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銃後における民衆動員の実態 - 『寺門治平日記』を中心に -

        김현아 한양대학교(ERICA캠퍼스) 일본학국제비교연구소 2022 비교일본학 Vol.55 No.-

        This paper explored how the general public supported outgoing soldiers, fallen soldiers and their bereaved families on the home front during the all-out war period, based on the “Diary of Chihei Terakado.” It was aimed at looking into the actual situation of public mobilization by focusing on the three types of ceremonies-praying for good luck, seeing-off outgoing soldiers, and picking up remains and village funerals–comparing the changes in the home front support during the Sino-Japanese War and the Pacific War. In Nukata Village, public mobilization took two forms: praying for good luck and worshiping at a shrine. The former was primarily led by the family and the village itself while the latter was joined by neighbors of the outgoing soldiers. This suggests that public mobilization was more active for worshiping at a shrine, according to the diary. The ceremony to see soldiers off was held in such a grand way that their family members and villagers gathered at the town hall to give them three cheers, and then villagers escorted soldiers to the final departure point to see them leave. According to the diary, the remains of fallen soldiers were picked up at Nukata Station, where villagers saw off soldiers, and it was typical that villagers participated in a home funeral in the morning and a village funeral in the afternoon. It was also found that as the number of casualties increased more than during the Sino-Japanese War, elementary schools served as an important venue for the home front support during the Pacific War. 본 논문은 총력전체제기에 민중이 출정 병사와 전사자, 그 유가족에게 어떠한 총후 후원을 했는지 “데라카도 치헤이 일기(寺門治平日記)”를 통해 분석하였다. 무운장구 기원, 출정과 배 웅, 유골마중과촌장(村葬) 이세가지의식에초점을맞추어민중동원의실태파악및총 후 후원이 중일전쟁기와 태평양전쟁기에 어떠한 변화가 있었는지 비교하는 데에 연구의 목적 을 두었다. 누카타무라(額田村)의 무운장구 기원은 천사참배(千社參拜)와 무운장구 기원제라는 두 가지 형태로 동원이 이루어졌는데. 천사참배는 출정 병사의 이웃 사람들에 의해 이루어졌던 반면 에 무운장구 기원제는 가족 및 마을 주체로 이루어졌다. 이를 통해 누카타무라의 무운장구 기원은 천사참배의 민중 동원이 더 활발히 행했졌음을 논했다. 출정과 배웅은 출정 병사의 가족과 마을 사람들이 출정 병사를 앞에 두고 만세삼창을 하는 등 성대한 의식 속에 이루어 졌으며, 이웃 사람들은 출정 병사의 최종 출발지까지 배웅하였다. 전사자의 유골 마중은 출정 을 배웅했던 누카타역(額田駅)에서 이루어졌으며, 마을 사람들은 촌장이 진행되는 날 오전에 는 자택장(自宅葬)에 참여하고 오후에는 촌장에 참석하는 것이 정형화된 사실이었음을 언급 했다. 그리고 태평양전쟁기의 총후 후원은 중일전쟁 무렵과 비교해 전사자의 증가로 인하여 국 민학교가 총후 후원의 중요한 무대가 되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요괴색깔의 상징성에 관한 한일비교연구 - 아카오니(赤鬼)와 아오오니(青鬼)를 중심으로 -

