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운동선수의 목표성향과 정서의 관계: 지각된 통제력과 인지평가의 조절효과

        황옥철 ( Ok Chul Hwang ),박중길 ( Jung Gil Park ) 한국스포츠심리학회 2014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Vol.25 No.1

        경기 직전 상황에서 고교 선수들의 목표성향과 정서의 관계에서 지각된 통제력과 인지평가의 조절효과를 분석한 결과, 선수들의 긍정적 정서는 지각된 통제력 수준에 의해 촉진되지만, 부정적 정서는 지각된 통제력과 인지평가 수준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증가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이 결과는 경기 전 스트레스를 일으키는 상황들에 대한 선수들의 지각된 통제력 수준이 정서를 유발할 뿐만 아니라 인지 평가를 결정짓는 요소라고 제안한 Skinner(1996)와 Jones 등(2009)의 주장을 지지한다. 먼저, 선수들의 목표성향이 긍정적 정서에 미치는 효과가 지각된 통제력과 인지평가 수준에 의해 조절되는지를 분석한 결과, 이들 조절변수의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그러나 선수들의 숙달접근목표와 긍정적 정서 간의 관계는 지각된 통제력 수준이 높을수록 더 크고, 수행접근목표와 긍정적 정서의 관계는 지각된 통제력 수준이 높을수록 더 크며, 수행회피목표와 긍정적 정서의 관계도 지각된 통제력 수준이 높을수록 더 크게 나타났다. 이 결과는 지각된 통제력 수준이 높을수록 숙달접근과 수행접근목표가 긍정적 정서에 미치는 정적 영향력이 크며, 수행회피목표는 그 수준이 낮았을 때 긍정적 정서에 대한 정적 영향력이 더 크다는 것을 보여준다. 목표성향과 정서의 관계는 잘 알려진 사실이다. Linnenbrink와 Pintrich(2002)에 의하면, 숙달 접근과 수행접근목표를 지향하는 사람은 일반적으로 자기 자신의 성공과 유능감을 달성하거나 발휘하는데 목표를 두기 때문에 긍정적인 정서가 촉진되지만, 수행회피목표를 가진 사람은 다른 사람들과의 경쟁에서 자신의 무능함과 실수를 피하려고 하기에 불안과 같은 부정적 정서를 경험한다. 이 사실은 청소년 선수들의 접근목표성향이 긍정적 정서와 관련이 있고, 회피목표성향이 부정적 정서와 관련이 있다고 보고한 Adie 등(2010)의 연구에서도 알 수 있다. 대조적으로, Pekrun, Elliot와 Maier(2009)는 목표성향이 성공과 실패 자체에 초점을 두기 때문에 상이한 정서를 유발한다고 제안하였다. 즉, 숙달접근목표는 활동에 대해 긍정적 지각(지각된 통제)을 촉진시켜 즐거움과 같은 긍정적 정서를 활성화하고, 수행접근목표는 성공 결과에 대한 긍정적 지각을 촉진시켜 희망과 자부심과 같은 정서를 활성화하며, 수행회피목표는 실패결과에 대한 부정적 지각(지각된 비통제)을 촉진시켜 불안과 같은 부정적 정서를 유발한다. Gaudreau와 Blondin(2004)도 스트레스가 높은 경기 상황을 통제할 수 있다고 믿는 선수일수록 더 많은 노력과 적응적 대처를 하기 때문에 부정적 정서가 유발 되지 않는다고 하였다. 따라서 접근목표를 가진 선수가 경기 상황을 통제할 수 있다고 강하게 지각할수록 더 높은 긍정적 정서를 경험할 수 있다. 두 번째 연구문제를 검증한 결과, 경기 직전 상황에서 선수들의 숙달접근목표는 지각된 통제력과 도전평가가 낮을수록, 통제력 수준이 높지만 위협평가가 높을수록 높은 부정적 정서를 경험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선수들의 숙달회피목표는 지각된 통제력과 도전평가가 높을 때뿐만 아니라 지각된 통제력과 위협평가가 높을수록 부정적 정서를 촉진하였다. 선수들의 수행접근목표도 지각된 통제력이 낮고 위협평가가 높을수록 부정적 정서를 증가시켰다. 이 결과는 접근목표를 지향하는 선수들이 경기 상황을 통제할 자신감이 부족하고 상황을 도전적이기보다는 위협적인 것으로 더 높게 평가할수록 더 높은 부정적 정서를 경험하며, 숙달회피목표가 강한 선수들은 경기 상황에 대해 통제할 자신감을 높게 지각하더라도 위협으로 평가할 때는 더 높은 부정적 정서를 경험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Pekrun과 Stephens(2009)에 의하면, 목표성향이 정서에 영향을 주는 것은 두 변인들의 인과 관계가 선수 자신과 관련된 인지평가에 의해 영향을 받기 때문이다. 주목할 만한 사실은 경기 직전 선수들의 부정적 정서가 자신의 통제력에 대한 자신감 수준과 두 가지 유형의 인지평가 수준에 의해 결정된다는 것이다. 기량향상과 숙달, 유능감 달성 등을 위해 접근목표를 지향하거나 자신의 무능함을 피하기 위해 숙달회피목표를 지향하는 선수가 경기 상황을 자신의 능력으로 적절히 통제할 자신이 있다고 높게 지각하더라도 실수를 범하거나 상황을 효과적으로 대처하지 못해 자존감 손상이 크다고 평가할 때 부정적 정서가 유발된다. 접근목표를 가진 선수도 경기 상황에서 발생하는 사건들을 통제할 수 없다고 믿음으로써 그 상황을 성공과 학습, 숙련의 기회로 평가하지 않을 때 부정적 정서를 경험할 수 있다. 이 같은 사실은 여러 연구들을 통해 알 수 있는데, Ruthig 등(2008)은 긍정적 정서가 수행에 미치는 정적 효과는 통제력 지각 수준이 높을수록 크며, 부정적 정서가 수행에 미치는 부적 효과는 통제력 수준이 높을수록 감소한다고 보고하였다. Jones 등(2009)도 선수가 잘해낼 자신이 없으며 그 상황을 자신의 힘으로 통제할 수 없다고 느끼면 그 상황은 선수에게 위협적으로 평가되기 때문에 높은 부정적 정서가 유발되며, Uphill과 Jones(2012)는 경기 상황이 선수 자신의 목표와 기대를 위협한다고 높게 평가할 때 높은 부정적 정서가 유발한다고 보고하였다. Nicholls 등(2012)은 이러한 위협평가가 선수에게 부정적 정서를 유발시켜 경기 상황에서 회피하려는 전략을 채택하게 만들어 결국엔 자신의 수행에 대한 만족감을 떨어뜨린다는 사실을 제시하였다. 