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中・高等學校 漢文 敎科書의 傳統的 價値觀 具現과 그 特性

        尹在敏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2018 漢字 漢文敎育 Vol.44 No.-

        이 논문은 中・高等學校 漢文 敎科書에 나타나는 傳統的 價値觀 關聯 學習 內容을 2009 改定 敎育課程에 따른 이른바 ‘漢字 文化’ 單元 學習 目標를 中心으로 살펴본 것이다. 이 과정에서 특히 흥미로웠던 것은 특정 학습 목표가 傳統的 價値觀과 관련된 활동인지 本文 題材에 대한 ‘內容과 主題’ 내지는 ‘理解와 鑑賞’과 관련된 활동인지, 또는 해당 활동이 傳統的 價値觀과 관련된 활동인지 近代的 價値觀과 관련된 활동인지 모호한 부분들이었다. 사실 한문 교과는 그 전체 내용이 직접적으 로든 간접적으로든 傳統的 價値觀과 연관되지 않을 수 없는 교과이다. 漢字에서부터 短文, 散文, 漢詩에 이르기까지 한문 교과의 題材는 그 모두가 傳統的 價値觀을 배경으로 이루어진 것들이다. 中・高等學校 漢文 敎科書는 그 題材가 다 전통적 가치관을 구현하고 있는 내용이라고 하지 않을 수 없다. 그러나 교과의 학습 활동이라는 측면에서 본다면 전통적 가치관을 학습 목표의 모종 활동 과 직접적으로 연관시키는 경우와 간접적으로만 연관되는 경우는 일정하게 구별할 필요가 있다. 이 중 직접적으로 傳統的 價値觀을 학습 목표의 모종 활동과 연관시키는 경우에 특히 고려해야 할 사항이 있다. 곧 해당 傳統的 價値觀을 肯定的으로 계승 발전시킬 내용으로 제시할 것인가, 否定的으로 극복하여 변화 발전시킬 내용으로 제시할 것인가가 그것이다. 사실 오늘날 교과서에서 제시되는 모든 傳統的 價値觀 관련 내용들은 近代的으로 再解析 再評價된 내용들이라 하지 않을 수 없다. 교육과정이 바뀔 때마다 일정하게 달리 진술되는 전통적 가치관 관련 내용들이 있다면, 이는 바로 끊임없이 오늘날의 관점에서 재해석 재평가하는 그 생생한 현장의 모습들을 반영하는 것들인 셈이다. 여기서 한문 교과서가 새롭게 담당하고 기여할 부분들이 혹 있다면, 그것은 共同體 社會를 背景으로 登場했던 傳統的 價値觀이 現代의 觀點에서 새롭게 再照明 받을 수 있는 모종의 가능성들이다. 물론 이 또한 전통적 가치관 그 자체가 아니라 이미 전통적 가치관에 대한 재해석 재평가의 결과이겠지만. 간접적으로만 전통적 가치관이 학습 내용과 연관되는 경우라 하더라도 이러한 고려는 여전히 필요할 것 같다. 오늘날의 가치관에 부합하지 않거나 어색한 내용을 교과서에 서 선택하기란 쉽지 않은 일일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This paper analyzes the contents of traditional values in textbooks according to the learning goals of ‘Classical Chinese Culture’ of 2009 Curriculum. Interestingly, some learning goals are somewhat ambiguous – is it related to understand traditional values or to the classical texts? Is the “values” really traditional or modern? As a matter of fact, the Classical Chinese course inevitably related to value system of the past directly or indirectly, because it deals with texts, regardless of its genre, written in the context of the old value system. In this sense, all the texts in the middle and high school textbooks are all the expressions of traditional values. Still, when it comes to learning curriculum, we should draw the line between the direct and indirect goal of learning traditional values. What we have to decide is our attitude toward the traditional values. Should we evaluate it something positive and inheritable, or something we should overcome? Because so called traditional values in the textbooks is actually the result of modern revaluation and revision, if some changes of explaining the old value system appear in each revision of curriculum, it should be the reflection of today’s interpretation and revaluation of the past. The role of Classical Chinese textbook here is to search for the possibilities of re-interpretation of traditional values born in old rural communities in today’s perspective, even though ‘traditional values’ here is already the result of past interpretation. We should also keep this in mind when the sense of traditional value is linked to learning goals only indirectly, because we have to be careful when teaching outdated or inadequate lessons.

