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선통신사가 한·일출판문화 발전에 미친 영향

        이창경 한국출판학회 2012 한국출판학연구 Vol.38 No.2

        조선후기 일본에 파견한 조선통신사의 주요 인물은 당대 조선의 지식층이었고 통신사를 맞은 일본인 역시 일본의 지식층이었다. 17,18세기 조선통신사를 중심으로 그들의 출판교류활동을 살펴 한일 간 출판 문화발전에 끼친 영향관계를 파악하는 것이 본고의 목적이다. 임진왜란 후 일본에 파견되었던 통신사절단의 파견 회수는 한말까지 12회였다. 조선통신사 사절단은 스스로가 출판교류의 매개자라는 생각을 갖지 않았을 수도 있다. 그러나 그들을 통하여 일본에 전파된 국내 도서, 반대로 조선에 유입된 일본 도서는 상호 영향을 미치게 된다. 뿐만 아니라, 그들이 파악한 타국의 문물, 전파한 자국의 문화현상 등은 출판 소재로 작용하여 당시의 출판을 보다 풍부하게하는 요소가 된다. 통신사들은 상업화되고 있는 일본의 출판 상황에 놀라움을 금치 못하지만 출판을 주도하고 있는 일본 유학계의 변화를 읽지 못한 점도 있었다. 통신사가 직접 가지고 간 책의 종수는 그리 많지 않지만, 교류의 일차적 통로가 된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반대로 일본에서 들여 온 책은 유학서 중심이기는 했지만 당대 유학자들로 하여금 경전 해석의 새로운 방법론이 존재함을 일깨웠다. 조선통신사 일행과 일본인 사이의 필담창화는 상업출판의 발전과 맞물려 많은 양이 간행된다. 후기에 오면서 필담의 참여자나 주제가 확대되는 경향을 보이면서 의학, 논쟁과 관련된 부분도 필담창화집에 수록된다. 이와 함께 조선에서는 견문록이 출간되는데 이는 개방적 세계관을 소유하고 있었던 일부 실학자들에게 학문적 호기심의 대상이 되었다. 통신사절단이 가져온 정보가 실학자들의 일본관을 재정립하도록 했을 뿐 아니라, 실학사상 자체의 형성에도 영향을 미치게 된다. 또한 조선통신사의 교류는 조선과 일본에 한정되지 않고 청나라를 포함한 세 나라의 문화네트워크로 확대됨을 볼 수 있다. The prominent figures of Choseon Tongsinsa who were dispatched to Japan were mostly from the intellectual class in the late of Choseon Dinasty. People who took charge of Tongsinsa in Japan also part of the intellectual class. This study focuses on the impact of relationships on the publishing culture development of Korean and Japanese, especially the exchange of Choseon Tongsinsa in the 17th and 18th century. After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the Tongsinsa mission was dispatched twelve times from Japan till the last Korean emperor. Tongsinsa mission would not have thought that they could have acted as mediators between publishing exchanges. Not only Korean books were spread throughout Japan, but also Japanese books were spread throughout Korea through Tongsinsa mission as well. Apart from that, they had found that the products of civilization and the phenomenon from their mother cultures were then used as published material that ended up being distributed everywhere. Choseon Tongsinsa was very surprised by the situation of publication that is gradually commercialized, but they hadn't noticed the change of Confucianism of Japan that takes the lead in the publication. There were not many different types of books that Tongsinsa took to Japan but it is taken note of that was the first route for the exchange. As the same way, the books from Japan mostly just centered on Confucianism. However, Confucians of the day awoke to the existence of the new methodology for understanding of scripture. The Pildamchanghwa between Choseon Tongsinsa and Japanese were printed en masse and in concert with the development of commercial publishing. Latter, it tended to expand the participants or to the subject of Pildam. Then the argument that is related to medicine was also embodied in Pildamchanghwajip. With these, records were published in Choseon that became an object of attention to the whole world. The information from Tongsinsa not only helps scholars create a practical view of Japan but also started the formation of pragmatism itself. Furthermore, the exchange of Choseon Tonsinsa is not limited to Choseon and Japan but it is expanded to the Qing Dynasty that those three countries made up the culture network.

      • KCI등재

        조선(朝鮮) 문사(文士)의 시문(詩文)을 통해 본 부사산(富士山) 인식(認識)의 변모(變貌) 양상(樣相) -4차~11차까지의 통신사행(通信使行)을 중심으로-