        금영진 한양대학교(ERICA캠퍼스) 일본학국제비교연구소 2017 비교일본학 Vol.39 No.-

        In this paper we compared and discussed the symbolism of red demons and blue demons in Korean and Japanese classic literature. As a result, the following fact was found out. First, Korea's red demons put on women's clothes. However, the color of red demons is a result of change. And the fireball symbolizes obsession in Korea and Japan. Also, Korean blue demons symbolize the messenger of hell or young boy. Second, I Knew that the assortment of red demons and blue demons changed from the assortment of red and green demons, And, red and green demon's assortment changed from red and black demons.I supposed that the blue demon came from Mazu(goddess)'s subordinate who is a water fairy. Because the color of water is not green but blue and Mazu is a ocean's goddess. It is the reason that the color of blur demon's not green but blue. Third, red demon is superior to blue demon and this idea came from kabuki's kumadori. Because the face of the hero is red, and the face of character of villain is blue in kabuki's kumadori. It is the reason that Japanese leader of demon's is wearing red cloths or his skin is red. 본 논문에서는 한일양국 고전에 보이는 오니의 적색과 청색의 색채 상징성을 비교 고찰 하였다. 그 결과 다음의 사실들을 알 수 있었다. 첫 번째로, 한국 고전에서의 적귀는 주로 여성의 적색 의복을 입은 모습으로 그려지며, 남쪽을 가리키는 방위성 말고도 죽은 사람의 기괴함을 강조하는 모습으로 나타났다. 한편, 일본 고전에서는 오니로 변신할 때 바뀌는 색으로 그려지는 경우가 많았다. 붉은 화염이나 히노타마(火の玉)의 경우, 분노 말고도 집착을 상징한다는 점에서 한일 양국이 공통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한국 고전에서의 청귀는 저승사자의 하인이나 어린 동자의 이미지로 그려 지는 경우가 많았다. 반면 일본 고전에서는 아오오니가 아카오니와 마찬가지로 집착을 상징함을 알 수 있었다. 그러한 특성은 파란색 오니비(鬼火)에서도 또한 나타났다. 두 번째로, 오늘날 우리가 알고 있는 아카오니와 아오오니의 조합에서 보이는 적색과 청색이 실은 빨강과 검정→빨강과 초록→빨강과 파랑의 변천단계를 거쳤음을 알 수 있었다. 불교 경전과 중세 설화집에서 보이는 첫 번째 조합패턴과, 에마키 등에서 보이는 두 번째 패턴이 오늘날의 세 번째 패턴으로 바뀌게 된 것은 중국에서 들어 온 마조신앙속의 금의 요정인 적귀와 물의 요정인 청귀 및 가부키의 구마도리에 보이는 빨강과 파랑의 대립적인 우열조합에서 기인한 것일 가능성을 유추하였다. 세 번째로, 고대 일본사회에서의 파란색 복식 우위의 신분서열 상징성이 오니의 세계에 서는 점차 무너져 빨강이 파랑(또는 초록)보다 우위의 지위를 점하게 되었음을 알게 되었 다. 슈텐도지 에마키에서의 대장 오니의 적색과 부하 오니의 청색, 모모타로 후일담에서의 대장 오니의 적색과 아들 오니의 흰색이 그 증거이다. 그리고 가부키에서 주인공의 얼굴을 붉게 칠하는 구마도리가 그러한 신분서열 상징성의 발생에 향을 준 것이 아닐까 추정된다. 그리고 그 영향은 오늘날 일본의 5인 이상의 악당을 물리치는 주인공 캐릭터가 등장하 는 센타이모노(戦隊もの) 애니메이션에서 리더 역할을 하는 주인공이 왜 항상 적색 옷을 입는지에 한 이유로서 나타남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한(恨)과 모노노아와레의 비교연구 - 종교미학적 ‘반대의 일치’ -