      • KCI등재

        漢文科에서의 傳統的 價値觀 授業 方案 硏究 - Google Docs 활용을 기반으로 -

        공민정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2018 漢字 漢文敎育 Vol.44 No.-

        고등학교 한문 수업 시간에 학생들이 학습한 한문 단문의 주제를 활용하여 동화, 소설, 에세이 등의 책 쓰기를 통한 전통적 가치관 교육을 시도하고자 한다. 그리고 대부분의 학습자들은 손 글씨 보다 컴퓨터 자판을 이용하여 글 쓰는 것을 선호한다. 손으로 쓰는 것보다 쓰는 속도가 빠르고, 틀린 것을 수정하거나 새로운 문장을 삽입하는 작업이 편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정보검색, 퇴고 및 상호 교차 검토가 용이한 Google Docs를 활용한 책 쓰기 수업을 한문과에서 활용할 수 있는 전통적 가치관 수업 방법으로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ⅰ) 전통적 가치관의 의미를 이해시키고 삶의 맥락과 관련한 전통적 가치관 수업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관련 선행 연구를 고찰하고,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이한 학생들에게 컴퓨터와 디지털 테크놀로지를 활용해 다양한 계통을 융합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하게 하는 수업 방법을 탐색하여 ⅱ) Google Docs 활용 책 쓰기를 통한 전통적 가치관 수업을 구안·적용하여 인간 중심의 가치를 생각하고, 앞으로의 한문과 전통적 가치관 교육이 나아가야할 방향을 모색해보는 것을 연구 문제로 상정한다. 전통적 가치관 교육이 단순히 과거의 전통적 규범과 가치를 배우는데 그칠 것이 아니라, 급변하는 미래 사회가 인간 중심 사회로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밑바탕을 만들어주는 교육이 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사물인터넷과 인공지능, 머신러닝(MACHINE LEARNING), 가상・증강현실, 3D 프린팅, 생명공학과 바이오 등의 기술이 우리 삶 속에 깊이 자리 잡게 된 4차 산업혁명 시대는 언뜻 보기에는 과학이 인간의 삶을 관여하는 ‘기술 중심적 사회’로 보인다. 하지만 잘 들여다보면 오히려 사람과 기술이 조화를 이루고 비판적 사고와 창의력으로 문제를 해결해 나가야 하는 ‘인간 중심적 사회’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시대에 걸맞은 능력을 가진 인재는 융・복합적 문제해결능력 뿐만 아니라 인간의 가치를 소중히 여길 줄 아는 건전한 가치관과 바른 인성을 갖추고 있어야 함을 기억해야 한다. Utilizing the subject of Chinese short sentences students learned in a Chinese writing class of a high school, this paper aims to attempt traditional values education through writing books such as children’s stories, novels, essay, etc. This study was intended to propose book writing class utilizing Google Docs which easily enables information search, revision and mutual cross review in a traditional values education method which can be utilized by Chinese writing department. In order to achieve such a studying purpose, as study tasks, the author proposes ⅰ) to consider relevant preceding studies for the purpose of understanding meanings of traditional values and seeking a traditional values class related to context of life and, by searching a class method of giving students who greeted the 4th industrial age the ability to be able to combine various series utilizing a computer and digital technology ⅱ) to think men-centered value by applying traditional values class through writing books utilizing Google Docs, and seek the direction in which the future Chinese writing and traditional values education have to proceed. The traditional value education shall be an education forming the basis so that rapidly changing future society may be maintained as men-centered society, and focus on developing sound values and proper character able to cherish the value of human beings.