        임채명 ( Chae Myung Lim ) 동방한문학회 2008 東方漢文學 Vol.0 No.36

        조선의 문사는 임난 후 통신사행으로 왕래하면서 본 富士山에 남다른 관심을 보였다. 사행 자체가 조선의 문사 자신이 전해들은 부사산 정보의 진위 여부를 직접 확인해보는 중요한 기회였기 때문이다. 통신사행의 사행길이 거의 비슷하여 掛川 주변에서 먼발치로 부사산을 대면하고는 경탄해 마지않았다. 그러한 상황이 오랜 기간 반복되자, 조선의 문사는 부사산을 통해 일본을 이해하는 인식 체계를 갖게 되었다. 다시 말하면 일본을 이해하는 중심에 부사산이 놓여 있었던 것이다. 조선 문사에게 부사산은 크게 仙界的 面貌와 頂上의 白雪이라는 양면에서 인식되었는데, 사행이 누적됨에 따라 그 인식의 양상도 변모하였다. 앞의 것이 盲信에서 懷疑로, 뒤의 것이 疑訝에서 確信으로 변해갔으니 상반되게 두 가지는 拮抗 관계에 있었다. 부사산의 선계적 면모를 형성하는 데에는 扶桑이라는 지역적 특색이 유효하게 작용하였다. 가려고 하여도 갈 수 없다는 점에서 부상은 선계와 다를 바 없었기 때문에 맹신으로 쉬이 경도되었다. 그러한 맹신이 꽤 오랜 동안 이어지다가 幕府에서 통신사행을 정치적으로 악용하려 하였을 때에 잠시 부정되기도 하였다. 이후, 일본으로의 통신사행이 잇따르자 부사산을 선계로 맹신하던 인식이 점차 회의로 변해가게 되었다. 갈 수 없었기에 전해들은 것만을 믿어 이루어진 부사산의 선계적 면모에 대한 맹신은 조선 문사가 통신사행으로 빈번하게 방문하여 직접 확인을 거치게 됨에 따라 회의될 수밖에 없었다. 이러한 통신사행의 내적 요인 외에도 당대를 주도했던 실학적 분위기가 조선 문사로 하여금 부사산의 선계적 면모에 대한 실체적 진실을 외면하지 못하게 하였다. 흰빛으로 선계인 백옥경을 연상시키면서도 그것과 분명한 선을 그은 頂上의 白雪을, 손과 눈으로 확인할 길이 없었던 조선의 문사는 한편으로는 용인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의아해 하였다. 부사산의 눈을 표면적으로 용인하면서도 이면적으로 의아해 하는 기조는 4차~11차 통신사행까지 유지되는데, 9차 통신사행의 申維翰에 이르러 그 전환점을 맞게 된다. 높은 곳이면 기온이 낮아져 눈이 쌓이는 것이 당연하다는 상식에 기초한 판단이 등장하게 된 것이다. 상식적 판단에 의해 부사산 정상의 눈이 조선 문사에게 확신되기는 처음이었다. 그의 뒤를 이어 부사산의 눈을 확신하는 조선 문사의 수가 늘어나게 되었다. 10차와 11차 통신사행에 이르러서도 부사산 정상의 눈이 실증되기는 하였으나 의아함을 완전히 물리치지 못하였다. 의혹의 해소를 저해한 것은 아마도 부사산이 남쪽에 위치하여 무더위에 눈이 남아 있을 수 없다는 단순한 상식 때문이었던 듯하다. 부사산의 눈을 의아해 한 조선의 문사가 높은 곳에 눈이 쌓인다는 상식을 모를 리 없었을 진대, 따뜻한 남쪽 지방에서는 눈이 모두 녹는다는 상식에만 집착하여 산이 높으면 남쪽이라도 무더위를 견뎌낸 눈이 있을 수 있다는 생각을 갖지 못했던 것이다. 조선의 문사가 부사산의 선계적 면모에 대하여 맹신에서 회의로 옮겨 간 것과 정상의 백설을 두고 의아에서 확신으로 변해간 것은 일본을 제대로 정확하게 인식하려는 태도가 성숙되어 갔음을, 부사산을 통해 보여주는 것이라 여겨진다. After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Chosun`s literary men frequently visited Japan as an envoy and showed much interested in Mt. Fuji. It was a chance for them to confirm the informations about Mt. Fuji. They took the same route as an envoy and they wonder at the beauty of Mt. Fuji at kakegawa. This kind of situation was repeated for a while, so they tried to understand Japan through Mt. Fuji. In the center of understanding Japan, there was cognition of Mt. Fuji. Mt. Fuji had two cognitive aspect for Chosun`s literary men; one was mysterious aspect and the other was white snow on top of it. As time went by, their cognitive aspect of Mt. Fuji was changed a lot. They had a blind faith on mysterious aspect of Mt. Fuji but later they doubt it. On the contrary, they distrust the white snow on top of Mt. Fuji but later they believed firmly about it. These two aspect was in contention. The mysterious aspect of Mt. Fuji was formed mainly by its regional character. Busang was difficult to access so it was easily regarded as mysterious land. This kind of blind faith on Mt. Fuji was prevalent for a long time but it was denied for a short time when Makbu politically took advantage of envoy. Thanks to the frequent dispatch of envoy, their blind faith on mysterious aspect of Mt. Fuji changed into doubt. In addition, prevailing practical science made them doubt the mysterious aspect of Mt. Fuji. The white snow on top of Mt. Fuji was reminded of mysterious land but it was difficult to confirm the snow so they approve it one way and doubt it at the same time. These basis preserved from 4th to 11th dispatch of envoy but it converted by the time when Shin yoo-han dispatched as the 9th envoy. People regarded it as a common sense that the snow piled up on top of the mountain because of the low temperature. It was the first time for Chosun`s literary men to assure the snow on top of Mt. Fuji. Following him, the number of assuring literary men was increased. 10th and 11th dispatch of envoy proved the snow on top of Mt. Fuji but dubiousness was still remained. Because they thought Mt. Fuji was located in South so snow would melt away in hot weather. They didn`t know that the snow on top of high mountain would not melt away even though they were in hot weather. Through Mt. Fuji, this study can inferred that Chosun`s literary men`s cognitive attitude about Japan was matured from these two facts; their blind faith on mysterious aspect of Mt. Fuji changed into doubt however their distrust of white snow on top of Mt. Fuji changed into firm belief.

