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문화콘텐츠로서의 전통문양 활용방안

        김선화(Kim, Sun Wha)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5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19 No.-

        오늘날 문화에 대한 인식의 전환과 부가가치 창출을 위한 디지털 경제의 ‘문화전쟁’이 치열하다. 각종 미디어에 담긴 내용물로 요약되는 콘텐츠Contents를 가지고 선진국들은 “문화산업”이라는 이름 아래 부가적인 경제효과 창출에 주력하고 있다. 따라서 문화콘텐츠로서의 전통문양 활용방안을 제안하기 위해 문화시대의 부가가치를 형성하는데 있어 ‘콘텐츠를 어떻게 창조하고 구체화 하여 경제 창출과 자연스럽게 이어져야 하는가’를 중점적으로 연구했다. 전통문양의 활용방안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로 문헌연구와 조사를 통해 문화콘텐츠 시장에서 직접 활용 가능한 콘텐츠개발을 구체화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이유는 일반적으로 콘텐츠는 모든 미디어로 표현될 수 있는 집합물로 문화, 예술, 학술적 내용물의 창작 또는 제작에 중점을 두어 주로 문화, 예술 및 학계를 기반으로 한 창작물이기 때문에 세계화의 공통성과 화제의 공감을 이끌어낼 수 있어야하며, 독립된 차별성을 지니고 있는 각 문화만의 독특한 특성이 내제되어야만 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한국 전통문양을 다양한 미디어로 변환하고 재가공하는 방법에 있어, 세계시장에서 관심과 이목을 끌 수 있는 구체적인 개발은 앞으로의 콘텐츠 개발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지침으로 활용도가 높을 것으로 보고 있다. 전통문양은 문화원형으로 활용되는 조형기호로서 전통문양이 콘텐츠로 활용되어 다양한 미디어로 재가공 되어 경제효과를 창출 위해서는 세계의 기호와 시대적 변화에 적합하도록 재구성 및 재창조가 필요한 것으로 보고 있다. 그러나 현재의 연구와 시장의 사례를 보았을 때 한정된 분야의 여러 가지 전통문양을 활용하여 다양하게 제작한 시제품은 내용물의 창작에 있어 미디어의 가공에 중점을 둔 제작이 아니라는 측면에서 효과적인 경제창출로 연결되지 못하는 아쉬움을 가지고 있다. 문화콘텐츠가 이 시대의 중요 키워드로 부상한 이유 중에 하나가 예술, 문화, 엔터테인먼트에 대한 욕구와 인간의 상상력을 표현할 수 있는 디지털 기술의 신장 때문이라면, 컴퓨터와의 접목을 시도한 연구와 전통문양을 수리적으로 접근하여 분류한 연구는 문화콘텐츠로서 전통문양 활용에 대한 문제점들을 해결하는 데에 대안으로서 작용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결론적으로 다양한 전통문양 활용에 관한 다양한 연구가 있었지만, 문화콘텐츠로서 높은 부가가치를 생산할 수 있기 위해서는 선정한 전통문양을 다양한 미디어에 사용할 것을 염두에 둔 기초 작업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Culture war’ which is to change the consciousness about culture and to generate the added value has become fierce. Developed countries are trying to obtain an economically dominant position under the name of "cultural industry" with contents that can be summarized as the content of each media. As change in paradigm to secure economic power and to express its unique identity gets urgent, each country is trying the maximize the effectiveness by finding the universality and developing the unique pattern to emphasize originality which differentiates the country from others. Contents can be considered as the contents combined with technology reproduced by technology. Cultural contents refers to the contents which generate added value with accumulated culture and traditional pattern plays as a medium to understand the living habits, religion, spiritual thinking as well as consciousness of architecture of the times. Therefore,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methods to utilize traditional patterns as cultural contents since it is a subjective form of common emotions which reflects national culture as well as cultural rules. For this purpose, directions of the researches on utilizing traditional patterns were analyzed by overall meta-analysis. As a result, there have been various researches on utilizing traditional patterns however, there has been no research considering the multi-use of traditional pattern by producing various samples with traditional patterns in limited areas. Also in-depth analysis needs to be conducted on those traditional patterns interpreted in a modern way since people can"t feel the emotions that only traditional patterns contain. Therefore, it is required to apply selected traditional patterns to various media to generate high value as cultural contents. In other words, the research which focuses on expanding profit structure and generating high value by reproducing and recreating traditional patterns for multi-use with consideration of one source.