      • KCI등재

        초등학교에서 한문 고전을 활용한 전통적 가치관 교육의 실행 방안 - 서사 텍스트의 활용과 역량 함양을 중심으로

        한은수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2018 漢字 漢文敎育 Vol.44 No.-

        2016년 초・중등학교에서 한자교육을 선택적으로 받도록 한 국어기본법의 위헌 확인 헌법소원이 각하되었고, 2018년 교육부는 ‘교과용 도서 개발을 위한 편수자료’를 공지하면서 이전 정부에서 추지하였던 초등학교 교과서의 한자 병기 정책을 사실상 폐지하였다. 이에 따라 초등학교에서는 정규 교과의 학습 시간에 한자교육을 명시적으로 수행하기 어렵게 되었으며, 한자 교육은 창의적 체험활동 시간을 활용하여 학습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실정으로 본고에서는 각 교과의 교육과정을 수행하면서 잠재적 교육과정으로 한문 고전을 활용한 한자 수업에서 전통적 가치관 교육의 실행 방안을 논의하였다. 학습자에게 전통적 가치관을 교육시키기 위해서는 학습자 스스로 전통적 가치가 담겨있는 여러 고전들을 읽고 그 의미를 탐색하여 스스로 성찰하도록 하여야 한다. 그러나 선인들의 전통적 가치관 을 추출할 수 있는 자료들은 대부분 한문으로 기록되어 있고 초등학교 학습자들은 한문으로 기록된 자료들을 읽을 수 없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전통적 가치가 담긴 고전을 번역하여 우리말로 풀이한 서사 텍스트를 활용하여 교육하는 방법을 논의하였다. 본고에서 전통적 가치가 담긴 서사 텍스트로 활용한 자료는 ≪삼국유사≫와 ≪삼국사기≫이다. 우리의 선조들이 동몽들의 덕성교육용 교재로 사용했던 ≪명심보감≫, ≪동몽선습≫, ≪격몽요결≫ 등과 같은 자료들이 사람의 본성이나 오륜의 도리, 처세의 원칙 등 유교의 전통 가치를 잘 담고 있어서 전통적 가치관의 교육 자료로 더 적절할 수 있겠으나 현재의 초등학교 교실 수업 현장을 고려할 때 위의 교재를 활용하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다. 그러므로 본고에서는 초등학교 학습자들이 서사 구조를 지닌 이야기를 들을 때 흥미를 가지고 수업에 참여한다는 사실에 주목하여 전통적 가치관을 담을 수 있는 서사 텍스트로서 ≪삼국유사≫와 ≪삼국사기≫의 일화 들을 선정하여 논의를 전개하였다. 2015 초・중등학교 교육과정은 홍익인간의 교육이념과 인격도야, 민주시민으로서의 자질 함양, 인간다운 삶의 영위, 민주국가의 발전과 인류공영의 이상 실현이라는 교육 목적을 이루기 위해 4가지 인간상을 제시하였다. 4가지 인간상은 자주적인 사람, 창의적인 사람, 교양 있는 사람, 더불어 사는 사람이다. 또한 2015 초・중등학교 교육과정은 교육과정이 추구하는 인간상을 실현하기 위해 교과 교육을 포함한 학교 교육 전 과정을 통해 중점적으로 기르고자 하는 6가지 역량을 제시하였다. 곧 자기관리 역량, 지식정보처리 역량, 창의적 사고 역량, 심미적 감성 역량, 의사소통 역량, 공동체 역량이다. 본고는 이러한 역량을 증진시키는 것이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전통적 가치관 교육을 6가 지 역량의 신장과 관련지어 논의하였다. 다만 지식정보처리 역량은 중등학교 한문과 교육과정을 참고로 하여 인성역량으로 바꿔서 검토하였다. 본고에서 논의 한 ≪삼국유사≫와 ≪삼국사기≫의 서사 텍스트는 하나의 예시 자료이며 각 교과의 학습목표나 학습제재에 따라 다른 서사 텍스트로 대치할 수 있다. 또한 ≪삼국유사≫와 ≪삼국사기≫의 서사 자료에 국한하지 않고 초등학교 학습자들이 흥미 있게 학습에 몰입할 수 있는 다양한 한문 고전 자료의 활용도 가능할 것이다. 여기에서의 논의가 촉매가 되어 초등학교 수업 현장에서 한문 고전을 활용한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이 도출되기를 기대한다. The Constitutional Court overruled the petition that the Framework Act on Korean Language's selective education of Chinese letters at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in 2016 and the Ministry of Education distributed the notice on 'editing materials for textbooks' in 2018 to abolish the previous administration's policies to add Chinese letters to elementary school textbooks. Therefore, elementary schools cannot teach Chinese letters as a part of regular curriculums and students can learn Chinese letters during creative experiential activities. Under these circumstances, this study discussed the education of Chinese letters and traditional value using the Korean classics written in Chinese letters as a potential part of the curriculums. In order to teach the traditional value, learners should be motivated to read the classical text containing traditional value and explore the meanings for spontaneous examination. However, the resources that teach the Korean ancestors' traditional value are mostly written in Chinese letters and many elementary school learners cannot read the text written in Chinese letters. Therefore, this study discussed a way to teach using the epic text that translated the classics reflecting traditional values. The resources using the epic text reflecting traditional values include ≪Samgukyusa三 國遺事≫ and ≪Samguksagi三國史記≫. The resources such as ≪Myeongshimbogam明心寶 鑑≫, ≪Dongmongseonseup童蒙先習≫, and ≪Gyeongmongyogyeol擊蒙要訣≫ which the Korean ancestors used to nurture the pupils may be more suitable for teaching the traditional value as they contain the traditional Confucian values about human nature, the five virtues, and the principles of interpersonal skills, but they are not suitable considering the current circumstances of elementary school classes. Therefore, this study focused on the fact that elementary school learners participate in class when they listen to epic stories and selected some anecdotes from ≪Samgukyusa≫ and ≪Samguksagi≫ as the epic text that reflects traditional value. The 2015 Elementary/Middle School Curriculums suggested four figures to achieve the educational objectives related to humanitarianism and disciplining, qualities of democratic citizens, humane lives, democratic development and prosperity of mankind. The four figures are spontaneous people, creative people, people with common sense, and social people. Also, the 2015 Elementary/Middle School Curriculums suggested six capacities to nurture through the entire school curriculums to realize the qualities pursued by the educational curriculums. Those qualities are self-control, knowledge informationprocessing, creative thinking, aesthetic emotions, communication, and communities. This study discussed the education of traditional value in relation to the six capacities based on the belief that it is important to nurture the capacities. However, knowledge information-processing was discussed as human nature with reference to middle school Chinese Letters classes and curriculums. The epic text of ≪Samgukyusa≫ and ≪Samguksagi≫ is an example and can be replaced with other epic texts considering each subject's learning objectives and topics. Also, it would be possible to use various classics written in Chinese letters besides the epic resources of ≪Samgukyusa≫ and ≪Samguksagi≫ for the elementary school learners to stay interested in learning. It is hoped that this discussion triggers the study of variou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using the Korean classics written in Chinese letters at elementary school classrooms.