      • 在日コリアン団体における朝鮮通信使 再現行列の意味考察 - 京都民団を事例に-

        魯ゼウォン 조선통신사학회 2022 조선통신사연구 Vol.34 No.-

        본 연구는 역사문화유산인 조선통신사 행렬 재현의 의미를 재일 동포단체를 사례로 검토한 사회학적 연구이다. 2000년대 이후 재 일동포단체인 민단(民團) 주도로 조선통신사 행렬을 재현하는 행사 가 시작되었다. 2022년 현재에는 대도시를 중심으로 민단이 독자 적으로 조선통신사 행렬 재현 행사를 실시하고 있다. 본 연구는 2000년대 이후 민단 주도의 조선통신사 행렬 재현 행사가 확대되 어가는 현상과 그 의미를 교토[京都] 민단을 사례로 분석하였다. 1947년에 창립한 교토 민단은 2022년 현재 75년의 역사를 갖 고 있다. 2000년대에 들어와 교토 민단은 공생사회실현을 민단의 기본과제로 설정하였다. 그리고 공생사회실현의 일환으로 2007년 에 조선통신사 행렬 재현을 민단 주도로 실시하였다. 조선통신사 행렬 재현을 통해서 교토 민단은 행정적 관계를 형성하면서 ‘교토 일한친선협회(京都日韓親善協會)’라는 단체를 설립하는 성과를 이 루게 되었다. 2000년대에 들어서 교토 민단은 교토 코리아 페스티벌을 개최 하였다. 그리고 2015년부터는 교토 코리아 페스티벌 행사의 일환 으로 조선통신사 행렬을 재현하고 있다. 또 조선통신사의 유네스 코 세계기록유산 등재 준비가 진행되고 있던 2017년에는 ‘조선통신사 연고지역 전국교류회’의 개최 도시로 교토가 선정되었다. 교 토 민단과 교토시는 긴밀하게 협력하며 ‘조선통신사 연고지역 전 국교류회 2017 교토 대회’를 준비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단체 와 공동으로 조선통신사 행렬 재현 행사를 추진하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해 교토 민단의 조선통신사 행렬 재현이 다양한 시 민단체와의 관계 형성을 가능하게 했다는 점이 확인되었다. 또한 공생사회실현이 사회 전체의 과제인 현대사회에서 재일동포단체의 존속을 가능하게 하였는데, 이것이 조선통신사 행렬 재현이 지닌 의미라 할 수 있다. This sociological study examines the contemporary significance of the Parade of Joseon Tongsinsa as a historical and cultural heritage, using the case of the Min-dan. A reenactment procession of the Parade of Joseon Tongsinsa by Min-dan has been holding since the 2000s. In 2022, the Min-dan in the major cities are organizing the Parade of Joseon Tongsinsa. The case study in this paper is the Kyoto Min-dan, which leads the Parade of Joseon Tongsinsa reenactment procession. The Kyoto Min-dan was founded in 1947 and has a 75-year history as of 2022. The Kyoto Min-dan held a reenactment of the Parade of Joseon Tongsinsa as a project to commemorate “the 400th anniversary of the Joseon Tongsinsa”. The 2007 Parade of Joseon Tongsinsa resulted in two outcomes: the formation of relations between the Kyoto Min-dan and the administration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Kyoto Japan-Korea Friendship Association. Since the beginning of 2010, the Kyoto Min-dan organized the Kyoto Korea Festival. Since 2015, the Parade of Joseon Tongsinsa has been incorporated as an event of the Kyoto Korea Festival. Another feature of the project is that it promoted the Parade of Joseon Tongsinsa in collaboration with various organizations. It was confirmed that the Parade of Joseon Tongsinsa is a place where the formation of relationships with diverse actors can be generated. Today, the realization of a symbiotic society has become a challenge for society as a whole. The significance of the Joseon Tongsinsa is that it makes possible the sustainability of civil society.

      • KCI등재

        조선통신사축제의 활성화 방안 연구 - 학문 연계 방안을 중심으로 -

        정은영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23 한국민족문화 Vol.84 No.-

        조선통신사축제는 ‘통신사 정신의 계승’이라는 개최 목적이 분명하다. 따라서 조선통신사축제의 활성화 방안은 우리가 계승해야 할 통신사 정신의 실체가 무엇인지를 규명하는 것에서 시작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역사적 실체로서의 통신사, 통신사 정신 등을 알 수 있는 인문학적 지식이 요구된다. 그러므로 조선통신사축제를 활성화할 수 있는 방안의 하나로 학문과의 연계가 필수적이다. 학문 연계 방안의 모색을 위해 2017년에서 2022년까지 진행된 조선통신사축제의 세부 프로그램을 분석한 결과, 통신사와 관련한 새로운 체험・재현 프로그램이 계속해서 추가되었음에도 관람(체험)객의 흥미를 넘어서서 축제의 주된 목적인 조선통신사 정신의 계승 혹은 조선통신사에 대한 이해로까지 나아가지 못했는데 이는 조선통신사축제 내 프로그램들 간에 접점이 없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조선통신사축제의 기획 단계에서부터 각 기관의 참여와 조율이 필요하다. 아울러 축제의 장을 조금 더 확장하여 부산박물관과 국립해양박물관 등 ‘조선통신사 기록물’ 소장처의 축제 참여를 유도하여 전시 프로그램의 다양화를 비롯하여 온라인으로 즐기는 박물관 VR 전시와 해설 등 더 많은 사람들이 손쉽게 조선통신사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조선통신사축제를 학문과 연계해서 살피는 작업은 축제의 목적인 통신사 정신의 계승을 가능하게 하는 토대이자, 장기적인 관점에서 축제를 활성화시킬 수 있는 방안이 될 것이다.