      • 전통등(燈)의 현대적 활용을 위한 콘텐츠 연구

        이윤수 문화예술콘텐츠학회 2016 콘텐츠 문화 Vol.8 No.-

        등(燈)은 불을 밝히는 도구이다. 어둠을 밝히는 일 뿐 아니라 일상의 통과의례에서 적극 활용되어왔다. 불교가 전래되면서 등불에는 어둠 을 밝히는 일 외에도 새로운 의미가 부여되었다. 등불을 밝히는 연등 (燃燈)은 탐욕과 욕심, 어리석음의 삼독(三毒)에 젖은 자신의 무명(無 明)을 지혜로 밝힌다는 상징성을 지니고 있다. 등불을 밝히는 전통은 이러한 상징성 아래에 정성스럽게 이루어져 왔다. 중요무형문화재 제 122호 연등회는 1,200년 역사를 이어오는 ‘등 (燈)’으로 대표되는 축제이다. 연등회가 주목받으면서 연등회를 벤치 마킹한 다양한 등관련 축제, 혹은 등을 소재로 한 축제들이 곳곳에서 마련되고 있다. 본 논문은 축제 현장에서 인기를 모으고 있는 전통등 의 역사와 현주소를 진단하고, 전통등 문화의 현대적 활용을 위한 콘텐츠를 제안하는 연구이다. 등을 주제로 하는 축제, 등을 소재로 하는 축제, 소망등을 연계한 축 제를 통해 전통등이 축제 현장에서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지를 분석하 면서 전통 등문화의 활용에 관해서 궁중문화콘텐츠, 공예문화콘텐츠, 교육문화콘텐츠, 종교문화콘텐츠의 관점에서 제시하였다. 특히 궁중문화콘텐츠 분야에서는 문화재청의 ‘살아 숨쉬는 5대궁 사업’과 실록에 전하는 4월초파일 기록을 연계할 것을 제안하였으며, 교육문화콘텐츠 분야에서는 고령화 시대에 노인일자리 사업을 통한 노년층의 전통등 만들기 사업을 역설하였다. 공예문화콘텐츠 분야에 서는 전통등 장인을 제대로 대우하며 육성할 것을 제시하였고, 종교문 화콘텐츠 분야에서는 종교 기념일마다 전통등 만들기가 다채롭게 진 행되어야 함을 강조하였다. 전통등 만들기의 전과정은 한국의 전통문화가 총체적으로 집합된 종합예술이다. 닥종이가 활용되고 천연 염색이 뒤따르고, 오방색으로 의 채색이 이루어지는 전 과정이 친환졍적이면서 한국적 고유성과 미 의식을 보여주는 과정이다. 손수 등을 만들고 만든 등을 걸어놓고 불 을 밝힌뒤 즐기는 관등문화를 통해 잃어버린 신명을 회복하는 것이 오늘의 과제이다. Not only were lanterns a tool used to light up darkness, but they were also widely used in ceremonial rites of passage and festivals. Lighting a lantern is called yeon-deung. Yeon-deung bears the symbolic significance of brightening one’s self tainted with the Three Poisons—greed, anger and ignorance. Under the symbolism, the tradition of lighting a lantern has continued. Designated as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No. 122, Yeong Deung Hoe is the most renowned lantern festival with 1,300 years of history. There are today many lantern-related festivals replicating Yeon Deung Hoe as it has gained public attention. The thesis initially places its focus on the history of traditional lanterns. It comprehensively lists for the first time the types and roles of traditional lanterns from Silla Kingdom up to the period of Japanese colonization through written records. The thesis then examines the OSMU (One Source Multi Use) of traditional lanterns used in Yeon Deung Hoe through various festivals of today. Through the festivals in which a lantern the motif, the material and the medium of expressing people’s wishes, it explores how traditional lanterns are utilized. The thesis eventually suggests several ways to revitalize the traditional lantern heritage from the perspectives of royal court culture content, craft culture content, education culture content and religion culture content. In the part of royal court culture content, the thesis proposes to link the record on Buddha’s Birthday from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with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s Five Palaces Project. In the part of education culture content, it advocates a project employing the elderly in making traditional lanterns under the context of today’s aging society. In the part of craft culture content, it advises cultivating grounds for both today’s and tomorrow’s traditional lantern artists with fair treatment and due respect. In religion culture content, it emphasized the idea of making traditional lanterns during religious holidays. Every process of making traditional lanterns is a composite art in which Korean traditional cultures are comprehensively collected. The whole process in which Dakjongyi (a paper made from the bark of a paper mulberry) is used, natural dye is followed, and Korean traditional five colors are employed for coloration is not just environmental-friendly but also authentic and aesthetic in Korean way. The challenge faced today is to restore the lost “festivity” once prevalent in and among Koreans through the lantern culture.