경기 전이나 도중에 선수들은 예견했거나 전혀 예상치 못한 상황들로 인해 많은 스트레스를 받으며, 그에 대한 인지평가는 상이한 정서뿐 아니라 수행에 영향을 미친다(Dugdale, Ekland, & Gordon, 2002). 정서는 동기, 자기효능감과 지각된 통제력과 같이 수행의 다른 요소와 상호작용하여 발현되고 (Jones et al., 2009), 긍정적 정서는 특히 수행결과와 안녕감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McCarthy, 2011). 고교 선수들이 긍정적 정서경험을 통해 수행과 심리적 안녕감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평소 훈련과 시합을 자신의 성장과 발전을 위한 기회로 인식시키고, 어떤 경기 상황이든 극복하고 변화시킬 수 있다는 강한 신념과 도전정신을 심어주는 것이 필요하다. 이상으로 고교 선수를 대상으로 지각된 통제력과 인지평가의 조절효과를 분석하여 다음의 결론이 얻어졌다. 첫째, 접근목표와 수행회피목표를 가진 선수는 경기 상황을 통제할 수 있다고 강하게 지각할수록 높은 긍정적 정서를 경험할 수 있다. 둘째, 접근목표가 낮거나 숙달회피목표가 높은 선수는 경기 상황에 대해 높은 통제력을 지각하더라도 이를 위협적으로 높게 평가할수록 부정적 정서를 경험할 수 있다. 셋째, 숙달접근목표가 높은 선수가 경기 상황을 통제할 자신이 부족하고 숙달회피목표가 낮지만 통제할 자신감이 높다고 지각할 때, 경기 상황을 도전할 만하지 않다고 평가할 때는 높은 부정적 정서를 경험할 수 있다. 단, 스포츠 상황에서 선수들은 다양한 개별정서를 경험하기 때문에(Jones, Lane, Bray, Uphill, & Catlin, 2005), 긍정적 부정적 정서에만 초점을 두고 시도된 이번 연구결과는 지각된 통제력과 인지평가의 조절효과를 설명하는데 한계가 있다. 선수마다 최적 수행을 위한 정서경험의 빈도와 방향과 수준이 다르고(Martinent, Campo, & Ferand, 2012), 경기 직전 선수의 인지평가가 경기 중 정서와 인지 평가를 통해 수행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Skinner & Brewer, 2004). 향후 선수들의 스트레스 대처나 개별정서에 대한 인지평가의 역할을 규명한다면, 선수들의 수행과 심리적 안녕감을 이해하고 촉진시키는데 기여할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This study tested the moderating effects of perceived control and cognitive appraisals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goal orientation and emotions among athletes in the pre-competition setting. Methods: Participants included 473 high school athletes (318 males, 155 females). Data were analyzed using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d moderated regression analysis. Results: Results of regression analyses showed that athletes` mastery-approach goal, perceived control, and cognitive appraisals positively predicted positive emotions, while the two mastery-approach/mastery-avoidance goals and cognitive appraisals predicted negative emotion positively or negatively. In addition, results indicated that athletes` perception of control to a pre-competition situation moderated the effects of mastery-approach, performance -approach, and performance-avoidance goals on positive emotions, whereas athletes` perceived control and cognitive appraisals moderated the effects of mastery-approach, mastery-avoidance, and performanceapproach goals on negative emotions, respectfully. Conclus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athletes with high approach-goal orientation will be supposed to experience positive emotions as perceived high controllability in the competition setting, but the level of athletes` perception of control and cognitive appraisals to stressful events would be able to moderate the effects of goal orientations on negative emotions.

