氣論이며 異端이라고 비판하면서 개념의 변화가 일어났다. 이러한 개념의 변화는 근현대에 이진상학파와 전우학파간의 主理, 主氣논쟁에서 더욱더 잘 드러난다. 이진상학파는 이황의 계승자라고 자처하면서 자신의 心卽理說을 主理, 正學이라 칭하였으나 이이학파의 心卽氣說을 主氣, 異端이라고 비판하였다. 반면에 이이의 계승자 田愚는 心卽氣說을 主理, 正學이라 하고 이진상의 心卽理說을 主氣, 異端이라고 반박하였다. 그후 대를 이어 양학파는 논쟁을 계속하며 서로를 비판하였다. 물론 이황의 四端=主理, 七情=主氣의 용어가 완전히 사라진 것은 아니다. 당시 다까하시는 主理=正學, 主氣=異端이라고 사용하고 있는 것을 알고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李滉=主理, 李珥=主氣라고 한 것은 이황을 지나치게 두둔하는 것이며 객관성을 상실한 편파적인 견해이다. 그의 「李朝儒學史に於ける主理派主氣派の發達」은 1928년에 발표한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객관성을 잃은 그의 분류방법을 국내학자들이 아직도 쓰고 있다는 것은 문제이다. History of Korean Confucianism have been writing the school of Churi(主理) and the school of Chuki(主氣). It was begun by Dakahasi Doraw. But it was not the object and the one-side. Because it wrote Churi(主理) is the orthodox and Chuki(主氣) is the heterodoxy. Dakahasi Doraw wrote Yi Whang is Churi(主理) and Yi Yi is Chuki(主氣). That is to say, which means that Yi Hwang is the orthodox and Yi Yi is the heterodoxy. Originally, Yi Whang wrote Four clue is Churi(主理)and Seven feeling is Chuki(主氣). he school of Yi Whang of Yoo Cheek critik that Yi Yi is Chuki(主氣) and it is the heterodoxy. Yi Chin Sang claimed the Theary that Heart is Principles is - Churi(主理) - the orthodox and the Theary that Heart is vigor - Chuki(主氣) - the heterodoxy. Yi Chin Sang is the school of Yi Whang. But Cheon Woo claimed the Theary that Heart is Vigor is - Churi(主理) - the orthodox and the Theary that Heart is Principles is - Chuki(主氣) - the heterodoxy. By this, another day continued on the controversy between the school of Yi Chin Sang and the school of Cheon Woo. Dakahasi Doraw has been knowing Churi(主理) is the orthodox and Chuki(主氣) is the heterodoxy. Because it was not the object and the one-side. He wrote is the heterodoxy. Because it was not the object and the one-side. He wrote Churi(主理) and Yi Yi is Chuki(主氣). we must repair.

      • 암말의 난소주기 유형 및 계절별 발정양상 분석

        손준규,신상민,박설화,김남영,양병철,우제훈,신문철,유지현 한국동물생명공학회(구 한국동물번식학회) 2018 발생공학 국제심포지엄 및 학술대회 Vol.2018 No.06