      • KCI등재

        전통공예의 문화콘텐츠적 가치에 관한 소고

        김윤경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5

        A Study on the Value of Traditional Crafts as Cultural ContentsYoonkyong Kim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tribute to the interest stimulation and revitalization of traditional crafts by revealing their cultural contents. As a research method, the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crafts as cultural contents were considered, and their value of cultural contents was derived from a future-oriented perspective.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raditional crafts are creative cultural contents that contain the cultural archetype of the region. Second, traditional crafts are products made by merging artistic beauty and usefulness, and their inner characteristics are practicality, aesthetics, individuality, and communality. Third, the value of traditional crafts as cultural contents consists in the modern realization of the cultural archetype, the spread of the national and regional brand value through the industrialization of craftsmanship, the satisfaction of the aesthetic needs of the public, and the transmission of traditional cultural ideas. Through this study, it was deduced that the value of creative cultural contents of traditional crafts in the era of globalization lies in preserving regional identity and enhancing industrial competitiveness. Key Words: Traditional Crafts, Cultural Archetype, Cultural Contents, Cultural Industry, Traditional Cultural Industry 전통공예의 문화콘텐츠적 가치에 관한 소고김 윤 경* 연구 목적: 이 연구는 전통공예의 문화콘텐츠적 가치를 밝힘으로써 전통공예에 대한 관심을 높이고 전통공예의 활성화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방법: 전통공예와 문화콘텐츠에 관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문화콘텐츠로서 전통공예의 특성을 고찰하고 미래지향적인 관점에서 전통공예의 문화콘텐츠적 가치를 도출하였다. 연구 내용: 전통공예는 지역민의 생활용품을 지역의 재료로 장인이 만드는 것으로 문화원형을 담고 있는 창조적인 문화콘텐츠이다. 전통공예품은 아름다움과 쓰임새의 융합품으로 실용성, 심미성, 개별성, 공동체성을 지닌다. 전통공예의 문화콘텐츠적 가치는 문화원형의 현대적 구현, 장인정신의 산업화를 통한 브랜드 가치 확산, 대중의 심미적 욕구 충족, 전통문화사상의 전승이다. 결론 및 제언: 본 연구를 통해 세계화 시대에 전통공예의 창조적인 문화콘텐츠의 가치는 지역의 정체성을 지키고 산업경쟁력을 높이는 데 있음을 도출하였다. 핵심어: 전통공예, 문화원형, 문화콘텐츠, 문화산업, 전통문화산업 □ 접수일: 2022년 9월 11일, 수정일: 2022년 9월 30일, 게재확정일: 2022년 10월 20일* 계원예술대학교 광고・브랜드디자인과 조교수(Professor, Kaywon Univ. of Art & Design, Email: anyda@kaywon.ac.kr)

      • KCI등재

        지역방송 전통문화 콘텐츠 제작의 지향점

        이근용(Keun-Yong Lee) 부산울산경남언론학회 2012 지역과 커뮤니케이션 Vol.16 No.1

        이 연구는 지역방송이 지역의 전통문화를 소재로 한 콘텐츠를 제작할 때 전통문화를 어떤 관점으로 접근하는 것이 바람직한가를 논해 보고자 한 것이다. 지역방송이 중앙방송과 동일한 관점으로 접근해서는 전통문화의 가치 중에서 놓치거나 충분히 살리지 못할 부분이 있을 것으로 여겼기 때문이다. 논의는 먼저, 전통문화의 가치나 본질을 살펴보고, 지역방송의 전통문화 콘텐츠 제작 방향과 지향점을 탐색, 제안해 본 후, 지역방송이 전통문화 콘텐츠의 지향점을 콘텐츠에 실제로 어떻게 담아내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콘텐츠를 하나 선정, 분석해 보았다. 전통문화에 대해서는 무형의 가치에 주목할 필요가 있고, 민중성·생활성·전통성, 샤먼적 요소와 풍류정신 등을 담고 있음을 보였다. 지역방송이 전통문화를 콘텐츠 소재로 삼고자 할 때, 중앙방송과는 다르게 내부자의 시선으로 전통문화의 고유성과 보편성을 아울러 살피며, 완성품에 이르기까지의 과정과 맥락을 실험적인 포맷을 통해서 보여 줄 필요가 있음을 논했다. 전통문화 콘텐츠 제작방향으로는 대동적 참여적 형식, 풍류 정신적 내용, 일상적 체험적 재현 같은 것들을 고려해 볼 만하다고 제안했다. 전통문화 콘텐츠는 ‘열린 지역성’을 지향할 필요가 있으며, 실제 분석해본 지역방송 전통문화 콘텐츠에서도 그 단초와 가능성을 엿볼 수 있었다.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viewpoint on traditional culture of Korean local broadcasting when producing contents on various kinds of traditional culture which have been inherited, transformed, or invented in our society. The ways how local broadcasters treat traditional culture should be different from those of key stations for comprehensive implementation of the value of traditional culture. At the thesis, the value and essence of traditional culture have been reviewed. And, after the directions or objectives pursued by local broadcasting have been presented, a content on traditional culture has been analysed to show how the content implemented ‘open locality’, the objective proposed by this thesis, actually. Traditional culture to be focused on intangible values rather than tangible things contain various kinds of value elements such as shamanism, ‘poongrhu’, popularity, and liveliness, etc. When local broadcasters try to produce contents on traditional culture, it is recommended that they find out the property and universality of traditional culture, and represent the procedure and context through which traditional culture has become complete entity.

