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인터넷 이용동기가 중국 농민공 집단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인무즈,허설화 중국학연구회 2022 중국학연구 Vol.- No.10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Internet use motives on the Chinese migrant workers’ collective action using the 2017 and 2019 Chinese Social Survey(CSS) data. The results show that the different motives of Internet use have significant effects on promoting migrant workers’ rights protection movements in China. In this study, the motives of Internet use are divided into political participation, entertainment pursuit, and information pursuit. Among them, the motivation of political participation shows the greatest influence on the behavior and willingness to participate in the rights protection movements. In terms of participation in rights protection movement, the effect of the motivation of information pursuit is greater than that of entertainment pursuit, while in the matter of willingness to participate in the rights protection movement, the influence of entertainment pursuit is greater than that of information pursuit. In addition, this study verifies that the democratic consciousness and authoritarian consciousness are important mediating factors in influencing the collective action of migrant workers by Internet. Specifically, the motivations of information pursuit and political participation not only directly impact the collective action of migrant workers but also indirectly affect their behavior and willingness to participate in collective action through strengthening their democratic consciousness as well as weakening their authoritarian consciousness. Particularly noteworthy here is that the motivation of entertainment pursuit indirectly affect the Chinese migrant workers’ behavior and willingness to participate in the collective action through weakening their authoritarian consciousness. Overall, this study indicates that the Internet plays various promotional roles in the Chinese migrant workers’ behavior and their willingness to participate in the collective actions. 본 연구에서는 2017년, 2019년 중국사회조사(Chinese Social Survey, CSS) 자료를 토대로 인터넷 이용동기가 중국 농민공 집단행동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에 대해 분석했다. 분석결과, 인터넷 이용동기가 농민공들의 권리수호(维权)운동 참여행위와 참여의향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는 구체적으로 인터넷 이용동기를 정치참여동기, 오락추구동기, 정보추구동기로 세분화하였으며, 그중 정치참여동기가 권리수호운동 참여행위와 참여의향에 미치는 영향이 가장 크다. 권리수호운동 참여행위에 있어서 정보추구동기의 영향력이 오락추구동기보다 크게 나타났고, 참여의향에 있어서는 오락추구동기의 영향력이 정보추구동기보다 더 크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인터넷이 정치의식을 매개로 농민공 집단행동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검증되었다. 즉, 인터넷 이용의 정보추구동기와 정치참여동기는 농민공의 집단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일으킴과 동시에 민주주의 의식을 강화하고 권위주의 의식을 약화시켜 간접적으로 그들의 집단행동 참여행위와 참여의향에 영향을 미치기도 한다. 특별히 주목할 점은, 인터넷 이용의 오락추구동기는 농민공의 권위주의 의식을 약화시킴으로써 그들의 집단행동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는 인터넷이 농민공의 집단행동 참여행위와 참여의향에 서로 다른 수준에서 추진효과가 있다는 것을 밝혀냄으로써, 사회구성원들의 민주주의 의식을 강화하고 사회질서의 안정을 도모하는 면에서 인터넷의 긍정적인 효과를 입증하는 데 현실적 의의를 둔다.

      • KCI등재

        이용자의 정보추구행동에 관한 연구

        정진식 한국정보관리학회 2000 정보관리학회지 Vol.17 No.3

        본 연구는 이용자들이 정보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어떤 미디어를 접촉하고 있으며, 또 어떤 유형의 정보를 선택하고 있는지 미디어 접촉동기와 정보내용의 선택적 추구행동을 분석한 것이다. 이를 위해 교수와 연구원, 교사, 공무원 등 대학생을 포함한 직장 종사자 277명으로부터 회수된 질문지를 속성별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연구에 대한 새로운 암시나 착상은 교수와 연구직은 학회모임이나 연구활동에서, 기타 직종은 인터넷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정보 추구동기와 탐색정보 유형에서는 이용자의 속성에 따라 상당한 차이를 나타내고 있어 추구행동과 속성간에는 매우 밀접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media-contacting motivation and the optional seeking behavior for the informations, namely, what kinds of media the information users contact and what types of informations they select for the purpose of meeting their needs of the informations. For this purpose, the questionaires answered by 277 of the employees including the professors, reseatchers, teachers, officials and collegians were analyzed by properties. The Result of this analysis is that the new hints or ideas by the professors and the researchers appeared in the highest at the academic meetings or the reseatching activities and those at the other employees appeared at the internet sites. It was shown that there is a very close correlation between the information-seeking behaviors and the user properties as the types of their seeking informations and their information-seeking morivations are considerably different from each other.

