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보격차(Digital Divide)의 이론적ㆍ정책적 재고

        김문조(Kim Mun-Cho),김종길(Kim Jong-Kil) 한국사회학회 2002 韓國社會學 Vol.36 No.4

        일반적으로 정보격차는 계층, 성, 세대, 지역(국가 간 차이를 포함)이라는 ‘4대 변인’에 의해 발현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정보격차는 보다 복잡한 과정에 의해 생성ㆍ재생성되고 심화한다. 정보격차가 정보기기의 이용 및 접근과 관련된 사회경제적인 요인에 의해 발원한다는 것은 의심할 바 없는 사실이다. 그러나 정보화가 확산되면서 정보격차의 핵심적 쟁점은 보편적 접근의 차원에서 주체적 향유의 차원으로 전환한다. 이와 더불어 “누가 정보매체에 쉽게 접근하고 보다 많은 정보를 취득할 수 있는가” 라는 문제에서 “누가 정보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분별력을 행사하는가” 라는 문제가 부각된다. 이같은 점에 비추어 볼 때, 정보격차의 양상은 크게 다음 세 가지 측면으로 구분할 수 있다. 첫째는 정보기기나 정보자료에 대한 접근 가능성(매체 접근성), 둘째는 정보자원을 적절히 활용할 수 있는 능력(정보 동원력), 셋째는 정보기기나 정보자료를 선용하려는 의욕 및 수용태도(정보의식)이다. 본 논문은 정보화의 진전과 함께 정보격차의 개념이나 성격이 전술한 세 가지 양상으로 분화해 나아갈 것이라는 전제 하에, 1차 분화, 2차 분화, 3차 분화라는 삼원적(三元的) 모형에 준거해 정보격차의 변화상을 분석하고 있다. 1차 분화 단계에서는 정보의 접근성, 2차 분화 단계에서는 정보의 활용성, 그리고 3차 분화 단계에서는 정보의 수용성이 판별 기준이 된다. 이처럼 정보격차가 단계별로 상이하게 나타나기 때문에 격차 해소를 위한 대응전략도 단계별로 제시되어야 한다고 본다. 정보격차의 초기 단계인 1차 분화 시기에는 정보매체에 대한 접근성을 증진시키는 일이 긴요하다. 하지만 후속 분화 단계로 접어들면서 활용능력 및 의사소통 능력이 보다 더 중요성을 지니게 되며, 따라서 매체 접근성이나 정보 사용능력 뿐만 아니라 일상생활 및 조직활동 상의 의사소통 역량, 담화능력을 배가시키는 방안이 병행되어야 할 것으로 본다. It has been generally argued that digital divide is caused by four major elements: class, gender, generation and region. But digital divide is created, reproduced, and aggravated through a very complex process. Given the assumption that digital divide is not a comprehensive concept converging into a single dimension, digital divide are articulated into the following three aspects: the access to information devices or database(information accessibility); the ability to utilize information resources(information mobilization); and the ability to differentiate the quality of information(information consciousness). Based upon this multilateral perspective, three stages of digital divide opportunity divide, utilization divide and reception divide are delineated. Particularly, in the advanced stage, what matters may not be universal information possession or effective information utilization but sensible information reception. Cultural capital will be more salient since what is important is not opportunity or skill, but cultural literacy. The prior conditions for the solution of digital divide are to draw upon a social consensus in order to provide more people with more information. As informatization progresses further, communication will become a critical issue. So it is necessary to develop policy measures not only to enhance the media availability but to improve communicative competence.

