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현(鄭玄)의 참위이해(讖緯理解)와 그 사회·정치적 함의 - 감생제설과 우주생성론을 중심으로 -

        박동인 ( Park Dong In ) (사)율곡연구원(구 사단법인 율곡학회) 2021 율곡학연구 Vol.44 No.-

        본 연구는 동한말(東漢末)에 살았던 정현(鄭玄)의 참위이해와 그 사회·정치적 의미를 찾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필자의 애초의 문제의식은 한대의 금·고문경학을 종합한 대유학자 정현이 ‘무엇 때문에 굳이 참위설로 경전을 주석하고, 또 참위서에 주석을 달았는가’하는 것이었다. 정현의 참위주(讖緯注)와 참위이용이 정현 유학을 도리어 퇴색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처럼 보였기 때문이다. 그러나 연구결과 정현이 참위로 경전을 주석하고, 참위서에 주석을 달 수 밖에 없었던 사회·정치적 이유를 발견했다. 우선 정현 당시는 서한(西漢) 이래로 경전을 가지고 국가 중대사를 결정하고 실행하는 유교국가였지만, 경전의 내용만으로는 다변화하는 사회·정치적 수요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없었기 때문이었다. 그리고 참위로 신(新)을 건국한 왕망(王莽)과 동한을 건국한 광무제(光武帝)가 참위를 지극히 존숭한 이래로 왕공대인으로부터 서민에 이르기까지 동한대의 수많은 사람들이 참위를 도리어 경(經)보다 더 우위에 두었기 때문이다. 백성들이 참위를 도리어 내학(內學)으로 존숭했기 때문에 참위설이 백성들을 설득하는데 더 유용했기 때문이다. 게다가 동한은 중·후기로 가면서 거듭 어린황제가 등극하면서 외척과 환관들이 득세하고, 이들의 전횡으로 민생은 도탄에 빠져 있었다. 정현이 보기에 이러한 상황에서 외척과 환관의 전횡으로부터 황제의 절대권을 옹호하고, 또 유한정권의 정당성을 보장해 줄 수 있는 가장 유용한 수단이 참위설이었다. 정현이 필자가 본문에서 다룬 감생제설과 오행상생설 및 도기이원론적 우주론에 관심을 기울인 이유가 여기에 있었다. 참위서에는 수명군주나 성인 및 수명군주의 스승들에 대한 특이한 탄생설화들이 매우 많은데, 복희·황제·요임금·탕임금 등에 대한 탄생설화가 그것이다. 물론 참위서에서 이들 수명군주의 특이한 탄생설화를 강조한 것은 한고조 유방이 한나라를 건국한 정당성과 유한정권의 백성통치의 정당성을 간접적으로 보장해주기 위함이었다. 공자의 탄생을 신화화한 이유도 그가 한나라를 위해 제도를 입안했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정현은 참위서의 이러한 감생제설을 자신이 경전을 주석하는데 그대로 활용했다. 그 대표적인 것이 『모시』「상송·현조」편이다. 정현은 「상송·현조」편을 주석하면서 『모전(毛傳)』과는 다르게 참위설에 근거하여 탕의 시조 설(契)의 난생설화를 수용하였다. 그리고 참위설처럼 탕을 흑제에 감응하여 태어난 수명군주로 인정했다. 그래야 동한말의 정국에서 절실히 요청한 오행상생설을 옹호하는 논리가 되기 때문이었다. 한편 정현은 『역위건착도』 상·하를 통해 『역위건착도』의 도기이원론도 수용했다. 『역위건착도』는 도가와 『주역』의 우주론을 융합하여 형이상의 태역과 형이하의 태초(氣)·태시(形)·태소(質)를 구분했다. 그럼으로써 선진이래로 도기이원론적 우주생성론이 가진 봉건등급질서 옹호의 원리를 답습했다. 당시 도기이원론적 우주생성론은 우주발생의 첫 자리인 ‘도’를 신비화시켜 사회·정치적으로 그 위치에 해당하는 황제의 절대권을 확보해주는데 활용되었다. 『역위건착도』는 바로 이러한 원리를 그대로 적용하여 ‘태역’의 자리를 그 나머지 자리와 구분함으로써 황제절대권을 옹호해주고 있다. 정현이 『역위건착도』를 주석하면서 그 원래의 의도대로 도기이원론을 수용한 이유도 이 때문이다. 그러나 정현은 단지 여기에만 그치지 않고 『역위건착도』보다 훨씬 치밀하게 우주생성의 논리적 과정을 재구성했다. 『역위건착도』가 양의 수인 일(一)·칠(七)·구(九)만 언급하고 있는데 비해 정현은 그것에서 한걸음 더 나아가서 음의 수인 이(二)·육(六)·팔(八)까지 유추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기(氣)는 태초 상태뿐만 아니라 태시(形)와 태소(質)의 단계에도 그 저류에 항상 작동하고 있음을 밝힘으로써 모든 사물존재가 음과 양의 두 기에 의해 존재하는 것임을 밝혀내었기 때문이다. 이렇게 보면 정현의 『역위건착도』 주석은 정치적 목적과 철학적 목적을 동시에 달성한 것이라 평가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understanding of Chen-Wei of ZhengXuan who lived in the end of East-Han dynasty and its socio-political mplications. My initial problem was that ZhengXuan, a great Confucian scholar who synthesized Han dynasty's New-Text and Old-Text Scholarships, "why did he comment on scriptures with Chan-Wei-Shuo and the Chan-Wei-Books?“ This is because ZhengXuan's Chen-Wei comments and the understanding of Chen-Wei use seemed to be a factor in fading the Confucian of ZhengXuan. However,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discovered that ZhengXuan had a socio-political reason for annotating the scriptures with Chen-Wei and annotating the Chen-Wei books. First of all, ZhengXuan lived in a Confucian country where scriptures were used to determine national significance since the West-Han dynasty. However, it was because the contents of the scriptures alone could not actively respond to the diversifying social and political demands. And since WangMang, who founded the Xin dynasty as Chen-Wei, and GuangWuDi, who founded the East-Han dynasty, highly respected Chen-Wei, many people in the East-Han dynasty era, from the royal