        말 산업 육성 정책의 성장 척도를 가늠하는 말 사육두수는 2015년 대비 786두(3.0%) 증가한 27,116두로 2015년에 이어 지속적인 성장 추세에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 중 승용 10,766두(39.7%), 경주용 7,732두(28.5%), 번식용 4,494두(16.6%) 등으로 승용마의 사육두수가 점차 증가 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말은 계절번식을 하는 동물로써 말 의 비발정주기는 주로 겨울철로 알려져 있으나(Daels PF and Hughes JP, 1993; England GCW, 1996) 아직까지 말의 발정주기 분석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고, 암말 의 번식양상은 다른 종(species)들과 차이가 있으며 가장 낮은 번식 효율성을 갖고 있다 (Ginther, 1992). 암말의 발정주기는 개체마다 큰 차이를 보이고 있으며, 아직까지 정확한 원인 분석은 이루어지지 않은 실정이다. 본 연구의 공시축은 25두이며, 자궁경 검사는 자 연종부 한 말을 대상으로 질경 기구를 이용하여 임신여부를 확인하였다. 정상적인 난소 주기와 비정상적인 난소주기의 분석을 위해 난소주기형을 4가지 유형으로 분류 정의하였 으며, 난소주기가 진행이 되면 배란된 날에 난소주기가 재개된 것으로 간주하였다. 정상 적인 발정주기를 보이는 개체는 약 21일 주기로 호르몬의 변화를 보였으며, 비정상적인 발정주기를 보이는 개체에서는 40일 정도까지 발정이 지연되는 지연발정, 조기발정, 무발 정 등의 양상을 보였다. 총 21두의 공시마 중 13두(61.9%)만이 정상적인 난소주기를 보 였으며, 공시마 8두(38.1%)는 난소주기가 지연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난소주기 지 연을 보인 공시마 중 2두(9.5%)는 황체기가 계속 이어지는 난소주기 지연 Ⅰ형, 1두(4.8%) 는 배란이 지연되는 난소주기 재개지연 Ⅱ형, 5두(23.8%)는 난소주기가 길어지는 난소주 기의 재개지연 Ⅲ형이었다. 암말의 배란을 확인하기 위한 초음파검사 결과 우세난포 (40~50mm 이상) 관찰 후 6시간 이내에 11두에서 배란이 일어났으며 9시간 이내에 2두, 24시간 까지는 총 21두(100%)에서 배란을 확인하였다. 정상적으로 계절번식을 하는 개체 에서는 약 150일 가량 발정이 멈추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10월에 3두(16.7%), 11월 에 5두(27.8%), 12월에 5두(27.8%)가 발정이 정지되었으며, 나머지 5두(27.8%)에서는 겨 울철에도 발정이 지속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발정이 정지된 개체는 이듬해 3월까 지 발정이 정지되어 있었으며, 비번식 계절에도 27.8%는 발정이 지속되었다. 18두 중 4 월에 11두(61.1%), 5월에 2두(11.1%)의 발정이 재귀되었다.

      • 4차 산업혁명시대에서 한국교회의 ‘성장-쇠퇴 패턴’ 가능성에 대한 실증연구 - 교회수명주기를 중심으로

        박관희 한국실천신학회 2018 한국실천신학회 정기학술세미나 Vol.2018 No.02

        본 논문은 통과의례로서 교회수명주기를 ‘교회의 성장과 쇠퇴 패턴으로 이해하고, 이것을 실증분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분석결과, 교회수명주기는 4가지 관점에서 2 단계 형태의 일정한 곡선(curve)으로 존재하였다. 첫째, 한국교회는 교회수명주기가 평 균 20년이었다. 그리고 제2 수명주기는 개척한지 또는 부임한지 ‘5년’ 단위로 교회가 혁신하거나 변화를 줄 때 일어났다. 둘째, 한국교회는 50명 이하(52.8%)와 51-100명 (18.0%)으로 이루어진 교회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교회자립은 51-100명 사 이의 교회 또는 설립연수가 대략 11-20년 된 교회이었다. 셋째, 한국교회의 자립현황 은 미자립교회의 경우 50명 이하(또는 설립연수 10년 이하)을, 잠재적 미자립교회는 51-100명(또는 설립연수 11-20년)을, 안정적 자립교회는 101-300명 이상(또는 설립연 수 20-30년)이었다. 넷째, 한국교회의 제2 교회수명주기 성장 패턴은 현상 유지하다 쇠퇴하는 패턴과, 단기간 급성장하는 패턴 및 장기간에 걸쳐 서서히 성장하는 패턴의 3가지 특징을 각각 보였다. 구체적으로 현상 유지하다 쇠퇴하는 교회는 제2 교회수명 주기에서 5년 마다 오는 첫 번째와 두 번째 수명주기가 일어나지 못한다. 또한, 단기 간 급성장하는 교회는 ‘51-100명’에서 첫 번째 5년의 시기 마다 일반적으로 제2 교회 수명주기가 일어난다. 끝으로, 장기간에 걸쳐 교회가 성장 또는 유지하는 교회는 ‘50명 이하’에서 두 번째 5년의 시기에 제2 교회수명주기가 일어나는 교회이거나, ‘51-100명’ 에서 두 번째 5년의 시기에 제2 교회수명주기가 일어나는 교회, 그리고 ‘100-300명’에 서 두 번째 5년의 시기 마다 제2 교회수명주기가 일어나는 교회를 말한다.