      • KCI등재

        정보격차가 사회에 미치는 영향

        조주은 지역사회학회 2003 지역사회학 Vol.4 No.2

        사회 전반의 정보화가 가속화되면서 정보격차는 정보사회의 중요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으며, 나아가 정보격차가 사회적으로 재생산되고 심화되어 정보불평등으로 구조화될 것이라는 우려를 낳고 있다. 따라서 정보격차에 관한 연구들이 많이 산출되어 왔다. 그러나 대부분의 연구들은 정보격차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요인들의 파악과 정보격차의 변화 추세 분석에 집중되어 있으며, 정보격차가 사회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찾아보기 힘든 상황이다. 하지만 정보격차가 중요한 사회문제가 되는 이유는 정보격차가 사회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이 크다는 가정 하에서이며, 정보격차를 해소하는 방안 역시 정보격차가 사회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을 통해서만 강구될 수 있다. 그 결과 정보격차 해소정책의 효과가 기대에 미치지 못하고 정보격차가 오히려 심화되는 추세이다. 이에 본 연구능정보격차가 사회에 미친 영향들을 분석하여 정보불평 등으로 구조화되고 있는지 고찰하였다. 분석 결과 부분적으로 정보격차가 사회적으로 구조화되고 있다는 단초를 확인할 수 있었다. 정보격차가 고용ㆍ소득, 공동체ㆍ정치, 사회발전의 각 영역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이론적ㆍ실증적 연구들을 탐색적 수준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즉, 정보부자가 고용, 소득, 공동체, 정치, 사회발전에 있어서 정보빈자보다 유리하며, 이것은 다시 정보격차를 심화시킨다. 다만 아직은 연구가 충분히, 체계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아 정보격차의 개념 정의와 그것이 초래하는 사회적 결과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실정이다. 특히 개별적인 사회적 결과들이 어떠한 연관관계하에서 기존의 사회질서와 사회불평등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알 수는 없었다. 하지만 최근 들어 정보격차 개념과 구조화에 대한 논의의 수준이 심화되고, 정보격차의 다차원적이고 복잡한 양상을 포함하는 방향으로 진일보하고 있다.

      • KCI등재

        논문 : 지자체 공간정보화 수준분석 및 격차 완화방안

        김걸 ( Kirl Kim ),김영호 ( Young Ho Kim ) 한국도시지리학회 2010 한국도시지리학회지 Vol.13 No.3

        정보화 시대에서 공간정보는 국가행정업무와 시민서비스 및 국토의 효율적 이용에 크게 기여하기 때문에 정보사회에서 매우 주요한 정보로 인식된다. 정보사회가 고도화 되면서 정보화의 지역간 격차, 즉 정보격차(digital divide)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는 지역간 공간정보격차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특히 공간정보는 정보의 생산과 관리과정에서 많은 비용이 소요되기 때문에 정보화 사회에서 더 심각한 격차로 이어질 수 있다. 이러한 공간정보격차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공간정보격차를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정리한 연구는 많지 않다. 본 연구는 현재 우리나라 248개 지방자치단체의 공간정보화 수준을 분석하여, 지역간 공간정보격차를 분석한다. 그 과정에서 지자체의 공간정보화 수준을 정량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체계를 제시하며, 동시에 이러한 공간정보격차를 해소할 수 있는 정책적 제안을 제시하였다. 연구결과 우리나라의 행정규모에 따른 공간정보격차는 명확하게 확인되었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는 중앙정부와 지방자치 단체에서 재정, 정책, 계획, 그리고 평가체계 등 다양한 측면에서 많은 노력을 통해 공간정보화 격차를 완화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Spatial information is commonly evaluated very important because it plays significant roles in national administrations, public service, and efficient land use in the national territory. As information society matures, regional gap in information, digital divide, is frequently considered inevitable. The digital divide is identically applicable to spatial information among different regions. Particularly requiring huge financial investment in construction and management, spatial information may lead to serious digital divide in a country. In spite of the importance of spatial information and corresponding digital divide, there are not many researches about digital divide in spatial information. This study investigates digital divide of spatial information by analyzing whole 248 government administrative units in Korea. In the process, this study presents prototype of digital divide analysis about spatial information and provides technical suggestions to reduce the digital divide. The result shows that Korea has regional gaps, the digital divide, in spatial information, and the digital divide was particularly dominant between metropolitan areas and rural villages. This study suggests multi-dimensional suggestions in political, financial, planning and evaluation perspectives to handle the digital divide.

