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강원지역 천주교의 유입과 유교사회의 대응

        안세현 고전문학한문학연구학회 2015 고전과 해석 Vol.18 No.-

        본고는 19세기 강원지역에 천주교가 유입‧정착되면서 벌어지는 유교사회의 대응 양상을 고찰하는 데에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먼저 강원지역에 천주교가 유입‧정착되는 과정을 검토하였다. 1795년 을묘사 옥과 1801년 신유사옥 등 조선 조정의 천주교 탄압과 함께 경기도 양평과 여주에 거주하였던 천주교인 들이 강원도 원주와 횡성 등지로 이주하면서 강원지역에 본격적으로 천주교가 유입‧정착되었다. 이후 강원도 내의 역로를 경유하면서 대관령 너머의 영동지방까지 천주교가 전파되었다. 다만 유림세력이 권력화 되었던 강릉이나 토착문화가 강했던 삼척은 외래 종교인 천주교가 거의 정착되지 못하였다. 다음으로 천주교에 대한 유교사회의 대응 양상을 두 가지 측면에서 고찰하였다. 첫째, 화서학파가 전개 한 척사운동의 논리와 방식을 살펴보았는데, 특히 이항로와 홍재구의 차이에 주목하였다. 화서학파의 종장인 이항로는 교리적 차원에서 천주교에 대한 유교의 우월성을 주장하거나, 천주교를 서양의 군사 적 위협과 연관시킴으로써 국가 안위를 위해 천주교 배격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화서학파의 마지막 에 자리한 홍재구는 정속신편 에서 서양 사람들의 음란함을 부각시키며 윤리적 문제를 거론하거나, 비상식적인 유언비어를 근거로 천주교에 대한 반감을 노골적으로 드러내었다. 이는 향촌사회에서 유교 의 통제력이 급속히 줄어들고 천주교의 교세가 확장되는 데 대한 위기감에서 비롯된 것이었다. 둘째, 1866년 조불수호통상조약이 체결되어 사실상 자유로운 포교 활동이 허용된 이후, 향촌사회에서 벌어지 는 유교와 천주교의 갈등 양상을 살펴보았다. 1893년 횡성의 유생 횽효백‧안준문이 르메르 신부를 무고 한 사건, 같은 해 양양의 향반 이사일이 불라두 신부를 죽인다고 협박한 사건, 그리고 1899년 안변의 유 림세력 동심회 회원들이 안변 본당 관하의 공소를 습격한 사건 등이다. 이를 통해 향촌사회에서 새롭게 부상한 천주교 권력과 유교적 질서를 고수하는 유교 세력 간의 갈등이 점차 집단화되고 심화되어갔음 을 알 수 있었다. This paper aims at social phenomenon of spreading Catholic around Gangwon area during the 19th century, especially focusing on the response of Confucian society. The influx of Catholic largely influenced on the life pattern and the order of rural community society. Gangwon area, in particular, was one of important areas because there were opposing movement against Catholic while it settled down in Gangwon smoothly. First of all, I examined the process of influx and settlement in Gangwon area. In 1795 and 1801, many Catholic people in Joseon moved to Wonju and Heongseong to avoid oppression. It was the beginning of accepting Catholic in Gangwon area. Later, some people migrated to Yeongdong area and it means a wide spread of Catholic in Gangwon area. Second, I examined the aspect of confrontation against Catholic from Confucian society in two respects. One is from the school of Hwaseo and the other is from the regional community. Lee Hang-ro and Hong Jae-gu, the main people of school of Hwaseo, had different opinion about dealing Catholic. Lee Hang-ro asserted that the doctrine of Confucianism is superior to Catholic. He also insisted that Catholic should be removed from Joseon as it cause bad influence in defense of state. On the other hand, Hong Jae-gu exposed hostility outrightly highlighting the obscene of Western people. The regional community also came into conflict with Catholic. For example, a false accusation against Le Merre in Heongseong, and the death threats against Bouladoux in Yangyang in 1893 shows us a strict strife between Catholic and regional community of Confucianism.