        박규태 한양대학교(ERICA캠퍼스) 일본학국제비교연구소 2022 비교일본학 Vol.55 No.-

        Han and Monono-aware have things in common, in that both the two are respeHan and Monono-aware have things in common, in that both the two are respectively related to the essential identity of Korea and Japan. In addition, this essay pays attention to the concepts such as “religio-aesthetics” and “coincidentia oppositorum”. Religio-aesthetics means an aesthetic sense getting along with religious ethos. For example, Han might be considered as a kind of sadness which comes from the background of Korean shamanistic or Confucian culture, while Monono-aware is the one which has something to do with Japanese Shinto or Buddhism. They especially show “coincidentia oppositorum”, a situation in which the existence or identity of a thing depends upon the co-existence of at least two conditions which are opposites to each other, yet dependent on each other and presupposing each other within a field of tension. The main purpose of this essay is to comparatively investigate both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of Han and Monono-aware from the point of “religio-aesthetics” and “coincidentia oppositorum”. In so doing, I would like to shed light on the paradoxical relationship between Korean and Japanese culture, referring to the views of nature in two countries. ctively related to the essential identity of Korea and Japan. In addition, this essay pays attention to the concepts such as “religio-aesthetics” and “coincidentia oppositorum”. Religio-aesthetics means an aesthetic sense getting along with religious ethos. For example, Han might be considered as a kind of sadness which comes from the background of Korean shamanistic or Confucian culture, while Monono-aware is the one which has something to do with Japanese Shinto or Buddhism. They especially show “coincidentia oppositorum”, a situation in which the existence or identity of a thing depends upon the coexistence of at least two conditions which are opposites to each other, yet dependent on each other and presupposing each other within a field of tension. The main purpose of this essay is to comparatively investigate both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of Han and Monono-aware from the point of “religio-aesthetics” and “coincidentia oppositorum”. In so doing, I would like to shed light on the paradoxical relationship between Korean and Japanese culture, referring to the views of nature in two countries. 한과 모노노아와레는 그 근저에 있어 한일 양국 문화와 아이덴티티 구조의 핵심이라는 공 통점을 가진다. 하지만 이와 아울러 본고가 한과 모노노아와레에 주목하는 보다 본질적인 계 기가 있다. ‘종교미학’과 ‘반대의 일치’라는 개념이 그것이다. 이때 ‘종교미학’이란 문화적 가 치(세계관)를 심층적으로 결정짓는 것이 다름 아닌 종교의식과 미의식이라는 이해에 입각하 여, 한과 모노노아와레가 각각 무교와 유교 및 신도와 불교 등의 종교적 에토스와 밀접하게 연동하는 미의식이라는 점에 착목한 용어이다. 가령 한이 무교문화 및 유교문화를 밑그림으 로 하여 생겨난 한국적 슬픔의 미의식이라면, 모노노아와레는 신도와 불교가 뒤섞인 신불습 합 문화에서 비롯된 일본적 슬픔의 미의식이라 할 수 있다. 그것들은 공통적으로 ‘반대의 일 치’ 즉 “서로 상반되거나 모순되는 요소들이 혼재함으로써 생겨나는 갈등이나 투쟁 상황을 지양・조화・통합시킴으로써 해소하려는 종교적・미학적・사상적・문화적 경향”을 드러낸다. 본고 의 일차적 목적은 이와 같은 ‘종교미학’과 ‘반대의 일치’의 관점에서 한과 모노노아와레의 공 통점과 차이점을 비교 검토함으로써 한일 문화의 역설적인 관계를 규명하는 데에 있다. 이와 아울러 본고는 거기서 더 나아가 한과 모노노아와레의 비교 결과를 한일 양국의 자연관에 비 추어 봄으로써 궁극적으로 한일간 문화적 접목의 가능성에 대해서도 생각해 보고자 한다.