      • KCI등재

        조선시대 통신사행과 경주의 역사문화콘텐츠

        김상원 동아시아고대학회 2019 동아시아고대학 Vol.0 No.56

        전통문화유산의 보존과 활용은 지방문화예술의 활성화와 함께 지방자치의 성공을 평가하는 중요한 관건이다. 그러나 국내에서 조선통신사를 소재로 한 관광콘텐츠는 극히 미비한 실정이다. 또한 조선통신사들이 걸었던 옛길도 도로건설과 국토개발 등으로 지금은 대부분 훼손되었고 그 흔적마저 소멸되어 가고 있는 상태이다. 조선통신사 관련기록물들이 유네스코기록유산으로 등재되고 그 위상이 세계적으로 인정된 만큼 조선통신사가 지닌 역사적이고 문화적인 가치를 발굴하여 그것들을 하나의 선으로 연결하여 관광콘텐츠로 개발하는 방안을 모색하여야 할 것이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조선통신사 기록물 중 주로 해행총재에 수록된 것들을 중심으로 하여 경주 지역의 조선통신사 관련 역사문화콘텐츠를 고찰하였다. 경주 지역은 조선통신사의 주요 사행구간이었음에도 불구하고 많은 국보와 보물 등 다양한 관광콘테츠를 보유하고 있는 탓에 다른 지역과 비교해 비교적 조선통신사 관련 콘텐츠 발굴에 더딘 감이 있다. 경주는 조선 후기 총 12번의 조선통신사 사행 중에서 이틀이나 나흘간 사행단이 머문 곳으로 다양한 스토리텔링이 가능하다. 한편 김유신장군의 묘, 동경관, 봉황대 등의 조선통신사 관련 장소콘텐츠가 산재하여 있다. 이러한 자원들을 활용한다면 경주는 기존의 국내를 대표하는 문화유산관광지라는 이미지에 더해 조선통신사의 역사가 가미된 관광지로 거듭날 수 있을 것이다. Preservation and utilization of traditional cultural heritage is an important key to evaluating the success of local autonomy along with the revitalization of local culture and art. However, tourism contents based on the Chosun Telecom in Korea are extremely poor. In addition, the old roads, which the Joseon envoys used to walk on, have been damaged mostly due to road construction and land development, and the traces of them have been disappearing. Now that the records related to the Joseon Mission have been registered as UNESCO Memory of the World and their status has been recognized worldwide, the government should seek ways to discover the historical and cultural values of the Joseon Telecoms and develop them into tourism contents by linking them together with a single line. The main office considered historical and cultural contents related to the Joseon Mission in Gyeongju, focusing mainly on those contained in the Haenghaengchongjae records. Although the Gyeongju area was a major gambling section of the Joseon Mission, it has a wide range of tourist contents, including national treasures and treasures, which makes it relatively slow to find contents related to the Joseon Mission compared to other regions. Gyeongju is the place where the company stayed for two or four days out of a total of 12 Joseon Mission during the late Joseon Dynasty, and various storytelling is possible. Meanwhile, there are a number of places related to the Joseon Mission, including the tomb of General Kim Yu-shin, Donggyeonggwan, and Bonghwangdae. Utilizing these resources, Gyeongju could be reborn as a tourist destination with the history of the Joseon Mission, in addition to its image as a cultural heritage tourist destination representing the country.

      • KCI등재후보

        正德元年(1711) 朝鮮通信使行列繪卷 연구

        정은주(鄭恩主) 한국미술연구소 2006 美術史論壇 Vol.- No.23

        江戶時代(1603-1867) 朝鮮通信使는 王辰倭亂 이후 단절되었던 조선국왕과 德川幕府 사이의 관계를 정상화하는 교량적 역할을 수행하였다. 1607년부터 1811년까지 총12회에 걸쳐 조선통신사는 疏球使節團과 함께 초기 德川幕府의 정치적 정통성을 확인하는 중요한 요소가 되었고, 후기에는 대외적으로 국제정세를 파악하고 동아시아 국제질서 속에서 일본의 위치를 재조명하는 역할을 담당하였다. 특히 이들 통신사 행렬이 江戶를 행진하는 모습은 장관을 이루었고, 에도시대 미술과 대중문화에서 매우 중요한 테마로 간주되었다. 에도시대 당시 통신사를 묘사한 畵師는 일본의 狩野派와 그들을 추종하던 이들이었고, 후기에는 町繪師들이 많이 등장하여 작품수가 더욱 증가하였다. 통신사 관련 행렬도는 50여 점이 현전하여 조선과 일본 사이 문화교류의 단면을 말하고 있다. 그중 1711년(正德元年)은 아라이 하쿠세키(新井白石)의 개혁으로 에도에서 한일 양국의 國諱분쟁이 일어났던 민감한 시기였으므로, 통신사행렬도는 다른 시기에 비해 더 큰 관심의 대상이 되었다. 1711년(正德元年) 通信使行列을 묘사한 두루마리 그림은 大名이나 幕府의 주문에 의해 그려진 행렬도권 중 대표작으로 한국 國史編纂委員會, 京都高麗美術館, 大阪歷史博物館 소장본이 각각 전해지고 있다. 이 회권은 당시 통신사 행렬 정황을 자세히 묘사한 기록화로서 조선통신사행렬회권의 제작과 관계한 제반 사항을 이해할 수 있는 귀중한 사료이다. 老中 쓰치야 마사나오의 명령으로 對馬藩에서 제직된 繪卷은 에도의 고비키조 가노파를 이끌던 가노 쓰네노부의 제자 俵喜左衛門을 總管監으로 임명하여 江戶의 수준 있는 14-40명 정도의 町繪師가 동원되었다. 작업은 사쓰마의 시마즈家에서 1710년에 제작된 琉球國의 謝恩使 행렬을 묘사한 회권을 老中에게 빌려 摹寫한 것을 참조하였고, 1711년 9월 20일부터 작업을 개시하여 1712년 2월에 獻上이 마무리될 때까지 총 141일이 소요되었다. 이들 회권은 당시 에도시대 최대 규모의 조선통신사 행렬의례를 충실하게 묘사했다는 점에서 에도시대 韓日관계에 대한 기록화로서 매우 큰 의의가 있다. 화풍상 특징을 비교한 결과, 1711년 이전에 그려진 통신사행렬도의 화풍과 확연하게 차이가 있었으며, 1710년에 제작되었던 류큐국사절단행렬도의 화풍과 근사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전술한 세 본과 함께 그동안 쓰시마번 종가에서 舊藏되었던 이유로 1711년 통신사행렬회권로 간주되어오던 福岡市立博物館藏 《通信使行列圖卷》는 화풍상의 현격한 차이를 보여 적어도 다른 시기의 통신사행렬을 묘사한 것으로 파악하였다. 한편 1711년 통신사행에 즈음하여 제작된 다수 판화집과 조선통신사행렬을 흉내 낸 조선야마가 판화로 제작되었던 점에서 에도시대 막부의 고위층뿐만 아니라 당시 일본의 대중문화에도 큰 사회적 반향을 일으켰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Japan's Tokugawa feudal government of the Edo Period (1603-1867) went through with a policy of seclusion. During the period, the Shogun took advantage of the diplomatic relations with Joseon Dynasty by official Korean envoys called Tongsinsa(通信使) to establish the legitimacy of government and to make certain position in Eastern Asia. Under the Shogun's auspices, Korean envoys regard as a main motif in art circles and popular culture in the Edo Period. The picture scrolls of the Procession of Korean Envoys(朝鮮通信使行列繪卷) in 1711 are collected in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History, Koryo Museum of Art and Osaka Museum of History, The picture scrolls were ordered by the Shogun and feudatory. Although the collections are kept in different places, they are good examples of the Procession of Korean Envoys to find their background and process of production by the documentary of Tsushima's main family. Bakuhu's manager Massanao ordered Tsushima's main family to paint the picture scrolls of the Procession of Korean Envoys in 1711. The work was directed by Dawara kizaemon(俵喜左衛門) of the Edo Kobikijo Kano Group, and mobilized 14 to 40painters. The Group referred to the picture scrolls of the Procession of Ryukyu Envoys produced in 1710 by Shimajushi main family in Satusma. Their works took 141 clays from Sep. 1711 to Feb. 1712. Compared to Dongsa Ilgi(東?日記), Travel Diary of vice-envoy Lim Soo-gan, the description of figure in these picture scrolls represented well the ritual procession of Korean Envoys. That is worth the documentary painting of relations between Korea and japan in the Edo period. We could find evidence mat Arai Hakuseki, who was in discord with Bakuhu's manager Massanao in the diplomatic policy toward Joseon, checked up some information of Korean envoys in the picture scrolls kept in Tsushima's main family. In a style of painting, the picture scrolls of the Procession of Korean Envoys are different from those of the picture scrolls made before 1711. They look like a style of the picture scrolls of the Procession of Ryukyu Envoys in 1710. In the other hand, the picture scroll in Fukuoka City Museum took for depicting the procession of Korean Envoys in 1711 needs reconsideration in the product time. There are some prints engraved by famous painters at the time of Korean envoys' arriving in Edo(now Tokyo). Furthermore, Tojin parade(唐人行列) originated hum the Tongsinsa procession shows various influence of the procession of Korean Envoys in popular culture at mat time.

