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청소년 안전교육을 위한 안전정보디자인 활용 사례 연구

        김민정(Kim, Min Jung),정희진(Chung, Hee Jin)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5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1 No.3

        본 연구는 안전교육의 개념과 청소년 대상의 안전교육 현황을 살펴보고, 청소년들을 위한 안전교육 정보디자인의 국내외 사례를 살펴봄으로써, 청소년의 안전의식 함양을 위한 안전교육 정보디자인 제작에 관한 체계적⋅이론적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은 안전교육 이해 및 현황 분석을 위해 국내외 학술지 및 논문을 포함한 도서, 출판물의 문헌조사가 이루어졌으며, 청소년 안전교육을 위한 정보디자인의 국내외 사례 조사를 위해서는 인터넷을 통한 D/B 검색 위주의 연구가 진행되었다. 본 연구의 주된 범위는 안전교육의 개념과 특히, 청소년을 위한 안전교육 정보디자인의 필요성을 고찰하는 것으로 제한되었다. 또한 정보디자인 관점에서 사례를 분석하여, 청소년의 안전의식 강화를 위한 디자인 구성 요인과 지향점을 제안하는데 초점을 두었다. 연구내용과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안전교육은 안전에 대한 바람직한 행동과 태도에 변화를 유도하여 미연에 사고를 방지하거나 올바르게 대응할 수 있는 교육을 행함을 의미한다. 따라서 청소년에게 필요한 필수안전 정보를 공간과 시간에 따른 기준으로 재분류하여 월별 정보와 상시형⋅즉시형 정보로 재분류 되었다. 둘째, 멀티미디어 및 모바일을 통한 정보 습득과 공유에 익숙한 국내 청소년을 위한 인터랙티브 안전정보 콘텐츠는 그들 스스로 정보를 탐색하고 수정하며 검색할 수 있음으로, 안전 정보에 대한 흥미와 인지, 기억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교육 효과가 높을 것으로 예측하였다. 셋째, 국내 안전정보 콘텐츠의 다양성과 완성도는 해외의 사례들에 비해 미흡한 실정이지만, IT를 기반으로 인터랙티브 요소가 가미된 안전교육 정보디자인 콘텐츠를 제작 한다면 청소년의 안전의식 함양에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되었다. 마지막으로 청소년 안전정보 콘텐츠 디자인을 위한 지향점과 정보설계 차원에서의 기획 가이드라인과 구성요소가 제안되었다. This article aims to provide a systematic⋅theoretical data about Information Design of Safety Education for cultivating safety consciousness of youth through analyzing concept, feature, and types of safety Information Design for youth, and some representative cases in domestic and abroad. The main method of this article is to analyze diverse publications, books and periodicals, including theses in order to understand the concepts and situation of safety education, and to review various examples of information design in domestic and abroad from internet D/B for educating safety to teenagers. Main scope of this study is limited to concept of safety education and especially the necessity of information design for safety education of youth. Also it focused on suggestion of design elements and intention points in order to strengthen sense of safety for teenagers through analysing cases from a information design perspective. The main contents and results of this article are as follows. First, safety training is to prevent accidents in advance and respond properly by inducing desirable changes in behavior and attitudes about safety. Then necessary safety information for teenagers are rearranged by monthly information and continuous⋅immediate information. Second, this study predicted that educational effects of interactive safety information contents are high in sense that youth can explore, edit, and search information by themselves while improving interests, cognition, and memory of safety information, who are very accustomed to acquiring and sharing information through multimedia and mobile device. Third, variety and completeness of contents in domestic safety-information design are insufficient comparing with ones of abroad safety contents. However, it was judged that interactive safety information design is beneficial to safety training for teenagers if it would be designed with interactive elements based on IT(information technology). Finally, the planning guidelines, components of design, and developmental direction were suggested in accordance with information architect for designing safety information contents of youth.