      • KCI등재

        노화에 의해 저하된 시공간 주의배분능력이 정서지각 편향성에 미치는 영향

        김상엽 ( Sang-yub Kim ),정재범 ( Jae-bum Jung ),남기춘 ( Ki-chun Nam ) 한국감성과학회 2020 감성과학 Vol.23 No.4

        본 연구의 목적은 노화에 따라 나타나는 시공간 주의배분능력과 정서지각 편향성의 변화에 대해 탐구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시공간 주의배분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useful field of view (UFOV) 과제와 정서지각 편향성을 측정하기 위해 정서지각과제(emotional perception task)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는 노인 집단의 23명과 청년 집단의 25명의 총 48명의 실험참가자가 참여하였다. 실험 결과, UFOV 과제에서는 노인 집단이 청년 집단에 비해 느린 반응속도와 낮은 정답률을 보여 노인 집단이 청년 집단보다 저하된 시공간 주의배분능력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나타냈다. 또한, 정서지각과제에서는 노인 집단이 청년 집단에 비해 긍정적 정서지각 편향성과 부정적 정서지각 편향성 모두 크게 나타났다. 상관분석 결과에서는 정서지각과제의 정답률에 대한 부정적 정서지각 편향성이 UFOV 과제의 시야각 30° 조건의 반응속도와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r=.289). 또한, 정서지각과제의 정답률에 대한 긍정적 정서지각 편향성은 UFOV 과제의 모든 시야각 조건들의 정답률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r=.305, r=.322, r=.299), 반응속도와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r=-.345, r=-.295, r=-.308). 이러한 결과는 노화가 저하된 시공간 주의배분능력 그리고 긍정적 정서지각 편향성과 부정적 정서지각 편향성의 증가와 관련있다는 것을 의미하고, 노화에 따라 나타나는 긍정적 및 부정적 정서지각 편향성은 저하된 시공간 주의배분능력과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ging on visuo-spatial attention allocation ability and emotional perception bias. We used the useful field of view (UFOV) task to measure the visuo-spatial attention allocation ability and the emotional perception task to measure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al perception bias. A total of 48 participants took part in this study with 23 participants in the senior group and 25 in the junior group. The senior group showed slower response time and lower accuracy than the junior group in the UFOV task, indicating that the senior group had lower visuo-spatial attention allocation ability than the junior group. In the emotional perception task, the senior group showed both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al perception bias more than the junior group. The correlation analysis showed that the negative emotional perception bias for accuracy in the emotional perception task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response time to the stimuli presented in the visual angle 30° in the UFOV task (r=.289). In addition, positive emotional perception bias for the accuracy in the emotional perception task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accuracy of the stimuli presented in the visual angles 10°, 20°, and 30° in the UFOV task (r=.305, r=.322, and r=.299, respectively). However, it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response time of the stimuli presented in the same location in the UFOV task (r=-.345, r=-.295, r=-.308). These results suggest that aging is associated with a decrease in the visuo-spatial attention allocation ability and perceptual bias toward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s. In addition, the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al perception biases associated with aging are potentially related to the reduced visuo-spatial attention allocation ability.