princes to the common people, have turned to Chen-Wei. Because it took precedence over the scriptures. This is because Chen-Wei-Shuo was more useful in persuading the people because the people respected Chen-Wei as Nei-Xue. In addition, as the young emperor repeatedly ascended the East-Handy era, relatives on their maternal side and eunuchs prevailed, and the people's livelihood was devastated by their tyranny. In ZhengXuan's view, Chan-Wei-Shuo was the most useful means to defend the absolute right of the emperor from the tyranny of the relatives on their maternal side and the eunuchs and to guarantee the legitimacy of Liu-Han dynasty's regime in this situation. This is the reason why ZhengXuan was interested in Gan-Sheng-Di-Shuo, Wu-Xing-Xiang-Shuo, and the cosmologies of Dao-Qi-Er-Yuan-Lun, which I dealt with in this text. In the Chen-Wei books, there are many unusual birth stories about the Shou-Ming monarch, the saint, and the teachers of the Shou-Ming monarch, and these are the birth stories of King FuXi, HuangDi, Yao, and Tang. Of course, the Chen-Wei books emphasized the unique birth story of these Shou-Ming monarchs to indirectly guarantee the legitimacy of Han-Gao-Zu Liu Bang's founding of Han dynasty and the legitimacy of the Liu-Han regime's people's rule. The reason the birth of KongZi was mythized is because he saw that he devised the system for the Han dynasty. ZhengXuan used this Gan-Sheng-Di-Shuo from the Chen-Wei books as it was for his commentary on the scriptures. A representative example of this is the section of Mao-Shi「Shang-Song·Xuan-Niao」. While commenting on 「Shang-Song·Xuan-Niao」, ZhengXuan accepted the story of the birth of Xia(契), the progenitor of King Tang, based on Chan-Wei-Shuo, unlike Mao-Shuan. And, like Chan-Wei-Shuo, he recognized King Tang as a Shou-Ming monarch born in response to Hei-Di. This was because it became the logic to defend Wu-Xing-Xiang-Shuo, which was desperately requested by the government at the end of the East Han dynasty. Meanwhile, ZhengXuan also accepted Dao-Qi-Er-Yuan of Yi-Wei-Gan-Zao-Du through Yi-Wei-Gan-Zao-Du Shang and Xia. Yi-Wei-Gan-Zao-Du fuses the cosmology of Taoism and Zhou-Yi to distinguish Tao-Yi from metaphysics and Tai-Chu(Qi), Tai-Shi(Xing), and Tai-Su(Zhi) from metaphysics. At that time, the Dao-Qi-Er-Yuan-Lun’s theory of cosmogenesis was used to mystify ‘Dao’, the first place of cosmic generation, to secure the absolute authority of the emperor corresponding to that position socially and politically. Yi-Wei-Gan-Zao-Du applies this principle as it is, and by separating the seat of 'Tai-Yi' from the rest, it defends the absolute right of the emperor. This is the reason why ZhengXuan accepted Dao-Qi-Er-Yuan-Lun as originally intended in commenting on Yi-Wei-Gan-Zao-Du. However, ZhengXuan did not stop there and reconstructed the logical process of universe creation much more precisely than Yi-Wei-Gan-Zao-Du. Whereas Yi-Wei-Gan-Zao-Du mentions only the numbers one, seven, and nine, which are Yang's numbers, ZhengXuan goes one step further, two(二), six(六) and eight (八) which are Yin’s numbers, are inferred. And by revealing that Qi(氣) is always operating in the undercurrent not only in the Tai-Chu state, but also in the stages of Tai-Shi(Xing) and Tai-Su(Zhi), all beings are created by the two Qi of Yin and Yang. Because it was discovered that they exist. In this way, Zhengxuan's Yi-Wei-Gan-Zao-Du’s commentary can be evaluated as achieving both political and philosophical objectives.