      • KCI등재

        아동의 심리 요인과 2차적 정보격차 유형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 인터넷 이용 동기, 인터넷 자기 효능감, 정보 추구 욕구를 중심으로

        권현진(Kwon Hyunjin),김혜정(Kim Hyejung),김현철(Kim Hyeoncheol) 한국열린교육학회 2015 열린교육연구 Vol.23 No.1

        연구의 목적은 아동의 심리 요인(인터넷 이용 동기, 인터넷 자기 효능감, 정보 추구 욕구)과 2차적 정보 격차(정보 역량, 정보 활용의 질적 유용성, 정보 활용의 양적 다양성) 간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를 위해 400명의 초등학교 고학년을 대상으로 연구모델에 따른 잠재변인 간의 구조 모형을 수립하고, 연구모형의 적합도를 검증하고, 직접효과와 간접효과, 총효과 분석을 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자면, 첫째, 구조방정식 모형의 데이터 적합도 분석결과 모형 적합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적합도 지수 값을 확인하였다. 둘째, 구조 모형을 분석한 결과 심리 요인은 정보 역량과 정보 활용의 질적 유용성에 각각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정보 역량은 정보 활용의 질적 유용성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모델의 최종 내생변인인 정보 활용의 양적 다양성에는 정보 활용의 질적 유용성만이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모델 변인 간 직접·간접효과와 경로 관계를 분석한 결과 심리 요인이 해당 모델에서 핵심변인으로 분석되었다. The study purpose was to identify what factors affect elementary students’psychology(intention to use, self-efficacy, information desire) and typed second digital divide (ICT capacity, usefulness of usage, diversity of usage). A sample of 400 fifth- and sixth-grade students from four urban public schools in a metropolitan area of South Korea participated in the questionnaire conducted in the research. In order to explain casuality amongst the factors,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echnique was employed with the AMOS program. According to the goodness-of-fit test results the model turned out to be good enough to conduct the research. It was identified that psychological factors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students’ICT capacity and students' usefulness of usage, and then students’ICT capacity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students' usefulness of usage, and again students' usefulness of usage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students' diversity of usage. Finally, relevance for major and subjective norm were identified as key variable through their direct and indirect effect on psychological factors.

      • KCI등재

        유튜브 네이티브 광고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시청동기와 유튜브 인플루언서의 콘텐츠 적합성을 중심으로

        류지영 한국광고PR실학회 2023 광고PR실학연구 Vol.16 No.2

        코로나19의 팬데믹 상황에서 급증한 모바일 미디어 중심의 온라인 동영상 스트리밍 서비스 소비 트렌드는 사실상 엔데믹을 앞둔 현재도 여전히 계속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 점유율이 가장 높은 동영상 플랫폼인 유튜브의 네이티브 광고 시청동기와 유튜브 인플루언서의 콘텐츠 적합성이 광고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유튜브 동영상 시청 경험이 있는 국내 만 14~29세 MZ세대를 대상으로 유튜브 네이티브 광고 시청동기(정보추구 동기, 오락추구 동기)×유튜브 인플루언서의 콘텐츠 적합성(높음, 낮음) 집단 간 이원적 요인설계 실험연구로 광고효과에 미치는 주효과 와 상호작용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유튜브 네이티브 광고 시청동기 및 유튜브 인플루언서의 콘텐츠 적합성이 광고효과에 유의미한 차이를 유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광고효과에 대하여 유튜브 네이티브 광고 시청동기와 유튜브 인플루언서의 콘텐츠 적합성의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유튜브 네이티브 광고 시청동기와 유튜브 인플루언서의 콘텐츠 적합성이 광고효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이론적 시사점 및 실무적 인사이트를 제시하였다는 의의를 갖는다. The trend of online video streaming service consumption centered on mobile media, which has surged in the midst of the COVID-19 pandemic, is still continuing even now, ahead of the endemic. Therefore, this study attempted to empirically verify the effect of native advertisement viewing motivation of YouTube, the video platform with the highest domestic market share, and influencer's content suitability on advertising effectiveness. Specifically, the main effects and interaction effects on advertising effects were analyzed as a dual factor design experimental study between YouTube native advertisement viewing motivation (information-seeking motivation, entertainment-seeking motivation)×YouTube influencer content suitability(high, low).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the YouTube native advertisement viewing motivation and YouTube influencer's content suitability caus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dvertisement effect. In addition, the interactive effect of YouTube native advertisement viewing motivation and YouTube influencer's content suitability was shown for advertising effect. The results of this study have the significance of presenting theoretical implications and practical insights on the effect of YouTube native advertisement viewing motivation and YouTube influencer's content suitability on advertising effectiveness.