      • KCI등재

        정서 자극에 대한 의식 여부가 크기 지각에 미치는 영향

        김경아,김민식 한국인지및생물심리학회 2014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Vol.26 No.4

        정서는 정보 처리 속도를 향상시키기도 하지만 지각적 편향(perceptual bias)을 일으키기도 한다(예, Anderson & Phelps, 2001). 거리, 시간, 크기 등 여러 지각적 편향을 일으키는 정서 자극에 대한 지금까지의 연구들은 의식적으로 지각 가능한 정서 자극을 사용해 왔다. 기존 연구와 달리 본 연구에서는 의식적 수준이 이르지 못하는 정서 자극이 크기 지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2개의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 1에서는 의식적으로 자각할 수 있는 정서 자극이 이후에 제시되는 자극의 크기 지각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부정적인 정서자극이 긍정 혹은 중립적인 정서 자극보다 후행하는 자극을 더 크게 지각하게 만드는 지각 편향 현상이 나타났다. 실험 2에서는 정서 자극을 역치 이하로 제시하여 의식적으로 자각할 수 없는 정서 자극이 크기 지각에 미치는 효과를 관찰하였다. 실험 결과, 의식적 자각이 불가능한 부정적 정서 자극이 선행하는 경우, 후행하는 자극 크기에 대한 지각 판단의 변산성이 크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정서가 크기 지각에 영향을 미치고 있을 뿐 아니라, 정서가(valence)에 대한 의식적 처리와 무의식적 처리가 크기 지각이나 크기 판단에 다른 방식으로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시사한다. Research has shown that not only can emotion enhance the processing speed of information, but also cause perceptual biases (e.g. distance, size, time, etc). Previous studies investigated perceptual biases when subjects were consciously exposed to emotion stimuli. In the current study, however, using a size judgment task, we investigated how unconsciously presented emotion stimuli (i.e. do not reach conscious awareness) affect size perception. In Experiment 1, we measured the effects of conscious emotion stimuli on the perceived size of subsequently presented stimuli. The results showed that subjects estimated the size of the subsequently presented stimuli to be larger when preceded by negative emotional stimuli, compared to when preceded by neutral or positive stimuli. Thus only the negative emotion elicited perceptual bias on size perception. In Experiment 2, we measured the effects of unconsciously presented emotion stimuli on size perception of subsequent stimuli. While our results were not identical to that of Experiment 1, the data showed that negative emotion increases variance in size perception of the subsequent stimulus compared to that of neutral and positive emotion. In conclusion, through two experiments, the data indicates that the conscious and unconscious processes of emotion can affect size perception or size judgment in different ways.

      • KCI등재

        정서가 대학생들의 위험지각과 위험행동에 미치는 영향

        김지연(Kim, Ji Yeon),박영신(Park, Young-shin)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6 한국청소년연구 Vol.27 No.2

        정서가 대학생의 위험지각과 위험행동에 영향을 미치는지와 그 과정에서 의도적 통제가 조절효과를 보이는지를 살펴보았다. D광역시 남녀 대학생 176명을 긍정정서, 중립정서 및 부정정서조건에 무선할당하고 국제정서그림체계의 사진자극과 음악을 결합한 동영상으로 정서를 유발하였다. 영역별 위험척도로 윤리적 문제, 건강/안전, 레크리에이션, 사회적 문제에 대한 위험지각을 측정하였고, 컴퓨터를 사용한 신호등 게임으로 위험행동을 측정하였다. 의도적 통제는 성인용 기질질문지로 측정하였다. 첫째, 정서가 위험지각에 미치는 영향은 문제영역에 따라 달랐다. 긍정정서가 유발되었을 때 중립정서가 유발되었을 때 보다 레크리에이션에 대한 위험지각은 낮았지만 윤리적 문제, 건강/안전과 사회적 문제에 대한 위험지각은 정서의 영향을 받지 않았다. 둘째, 정서가 위험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성별에 따라 달라져서 남자들은 긍정정서가 유발되었을 때 부정정서가 유발되었을 때보다 위험행동을 더 많이 하였고 여자들은 정서의 영향을 받지 않았다. 셋째, 정서가 레크리에이션에 대한 위험지각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의도적 통제는 조절효과를 보여서 의도적 통제가 높은 사람들은 긍정정서가 높아질수록 위험지각이 낮아졌으나 의도적 통제가 낮은 사람들의 위험지각은 정서의 영향을 받지 않았다. 이 연구는 정서가 대학생들의 위험지각과 위험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이러한 관계에서 개인의 기질적 성향인 의도적 통제의 역할을 밝힘으로써 대학생들의 위험행동을 예방하고 감소시키는 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ositive and negative affect on college students’ risk perceptions and risk behaviors. The moderating effects of effortful control were also examined. 176 students from D city participated in the study. Positive and negative affect were induced by using photographs from the International Affective Picture System along with music. Risk perception was measured by means of the Domain Specific Risk Taking Scale and risk behavior was measured by the Stoplight Game. Effortful control was measured by the Adult Temperament Questionnaire-Short For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affect influenced risk perception in recreational situations only; the higher the positive affect, the higher the risk perception in recreational situations. Second, the effect of affect on risk behaviors varied by sex. Male students displayed more risk behaviors in positive affect than in negative affect, whereas female students’ risk behaviors were similar in both affects. Third, effortful control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affect and risk perception in recreational situations.