      • KCI등재

        한일 중소기업 DX 지원정책에 관한 연구 - cooper’s 다차원 정책분석모델을 통한 비교분석 연구 -

        송정현 한양대학교(ERICA캠퍼스) 일본학국제비교연구소 2023 비교일본학 Vol.57 No.-

        Associety'sdigitalizationprogresses,companies'abilitytoutilizedigitaltechnology has emerged as one of the important factors that determine their competitiveness. However, in the case of SME that are difficult to invest their budgets in digital transformation, digital transformation is slower than that of large companies, which causes management deterioration of SMEs in the mid to long term. Accordingly, countries around the world are making efforts to promote DX for small and medium sized enterprises.Accordingly,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DX support policies for SME in Korea and Japan using Cooper's four dimensional model and derived implications for Korea.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At the Normative dimension, it was common that the Korea Japan SME digital transformation support policy was introduced to improve SME’s productivity and strengthen manufacturing competitiveness against the backdrop of the widening digital gap between SME and large companies.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Korea, goals such as job expansion and industrial accident reduction were pursued at the same time, and in the case of Japan, there is a difference in that a wide range of support policies such as management support and cybersecurity were established. At the Structural dimension, both countries have something in common that supports SME digital facility investment, but in Korea, a level check and consulting budget were set up separately, and in Japan, support for purchasing peripherals such as computers and tablet PCs was made. At the Constitutive dimension, both countries have something in common that the central government led digital transformation of SMEs took place, but in Korea, several government ministries were involved, and in Japan, a single ministry was involved. Another difference was that Korea's relatively emphasized the role of the state in the digital transformation of SME.At the Technical dimension, both countries have prepared indicators to evaluate the degree of digital transformation of SME. On the other hand, in Korea, government agencies quantitatively evaluated the performance of support projects, but in Japan, there was a difference that companies were encouraged to judge the degree of digital transformation themselves. 사회의 디지털화가 진전됨에 따라 기업의 디지털기술 활용 역량은 기업의 경쟁력을 결정 짓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로 부상하게 되었다. 하지만 디지털 전환에 예산을 투입하기 어려 운 중소기업의 경우 대기업에 비해 디지털 전환이 더디고, 이는 중장기적으로 중소기업의 경 영악화를 야기하게 된다. 이에 세계 각국은 중소기업의 DX 촉진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Cooper’s 다차원정책분석모델을 활용하여 한국과 일본의 중소기업 DX 지 원정책을 비교분석하고 한국에의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규범적 차 원의 경우, 한일 중소기업 디지털 전환 지원정책은 중소기업 대기업 간 디지털 격차 심화를 배경으로, 중소기업 생산성 향상 및 제조업 경쟁력 강화를 목적으로 도입되었다는 점은 공통 적이었다. 반면 한국의 경우 일자리 확대, 산업재해 감소 등의 목표를 동시에 추구하였고, 일 본의 경우 경영지원, 사이버 보안 등 폭넓은 지원정책을 수립하였다는 차이점이 존재한다. 구 조적 차원의 경우 양국 모두 중소기업의 디지털 설비투자를 보조한다는 공통점이 있으나, 한 국의 경우 수준확인, 컨설팅 예산을 따로 편성하였으며, 일본의 경우 컴퓨터, 태블릿 PC 등의 주변기기 구매 지원까지 이루어졌다는 차이점이 나타났다. 구성적 차원의 경우, 양국 모두 중 앙정부 주도의 중소기업 디지털 전환이 이루어졌다는 공통점이 있으나, 한국의 경우 여러 정 부부처가 관여하였고, 일본의 경우 단일 부처가 관여하였다는 점이 차이점으로 나타났다. 또 한 중소기업의 디지털 전환에 있어 한국이 상대적으로 국가의 역할이 강조되었다는 점도 차 이점으로 나타났다. 기술적 차원의 경우 양국 모두 중소기업의 디지털 전환 정도를 평가할 수 있는 지표를 마련하였다는 공통점으로 나타났다. 반면 한국은 정부기관이 지원사업의 성 과를 정량적으로 평가하였으나 일본은 기업 자체적으로 디지털 전환 정도를 판단하도록 유도 하고 있다는 차이점이 나타났다.