      • KCI등재

        한국노인의 전통적 가치관에 따른 성공적 노화 인식 차이

        백지은(Jee-Eun, Paik) 한국노년학회 2008 한국노년학 Vol.28 No.2

        본 연구는 한국의 전통적 가치관인 유교주의와 가족주의가 한국노인들이 인식하는 성공적 노화에 어떻게 반영되고 있는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서울과 경기 지역에 거주하는 65세 이상 남녀노인 총 652명으로, 일대일 직접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통적인 가치관이 강할수록 성공적인 노화에 대해 중요하게 생각하는 정도가 더 강했으며, 사회인구학적인 특성에 비해 전통적인 가치관이 성공적인 노화에 대한 인식에 보다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한국노인들의 전통적인 가치관 정도에 따라 유형을 분류한 결과, '부계혈연 지향형', '전통이탈형', '전통고수형', '유교 지향형'으로 구분되었으며, 유형에 따라 사회인구학적인 특성에 있어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유교-가족주의 유형에 따라 성공적인 노화의 차원에 대해 중요하게 여기는 정도에 있어 차이가 나타나는 것이 확인되었으며, 유교주의와 가족주의 가치관이 모두 강한 노인들과 유교주의 가치관이 강한 노인들이 가족주의의 부계혈연 중심성만 강하거나 한국 전통적인 가치인 유교주의와 가족주의에서 벗어나 있는 노인들에 비해서 성공적인 노화의 각 차원을 보다 더 강하게 중요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보다 다양한 요소들에 대해서 중요하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금까지 이루어진 연구들에서 성공적인 노화의 특성에 대해 담론 차원에서 한국 고유의 전통적인 가치관과 관련하여 해석이 이루어져왔지만, 본 연구에서는 설문지를 통한 양적연구를 실시함으로써 현재 한국노인들이 중요하게 여기는 성공적인 노화의 차원과 전통적인 가치관과의 관계에 대해 통계적 유의미한 관계를 밝혀냈다는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relationship of successful aging perceived by Korean elderly and traditional values-Confucianism and Familism-. A sample of 652 elderly aged 65 and over living in Seoul and Kyunggi areas was selected and interviewed. The survey was done with a standardized questionnaire(confucianism, familism, successful aging,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raditional values more effect on the degree that Korean elderly think importantly about dimensions and elements of successful aging perceived by them than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Second, types of confucianism-familism values for Korean elderly are classified into four types : 'Patrilineage-oriented type', 'Traditional breakaway type', 'Traditional adherence type', 'Confucianism-oriented type'. And the types exhibit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rms of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ird, elderly of 'Traditional adherence type' and 'Confucianism-oriented type' following the traditional values more lay emphasis on five dimensions and several elements of perceived successful aging and more mention importance on diverse components than elderly who is free from traditional values. This study is meaningful because it was verified by statistical analysis for relationship traditional values and successful aging perceived by Korean elderly, while past studies for successful aging were analyzed in dimension of discussion.

      • KCI등재

        한문과 교육과정에서 ‘전통적 가치관’ 수용 양상

        송병렬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2018 漢字 漢文敎育 Vol.44 No.-

        본 논문은 한문과 교육과정에서 전통적 가치관이 수용된 양상을 밝힌 것이다. 한문과의 성격 가운데 중요한 것이 ‘전통적 가치관’의 문제이다. 해방 이후에 우리나라는 어문정책에서 한글전용을 내세웠다. 이때 한문과를 교과로 인정하지 않고, 국어과 내에서 ‘한문과목’으로 인정했을 뿐이다. 제1, 2차 교육과정 기에 국어과 내에서 한문 과목의 전통적 가치는 ‘도의 정신을 높이기 위해서이다.’라고 했다. 제3, 4차 교육과정기는 한문 과목이 국어과로부터 독립된 시기이다. 이 시기는 유신정권과 그를 잇는 군사정권기이다. 이 시기 한문과의 전통적 가치는 ‘도의 정신을 높이기 위해서이다.’는 물론이고, ‘민족 문화’, ‘민족 정신’을 계승하는 것을 주요 성격으로 내세웠다. 제5차, 6차 교육과정기는 한문과목이 한문교과로 체계화된 시기이다. 이 시기는 한국 사회의 민주화 요구가 거셌으며, 부분적인 항쟁의 승리도 있었던 시기이다. 이 시기 한문 교과의 전통적 가치는 이전의 일방적인 ‘민족 문화와 민족 정신의 계승’이 아니라, ‘전통 문화를 바르게 이해하고 발전시키려는 태도와 올바른 가치관의 확립’이라고 보다 완화되었다. 제7차 교육과정기 이후는 교육개혁의 의미를 반영하려고 하였다. 따라서 이 시기 한문 교과의 전통적 가치는 ‘다양한 유형의 한문 자료에 담긴 선인들의 삶과 지혜, 사상과 감정을 이해하여 건전한 가치관과 바람직한 인성을 함양하며, 우리 생활 전반에 면면히 이어 온 전통문화를 바르게 계승하고, 창조적으로 발전시키는 데 기여하는 것’이라고 하였다. 이상에서 한문과 교육과정에서 전통적 가치관이 사회의 변화에 따라 부응하면서 바뀌었음을 알 수가 있었다. This paper presents the aspect of accepting traditional values in Chinese character curriculum. One important thing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Chinese character department is the issue about ‘traditional values’. After the emancipation from Japan, Korea put forward the exclusive use of Hangeul in the language policy. At that time, The Chinese character department was not recognized as an independent subject, but accepted as ‘Chinese character course’ within the ‘Korean’ department The traditional value of Chinese character course in the Korean department, in the first and second curriculum period, was noted that ‘ it is to heighten the spirit of Tao’. The third and fourth curriculum period is the term that the Chinese course became independent from the Korean department. This period is during Yushin regime and the junta which had followed it. The traditional value of this period was that ‘ it is to heighten the spirit of Tao’, of course, and was put forward to succeed ‘national culture’, and ‘national spirit’ as main characteristics. The fifth and sixth curriculum period is the term that the Chinese Character department was systemized to the Chinese character subject matter. In this period, the demand for the democratization was strong in Korean society, there was also partial victory of the resistance. In this period, the traditional value of Chinese character subject matter was not like the former unilateral ‘succession of traditional culture and traditional spirit’ and further alleviated to ‘the attitude to understand the traditional culture rightly and develop, and the establishment of right value’. After the seventh curriculum period, it tried to reflect the meaning of education reformation. Thus, the traditional value in this period is noted that ‘ it is to understand our ancestor’s life, wisdom, idea and emotion, which are included in the various types of Chinese character materials, to foster healthy values and desirable personality, and to contribute to succeed traditional culture rightly, which has been continuously inherited in our life across the board, and develop it creatively’. According to this, it was able to find out that the traditional values in the Chinese character curriculum has been changed, meeting the social change.