      • KCI등재후보

        호주원주민 전통문화의 현대적 수용 및 시사점 - 전통놀이와 스포츠를 중심으로 -

        강재원 글로벌 문화콘텐츠학회 2014 글로벌문화콘텐츠 Vol.0 No.15

        This study explores modern society’s acceptance and suggestion of the traditional Aboriginal culture in Australia. Although Australian Aboriginal culture includes a number of practices ceremonies centered on belief in the Dream-time, Aboriginal people were displaced from their ways of life to assimilate into Western culture after 18th-century settlement of the British. Nowadays, there is more done to ensure the survival of traditional Aboriginal cultural heritage for strengthening Australia’s national identity, social inclusion and economic benefits. In particular, traditional Australian games and sport would provide all Australian peoples with an opportunity to learn about, appreciate and experience unique aspects of Aboriginal culture. The consequence of this study suggests that ancient traditions and mysterious storytelling would be an integral part of the way of the promotion and development of traditional cultural contents in Korea. 본 논문은 호주원주민 전통문화의 현대적 수용양상과 전통문화 복원과 계승 발전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4,000년 이상 된 원주민 전통문화가 18-19세기 호주 백인의식민지 시대를 거쳐 철저히 파괴되었다. 그러나 호주 국가정체성 확립과 사회통합, 그리고 원주민 문화예술의 고고학적, 역사적, 교육적 가치 등이 국제사회와 학자들에게 큰 관심을 받게 되면서 원주민 전통문화를 현대적 감각에 맞게 수용하고 발전시키는 과정을 살펴보는 것은 매우 중요한 연구로 대두되고 있다. 특히 본 연구는 오늘날 다문화 한국사회에 무분별하게 유입되고 있는 팽배한 외래문화로 인해 경시되는 한국 전통문화의 고부가가치 문화콘텐츠창출 기회에 대해 중요한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 21세기 다문화사회에 혼합적 비전 제시가 가능한 전통문화콘텐츠 개발을 위해 고대와 현재, 미래를 이어주는 신비함에 대한 스토리텔링과 다양한 문화장르를 포괄적으로 수용하는 융합적 전통문화콘텐츠 연구가 절실히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충무공 이순신장군 ‘독제(纛祭)’의 공연콘텐츠 기획 연구

        김주연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2008 글로벌문화콘텐츠 Vol.0 No.1

        이 글은 전통제례인 이순신 장군 독제(纛祭)를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공연콘텐츠의 기획 방안에 관한 글이다. 문화다양성 시대에 한국문화의 고유한 개성을 토대로 한 문화콘텐츠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특히 전통문화 가운데 의례에 기초한 문회콘텐츠들이 끊임없이 발굴되고 있다. 이러한 사실은 전통문화를 활용한 다양한 콘텐츠 개발의 필요성을 더욱 높여준다. 전통의례의 공연콘텐츠화는 우리의 전통문화를 소개하는 것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중요한 문화적 자산을 널리 알릴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다. 옛것이라고 진부하게 여기는 세태 속에서 옛것이야말로 새롭고도 친근하게 다가갈 수 있는 이 시대의 새로운 콘텐츠 방법론이 전통의례의 공연화이다. 전통의례는 단순한 의식에서 끝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공연예술적 가치를 함유하고 있다. 특히 본 논문에서 다루려고하는 독제는 악·가·무(樂·歌·舞)가 결합된 개성 있는 한국문화이자 동아시아 최고의 종합예술문화라고 할 수 있다. 본고는 이러한 독제 제사의례의 공연화를 통해서 한국 전통문화의 우수성을 알리는 동시에 이를 활용한 새로운 공연콘텐츠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는 목적을 갖는다. 전통의례의 공연콘텐츠 기획 방안으로 원형 복원을 통한 재현 공연과 원형 모티프를 활용한 창작 공연의 두 가지 범주로 나누었다. 원형 복원을 통한 재현 공연은 공간이 가진 장점과 단점을 분석하여 이를 바탕으로 새로운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원형 모티프를 활용한 창작 공연화는 현대적이고도 대주적인 특성을 지닌 요소로 각색하여 전통의례의 공연이라는 새로운 장르 개척과 방향성을 제시했다는 데에 의의를 두었다.

