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토지』에 나타난 대칭성과 비대칭성

        권유리야(Kwon, Juria) 국어국문학회 2015 국어국문학 Vol.- No.172

        본고는 『토지』가 구현하는 세계를 ‘전체세계’의 개념으로 요약한다. 전체세계는 특정할 수 있는 구체성의 세계가 아니라, 인격성과 비인격성 등 한 세계가 존재하기 위해 필요한 모든 요소의 총합이다. 즉 어느 특정한 힘에 의해 좌우되는 일(一)의 원리가 아니라, 내부의 다양한 힘들의 상호충돌을 통해서 스스로 운행을 이어가는 자족적이고 자발적이고 완전한 공간이다. 이때 전체세계는 내부의 에너지가 순환할 수 있도록, 모든 영역이 불안전한 상태에서 충돌하는 다(多)의 원리를 존재론적 속성으로 갖는다. 다(多)의 원리를 구현하는 기제가 바로 ‘대칭성’이다. 대칭성은 완벽하게 균형이 맞추어진 상태가 아니다. 균형을 맞추기 위하여 에너지들이 한 쪽에서 다른 쪽으로 움직이는 과정 자체가 대칭성이다. 이 대칭성 속에는 포괄할 수 없는 양극단을 포괄하는 전체성, 그리고 이 극단을 끊임없이 오가면서 만들어내는 운동성의 개념이 내재해 있다. 본고는 이 대칭성의 개념으로 『토지』에서 벌어지는 역병과 아귀적인 탐욕, 그리고 불륜과 소문을 신의 부재가 아니라 오히려 신의 의지가 적극적으로 개입하는 대칭성의 성취로 평가한다. 그리하여 본고는 『토지』를 ‘대칭성에서 비대칭성으로 회귀하는 과정’의 대서사로 규정한다. 이를 위해 대칭성을 신화적 대칭성과 야생적 대칭성으로 나누어 고찰한다. ‘신화적 대칭성’은 ‘역병 탐욕’과 같은 ‘비인격적 요소가 세계 구성의 주체’로 기능한다는 점을 포착한다. 세계는 인간만이 구성하는 것이 아니며, 비인격적인 힘도 인간의 힘과 동일한 가치로 전체세계를 움직이는 동력이라는 사실을 신화적 대칭성의 개념으로 연구한다. 신화적 대칭성이 전체세계의 구성주체를 거시적 입장에서 논의한 것이라면, ‘야생적 대칭성’은 불륜남녀의 미시적 관계 속에서 야생적 사유가 내재함을 고찰한다. 세계는 존재의 불충분성에 의해서 에너지의 순환이 시작된다는 점을 ‘파격적인 불륜관계’와 그리고 이 불륜의 이야기를 다양하게 퍼트리는 ‘소문’의 다의성을 통해 확인한다. 불륜과 소문의 내부에는 정체를 확정할 수 없는 결핍과 잉여의 특징이 이율배반적으로 내재해 있는데, 이를 통해 세계가 새롭게 균형을 잡아나가는 야생적 대칭성이 구현된다는 점을 고찰한다. 그러나 아쉽게도 『토지』의 이러한 성취는 소설 후반부로 가면서 ‘합법성과 공적자아 만들기’에 몰두하면서 그간 쌓아올렸던 대칭성이 좌절되어 비대칭성의 상태로 회귀하는 한계를 밝혔다. 이런 한계에도 불구하고 『토지』가 세계가 신화적 야생적 대칭성의 관점을 보여준 의미는 적지 않다. 서사의 내적 지형을 인간적 개념에서 전체세계의 개념으로 확장하고, 세계에서 벌어지는 수많은 혼란을 비정상이 아니라, 지극히 정상적인 세계 운행의 원리로 보고 있는 것은 분명 『토지』가 보여준 심도 있는 발견이다. 전체의 시선으로 보면 세계는 언제나 완전하고 자족적인 대칭성의 세계라는 것을 보여준 『토지』의 가치는 크다. This paper did not viewed Land which has a revulsionary ages background as the age of snafu which the god is absent but rather as the age of symmetry which the god actively try to intervene and balance. Thus finding chance of symmetry in the chaos and Land going back to the asymmetry because of legality, symmetry is discussed with frustrated process. With reference to symmetry, disease like cholera is symbolized with Family of Choe Champan and it becomes a chance, which realigns whole world, of a mythical symmetry. Human society has a chance which turns a stable asymmetry into a unstable feral symmetry through rumor and affair. But in the latter half, characters are absorbed in making public ego and they seek no longer symmetry. This is losing the former wild view which looks at the world because Land has aim, reconciliation and forgivenness and because the world is narrow with human ethics, only national and love. Finally, Land doesn’t stick to a symmetrica will which gives body to the world which is alive squirmingly, to one’s regret, in the latter half, it ends by textbook symmetrica enlightenment which assure only human ethical value. Despite of this limitation, Land gives many meaning which presents the point of view of symmetry of myth and wildness which are conducted without any required by ethical value which the world and human society defines. The principle which operates the world is not a human code of ethics but mobile energy which flows from surplus to lack. Partially, while is description of surplus or lack, if you see it with entire view, discovery that the world is always flowing towardes symmetry is important. Without nation, when time of a sudden change comes, the view that a mythical and wild energe of symmetry is erupted willbe possible because of Land.