      • KCI등재

        조선통신사를 통해 본 조ㆍ일 문화교류의 면면

        송지원 서울대학교 일본연구소 2011 일본비평 Vol.- No.5

        본 연구는 일본의 요청에 의해 조선왕실이 일본에 파견한 외교사절인 ‘조선통신사’(朝鮮通信使)의 활동을 통해 조선과 일본 사이에 이루어진 외교관계의 면면을 ‘문화교류’ 의 측면에 초점을 맞추어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조선통신사는 1811년까지 12차례에 걸쳐 일본에 파견되었는데, 300~500여 명의 사 행(使行)인원이 짧게는 5개월, 길게는 10개월까지 소요되는 긴 여정에 참여하였다. 이 러한 긴 여정은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의 제 분야에서 조・일 간의 교류를 알려 주는 역사적 현장 그 자체가 되었고, 이들 통신사행이 남긴 수많은 사행록(使行錄)은 조선시 대 외교관계의 생생한 현장을 오늘날까지 그대로 전해 주고 있다. 일본에서 이루어진 조선통신사의 활동을 오늘날의 시각으로 살펴본다면 그 교류 영역 이 학문 전반에 걸쳐 있고 내용 또한 다양한 스펙트럼을 지니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 들의 활동 중에서도 조선이 일본에 전한 제사의례(致祭) 양상과 조선의 왕이 하사한 악 기의 면면에 대한 것, 조선통신사를 위한 일본 가가쿠(雅樂)의 연주양상 및 조선통신사 가 일본에 남긴 춤 등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러한 분야에 대한 연구는 조선시대의 오례(五禮) 가운데 하나인 길례(吉禮), 즉 제사 의례와 일본의 궁중음악인 가가쿠, 춤 등에 대한 지식은 물론 일본의 국빈(國賓)에 대한 의례(儀禮)와 조선통신사 활동의 면면에 대해서도 아울러 섭렵해야 그 입체적 고찰이 가능하다. 그러한 이유에서 조선통신사의 문화교류 면면을 밝히고자 할 때 학제적인 통섭의 시각으로 접근해야 한다. ‘조선통신사’라는 존재는 거대한 집단이동(움직임)을 통해 단기간에, 정해진 코스로 ‘이 동’했음에도 불구하고 조선의 문화전파와 교류에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했던 특수성을 지닌 집단이므로 기존의 시각에서 더 나아가 문화 비교학적 시야를 갖추고 연구해야 할 대상임에 분명하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현재 ‘한류’(韓流)라 는 이름으로 세계 각지에 전파되고 있는 우리 문화와 비견되는, 조선시대의 ‘조선통신 사’가 일본에서 펼친 문화활동의 양상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With emphasis on the cultural interchange between Chosŏn Dynasty and Tokugawa Bakufu, this article looks at the activities of the diplomatic missions dispatched by the Choson̆ Dynasty to Tokugawa Bakuhu(Choson t’ongsinsa朝鮮通信使, hereafter t’ongsinsa) on Japan’s request and the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the two states. Dispatched twelve times until 1811, the Chosŏn diplomatic missions, called t’ongsinsa, usually consisted of 300 to 500 members per mission and completed long itineraries taking five to ten months. T’ongsinsa’s extensive itineraries and their travels vividly provided political, economic, and diplomatic interrelations between Korea and Japan. Their activities in Japan also ranged over a variety of scholarly fields as well as general cultural diffusion, including sacrificial rituals introduced from Korea, music instruments gifted by the Korean kings, ceremonial music played by court musicians in Japan for Chosŏn envoys, and the dances introduced by Koreans, to name a few. Studying such cultural fields requires interdisciplinary knowledge insome special fields such as the sacrificial rituals of the Chosŏn dynasty, the court music [gagaku雅樂] of Japan, and the protocol of Japan for state guests as well as t’ongsinsa’s activities per se. Traveling to Japan along the fixed routes for a short period of time, the t’ongsinsa, a relatively large group of people, played a crucial role in the cultural interchange between the two states. The topic of t’ongsinsa should thus be approached from a comparative cultural perspective. From this perspective, this article examines the t’ongsinsa’s cultural activities in Japan, which can be regarded as a sort of earlier version of hallyu(韓流), a term expressing the popularity of the contemporary Korean culture in almost every corner of the world these days..