      • KCI등재

        제주도 전통문화자원과 그 활용 - 성읍민속마을의 사례를 중심으로 -

        변성구 한국민요학회 2016 한국민요학 Vol.47 No.-

        문화산업 시대에 전통문화 자원의 활용에 대한 논의는 매우 중요한 작업이다. 본고는 제주도의 전통문화자원의 존재 양상을 살피고, 성읍민속마을의 사례를 들어 전통문화자원의 활용 방안을 찾는 데 주안점을 두었다. 제주도는 섬이라는 자연환경의 영향으로 언어전승과 민간신앙, 세시풍속과 민속놀이, 민요, 민속공예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문화‧예술적 가치를 지닌 전통문화자원이 풍부하게 전승되고 있다. 국가 지정 무형문화재로 관모공예 3건, 무속신앙 1건, 제주민요 1건 등 모두 5건이 지정되어 있다. 특히 제주민요는 성읍마을에서 전승되는 <오돌또기>, <산천초목>, <봉지가>, <맷돌노래> 4곡이 지정되어 있다. 제주도 지정 무형문화재는 민요 8건, 무속신앙과 굿놀이 2건, 전통주 제작기술 2건, 민속공예 5건, 민간신앙 2건, 불교의식 1건 등 총 20건이 지정되어 있다. 이 중에 민요는 농업노동요(<제주농요>, <진사대소리>, <귀리겉보리농사일소리>) 3건, 어업노동요(<해녀노래>, <멸치후리는노래>, <삼달리 어업요>) 3건, 잡역요(<방앗돌굴리는노래>) 1건, 제주시 창민요 1건(13곡) 등 모두 8건이다. 민요가 제주도 지정 무형문화재의 40%를 차지하고 있다. 이것은 제주도 민요가 문화 예술적 가치를 지닌 전통문화자원이며, 또한 풍부하게 전승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성읍마을은 마을 자체가 국가 지정 민속자료 제188호(성읍민속마을)로 지정되어 있다. 거기다 국가 지정 중요 무형문화재 1건(제주민요), 제주도 지정 무형문화재 3건(오메기술, 고소리술, 성읍리 초가장) 등 많은 문화자원을 보유하고 있다. 성읍마을은 성읍민속마을보존회를 결성하고 정의골 민속한마당 축제와 생생문화재 사업 추진, 제주민요 정기공연, 전통문화 체험 프로그램 운영 등 다양한 문화 콘텐츠를 개발 활용하고 있다. 또한 성읍마을은 문화콘텐츠 관련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인터넷 사이트 ‘성읍민속마을’을 개설․운영하고 있다. 성읍마을은 전통문화자원을 활용하여 고부가가치를 창출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성읍마을의 사례는 무형문화재의 전승과 활용 활성화를 위한 방안 모색에 많은 것을 시사해주고 있다. 첫째, 마을 자치회에서는 민속보존회를 조직하여 전승기반을 확보한다. 둘째, 전문가 집단에서는 전통문화자원에 대한 자료를 구축하고 문화원형에 대한 연구를 한다. 셋째, 민속보존회 및 기획자는 살아있는 문화를 만들어가는 문화사업 운영, 문화상품으로서 문화콘텐츠 개발, 전통문화축제 개최 등 다각도의 활용을 위해 노력한다. 넷째, 문화재 담당기관은 무형문화재 기능보유자, 또는 민속보존회장 등을 대상으로 전문적인 소양교육을 실시한다. 특히 전통문화 자원을 문화상품으로 활용하는 이벤트로서 지역문화축제의 개최는 앞으로 관광산업과 연계하여 계속 추진되어야 할 가치 있는 활용 방안임에 틀림없다. 남은 과제는 전통문화 축제나 생생 문화재 사업, 문화콘텐츠 개발 등이 전통문화의 활발한 전승과 지역경제의 활성화에 기여하는 방향으로 순기능을 할 수 있도록 제도적으로 지원하는 것이다.v In this era of cultural industry, it is very important to utilize traditional cultural resources. This study focuses on observing characters and meaning of traditional cultural resources of Jeju, and suggests how to promote the resources by giving an example of Seongeup Folk Village. The natural circumstance of Jeju, being an island isolated from mainland, helped its various traditional cultural resources to be preserved, including dialect, folk beliefs, seasonal customs, folk plays, songs, craft arts, etc. Five Jeju traditional cultural resources-three weaved hat crafts, one local shamanism, and one folk song set-were designated as National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Especially, “Odolttogi”, “Sancheonchomok”, “Bongjiga”, and “Maetdolnorae-Stone grinder song,” are four Jeju folk song sets which were passed down in Seongeup folk village and listed as National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as well. In addition, total 20 cultural resources were listed as Jeju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eight folk songs, two shamanism and exorcisms, one brewing skill, five traditional handcrafts, two shamanisms, one Buddhist ritual. and eight folk songs. Eight folk songs consists of three farmer’s labor songs(“Jeju-nongyo-Jeju farmer’s song,” “Jinsadaesori-Woman’s field labor song,” “Gwiri Geotbori Nongsail Sori-Gwiri hulled barley labor song”), three fisherman’s labor songs(“Haenyenorae-Woman diver’s song,” “Myeolchihurineunnorae-Anchovy net hauling song,” “Samdalri Eoeopyo-Samdal-ri Fishing Songs”), one labor folksong(“Bangatdolgul lineunnorae-Millstone Song”), and one Jeju-si Changminyo(Popular Folksong) set(13 songs). Forty percent of Jeju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are folk songs, which implies that Jeju folk songs are abundantly inherited cultural resources and have cultural and artistic values. Seongeup Folk Village itself is designated as National Folklore Materials No. 188. Also, the village has one State-designated Intangible Property(Jeju folk song), three Province-designated Intangible Properties(“Omegisul-millet liquer”, “Gosorisul-distilled liquer”, “Seongeup-ri Chogajang-Thatched-roof House Artisans”), etc. To promote its heritage, the village established Seongeup Folk Village Conservation Committee and runs various initiatives to develop and utilize its cultural contents such as Jeongui-gol Folk Festival, Saengsaeng Cultural Resource Promotion, Jeju Folk Song Performances, Traditional Culture Experience Program, etc. Also the village provides the Internet website called “Seongeupminsokmaeul(http://seongeup.seogwipo.go.kr)” to share its culture contents related information. As we can see, the village is creating high value businesses utilizing its heritage. The case of Seongeup Folk Village shows a way for utilization and transmission of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First, the self-governing organization of Songeup Folk Village establishes its tradition conservation committee and builds a stepping stone for passing down its heritage. Second, a group of experts builds a database of traditional cultural resources and studies further to find the origin of its culture. Third, the committee and promoter bring its utmost to utilize its heritage in diverse ways such as culture business operation, contents development, festivals and so forth. Fourth, cultural heritage management related government agencies provide professional level trainings for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nd folklore conservation committee. In particular, one of the most effective ways to utilize cultural heritages is to host local culture festivals which promote its traditional cultural resources as valuable products, in connection with tourism business. Remaining task is to support all these efforts to boost local economy and transmit traditional culture.