      • KCI등재

        유니버설디자인을 적용한 서울시 스마트버스정류장 무인정보단말기 디자인 제안

        박기돈 ( Park Ki Don ),고영준 ( Ko Young Jun )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2021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66 No.-

        최근 스마트기술을 적용한 스마트버스정류장이 전국적으로 설치되고 있다. 대중교통인 버스를 이용하기 위한 버스정류장의 무인정보단말기와 제공되는 정보의 경우, 다양한 유형의 시민들이 이용하기 때문에 유니버설디자인의 관점에서 올바르게 적용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무인정보단말기에 사용에 대한 선행연구 분석과 서울시에 설치된 버스정류장과 스마트버스정류장의 서비스사파리와 고객여정맵 분석을 통해 스마트버스정류장에서 제공하는 정보제공 방식과 무인정보단말기의 유니버설디자인 측면에서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를 개선한 유니버설디자인이 적용된 무인정보단말기 디자인을 제안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연구 결과, 휠체어 사용자의 경우 무인정보단말기에 접근하는 것과 조작을 위한 신체 도달 범위에 대해 어려움이 있었고, 시각장애인의 경우 무인정보단말기의 위치 확인과 시각 위주로 제공되는 정보들을 인식하기 어려웠다. 외국인의 경우 자국어를 지원하지 않으면 정확한 정보를 인식하는 데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공통으로 스마트버스정류장의 좁은 공간에서 정보제공기기를 효율적으로 설치하는 데 있어 어려움이 있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기존의 다양한 기기들의 기능을 하나의 무인정보단말기에 통합하였고, 무인정보단말기의 모니터를 세 파트로 나누어 각각의 화면에 필요한 기능을 적용한 디자인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제시된 유니버설디자인 적용된 무인정보단말기의 디자인이 향후 설치될 스마트버스정류장과 무인정보단말기에 적용되어 다양한 버스 이용자의 버스 이용에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Recently, smart bus stops that apply smart technology are being installed nationwide. Information on public transport buses and kiosks provided in them needs to be correctly applied from the perspective of universal design because it is used by various types of citizen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information provision method provided by smart bus stops and the universal design of kiosks by conducting service safari and customer travel maps at bus stops installed in Seoul, and to propose a kiosk design with improved universal design. Studies have shown that wheelchair users have difficulty accessing kiosks and body reach for manipulation, and visually impaired people have difficulty recognizing information that focuses on kiosks positioning and visualization. Foreigners had problems recognizing accurate information if they did not support their own language. Also, there was a difficulty in efficiently installing information providing devices in a narrow space of a smart bus stop. To solve this problem, the functions of various existing devices were integrated into one kiosk, and the monitor of the kiosk was divided into three parts to present a design that applied the functions necessary for each screen. It is expected that the design of the kiosk presented in this study will be applied to the kiosk at the smart bus stops to be installed in the future, so that various bus users can use the bus conveniently.

      • KCI등재

        정보디자인 관점에서 방향 안내 표지판 디자인의 메타 가이드라인 제안

        한지애(Ji Ae Han),류시천(Si Cheon You) 한국스마트미디어학회 2021 스마트미디어저널 Vol.10 No.2

        길찾기는 ‘목적지를 찾는 문제 해결 과정’으로 최적의 경로 선택을 위한 공간 데이터 선택이 매우 중요하다. 최근 공간의 복잡화와 길찾기 서비스의 매체 확장으로 인해 공간데이터가 다양해져 정보디자인 관점으로의 접근이 필요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길찾기 과정에서 중요한 인지적 단서가 되는 안내표지판 디자인을 위해 정보디자인 관점에서 공간데이터 디자인을 위한 메타 가이드라인을 제안하는 것이다. 연구는 3단계로 진행되었다. 첫째, 정보디자인, 표지판 디자인 관련 문헌 연구와 표지판 가이드라인 매뉴얼 분석을 통해 디자인 프로세스를 제안하고 단계별 디자인 요소를 도출하였다. 둘째, 사례 분석과 전문가 FGI를 통해 3단계 디자인 프로세스 중 정보 조직화와 시각화 단계에 관한 메타 가이드라인을 제안하였다. 셋째, 메타 가이드라인의 적용 가능성을 파악하기 위해 대상지를 선정하여 메타 가이드라인을 표지판 디자인에 적용하고 이에 대한 사용자 평가를 시행하였다. 사용자 설문을 통해 메타 가이드라인의 핵심 내용인 공간 특성에 따른 정보 위계, 정보 위계에 따른 정보 우선순위, 방향과 공간에 관한 시각화에 관한 가이드라인 적용 가능성을 파악하였다. 본 연구는 표지판 디자인에 필요한 정보 요소들을 프로세스 중심으로 체계화시켰다는 점과 공간특성에 따른 표지판 디자인에 관한 거시적 방법론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향후 복잡한 공간 또는 다양한 매체를 위한 방향지각 정보, 공간인지 정보에 관한 구체적인 시각화 방법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Wayfinding is a ‘Process solving problem to find destination’, and it is important to select spatial data for optimal way. Recently, due to the complexity of space and the expansion of the medium of the wayfinding service, it is necessary to the approach on the information design for them.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meta guideline on the information design for the design of orientation sign, which is an important cognitive clue in the wayfinding. It was conducted in 3 stages, First, a design process was proposed and design elements were derived for each step by literature research related to information and sign design, and analysis of manual for signage design. Second, a meta guideline for information organization and visualization in the three-stage design process was proposed by FGI and analysis. Third, the meta guideline was applied to the sign design on an area for user evaluation to inspect the applicability of the meta guideline. Through the user questionnaire, the possibility of applying the guideline for visualization of directions and spaces, information hierarchy according to spatial characteristics and information priority was identified. It is meaningful in that necessary element for signage design are systematized centering on the process and that it presents a macroscopic methodology according to spatial characteristics.