      • KCI등재

        키르케고르의 자아개념을 통한 포스터모더니즘의 자아관에 대한 비판

        이명곤 대한철학회 2020 哲學硏究 Vol.153 No.-

        In general, the common problem consciousness of the postmodern philosophers was to restore the dignity and freedom of each individual who was buried in a collective and totalized society. Adorno urged the individual to be separated from the totalized society with critical reason. Levinas understood that an individual's self-identity is given from relations, and therefore insisted on giving up the pursuit of ontology and making ethics the first philosophy, which implies an exploration of relations. Derrida's case emphasized a kind of tolerance, which recognizes differences focusing on the differánce between human concepts. And Foucault thought that social structure was the measure of truth because he regarded human nature itself as 'freedom' and that the regulation of man and the worldview of an age dependant on 'acceptance from the public'. Foucault therefore stressed the need to create a new social order through the solidarity of the masses against the totalitarian forces that oppress the masses. Kierkegaard's ideas share the problem consciousness of postmodernism, but they are completely different in their solutions. From Kierkegaard's point of view, the common error of Postmodernism is that the rule of self or the establishment of self is excluded. For Kierkegaard, the essential characteristic of the human mind is the ability to reflect. And when humans try to reflect on themselves, what can't be denied is that they have a relationship with the ‘beyond one (God).’ When it is so defined as the ground of one's being, it becomes the true self, the individual of true meaning. In order for human moral conduct, meaning autonomy, to be effective, we must start with the question of self (self-identity or self-identity). Thus, it is a limitation of Postmodernism to ask for moral orders without establishing true self-identity. 일반적으로 포스터모더니즘의 철학자들이 가진 공통된 문제의식은 집단화되고 전체화된 사회에 매몰되어 버린 개인 각자의 존엄성과 자유를 회복하는 것이었다. 아도르노는 개인이 비판적인 사유를 가지고 전체화된 사회로부터 분리될 것을 촉구하였다. 레비나스는 한 개별자의 자기 동일성이 관계성으로부터 주어지는 것으로 보았고, 따라서 존재론에 대한 추구를 포기하고 관계성에 대한 탐구를 의미하는 윤리학을 제일철학으로 삼아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데리다의 경우는 인간이 사용하는 개념들의 ‘차연’에 주안점을 두고 다름과 차이를 인정하는 일종의 ‘똘레랑스’를 강조하였다. 그리고 푸코는 인간의 본질 그 자체를 ‘자유’로 보았고 한 시대의 인간에 대한 규정과 세계관은 곧 ‘대중으로부터의 수용’에 달려 있다고 보았기 때문에 사회구조가 곧 진리의 척도라고 생각하였다. 따라서 푸코는 대중을 억압하는 전체주의적 힘에 맞서 대중들의 연대를 통한 새로운 사회질서를 창출하여야 함을 역설하였다. 키르케고르의 사상에서도 포스터모더니즘이 가진 문제의식을 공유하고 있지만 그 해결책에 있어서는 전혀 방향을 달리하고 있다. 키르케고르의 관점에서 포스터모던이즘이 가진 공통적인 오류는 자아의 규정 혹은 자아의 확립이 배제되어 있다는 점이다. 키르케고르에게 있어서 인간 정신의 본질적인 특성은 ‘반성의 능력’으로 인간이 자기 자신에 대해서 반성을 시도할 때 부정할 수 없는 사실은 ‘자신을 넘어서는 자(무한자)’와 관계를 가지고 있다는 점이다. 바로 이 무한자를 마치 자신의 존재의 지반처럼 그렇게 규정할 때, 참된 자기 즉 진정한 의미의 개별자가 되는 것이다. ‘자율성’을 의미하는 인간의 도덕적 행위가 효력을 가지기 위해서는 ‘나는 누구인가’하는 자아(자기정체성 혹은 자기동일성)의 문제로부터 출발 할 때이다. 따라서 참된 자기 동일성(자아)을 확립하는 것 없이 도덕적인 명령을 요청하는 것이 포스터모더니즘이 가진 한계점이라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텍스트 이해의 전체성과 동일성 비판- 레비나스의 타자 개념을 토대로 -

