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중학생의 스마트폰 사용 습관에 따른 군집 유형과 학업태도의 관계

        김다솔(Kim, Dasol) 서원대학교 사범대학 부설 교육연구소 2020 교육발전 Vol.40 No.2

        이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의 스마트폰 사용 습관에 따라 지도가 필요한 학생을 선별하고 조기에 적절한 교육적 조처를 할 수 있도록 스마트폰 사용 습관에 따른 군집 유형과 군집 별 학업태도를 알아보는 데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한국 아동·청소년 패널 조사 2018의 자료 중 중학교 1학년 학생이 응답한 자료를 활용하였다. 우선, 11가지로 구분된 스마트폰 사용 목적별 빈도에 따라 k-평균 군집 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게임 중심 사용군’, ‘고사용군’, ‘미디어 중심 사용군’, ‘가족 및 정보 중심 사용군’, ‘또래 중심 사용군’ 5개의 군집으로 구분되었다. 5개 군집 별 학업태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학업열의’와 ‘학업 무기력’에 대해 일원배치 분산분석을 시행하였다. 그 결과 ‘가족 및 정보 중심 사용군’은 학업 열의가 다른 군집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업 무기력은 유의미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게임 중심 사용군’은 다른 군집에 비해서 학업 무기력이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dentify the types of groups and academic attitudes of groups based on smartphone usage habits so that middle school students can select students who need guidance according to their smartphone usage habits and take appropriate educational measures early on.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research, data from KCYPS 2018 was used by the first-year middle school students. First of all, the k-means cluster analysis was performed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each purpose of smartphone use, which is divided into 11 categories. As a result, five groups of game-oriented use groups , high use groups , media-oriented use groups , family- and information-oriented use groups and old-centered use groups were divided according to the usage habits of smartphones. A one-way distributed analysis was conducted on academic zeal and academic lethargy to identify the academic attitudes of each of the five groups. As a result, the family and information-driven use group has significantly higher academic zeal than other clusters (p=.000), academic lethargy was significantly lower (p=.000). The game-oriented use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academic lethargy than other clusters.

      • KCI등재후보

        메이커교육 프로그램이 융합인재소양에 미치는 영향 : 기술교과 ‘에너지와 수송기술’ 단원을 중심으로

        김다솔(Kim, Dasol) 서원대학교 사범대학 부설 교육연구소 2020 교육발전 Vol.40 No.1

        본 연구의 목적은 기술교과 ‘에너지와 수송기술’ 단원 중심의 메이커교육 프로그램이 융합인재소양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김진수(2012)에 의해 개발된 PDIE모형에 따라 기술교과의 ‘에너지와 수송기술’단원 중심의 24차시 메이커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으며, 최유현 외(2013)가 개발한 초 중 고등학생용 융합인재소양 측정도구를 이용하여 그 효과를 분석하였다. 개발된 메이커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한 결과 학생들의 전체적인 융합인재소양이 상승했으며(t=-2.288, p=.023. 세부요소로는 융합(t=-2.581, p=.011)과 창의(t=-2.144, p=.033)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mpact of the energy and transport technology unit-focused maker education program on the cultivation of convergent talent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research, the 24 hour Maker Education Program centered on the energy and transport technology unit of the technical department was developed according to the PDIE model developed by Kim Jin-su (2012), and its effects were analyzed using the Measurement Tool for Convergence Personnel for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developed by Choi Yu-hyun et al (2013). As a result of the application of the developed Maker Education Program, the overall convergence of students has increased (t=2.288, p=).023. Convergence (t=2.581, p=.011) and window (t=2.144, p=.It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033.

      • KCI등재

        직업계고등학교 진학결정에 영향을 주는 진로교육 활동의 유형 및 효과 분석

        김다솔(Kim, Dasol) 연세대학교 교육연구소 2020 미래교육학연구 Vol.33 No.2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impact of career education activities provided to students on their decision to enter vocational high schools and to verify their effectiveness. The data were conducted by panel research using data from the Survey on Current Status of Career Education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2018). The ratio of students who decided to go to general and vocational high schools based on their participation in each career activity was examined through cross-analysis, and the impact of the decision to enter each career high school based on the degree of satisfaction and help was investigated through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First of all, the participation of career counseling and career camp in schools and experience in departments outside can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entering vocational high schools. Second, the degree of satisfaction and help in career education activities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decision to enter vocational high schools. The above conclusions have led to the following implications: First, participation itself, rather than satisfaction with career education activities, can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entering vocational high schools. Second, middle schools can promote career counseling and operate career camps to induce vocational high schools based on their aptitude and aptitude, and vocational high schools provide career counseling and academic experience. 본 연구는 학생들에게 제공되는 진로교육 활동이 직업계 고등학교 진학 결정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그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자료는 초·중등 진로교육 현황조사(2018)의 자료를 활용한 패널 연구로 수행되었다. 각 진로 활동별 참여 여부에 따른 일반고등학교와 직업계고등학교 진학을 결정한 학생들의 비율은 교차분석을 통해 알아봤으며, 각 진로 활동의 만족도·도움이 된 정도에 따른 진학 결정의 영향을 로지스틱 회귀 분석을 통해 알아봤다. 연구 결과 첫째, 학교에서의 진로 상담과 진로캠프, 외부에서 진로 상담과 학과체험의 참여 여부는 직업계고 진학에 유의미한 영향을 줄 수 있다. 둘째, 진로교육 활동의 만족도와 도움 정도가 직업계고등학교 진학결정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지 못했다. 위 결론을 통해 다음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진로교육 활동의 만족도 보다 참여 여부 자체가 직업계고등학교 진학에 유의미한 영향을 줄 수 있다. 둘째, 중학교에서는 진로상담을 활성화하고 진로캠프를 운영하여 소질과 적성에 따른 직업계고등학교 진학을 유도할 수 있으며, 직업계고등학교에서는 진로 상담과 학과 체험을 제공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 KCI등재