      • KCI등재

        조선 후기 통신사(通信使)의 관왕묘(關王廟) 방문과 그 의미

        정은영 ( Jeong Eun-young ) 국제어문학회 ( 구 국제어문학연구회 ) 2010 국제어문 Vol.50 No.-

        關王廟는 조선 최초의 武廟로 임진왜란때 파견된 명군의 요구로 건치되었다. 조선의 남ㆍ동 관왕묘가 비록 국가적 차원에서 조성되었지만 崇文主義를 표방했던 조선의 지배층은 관왕묘를 부정적으로 인식했다. 그러나 관왕묘를 중심으로 한 관우 숭배사상은 점차 조선의 사상체재 안에 편입되었고, 17세기 중반 이후에는 관왕묘에 대한 치제가 國家儀禮化 되었다. 그런데 관왕묘에 관한 기록 중 흉미로운 것은 조선 후기 通信使行員들이 정례적으로 관왕묘를 방문했다는 사실이다. 조선통신사의 사행기록에 따르면 관왕묘에서 일본으로 떠나는 조선통신사의 餞別宴이 있었으며, 대궐에 들어가 復命하기 전 사신들이 官服을 갈아입은 장소로도 사용되었다는 것이다. 이러한 사행기록을 종합해 보면, 조선 통신사에게 관왕묘는 출ㆍ입국과 관련하여 방문하는 특정 장소로 정례화 되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관왕묘에서의 조선통신사 전별연이나 복명 준비를 단순히 노정위치와 관련하여 보기에는 문제가 있다. 조선통신사의 관왕묘 방문을 조선의 정치적 상황과 대외 관계의 틀 속에서 살펴보면 우선 관왕묘의 조성과 발전이 壬丙兩亂과 관계있다는 점에서 관왕묘는 조선통신사를 비롯한 지배층에게 오랑캐에게 당한 치욕을 되새기게 하여, 華夷觀을 바탕으로 한 조선의 대외인식을 공고히 하는 역할을 하였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조선통신사가 관왕묘에서 전별연을 하고 의복을 갈아입는 행위 자체는 `분리-통합의례`의 일정한 형태로 생각할 수 있다. 특히 관왕묘의 또 다른 기능이 門神에 대한 제사였다는 사실을 고려하면 일본으로 떠나는 조선통신사에게 관왕묘는 일종의 통과의례가 이루어졌던 공간이라 보여진다. GwanWang Shrine, as the first Mumyo (GwanWang Shrine) in Joseon, was built by the demand of Ming troops sent to Joseon in Japanese Invasion of Korea (1592-1593). Although the south and east GwanWang Shrines of Joseon was established at the national level, the ruling class of Joseon, who stood for worshipping the pen, perceived GwanWang Shrine negatively. However, the thought of worshipping Gwanwu leaded by GwanWang Shrine was gradually infiltrated into the system of thought in Joseon and GwanWang Shrine ritual finally became a part of formal national rituals. But the interesting part of the records related to GwanWang Shrine revealed that the later half of Joseon, the member of Tongsinsa periodically had visited to GwanWang Shrine. According to the journal of the Joseon Tongsinsa, there celebrated the farewell banquet at GwanWang Shrine for the Joseon Tongsinsa sent to Japan and was often used to change the official robes prior to submit a report to the Palace by the envoys. Judging by these records, the GwanWang Shrine was routinized as a specific place for Joseon Tongsinsa to visit in relation to their departure and arrival of the country. However, considering that visit of Joseon Tongsinsa to GwanWang shrine became routinized in the process of becoming national ritual as the Government-led worshipping GwanWang, particularly leaded by the King, was diseminated, there is problem to consider the GwanWang Shrine as a simple place to celebrate the farewell banquet and to prepare submit reports of the Joseon Tongsinsa. If the visit of Joseon Tongsinsa to GwanWang Shrine is reviewed in the framework of the political circumstances and the foreign relationship of Joseon, GwanWang Shrine took the role of making ruling class including Joseon Tongsinsa remember the disgrace committed by the barbarians and of strengthening international recognition of Joseon for Joseon Tongsinsa based on Sinocentrism. Furthermore, it can be thought it was also a specific form of `Rites of Separation-integration` that Joseon Tongsinsa celebrated the farewell banquet and changed the official robes at GwanWang` Shrine. Especially considering another function of GwanWang` Shrine was a sacred rite for the guardian deity, it seems that GwanWang` Shrine was the space of a rite of passage to Joseon Tongsinsa departing for Japan.