      • KCI등재

        육상선수의 경기력 발달주기와 단계별 심리경험

        김덕현 ( Deok-hyeon Kim ),윤영길 ( Young-kil Yun )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 2023 체육과학연구 Vol.34 No.2

        [목적] 본 연구는 육상선수의 경기기록을 토대로 경기력발달단계를 구획하고 발달단계의 연속체인 경기력발달주기를 도출한 후 경기력발달주기의 심리경험을 추출할 목적으로 진행하였다. [방법] 본 연구에서는 은퇴 육상선수 56명이 경기기록을 제공하였으며, 10명이 심층면담에 참여하였다. 비율기록에 장단기 이동평균과 회귀식기울기를 활용해 경기력발달단계를 구획하고, 연속체인 경기력발달주기를 도출하였다. 경기력 발달주기 심리경험 추출을 위하여 심층면담 후 주제분석을 진행하였다. [결과] 첫째, 육상선수의 경기력발달단계는 비율기록에 장단기 이동평균을 산출하고, 장기이동평균이 산출되지 않는 초기 20% 출전비율의 회귀식기울기 평균차를 토대로 입문기, 상승기, 절정기, 쇠퇴기로 구획하였다. 둘째, 경기력발달주기는 경기력발달단계의 연속체로 입문기는 0<비율기록≤7로, 경기기록이 급상승하는 시기이다. 상승기는 7<비율기록≤60으로, 선수가 성장하는 선순환 시기이다. 절정기는 60<비율기록≤74로, 절정의 기록이 유지되는 시기이다. 쇠퇴기는 74<비율기록≤100으로, 경기기록이 하락하는 시기이다. 셋째, 경기력발달주기에 걸쳐 육상선수의 신체지능은 타고난 신체적 우월성을 토대로 기술력이 상승하다 정점에 이루러 유지되다 하락 추세에 진입한다. 경기지능은 경기운영능력과 종목지식이 미숙한 상태에서 점차 성숙하면서 자기화를 지향한다. 심리지능은 초기 심리적 위축을 극복해 자신감을 형성하며 정점에서 심리적 부담을 경험하다 이내 자신감이 하락한다. 환경 맥락에서 경기기록은 초기 급상승하다 완만한 상승을 이어가며 정점에 이르러 유지되다 하락 추세에 진입한다. [결론] 육상선수의 경기력발달주기는 입문기, 상승기, 절정기, 쇠퇴기의 연속체로 구현되고, 경기력발달주기 심리경험은 신체지능, 경기지능, 심리지능, 환경맥락이 주기를 형성한다. 경기력발달주기에 대한 육상계의 관심을 기대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ction the stages of performance development based on the track and field athletes' performance records, derive the performance development span, which was a continuum of the development stages, and extract the psychological experience of the performance development span. METHODS In this study, 56 retired track and field athletes were provided with competition records, and 10 athletes participated in in-depth interviews. With the stage of performance development partitioned using long and short-term moving averages and regression slope in PRR, a continuous of performance development span was derived. To extract psychological experiences in the performance development span, a subject analysis was conducted after an in-depth interview. RESULTS First, the track and field athletes' performance development stage calculated short and long-term moving averages in the PRR. Based on the average difference in the regression slope of the initial 20% CPR in which the long-term moving average was not calculated, it was divided into beginning, rising, peak, and decline periods. Second, the performance development span was a continuum of the stage was of performance development, and the beginning period was 0 < PRR ≤ 7, it was a time when the competition record rises sharply. The rising period was 7 < PRR ≤ 60, which was a virtuous cycle time of growth athlete. The peak period was 60 < PRR ≤ 74, which was a time when the peak record was maintained. The decline period was 74 < PRR ≤ 100, which was a time when the competition record was downward. Third, throughout the performance development span physical intelligence of track and field athletes was based on their natural physical superiority, the technical skills rises and remains at its peak and then enters a downward trend. Competitional Intelligence aims to become personalization as it matures gradually while its competition management capability and game knowledge are immature. Psychological intelligence overcomes the initial psychological atrophy to form confidence, and after experiencing psychological burden at the peak, confidence decreases. In the environmental context, the competition record rises in the early stages, continues to rise, peaks, and enters a downward trend. CONCLUSIONS Track and field athletes' performance development span was implemented as a continuum of beginning, rising, peak, and decline periods, and the psychological experience of the performance development span formed a span of physical intelligence, competitional intelligence, psychological intelligence, and environmental context.