      • KCI등재

        한말~일제강점기 강릉지역 유림의 활동 양상과 그 의미 - 지역사회에서 유교문화의 현대적 계승과 과제 -

        안세현 고전문학한문학연구학회 2019 고전과 해석 Vol.29 No.-

        In this paper, I explored the activities of the Confucian scholars in Gangneung from 1894 to 1945 in three aspects. First, the confucianists in Gangneung organized the Mosungye(慕先契) in 1906 to strengthen internal solidarity. In 1908, they sought to renew Confucian education by pushing for the Hwasan School (花山學校) within GangneungHyanggyo. Second, they formed Gangneung Historic Preservation Society(江陵古蹟保存會) in the early 1930s to systematically develop the theorem and succession work of Confucian culture. They compiled books such as Zungsu-Imyeongji(增修臨瀛誌) and GangneungHyanggyoSilgi(江陵鄕校實記) to confirm Gangneung's status as the home of the Confucian scholars. Finally, the confucianists in Gangneung carried out activities to justify the war of aggression of Japanese imperialism through an organization called Gwandong Myeongdeokhoe around the 1940s. The reason for this non-confucian activity is that he tried to strengthen his organization through his reliance on power. This paper could provide many implications for exploring the direction of modern succession of Confucian culture in today's. 본고는 1894년 갑오개혁으로 과거제가 폐지되고 향교의 교육 기능이 상실된 이후, 한말~일제강점기 강릉지역 유림의 활동을 세 가지 측면에서 고찰한 것이다. 먼저 1894년 갑오개혁 이후 1910년 한일병합까지 있었던 慕先契 활동과 花山學校 설립에 주목하였다. 모선계는 1906년 조선시대 강릉 사마소인 계련당을 중수하기 위해 조직된 모임이다. 과거제가 폐지되었으나 과거 합격자와 그 후손들이 중심이 되어 유림의 결속을 다졌다. 화산학교는 유교 교육을 위주로 하되 신식학교의 면모를 가미하여 강릉향교에 설립된 학교이다. 서세동점의 시기 유교의 위기를 타개하기 위해 유림이 향교 교육의 갱신을 모색한 데에 의미가 있다. 다음으로 1930년대 전후로 있었던 『江陵靑衿錄續錄』․『江陵鄕賢行錄』 등의 편찬과 강릉고적보존회 활동을 살펴보았다. 강릉 유림의 명부인 『강릉청금록속록』과 강릉 12향현의 행록인 『江陵鄕賢行錄』을 간행함으로써, 유림의 정체성을 강화하고 강릉이 지닌 儒鄕으로서의 위상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특히 1932년에는 강릉고적보존회를 창립하여 『증수임영지』․『강릉향교실기』 등을 편찬하였는데, 일제에 의존한 측면이 없지 않지만 유교문화의 정리 작업은 근대적 지역학의 정립으로 평가할 만하다. 마지막으로 1930년대 후반부터 1940년대 초반까지 있었던 관동명덕회의 활동을 살펴보았다. 이 단체는 1937년 중일 전쟁 이후 일제의 침략전쟁을 정당화하고 총동원체제를 홍보하는 활동에 동원되었다. ‘明德’이라는 이름을 내걸었을 뿐 실상은 유교 정신과 정면으로 배치되는 것이었다. 이렇게 된 데에는 유림이 스스로의 정체성을 자발적으로 확립하지 못하고, 권력에의 지나친 의존을 통해 세력화하였던 데에 가장 큰 이유가 있었다. 한말~일제강점기 강릉의 유림이 가졌던 문제의식은 오늘날에도 여전히 유효하며, 오늘날 지역사회에서 유교문화를 현대적으로 계승하는 데에 많은 시사점을 던져준다.