      • KCI등재

        정보취약계층을 위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디자인 전략에 관한 연구

        장영범(Young Bum Jang)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3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9 No.1

        인터넷으로 대표되는 디지털 기술은 개인의 정보 접근을 용이하게 하고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고 공유 하는 플랫폼으로 정착하고 있다. 이는 기존의 매스미 디어와는 다른 개념으로서 2005년 이후에 웹 서비스의 핵심개념으로 떠오는 웹2.0이 표방하는 개방, 참여, 공유의 정신을 그대로 이어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정보의 확산과 공유가 활발해짐과 동시에 이러한 서비스를 원활하게 이용하기 힘든 계층들이 등장하고 있는데 이를 정보취약계층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이 정보취약계층이 느끼는 정보 접근의 제한성을 디지털격차라고 하며 이 디지털 격차는 모바일 애플리케이 션이 확산되면서 더욱 극심해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정보취약계층이 모바일 애플리케이 션을 좀더 원활하게 이용할 수 있는 디자인 전략을 제안하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방법으로는 기존 논문과 단행본 등을 분석하여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디자인에 필요한 일반적인 전략을 도출하였고 이 중 정보취약계층을 위한 디자인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 및 전략을 제안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라 정보취 약계층이 사용하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디자인할 때 인터페이스 디자인 전략, 커뮤니케이션 디자인 전략, 정보 구조 전략, 사용자 경험 디자인 전략, 유니버설 디자인 전략 등 5가지의 디자인 전략을 중점적으로 살펴보아야 하며 특히 최근 제공되고 있는 여러가지 부가 기능들 역시 정보취약계층의 정보접근성을 고려하여 디자인 되어야 함을 지적하였다. 이 연구결과에 따라 앞으로 정보취약계층을 위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디자인할 때 활용하여 좀더 정보취약계층이 이용하기 편리하고 유용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The digital technology is to facilitate access information and was settled platform that provides a variety of information and sharing of digital technology. The digital technology and existing mass media are different concept. Since 2005, web 2.0 which proposed openness, participation, and sharing is emerging the core concepts of web services. web2.0 was the successor to the digital technology. So the spread of information sharing has become active, but there are people who are hard to use services seamlessly. These people is called information alienated group. The spread of mobile services, the digital divide is getting more and more intense. This study aims to offer mobile applications design strategies for information alienated group. The research methods used analysis method of existing papers and books, and this study proposed mobile application design strategy for information alienated groups from general mobile application design strategy. Depending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mobile application design for information alienated group are required interface design strategy, communication design strategy, information architecture strategy, user experience design strategy, universal design strategy. In addition, several additional features should be designed by considering the information accessibility of information alienated group. Depending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for the future when designing mobile application for information alienated group to take advantage of easy to use and more information alienated group will be able to create a useful application.

