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在日コリアン団体における朝鮮通信使 再現行列の意味考察 - 京都民団を事例に-

        魯ゼウォン 조선통신사학회 2022 조선통신사연구 Vol.34 No.-

        본 연구는 역사문화유산인 조선통신사 행렬 재현의 의미를 재일 동포단체를 사례로 검토한 사회학적 연구이다. 2000년대 이후 재 일동포단체인 민단(民團) 주도로 조선통신사 행렬을 재현하는 행사 가 시작되었다. 2022년 현재에는 대도시를 중심으로 민단이 독자 적으로 조선통신사 행렬 재현 행사를 실시하고 있다. 본 연구는 2000년대 이후 민단 주도의 조선통신사 행렬 재현 행사가 확대되 어가는 현상과 그 의미를 교토[京都] 민단을 사례로 분석하였다. 1947년에 창립한 교토 민단은 2022년 현재 75년의 역사를 갖 고 있다. 2000년대에 들어와 교토 민단은 공생사회실현을 민단의 기본과제로 설정하였다. 그리고 공생사회실현의 일환으로 2007년 에 조선통신사 행렬 재현을 민단 주도로 실시하였다. 조선통신사 행렬 재현을 통해서 교토 민단은 행정적 관계를 형성하면서 ‘교토 일한친선협회(京都日韓親善協會)’라는 단체를 설립하는 성과를 이 루게 되었다. 2000년대에 들어서 교토 민단은 교토 코리아 페스티벌을 개최 하였다. 그리고 2015년부터는 교토 코리아 페스티벌 행사의 일환 으로 조선통신사 행렬을 재현하고 있다. 또 조선통신사의 유네스 코 세계기록유산 등재 준비가 진행되고 있던 2017년에는 ‘조선통신사 연고지역 전국교류회’의 개최 도시로 교토가 선정되었다. 교 토 민단과 교토시는 긴밀하게 협력하며 ‘조선통신사 연고지역 전 국교류회 2017 교토 대회’를 준비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단체 와 공동으로 조선통신사 행렬 재현 행사를 추진하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해 교토 민단의 조선통신사 행렬 재현이 다양한 시 민단체와의 관계 형성을 가능하게 했다는 점이 확인되었다. 또한 공생사회실현이 사회 전체의 과제인 현대사회에서 재일동포단체의 존속을 가능하게 하였는데, 이것이 조선통신사 행렬 재현이 지닌 의미라 할 수 있다. This sociological study examines the contemporary significance of the Parade of Joseon Tongsinsa as a historical and cultural heritage, using the case of the Min-dan. A reenactment procession of the Parade of Joseon Tongsinsa by Min-dan has been holding since the 2000s. In 2022, the Min-dan in the major cities are organizing the Parade of Joseon Tongsinsa. The case study in this paper is the Kyoto Min-dan, which leads the Parade of Joseon Tongsinsa reenactment procession. The Kyoto Min-dan was founded in 1947 and has a 75-year history as of 2022. The Kyoto Min-dan held a reenactment of the Parade of Joseon Tongsinsa as a project to commemorate “the 400th anniversary of the Joseon Tongsinsa”. The 2007 Parade of Joseon Tongsinsa resulted in two outcomes: the formation of relations between the Kyoto Min-dan and the administration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Kyoto Japan-Korea Friendship Association. Since the beginning of 2010, the Kyoto Min-dan organized the Kyoto Korea Festival. Since 2015, the Parade of Joseon Tongsinsa has been incorporated as an event of the Kyoto Korea Festival. Another feature of the project is that it promoted the Parade of Joseon Tongsinsa in collaboration with various organizations. It was confirmed that the Parade of Joseon Tongsinsa is a place where the formation of relationships with diverse actors can be generated. Today, the realization of a symbiotic society has become a challenge for society as a whole. The significance of the Joseon Tongsinsa is that it makes possible the sustainability of civil society.