      • KCI등재후보

        조선전기 향교가요의 창작 양상과 그 배경

        안세현 고려대학교 한국언어문화학술확산연구소 2015 Journal of Korean Culture Vol.31 No.-

        In this paper, I researched the aspect, the background, and the status of writing songs of Hyanggyo during the early Chosun period. Songs of Hyanggyo is poet which extols the virtue of a newly-appointed rural governer, and written by teacher of Hyanggyo. Most of them were written between the 15th and 16th century, and half of them were created in Gyeongsang Provinces. This social phenomenon is deeply related to the establishment of Chosun, and the invigoration of neo-confucianism. The major part of songs of Hyanggyo is 8 verses with 4 words to each line. And the form and matter is very similar to the movement. Also it has close relation to the 3 types of songs, which are written by the older, the scholar, and the women. These types of songs inherited the tradition of dedicate songs to the King. Songs of Hyanggyo especially have connection to the scholar. Therefore we can recognize the aspect of acceptance about the songs of the royal court and rural area. Songs of Hyanggyo are hardly seen since the 17th century, and this is because Seowon replaced the role of Hyanggyo since after the middle of 16th century. And the creation of new works were also uncommon. This is natural limit of songs of Hyanggyo. 본고는 조선전기에 집중적으로 창작된 향교가요에 주목하여 향교가요의 창작 양상과 연원, 창작 배경과 위상을 살펴본 것이다. 향교가요는 향교의 교생이 새로 부임한 관찰사의 德化를 칭송하고 향교를 통한 文敎의 확장을 칭송한 시이다. 시기적으로 15~16세기에 집중적으로 창작되었으며, 지역적으로 경상지역이 거의 절반을 차지하였다. 이는 성리학을 국시로 하는 조선이 건국되면서 향교의 재건이 활발하게 진행되었고, 특히 경상지역에서 성리학이 활성화된 것과 관련이 깊었다. 향교가요는 『詩經』의 「頌」에 보이는 4언 8구 형식이 주류를 이루는 가운데, 7언 절구ㆍ율시나 詞體 등도 보였다. 내용과 형식이 樂章과 흡사하였으며, 조선시대에 들어 성행한 이른바 ‘三歌謠’(耆老歌謠ㆍ儒生歌謠ㆍ敎坊歌謠)와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었다. 삼가요는 고려중기 이래로 왕이나 지방관에게 올렸던 致語와 口號 등 獻歌謠의 전통을 계승한 것이다. 향교가요는 삼가요 중에도 특히 유생가요와 관련이 깊었는데, 유생가요가 중앙의 성균관이나 오부학당의 유생들이 왕을 칭송한 것이라면, 향교가요는 지방의 향교 교생이 관찰사를 칭송한 것이었다. 향교가요를 통해 중앙의 궁중 가요가 향교를 중심으로 한 지방에서 어떤 방식으로 수용되었는지를 알 수 있었다. 향교가요는 17세기 이후 거의 보이지 않는데, 이는 16세기 중반 이래 서원이 향교의 역할을 대체하며 향교가 위축된 것과 관련이 깊었다. 또 향교가요는 악장과 같은 儀式謠로서 15세기 말 『樂學軌範』이 편찬된 이래 새로운 악장의 창작이 드물어졌던 것과 무관하지 않았다. 이는 頌歌이자 儀式謠인 향교가요가 지닌 태생적 한계였던 것이다.

      • KCI등재

        Genesis of the Russia-Japan Conundrum in Northeast Asian Security: The Anatomy of Mutual Distrust and the China Factor

        안세현 서울대학교행정대학원 2021 Journal of Policy Studies Vol.36 No.1

        This paper examines the potential and limits of Russo-Japanese bilateral relations across the Gorbachev, Yeltsin and Putin periods, exploring the roots of the mutual distrust between the two countries, Gorbachev’s “new thinking” with respect to Japan, how Yeltsin’s policy differed from Gorbachev’s, what Putin’s policy priorities were with Abe, and the limits of Russo-Japanese relations. I also analyze important external elements in bilateral relations such as the China factor, predict how Russian relations with Japan will affect Russia’s future role in Northeast Asia, and discuss policy implications for Republic of Korea as well. The main argument of this paper is that Japan and Russia will continue to remain as immiscible in the end even before economic relations fully heated. Kuril Island dispute along with inherent mistrust between the two sides will continue to obstruct bilateral relations for the indefinite period unless there is a shocking event such as Russia’s decision to yield the four islands in contention to Japan.

      • KCI등재

        Anatomy of the Republic of Korea’s Niche Strategic Engagement in the Greater Mekong Sub-region (GMS): ROK’s Tailor-Made Strategy and its Security Policy Implication

        안세현 서울대학교행정대학원 2019 The Korean Journal of Policy Studies Vol.34 No.3

        Republic of Korea’s engagement in Southeast Asia could be generally understood as its Official Development Aid (ODA) strategy in most academic interpretation. Nonetheless, this article examines not only Korea’s traditional ODA approach toward Southeast Asia but also Korea’s uniquely tailor-made strategy toward Indo-China Peninsula in particular as well as what is to be done. In other words, this article intends to take further step beyond ODA interpretation of this particular subject over this region. This study specifically provides with multi-dimensional analysis of Republic of Korea’s involvement in Mekong River Sub-region as well as its regional and global security policy implication. The main thesis of this study is that Korea had no choice but to pursue Niche diplomacy toward the region because Korea did not possess full capacity enough to compete against Japan or China. In this sense, Korea’s own development experience is very unique and perhaps the only experience that no other country in the world has possessed. This article contends that Korea’s knowledge based capacity building projects toward Greater Mekong Sub-region such as KSP, CIAT, special Master’s degree training projects, local capacity building process, and etc. will continue to increase and diversify in terms of scale and contents. Again, based upon Knowledge based capacity building projects, Korea is in the process of producing a wide range of its unique tailor- made ODA programs for each member states of GMS. Unlike Japan International Cooperation Agency (JICA), Korea also tends to put more emphasis on creating exclusive Master’s degree Training Program which is centered on trainees of ODA Recipient countries. In this regard, Korea’s approach is aiming at strengthening discrimination by introducing a systemic evaluation system for training projects. This program will also turn out linchpin of ROK’s new strategy toward Mekong River area.