      • KCI등재

        정신분열병 환자의 얼굴 정서 지각 결함에 관한 연구

        박성희,김명선,윤선아 한국임상심리학회 2007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Vol.26 No.4

        정신분열병 환자의 얼굴정서 지각 능력과 신경심리 기능 사이의 관련성, 특히 정신분열병 환자에서 관찰되는 얼굴정서 지각의 결함이 정서 장애 혹은 얼굴지각의 장애를 반영하는가와 얼굴정서 지각의 결함이 일반화된 인지 기능의 장애로 인한 이차적 장애인지 혹은 특정 인지 기능의 장애와 관련되어 있는가를 조사하였다. 20명의 정신분열병 환자들과 20명의 정상인들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얼굴정서의 지각은 얼굴표정 변별과제와 얼굴표정 확인과제를 사용하여 측정하였고 통제 검사로서 얼굴인식 과제가 실시되었다. 또한 주의, 언어/비언어 기억, 실행기능 등의 인지 기능을 신경심리검사를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얼굴 인식과제에서는 정신분열병 환자군과 정상통제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으나, 얼굴정서 변별 및 확인 과제에서는 두 집단 간의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었다. 즉 정신분열병 환자군이 정상통제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낮은 수행을 보였다. 정신분열병 환자군이 정상통제군에 비하여 주의, 언어/비언어 기억, 실행기능 등에서 유의하게 낮은 수행을 보였으나, Wisconsin Card Sorting Test의 보속오반응수와 Rey-Osterrieth Complex Figure Test의 즉각적 회상 점수가 얼굴정서 변별 과제의 수행을 가장 잘 예측한 한편 공간폭 검사의 점수가 얼굴정서 확인 과제의 수행을 가장 잘 예측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정신분열병 환자들에서 관찰되는 얼굴정서 지각의 결함이 얼굴 지각의 결함보다는 정서 지각의 결함을 반영하며 얼굴정서 지각의 결함이 실행기능, 시각 단기기억 및 시공간 주의의 결함과 관련되어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 KCI등재

        조성 및 템포 단서에 따른 인공와우이식 아동의 음악 정서 지각

        이윤지 한국음악치료교육학회 2024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Vol.21 No.1

        본 연구는 인공와우이식(CI) 아동이 조성 및 템포 단서에 따라 구성된 음악에서 정서를 어떻게 지각하는지 알아보고 이를 건청(NH) 아동과 비교함으로써 CI 아동의 음악에서의 정서 지각에 대한 기초 자료를 마련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참여 대상자는 만 7세-13세 사이 CI 아동 13명과 NH 아동 36명으로 각 아동은 <장조+빠름>, <장조+느림>, <단조+빠름>, <단조+느림>의 4개 조건으로 구성된 음악을 듣고, 행복과 슬픔 중 해당 음악에서 느껴지는 정서를 선택하고 해당 정서가 어느 정도로 느껴지는지를 평정하는 과제에 참여하였다. 본 실험 전 규준 집단으로서 포함된 NH 아동이 NH 성인과 유사하게 정확한 정서 지각을 보이는지 확인하기 위한 사전 검증 절차를 진행하였으며, 두 그룹 간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후 CI 아동과 NH 아동의 정서 지각 수준을 비교 분석한 결과, 두 그룹 모두 <장조+빠름>의 음악을 행복의 정서로 가장 많이 지각하였으며, <단조+느림>의 음악을 가장 슬프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CI 아동은 <단조+느림>을 제외한 모든 조건의 음악을 행복의 정서로 지각하는 반면, NH 아동은 장조로 구성된 음악은 행복의 정서를, 단조로 구성된 음악은 슬픔의 정서로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CI 아동이 정서를 지각하는 데 있어 조성 단서보다는 템포 단서에 의존하는 경향이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CI 아동의 음악에서의 정서 지각 과정을 보다 다각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 기초 자료를 제시했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children with cochlear implants (CI) perceive emotion in music depending on mode and tempo cues, and to compare them to NH children. Participants in this study included 13 CI children who were implanted with either unilateral or bilateral cochlear implants aged between 7 and 13 years, 36 NH children, and 20 NH adults. The musical stimuli used in this study were piano recordings in either major or minor mode, with tempos of 130 bpm and 56 bpm. A comparison of the emotion perception levels of NH children and NH adults before the experiment showe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Meanwhile, the way they perceive different emotions from each music condition varies, in that CI children perceived all music conditions except <Major+Slow> as happy, while NH children perceived music in a major key as happy and music in a minor key as sad. It supports that CI children tend to rely primarily on tempo cues to process and identify emotional information from music, which is contrary to NH children.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this study enhanced and specified the understanding of how CI children perceive music emotion and use specific musical elements in the process. These findings indicate baseline data on emotion perception in music in CI children.