      • 朝鮮信使大坂易地聘礼交渉と対馬藩

        酒井雅代 조선통신사학회 2021 조선통신사연구 Vol.31 No.-

        에도 막부(幕府) 말기 통상관계를 기축으로 외교 관계를 서구 각국과 수립하기에 이르기까지 근세 일본이 정식으로 국교를 유지 한 외국은 조선왕조뿐이었다. 그 외교교섭은 막부가 아닌 지리적 으로 한반도와 가장 가까운 곳에 위치한 쓰시마번이 담당했다. 도 요토미 히데요시의 조선 침략으로 단절된 조일 국교는 17세기 초 에 회복됐다. 조선왕조는 회답겸쇄환사(回答兼刷還使)에 이어서 통신사(通信使)라고 불리는 외교사절을 일본으로 파견했고, 막부 말기에 이르기까지 조일 간의 ‘평화’롭고 안정적인 관계가 지속하 였다. 조선에서 일본으로 파견하는 통신사는 11대 쇼군[將軍] 도쿠가 와 이에나리[德川家齊]의 습직 축하를 명목으로 하는 1811년의 이른바 신미통신사(辛未通信使)가 마지막이 되었다. 막부가 위치한 에도까지 파견한 것은 1763~1764년의 계미통신사(癸未通信使) 이래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었다. 그 요인으로는 막부의 재정난과 막부의 대 조선 정책 변화, 조선멸시관의 대두 등이 지금까지 거 론되어왔다. 조선 측도 마찬가지로 통신사에 의한 재정부담을 주 축으로, 파견의 의의가 저하된 것 등을 통해 설명되어 왔다. 그렇 기 때문에 통신사가 단절되는 등 양국에 있어 조일 관계가 서서히 중요시되지 않게 되었고, 그 후 일본의 막부 말기 유신을 거치면 서 조일 관계는 단숨에 ‘지배’의 역사로 향하게 된 것처럼 보이기 도 한다. 본 논문에서는, 최종적으로는 실현되지 않았으나, 양국 사이에서 계획하고 있던 ‘13번째 통신사’에 대해 다루기로 한다. 양국에 있 어서 통신사는 결코 폐지된 것이 아니었으며, 12대 쇼군 도쿠가와 이에요시[德川家慶]가 새롭게 쇼군 직을 습직했을 때도 그때까지 와 마찬가지로 통신사가 예정되어 있었다. 이 역지통신 교섭을 제 재로 삼아 ‘양국의 서로에 대한 관심이 저하됐다’고 여겨지는 시기 의 조일 관계의 모습을 살펴보고자 한다. 위와 같이 계획의 경위는 밝혀졌지만, 통신사의 제도 개혁이라 는 외교 사안이 양국에서 구체적으로 어떻게 논의되었는지에 대해 서는 밝혀지지 않은 점이 많다. 장소가 쓰시마로 변경된 신미통신 사는 교섭의 개시에서 그 실현까지 24년을 필요로 했으며, 양국 간의 제도 변경은 양국 간의 중대사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왜관에서의 실제 교섭과 이에 대한 쓰시마번과 막부 사이에 이루 어진 지시와 보고를 살펴보면서, 조선, 쓰시마, 막부 사이에서 다 음 통신사가 어떻게 계획되고 있었는지를 검토할 것이다. 그리고 19세기 전반 조일 관계의 모습을 밝히도록 했다. 1811년 이후의 통신사는 막부의 에도성 혼마루[本丸] 및 니시 노마루[西丸] 화재와 일본 국내의 흉작, 혹은 조선 측의 재정난 등을 이유로 여러 차례 연기가 반복되어 실현에 이르지 못했다. 그러나 양국의 교섭이 계속되고 있었다. 수차례의 교섭에도 불구하고 내빙은 이루어지지 않은 채로 근대를 맞이했다. 하지만 조일 양국 모두 외교사절을 폐지하려고 하지는 않았고, 서구열강이 양 국에 접근하는 가운데에서도 이는 변하지 않았다. Until the end of the Edo period, when Japan established diplomatic relations with the west countries, the Joseon dynasty is the only country with which Tokugawa shogunate had formal diplomatic relations. The diplomatic negotiations were not conducted by the Shogunate itself, but by the Tsushima clan, which was geographically closest to the Korean Peninsula. The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Joseon and Japan had set aside by Toyotomi Hideyoshi's invasions to Korea and were restored in the early 17th century. The Joseon dynasty dispatched diplomatic missions to Japan, first as ‘Reply and Prisoner Repatriation’ envoys and then as ‘Tongsinsa’. The ‘peaceful’ and stable relationship between Joseon and Japan was sustained until the end of the Edo period. The last diplomatic delegation from Joseon to Shogunate were dispatched in 1811, when the 11th shogun Ienari succeeded shogunate. The 1763-1764 mission was the last chance that the Joseon delegation could travel to Edo, the capital of the shogunate. The previous researches explain the reasons of the shift in terms of the financial difficulties of the shogunate, the changes in the shogunate's policy toward Joseon, or contempt for Korea. On the Korean side as well, it was because of the heavy financial burden or the decline in the significance of the dispatch. Therefore, it seems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Joseon and shogunate gradually lost important to the two countries each other, and then, after the end of the Tokugawa shogunate and the establishment of Meiji Restoration brought the relationship of ‘the rulers and the ruled’. In this paper, I will focus on the ‘thirteenth delegation’ that was planned between the two countries, although it was not ultimately realized. The delegations were not abolished for both countries until the end of Edo period, and were scheduled to be dispatched to Japan when the twelfth shogun, Ieyoshi, succeeded the shogunate. I would like to look at the relationship between Joseon and shogunate at a time when the two countries were said to ‘have lost their interest in each other’. Although the process of the plan of dispatch has been clarified, there still remain many unanswered questions about how the two countries discussed the diplomatic issue of changing the system of the Joseon delegations. In this paper, I have examined how the next delegation was planned among Joseon, Tsushima, and the shogunate by unraveling the actual negotiations at the Waegwan and the interactions between the Tsushima clan and the shogunate. Then I painted a picture of Joseon-Japan relations in the first half of the 19th century. From 1811 onward, the dispatch of Joseon delegations was repeatedly postponed due to the fires of Edo Castle, lean years, or financial burden, and never came to fruition. However, negotiations between the two countries were still ongoing. The Joseon government made arrangements for ginseng to dispatch the delegations, and the shogunate and the Tsushima clan also made preparations for welcome the delegations by examining precedents. Despite repeated negotiations, the delegations were never dispatched again after 1811. However, neither Joseon nor the shogunate had any intention of abolishing diplomatic missions, and this did not be changed even as the western countries approached the two countries.