      • KCI등재

        サイバー大学におけるスマートラーニングの縦断的変化

        황영희 한양대학교(ERICA캠퍼스) 일본학국제비교연구소 2022 비교일본학 Vol.55 No.-

        In this study, I have contemplated the issues derived from changes in smart learning at H Cyber University, where the paradigm of Japanese education is rapidly changing with the spread of mobile devices and the introduction of metaverse learning. I analyzed the results of questionnaire surveys conducted 6 times over the past 11 years targeting Japanese studentsatHCyber​U​ niversity, and compared the characteristics of cyber campuse severy two years. The future direction can be presented as data that shows changes in smart learning in online education. From questions composed of ‘usage status of smart learning for Japanese students, number of days connected, favorite function, connected area, weight of learning by device, usage method, reason for using mobile learning, satisfaction level, effective menu, types of lectures’, I analyzed changes in their awareness and attitudes, and found the following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what is required for the activation of smart learning. (a) Interest of learners and frequency of using smart learning have been increasing again after declining. (b) Due to the technological development of smart learning support system, the environment is becoming the same as taking classes on a PC, such as attendance, quizzes, and discussions. ‘Identity verification, login authentication, complexity of operation, system errors, insufficient aspect of screen ratio and function, video content for mobile, difficulty in taking classes with Apple iPhone, etc.’ should be improved. In terms of operations, the demand for realtime testing has not yet been resolved. (c) In order to increase student satisfaction, we are still not satisfied with feedback and interaction through SNS tools. Therefore, in Japanese education smart learning, it is necessary to accelerate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a learner participatory model using new learning tools, and a chatbot system that links big data and AI as a smart feedback and smart community. 본 연구에서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확산과 더불어 메타버스 학습이 도입되기 시작하는 등 일본어교육의 패러다임 전환이 급속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사이버대학의 스마트러닝의 변화에서 도출된 과제에 대해 고찰하였다. 지난 11년간 6번에 걸쳐 H사이버대학교의 일본어 수강생을 대상으로 실시한 앙케이트 조사의 결과를 분석하여 사이버캠퍼스의 2년 간격의 특징을 비교하였다. 이로써 온라인교육에서 스마트러닝의 변화를 알 수 있는 데이터로서 앞으로의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일본어 수강생에게 ‘이용실태, 접속일수, 선호하는 기능, 접속지역, 디바이스별 학습비중, 이용방식, 모바일러닝을 이용하는 이유, 만족도, 효과적인 메뉴, 강의유형’ 등으로 구성된 질문을 통해 의식과 태도의 변화를 분석하고 스마트러닝의 활 성화를 위해 요구되는 점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a) 학습자의 스마트러닝에 대한 관심과 이용빈도는 낮아졌다가 다시 높아지고 있다. (b) 학습지원시스템을 포함한 스마트러닝의 기술적인 발전에 따라 출석, 퀴즈, 토론 등 컴 퓨터에서 수강하는 동일한 환경으로 바뀌고 있지만, ‘본인 확인, 로그인 인증, 조작의 복잡성, 시스템의 에러, 화면 비율과 기능의 불충분, 모바일용 동영상 콘텐츠, 애플아이 폰으로 수강이 곤란함’ 등이 개선점으로 남아있다. 또한, 운영적인 측면에서 아직 모바일에 의한 실시간시험에 대한 요망도 해결되지 않고 있다. (c) 학습자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SNS학습툴을 이용한 피드백과 인터랙션에 대해서는아직까지 만족스럽지 못한 실정이다. 이에 일본어교육 스마트러닝에서는 새로운 학습도구를 활용한 학습자참가형 모델, 스마트피드백과 스마트커뮤니티로서 빅데이터와 AI를 연동한 챗봇시스템 개발 등을 서둘러야 한다.

      • KCI등재

        조선 예술 잡지 『아침(朝)』(1926년) 연구 - 아사카와 노리타카(浅川伯教)와 백자를 중심으로 -

        엄인경 한양대학교(ERICA캠퍼스) 일본학국제비교연구소 2017 비교일본학 Vol.39 No.-

        This paper examines Japanese Joseon art critics’ discourses on Joseon art in the mid- 1920s in the art magazine The Morning, with a focus on articles by Noritaka Asakawa, a revered figure in the world of Joseon pottery. Launched in 1926, The Morning discussed contemporary Joseon music, drawing and literary art that emphasized local Joseon tastes, trends, and color. In the mid-1920s, a group of Japanese critics who were living on the Korean peninsula and were prominent in Joseon’s painting and architecture circles aesthetically evaluated the static, monotonous, and uneasy feelings of Joseon art through reviews in The Morning. The reviews seemed to largely embrace Muneyoshi Yanagi’s feelings of the “beauty of sorrow” of the art of Joseon. However, in a review demonstrating his own unique views of Joseon art, Noritaka acknowledged the aesthetic value of Joseon art represented by white porcelain in terms of vitality, stability, and dimensional sensibility. 이 논문은 1926년에 창간된 조선 예술 잡지 『아침』의 현존본을 통해, 아사카와 노리타카를 비롯한 재조일본인들에 의해 개진된 1920년 중반 조선 예술 담론을 검토한 것이다. 『아침』은 ‘조선색’을 강조한 시가와 수필 등의 문예물, 음악과 미술이라는 세 범주에서 당시의 조선 예술을 종합적으로 논하고자 한 잡지이다. 1920년 중반 조선의 회화나 건축에 가장 조예가 깊었던 재조일본인들은 이 잡지의 평론을 통해 조선의 예술에 대해 가진 정적이고 단선적이며 불안한 애상감을 미적으로 평가하는데, 이는 야나기 무네요시의 조선 예술관인 비애의 미 개념을 수용한 것으로 보인다. 『아침』은 표지부터 사진, 혹은 삽화 커트에 이르기까지 아사카와 노리타카에 의해 제공된 백자가 주요 소재로 사용되어 조선 예술품의 대표 주자로 배치되어 있다. 노리타카 역시 조선 특유의 미를 인정하고, 조선 예술 과 문화의 파괴에 대해 비판하며 야나기 무네요시와 공명하다는 점에서 재조일본인들과 공통적이다. 하지만 백자로 표되는 조선 예술에 생명력, 안정감, 입체감, 실용성 측면에서 미적 가치를 인정한 점은 노리타카 특유의 조선예술관임을 알 수 있다. 『아침』은 1920년 중반 조선 고유의 예술과 미에 관해 미술, 음악, 시가 등의 문예 방면에서 생생한 정보를 담고 있는 잡지이므로 향후로도 고찰의 필요성이 다대한 자료라고 하겠다.