      • KCI등재

        漢文敎育學과 傳統的 價値觀

        金王奎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2018 漢字 漢文敎育 Vol.44 No.-

        이 글은 한문교육학 관점에서 전통적 가치관 영역 문제를 논의했다. 전통적 가치관의 原形, 繼承, 變奏와 관련된 문제는 다방면에서 논의를 전개할 수 있다. 필자의 이 글은 전통적 가치관의 원형, 계승, 그리고 변주를 교과 내용론, 방법론, 그리고 평가론의 統合 차원에서 수용하고자 했다. 바로 敎科敎育學的 變容의 과정에 대한 試論이다. 내용론의 관점에서 한문과에서 수용 가능한 언어 재료와 언어 재료를 통한 目的을 정리했다. 한문과의 교과적 특수성과 관련하여 전통적 가치관의 意味 資質을 고려하여 德目을 예시했다. 내용, 방법, 그리고 평가의 통합 운영의 실제를 예시하면서, 전통적 가치관의 원형, 계승, 그리고 변주 과제를 논의했다. 전통적 가치관의 원형을 확인하는 데 그치지 않고 원형과 연계하여 사고를 擴散하거나, 원형에 내재한 가치를 自己化하는 방안을 이론 차원과 실제 수업 층위에서 구안하는 작업이 필자를 포함한 한문교육학 연구자의 후속 과제이다. 이는 바로 한문학 곧, 내용의 한문교육학적 변용에 대한 학문적 탐구이다. This paper discusses the traditional values domain problem from the viewpoint of a study of classical Chinese education. Problems related to the prototype, inheritance, and variation of traditional values can be discussed in various fields. This paper intends to accept the prototype, succession, and variation of traditional values in the integrated level of the course content theory, methodology, and evaluation. This is an essay on the process of educational change of subject. In terms of content theory, This paper summarizes the acceptable language material at classical Chinese education and its purpose through it. This study exemplifies virtue by taking into account the specificity of classical Chinese education and the meaningful qualities of traditional values. I discussed the prototype, inheritance, and variation tasks of traditional values, illustrating the practice of integrated operation of content, method, and evaluation. The next task is not only to identify the original form of the traditional values, but also to expand the thinking in connection with the original form, or to create a method of making the inherent value of the original form theoretically and practically. This is an academic inquiry into educational change of subject. Key

      • KCI등재

        기혼여성의 전통적 가족주의 가치관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부부갈등 대처방식의 매개효과

        이승현,이규호 한국가족관계학회 2022 한국가족관계학회지 Vol.27 No.2

        Objectives: This study examined the influence of married women’s traditional familialism values on marital satisfaction through the method of coping with marital conflict. Specificall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the relationship between married women’s traditional familial values and marital satisfaction changes according to types of marital conflict interactions such as ‘deteriorating opinions’, ‘calm conversation’, and ‘intense debate’. Method: To this end, data from the 5th (2014), 6th (2016), and 7th (2018) of the Women and Families Panel Survey were used, and 5,755 married women who maintained marriage with their spouses were selected and analyzed for the study. For data analysis, SPSS 25.0 and Mplus 7.0 programs were used. Result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married women’s traditional familialism values and marital satisfaction, which means that marriage satisfaction increases as married women pursue traditional familialism values.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the method of coping with marital conflict by all types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raditional familialism values of married women and marital satisfaction. Specifically, the more married women aim for traditional familialism values, the less they hide their opinions or argue violently in marital conflict situations, and more calmly communicate, which means that they have a positive effect on marital satisfaction.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marriage satisfaction increases as married women pursue their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traditional familialism values an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may vary depending on the method of coping with marital conflic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consider the negative perception of the word ‘traditional’ in family relationships, and in addition, in order to smoothly resolve marital conflict, it is necessary to increase counseling and education programs to help them master desirable marital conflict coping strategies and communication methods. 연구목적: 본 연구는 기혼여성의 전통적 가족주의 가치관이 부부갈등 대처방식을 매개로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다. 구체적으로 기혼여성의 전통적 가족주의 가치관이 ‘의견을 속으로 삭힘’, ‘차분히 대화’, ‘격렬히 논쟁’과 같은 대처방식을 거쳐 어떻게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주는지 살펴보았다. 연구방법: 여성가족패널조사 제5차(2014), 6차(2016), 7차(2018) 데이터를 활용하였으며, 현재 배우자와 결혼생활을 유지하고 있는 기혼여성 5,755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5.0과 Mplus 7.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기혼여성의 전통적 가족주의 가치관과 결혼만족도는 유의한 정적 관계가 있었으며, 이는 기혼여성이 전통적 가족주의 가치관을 지향할수록 결혼만족도가 증가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모든 부부갈등 대처방식은 기혼여성의 전통적 가족주의 가치관과 결혼만족도의 관계를 매개하였다. 기혼여성이 전통적 가족주의 가치관을 지향할수록 부부갈등 상황에서, 자신의 의견을 숨기거나 격렬하게 논쟁하는 극단적 경우가 줄어들고 차분히 대화하는 경우가 늘어났는데, 이는 결과적으로 결혼만족도에 긍정적 영향을 주게 된다. 결론: 기혼여성이 전통적 가족주의 가치관을 가질수록 결혼만족도가 높아지는데, 그러한 경로에서 부부갈등 대처방식이 이 둘의 관계를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가족관계에서 ‘전통적’이라는 단어가 갖는 부정적 인식에 대해 다시 생각해볼 필요가 있고, 더불어 부부갈등을 원만하게 해결하기 위해 바람직한 부부갈등 대처전략과 의사소통 방법을 터득할 수 있도록 돕는 상담 및 교육 프로그램을 증가시킬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중학교 한문 수업에서 전통적 가치관 교육의 실행 방안