      • 비소세포성 폐암 환자의 방사선 치료 시 제한 호흡 주기의 유용성 평가

        박소연,안종호,서정민,김영일,김진만,최병기,표홍렬,송기원,Park, So-Yeon,Ahn, Jong-Ho,Suh, Jung-Min,Kim, Yung-Il,Kim, Jin-Man,Choi, Byung-Ki,Pyo, Hong-Ryul,Song, Ki-Won 대한방사선치료학회 2012 대한방사선치료학회지 Vol.24 No.2

        Purpose: It is essential to minimize the movement of tumor due to respiratory movement at the time of respiration controlled radiotherapy of non-small cell lung cancer patient. Accordingly, this Study aims to evaluate the usefulness of restricted respiratory period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treatment plans that apply free and restricted respiration period respectively. Materials and Methods: After having conducted training on 9 non-small cell lung cancer patients (tumor n=10) from April to December 2011 by using 'signal monitored-breathing (guided- breathing)' method for the 'free respiratory period' measured on the basis of the regular respiratory period of the patents and 'restricted respiratory period' that was intentionally reduced, total of 10 CT images for each of the respiration phases were acquired by carrying out 4D CT for treatment planning purpose by using RPM and 4-dimensional computed tomography simulator. Visual gross tumor volume (GTV) and internal target volume (ITV) that each of the observer 1 and observer 2 has set were measured and compared on the CT image of each respiratory interval. Moreover, the amplitude of movement of tumor was measured by measuring the center of mass (COM) at the phase of 0% which is the end-inspiration (EI) and at the phase of 50% which is the end-exhalation (EE). In addition, both observers established treatment plan that applied the 2 respiratory periods, and mean dose to normal lung (MDTNL) was compared and analyzed through dose-volume histogram (DVH). Moreover, normal tissue complication probability (NTCP) of the normal lung volume was compared by using dose-volume histogram analysis program (DVH analyzer v.1) and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in order to carry out quantitative evaluation of the measured data. Results: As the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treatment plan that applied the 'restricted respiratory period' of the observer 1 and observer 2, there was reduction rate of 38.75% in the 3-dimensional direction movement of the tumor in comparison to the 'free respiratory period' in the case of the observer 1, while there reduction rate was 41.10% in the case of the observer 2. The results of measurement and comparison of the volumes, GTV and ITV, there was reduction rate of $14.96{\pm}9.44%$ for observer 1 and $19.86{\pm}10.62%$ for observer 2 in the case of GTV, while there was reduction rate of $8.91{\pm}5.91%$ for observer 