      • KCI등재

        「というのは」의 사용양상 분석 - 文頭의 쓰임에 주목하여 -

        안선주 한양대학교(ERICA캠퍼스) 일본학국제비교연구소 2023 비교일본학 Vol.59 No.-

        본 연구에서는 「というのは」를 중심으로 이와 관련된 「というのも」, 「なぜなら」의 문 속 쓰임 을 살펴보았다. 「というのは」는 文中에서건 文頭에서건 어떤 문말표현과 접속되는가에 따라 그 의미가 달라지는데, 사전적인 해설에 기초하여 실제 쓰임을 확인해봄으로써 「というのは」 의 구체적인 사용양상을 알아볼 수 있었다. 文中에서의 「というのは」는 「...というのは...ということだ」, 「...というのはNのことだ」, 「Nというの は...だ」의 형태로써 각각 전건에 대한 해석, 전건에 대한 정의, 그리고 주제를 나타내게 된다. 그리고 이유의 접속사로 취급되는, 文頭에 오는 「というのは」는 「というのは...[から/の]だ」 거나 「というのは...だ」형태로 쓰여, 이유나 정황설명 그리고 전건에 대한 주관적인 해석을 후 건에 나타낸다. 이때의 후건은 장황스러운 만연체인 경우가 많다. 이와 관련된 文頭의 「という のも」는 전건에 대한 강조, 「なぜなら」는 직접적인 명확한 이유라는 점이 文頭의 「というのは」와의 차이라고 할 수 있다. 문 속에서 볼 수 있는 文頭의 「というのは」는 일본어대역에서는 잘 나타나지 않는데, 이유의 다른 표현이 있다거나 「というのは」의 후건의 장황함 등에 의한 것이 아닐까 생각된다. 또한 일본어에는 「というのは」 외에도 「ということは」, 「というより」 등과 같은 인용의 「という」와의 결합어구가 文頭에 오는 경우도 많은데, 이런 것들에 「というのは」의 특징이 있다고도 생각되며, 여기의 고찰은 일본어교육에 시사하는 바가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というのは」는 「それは/実は」, 「というのも」는 「だって」와도 의미상 연관되어 지므로 추후 이들 표현도 아울러 살펴볼 필요가 있겠다. This study examined the use of ‘TOIUNOMO’, etc related to this, focusing on ‘TOIUNOWA’. By confirming the actual use based on the dictionary explanation, it was possible to find out the specific usage patterns of ‘TOIUNOWA’. ‘TOIUNOWA’ in the sentence is in the form of 「...というのは...ということだ」, 「...というのはN のことだ」, 「Nというのは...だ」, which represents the interpretation of the preceding case, the definition of the preceding case, and the subject, respectively. And ‘TOIUNOWA’ treated as a conjunction of reason, is used in the form of 「というのは...[から /の]だ」 or 「というのは...だ」, indicating a reason or contextual explanation and a subjective interpretation of the previous case in the next case. The consequences at this time are often lengthy. It can be said that the difference from the ‘TOIUNOWA’ is that the ‘TOIUNOMO’ emphasizes the previous case, and the ‘NAZENARA’ is a direct clear reason. Lastly ‘TOIUNOWA’ at the beginning of the sentence does not appear well in the Japanese translation, which may differ from individual to individual, but I feel vague about the use of this expression, and I think there is a characteristic of ‘TOIUNOWA’ here. For this reason, consideration of this may have implications for Japanese language education.