      • KCI등재

        정보 추구 전략에 기반한 데이팅 앱 이용자 유형에 관한 연구: 이용 동기, 프라이버시 우려, 신뢰, 오프라인 관계 형성 의도, 관계 만족도를 중심으로

        김희주,이수영 한국광고PR실학회 2022 광고PR실학연구 Vol.15 No.4

        본 연구는 데이팅 앱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데이팅 상대에 대한 불확실성을 낮추기 위한 정보 추구 전략에 따라서 어떻게 유형화 될 수 있는지, 각 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이용자의 특성은 무엇인지, 또한 각 유형에 따라서 데이팅 앱 경험인 실질적인 유대관계 형성에 차이가 있는지를 연구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데이팅 앱 이용자들을 정보 추구 전략에 기반하여 유형화한 결과 ‘관찰형’, ‘적극형’, ‘소극형’의 세 가지 유형이 도출되었다. 둘째, 각 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탐색한 결과, 연애동기가 높을수록 소극형 보다는 관찰형에 속할 가능성이 높고, 소통용이성과 자기확인 동기가 높을수록 소극형 보다는 적극형에 그리고 프라이버시 우려가 높을수록 관찰형과 적극형에 속할 가능성이 높다. 셋째, 각 이용자 유형별로 신뢰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으나, 소극형에 비해서, 관찰형이 더 높은 오프라인 관계 형성 의도를 보였으며, 적극형은 더 높은 관계 만족도를 보였다.

      • KCI등재

        코로나19 예방행동과 정보추구 의도 연구 : 보호동기이론의 확장과 지지정당의 영향력 검증을 중심으로

        김효정(Hyo Jung Kim),홍혜현(Hyehyun Hong) 한국광고홍보학회 2021 한국광고홍보학보 Vol.23 No.2

        본 연구는 보호동기이론(protection motivation theory)을 기반으로 개인의 코로나19 관련 정보추구와 예방행동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였다. 특히 코로나19 이슈가 정치적 성향에 따라 다르게 인식될 수 있음에 주목하여, 개인의 여당 지지 여부가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코로나19 확산 초기인 2020년 3월 서울 시민 627명을 대상으로 수행한 온라인 설문 결과, 보호동기이론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코로나19에 대한 위협 평가(심각성 인식, 취약성 인식)와 대처 평가(대처 효능감, 자기 효능감)가 높을수록 예방행동 의도가 높아졌으며, 이때 집권 여당 지지는 위협 평가를 약화시켰던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 위협 평가가 높을 때, 그리고 여당을 지지할 때 코로나19 관련 정보추구 의도가 높아짐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보호동기이론을 코로나19 상황에 적용하고 개인의 정치적 성향(여당 지지 여부)의 영향을 함께 살펴봄으로써, 보호동기이론을 확장・재검증하고 건강 이슈의 정치화를 논의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Based on the protection motivation theory (PMT), the current study examined the cognitive factors that influence protective health behaviors related to the COVID-19 pandemic. This study also analyzed how individuals’ political orientation (i.e., individual support for the ruling political party) influences their perceptions and behavioral intentions regarding COVID-19. An online survey of 627 Seoul citizens was conducted in March 2020, which was the early stage of the spread of COVID-19. Consistent with the PMT literature, the results showed that individuals’ threat appraisal (perceived severity and perceived susceptibility) and coping appraisal (response efficacy and self-efficacy) positively influenced their intentions of preventive behaviors against COVID-19. Intentions to seek more information about COVID-19 was positively influenced only by threat appraisal. Regarding the impact of political orientation, it was found that the supporters of the ruling party reported the lower level of threat appraisal and the higher level of coping appraisal, as compared to non-supporters. An individual’s political orientation also influenced their information seeking intention; supporters of the ruling party were more likely to seek more information regarding COVID-19 than non-supporter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 KCI등재