        김도남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18 한국초등국어교육 Vol.65 No.-

        This discussion is to criticize the oriented of totality and sameness of text understanding from the viewpoint of Levinas’ other philosophy. And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infinity orientation. The totality orientation of text understanding presupposes that the text contains an objective main idea. This objective main idea is found by text experts using rational thinking and scientific methods. The reader seeks to identify this objective main idea in the text. So all readers should share the objective main idea of the text. On the other hand, the oriented of sameness of text understanding seems to construct meaning by using background knowledge. The meaning that the reader composes is similarly repeated between texts as a function of background knowledge. So people think that it is necessary for the reader to construct individual subjective meanings. There is no consideration of the others in the totality orientation and sameness orientation of these text understanding. These oriented readers can not communicate with the text-other. The reader-self can aim for infinity when communicating with the text-other. This is because the text other implies infinite attributes. The reader-self can internalize the content of the other’s consciousness in the process of communicating with the text-other’s and change as a result. To this end, the reader should invite a text-other in his mind to exchange communication contents. This allows the reader to change the self and achieve the essential expectation of reading. It is necessary to specify the method so that the reader’s understanding of the text can be directed toward this infinity. 이 논의는 레비나스의 타자 철학 관점에서 독자의 텍스트 이해에 대한 전체성 지향과 동일성 지향을 비판하고, 무한성 지향의 가능성을 탐구하기 위한 것이다. 텍스트 이해의 전체성 지향은 텍스트에는 객관적 주제가 들어있다고 전제한다. 이 객관적 주제는 전문 가가 이성적 사고와 과학적인 방법을 활용하여 찾아낸다. 독자는 텍스트에서 이 객관적 주제를 확인하려고 한다. 그리고 독자는 텍스트의 객관적 주제를 다른 독자와 공유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한편 텍스트 이해의 동일성 지향은 독자는 배경지식을 활용하여 의미를 구성한다고 본다. 독자가 구성하는 의미는 배경지식의 작용으로 텍스트 간에 유사하게 반복된다. 그래서 독자는 개별적으로 주관적 의미를 구성해야 한다고 본다. 이들 텍스트 이해의 전체성 지향과 동일성 지향은 타자에 대한 고려가 없다. 이들 지향에서는 독자 자아가 텍스트 타자와 소통하지 않는다. 독자 자아는 텍스트 타자와 소통을 할때 무한성을 지향할 수 있다. 텍스트 타자가 무한적 속성을 함축하고 있기 때문이다. 독자 자아는 텍스트 타자와 소통하는 과정에서 타자의 의식내용을 내면화하고, 그 결과 로써 변화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독자는 마음속에 텍스트 타자를 초대하여 의식내용을 교환하는 소통 활동을 해야 한다. 이로써 독자는 자아를 변화시켜 읽기에 대한 본질적 기대를 성취하게 된다. 독자의 텍스트 이해가 이 무한성을 지향할 수 있도록 그 접근 방법을 구체화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특집논문 : 생태학적 자아의 정립과 생태학적 감수성 증진을 위한 교육