1 and $15.52{\pm}9.01%$ for observer 2 in the case of ITV. The results of analysis and comparison of MDTNL and NTCP illustrated the reduction rate of MDTNL $3.98{\pm}5.62%$ for observer 1 and $7.62{\pm}10.29%$ for observer 2 in the case of MDTNL, while there was reduction rate of $21.70{\pm}28.27%$ for observer 1 and $37.83{\pm}49.93%$ for observer 2 in the case of NTCP. In addition, the results of analysis of correlation between the resultant values of the 2 observers, while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observers for the 'free respiratory period', there was no significantly different reduction rates between the observers for 'restricted respiratory period. Conclusion: It was possible to verify the usefulness and appropriateness of 'restricted respiratory period' at the time of respiration controlled radiotherapy on non-small cell lung cancer patient as the treatment plan that applied 'restricted respiratory period' illustrated relative reduction in the evaluation factors in comparison to the 'free respiratory period. 목 적: 비소세포성 폐암 환자의 호흡 조절 방사선 치료 시 호흡에 의한 종양의 움직임을 최소화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자유호흡 주기와 제한호흡 주기를 각각 적용한 치료 계획을 비교, 분석하여 제한 호흡 주기의 유용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11년 4월부터 12월까지 비소세포성 폐암 환자 9명(tumor n=10)을 대상으로 환자에게 평소의 호흡주기를 바탕으로 측정한 '자유호흡 주기'와 의도적으로 줄인 '제한호흡 주기'를 '신호모니터-호흡(guided-breathing)'법을 사용하여 각각 훈련을 실시한 후 RPM과 4차원 전산화 단층촬영 모의치료기를 이용해 치료계획용 4D CT를 실시하여 총 10개의 호흡 위상(respiration phase)별 CT 영상을 획득하였다. 각 호흡 주기의 CT 영상에 관측자 두 명이 각각 설정한 육안적 종양체적(Gross Tumor Volume, GTV)과 내부표적체적(Internal Target Volume, ITV)부피를 측정, 비교하였고 들숨(end-inspiration, EI)인 0%와 날숨(end-exhalation, EE)인 50% 위상에서의 center of mass (COM)를 측정하여 종양 움직임의 진폭을 측정했다. 또한 관측자 두명이 각각 두 호흡 주기를 적용한 치료계획을 수립하였고 정상 폐 평균선량(mean dose to normal lung, MDTNL)과 정상 폐 용적의 정상조직합병증확률(normal tissue complication probability, NTCP)을 비교, 분석하였으며 측정된 자료의 정량적 평가를 위해 통계 분석을 실시했다. 결 과: 관측자 두 명의 '제한호흡 주기'를 적용한 치료 계획을 분석한 결과 '자유호흡 주기'에 비해 종양의 3D 방향 움직임이 관측자 1의 경우 38.75%, 관측자 2의 경우 41.10%의 감소율을 보였고 GTV와 ITV의 부피를 측정, 비교한 결과 GTV의 부피는 관측자 1의 경우 $14.96{\pm}9.44%$, 관측자 2의 경우 $19.86{\pm}10.62%$, ITV의 부피는 관측자 1의 경우 $8.91{\pm}5.91%$, 관측자 2의 경우 $15.52{\pm}9.01%$의 감소율을 보였으며 MDTNL과 NTCP를 분석, 비교한 결과 MDTNL은 관측자 1의 경우 $3.98{\pm}5.62%$, 관측자 2의 경우 $7.62{\pm}10.29%$의 감소율을, NTCP의 경우 관측자 1의 결과 $21.70{\pm}28.27%$, 관측자 2의 결과 $37.83{\pm}49.93%$의 감소율을 나타냈다. 또한 두 관측자의 결과 값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자유호흡 주기'에서는 관측자간의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데 비해 '제한호흡 주기'에서는 관측자간의 차이가 없는 감소율을 보였다. 결 론: '자유호흡 주기'에 비해 '제한호흡 주기'를 적용한 치료 계획에서 평가인자들의 상대적인 감소를 나타내어 비소세포성 폐암 환자의 호흡 조절 방사선 치료 시 '제한호흡 주기'의 유용성 및 타당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