      • KCI등재

        다문화사회에서의 ‘한국 전통음악’의 역할

        최성환(Sung-hwan Choi),이진아(Jin-a Lee) 중앙대학교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2012 다문화콘텐츠연구 Vol.0 No.12

        이 연구는 다문화사회에서 개방적인 정체성 확립을 위한 ‘한국 전통음악’의 역할에 대한 고찰이다. 우리는 다문화사회에 직면하여 과거 혈연중심의 단일민족주의와 서구문화에 대한 편향적 태도에서 벗어나 다원주의적 입장에서 세계를 인식하고, 다인종?다문화 세계에 살아갈 청소년 세대들을 위한 새로운 다문화 교육이 요청되고 있다. 음악을 포함한 문화예술 활동은 다양한 문화적 유산과 자원이 서로 평등하게 공존하고 소통할 수 있으며, 다양성이 인정되고 실현될 수 있는 연결고리로 작용할 수 있다. 레비스트로스(Levi-Strauss)는 “다양성이 없이는 인류가 진정으로 살아갈 수 없다”고 지적하였다. 우리는 다문화사회에서 여러 문화의 다양성을 보존해야 한다. 또한 민족 전통 속의 정체성과 잠재력을 북돋워 특수성을 유지하면서 타문화와 교류하여 새로운 문화를 창조해야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문화예술활동은 다문화 사회에서 타문화의 이해와 공존을 위한 가장 자연스럽고, 쉽게 융화될 수 있는 효과적인 활동이다. 그동안 한국 다문화교육에서는 문화예술활동에 대한 지원이나 구체적 방법론 보다는 다른 활동에 관심을 기울였다. 특히 음악교육부분에서는 우리문화의 정체성 확립을 연관된 한국 전통음악에 대한 내용은 부족하였다. 무조건적 동화를 지향하는 한국 전통음악교육이 아니라 한국의 다문화사회에서 사회의 통합, 소통을 위한 한국 전통음악을 포함한 음악교육과정이 필요하며, 교과서에 충분히 반영시키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과 다문화사회에서의 한국 전통음악의 역할에 대한 재인식이 요구된다. 또한 우리의 고유한 사회적 배경과 한계를 분명하게 인식하고 ‘한국 전통음악’의 정체성을 확립함과 동시에 시대흐름에 맞는 음악을 추구하는 문화교육’의 가능성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이 글은 먼저 문화예술교육의 위상과 한국의 다문화교육의 한계점을 살펴본 다음, 문화의 본질과 관련된 음악교육의 필요성과 우리의 정체성과 관련된 ‘한국 전통음악’교육의 필요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미래의 전망과 더불어 한국 전통음악의 아시아음악과의 혼융을 통한 다문화사회에서의 음악의 역할과 한국 전통음악의 다문화교육콘텐츠의 방향성을 제시하려한다. 한국 전통음악은 다문화사회에서 다른 문화권의 음악과 함께 이해되고 발전시켜야 그 가치를 인정받게 될 것이다. 따라서 단순히 한국 전통음악을 소개하고 교육하는 것에서 끝나지 않고, 전통음악의 정체성을 지키면서 넓게는 아시아음악과의 혼융을 통해 새로운 문화예술교육의 방향이 모색되어야 한다. 또한 세계화라는 불가피한 변화 속에서 한국 전통음악을 활성화시킬 수 있는 ‘한국 전통음악(교육)의 콘텐츠화’ 작업이 절실하게 필요하다. This study is about the role of ‘Korean traditional music for the establishment of open identity at multi-cultural society. Facing on the multi-cultural society we need to be free from deflective attitude about Western culture and nationalism and recognize the world from the position of multiculturalism. So new multi-cultural education for the youth generation who will live in the multi-racial?multi-cultural world is required. Culture, art and music could naturally occupy as the tool of communication between various cultural heritage and resources co-exist without discrimination. Levi-Strauss claimed that human race cannot truly live without diversity. We should preserve diversity of various cultures in multi-cultural society. Also by encouraging potential and identity for their uniqueness within ethnic tradition, we should create a new culture interchanging of various culture. In the multi-cultural society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in the meantime did not have enough contents which are required for the establishment of open identity of our culture. Music education course for the communication and unity of society is in need and Korean traditional music in multi-culture is also essential. Additionally more detailed methods to reflect enough in the textbook and Korean traditional music’s directivity in multi-cultural society are necessary. This study attempts to look very closely at the status of culture, education of arts and the limitation of Korea’s multi-cultural education, Second, it proposes the necessity of the music education that’s related to essence of a culture and our identity in ‘Korean traditional music’. Lastly, the study suggests the role of music in multi-cultural society through combination of Korean traditional music and Asian music together with the brightness of future and directivity of multi-cultural education content of Korean traditional music. Korean traditional music will be worthy when it is understood and developed together with music of other culture in multi-cultural society. Furthermore by accepting education theory of multiculturalism the introduction of Korean traditional music and education must be considered so that the significance of culture art education where the coadaptation of traditional music of multi-cultural society can be done systematically with keeping the identity of traditional music. Making contents for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is also very important in Korean music market of the flow of globalization.