      • KCI등재

        18세기 일본의 조선통신사 기록에 수록된 삽화 검토 - 『조선신사내빙기록』・『조선인내빙기』를 중심으로 -

        윤유숙 한양대학교(ERICA캠퍼스) 일본학국제비교연구소 2023 비교일본학 Vol.58 No.-

        본고는 1711년 통신사 기록 『조선신사내빙기록』, 1748년의 사행을 기록한 『조선인내빙기』 에 수록된 삽화의 특성을 검토한 것이다. 『조선신사내빙기록』은 통신사 사행단 전원의 명부(名簿), 금제, 선박의 크기, 통신사가 의례시에 착용하는 의복・관(冠), 지참한 기(旗)와 도구, 그것을 그린 삽화, 사행원의 관명(官名) 과 역할에 관한 설명 등이 기록되어 있다. 쓰시마번이 1711년 ‘통신사행단’의 구성에 관한 각종 정보를 모아 한권의 문헌으로 압축하여 기록한 것으로, 삽화는 사행단이 행렬로 이동할 때 ‘의장용으로 소지하는 도구’들의 용도 설명을 보충하는 시각자료로 묘사되었다. 삽화에 묘사된 물건들은 1711년 조선통신사 등성행렬도에서 조선인이 들고 있는 도구와 그 순서가 거의 동일하다. 삽화는 각종 깃발, 무기류, 악기들, 용정, 인신함 등의 형태를 실물 그대로 특징을 살려서 그렸고, 명칭도 대체로 정확하다. 다만 ‘세악’과 ‘인신함’이라 명명된 삽화는 그 형태와 용도에 불분명한 점이 있다. 세악은 특정 악기 혹은 ‘해금・필(苾)・적(笛)을 둘러서 말하는’ 표현인듯하고, 통신사는 관인(官印)을 보관하는 ‘인신함’과 공문서를 보관하는 ‘관첩함’을 일본에 가져간 사실이 확인되었다. 조선인내빙기 는 요도번의 번사 와타나베 가문에 전래되어 온 1748년 통신사 관련 사료 이다. 와타나베는 1748년 사행 때 요도 성하(城下)에서 통신사 향응을 담당했던 인물인데, 조선인내빙기 에 통신사를 맞이하는 요도번의 모습을 기록하고 말미 부분에 본인이 관찰한 통신사 일행의 풍습, 의상, 기물 등을 6면에 걸쳐 묘사해 두었다. 그삽화의특징은첫째, 묘사한대상의조선식명칭은기록하지않은것이많다. 크기, 형 태, 용도를 중점적으로 설명하면서 용도를 기구의 제목처럼 쓰거나 혹은 일본에서 사용되던 유사한 도구의 명칭을 그대로 적기도 했다. 둘째, 사행단의 이동을 관람하는 입장에서 가장 눈에 띄는 크고 화려한 기구, 예를 들면 청도기를 위시한 깃발, 교자(轎子), 국서함을 태운 가 마(龍井) 등은 아예 기록하지 않았다. 와타나베는 의장용 기물보다는 사행단의 구성원들을 매 우근접거리에서관찰해야비로소알수있는소지품과기호품을다수기록했다. 밥그릇, 밥 뚜껑, 곰방대, 접는손부채, 되, 밥솥, 밥상, 심지어곡식을까불르는데사용하던키등이그 것이다. 통신사 관련 문헌의 삽화는 통신사에 관한 구체적인 정보를 알려주는 시각자료이자 역사 자료이며, 때로는 ‘통신사 행렬도’에는 묘사되지 않은 사행의 실상을 전해주기도 한다. This paper review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illustrations inserted in “Joseonsinsan aebinggirok(朝鮮信使來聘記錄)” and “Joseoninnaebinggi(朝鮮人來聘記)” which recorded about Joseon Tongsinsa(朝鮮通信使) in the 18th century. “Joseonshinsanaebinggirok” contains a list of all the members of the Tongsinsa(通信使), their prohibitions, the size of their ships, the clothing and crowns worn by the Tongsinsa members for each ceremony, the flags and tools they brought with them, illustrations of them, and descriptions of their official names and roles. This document was compiled by Tsushima as a compendium of information on the organization of the Tongsinsa members of 1711, and the illustrations are described as visual aids to supplement the descriptions of the use of the “tools for ceremonial purposes” as the Tongsinsa members travels in procession. The objects depicted in the illustration are almost identical in order to the tools held by Koreans in the 1711 Deungseong(登城) Parade(行列圖) of the Joseon Tongsinsa. The illustration depicts various flags, weapons, musical instruments, The box of an official seal, and personalities using their real characteristics, and the name is generally correct. “Joseoninnaebinggi” was handed down to the Watanabe(渡辺) family, a warrior(藩士) in Yodo Domain(淀藩). Watanabe was in charge of the entertainment of the delegation in the Yodo castle town during the visiting of the Tongsinsa in 1748, and at the end of the book, he describes the customs, costumes, and equipment of the Tongsinsa he observed on six pages. The characteristic of the illustration is that, first, many of the Joseon style names of the objects described are not recorded. The size, shape, and purpose were mainly explained. Second, from the standpoint of watching the movement of the delegation, the most noticeable large and colorful instruments, for example, flags such as Cheongdogi(淸道旗), Gyoja(轎子), and kilns carrying the Gukseo box(國書函), were not recorded at all. Watanabe recorded a number of belongings and favorites that could only be known by observing the members of the delegation group from a very close distance rather than the articles for the design. These include rice bowls, rice caps, kombangdae, folding hand fans, dae(되), rice cookers, dining tables, and even the winnowing basket. Illustrations in the he historical records related Joseon Tongsinsa are both visuals and documentation with specific information about Tongsinsa, and sometimes convey the reality of the travel of Tongsinsa that is not depicted in the ‘Picture of Tongsinsa Parade(통신사행렬도)’.