      • KCI등재

        지각된 부모의 정서적 불인정이 청소년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인지적 취약성과 지각된 스트레스의 조절된 매개효과

        김수정,이주영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023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39 No.1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Perceived parents’ emotional invalidation on adolescent depression, and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cognitive vulnerability and perceived stress. Study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n online survey of 218 first and second graders in high school. Based on the collected data, the mediating effect, the moderating effect, and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were analyz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no significant gender differences in Perceived parents’ emotional invalidation, adolescent depression, and cognitive vulnerability. However, in the negative perception factor of perceived stress, females scored significantly higher than males. Second, Perceived parents’ emotional invalidation, adolescents’ cognitive vulnerability, depression, and perceived stress all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Third, cognitive vulnerabilit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parents’ emotional invalidation and adolescent depression. Fourth, perceived stress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cognitive vulnerability and depression. Fifth, the process of Perceived parents’ emotional invalidation affecting depression mediated by adolescents’ cognitive vulnerability was moderated by perceived stress, and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was significant.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an effective therapeutic intervention for depressed adolescents should consider family factors such as Perceived parents’ emotional invalidation, individual factors such as cognitive vulnerability, and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perceived stress in an integrated way. 본 연구에서는 지각된 부모의 정서적 불인정이 청소년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그 과정에서 인지적 취약성과 지각된 스트레스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고등학교 1, 2학년 학생 218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방식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여 매개모형, 조절모형, 조절된 매개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성별에 따라 지각된 부모의 정서적 불인정, 청소년 우울, 인지적 취약성은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단, 지각된 스트레스의 부정적 지각 요인에서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 보였다. 둘째, 지각된 부모의 정서적 불인정, 청소년의 인지적 취약성 및 우울 그리고 지각된 스트레스는 모두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셋째, 지각된 부모의 정서적 불인정과 청소년 우울의 관계를 인지적 취약성이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지각된 스트레스가 청소년의 인지적 취약성과 우울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지각된 부모의 정서적 불인정이 청소년의 인지적 취약성을 매개로 우울에 영향을 주는 경로가 지각된 스트레스에 의해 조절되는 것으로 나타나 조절된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우울한 청소년에 대한 치료적 개입 시, 청소년 우울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가족 요인으로 지각된 부모의 정서적 불인정, 개인 내적 요인의 인지적 취약성, 환경적 요인의 지각된 스트레스를 통합적으로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지각적 복잡성과 정서가가 IAPS 자극 처리에 미치는 영향: ERP 연구