      • KCI등재

        스마트 헬스케어 애플리케이션의 정보디자인 분석 -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의 색채 사용을 중심으로 -

        노선영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21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19 No.1

        본 연구는 스마트 헬스케어의 애플리케이션의 측정 결과 화면에서 정보디자인의 색채 정보를 분석 후 향후 색채정보의 방향성을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배경으로는 스마트 헬스케어 애플리케이션의 생체 정보를 확인하는 과정에서 정보디자인은 사용자의 경험과 감성의 정보 전달을 직관적으로 보여주는 매우 중요한 부분임에 비해 색채정보 관련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스마트 헬스케어 애플리케이션 에서 정보디자인의 요소인 색채 정보를 인지하고 감성적인 중요도의 타당성으로 모색하여 향후 스마트 헬스케어 애플리케이션의 색채정보 방향성을 제안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으로 심박 수 및 혈압, 스트레스 등 생체 정보를 확인하는 애플리케이션 중 정보디자인이 사용자의 경험 및 감성을 얼마나 고려하는지 분석하였다. 사회, 환경적 동향을 분석하여 연구의 타당성을 검토하여 실증분석을 통한 모바일 헬스케어 정보디자인에 사용된 색채 정보를 파악하였다. 연구 대상의 헬스케어 측정 결과 화면의 색채정보를 분석 후, 한국 산업규격에 맞춘 먼셀 표기로 변환하여 표기했다. 분석 결과는 기능적 측면과 심리적인 측면을 근거로 분석하였다. 사용자의 감성적인 측면보다 정보의 위계를 표현하기 위한 색채의 기능적인 측면이 대체로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개인결과를 직관적으로 알려주는 장점은 있으나, 사용자 경험이나 감성을 고려하지 못한 디자인 접근은 미흡한 단계임을 알 수 있었다. 연구결과 스마트 헬스케어 서비스에서 사용자의 정신적, 감성적인 측면을 고려해 사용자의 만족도 높은 색채 정보를 제공하여 향후 사용자의 정서적인 부분까지 연결을 도모할 수 있는 그래픽 정보디자인 방향의 지표가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e smart healthcare application is identification of the user's biometric information, and it is a very important part directly affecting the user's experience, emotion, and information transmission. However, research related to the graphic design element of information expression is insuffici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validity of perception and emotional importance of color information in mobile application design. These refer to secondary data and prior studies to determine the status of biometrics applications that verify biological information, such as heart rate and blood pressure and stress, to see how much the design takes into result of user experience and emotion. Thus, analyzed based on the functional aspects and the therapeutic and psychological aspects such as it shows that the use of color in information design was mainly a functional use to express hierarchy, order, and intensity. Although the functional aspect of color to enhance legibility rather than the emotional aspect of the user and to express the hierarchy of information has the advantage of intuitive knowledge of the individual state of the user and experience. The research service demand increases along with physical health and mental management, the color of information design must be able to cover both functional and psychological aspects of users. Smart healthcare services provide a satisfying user experience by considering mental and emotional aspects of a user, and provide a graphic that enables the user to seek emotional connection with the service.

      • KCI등재

        도로표지디자인의 직관성 향상을 위한 정보디자인 분석

        은덕수(Eun, Duk Soo)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8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4 No.2