      • KCI등재

        다산의 정현鄭玄 역학 비판

        이난숙 재단법인다산학술문화재단 2015 다산학 Vol.- No.26

        This paper aims to research the Cheong Yagyong(丁若鏞)’s criticisms of 『Yeokhakseoeon(易學序言)』 about Zheng Xuan(鄭玄)’s 『Zhouyi』 philosophy. Cheong Yagyong criticized many chinese scholars in 『Yeokhakseoeon』. Among them Zheng Xuan(鄭玄), Wang Bi(王弼), Shao Yong(邵康節) and Zhuxi(朱熹_ were took the brunt of the criti¬cism. Zheng Xuan’s scholarly contribution and thoughts had impact up to an extent on Chinese Thoughts that it was called ‘Zhengxue(鄭學)’. During the Song宋 dynasty, Wang Yinglin(王應麟) compile book of 『Zhouyizhengkangchengzhu(周易鄭康成注)』. Cheong Yagyong stud¬ied the foundations of Zheng Xuan’s philosophy of Wang Yinglin’s 『Zhouyizhengkangchengzhu』 and Li Dingzuo(李鼎祚)’s 『Zhouyijijie(周易集解)』. Cheong Yagyong wrote criticism essay of 「Zhengkangchengyeokzhu-lun(鄭康成易註論)」, a focused on 『Zhouyizhengkangchengzhu』. And furthermore, he records criticisms of Zheng Xuan’s 『Zhouyi』 philoso¬phy of 「Hanweiyiyilun(漢魏遺義論)」, 「Lidingzuojijielun(李鼎祚集解論)」 and 「Banguyiwenzhilun(班固藝文志論)」. The issues of criticism can be summarized in three sections. In the first, the concepts of Yeokhak(易學) and its thoughts. Second, different words, change of words and phrases of exegetical studies etc. And third, interpretational error related to the historical literature. It is an important area of research to compositively understand the Cheong Yagyong’s view of learning of Yeokhak. At present there are very few studies that has been carried out to compositively compar Zheng Xuan’s Yeokhak and its criticism by Cheong Yagyong. Therefore, in this paper, I tried to analyse the criticism of Zheng Xuan’s Yeokhak thoughts. The specific contents are firstly, there are three core meaning of 『Zhouyi』(易義), Secondly, astronomical phenomena(天象=yaochen爻辰) theory and thirdly the dayan numbers(大衍數). Cheong Yagyong criticised these problems, later excoriated regarding Zheng Xuan’s Yeokhak as the most worthless stage of learning. I have tried to arrange the theoritical bases and differences related to the issues concerned with Zheng Xuan’s Yeokhak through the criticisms of Cheong Yagyong. Furthermore, this paper explores the varied apporaches of the two scholars in their interpretative fundamentals of 『Zhouyi』. 본 연구의 목적은 『역학서언』에 수록된 역학평론에서 동한東漢의 정현과 정약용의 역학을 비교하고, 다산의 비판적 관점을 중심으로 그의 역학사상을 규명하는 것이다. 중국철학사에서 정현의 학문은 ‘정학鄭學’이라 불릴 만큼 영향력이 컸다. 그의 역학사상의 토대에는 금문역학과 고문역학의 사유가 융합되어 있으며, 훈고, 호체, 효진설, 오행생성설을 중심으로 『주역』을 해석한 특징이 있다. 정약용은 왕응린의 『주역정강성주』와 이정조의 『주역집해』를 중심으로 정현 역학을 연구하였다. 연구결과, 정약용은 정현 역학만을 비판한 「정강성역주론」을 저술하였고, 「이정조집해론」·「반고예문지론」·「한위유의론」·「당서괘기론」 등에서도 정현 역학을 비판하였다. 정약용이 비판한 정현 역학의 이론과 사상은 상당히 많지만, 비판쟁점을 요약하면 첫째, 역학개념의 해석과 역학사상 둘째, 이자異字·개자改字·구절句絶 등 훈고학적 오류. 셋째, 문헌고증과 관련된 해석오류 등의 세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본고에서는 정현의 특징적인 역학이론인 첫째, 역삼의설, 둘째, 천상설, 셋째, 대연수의 해석을 고찰하였다. 이 주제를 선택한 이유는 다산의 비판 강도가 높은 까닭도 있지만 역의易義, 상리象理, 수리數理의 측면으로 나누어 다산이 정립한 역학이론과의 관련성 및 『역』의 근원을 이해한 실마리를 찾고자 했기 때문이다. 또한 정현의 역학이론에 대한 정약용의 비판은 한대 상수학의 이론에 대한 문제제기이기 때문에 정 약용의 종합적인 역학관을 이해하는 데는 중요한 의미가 있다. 정약용이 정현의 역삼의설을 비판함을 통하여 그의 역학사상에 ‘변역’의 역의가 관통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정약용의 역학이론 체계는 정현의 ‘역삼의설’을 비판하고, ‘변역變易’만을 단일한 역의로 정의한 사상적 기초에서 비롯되었기 때문이다. 정약용이 정립한 괘효의 해석법들은 ‘변역’의 역의를 근간으로 한다. 정약용은 정현의 천상설[天象說=爻辰說]을 ‘구가의 『역』 중 가장 형편없는 학설’에 불과하다고 혹평하였다. 또한 다산은 정현의 오행생성설이 잘못이며, 정현의 대연수 해석은 ‘지록위마指鹿爲馬’격의 어이없는 주장이라고 비판하였다. 다산은 추이법의 근간에 대연수가 있으며, 대연수는 연괘의 수를 의미한다고 주장하였다. 다산은 『주역』에 역상, 역수, 역리가 논리적으로 일관성을 가진 체계가 있다고 판단하고, 또한 사辭·변變·상象·점占의 4대 요소를 해석하는 법칙과 원리를 연구해 그의 역학이론을 ‘역리’라는 명칭으로 통합하였다. 따라서 정현 역학의 비판을 통해 다산 역학이 역의와 『주역』의 근원적 해석법이 무엇인지에 집중한 역학임을 파악할 수 있다.