        鄭東雲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2018 漢字 漢文敎育 Vol.44 No.-

        이 논문은 중학교 한문 수업에서 전통적 가치관 교육의 실제 수업 방안을 구성하여 그 과정을 검토하고 실제 수업 사례의 내용을 제시한 것이다. 전통적 가치관을 담고 있는 중학교 한문 교과서 상의 주요 제재에 대한 학습 과정이 중학교 학습자의 실제 삶과 동떨어진 차원이 아니라 학습자 일상의 삶에 긴밀하게 다가갈 수 있고, 중학교 학습자들의 가치관 형성에 자발적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또한 이러한 학습 과정은 가치관을 담고 있는 제재에 대한 기본적인 독해 이후에 자연스럽게 체화 되도록 해야 한다. 즉 독해를 통한 가치관에 대한 이해와 가치관을 형성하는 활동이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학습자가 자발적이며 자연스럽게 전통적 가치관을 수용하고 적용하는 과정이 수업을 통해 구현되어야 한다. 이러한 관점에 입각하여 실제 수업 방안은 교과서 제재에 대한 독해 학습과 이를 체험하여 적용하는 수행평가 수업의 과정으로 구성하여 ‘나를 돌아보는 한문 수업 – 인성 탐구 한문과 학습’이란 연간 계획을 통해 운영하게 되었다. <나를 돌아보는 한문 수업>은 모두 4개 영역으로 운영하였다. 첫째는 ‘내 인생의 고사성어 좌우명 발표하기’이다. 2학년을 대상으로 학생 자신의 인생관을 담아 삶의 지표가 될 수 있는 고사성어를 고르게 하고 선정한 고사성어의 ① 음과 뜻(겉뜻과 속뜻), ② 유래, ③ 내포된 교훈이나 주제, ④ 선정 이유, ⑤ 가상의 미래 모습을 보고문(제시된 서식에 따라)에 작성하고 작성한 보고문의 내용을 주로 ppt형식으로 개별 발표하게 하였다. 개별 발표 시간은 3분∼5분 사이로 제한하고 순번을 정해 발표하게 하였고 그 발표문 가운에 선정한 이유와 미래의 모습과 연관된 내용을 글로 모았다. 두 번째는 ‘나를 돌아보는 한문 성찰록 쓰기’이다. 2학년을 대상으로 교과서 수업이 1주일에 걸쳐 끝나면 해당 단원에서 성어, 속담, 격언을 하나 골라 이를 자신의 하루하루 일과 생활과 연결하여 고르게 하여 선정한 성어, 속담, 격언을 ① 한자로 쓰고 풀이하게 하고, ② 나를 돌아보는 반성과 성찰의 주제(제목)을 정하여 ③ 그 내용을 일기, 반성문, 수필, 만화 등등의 형식으로 작성하게 하는 수업이다. 세 번째는 ‘좌우명 한자성어 창작하기’이다. 2학년 대상으로 고사성어에 대한 강의식 수업으로 독해력 파악에 중점을 두고 진행한 이후 수행평가로 한자성어 창작하기 수업을 운영한다. 모둠을 구성하여 모둠원에게 <덕담지>를 돌려 자신의 장점을 받도록 하고 모둠원의 의견을 참고하여 자신이 생각하는 장점과 단점을 적고, <나의 좌우명>을 정하여 한글 문장으로 적도록 한다. 수업시 간에 배운 한자성어와 고사성어의 형식을 본뜨거나 자기 나름대로 단어의 짜임에 유의하여 좌우명이 될 자신만의 한자성어를 창작하게 한다. 네 번째는 ‘바른 인성을 탐구하는 한문 토의 수업-인성 탐구 감상문 쓰기’이다. 3학년 대상으로 명언·명구 독해 수업을 바탕으로 교과서에 없는 격언에 대하여 개인별 해석을 시도하고 모둠별 토의를 통해 올바른 해석을 찾아보며 그 속에 담긴 주제와 교훈을 탐구할 수 있도록 수업을 진행했 다. 개인별, 모둠별로 해석해본 격언들의 주제와 교훈을 학생들이 내면화할 수 있도록 <인성 탐구 감상문>을 작성하여 제출하게 했다. 감상문의 형식은 ① 격언의 주제와 교훈에 대한 설명 적기 ② 자신의 삶과 관련하여 구체적으로 깨닫게 된 의미와 느낌 적기의 구성으로 제출하게 했다. 이상의 네 가지 ‘나를 돌아보는 한문 수업 – 인성 탐구 한문과 학습’을 운영한 결과 한문 제재에 담긴 교훈과 주제를 학생들이 실생활에서 자신의 삶에 체화하여 가치관을 형성하는 계기가 될 수 있도록 한 수업 목표가 일정 정도 수행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주로 수신(修身)를 주제로 한 전통적 가치관이 학습자에게 실생활에서 체험되게 하는 활동이 직접적인 주제 전달의 수업보다 더 효과적인 방안이라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In this paper, the practical teaching method of traditional value education is composed in the middle school classroom in junior high school. The process of studying major sanctions on middle school Classical Chinese textbooks that contain traditional values can be approached not only to the real life of middle school students but also to the life of everyday students, and to work voluntarily to form values of middle school learners. Should be. In addition, this learning process should be naturally embodied after a basic reading of the sanctions that contain values. In other words, the process of understanding and accepting the values and applying the traditional values naturally to learners should be implemented through the lessons. Based on this viewpoint, the actual teaching plan consists of the reading learning about the textbook sanction and the performance evaluation class which is applied by experiencing it, and it is operated through the annual plan called 'Hanmun class for looking at me - <All Classical Chinese classes to look around me> were all in four areas. The first is 'to announce the motto of my life'. (2) A student 's own view of life, (2) The student' s own view of life, (3) The meaning and meaning of (4), And (5) the future of the virtual world in accordance with the format of the report (according to the format presented). Each presentation time was restricted to between 3 minutes and 5 minutes, and the order was announced and announced. The second is 'writing a poem that reflects on me'. When a textbook class finishes for a second grade in a week, select one of the proverbs, proverbs, and proverbs in the unit and use it to connect with the day-to-day life of the student., ② the subject (reflection) of reflection and reflection that reflects on me, ③ the lesson is written in the form of diary, reflection, essay, cartoon and so on. The third is 'to create a motto of Korean motto'. This course focuses on reading comprehension by lecture lesson about the dead language as a target for the second grade, and then runs a lesson to create a Classical Chinese character language through performance evaluation. Organize the group and give it back to the members of the group to receive their merits and write down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they think by referring to the opinions of their members, and write down their motto in Korean. You can create your own Classical Chinese character words that will be the motto to follow the form of the Classical Chinese characters and the ending words learned in the class or to keep in mind the structure of the words in your own way. The fourth is 'the lesson of the Classical Chinese text studying the right personality - the writing of the examination of personality inquiry'. Based on the reading and listening comprehension lessons for the 3rd grade students, I tried to interpret individual notions that are not in the textbooks, and tried to find out the correct interpretation through group discussions and to study the topics and lessons learned in them. In order to allow students to internalize the themes and lessons of the maximals that were interpreted by individuals and groups, they were asked to fill out and submit them. The format of the sentence was ① the subject of the maxim and the explanation of the lesson ② the submission of the meaning and feelings that came to be understood in detail about his life. As a result of running four kinds of 'Chinmun class to look back at me' - 'Inclusion study Classical Chinese writing and learning', I have learned the lesson and theme in the Classical Chinese writing sanctuary as a goal of teaching students' And it was confirmed that it was performed to some extent. It can be seen that the activities that have experience in real life through activities that are not burdensome to the learner are more effective than the teaching of direct topic.