        박수담,박태진 한국인지및생물심리학회 2013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Vol.25 No.3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affective valence and perceptual complexity of the IAPS (International Affective Picture System) pictures on affective picture processing using ERP (event-related potential) component analysis. ERP components as EPN (early posterior negativity) and LPP (late positive potential) have been reported to be modulated by valence, but some recent studies reported that LPP could be modulated by perceptual complexity as well as valence. To elucidate the modulatory effects of perceptual complexity and valence of IAPS pictures on ERPs, we examined the interaction of perceptual and affective modulations at EPN (220-280ms time window), LPP (350-600ms time window) and delta frequency (1-3Hz). Participants were asked to do affective judgement about each of IAPS pictures while ERPs were recorded. Average amplitudes of EPN at occipito-temporal area demonstrated significant effect of valence, perceptual complexity, and interaction of valence and complexity. For neutral and positive pictures, complex pictures showed higher amplitude than simple pictures, but no complexity effect was found for negative pictures. For complex pictures, negative pictures showed lower amplitude than neutral and positive pictures (EPN emotion effect of negative pictures), but no valence effect was found for simple pictures (no EPN emotion effect). Average amplitudes of LPP at parietal area demonstrated significant effect of valence and perceptual complexity. Negative pictures showed higher amplitude than neutral and positive pictures for both complex and simple pictures (LPP emotion effect of negative pictures). For neutral and positive pictures, simple pictures showed higher amplitude than complex pictures, but no complexity effect was found for negative pictures. No hemisphere-related interaction effect was found at both EPN and LPP. Maximum peak-to-peak difference amplitudes of delta at parietal area demonstrated significant effect of valence, but no significant effect of perceptual complexity was found. Negative pictures showed higher amplitude than neutral and positive pictures. The findings suggest that both LPP and EPN components are modulated by perceptual complexity as well as valence of affective pictures, but perceptual complexity effect can be attenuated or eliminated by negative valence. Delta frequency elicited by parietal area seems to be related with LPP, but contributes to only valence effect. Overall results suggest the motivational importance and priority of processing of negative stimuli. 본 연구는 IAPS 사진자극의 정서가와 지각적 복잡성이 정서자극 처리에 미치는 영향을 ERP(event-related potential) 성분 분석 및 진동분석을 통해 밝히고자 하였다. LPP(late positive potential)나 EPN(early posterior negativity)과 같은 ERP 성분들은 정서가 뿐만 아니라 지각적 복잡성의 영향을 받는다고 최근 보고되었다. IAPS 사진자극의 지각적 복잡성(단순/복잡)과 정서가(긍정/중립/부정)를 조작하고 EPN(220-280ms), LPP(350-600ms), 그리고 delta파(1-3Hz) 상에서 두 변인의 효과를 관찰하였다. 참가자들에게 IAPS자극에 대해 정서적 판단을 요구하면서 ERP를 측정 추출하였다. 그 결과, 후두-측두영역의 EPN 평균진폭에 있어 정서가와 지각적 복잡성, 그리고 상호작용의 효과가 모두 관찰되었는데, 긍정자극과 중립자극에서는 복잡조건이 단순조건보다 진폭이 더 컸지만 부정자극에서는 복잡성효과가 관찰되지 않았고, 복잡조건에서는 긍정자극과 중립자극에 비해 부정자극의 진폭이 더 작았지만(부정자극의 EPN 정서효과) 단순조건에서는 정서가조건들간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EPN 정서효과가 없었음). 두정영역의 LPP 평균진폭에 있어 정서가와 지각적 복잡성의 효과가 관찰되었는데, 두 복잡성조건 모두에서 긍정자극과 중립자극에 비해 부정자극의 진폭이 더 컸으며(부정자극의 LPP 정서효과), 긍정자극과 중립자극에서는 단순조건이 복잡조건보다 진폭이 더 컸지만 부정자극에서는 복잡성효과가 관찰되지 않았다. LPP와 EPN 모두에서 반구 관련 상호작용효과는 관찰되지 않았다. 두정영역의 delta파에 대해 최대 정점간 진폭을 분석한 결과 복잡성효과는 관찰되지 않았고 정서효과만 관찰되었는데, 긍정자극과 중립자극에 비해 부정자극의 진폭이 더 컸다. 요약하면, LPP와 EPN이 정서가 뿐만 아니라 지각적 복잡성의 영향을 받았지만 부정자극은 긍정자극이나 중립자극과 달리 지각적 복잡성의 영향을 받지 않았고, 두정부위의 delta파는 LPP와 관련되지만 지각적 복잡성에는 기여하지 않고 정서가에만 기여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전반적으로 부정자극 처리의 동기적 중요성과 우선성을 시사한다.