      • KCI등재

        정현(鄭玄)의 금(今),고문(古文) 종합과 그 정치철학적 함의

        박동인 ( Dong In Park ) 퇴계학연구원 2014 退溪學報 Vol.136 No.-

        본 연구의 목적은 東漢末에 살았던 鄭玄(A.D.127~200)의 금.고 문 종합과 그 정치철학적 의미를 찾아보는 것이다. 즉 정현은 과연 무슨 이유와 어떤 방식으로 漢代 經學의 두 축인 금·고문경학을 종 합하게 되는지, 그리고 그 목적은 어디에 있는지를 그 당시의 사회. 정치적 상황을 통해 복합적으로 살펴보는 것이다. 이러한 주제는 다 음 두 가지의 문제의식에서 말미암은 것이다. 첫째는 ‘왜 정현은 이전 의 古文經學이 西漢 今文經學의 단점인 讖緯化 문제와 그로 인한 정 국불안 및 西漢末의 정권 수요인 劉漢 정권의 정당성 문제를 잘 해소 했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버리고 새롭게 금·고문을 종합하고자 했는 가’ 하는 문제이다. 둘째는 이에 더하여 ‘정현은 왜 금문경학의 최대 단점이었던 讖緯說을 그의 금·고문 종합에 여전히 적극적으로 수용하 고 활용하는가’ 하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통해 얻은 결론은 다 음 세 가지로 정리된다. 첫째는 정현이 금·고문을 종합하게 되는 이유로, 漢代 經學은 東漢 末에 이르기까지 여전히 금·고문으로 분리되어 서로 대치하면서 그 각자의 학파와 經說에 얽매여 쓸모없는 고답적인 해석만 일삼았다. 이로 인해 공부의 양에 비해 성과는 적었다. 심지어 의문이 있어도 家法과 師法에 얽매여 감히 그것을 고칠 수도 없는 지경이었기 때문 에 이러한 현상을 일신하지 않으면 한대경학의 동맥경화증을 치료할 수 없다고 판단했던 것이다. 둘째는 정현이 금·고문을 종합하는 방법과 목적인데, 기본적으로 그는 스승 馬融과 같은 通儒들처럼 실증적이고 고증학적인 고문경학을 중심으로 금문경학의 장점을 흡수하는 방법을 선택한다. 그러나 그러한 원칙에 매이지 않고 사실에 입각한 객관성을 중시하는 동시에 현실적이고 실질적인 측면에서 금·고문을 회통하고자 했다는 것이 다. 또 그가 그렇게 할 수 있었던 것은 ‘공자의 元意의 회복’이라는 목적을 지향했기 때문이다. 그것이 바로 금·고문을 아우를 수 있는 보다 큰 원리라 생각했기 때문이다. 셋째는 정현이 금문경학의 최대 단점인 참위설을 수용하고 활용한 이유인데, 그것은 王莽과 光武帝가 참위로 황제가 된 이후 그것이 東 漢代에 광범위하게 펴졌기 때문이다. 또 明帝는 五經의 異說을 讖緯 에 의해 바로 잡도록 했고, 章帝는 백호관 회의에서 五經의 同異를 토론하면서 緯書를 끌어들여 經을 증명했다. 이 때문에 鄭玄에 이르 면 참위가 경전과 같이 취급되었고, 또 경전과 참위가 뒤섞여 구분이 불가능한 지경에 이르렀다. 그러므로 정현도 자연스럽게 참위를 수용 할 수 밖에 없었다. 그리고 이 뿐만 아니라 그의 경학은 참위를 필요로 하였다. 즉 금·고문이나 家法과 師法이 상호 충돌할 때 讖緯로 그 것을 조정할 수 있었고, 또 東漢末의 사회·정치적 수요인 皇權의 정 당성을 구축하는 자료인 感生帝說과 六天說의 근거도 讖緯書에서 찾 을 수 있었던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Zheng Xuan`s synthesis of New-Text and Old-Text Scholarships with its implications for Political philosophy on fucus. Why and how did Zheng Xuan put into a single perspective New-Text and Old-Text Scholarships, the two axes of Han dynasty scholarship? And for what purpose? These questions will be answered by examining systematically the then socio-political situations. I take up these issues for the following two motivations. First, why did Zheng Xuan feel dissatisfied with Old-Text Scholarship, since it solved to some extent the problem of Chan-Wei-Hua(讖緯化), the shortcoming of West Han New-Text Scholarship, and the resultant political anomie and it succeeded in justifying Liu-Han`s regime? Why did he feel obliged to endeavor towards the synthesis of New-Text and Old-Text Scholarships? Second, why did Zheng Xuan make avail of Chan-Wei-Shuo(讖緯說), the shortcoming of West Han New-Text Scholarship? I have ended up with the following three conclusions. About the motivation towards synthesis. Scholarship of Han dynasty as late as East-Han dynasty had been divided into New-Text and Old-Text in a partisan and dogmatic manner, without the invested time and energy being brought to fruition. Because of their faithfulness to Jia-Fa(家法) and Shi-Fa(師法), no honest scholar even dared to make an objection. All this situation struck Zheng Xuan as arteriosclerosis, or hardening of the arteries, to be cured for all costs. About the method and purpose of synthesis. Zheng Xuan followed the precedent of Tong-Ru, or liberal Confucian (including his teacher Ma-Rong) and incorporate New-Text Scholarship at its strength into Old-Text Scholarship, maintaining the latter`s empirical and philological tradition. But Zheng Xuan built flexibility into his synthesis by emphasizing factual objectivity and pragmatism. In so doing, he always intended to bring himself back to Kong-Zi``s original meaning, in which alone he held that the guideline for the synthesis lied. About the reason Zheng Xuan made avail of Chan-Wei-Shuo(讖緯說), the unquestionable shortcoming of West Han New-Text Scholarship. Chan-Wei-Shuo had been widespread in East Han since Wang-Mang(王莽) and Guang-Wu-Di(光武帝) took the throne through the method of Chan-Wei(讖緯). In the same vein, Ming-Di(明帝) proposed to correct different theories of Wu-Jing(五經) through the method of Chan-Wei(讖 緯). In his discussion of the sameness and difference of Wu-Jing atBai-Hu-Guan(白虎館) meeting, Zhang-Di(章帝) also proved the authenticity of Scriptures through the same method. Consequently, Chan-Wei had been promoted into the status of the Text, until it became almost impossible to tell one from the other. All these situations brought Zheng Xuan to admit Chan-Wei. Furthermore, his Text Scholarship in its turn had a room for Chan-Wei. He made avail of Chan-Wei to reconcile Old Text and New Text Scholarships and also Jia-Fa and Shi-Fa. Chan-Wei was also useful as a foundation for Gan-Sheng-Di-Shuo(感生帝說) and Liu-Tian-Shuo(六天說), which served to legitimize Emperor``s power, the most urgent socio-political agenda of East Han in the decline.