      • KCI우수등재

        우리나라의 정보격차에 관한 지수(Index)접근 연구

        유지열(Yoo Ji-Yul) 한국사회학회 2002 韓國社會學 Vol.36 No.1

        정보사회의 본격적인 도래와 더불어 정보사회의 다양한 사회문제 중에서 집단적인 노력과 대책이 가장 절실히 요구되는 것은 정보격차와 정보불평등 문제이다. 다른 사회문제와 달리 정보격차 문제는 사회구성원들이 정보사회에 참여를 보장받느냐 그렇지 못하느냐를 결정하는 가장 기본적인 문제이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정보선진국을 지향하는 대부분의 사회에서 정보격차 문제를 발달된 정보사회를 맞이하는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문제로 접근하고 있으며, 우리 나라에서도 이에 대한 다각도의 노력을 펼치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우리 나라의 정보격차 현황에 대한 논의는 실천적ㆍ정책적 관점에서 서술적으로 논의되고 있다. 이러한 차원에서 본고는 우리 나라의 정보격차 문제를 한 단계 진전된 지수적 접근 방식으로 파악함으로써 기술적 논의에서 드러나지 않는 정보격차 문제의 현상을 심도있게 파악해 보고자 하였다. 구체적인 연구결과를 살펴볼 때 정보지수 차원에서 문제가 되는 것은 정보화에 대한 인식에서는 큰 차이가 없으나, 정보사회의 구체적인 과정인 정보의 접근, 역량, 이용으로 나갈수록 격차가 매우 심각하다는 점이다. 특히, 지역간 정보격차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문제는 정보인식보다는 정보에의 접근과 이용이라는 것이 드러났다. 이는 향후 정보격차 해소대책이 정보에의 접근과 이용역량의 배양에 초점을 두어야하며, 특히 지역정보격차의 해소에 있어서는 정보의 접근보장과 이용의 활성화에 초점이 놓여야 함을 시사한다. Since the early 1990s, the level of informatization has become a barometer of national competitiveness and quality of life. Although the level of informatization has been growing substantially over the past few years, Korea information society has not advanced in terms of individuals social access to the information equipments and services. The gap in digital access occurs centered around five background variables - gender, age, occupational status, educational level, and income is likely to cause digital divide in Korea. In other words, different access of information technologies is influenced by five categories. The paper makes use of the methods of social index approach analysis to describe the social trend of digital divide in Korea. This paper measures four dimensions of digital divide index and digital divide coefficient are composed of these four dimension. With this study, we could discuss more wide and moderately on the digital divide in Korea.

      • KCI등재

        경남도내 초중등 학생 및 교사의 정보격차 현황 분석

        김민기,남영호 한국정보교육학회 2007 정보교육학회논문지 Vol.11 No.4

        정보사회로의 진입과 함께 정보격차는 사회 불평등을 초래하는 새로운 요소로 등장하였다. 특히 학교에서 ICT 활용교육, e-러닝, u-러닝이 점차 확대됨에 따라 학생층에서 나타나는 정보격차는 교육 기회의 불평등으로까지 이어질 우려를 낳고 있다. 이에 따라 학교 구성원들의 정보격차 실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학생 및 교사의 정보화 수준과 정보격차 현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경남도내 초중등학생과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정보화 수준의 측정은 3개 하위 지수(접근, 역량, 활용)에 대한 가중 평균으로 계산하였다. 조사결과 학생과 교사 집단 모두 역량지수에서 가장 큰 격차를 보였다. 또한 역량지수와 활용지수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두 집단 모두 정적상관을 보여 정보 역량의 차이가 정보격차를 이해하는데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Digital divide comes to appear as a new factor of causing social inequality with the entry of information society. Especially, the digital divide in student class makes a worry about education inequality as the education using ICT, e-learning, and u-learning are enlarged. So, the concern about the status of digital divide in school is increasing. In this study, we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of students and teachers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located in Gyeongnam, and measured informatization level with the weighted average of three subindices : accessing index, capability index, and utilization index. According to the survey, the index on information processing capability showed the largest gap in both the student group and the teacher group. We also had the result of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capability index and the utilization index. These results show that the gap of information processing capability is an important factor for understanding the digital divide.