        도로표지는 도로이용자에게 목적지까지 효율적으로 길을 안내하는 체계이자, 안전하고 원활한 도로교통을 확보하는 도로의 주요시설이다. 한국은 국토개발과 급속한 도시의 팽창으로 인하여 도로망이 크게 확장되었으며, 도로체계와 도로환경이 매우 복잡한 구조로 바뀌었다. 이에 대응하고자 정부는 2014년 도로명 주소체계를 전면적으로 시행하여 2016년부터 도로명을 도로표지에 적용하고 있다. 정보디자인 체계로 도로표지는 정보를 읽기 쉽도록 지원하는 차원을 넘어, 도로체계와 목적지까지의 길안내를 쉽고 빠르게 이해시킬 수 있어야 한다. 새롭게 적용된 도로명주소 기반의 도로표지는 도로명주소체계에 적합한 정보디자인 지원시스템을 아직 갖추지 못하고 있고, 길 안내의 측면에서 효율적 개선이 필요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도로표지의 직관성 향상을 목표로 도로표지디자인과 도로표지규칙 및 지침을 분석하여 정보디자인 개선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먼저 정보디자인 측면에서 직관성의 개념을 인간의 공간지각 특성과 유니버셜디자인의 주요 관점에서 정리하여, 도로표지 분석의 틀로 활용하였다. 도로표지디자인의 직관성은 표지의 정보들을 빠르게 읽고 판독하는 가독성 측면의 지각적 접근성과 도로표지의 이용체계를 빠르게 습득하는 이해성과 예측가능성의 차원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도로표지의 직관성 향상은 지각적 접근성이 확보되어야 정보의 판독과 가독성이 향상될 수 있는데, 도로명주소체계의 도로표지는 도로규모와 구조에 적합한 정보의 위계구현, 정보의 생략, 단순화 등을 바탕으로 동일 정보요소간의 일관성 있는 레이아웃이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짧은 시간의 이용으로도 도로표지체계를 학습 할 수 있어야 하며, 길을 잃었을 때 쉽게 오류를 수정할 수 있어야 하며, 공간지각과 도로표지의 연계성이 확보되어야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도로명 주소체계의 도로표지 정보디자인은 도로표지 규칙을 근거로 지자체에서 행하여지는 바, 도로표지규칙에서 제시되고 있는 표기정보량 허용에 대한 불분명함과, 색채 적용에 대한 불합리한 항목 개선에 대한 구체적인 지침개발을 제안하였다. Road signs are a system that effectively guides road users to their destination and are a major facility for securing safe and smooth road traffic. The Korean road network has been greatly expanded by land development and rapid expansion of cities, and the road system and environment have become very complex. In response, the government implemented the street name address system in 2014 to apply the road name to road signs from 2016. With the information design system, road signs should be able to easily and quickly understand road systems and directions to destinations, beyond supporting reading of information. The newly applied road sign based on street name address does not have an information design support system suitable for the road name address system and needs to be improved efficiently in terms of road guidance. Therefore, this study was designed to present improvement points for information design by analyzing road sign design and road sign rules and guidelines with the aim of improving the relevance of road signs. First, the concept of direct connection in information design was put together in terms of human spatial perception characteristics and the main aspects of universal design and used as a framework for road sign analysis. The direct correlation of road sign design was possible in terms of the perceived accessibility in terms of fast reading and reading of information on road signs, and in terms of the rapid learning of the system of use of road signs. As a result, improving the intuitiveness of road signs requires perceptual accessibility to improve the legibility and readability of information. In addition, the road sign system should be able to learn from the use of short time, be able to correct errors easily when lost, and be connected between spatial perception and road markings. The road sign information design of the road name address system was performed by the local government based on the road sign rules. The improvement of the specific description of the provision of information presented in the road labeling rules was also about the uncertainty and the application of color.

      • KCI등재

        정보디자인형 광고의 커뮤니케이션 기법에 관한 연구

        김종민(Jong-Min Kim),박한솔(Han-Sol Park) 한국콘텐츠학회 2017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7 No.11

        본 연구는 정보를 표현기법 삼아 소통되는 정보디자인형 광고의 정의와 유형에 대해 알아보고, 어떠한 특징이 있는지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방법은 광고와 정보와의 관계를 시대적 이슈에 맞추어 고찰한 후, 정보디자인형 광고 샘플을 선정, 유형별로 연구하고 이를 전문가 그룹과 비전문가 그룹 대상으로 심층 분석하여 그 특징을 알아본다. 그 결과, 정보디자인형 광고는 1인 미디어 시대와 정보화 사회에 기인하여 출몰하는 정보디자인 형식을 갖춘 광고로, 이슈가 될만한 정보 혹은 데이터를 정보디자인 기법을 이용하여 시각화 한 후, 이를 표현기법 삼아 소비자의 관심을 끄는 형식의 광고임을 알 수 있었으며, 매뉴얼 정보디자인형 광고, 아이덴티티 정보디자인형 광고, 데이터 시각화 정보디자인형 광고로 구분할 수 있었다. 커뮤니케이션 키워드는 Attention, Curation, Study가 있다. 이 중 Curation은 Share에서 발전된 개념으로, 공유 행위를 통한 소셜네트워크상에서의 지식 소장, 선점, 과시를 의미한다. 과장과 허위가 아닌, 신뢰를 기반으로 하는 정보디자인형 광고는 방대한 양의 정보나 어려운 내용을 쉽게 치환, 이해를 돕는 과정을 통해 흥미와 공감대를 형성하며 필요한 지식을 제공하고 자연스럽게 제품에 대한 학습을 유도한다. This study will analyze that the meaning and the characteristic of Information design type advertising. This study research the advertisement and Information with the issue and explore Information design type advertising samples by doing an in-depth analysis with an expert group and an inexpert group. It attracts customers visualizing sensational information and data as information design technique. It can be classified in to Manual type ad, Identity type ad, Data visualizing type ad. The communication formula of it goes through the keywords: Attention, Curation, Study, and these Curation and Study are new steps which didn`t exist before in consumer behavior model. Information used in it comes from common sense or storytelling made by imagination, but there is no example of using false information distorting truth. Not exaggeration and falsehood, interesting which based on confidence creates a bond of sympathy: period time.