      • KCI등재

        고등학교 한문Ⅰ 수록 격언에 담긴 전통적 가치관과 현대적 계승

        안세현 대동한문학회 (구.교남한문학회) 2019 大東漢文學 Vol.60 No.-

        In this paper, I analyzed the values contained in the maxims contained in the high school Chinese language textbooks and sought the direction of modern succession of traditional values contained in the maxims. By analyzing the maxims contained in the textbook, I have confirmed that the values contained in the maxim are too biased toward the ethics of Confucianism, and that there is no maxim that contains the values related to nature. I discussed three aspects of how to improve this. First, we must reset our traditional values from a present perspective when selecting a maxim. This prevents the categories of values from being biased to one side. Second, I analyzed Jeong Yak-yong(丁若鏞)'s <Search for the source of the resentment (原怨)>, criticizing the ethical aspect of obedience to filial piety and highlighting the transverse ethics based on the bilateral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and their children. Third, I introduced the sentence contained in the aphorism-collecting book, 『Yoomongyoung(幽夢影)』, as an example of a maxim that teenagers can relate to in their daily lives. I look forward to this paper as a reference when writing textbooks based on the new curriculum. 본고는 고등학교 한문Ⅰ 교과서에 수록된 격언에 담긴 전통적 가치관을 분석하고, 격언을 통한 전통적 가치관의 현대적 계승 방향을 모색해 본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2009 및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한문Ⅰ 교과서 총23종에 수록된 격언 119개를 정리하여, 격언에 담긴 가치관을 ‘자기 관리 의식’, ‘타인 배려 의식’, ‘공동체 의식’, ‘자연 친화 의식’ 네 가지로 분류해 보았다. 이 중에서 ‘자기 관리 의식’이 전체의 2/3 정도 되었으며, 격언의 출전은 『논어』・『명심보감』 등 유교의 경전과 수신서가 전체의 절반 가까이 되었다. 이를 통해 격언에 담긴 가치관이 유교의 윤리관에 근거한 修身에 지나치게 편중되어 있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이를 개선하기 위한 방안을 세 가지 측면에서 논의하였다. 첫째, 격언을 선정할 때 전통적 가치관을 현대적 관점에서 재설정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격언에 담긴 전통적 가치관이 한쪽에 편중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였다. 둘째, 전통적 가치관을 비판적으로 이해하고 현재적 의미를 탐색하였다. 정약용의 <原怨>에 나오는 “怨者, 孝子之所以自達其衷者也.”를 통해, 효 사상의 복종 윤리적 면모를 비판하고 부모와 자식 간의 쌍무적 관계에 기초한 횡적 윤리를 부각시켰다. 셋째, 격언에 담긴 가치관의 범주를 확대하고 현재적 의미를 강화하기 위해 격언의 사례를 제시하였다. 청소년들이 일상생활 속에서 공감할 수 있는 사례로 淸言小品인 張潮의 『幽夢影』에 수록된 문장을 소개하였다. 아울러 현행 교과서에 자연에 대한 가치관을 담고 있는 격언이 전무한 실정을 고려하여, 생태적 사유를 보여주는 몇몇 문장을 제시해 두었다. 본고는 향후 새로운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서를 집필하면서 격언을 선정할 때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한국 기혼여성의 이혼태도에 관한 연구