      • KCI등재

        정현(鄭玄) 삼례주(三禮注)의 예학정신과 그 정치적 의미

        박동인 ( Dong In Park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16 儒學硏究 Vol.35 No.-

        본 연구의 목적은 와타나베 요시히로의 주장, 즉 정현의 경학은 ‘漢을 대신할 새로운 천하의 규범을 준비하였다’라고 한 것에 의문을 품고, 그것은 오히려 劉漢 정권의 정당성을 보다 공고하게 하기 위해 구성된 것임을 주장하는 것이다. 필자가 그 증거로 제시한 것은 鄭玄 三禮注의 예학정신(예학관)이다. 연구결과 정현의 三禮注가 지향하는 4가지 대표적인 예학정신은 모두 봉건등급질서 강화라는 목적에 귀결되고 있었다. ‘구별(別)’은 당연히 상하를 구별하는 계급적 논리를 가지고 있으니 금방 그러한 측면을 드러내는 것이고, ‘혐의 피하기’도 사실 아랫사람이 윗사람에게 오해를 받을 수 있는 소지를 차단하는 것이 주라는 측면에서 보면 이것도 등급질서와 연결된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공경과 겸양의 경우도 결국 사회·국가적인 존장자를 높이고 공경하면서 자신을 낮추는 것을 주된 것으로 하는 것이니 봉건질서를 공고하게 하는데 유용한 논리라 할 수 있다. 이렇게 보면 정현의 경학과 三禮注는 당시의 체제를 강화시키고자 하는 강한 정치적성향을 가지고 있다고 평가할 수 있다. 정현이 ‘禮와 그 예학정신’만이 東漢末의 누란지 세를 해결할 수 있는 가장 좋은 해법이라고 판단하고 그것을 강화하고자 한 것 자체가 그의 정치적 지향성을 드러내는 것이기 때문이다. 또 정현이 六天說과 感生帝說을 주장함으로써 유한 정권의 정당성을 보장해주고자 한 것도 마찬가지이다. 유한 정권이 受命帝인 五天帝의 精氣(=靈氣)에 감응하여 태어난 선조에 의해 건국되었다는 논리 그 자체가 그 정권의 층차적 구별성을 옹호하는 논리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정현의 경학과 三禮注는 누란지세의 위기에 처한 東漢末의 정국을 타개하기 위해 구축된 논리라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et second thoughts about the assertion of Yoshihiro WATANABE, that is, Zheng Xuan’s the study of Confucian classics is ‘to prepare a new system to replace Han dynasty by a new force or empire’, I want to argue that Zheng Xuan’s the study of Confucian classics was rather made up as aim to further strengthenthe justification of Han dynasty. The evidence which was the writer of this article presented is ‘the mind of lixue of Zheng Xuan’s San Li Zhu.’ According to this study, we was known that the mind of lixue of four typical kinds which was Zheng Xuan’s San Li Zhu oriented, was all concluded to the purpose of the feudal grade order(fengjian dengji zhixu)’s reinforcement. For example, the ‘distinction’(別: bie) reveal soon it’s true character. Because it have originally a classical reason of distinction of social standing. About the ‘evasion of suspicion’, we can also say that it concern with the feudal grade order(fengjian dengji zhixu). Because it has as its object block off misunderstanding which is a underling infringe on a elder``s rights. And about the reverence and modesty, we can also say that it finally concern with useful logic for tighten the feudal grade order(fengjian dengji zhixu). Because they aim that not only make the social and national venerable elder high, but also make me low. So I think that Zheng Xuan’s the study of Confucian classics and his San Li Zhu have powerful political orientation which has highly motivated to strengthen in those days of Dong-Han dynasty system. Because it reveal his powerful political orientation that Zheng Xuan judge only solution that a proprieties and the mind of lixue can rescue a most dangerous situation the late Dong-Han, and make greater efforts to strengthen them. And as Zheng Xuan claims Liu-Tian-Shuo(六天說) and Gan-Sheng-Di-Shuo(感生帝說), it is the same to strengthen the justification of Liu Han dynasty. Because itself the fact that Liu Han dynasty were formed by ancestors who was induced the vital force of Shou Ming Di(受命帝), that is Wu Tian Di(五天帝), is to protect a greater distinction of Liu Han dynasty. Therefore we can assert that Zheng Xuan’s the study of Confucian classics and his San Li Zhu is a constructional theory to rescue a most dangerous situation the late Dong-Han.