      • 멀티미디어디자인에서 정보디자인 주요 특성

        류시천 조선대학교 조형미술연구소 2003 조형미술논문집 Vol.3 No.-

        정보디자인 원리는 1970년대의 출판디자인을 포함한 그래픽디자인 분야에서 비롯되었으나 리차드 솔워먼(Richard Saul Wurman)이 인터넷 환경에서 정보디자인과 그것의 실질적인 적용에 관한 문제를 탐구하면서부터 현재와 같이 정보디자인 멀티미디어디자인 영역에서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기에 이르렀다. 그러나 아직까지도 멀티미디어디자인상에서 정보디자인 개념의 정체성 확보를 위한 이렇다 할만한 연주가 부족한 실정이며, 경우에 따라선 과거 그래픽디자인 분야에서 정의되었던 정보의 재현 및 시각화라는 측면으로 대단히 협의적 관점에서 정보디자인을 조망하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본 연구는 과거의 전통적 정보디자인과 대비되는 상대적 관점으로 현재의 멀티미디어디자인에서 정보디자인 특성을 고찰하였다. 연구결과로서 멀티미디어디자인에서 정보디자인 특성은 '정보의 질', '사용자 지식확장', '메시지 전달과 처리', '컨텍스트와 컨텐트', '통합적 환경'의 크게 5가지 측면으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토대로 향후에는 인터페이스디자인, 상호작용디자인, 경험디자인과 같은 정보디자인 인접분야와의 상호 의존적 또는 배타적 특설에 대한 담론이 제시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인적 특성을 반영한 안전 정보디자인의 개념과 특징

        김다솔(Dasol Kim),류시천(Sicheon You) 한국스마트미디어학회 2024 스마트미디어저널 Vol.13 No.8

        디자인학에서 사고와 재해 방지에 관한 선행 연구는 많지만, 주로 시인성 개선을 위한 시각화 방안에만 초점이 맞춰져 있다. 대부분의 사고와 재해는 인적 요인에 의해 발생한다. 그러나 현재 위험 상황에서 발현되는 인적 특성을 고려한 디자인 연구는 거의 없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인적 특성을 반영한 안전 정보디자인의 개념과 특징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사회과학 측면에서 위험과 안전의 개념을 고찰하고, 인지신경과학 측면에서 인간의 시지각 정보처리과정을 살펴보았다. 더불어 심리학 측면에서 위험상황에서 인간의 정보처리과정과 사고 발생률의 관계를 파악하였다. 이상의 내용을 토대로 기존 정보디자인과 안전 정보디자인의 차이점을 규명하고 궁극적으로 인적 특성을 반영한 안전 정보디자인의 특징을 파악하였다. 주요 발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위험 상황에서 이성적 판단이 중단될 가능성이 높은 인적 특성을 고려하여 정보를 제시해야 한다. 둘째, 위험 수준에 따라 주의를 적절히 분산시키거나 집중시키는 것은 피해를 최소화하는 기회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 셋째, 위험·안전 정보디자인 분야에서는 감각적, 지각적 특성을 최우선으로 고려해야 함을 발견했다. 이상의 내용을 통해 안전 정보디자인에서 인적 특성을 반영한 디자인적 접근 방식이 궁극적으로 안전 수준 향상의 주요 지표가 될 수 있음을 파악했다. In design studies, there has been extensive prior research on accident and disaster prevention, but it mainly focuses on visualization methods to improve visibility. Most accidents and disasters are caused by human factors. However, there is little design research that considers human characteristics that manifest in dangerous situations.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concepts and characteristics of safety information design that reflects human traits. It examines the concepts of risk and safety from a social science perspective and looks into human visual information processing from a cognitive neuroscience perspective. Additionally, it explores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 information processing and accident rates in dangerous situations from a psychological perspective. Based on these analyses, the study distinguishes between conventional information design and safety information design, ultimately identifying the features of safety information design that incorporates human traits. The ke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information should be presented considering the human tendency to suspend rational judgment in dangerous situations. Second, appropriately dispersing or concentrating attention according to the level of risk can serve as an opportunity to minimize harm. Third, it was found that sensory and perceptual characteristics should be given top priority in the field of risk and safety information design. Through these findings, the study concludes that a design approach that reflects human traits in safety information design can ultimately be a key indicator for improving safety levels.