      • KCI등재

        조선 통신사(通信使)의 일본에서의 연행(演行)

        강혜선(Kang, Hye-Sun) 우리문학회 2017 우리文學硏究 Vol.0 No.55

        조선 통신사행(通信使行)은 조선과 일본의 선린(善隣)관계를 위한 정치외교의 길이자, 양국의 경제와 문화가 교류되는 장이었다. 17, 18세기에는 동아시아의 정치적 안정을 바탕으로 문화적 교류가 활발하였으며, 그 결과 조선의 문화예술 관련 기록이 풍성하게 나타났다. 통신사는 기예인으로, 마상재(馬上才), 악공(樂工)을 위시하여 군관(軍官), 취수(吹手), 기수(旗手)소동(小童)등을 대동하였는데, 서울-부산-쓰시마(對馬島)-오사카(大坂)-교토(京都)-에도(江戶)로 이어지는 여정에서 공식, 비공식의 크고 작은 연행을 하였다. 악가무(樂歌舞)경우, 음악감독인 전악(典樂)2명과 실제 여러 악기를 연주하는 악공들, 취고수(吹鼓手), 세악수(細樂手), 풍악수(風樂手)등 50-60여 명에 달하는 이들이 각종 연향과 행진의 음악을 담당하였다. 이들은 삼사(三使)에 배속되어 각종 수요에 응하였다. 노래[歌, 歌唱]를 담당한 기예인은 따로 없었고, 군관 또는 자제군관(子弟軍官)중 노래에 능한 자가 맡았다. 또, 삼사의 시동인 소동이 가무를 맡았는데, 소동 춤은 궁중 여기(女妓)와 비슷한 복식으로 무동정재(舞童呈才)와 유사한 연행을 하였다. 통신사는 궁중음악인 아악(雅樂)의 악기 일부도 가져간 것으로 보아 아악도 연주하였던 것 같다. 가무관련 기록 중 마상재인(馬上才人)이 기생을 대신해 검무(劍舞)를 공연한 점이 특히 주목된다. 일본에서는 통신사를 위한 비공식적 연행이 수시로 열린 바, 삼사의 배에서 선상 음악회가 열리는가 하면, 육로의 숙소에서 비파나 피리 등의 독주나 노래를 곁들인 작은 공연이 수시로 열렸다. 타국에서 맞는 명절에는 잔치와 함께 공연이 이루어졌다. 일본의 요청으로 대마도주(對馬島主)의 강호저택에서 대규모로 가무가 연행되었다. 마상재와 활쏘기[射藝]는 가장 대표적인 공식 공연으로, 조선 군대의 위용과 군사문화를 과시하였다. 마상재인으로 최고의 실력을 지닌 마병(馬兵)2인을 선발하고, 활쏘기는 군관이 담당하되 육량전(六兩箭)을 잘 쏘는 장사군관(壯士軍官)을 따로 선발하였다. 안동, 영천 등에서 연습과 준비를 명분으로 시연하곤 했는데, 통신사를 위한 유흥과 오락의 성격을 띠면서 동시에 지방 관민(官民)을 위한 특별 공연의 성격을 띠었다. 일본에서의 마상재, 활쏘기는 공식화, 관례화 되어, 대마도주의 대마도저택, 관백의 궁궐, 대마도주의 강호저택에서 각기 이루어졌다. 관백의 마상재 관람은 ‘곡마상람(曲馬上覽)’으로 명명되었으며, 그날의 성적과 관객 반응은 통신사 복명(復命)시 임금이 직접 탐문할 정도로 중시되었다. 대마도주의 강호저택에서 열린 공연은 일본이 통신사에게 제공한 화려하고 성대한 연향에 대한 화답의 성격을 지녔다. 광대놀음[倡優戱]과 잡기(雜技)경우 기록이 매우 소략하여 구체적 실상을 제대로 파악하기 어렵지만, 가장 인기가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통신사 명단에 재담, 연기, 잡기를 담당한 자들이 따로 보이지 않지만, 배우 또는 광대, 잡기 기예인, 무당, 해학이나 만담[謔浪戱笑]에 능한 자 등이 다수 동행하였다. 이들은 격군(格軍), 사령(使令), 사노(使奴)등의 신분으로 동원되었다. 또한 풍악수(風樂手)가 삼현육각(三絃六角)을 연주하면서 창우희(倡優戱)나 광대담(廣大談)을 하기도 하였다. 잡기의 한 종목으로 줄타기가 있었다. 통신사의 공적인 의례(儀禮)도 일종의 연행으로 볼 수 있는 바, 대마도 입성 행차와 상견례(相見禮), 하선연(下船宴), 강호의 전명의례(傳命儀禮)는 대단한 볼거리였다. 각종 의장(儀仗)을 갖추고 풍악(風樂)을 울리며 각자의 신분과 임무에 부합하는 복장을 하고 행차(行次)하는 광경은 연도에 수많은 구경꾼들을 운집하게 하였다. 이상과 같이 해행총재(海行摠載) 를 통해 보면, 통신사는 의례, 궁중음악(아악), 사대부의 시문과 서화, 실내악, 마상재와 활쏘기, 삼현육각의 민속음악, 소동 춤, 민간의 광대놀음과 잡기 등 조선의 다양한 공연문화를 일본에 소개하였다. 그런데 기행문을 남긴 조선의 문인들은 각종 공연을 긍정적으로 보았음에도 불구하고, 상층 문화로 자신들이 직접 참여한 시문, 서화 등의 활약상에 비해 상대적으로 소략하게 기술하였다. 그 결과 연주곡, 노래의 가사, 광대놀음이나 잡기의 구체적인 내용 등이 기록되지 못한 한계를 보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