      • 문화콘텐츠 소재로서의 판소리 정책적 지원 방안 연구

        박병호 한국문화콘텐츠학회 2009 문화예술콘텐츠 Vol.- No.3

        ‘PanSori’s unique epic, musical and dramatic elements have been transferred to and influenced many different genres. As a Korean traditional form of art, it should be preserved for its own sake by Korean people, but it is not easy for the Korean public to have chances to enjoy the original PanSori. Hence, regarding experiences on PanSori, many people usually think of movies involving PanSori such as ‘서편제’ or PanSori stories adapted for nursery tales, plays and movies like ‘Simcheongjeon,’ ‘Heungbujeon’ and ‘Chunhyangjeon’. The year 2001 saw huge worldwide successes of ‘The Lord of the rings’ and ‘Harry Potter.’ Originating from an old English fantasy novel, the movie, ‘The Lord of the Rings’ earned New Zealand a fortune making the shooting sites famous to tourists, and ‘Harry Potter’ showed the strength of the Britain’s entertainment business in terms of storytelling. These were pleasant surprises indicating the prospects of the content-based economy. Similarly In Korea, although ‘Korean traditional subjects’ were recently highlighted as sources for the content industry and the Korea Creative Content Agency promoted digitalization of Korea’s original cultural content, PanSori was not directly related to the project. In order to make PanSori popular not only domestically but also globally, popular media in the global standard should be used effectively. In that sense, we need to seriously take the examples of ‘Ballet 심청’ and ‘춘향’ which were adapted from PanSori for ballet and praised by the foreign press. Meanwhile, needless to say, the purpose of making economic value underlies the content industry. Furthermore, for the purpose of economic value, the industry must produce fun and touching content and attract as many customers as possible. Hence, if Korea is able to spread its culture and as well as make economic profits with cultural products using PanSori, the cultural content will be an ideal example for Korea. Not every cultural product made from tradition will be successful, but regarding the current Korean cultural industry in need of fresh subjects, PanSori of many interesting and well-known subjects is complementary enough to the industry. Tradition should be preserved and developed further for a country’s artistic and cultural objectives. Moreover, beyond the artistic and cultural value, if the tradition can be shared by a larger public and eventually contributes to generatingeconomic value, the existing government policies for tradition may need to apply different approaches. There are many domestic and international examples proving the influence of culture, but what matters is carefully commercializing the culture to be economically successful. Both popularizing and commercializing traditional cultures are not simple matters. Because the probability of a market failure on cultural products is high, the Korean government has even designated the industry as a new growth engine that needs to be fostered. The US accounts for around half the entire market for the cultural industry with the help of its dominant economic power while France supports its cultural industry without stopping claiming that developing France’s own cultural industry is necessary for cultural pluralism. If Korea also continues its government-level support for creating a variety of content utilizing many traditional sources including PanSori, the country will be sure to grasp chances for transmitting its culture and generating economic value. 판소리가 지니고 있는 서사적 요소, 음악적 요소, 극적 요소로 인하여 각 특성을 활용한 다양한 장르로 계승ㆍ발전 되어왔다. 판소리는 자체로 우리의 전통문화예술이며, 소중히 보존해야할 의무도 있으나, 일반인들이 본래의 판소리를 접하고 향유하기는 현실적으로 쉽지 않다. 따라서 많은 대중들은 판소리에 대한 경험을 떠올릴 때, 명창들의 판소리 완창을 떠올리기 보다는 영화 〈서편제〉, 〈춘향전〉, 동화나 연극으로서의 〈심청전〉, 〈흥부전〉 등을 먼저 생각게 되는 경우가 많다. 2001년 〈반지의 제왕〉, 〈해리포터 시리즈〉가 전 세계적으로 돌풍을 일으킨 한해였다. 신화를 모티브로 뉴질랜드에 막대한 관광수입을 안겨준 〈반지의 제왕〉과 스토리텔링으로 영국 문화산업의 저력을 보여준 〈해리포터 시리즈〉의 성공은 콘텐츠 기반 경제의 가능성을 보여준 신선한 충격이었다. 국내에서도 ‘전통문화 소재’가 부각되어 한국문화콘텐츠진흥원의 문화원형 디지털콘텐츠화사업을 추진하였으나 판소리가 직접적으로 연계되지는 않았다. 판소리의 대중화를 넘어 글로벌화를 생각한다면 그들의 정서에 익숙한 매체를 활용하여야 효과적이다. 우리의 전통 판소리가 유니버셜발레단에 의해 〈발레 심청〉과 〈춘향〉과 발레로 재창조되어 많은 해외 언론들로부터 호평을 받을 수 있었던 것 역시 이러한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고 주목해야할 부분이다. 한편 문화콘텐츠는 경제적 가치 창출이라는 전제가 깔려 있다. 그 이면에는 가치 창출을 위해 재미와 감동을 줄 수 있는 콘텐츠를 창조하여 보다 많은 향유층을 확보해야 한다는 당면한 과제가 있는 것이다. 우리의 전통문화예술인 판소리를 활용하여 우리의 문화를 세계에 알리고 경제적 이윤까지 확보할 수 있다면 가장 이상적인 형태일 것이다. 물론 문화콘텐츠로 재창조 된다고 하여 모든 상품이 성공을 거두는 것은 아니지만 콘텐츠 소재발굴에 목말라 하는 문화콘텐츠산업과 보편성이 높은 콘텐츠소재를 지니고 있는 판소리가 상호 보완해야 하는 당위성은 충분하다고 하겠다. 우리의 소중한 전통을 문화예술적 관점에서 보존하고 계승 발전시켜야 하는 것은 매우 필요한 일이다. 다만 그것이 예술적 가치로서 뿐만 아니라 더 많은 대중들에게 확산되고 재화창출에도 기여할 수 있다면 정책적 지원의 관점을 달리 볼 수 있다는 것이다. 국내외 사례를 통해 문화가 갖는 파급력에 대해 이미 알고 있지만 문제는 이것을 어떻게 체계적으로 작품화 하여 성공할 수 있느냐는 것이다. 전통문화의 대중화, 문화콘텐츠산업으로의 상업적 성공 모두 간단치 않다. 시장실패의 가능성도 그 만큼 높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국가에서 문화산업을 차세대 성장동력 산업으로 육성할 분야로 정해 놓은 것이다. 미국은 거대 자본의 힘으로 문화콘텐츠산업의 절반 가까이 차지하고 있고, 프랑스의 경우 문화다원주의를 외치며 정책적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다. 우리도 판소리를 비롯한 전통자원을 충분히 활용하여 다양한 콘텐츠로 재창조 하는 정책적 지원을 지속적으로 추진한다면 문화의 전파와 경제적 부의 창출 모두 거머쥐는 날이 올 수 있으리라 확신한다.