      • KCI등재

        스마트미디어 시대의 새로운 정보격차 유형과 해소방안에 대한 규범적 검토

        신혜원(Shin, HyeWon),지성우(Ji, SeongWoo) 미국헌법학회 2014 美國憲法硏究 Vol.25 No.3

        정보화의 급속한 진전으로 현대생활에서 정보가 차지하는 비중은 비약적으로 증대하였으며, 이러한 정보기술의 발전은 미디어의 성격을 쌍방향화, 멀티미디어화 하였다. 최근에는 새로운 정보화의 추세인 모바일의 보급이 급속히 증가하면서 스마트폰, 모바일 서비스, 위치기반 서비스 등 스마트 기술의 등장과 함께 이제 정보사회를 넘어서 스마트 시대가 주목 받고 있다. 이러한 스마트 시대의 도래는 정보격차의 개념을 확장시키고 프레임을 변화시키고 있다. 스마트폰 이용자가 3천만 명을 넘어서는 등 스마트 모바일의 사회적 확산으로 물리적 접근격차가 크게 해소되고는 있지만, 스마트폰 보급 확산에 따라 PC 및 유선 인터넷 기반의 기존 격차와 스마트 기기 및 모바일 기반의 새로운 정보격차가 중첩 발생되고, 디지털 미디어의 활용능력에 따른 격차가 새로운 사회적 이슈로 등장하고 있다. 스마트 환경에서의 정보격차는 실생활에 전방위적으로 부정적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정보화 성과 이면에 나타날 수 있는 정보격차 문제에 적극적으로 대응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스마트 시대의 모바일 확산과 함께 확장되고 변화하고 있는 정보격차의 개념 및 현상에 대하여 보다 심층적으로 검토하고, 헌법상의 정보격차에 대한 논의와 법제현황의 검토를 통해 정보격차의 해소를 위한 개선방안을 고찰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examine the concept and pheno menon of the digital divide which expanded and changed with the proliferation of smart media era. Share information is occupied by modern life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the information was growing by leaps and bounds. And the nature of the media through development of these information technology has changed interactive and multi media. Recent advances in mobile penetration are increasing rapidly. Smart age is now drawing attention beyond the information society with the advent of smart technologies such as smart phones, mobile services, location-based services. The advent of smart age extends the concept of the digital divide and changing the frame. While physical access to the gap significantly has dissolve through socially proliferation of smart mobile, mobile-based new gap generating and the literacy gap between digital media has emerged as a new social issues. Because digital divide in smart environments exert a negative impact on life, it is important to actively respond to the digital divide.

      • KCI등재

        한국에서 정보격차와 사회적 배제의 관계에 관한 탐색적 비교 분석

        김구(金求) 한국지역정보화학회 2014 한국지역정보화학회지 Vol.17 No.2

        그동안 정보격차와 사회적 배제가 상호 관련되어 있다는 규범적 논의가 있어 왔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정보격차와 사회적 배제의 관련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2004년부터 2013년까지 시계열 종단 자료를 통해 연차별 변동 패턴을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일반적인 정보격차 실태에서는 매년 정보격차가 좁혀지고 있으며, 4개 정보격차 영역 중에서 접근격차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그러나 컴퓨터와 인터넷 활용능력을 나타내는 역량격차는 다른 영역보다 높게 나타남으로써 이에 대한 맞춤식 활용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정보격차와 사회적 배제의 변동 관계에서는 정보격차의 모든 영역이 사회적 배제와 부분적으로 관련이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소득에서는 상대빈곤층의 기초생활보장수급이 유사한 변동 추이를 보이는 것으로 파악되었으며, 실업에서는 비정규직근로자비율, 주거에서는 자가점유율, 사회적 참여에서는 사회적 고립도 등이 부분적으로 유사한 변동 추이를 보이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본 연구는 이 결과를 토대로 가설을 제안하였으며, 사회적 배제를 제거하기 위한 정부의 정책적 노력으로서 정보격차해소 방안이 맞춤식으로 마련되어야 할 것을 제안하였다. The normative discuss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igital divide and social exclusion were correlated. This study was analyzed a time series data from 2004 to 2013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digital divide and social exclusion in Korea. The result of this study was found that the digital divide is narrowing and access divide is the lowest in annual survey. However, competences divide including use skills of computer and Internet is higher than in other areas. Therefore, in order to be prepared should be provided customized utilization. The changes in patterns between digital divide and social exclusion was identified that all areas of the digital divide and social exclusion are related to partial. And significant indicator of social exclusion is basic livelihood security of the poor relative, the ratio of non-regular workers, the ratio of one"s own home, and social isolation degree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is study is proposed hypotheses and to be established customized digital divide plan to eliminate social exclusion.