      • KCI등재

        별본(別本) 『동문선(東文選)』의 편찬 과정과 선문(選文) 방향 재고(再考) : 조선중기 산문을 중심으로

        안세현 한국한문학회 2014 韓國漢文學硏究 Vol.0 No.54

        본고는 청나라 강희제의 요청에 따라 1713년(숙종 39) 대제학 宋相琦(1657~1723) 등이 간행한 別本 『東文選』의 편찬 과정을 재구하고, 조선중기 산문을 중심으로 산문 선발의 방향과 양상을 구명하였다. 아울러 별본 『동문선』이 지닌 산문선집으로서의 위상을 따져보았다. 본고의 논의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편찬 및 간행 과정을 상세하게 재구하였다. 『승정원일기』 등을 검토해 본 결과, 별본 『동문선』의 편찬.간행은 1713년 3월 15일부터 약 6개월이 소요되었으며, 본격적인 시문 선발이 시작된 4월 12일을 기점으로 보면 약 5개월이 걸렸다.(윤5월 포함) 대제학 송상기가 주관하면서 홍문관ㆍ예문관의 관원이 참여를 하였으나, 책의 전체적인 규모 등 중요한 결정 사항에서는 좌의정 李?命(1658~1722)의 역할이 더욱 컸다. 특히 시문 선발의 전체적인 방향은 金春澤(1670~1717)의 의견이 많이 반영되었으며, 조선중기 산문 선발에 있어서는 金昌翕(1653~1722)의 역할이 컸다. 한편 洪世泰(1653~1725)는 교정관으로 선발되어 시문의 교정 작업에 참여하였다. 둘째, 산문 선발의 방향과 조선중기 산문의 수록 양상을 고찰하였다. 청나라에 忌諱가 되는 글은 원칙적으로 배제하고, 질적 성취 여부를 떠나 중국에 알려진 글은 우선적으로 선발하는 선문 기준이 있었다. 특히 김춘택은 「東文問答」에서 道學文字 위주로 산문을 선별할 것을 주장하고, 구체적인 문인과 시문 목록을 제시하였다. 성리학과 관련 글이 지나치게 많이 선발된 것은 김춘택의 의견에 따른 것이었다. 조선중기 산문가 가운데 최립과 장유가 비중 있게 선별된 것은 김창흡의 견해가 많이 반영된 결과였다. 셋째, 산문선집으로서 별본 『동문선』이 지닌 위상을 평가하였다. 별본 『동문선』은 『동문선』ㆍ『속동문선』 이후 왕명에 의해 편찬된 유일한 시문선집이고 조선중기 산문을 수록하고 있다는 점에서 일정한 위상을 지닌다. 그러나 선발된 문인의 대표성이나 성리학 관련 글이 지나치게 많은 점 등을 염두에 볼 때, 산문선집으로서 문제가 많았다. 일반적으로 선집에 수록된 글은 질적으로 좋은 것으로 간주되곤 하는데, 별본 『동문선』에 수록된 산문에 대해서는 주의할 필요가 있다. In this paper, I reorganized the process of compiling the New Edition of Tong Mun Son which was published by order of the King Sukjong. And I also studied the finality and status of that collection. As a result, I assured three aspects like following. First, I reorganized the process of compilation and publication. Accor- ding to the Daily Record of the Grand Secretariat, it took 6 months for the complication and publication. Song Sang-ki(1657~1723), The first counselor of the Royal Library, supervised this work. While Lee Yi-myong(1658~1722), Kim Chun-taek(1670~1717), Kim Chang-heup (1653~1722), and Hong Se-tae(1653~1725) did their own part. Second, I looked out the finality and aspects of selecting prose. There was a firm standard that each work must be considered to be worthful relate to the relationship between Chosun and the Qing dynasty. Third, I evaluated the status of this book as a prose compilation. This book was the only one which was compiled by the King"s order since its former versions were published. However, we should be careful not to trust the achievement of prose in this book. Because there were lots of works about Sung Confucianism in this book.