      • 18세기 기쿠야판[菊屋板]『조선인행렬차제(朝鮮人行列次第)』에 대한 고찰

        김종민 조선통신사학회 2022 조선통신사연구 Vol.33 No.-

        『조선인내조행렬차제(朝鮮人來朝行列次第)』는 교토의 출판업자 기쿠야 시치로베[菊屋七郞兵衛]가 발간한 목판본으로 통신사 행렬 에 대한 안내서로 알려져 있다. 현존하고 있는 18세기의 기쿠야판 『조선인내조행렬차제』는 신묘사행으로 불리는 8번째 조선통신사의 1711년(쇼토쿠[正德]원년)행렬, 10차 사행인 1748년과 11차 사행인 1763년에 발행된 것이 주종으로 전하고 있다. 기쿠야판 『조선인내조행렬차제』의 구성은 조선의 역사를 간략히 서술한 ‘조선인내조물어(朝鮮人来朝物語)’ 서문, 진구[神功] 황후 의 삼한정복으로 인한 삼한내조(三韓來朝)부터 도요토미 히데요시[豐臣秀吉]의 조선 침략에 동원된 공물 헌상의 견해를 적은 ‘조선 인래조물어’, 조선에서 에도까지의 여정을 기록하고 체류지 및 휴 식지에서 접대역할을 맡은 다이묘[大名]에 관한 정보, 조선에서 보내온 헌상물 목록 및 오사카[大阪]에서 요도가와[淀川]까지 사 절단을 태워 온 가와고자부네[川御座船]를 그린 도선도, 동행하는 다이묘들과 가문을 나타내는 문양, 조선인 사절단으로부터 일반적 으로 쓰이는 조선말을 받아 적은 ‘つうじ唐人のことば(通詞唐人ことば)’ 등이 수록되어 있는 ‘조선인내조행렬차제’가 있다. 1711년의 조선통신사 방일 때 국휘분쟁, 접대소홀 등 조선통신 사를 홀대하는 사건이 있었는데 모두 아라이 하쿠세키[新井白石] 가 펼친 막부개혁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본다. 당시 조선과의 문화적 차이로 오는 열등감을 감추고 막부의 위상을 높이려는 하 쿠세키의 계획적인 외교적 홀대와 일본이 우월성을 강조하는 방법 으로 교토의 출판업자인 기쿠야 시치로베를 통해 기쿠야판 『조선 인내조행렬차제』를 출판하였을 가능성이 있다. 그러므로 기쿠야판 『조선인내조행렬차제』는 조선통신사를 통해 유지해 온 한일간의 성신교린의 취지가 아닌 일방적인 조공의 사절단으로 조선통신사 를 폄하시켜 일본인의 자긍심과 조선통신사에 대한 호기심을 동시 에 충족시키기 위한 교육 또는 홍보에 중점을 둔 안내서라 할 수 있다.