      • KCI등재

        보육교사의 영유아 및 학부모에 대한 정서노동유형과 정서표현규칙지각 및 정서조절전략 간의 관계 연구

        신동주(Dong Ju Shin),엄소명(So Myoung Um) 한국보육학회 2020 한국보육학회지 Vol.20 No.3

        본 연구는 보육교사가 상호작용 대상에 따라 수행하는 정서노동 양상과 보육교사의 정서노동 유형과 정서표현규칙지각 및 정서조절 전략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수도권 소재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교사 13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보육교사는 영유아와 학부모 모두를 대상으로 내면행동을 더 자주 수행하였으며, 표면행동의 경우 학부모를 대상으로 더 자주 수행하였다. 정서표현규칙에 있어서는 내용지각 수준이 가장 높았고, 정서조절 전략은 적극적 수정을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보육교사의 정서노동유형과 정서표현규칙지각 및 정서조절전략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 관계를 보였다. 셋째, 정서표현규칙의 내용지각은 영유아 대상 표면행동 및 내면행동, 학부모 대상 표면행동 증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서조절전략 중 적극적 수정과 재평가는 영유아 대상 내면행동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고, 억제는 영유아와 학부모 대상 표면행동을 증가 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보육교사가 효과적으로 정서노동을 수행하도록 돕기 위해서는 상호작용 대상에 따라 좀 더 적응적인 정서조절전략을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 필요하며, 유아교육기관은 구성원들이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는 정서표현규칙을 정립하는 것이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emotional labor types performed by childcare center teachers for young children and parents, their perception of emotional display rules, and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used by them. Methods: A survey was conducted on 133 teachers working at child care center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Pearson Correlation was calculated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among emotional labor types, perception in emotional display rules, and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Multiple regression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impact of childcare teachers" perception of emotional display rules and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on emotional labor types. Result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child care teachers experienced both surface acting and deep acting of emotional labor at higher levels for young children and parents.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teachers performed more deep acting than surface acting. Also, in the case of surface acting, the teachers performed it more frequently in the interaction with parents than with young children. Second, childcare center teachers" perception of emotional display rules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ir emotional labor for young children and parents. Also, antecedent-focused emotional regulation strategies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deep acting, while response-focused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surface acting. Conclusion/Implications: This study had implications for providing basic data to understand the aspect of emotional labor experienced by child care teachers and emotional health support measures for them.

      • KCI등재

        지각된 부모의 통제적 양육행동과 여중생의 역기능적인 섭식태도와의 관계에서 부정적 정서와 부정적 정서 조절 기대의 매개효과

        박미란(朴美蘭),이지연(李之連),장진이(張眞伊)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14 아시아교육연구 Vol.15 No.4

        본 연구는 여중생을 대상으로 역기능적인 섭식태도와 이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관련 변인을 확인하고, 이들 간의 구조적 관계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수도권 소재 중학교에 재학중인 여중생 204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지각된 부모의 통제적 양육행동과 역기능적인 섭식태도, 부정적 정서, 부정적 정서 조절 기대 등 관련 변인들 간에 유의미한 관련성이 검증되었다. 또한 구조모형 검증 결과, 연구모형이 아닌 경쟁모형 2가 최종모형으로 검증되었다. 경쟁모형 2는 지각된 부모의 통제적 양육행동과 역기능적인 섭식태도 간의 직접적인 경로와 부정적 정서와 역기능적인 섭식태도 간의 직접적인 경로를 설정하지 않은 모형으로 지각된 부모의 통제적 양육 행동과 부정적 정서 자체는 직접적으로 역기능적인 섭식태도와 관련성이 없을 것이라는 가설을 지지하는 결과이다. 한편, 부정적 정서 조절 기대는 지각된 부모의 통제적 양육행동과 역기능적인 섭식태도 간의 관계와 부정적 정서와 역기능적인 섭식태도 간의 관계에서 완전매개 변인으로서의 역할을 하였다. 반면, 부정적 정서는 지각된 부모의 통제적 양육행동과 부정적 정서 조절 기대 간의 관계에서 부분매개 변인으로서의 역할을 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역기능적인 섭식태도에 미치는 정서 관련 변인들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올바른 섭식태도 형성을 위한 예방적 개입에서 정서조절 능력 향상과 부정적 정서 조절에 대한 기대 등에 대해 초점화해야 할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test a hypothetical structural model on important variables related with dysfunctionl eating attitude among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The survey included 204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from Metropolitan area. Results of testing the model showed that perceived parent control directly influenced on negative emotion and expectancies of negative emotion regulation. But perceived parent control and negative emotion didn"t directly influence on dysfunctionl eating attitude among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The testing of mediating effects indicated that expectancies of negative emotion regulation fully mediated between perceived parent control and dysfunctionl eating attitude and between negative emotion and dysfunctionl eating attitude. But negative emotion partially mediated between perceived parent control and expectancies of negative emotion regulation. This results implicated that the ability of negative emotion regulation and expectancies of negative emotion regulation on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should be improved to prevent the dysfunctional eating attitude and it is necessary to develop programs for negative emotion regulation in guidance and counseling for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