        노희정 ( Hui Jeong Noh ) 한국환경철학회 2013 환경철학 Vol.0 No.16

        본 글은 생태학적 자아의 정립과 생태학적 감수성의 증진을 위한 교육 방안에 대해 탐색한 것이다. 오늘날의 생태학적 위기는 세계관의 문제임과 동시에 생태학적 감수성의 문제와도 관련이 있기 때문에 우리는 이를 극복하기 위해 생태친화적인 생태학적 자아를 정립함과 동시에 생태학적 감수성을 증진하는 데 진력해야 한다. 전체론적 세계관을 바탕으로 하는 생태학적 자아는 무한한 생태학적 상상력을 발휘하여 자연에 대해 인지적ㆍ정서적으로 민감하게 반응하며 자연의 아름다움과 신비로움을 식별할 수 있다는 점에서 생태학적 감수성을 지닌 자아다. 생태학적 감수성을 증진하는 교육은 생태학적 상상력을 키우는 교육, 생명을 사랑하고 존중하는 태도를 기르는 교육, 공감적 의식과 이해를 고양하는 교육, 심미적 감수성을 증진하는 교육을 지향하며, 이러한 생태학적 감수성을 증진하는 데는 서사적 접근 방법과 자연체험 학습 방법이 가장 적합하다. 이 두 가지 교수학습 방법은 인간과 자연의 유기적 관계, 과정과 맥락, 직접적이고 감각적인 자연체험을 중시한다는 점에서 생태학적 감수성 증진에 적합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생태학적 감수성의 증진 교육은 자연친화적인 태도와 자연의 아름다움을 평가할 수 있는 능력을 길러주고, 궁극적으로는 인간 사회의 발전과 지구공동체의 보전에 크게 이바지할 것이다. This paper explores the establishment of ecological self and education for promoting ecological sensitivity. We must establish the ecological self, and promote ecological sensitivity in order to solve this current ecological crises, because ecological crises are matters of worldview and issues related to ecological sensitivity. An ecological self based on holistic worldview has ecological sensitivity, in that ecological self can present imaginations, have a cognitively and emotionally sensitive responses about nature, and appreciate the beauty and mistery of nature. Education for promoting ecological sensitivity aims at promoting an ecological imagination, an attitude of love and respect about life, empathetic consciousness and understanding, and aesthetic sensitivity. And the most appropriat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in these educations are the narrative and nature learning experience. These approaches focus on organic relationships between man and nature, processes and contexts, and direct, sensual experiences in nature. Therefore, education for promoting ecological sensitivity will cultivate the nature-friendly attitude and capacity of aesthetic appreciation about nature, ultimately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human society and preservation of global community.