      • <조선통신사 행렬도>에 보이는 형명(形名) 편성 연구

        현숙희 조선통신사학회 2022 조선통신사연구 Vol.34 No.-

        형명(形名)이란 『손자병법』에서 군사 신호체계로 처음 소개된 용어이다. 형(形)은 각종 깃발과 같은 시각적 도구를 의미하며, 명 (名)은 북과 징 같은 청각적 도구인 악기를 뜻한다. 군대에서 명령 과 정보를 전달하는 통신 수단으로 사용하였으나 점차 귀인들의 행렬에서 행렬의 위상을 드러내는 요소로 발전하여 왔다. 오늘날 에도 형명은 국가의전에서 의장대와 군악대로 자국의 존엄성과 위 상을 부각시키는 중요한 요소이다. 17세기 조선은 도요토미 히데요시[豊臣秀吉] 사망 후 새로운 실권자가 된 도쿠가와 이에야스[徳川家康]가 국교회복을 요청해왔을 때 조ㆍ일 간의 평화를 위해 조선통신사라는 외교사절단을 파견한다. 본 연구는 통신사의 모습을 살펴볼 수 있는 행렬도를 통하여 행 렬의 중요한 요소인 형명 편성의 시기별 특징과 조형적 변화를 밝 히는데 목적이 있다. 조선시대의 형의 종류는 약 100여 기에 달했 으나 조선통신사 행렬도에는 둑과 교룡기, 영자기, 청도기, 순시기 등 다섯 종류로 행렬의 권위를 내포하고 있다. 깃발의 크기와 무 늬, 자문(字紋)으로 깃발을 구별하고 색상을 달리하였다. 명은 취 고수와 세악수로 편성되어 그 인원은 약 50여 명으로 인원은 시 기별 큰 차이가 없으나 편성 구조에 있어서 변화를 보이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정치적 성격이 짙었던 17세기의 형명은 국서 위주로 치우쳐져 행렬의 권위를 국서에 집중하는 편성을 보이고 있다. 국내외의 정 세가 안정되었던 18세기는 형명의 장식이 보다 화려해지고 삼사 관에게 분산 배치함으로써 행렬 전체에 시각적 효과를 높이면서 안정된 편성 구조를 보이고 있다. 쇠퇴기에 접어든 19세기의 마지 막 행렬에서는 18세기에 보였던 장식성이 사라지고 편성 구조에 있어서도 이전까지 보였던 원칙에서 다소 벗어나고 있다. 하지만 정사와 부사의 대열에 형명을 분산 편성하는 구조는 18세기와 동 일하게 묘사되어 있다. Hyeongmyeong refers to military signal systems, whose terminology was first appeared in 『Sonja Byeongbeop』, an ancient literature on military tactics. More specifically, Hyeong collectively indicates visual tools like flags and Myeong, audible ones like drums and gongs. Originally, Hyeongmyeong was a means of communication that delivered military orders or information. Gradually, however, it was developed into something that revealed how dignified and brilliant the procession of noble people was. Even today, Hyeongmyeong is a necessity that guards of honor or military bands use to make remarkably impressed the prestige and stature of the state. During the 17th century, Iyeyasu Tokugawa took over the power of Japan after the demise of Hideyoshi Toyotomi. And then, the new leader called for Joseon to normalize diplomatic relations with Japan. Joseon dispatched a diplomatic mission named Tongshinsa to Japan under the great cause of peace between the two countries. This study aimed to clarify organization features and formative changes that Hyeongmyeong showed in different times by reviewing the procession drawings of Joseon Tongshinsa. During the Joseon period, about 100 types of flags belonged to Hyeong. Of them, seen in those drawings are five, which are, Duk, Gyoryonggi, Yeongjagi, Cheongdogi and Sunsigi. These five-type flags were fabricated differently from one another in terms of size, pattern, letter or character, and color. Myeong was supposed to be played by band members, particularly called Chwigosu and Seaksu who were about 50 in total. The players were differently organized in different times, though seldomly changed in total number. During the 17th century when the diplomatic mission was quite political, its procession had Hyeongmyeong organized in a way that the dignity of credentials was mainly focused. In the 18th century when domestic and foreign circumstances of Joseon were stable, Hyeongmyeong was decorated in a more brilliant way, and dividedly assigned among the three top officials of the mission or Samsagwan, resultantly having a higher visual effect on the entire procession of the diplomatic mission and allowing Hyeongmyeong itself to be more stably organized. Joseon Tongshinsa that was last sent in to Japan in the 19th century when dispatching the diplomatic mission declined, had none of such decorative characteristics of Hyeongmyeong as in the previous century. Moreover, structural organization principles of Hyeongmyeong were a little distracted from those applied before. However, there's one thing unchanged from the 18th century. It is that components of Hyeongmyeong were dividedly allocated onto the lines of Jeongsa and Busa, who were respectively director and deputy directors of Joseon Tongshinsa.

      • 1711년 <등성행렬도(登城行列圖)>의 정사(正使) 행렬에 사용된 의물(儀物)과 형명(形名)의 형태와 특징

        이경희 조선통신사학회 2021 조선통신사연구 Vol.32 No.-

        1711년 조선통신사 <등성행렬도>의 정사 행렬에 사용된 의물 과 형명 중에서 의물인 절(節)ㆍ월(鉞), 형명인 둑[纛]ㆍ형명기(形 名旗)ㆍ청도기(淸道旗)ㆍ순시기(巡視旗)ㆍ영기(令旗)의 형태와 특징 을 고찰한 것이다. 조선시대 월은 삼지창 아래에 홍색 상모가 있는 구조이다. 절은 주체의 상부에 창날이 없고, 4개의 기둥이 있는 구형으로 왕의 수 정장과 유사한 형태일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둑은 조선에서 처음 둑제가 시작된 1393년에 홍색 둑과 흑색 둑을 만들어 제사를 지냈다. 군영에서도 『악학궤범』에 보이는 홍 대둑과 흑소둑 양식이 유지되다가, 조선 후기에 홍색 둑은 국왕만 사용하였다. 형명기는 조선시대 군사 깃발에 없어서, 깃발에 그려진 용과 구 름에 준해서 『국조오례의서례』의 대장기(大將旗)와 가장 유사하다 고 보았다. 형명기는 조선 후기에 명대 병서 『기효신서』와 대기치 의 영향으로 홍색 상모와 삼지창이 추가되었다. 정사의 청도기는 청색 바탕에 ‘청도(淸道)’ 두 글자가 있고, 홍 색 화염각이 있다. 순시기는 청색 바탕에 ‘순시(巡視)’ 두 글자가 있고, 위에는 창날이 있다. 영기는 청색 바탕에 홍색 ‘령(令)’ 자가 있고, 위에는 창날이 있다. 순시기와 영기의 사용자를 왕과 군영으 로 구분한 것은 1734년(영조 10)이었다. 깃대에 깃발의 위치를 고정하는 방식을 정리하였다. 깃대에 깃 발의 위에서 첫 번째 끈과 마지막 끈이 닿는 지점에 광두정을 박 고, 깃발의 위에서 첫 번째 끈과 마지막 끈을 광두정에 걸어서 묶 음으로써 깃발의 위치를 고정하였다. 이상의 결과가 1711년 조선통신사 <등성행렬도>에 대한 이해를 돕고, 조선통신사 행렬 재현행사와 콘텐츠 제작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 이원찬의 단일구성 <호도(虎圖)>로 본 조선통신사 회화교류