      • KCI등재

        『文化柳氏 嘉靖譜』와『安東權氏 成化譜』에 나타난 貞顯王后의 人的 關係網

        柳炅來 한중인문학회 2009 한중인문학연구 Vol.26 No.-

        본 논문에서는 文化柳氏 嘉靖譜와 安東權氏 成化譜에 수록된 朝鮮 初期 妃嬪들 가운데 한 명인 貞顯王后 尹氏의 선대를 遡及․考察하면서 重疊된 通婚圈에 중점을 두어 조선 초기 지배층의 성향을 살펴보았다. 정현왕후의 坡平 尹氏 家門은 고려 전기 이래 門閥貴族家門으로서 忠宣王이 宣布한, 왕실과 혼인할 수 있는 「宰相之宗」가문의 반열에 올랐다. 그리고 조선 초기에 들어와서도 國婚과 기타 功臣․鉅族 家門들과의 통혼을 통해 가세를 신장시켰다. 본고에서는, 親孫 및 外孫 계열 후손에 이르기까지 대를 한정하지 않고 수록한 족보인 가정보와 성화보를 통해 당대 지배층 가문들간의 중첩된 혼인 관계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를 통해 정현왕후가 자신의 시어머니(姑)인 昭惠王后까지 포함하여, 鄭昌孫, 韓明澮 등을 비롯한 고려 후기 및 당대 여러 유명 인물들과 혈연 관계로 맺어진 人的 關係網을 발견할 수 있다. In this paper, we examined ancestors and lineage of the Jung-Hyoun Wang Hwoo(貞顯王后: 1462~1530; empress named Jung-Hyoun)-the empress of the Chosun dynasty 9th King Sung-Jong(成宗: 1457~1494), listed on the two famous genealogy, Munhwa Liu Ssi Jiajingbo(文化柳氏嘉靖譜: Munhua Liu Genealogy of Jiajing Era) and Andong Gwon Ssi Chenghuabo(安東權氏成化譜: Andong Gwon Genealogy of Chenghua Era). By this work, we investigated the character of ruling class in the early Chosun dynasty(朝鮮王朝) period at the point of 「marriage ties」, especially 「range of entangled marriage」. Jung-Hyoun Wang Hwoo’s clan, Pa-Pyoung Yun Ssi(Pa Pyoung Yun Clan: 坡平尹氏) belonged to the aristocracy since early period of Goryeo dynasty(高麗王朝). Moreover this clan was declared as one of the 「Families of the State Councilors(Chaesang-chijong: Families that the court could intermarry with: 宰相之宗)」by the Goryeo dynasty 26th King Ch'ung-son(忠宣王: 1275∼1325) And Pa-Pyoung Yun clan enhanced political influence through reiterated marriages with the Royal family(王室), meritorious retainers(功臣) and distinguished family(mighty clan: 鉅族) in the early Chosun period. The two representative genealogies of Korea, Munhwa Liu Ssi Gajungbo and Andong Gwon Ssi Chenghuabo contain every descendants including agnate and cognate since ancestor(progenitor). And many historical high-ranking officials throughout the late Goryeo and early Chosun period(14~16th century) are listed on the genealogies. By examining this genealogies, we can see many cases of the chain marriages between powerful families. Also we can discover consanguinity(blood relationship) and human network between Jung-Hyoun Wang Hwoo and many influential vassal(powerful courtier)-for example Jeong Chang-Son(鄭昌孫: 1402~1487) and Han Myoung-Hwoi(韓明澮; 1415~1487)-and even her mother-in-law, So-Hye Wang Hwoo(1437~1504).