        중국 청소년의 틱톡(Tiktok) 이용동기가 이용만족도와 지속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샤오진화,이상기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20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 Vol.6 No.2

        This study verified the motivation to use Tiktok(short video clip) for Chinese teenagers. This paper investigated the influence of adolescents’use motivation on use satisfaction and continuous use intention. In addition, this study was to grasp the relationship between use motivation and sustained use intention as a mediating effect of use satisfaction. The survey was conducted online and offline(N=315). For the data, factor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effect analysis of parameters were conducted using the SPSS 25 program. As a result of the study, information/entertainment pursuit, communication, and self-expression were derived as motivation for use. Among these motivations, information/enterprise pursuit and communication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use satisfaction and continued use intention.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use satisfaction has a mediating effect on intention to use continuously. But it is found that the self-expression factor handled as reuse intention have no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use satisfaction and continuous use intention of Tiktok. 본 연구는 중국 청소년을 대상으로 틱톡(Tiktok)의 이용동기를 밝히고 그것이 이용만족도와 지속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또한 이용 동기와 지속사용의도의 관계를 이용만족도의 매개효과로 파악하고자 하였다. 설문조사는 온라인과 오프라인으로 실시하였다(N=315). 자료는 SPSS 25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요인분석, 다중 회귀분석 및 매개변수의 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이용 동기로는 정보/오락추구, 소통, 자기표현이 도출되었다. 이들 이용 동기 중 정보/오락추구, 소통이 이용만족도와 지속사용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이용만족도는 지속사용의도에 매개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하지만 기존의 소셜미디어의 이용 동기 연구에서 중요한 요인으로 다뤄졌던 자기표현 요인은 틱톡 이용만족도와 지속사용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점을 발견하였다. 본 연구가 향후 틱톡(짧은 동영상) 관련연구에 작은 기여를 할 수 있길 기대한다.

      • KCI우수등재

        인터넷 토론 공론장의 분화

        박근영,최윤정,이종혁 한국언론학회 2013 한국언론학보 Vol.57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인터넷 토론 참여자들을 토론 공간과 주제의 성격에 따라 유형화하고, 서로 다른 유형간 차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밝히는 데에 있다. 토론 참여자 6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허위 공중, 잠재적 공중, 이슈 공중, 전통적 공중 등 4가지 유형이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이 가운데 사적 토론방에서 사적 주제에 대해 토론하는 잠재적 공중이 공적 토론을 시도하는 이슈 공중으로, 더 나아가 공적 토론방에 참여하는 전통적 공중으로 변화할 수 있다고 가정했다. 따라서 토론 참여자들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정치적 특성, 토론방 이용 동기, 토론방 이용 정도, 토론 상대와 사회에 대한 인식 등의 변인들을 사용해 유형 집단 간 차이를 예측해 보았다. 로지스틱회귀분석 결과, 잠재적 공중과 이슈 공중 간에는 정치 관심도, 의견 교류 동기, 친밀감, 공동체의식 등이 유의미한 예측요인으로 밝혀졌다. 이들 요인들이 강화되어야 잠재적 공중에서 이슈 공중으로 변화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슈 공중이 전통적 공중으로 변화하는 데에는 정치 강도와 정보추구 동기가 강화되어야 하는 반면, 오락추구 동기와 토론방 이용 횟수는 감소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건강 정보 추구가 유방암 검진행동에 미치는 영향 연구

        구윤희(Yunhee Ku),노기영(Ghee Young Noh)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2018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Vol.19 No.7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ways to improve peoples perceptions to prevent and detect breast cancer. Health belief model(HBM) was us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risk perception of breast cancer, and benefit perception, and information seeking. In addition, the role of autonomous motives was included in the model. The results shows that the more people perceived cancer as dangerous, or perceived cancer screeing as beneficial, the more likely they seek relavant health information. Also, high autonomous motives showed positive effects on info seeking. Information seeking behaviors also had a positive impact on health screening intention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