      • KCI등재

        효율적인 인포그래픽 디자인을 위한 정보 시각화 체계와 표현 특성 연구

        박혜진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17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15 No.3

        인포그래픽은 여러 미디어 분야에서 다양한 형태로 활용 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효율적인 인포그래픽 디자인을 창 조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여 인포그래픽 디자인의 정보 시 각화와 표현적 특성을 체계화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인포그래픽에 관한 전반적인 이론적 체계를 갖추었고, 인포 그래픽 제작 시 프로세스에서부터 결과로의 이행을 파악하기 위해, 4가지로 분류한 인포그래픽 유형을 바탕으로 정보 시각 화 콘텐츠 특성을 파악하였다. 분석대상은 연구자의 교육과 정에서 창의적 문제해결(CPS) 모형을 기반으로 진행된 에디 토리얼 인포그래픽 디자인 실제 제작사례로 범주를 한정하였 다. 콘텐츠적인 측면과 정보 시각화 방식의 디자인적인 측면 을 분석한 후, 알베르토 카이로의 ‘정보 시각화 수레바퀴 모 델’의 핵심요소를 근거로 인포그래픽의 특성을 파악하였다. 연구결과, 콘텐츠적인 측면에서는 디자인 스타일을 고민하기 이전에 정보의 내용(의미)에 따른 콘텐츠 전개의 우선순위, 메인 콘텐츠와 서브 콘텐츠와의 연계성과 상호관계성 등 전 달할 정보의 구조화가 탄탄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디자인적 인 측면에서는 전달하고자하는 정보 콘텐츠와 시각인지 메커 니즘을 토대로 시각적 형식을 고려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 구는 효율적인 인포그래픽 디자인의 제작을 위한 가능성을 보여주었다는데 의의를 두는 동시에 인포그래픽 디자인의 제 작 가이드라인으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Infographics design is utilized in diverse types in a num ber of media fields. This study aims to find a way to crea te efficient infographics design and systematize the chara cteristics of information visualization and expression of i nfographics design. This study examined overall theoreti cal system on infographics. When producing infographics design, in order to find out the performance from the proc ess to outcome, the characteristics of information visualiz ation contents are learned on the basis of four types of infographics. Subject of analysis is confined for the categ ories with actual cases of editorial infographics design ba sed on CPS as implemented in education on infographics design of the researcher. After analyzing the aspect of co ntents and the aspect of design of the projects, the chara cteristics of infographics were learned based on the core elements of Alberto Cairo’s ‘Visualization Wheel’. As a re sult of this study, in the aspect of contents, before conte mplating the design style, the structured information to b e conveyed has to be well established in priority sequenc e of contents deployed following the contents of informati on, relativity of main contents and sub contents, and mut ual relativity. In the aspect of design, it would be importa nt to consider the visual stereotypes based upon the infor mation contents and visually perceived mechanism intend ed to convey. This study expects to serve as the guidelin e in producing the infographics design and regards it as meaningful to demonstrate the possibility for producing e fficient infographics desig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