      • KCI등재

        예(禮)의 관점에서 본 다산(茶山) 『주역(周易)』 해석의 특징

        안승우 한국유교학회 2019 유교사상문화연구 Vol.0 No.76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Dasan 茶山 Jeong Yak-yong 丁若鏞’s interpretation of the Zhou Yi 周易 is that he interprets the Zhou Yi through li 禮. As in the case of Dasan, it is found interpretation of the Zhou Yi through li, dating back to the beginning when Zheng Xuan 鄭玄 began to interpret it in earnest through li including rituals of ancient Zhou 周 Dynasty and the Zhou Li 周禮. In this regard, Zheng Xuan and Dasan seem to have something in common in that they interpret the Zhou Yi through li. On the other hand, Dasan offered critical views on some Zheng Xuan’s views. In particural, Dasan acknowledged only changes (bianyi, 變易) among three meanings of Yi 易 offered by Zheng Xuan: “easy and simple (yijian, 易簡),” “changes,” and “unchanging (buyi, 不易),” while evaluating the reminder as “wrong theories.” This paper examines Dasan’s thoughts of li shown in his interpretation of the Zhou Yi by comparing them with Zheng Xuan’s views on it, exploring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 principle of changes on the Zhou Yi and li, analyzing the literary characteristics of the Zhou Yi to apply for reality, and understanding his efforts to practice li in the real world. 다산(茶山) 정약용(丁若鏞)의 『주역(周易)』 해석의 특징 가운에 하나는 예(禮)를 통해 『주역』을 해석한다는 점이다. 다산의 경우처럼 『주례』 및 고대 주대(周代)의 예제를 통해 본격적으로 『주역』을 해석하기 시작한 시초는 거슬러 올라가 정현의 『주역』 해석에서 발견된다. 이처럼 예를 통해 『주역』을 해석한다는 점에서 정현과 다산은 공통점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한편으로 다산은 일부 정현의 견해, 예컨대 역(易)의 의미에 대한 정현의 해석과 정현의 『주례』 해석 등에 관해 비판적인 시각을 제시했다. 특히 다산은 정현이 제시한 역(易)의 세 가지 의미인 이간(易簡), 변역(變易), 불역(不易) 가운데 변역만을 인정했고 나머지 이간과 불역은 잘못된 학설로 평가했다. 본 논문은 다산이 『주역』을 해석하는 데 있어서 주목했던 예에 대한 사유를 정현의 『주역』 해석과의 비교, 다산이 파악한 『주역』의 변화의 원리와 예(禮)의 원리와의 연관성, 다산이 이해한 『주역』의 현실적 적용을 위한 문헌적 특성과 예의 실천성을 위한 모색 등을 통해 살펴보고자 한다.

      • KCI등재

        鄭玄『箋』의 禮論 小考 - 『毛傳』과 비교 -

        조혜진 중국인문학회 2023 中國人文科學 Vol.- No.83

        본 논문은 鄭玄의 箋 에 대한 연구를 통해 궁극적으로는 그 속에 반영된 漢代학자들의 사유 방식을 추적하기 위하여 毛詩해석과 비교하였다. 鄭玄은 禮에 밝기 때문에 禮로써 『詩經』을 해석하는 과정에서도 필연적으로 三禮를 많이 인용하여 주석에 禮敎의 내용을 반영하였다. 鄭玄의 笺 에 보이는 『詩經』 작품 해석을 禮의 시각에서 주석하고 있는 例들을 분석하였는데, 漢代 儒家적 정치 이데올로기 상황 속에서 매우 자연스러운 주석 경향이라 할 수 있다. 漢儒의 『詩經』연구에 대한 성과가 포함된 새로운 詩 해석의 방법을 제시하였다. 鄭玄은 漢儒의 經文해석 방법인 經으로 經을 해석하는 것, 다른 經으로 本經을 해석하는 것, 글자의 훈고로서 經을 해석하는 것, 師說로서 經을 해석하는 것, 구체적인 사건으로 經을 해석하는 것등의 방법을 다 적절하게 사용하여 經을 해석하였다. 儒家經典 및 주요 사학 자료와 함께 광범위하게 인용하여 漢代의 막대한 영향을 입혔다. 鄭玄의 『箋』을 통해서 毛詩의 해석체계가 先秦時期부터 儒家의 경전해석체계가 성립되기 시작하면서 漢代에 이르러 傳 과 序 가 완성되고 鄭玄이 箋 을 완성하는 과정을 통해 점차 구체화 되는 과정을 잘 보여준다. 毛詩해석체계 형성에 중요한 중간단계의 역할을 하였다. 東漢時期 鄭玄이 詩經 을 주해한 箋 은 毛詩해석체계인 序 , 傳 의 해석 중심으로 하여 발전하였고, 詩經學에 있어서 가장 기본적이고도 중요한 자료이다.