        오지혜(Oh Ji hye) 한국가족학회 2015 가족과 문화 Vol.27 No.1

        최근 한국사회에서 증가하고 있는 이혼율과 이혼 사유의 다양성은 이혼에 대한 다차원적 접근을 요구한다. 특히 핵가족 체제아래에서 증가되는 부부관계 중요성과 개인주의 가치관 확산은 가정 내 차원 또한 고려한 이혼 분석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경제적 요인이나 사회인구학적 특징과 같은 ‘가정 외 요인’과 가족관계 및 가치관과 같은 ‘가정 내 요인’을 개별적으로 다루어온 기존연구는 이혼에 대한 단편적인 지식을 제공할 수밖에 없다. 본 연구는 기존연구의 이러한 한계점을 지적하며, 기혼여성의 이혼태도에 ‘가정 내 요인’과 ‘가정 외 요인’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총체적인 경험분석을 실시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2011년 여성가족패널조사 자료를 이용해 기혼여성 응답자를 중심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종속변수는 기혼여성의 이혼 태도이고, 독립변수는 부부관계, 가족관계, 전통적 가치관, 개인주의 가치관으로 구성 된 가정 내 요인과 경제상태 및 사회인구학적 요인을 포함한 가정 외 요인이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가치관 요인을 고려하게 될 경우 기혼여성의 이혼태도에 영향을 미쳤던 연령효과와 가구소득의 통계적 유의성은 사라지고, 관계적 요인을 고려하면 남편의 학력효과가 변하는 것으로 나타나 기혼여성의 이혼태도는 가정 내 요인으로부터 더 큰 영향을 받고 있었다. 또한 전통적 가치관 보다는 개인주의 가치관이 기혼여성의 이혼태도에 더 큰 영향을 끼쳐 한국사회의 이혼은 개인주의 가치관 확산에 의한 것으로 이해됐다. 그러나 이혼에 대한 태도는 여전히 전통적 가치관과 함께 혼재된 형태로 나타나고 있었는데 특히 시댁과의 관계가 기혼여성의 이혼태도에 매우 유의한 효과를 가지고 있어, 한국 특유의 전통적인 가족문화가 여전히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모든 변수를 통제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부부관계 변수의 효과가 매우 강한 것으로 나타나, 부부생활의 갈등이나 만족이 이혼을 설명하는 중요 변수 임도 확인하였다. 이 같은 연구 결과를 통해 앞으로의 이혼 연구는 사회인구학적 특징, 가치관의 변화, 가족 및 부부관계라는 다각적 차원에서 이루어져야 하며, 이는 가정 외부 요인과 내부 요인 모두를 고려한 총체적 분석이 되어야 함을 제언한다. An increase in divorce rates and the diversity of the reasons for divorce in the Korean society accentuates the emergence of a multidimensional approach for comprehensive analysis. The increase of the importance of the marital relationship and the spread of values of individualism under the family structure of industrial society require a further explanation starting from the household. However, existing researches on phenomenon of divorce have been individually focusing on the external factors and the internal factor. This provides only fragmentary understanding for divorce. In such context, this paper points out the limitations of existing research on divorce and put the purpose of carrying out the analysis of the whole experience that takes into account both external factors and internal factors of the household. An analysis is conducted on the target married women respondents with using Korean Longitudinal Survey of Women and Families data in 2011. As the dependent variable, attitudes toward divorce of married women were considered and as the independent variable, marital relationship, family relationship, the values were considered. The results showed that when considering the factors of values, the significance of household income and age effect were eliminated, while the relationship factors, the effect of education of husband were appeared to change. That means that attitude toward divorce can be greatly influenced by internal factor rather than external factor. In addition, values of individualism had a significant impact on divorce attitude formation of married women rather than traditional values. Therefore, divorce in Korean society can be seen as a result by the diffusion of individualism. However, attitudes toward divorce were appeared when both individualism and traditional values were mixed together, especially the relationship with family of husband which has a highly significant effect on the attitude toward divorce of married women. This result confirmed the fact that the family’s traditional culture still exists. Lastly, despite controlling all variables, there was significant impact of marital relationship variables, confirming that satisfaction and conflict of married life are important to explain divor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