        이정은 조선통신사학회 2023 조선통신사연구 Vol.36 No.-

        이 글은 이원찬(李元粲, ?~?)의 호랑이 그림을 통해 본 조선통 신사 회화교류에 관한 연구이다. 조선중기 활동화가로 알려진 이 원찬의 작품은 3점이 전하며 모두 호랑이 그림이다. 이원찬의 <호 도>는 현재 한국 부산 국립해양박물관, 일본 오사카 역사박물관, 독일 베를린 국립아시아미술관에 각각 1점씩 소장되어 있다. 이원찬에 대한 본격적 연구는 2021년 시작되었다. 진행된 연구 는 호랑이 도상을 중심으로 한 연구사이고, 이번 연구는 호랑이를 둘러싼 배경에 관한 연구이다. 이원찬의 <호도>는 배경의 유무에 따라 두 가지 유형으로 나눠진다. 산수 배경에 둘러싸여 포효하는 호랑이 모습을 그린 한국 소장본과, 배경 없이 호랑이 단독으로 구성 제작된 일본과 독일 소장본이 그것이다. 본고는 이원찬이 그린 호랑이 그림에 적용된 단일구성에 주목하 였다. 인물 초상화가 아닌 동물을 그린 영모화 이원찬 <호도>의 구성은 독특하고 특별한 양상으로, 한 화면에 그림을 그리고 글을 썼던 문화교류와 연관되어진다. 17세기 등장한 새로운 유형, 이원 찬의 단일구성 호랑이 그림을 문화교류의 장을 연 조선통신사 수 행화원 활동 작품과 함께 살펴 고찰한 연구이다. This article is a study on the exchange of Joseon Tongsinsa paintings seen through Lee Won-chan’s tiger paintings. Lee Won-chan’s works, known as active painters in the middle of the Joseon Dynasty, are all tiger paintings. Lee Won-chan’s “Tiger Painting” is currently housed in the National Maritime Museum in Busan, Japan’s Osaka History Museum, and the National Asian Art Museum in Berlin, Germany. Lee Won-chan’s full-fledged research began in 2021. The research conducted is a research company centered on tiger figures, and this author's research is about the background surrounding tigers. Lee Won-chan’s “Tiger Painting” is divided into two types depending on the background. They include a domestic collection of tigers roaring in the background of landscape paintings, and a Japanese and German collection of tigers alone without a background. This paper focused on the single composition applied to the tiger painting drawn by Lee Won-chan. The composition of Lee Won-chan's Tiger Painting, which depicts animals, not portraits of people, is a unique and special aspect. This article examined a new type of tiger, Lee Won-chan’s single compositional painting, which appeared in the 17th century, along with the work of Joseon Tongsinsa.