      • KCI등재

        『文化柳氏 嘉靖譜』와 『安東權氏 成化譜』나타난 貞顯王后의 人的 關係網

        柳炅來 한중인문학회 2009 한중인문학연구 Vol.26 No.-

        본 논문에서는 『文化柳氏 嘉靖譜』와 『安東權氏 成化譜』에 수록된 朝鮮 初期 妃嬪들 가운데 한 명인 貞顯王后 尹氏의 선대를 遡及·考察하면서 重疊된 通婚圈에 중점을 두어 조선 초기 지배층의 성향을 살펴보았다. 정현왕후의 坡平 尹氏 家門은 고려 전기 이래 門閥貴族家門으로서 忠宣王이 宣布한, 왕실과 혼인할 수 있는『宰相之宗』가문의 반열에 올랐다. 그리고 조선 초기에 들어와서도 國婚과 기타 功臣·鉅族·家門들과의 통혼을 통해 가세를 신장시켰다. 본고에서는, 親孫 및 外孫 계열 후손에 이르기까지 대를 한정하지 않고 수록한 족보인 『가정보』와 『성화부』를 통해 당대 지배층 가문들간의 중첩된 혼인 관계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를 통해 정현왕후가 자신의 시어머니(姑)인 昭惠王后까지 포함하여, 鄭昌孫, 韓明澮 등을 비롯한 고려 후기 및 당대 여러 유명 인물들과 혈연 관계로 맺어진 人的 關係網을 발견할 수 있다. In this paper, we examined ancestors and lineage of the Jung-Hyoun Wang Hwoo(貞顯王后: 1462~1530; empress named Jung-Hyoun)-the empress of the Chosun dynasty 9th King Sung-Jong(成宗: 1457~1494), listed on the two famous genealogy, 『Munhwa Liu Ssi Jiajingbo(文化柳氏嘉靖譜: Munhua Liu Genealogy of Jiajing Era』 and 『Andong Gwon Ssi Chenghuabo(安東權氏成化譜: Andong Gwon Genealogy of Chenghua Era)』. By this work, we investigated the character of ruling class in the early Chosun dynasty(朝鮮王朝) period at the point of 「marriage ties」, especially 「range of entangled marriage」. Jung-Hyoun Wang Hwoo's clan, Pa-Pyoung Yun Ssi(Pa Pyoung Yun Clan: 坡平尹氏) belonged to the aristocracy since early period of Goryeo dynasty(高麗王朝). Moreover this clan was declared as one of the 「Families of the State Councilors(Chaesang-chijong: Families that the court could intermarry with: 宰相之宗)」by the Goryeo dynasty 26th King Ch′ung-son(忠宣王: 1275~1325). And Pa-Pyoung Yun clan enhanced political influence through reiterated marriages with the Royal family(王室), meritorious retainers(功臣) and distinguished family(mighty clan: 鉅族) in the early Chosun period. The two representative genealogies of Korea, 『Munhwa Liu Ssi Gajungbo』 and 『Andong Gwon Ssi Chenghuabo』contain every descendants including agnate and cognate since ancestor(progenitor). And many historical high-ranking officials throughout the late Goryeo and early Chosun period(14~16th century) are listed on the genealogies. By examining this genealogies, we can see many cases of the chain marriages between powerful families. Also we can discover consanguinity(blood relationship) and human network between Jung-Hyoun Wang Hwoo and many influential vassal(powerful courtier)-for example Jeong Chang-Son(鄭昌孫: 1402~1487) and Han Myoung-Hwoi(韓明澮: 1415~1487)-and even her mother-in-law, So-Hye Wang Hwoo(1437~1504).

      • KCI등재

        불역(不易)의 예(禮)를 적용한 정현(鄭玄) 『주역(周易)』 해석의 특징 고찰

        안승우 ( An Seung Woo ) 한국공자학회 2019 공자학 Vol.37 No.-

        본 논문은 鄭玄의 『周易』 注를 중심으로 하여, 易의 세 가지 의미와 禮의 상관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周易』 鼎卦 九四爻辭, 離卦 九四 爻辭, 旅卦 初六 爻辭에 대한 정현의 해석을 중심으로, 『周禮』 에 기반한 정현의 禮에 관한 사유를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정현이 언급한 禮의 관계적 질서와 도덕적 의미, 그리고 禮를 어긴 데 대한 엄중한 처벌에 관한 사유를 고찰함으로써, 형벌과 罪의 절대적 기준, 특히 不易의 행위기준으로서의 禮를 살펴보고자 한다. This paper explores three meanings of Yi 易 and its relation with li 禮 shown in the Zheng Xuan 鄭玄’s Zhou-Yi-Zhu 周易注. This paper also explores Zheng Xuan’s thought of Li based on the Zhou Li 周禮, focusing on yaoci 爻辭 of Dinggua 鼎卦’s fourth Nine, Ligua 離卦’s fourth Nine, and Lugua 旅卦’s first Six. In particular, this paper examines an absolute standard of punishments and zui 罪, and the li as a unaltered behavioral standard by analyzing a relational oder and a moral meaning of li and severe penalties for violating li.

      • KCI등재

        不易의 禮를 적용한 鄭玄 『周易』 해석의 특징 고찰

        안승우 한국공자학회 2019 공자학 Vol.37 No.-

        본 논문은 鄭玄의 『周易』 注를 중심으로 하여, 易의 세 가지 의미와 禮의 상관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周易』 鼎卦 九四 爻辭, 離卦 九四 爻辭, 旅卦 初六 爻辭에 대한 정현의 해석을 중심으로, 『周禮』에 기반한 정현의 禮에 관한 사유를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정현이 언급한 禮의 관계적 질서와 도덕적 의미, 그리고 禮를 어긴 데 대한 엄중한 처벌에 관한 사유를 고찰함으로써, 형벌과 罪의 절대적 기준, 특히 不易의 행위기준으로서의 禮를 살펴보고자 한다. This paper explores three meanings of Yi 易 and its relation with li 禮 shown in the Zheng Xuan 鄭玄’s Zhou-Yi-Zhu 周易注. This paper also explores Zheng Xuan’s thought of Li based on the Zhou Li 周禮, focusing on yaoci 爻辭 of Dinggua 鼎卦’s fourth Nine, Ligua 離卦’s fourth Nine, and Lugua 旅卦’s first Six. In particular, this paper examines an absolute standard of punishments and zui 罪, and the li as a unaltered behavioral standard by analyzing a relational oder and a moral meaning of li and severe penalties for violating li.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