      • KCI등재

        영어자원문법을 활용한 신경망 기계번역의 데이터 증강과 성능 평가

        왕규현 ( Wang Guehyun ),송상헌 ( Song Sanghoun ) 서강대학교 언어정보연구소 2021 언어와 정보 사회 Vol.42 No.-

        Machine translation commonly involves both analysis and generation across different human languages. This implies that parallel corpora of a large size are essential to create a theoretically reliable and practically robust translation model. However, as is well known, the parallel corpora between Korean and English are insufficient. In this respect, this study expands the data by means of English Resource Grammar (Flickinger 2000) to improve the translation model between the languages. Then, it looks at whether the neural machine translation model performs better with the augmented data. Unfortunately, it turns out the translation models based on augmented data exhibit rather lower BLEU scores. This study further discusses the reason for the unsatisfactory scores and raises the necessity of human evaluation as a next step.

      • KCI등재

        국내 정보격차연구 동향

        서형준(Hyungjun-Seo),명승환(Senghwan-Myeong) 한국지역정보화학회 2016 한국지역정보화학회지 Vol.19 No.4

        본 연구에서는 ICT의 사회적 파급효과에 따라 다양한 정보격차 연구가 진행되어 왔음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국내 정보격차 연구의 경향을 체계적으로 분석한 연구가 없다는 점에 주목하여, 국내 학술지의 게재논문을 중심으로 정보격차연구에 대한 메타분석을 진행하고자 한다. 메타분석은 이전에 진행된 연구성과를 역사적으로 검토함으로써 기존의 연구경향에 대해 규칙성을 밝혀내는 방법으로 이러한 연구방법은 단순한 서술식 기존 문헌 검토와 달리 연구경향의 규칙성을 도출하여 연구성과에 대한 진단과 비판적 성찰을 하는 데 적합한 방법이다. 2000년부터 2014년까지 7개 학회지의 정보격차 논문 56편을 선정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분류체계는 연구방법(1, 2), 연구목적, 자료수집방법, 연구결과활용, 분석단위, 연구주제, 정보격차발생요인, 정보격차접근방식, 정보격차유형 등으로 해당 분류는 기존 동향연구 및 정보격차연구를 활용하여 재구성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후속 정보격차 연구의 연구방향 및 해소방안의 도출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노년층의 정보격차 결정요인 연구 : 정보기술수용모형을 중심으로

        김봉섭 ( Bong Seob Kim ),김정미 ( Jeong Mi Kim ) 慶熙大學校 社會科學硏究院 2009 社會科學硏究 Vol.35 No.2

        본 연구는 정보화 확산에 따른 역기능 현상 중 하나인 정보격차 현상의 결정요인를 파악하고, 이의 해결방안 모색을 위해 실시되었다. 이는 기존 정보격차 이론의 개선을 위해 정보격차의 발생 요인을 기술적 인프라 뿐만 아니라 심리적 요인에 있음을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노인 213명을 대상으로 정보격차 결정요인을 탐색한 결과, 컴퓨터와 인터넷에 대한 인지된 용이성과 유용성이 노인 정보이용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노년층의 정보격차를 해소하기를 위해서는 정보활용 모델 개발 및 보급을 통해 노년층의 정보접근 및 정보이용 동기를 제고하는 것이 우선 필요하다. 아울러 경제력과 학력은 노년층의 정보격차 결정요인으로 나타났는데, 노년층 정보격차 해소를 위해서는 저소득 노인, 저학력 노인 등 노년층 내 정책대상 세분화를 통한 심도있는 정보격차 해소정책 접근이 필요한 것으로 평가된다. 이와 함께, 정보격차를 결정짓는 경제력이나 학력 등은 여전히 정보격차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나, 정보격차를 해소함에 있어서 여전히 고려해야 하는 중요한 요소임이 본 연구에서도 나타났다. This study is to grope for solution plan and to understand the trigger factor of Digital divide, which is a negative effect of informatization coming out diffusion of information. There is a questionable matter of research that the trigger factor of Digital divide is not having and using of IT device but also psychological VIPs. In this point, we searched for the trigger factor of Digital divide in the object 213 older people. As a result, the elements which affected in information use of the old person proved PEU(perceived ease of use) and PU(perceived usefulness) for the computer and internet. Therefore, To bridge divide in the digital age, it was very important to give a motivation for IT access and IT literacy to older people, through developing and supplying IT productivity model for the older people. Moreover, it appeared that economic power and educational background are effect variables of digital divide. To bridge divide in the digital age, we suggest to subdivision of the politic object, such as low income old person, low-end educational background old person and so 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