      • 노채(勞瘵)와 조선통신사 의학교류 - 의학문답 기록을 중심으로 -

        함정식 조선통신사학회 2021 조선통신사연구 Vol.31 No.-

        역병 유행 시기에 조선 의가는 조선통신사의 일원으로 에도[江 戶]를 방문하여 의학교류를 통해 전염병 질환, 특히 노채 증상 극 복을 위해 협력했다. 특히 일본 의사는 교류를 하며 노채에 대한 지식도 얻고 그것을 바탕으로 더 나은 대책을 마련할 수 있었다. 일본 역병 분야 발전 과정 중에 조선통신사의 의학교류가 학술 적․임상적 발전에 기여했다고 본다. 의학문답에서 일본 의사는 전염성 질환 노채에 대해 반복적으로 물었다. 노채는 18세기 모든 사행의 의학문답에 한 번도 거르지 않은 주제였으며, 계미사행까 지 관심이 줄지 않았다. 신묘사행 때의 노채에 대한 의학문답은 후대(後代) 사행에서 자주 거론되는 전형이 되었다. 당시 기두문의 설명은 간략했고 기해사행 당시 권도의 답변은 상대적으로 발전된 모습을 보였다. 권도의 답변만으로 온전한 평가를 내리기 어렵지 만, 적어도 기해사행의 의학교류가 신묘사행 교류에 비해 의가의 수준이 향상되고 성숙되어 가는 양상을 보였다. 무진사행 때는 고 방파가 문답에 참여하기 시작했고, 무진사행부터 15년 후인 계미 사행 시기에 일본 의사의 학문적 경향이 다양해졌다. 이때 의학문 답에 참여한 일본 의사는 이전 사행 때의 노채 관련 기록을 적극 활용했다. 가령, 노채 치료에 요코타 준타[橫田準大]가 최씨사화혈 (崔氏四花穴)을 언급했는데, 무진사행 시 언급했던 니와 세이하쿠 [丹羽正伯]의 영향을 받은 것이다. 전대(前代) 사행의 노채 관련 기록이 후대에 어떻게 활용되는지 알려주는 사례다. 한편, 의학문 답에 참여한 인사가 의사 신분이었다고 간주하는 경향이 있다. 의 학문답이기에 참가자는 의원(醫員) 신분이 당연한 것이라 생각할 수 있으나 현전하는 의학문답 기록을 보면 꼭 그런 것도 아니다. 의사가 아닌 일반 문사가 참여한 경우도 많았고 문사들로만 의학 문답이 진행되기도 했지만, 노채 의학문답에 참여한 사람만큼은 예외 없이 의사들이 참가했다. 노채가 의학 관련 주제 중에서도 고도의 전문성이 필요했던 이유라 생각한다. 끝으로, 노채 의학문 답 기록 중 사본 기록에 오류가 보이는데, 『상한필어(桑韓筆語)』에 는 기본적인 이법방약(理法方藥)에서조차 오류가 발견된다. When an infectious disease was raging, Korean doctors as a member of ‘JoseonTongsinsa(朝鮮通信使)’ delegation visited Edo(江戶). Korean and Japanese doctors tried hard to overcome infectious disease through the medical exchange in ‘JoseonTongsinsa’ delegation. In the course of developing the field of contagious disease in Japan, I think the medical exchange between Korean and Japanese doctors as a part of ‘JoseonTongsinsa’ contribute the success of academic and clinical progress in medical field. ‘Nochae(勞瘵)’ is an infectious disease and similar to tuberculosis. Japanese doctors asked Korean doctors lots of questions on ‘Nochae’ in medical exchange in ‘JoseonTongsinsa’ delegation. To state the obvious, they paid attention to the ‘Nochae’ Restricted to the 18th century, ‘Nochae’ disease was the subject it’s never omitted in ‘medical questions and answers’ between Korean and Japanese doctors every ‘JoseonTongsinsa’ dispatch. I assured Japanese steady interest about ‘Nochae’ disease through this research. The attention concerning ‘Nochae’ disease lasted to the end of the delegation. First of all, the ‘medical questions and answers’ on ‘Nochae’ in Sinmyo(辛卯) envoys served as a role model for other envoys. Because Gidoomoon(奇斗文)’s explanation in ‘medical questions and answers’ in SinMyo envoys on ‘Nochae’ was too short, Gwondo(權道)’s answer in Gihae(己亥) envoys was judged more detail and improvement medically than Gidoomoon’s. Gwondo’s answer in Gihae envoys is also fragmentary,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make a full evaluation. But, at least the medical exchange in Gihae envoys more than that in Sinmyo envoys has shown improving medical standard. At that time of Mujin(戊辰) envoys, ‘Gobangpa(古方派)’ tendency doctors began taking part in the medical questions and answers. In Gyemi(癸未) envoys, fifteen years later from Mujin envoys, the academic trends of Japanese doctors have diversified. At this time of Gyemi envoys, Japanese doctors participated in the medical questions and answers actively used the records of medical questions and answers related ‘Nochae’ in previous envoys. For example, Treating the ‘Nochae’ in the medical questions and answers of Gyemi envoys, Dr. YokotaJunta(橫田準大) refer to ‘Chaessisahwahyeol (崔氏四花穴)’ moxibustion treatment. I think these are most clearly reflected in the medical questions and answers mentioned about ‘Chaessisahwahyeol’ moxibustion treatment in Mujin envoys. This is the example that inform us how Japanese doctors should use the records of medical questions and answers related ‘Nochae’ in previous envoys. We tend to think the people who participated in ‘medical questions and answers’ of ‘JoseonTongsinsa’ are only doctors without exception. Because of the questions and answers related medical, we take it for granted that the participant in medical questions and answers are only doctors. Nevertheless, according to the records remaining medical questions and answers in the medical exchange between Korean and Japanese doctors, that’s not necessarily the case. In the case of Japanese participants, there were quite a few cases in which men of letters not doctors participated in the ‘medical questions and answers’ related common disease. On some occasion, the medical questions and answers on general disease was carried out by only men of letters comprised of both Korean and Japan. People who participated in the medical questions and answers on ‘Nochae’ disease was no exception. Only doctors were present in the medical questions and answers on ‘Nochae’ disease. I estimate the subject related ‘Nochae’ disease among medical questions and answers requires a lot of professionality. Lastly, I assured to be a very basic error in the manuscript records of medical questions and answers related ‘Nochae’. Whatever the reason, there are wrong letters in Sanghanpilyeo (桑韓筆語) which is made up of the medical questions and answers on ‘Nochae’ in Gyemi envoys.