      • KCI등재

        전통춤 디지털 콘텐츠에 관한 문화예술정책 연구

        김지원(Ji-Won Kim),류지성(Ji-Sung Rhyu) 한국콘텐츠학회 2012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2 No.9

        세계적으로 한류 붐이 일면서 한국문화가 세계의 중심에 자리잡고 있는데 이로 인해 생겨난 부가가치는 측정하기 어려울 정도로 크다. 이에 따라 한국 전통춤의 원형을 보존하는 일과 디지털 콘텐츠화 작업은 정부만의 일에 그치지 않고 막대한 부가가치 가능성 때문에 문화산업측면에서 민간 부문이 관심을 크게 기울이고 있다. 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콘텐츠 개발이 시급하기는 하나 한국 전통 춤의 원형의 가치를 확립하는 일이 선행되어야 한다. 대중은 문화적 가치를 재발견하는데 있어서 적극적 역할을 해야 하며 한국인의 정체성을 대표하는 전통 춤은 체계적인 예술정책의 대상이 되어야 한다. 이 논문은 전통춤 디지털 콘텐츠 개발의 실태를 점검해보고자 한다. 또한 문화원형을 보존하는 것이 지닌 현대적 가치를 재조명해봄으로써 가까운 미래의 문화예술정책의 방향에 관해 제언하고자 한다. 연구를 통해 전통춤의 원형에 관한 전문 인력이 부족한 점과, 역사적 고증 절차의 신뢰성을 점검해야할 필요가 있음을 확인했다. 산학협력단의 협동과제와 전문 인력 배치에도 불구하고 민간 기업이 인력을 양성할 수 있는 정책적 지원은 여전히 미흡한 실정이다. 즉 인력 양성과 자원 배분, 예산 확보, 민간 분야와 개인의 협력 증진, 민간 기업의 산업적 차원에서의 관심은 부족하다. 이는 문화 원형이 즉각 수입을 창출해주는 비즈니스가 아니기 때문이다. 따라서 비즈니스 지향적인 회사가 전통춤을 불가피한 요소로 인식하는 경우도 없으며 그러한 시도도 아직 없다. 이를 위해서는 콘텐츠 개발이라는 하드웨어적인 정량적 정책보다 대중의 소통과 참여와 나눔을 통해 문화수요를 촉진하는 소프트웨어적 정책이 우선 추진되어야 한다. 이를 통해 전통춤의 가치에 대한 자연스런 인식 변화를 유발할 수 있다. 이러한 정책을 통해 전통춤은 문화의 창조적 보고로서, 또한 경제적 가치를 만들어내는 공공산업으로 새롭게 인식될 것이다. It is the time of the Korean Wave booming throughout the world, placing Korean culture in the center of the world and its added value is unaccountable. At this prosperity, the preserving of the archetype of Korean dancing and digital contents making is becoming a task not only for the government but also for the private sector because culture industry has enormous added values. To achieve such goals, contents development is an urgent matter but establishing the value of the archetype of Korean traditional dancing must have priority. The public has to take an active role in rediscovering the values of traditional culture, and as the representative of Korean identity traditional dancing must be the object of a systematic art policy. This study will review the current status of ‘digital contents program of the archetype of culture’ for traditional dancing and will reconsider the modern value of preserving the archetype of culture to make a suggestion to the direction of culture art policies in the near future. The study acknowledged the lack of technical personnel majoring in the archetype of traditional dancing and the need of reviewing the credibility of historical research procedures. Even with the studies by industry-university collaboration and positioning of specialists, effective policies that will form the foundation for private firms to train personnels is in urgent need. In other words, training personnels, allocation of resource, securing funds, policies promoting collaboration between private and individual businesses, and the commercial recognition at private firms are still far from establishing. This is due to the fact that archetype of culture is not a business that creates revenue immediately, therefore the recognition of traditional dancing as an investable item by business-oriented firms or movements are difficult to find. To overcome such situation, software oriented policies that establish open communication and sharing with the public should be done at first rather than the quantity oriented hardware policies of contents development. Through this process the public can change the attitude on traditional dancing and traditional dancing could be newly recognized as a creative repository of culture and as public businesses giving birth to economic valu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