      • KCI등재

        우키요에 화가들의 요괴 캐릭터 활용 방식 - 다마모노마에(玉藻前)를 중심으로 -

        손정아 한양대학교(ERICA캠퍼스) 일본학국제비교연구소 2023 비교일본학 Vol.59 No.-

        에도시대의 바케모노들은 일본 망가와 캐릭터 문화의 원류이다. 이 글의 목적은 “요괴”를 우키요에 화가들이 어떻게 다루었는지 살펴보고 요괴 캐릭터가 미디어믹스 방식으로 활용 가능했다는 점을 에도 문화에서도 발견하여 현대의 문화 콘텐츠 활용에 참작하려는 것이다. 에도 시각문화에서 미디어믹스 방식을 탐색하는 것은 고전 요괴물을 당시의 인기 콘텐츠로 받아들인 서민 문화를 엿본다는 측면과 우키요에 화가들에 의해 이미지화된 문화콘텐츠의 생성과 다양한 활용을 참고하여 오늘날의 문화 콘텐츠 개발에도 참고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의의를 지닐 수 있다. 수많은 요괴 중, 본고에서 중점적으로 살펴본 “다마모노마에”는 호쿠사이, 구니요시, 요시토시 그리고 교사이를 관통하며 우키요에 속에서 거듭하여 콘텐츠로 활용되었다. 우키요에 화가들은 인도, 중국, 일본의 삼국을 거쳐 형성되어 온 달기와 가요부인 그리고 다마모노마에의 이야기를 바탕으로 설화적 역사성을 지닌 인물로 그리거나, 시대 유행물과 접목하여 인기 예능인과 함께 등장시키거나 무사 그림에서 퇴치 대상으로 다루었다. 또한, 옛 이야기를 상기시키되 그 틀에서 벗어나 일본적 미를 담은 여인으로 그림 자체를 감상하는 대상으로서도 활용하였고 동물 여우와 여인과의 관계를 상징화하는 주제의 현대적 스타일의 그림으로도 재탄생시켰다. 본고를 통해 에도시대의 요괴 우키요에는 또 하나의 시뮬라크르의 표상으로서 존재하였음을 밝혔다. Bakemono of the Edo period is the origin of Japanese Manga and character cultur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how Ukiyo–e painters dealt with Yōkai and and how the characters could be used in the way of media mix in Edo culture, in order to contribute to the use of contents in contemporary culture. Exploring the media mix in Edo visual culture can be significant in terms of glimpsing the common culture that accepted classical Yōkai as popular contents at that time and in terms of referring to the creation and various uses of cultural contents imaged by Ukiyo–e painters to develop contemporary cultural contents. Among the numerous Yōkai, this paper has focused on “Tamamonomae” used repeatedly as contents in Ukiyo–e of Hokusai, Kuniyoshi, Yoshitoshi, and Kyōsai. Such Ukiyo–e painters drew on the stories of Dalgi, Lady Kayō, and Tamamonomae, who were shaped by the three countries of India, China, and Japan, to depict her as a figure with narrative historical characteristics, to combine her with contemporary trends to appear with a popular entertainer, and to set up a target to be eradicated in Musha–e. In addition, the painting itself was used as an object to be appreciated as a Japanese aesthetic that recalls the old tale but breaks away from its stereotype so it was reborn as a modern style that symbolizes the entanglement between an animal fox and a woman. This paper has shown that Yōkai Ukiyo–e in the Edo period existed as another kind of representation of simulacre.