      • 18세기 조선 문인과 일본 남화가(南畫家)의 교유, 그 환경과 조건

        김현권 조선통신사학회 2023 조선통신사연구 Vol.35 No.-

        18세기 통신사행에 참여한 조선 문인은 자신들의 사상에 기초 하여 일본 인식을 보여주었다. 우선 신묘통신사행(1711)과 기해통 신사행(1719)을 이끈 소론과 북인계 남인 관료는 일본을 상대화 시켜 인식하려고 했으며, 도문분리(道文分離) 경향을 보여주었다. 특히 일부는 소라이학파[徂徠學派]와 공감대를 형성하기까지 했 다. 다만 두 사행이 이루어질 당시 외교환경은 차이가 났다. 그래 서 조선 문인은 신묘사행 때 남화가 중에 주자학을 따른 기온 난 카이[祇園南海]와 교유하였다. 반면 무진통신사행(1748)은 노론이 주도하고 매사(梅社) 동인 에 속한 소론 등이 가세하였으므로 주자학의 관점으로 일본을 파 악하려는 움직임이 주를 이루었다. 그러므로 일본 인식은 이전 사행보다 좀 더 부정적이다. 또한 당시 사행한 관료는 부류에 따 라 재도론(載道論)과 도문분리적인 경향을 가졌을 것이며, 문인화 관점으로 일본회화를 바라보았다. 이러한 이유로 조선 문인과 사 상적 성향이 두드러지지 않은 이케노 타이가[池大雅]의 만남만이 확인된다. 계미통신사행(1763)은 한일 회화교류의 중요한 전환점이다. 사 행을 이끈 조선 문인은 주로 노론이며, 나머지 문인들도 대부분 노론 낙론계인 김창협 형제와 관련되어 있다. 이들은 기본적으로 주자학의 시선으로 일본을 평가하였으며, 특히 고학(古學)에 대해 부정적이었다. 그러면서도 인물성동론(人物性同論)에 근거한 상대 주의 관점을 보여주었다. 그리고 재도론(載道論)을 주장하는 가운 데 일부 도문분리적인 경향을 가졌다. 이는 성대중이 키무라 켄카 도[木村蒹葭堂]에게 <겸가당아집도(蒹葭堂雅集圖)>를 부탁하는 교 유가 일어나게 했다. 이 교유는 훗날 친교로 이어졌다. Through four-time dispatches of Tongsinsa(diplomatic envoy) during the eighteenth century, Joseon literati developed their awareness of Japan, encountering the external environment based on their own ideology. Firstly, the envoys led by the Soron faction(少論) or their party in 1711 and in 1719 attempted to perceive Japan by relativization and had a tendency of Domunbulli(Tao and Literature is independent). Some of them even formed a sympathy with Sorai School. However, diplomatic environments during the time of those two dispatches were completely different. The circumstances were inevitable condition for Joseon literati to associate with Nanga painters. While Gion Nankai(祇園南海) and Hattori Nankaku(服部南郭) could be referred to this condition, Joseon literati had a companionship with Nankai. Unlike previous dispatches, the envoys directed by the Noron faction(老論) and assisted by Soron faction who belonged to Measa(梅社, gathering for plum blossom poetry) in 1748 mainly focused on being aware of Japan from the perspective of Neo-Confucianism, which made their awareness much more negative. The field of Kogaku(古學), in particular, was intensely criticized. Joseon literati might hold the position for Jaedo Theory(Theory of literature as the vehicle of the way) or a tendency of Domunbulli as per their categories, while they would appreciate Japanese paintings with a viewpoint of literary paintings. This consideration and artistic theory had made Joseon literati not to associate with Yanagisawa Kien (柳沢淇園) who was related to Sorai school. However, it is confirmed that they had met Ikeno Taiga(池大雅) who showed inexplicit ideological inclination. The dispatch of envoys in the year of 1763 led by Noron faction marked a significant turning point in artistic exchange between Joseon and Japan. Joseon literati from the dispatch identified Japan with Sozhonghua(Little Sinocntrism) and Jonjudaeui Study(The cardinal principle revering the Zhou) as well as Neo-Confucianism. They were negative to Kogaku. In addition, most of them were Nakron School involving with Kim Chang-hyeop brothers. They perceived Japan with a relativist view based on the argument of the sameness between human nature and material nature. Among them, as Won Jung-geo and Seong Dae-jung mostly claimed Jaedo Theory while having a tendency of Domunbulli, they maintained a positive perspective toward Nanga paintings. As a result, Kenkado-Ajip-Do(Kenkadō gashūzu, 蒹葭堂雅集圖) which Seong asked Kimura Kenkado to paint showed some tendency of Joseon paintings. In 1776, two years after the envoy returned to Joseon, a letter was delivered to Nam Ok, which had never been seen or done before between the two countries. Lastly, their performance and way of thinking had a substantial impact on Bukhak Schoolers including Hong Dae-yong to form their awareness of Japan.