      • KCI등재

        17세기 전반 누정기(樓亭記) 창작의 일양상 -신식(申湜)의 "용졸재(用拙齋)"에 붙인 기문(記文)을 중심으로-

        안세현 (,Se Hyun Ahn ) 민족어문학회 2008 어문논집 Vol.- No.58

        본고는 申湜(1551~1623)의 `用拙齋`에 붙인 崔립(1539~1612), 洪可臣(1541~1615), 鄭逑(1543~1620), 柳夢寅(1559~1623), 李埈(1560~1635), 李수光(1563~1628) 등의 記文을 비교 분석하여, 17세기 전반 樓亭記 창작의 한 양상을 살펴보는 데에 목적을 두었다. 이를 통해 한문 산문의 장르적 연구 방향과 누정기에 대한 문학적 접근 방법을 모색해보았다. 먼저 창작 연대의 고증을 통해 당대 최고의 문장가인 최립의 「用拙齋記」가 가장 먼저 창작되었고 여타 문인들의 기문은 이를 의식하고 지어졌음을 밝혔다. 아울러 이수광의 「用拙齋記後敍」, 이준의 「用拙齋銘」, 정구의 「拙齋說」이 각각 `後敍`, `銘`, `說`이란 제목을 달고 있지만, 한문 산문의 장르 분류상 누정기의 범주에 포함되어야 함을 논증하였다. 6편의 누정기 분석을 통해 도출한 17세기 전반 누정기의 특징을 몇 가지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의론의 확대와 성리학적 사변성의 강화이다. 6편의 누정기 모두 齋名에 대한 의론이 주를 이루고 있다. 특히 최립의 「용졸재기」는 성리학적 사변성이 대단히 강하며, 홍가신의 「졸재기」에는 성리학에 대한 보다 엄격한 적용이 엿보인다. 이는 16세기를 거치면서 성리학에 대한 보다 철저한 이해가 이루어졌기 때문으로 보인다. 둘째 장자적 사유를 수용하고 諸子書의 구법을 활용하는 등 새로운 경향의 누정기 창작의 확대이다. 유몽인의 「용졸헌기」는 장자적 사유에 기초하여 논의를 전개시키고 「열자」, 「한비자」 등의 제자서의 구법을 활용하였다. 이수광의 「용졸재기후서」에도 `用`과 관련된 장자적 사유가 보인다. 이 시기 장자의 영향을 받은 누정기가 양적으로 크게 늘어나는데, 장자의 寓言 방식을 차용한 蜃樓記 계열의 누정기가 대표적인 사례이다. 이는 기존의 연미한 당송문을 벗어나 새로운 문체를 구사하려는 움직임으로 이해할 수 있겠다. 셋째 누정기에서 자신의 불우함이나 당대 현실에 대한 불만을 우의적으로 표현하는 경향이 많아졌다는 점이다. 유몽인은 「용졸헌기」에서 자신의 정치적 불우함을 우의적으로 표현하였으며, 「月波亭記」와 「恩波亭記」에서는 임금의 인척인 권세가들을 은근히 풍유하기도 하였다. 허균의 「慟哭軒記」에서는 당대 정치 현실과 화합되지 못하는 허균의 불평지기를 엿볼 수 있다. 이는 붕당간의 정치적 대립이 본격화되는 17세기 전반기의 정치 상황에 의한 것으로 보인다. 앞으로 이 시기 누정기의 전반적인 특성을 구명하기 위해서는 최립과 유몽인을 비롯하여 비교적 많은 누정기를 남기고 있는 이정귀, 신흠, 허균, 이식, 장유 등의 누정기에 대한 연구도 함께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There were a considerable numbers of notable writers in the field of Chosun prosaic history from the late 16th century through the first 17th century. Choi Lib(崔립), Yoo Mong-in(柳夢寅), Lee Jeong-gui(李廷龜), Shin Heum(申欽), Heo Kyun(許筠), Lee Sik(李植) and Zhang You(張維) were outstanding writers during that period. While they gave themselves up to improve the prosaic theory, they also tried to compose actual writings. But we don`t have enough knowledge about their writings compare to their prosaic theories. To figure out aspects of pavilion writings, in this paper, I compared a series of writings about a pavilion Yongjol(用拙齋), which was owned by Shin Sik(申湜), composed by six different writers-Choi Lib, Yoo Mong-in, Hong Ka-shin(洪可臣), Chung Ku(鄭逑), Lee Zhun(李埈) and Lee Su-kwang(李수光). As a result of this, I figured out that Choi Lib`s writing was the first one among them, and partly influenced on the following writings of other coming writers. Beside this, as a critical criticism, I focused on their individual composition methods. Then I recognized some typical features. First of all, they tried to imbue Sung confucianism in their writings. Second, they adopted Taoism and other philosophers` way of thinking to flourish their writings. Third, they expressed their adversity and discontents with society using allegory. I believe that this work will contribute to figure out individual writer`s special distinctive and their way of think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