      • KCI등재

        의미연결망 분석을 활용한 한・일 Ingestion 프레임 연구

        이준서 한양대학교(ERICA캠퍼스) 일본학국제비교연구소 2023 비교일본학 Vol.59 No.-

        틀의미론(Fillmore, 1975, 1977)에 기반한 프레임넷 프로젝트(https://framenet.icsi.berkeley.edu) 는 백과사전적 지식 틀을 바탕으로 다양한 프레임이 정의되고 있다(2023년 11월 기준 총 1,225개). 프레임은 하나의 개념, 즉 단어의 의미를 이해하기 위해 필요로 하는 전체 지식 구조를 말하는데, 각 프레임에는 다양한 어휘 단위(Lexical Unit)가 포함된다. 본 연구에서는 의미 연결망 분석을 활용하여 Ingestion 프레임의 어휘 단위에 해당하는 한국어의 ‘먹다’와 일본어 의 「食べる」를 비교・대조함으로써 각 언어의 특징적인 음식문화의 표출 양상을 도출해 본다. The FrameNet project (https://framenet.icsi.berkeley.edu) has various frames defined based on the encyclopedic knowledge framework (a total of 1,225 as of November 2023). A frame refers to the entire knowledge structure required to understand a concept, that is, the meaning of a word, and each frame includes various vocabulary units. In this study, semantic network analysis is used to compare and contrast the Korean “eat” and Japanese “食へる” corresponding to the vocabulary unit of the Ingestion frame to derive the expression patterns of each language's characteristic food culture.

      • KCI등재

        『磨光韻鏡』 山攝韻 字音 규정의 문제점 - 3・4等韻을 중심으로 -

        맹요,이경철 한양대학교(ERICA캠퍼스) 일본학국제비교연구소 2022 비교일본학 Vol.55 No.-

        In this paper, we studied the principle of left and right phonetic notation of Mako-Inkyo compared with Go’on and Kan’on.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second opened rhyme Yuan(元) appears as -on, -an/-at, -en types in Go’on, butdescribed as -on/-ot, -en/-et types in Mako-Inkyo. 2) The third rounded rhyme of Yuan(元) appears as -(w)on/-(w)ot, -an/-at, -en types inGo’on. However, Velar・Guttural are written in -wan/-wat type, and Labial is describedmainly as -on/-ot type in Mako-Inkyo. 3) The second opened rhyme Xian(仙) appears mainly as -en/-et type in Go’on・Kan’on・Mako-Inkyo. But [ベン面] of the initial of Ming(明) should be changed to [メイ] on Kan’on inMako-Inkyo. 4) The third rounded rhyme of Xian(仙) appears mainly as -(w)en/-(w)et type, and -wan, -wen, -on types are mixed in Go’on, but is written in -(w)en/-(w)et type in Mako-Inkyo5) The fourth rounded rhyme of Xian(先) appears -(w)en/-(w)et type in Go’on・Kan’on・Mako-Inkyo. But some characters ending in [チ] will have to be corrected with [ツ] on Go’on inMako-Inkyo. 6) The Final-t of Go’on only as [チ] and Kan’on only as [ツ] in Mako-Inkyo. It can also beseen in Sino-Japanese dictionaries. 본고에서는 『磨光韻鏡』의 左・右音注를 실제 吳音・漢音 資料와 비교・분석하고『磨光韻鏡』 山攝 3・4等韻에 출현하는 字音 규정의 문제점을 고찰하였다. 그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開口3等 元韻은 吳音資料에서 -on형, -an/-at형, -en형으로 출현하는데 『磨光韻鏡』 左音注에서는 -on/-ot형과 -en/-et형으로 기재하고 있다. 2) 合口3等 元韻은 吳音資料에서 -(w)on/-(w)ot형, -an/at형, -en형으로 나타나는데, 『磨光韻鏡』 左音注에서 牙喉音字는 -wan/-wat형으로, 脣音字는 주로 -on/-ot형으로 기재하고 있다. 3) 開口3等 仙韻은 吳音・漢音資料와 磨光韻鏡 左・右音注에서 모두 -en/-et형으로 기재하고있는데, 『磨光韻鏡』 右音注에서 明母의 [ベン面]는 [メン面]로 수정해야 할 것이다. 4) 合口3等 仙韻은 吳音資料에서 대부분 -(w)en/-(w)et형으로 나타나며 -wan형, -wen형, -on형이 혼재하는데,『磨光韻鏡』 左音注에서는 -(w)en/-(w)et형으로 기재하고 있다. 5) 4等 先韻은 吳音・漢音資料와『磨光韻鏡』左・右音注에서 모두 -(w)en/-(w)et형으로 기재하고있다. 6) 舌內入聲韻尾를 『磨光韻鏡』에서 左音注는 [チ]로, 右音注는 [ツ]로 규정하려는 경향이 보이며, 이러한 규정 태도는 현용 漢和辭典에까지 영향을 끼쳤을 가능성이 크다고 판단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