      • 계미통신사 필담집 『양호여화(兩好餘話)』에 대하여

        장진엽 조선통신사학회 2020 조선통신사연구 Vol.30 No.-

        『양호여화(兩好餘話)~는 1763 년 계미통신사(제 11 차 통신사) 필 담집으로, 여타의 펼담창화집 자료에 비해 수록된 필담의 분량이 많고 다루고 있는 대화 주제 또한 다양하여 연구자들의 주목을 요 하는 자료이다. 이에 본고는 이 책의 구성과 내용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고 그 자료적 가치에 대해 밝히고자 한다. 『양호여화』는 에도시대 중기의 유학자인 오쿠다 모토쓰구[典田 元繼, 호 센로 I 仙樓]] 및 그 문도(門徒) 구 사다카네[짧貞課], 가 쓰 겐샤쿠[勝元網]가 계미통신사 사행원들과 나눈 펼담을 엮은 책 이다. 본문에서는 이 책의 구성상의 특정과 함께 『양호여화』 수록펼담의 내용을 네 개 측면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먼저 서발문에 나타난 센로 일행의 조선 및 통신사에 관한 인식을 살펴보았다. 이어서 학문과 문학에 관한 저자 및 그 문인들의 견해, 그라고 이 에 대한 조선 문사들의 대응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양호여화』 에서 언급된 서적의 목록을 제시하고, 서적에 대한 정보 교환과 훈고라는 측면에서 양국인의 대화를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풍 속·제도·물산에 관한 고증 차원의 질문을 검토하였다. 이어서 『양호여화』의 자료적 가치는 다음의 다섯 가지로 제시하 였다. 첫째~양호여화』는 펼담 위주로 편집된 자료로서, 대화 주 제를 목록으로 작성하고 항목별로 본문을 구성했다는 점이 독특하 다. 둘째~양호여화』에 수록된 세 편의 서발(序없)에서 조선인의 의관(衣冠) 및 한문 실력에 대한 선망과 그들의 시문에 대한 펌하 가 동시에 나타난다는 점이 주목할 만하다. 셋째~양호여화」의 저 자 오쿠다 모토쓰구는 주자학자로 알려져 있으나 이 책의 필담을 통해 그가 고학파(古學派)인 다자이 윤다이 [太宰春좁]의 학술을 존숭하는 인물임을 알 수 있다. 이는 다른 펼담집에서는 발견되는 않는 사례이다. 넷째 『양호여화』에는 중국·조선·일본의 서적들이 다양하게 인용되어 었다. 이를 통해 당시 일본 문인들이 어떤 경 로를 통해 조선에 관한 지식을 얻었는지, 또 그들의 독서 경향은 어떠했는지를 파악할 수 있다. 다섯째, 양국의 풍속과 제도, 물산 에 관한 대화는 다른 펼담집에서도 나타나는 주제이지만, 이 책에 서는 화제의 범위가 특히 다양하고 여러 전거를 활용하여 상세한 고증을 시도하고 있다는 점이 특기할 만하다. 끝으로 조선후기 문 학사의 중요한 시인 중 한 명인 이언진(李彦預)의 펼담이 수록되 어 있다는 점을 이 책의 가치 중 하나로 들 수 있다. 이외에도 『양호여화』에는 관련 분야 연구자들의 흥미를 끌 만한 대화들이 적지 않게 수록되어 있다. 향후 통신사 맞 관련 분야의 연구에서 이 책이 폭넓게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As the written conversation anthology of Chosõn’s 1763 mission to Japan, and the eleventh such mission, Ryököyowa (Lingering Conversations Between Two Friendly Neighbors, 兩好餘話) is notable for having more written conversations on various topics than others of its kind. 1t thus demands the attention of scholars, and as such this study examines the source’s structure and content to highlight its research value. Ryököyowa compiles conversations Japanese literati such as Okuda Mototsugu( 典田元繼), Ku Sadakane(魔貞讓), and Katsu Genshaku(勝元繹) had with members of the 1763 Chosõn mission. This study broke down and analyzed the book’s structure and content in four aspects. First, it examined the perception of Chosõn and the mission shared by Okuda and his peers in the book’ s forewords and afterword. Next, it observed the opinions of the author Okuda on scholarship and literature, as well as the response of the Chosõn scholars. The study then surveyed the works mentioned in Ryököyowa and focused on conversations on exchanging information and commentaries regarding them. Finally, the study investigated questions of historical research regarding customs, systems, and local products in the book. Ultimately the study demonstrates that Ryõkõyowa is valuable as a source for five reasons. First, as the book is mainly composed of written conversations, it arranges them by topic and then lists the conversations as entries. Second, the two forewords and afterword are interesting for simultaneously envying the dress and literary Sinitic skills of the Chosõn envoys while belittling their poetry. Third, although Okuda Mototsugu, the book’s author, was known to be a Neo-Confucian, the book reveals he respected the scholarship of Dazai Shundai of the Sorai school, an example unique only to this written conversation anthology. Fourth, the Ryõkõyowa cites various works from China, Chosõn, and Japan, illustrating the intellectual roadways Japanese scholars acquired through Chosõn, as well their reading preferences. Fifth, although other anthologies also have conversations on the customs, systems, and local products of Chosõn and Japan, this book covers a wide range of topics and attempts to be historically accurate by including many references. Lastly, the book is also valuable for having the written conversations of one of late Chosõn’s important literati, namely the poet Yi Onchin. In addition, Ryõkõyowa contains many other conversations on topics sure to interest other scholars in related fields. It is bound to be a valuable source for future research on Chosõn missions and other such area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