        취약계층 아동 및 청소년의 과일에 대한 인식과 과일바구니 사업을 통한 과일섭취 빈도 변화

        김다솔(Dasol Kim),김기랑(Kirang Kim)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8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7 No.10

        본 연구는 과일바구니 사업에 참여한 서울 지역아동센터에 등록된 저소득층 아동・청소년 2,430명을 대상으로 과일에 대한 지식, 인식, 선호도와 사업 전후 섭취 빈도 변화를 파악하였다. 과일 권장 섭취 빈도에 맞게 응답한 비율은 초등학생 16.5%, 중・고등학생은 14.8%였고, 학생들의 약 1/3 이상은 권장되는 과일 섭취 빈도를 주 1회 이상~일 1회 미만으로 응답하여 권장 섭취 빈도에 대한 지식이 미흡하였다. 과일 섭취의 1회 적정 분량에 대한 이해도는 중・고등학생들이 초등학생에 비해 높았으나 전반적으로 대상자들이 생각하는 1회 섭취 권장 분량은 권장량보다 많은 양으로 인식하는 경향이었다. 과일 섭취량에 대한 자가 인식에서는 초등학생이 중・고등학생보다 스스로 많이 먹는 편이라고 응답한 비율이 유의적으로 높았고, 특히 초등학교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높았다. 생과일에 대한 선호도에서는 초등학생과 중・고등학생 모두 4점 이상의 높은 선호도를 보였으나 생과일 섭취 빈도는 전반적으로 평균 일 1회 미만의 섭취를 보였다. 초등학생의 약 50%와 중・고등학생의 약 70%가 생과일을 주 1회 이상에서 일 1회 미만으로 섭취하는 것으로 응답하였고, 초등학교 여학생의 경우에만 거의 일 1회에 근접해서 섭취하고 있었다. 남녀별 섭취 빈도에서는 초등학교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유의적으로 섭취 빈도가 높았고 중・고등학생은 차이가 없었다. 과일 바구니 사업 이후에도 권장 섭취 빈도에 맞게 섭취하는 대상자의 비율은 여전히 낮은 편이었으나 중・고등학생의 경우에는 1일 평균 과일 섭취 빈도가 사업 이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결과적으로 사업 이전 낮은 섭취빈도를 보였던 취약계층 중・고등학생의 섭취가 사업 이후 유의하게 증가한 결과를 고려해 볼 때 본 사업의 지속가능성을 위한 제도 마련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향후 본 연구에서 수행된 과일바구니 사업을 보완하기 위해서는 과일 권장 섭취 관련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섭취 증가를 위한 과일 제공 빈도의 보충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A program to promote fruit intake by children and adolescents in low-income households in Korea has been initiated; however, only a few studies of its effects have been conducted. Therefor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of fruit intake and any changes to fruit consumption attributed to the fruit provision program, which provides fruit to children and adolescents from low-income households twice a week. The subjects were 2,430 children and adolescents participating in the Healthy Fruit Basket program at local children’s centers in Seoul from June 2015 to December 2015. Subjects were asked to complete a questionnaire about their fruit knowledge, awareness, preferences, and eating frequencies. All subjects, regardless of school grade, were found to have an inadequate knowledge of recommended intake frequency and amount. Self-assessed fruit intake was higher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an i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The preference for fruit was relatively higher than for other snacks, but intake was generally low, with the proportion meeting the recommended intake frequency being only 29.4%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14.8%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Since the program started, the mean daily fruit intake frequency increased significantly among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conclusion, the fruit provision program was effective, particularly among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ho had a low fruit intake frequency prior to the program. To increase fruit intake of low-income children and adolescents, the program needs to be continued with an increase in fruit supply frequency in conjunction with provision of nutrition education materials related to the recommended frequency and amount of fruit intak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