      • KCI등재

        모니카 마론의 막간극에 나타난 주인공의 정체성 찾기 - 주인공의 회상을 중심으로

        이소림 한국독일어문학회 2022 독일어문학 Vol.97 No.-

        Diese Abhandlung untersucht den Prozess, in dem die Protagonistin von Zwischenspiel, die den Verlust und die Abspaltung der Identität erreicht hat, durch die Erinnerung allmählich das “ganze Ich” findet. Die Protagonistin vergisst die schwierige Vergangenheit oder lebt mit einem in 1/2, 1/4 oder 1/6 abgespaltenen Ich, aber sie überwindet die Wunden der Vergangenheit und findet ihre Gesamtidentität, indem sie sich auf die Suche nach verblichenen Erinnerungen begibt. Zunächst wird untersucht, dass der Zugang der Protagonistin zur Erinnerung eng mit der Identitätsbildung zusammenhängt. Es wird dadurch beleuchtet, warum sich dieser Prozess im Zwischenspiel abspielt und was die räumliche und zeitliche Bedeutung des Zwischenspiels ist. Das Zwischenspiel ist ein Minderwertigkeitsraum im dichotomen Sinne, aber auch ein antinomischer Raum, in dem die dort stehende Person zum Subjekt wird, wenn sie in die Raumzeit eintritt. Das sich hier entfaltende Erinnerungsspiel kann also zum gegenwärtigen Leben werden. Dieses Paradox der Erinnerung ist das Thema dieses Romans. Dies ist das originale Thema dieses Werks, das andererseits das Problem der Trennung und Integration der beiden Welten der Realität und der Fantasie als Marons langjähriges literarisches Thema erbt. In diesem Werk ist zu sehen, dass die Erinnerung eine neue Lebensweise wird, die vergangene Ereignisse vom gegenwärtigen Zeitpunkt aus neu beleuchtet und die Protagonistin dazu bringt, diese souverän zu überwinden. Die wichtige Bedeutung dieser Abhandlung besteht in dem Rückblick auf die Narration eines Menschen, indem sie eine Ostdeutsche beleuchtet, die einerseits ins Alter eingetreten ist, andererseits die Wunden der Vergangenheit überwindet und sich davon distanziert. 본 논문은 모니카 마론의 막간극에서 주인공이 전체 자아라는 정체성을 찾아 나가는 과정을회상이라는 기제를 통해 분석한다. 주인공은 힘들었던 과거를 망각하거나 1/2. 1/4. 또는 1/6로분리된 자아로 살고 있었으나, 잊힌 기억을 회상함으로써 과거의 상처를 극복하고 총체적인 정체성을 찾아간다. 이로써 주인공은 과거와 화해하는 새로운 자아로 변화한다. 이 논문은 회상이 왜 막간극에서 펼쳐지는지를 파악하기 위해 우선 막간극의 시공간적 의미를살펴본다. 막간극은 이분법적 의미에서 열세에 속하는 공간이지만, 막상 그 시공간에 들어서면그곳에 서 있는 자가 주체가 되는 이율배반적인 공간이다. 소설에서 묘사된 회상도 동일한 기능을 담당한다. 회상의 유희는 현재의 삶이 될 수 있으며 이러한 회상의 역설이 이 소설의 주제이다. 이는 마론의 오랜 문학적 주제인 현실과 환상의 두 세계의 분리와 통합에 대한 문제를 계승하면서도 독창적인 이 작품만의 특징이다. 마론의 슬픈짐승과 같은 이전의 소설에서 전략적인 망각이 주제였다면, 이 작품에서 회상은과거의 사건을 현재의 시점에서 재조명하여 주인공이 당당하게 그 사건을 이겨내도록 하는 새로운 삶의 방식이 된다. 이 논문은 한편으로는 노년 진입기에 들어선 한 인간을, 또 다른 한편으로는 과거에 대한 상처를 극복하고 초연해지는 동독인을 조명함으로써, 한 인간에 대한 서사를되짚어 보는 데 함의가 클 것이다.

      • KCI등재

        사회적 네트워크 발견을 위한 이름생성기 문항 개발: 전화번호 끝 네 자리 숫자를 이용한 고유번호 부여 방법

        설동훈 ( Dong-hoon Seol ),고재훈 ( Jae-hun Ko ) 한국조사연구학회 2021 조사연구 Vol.22 No.1

        사회과학자들은 일상생활의 맥락에서 개인의 사회적 네트워크를 측정해 왔다. 조사연구에서 활용되는 그 측정도구 중 하나가 ‘이름생성기’(name generator)다. 이 논문에서는 이름생성기가 어떻게 개발되었는지, 그것이 프랑스·터키·한국 등 비영어권 사회로 어떻게 번역되어 확산되었는지를 살핀다. 이름생성기 문항의 혁신 방안으로 ‘전화번호 끝 네 자리 숫자를 이용한 고유번호 부여 방법’을 제안한다. 이 방법은 특정인을 식별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동시에 ‘전화번호 끝 네 자리 숫자’를 공유하는 다른 사람들을 동일인으로 간주하는 오류, 즉 ‘고유번호 중복 오류’(β error) 가능성을 내포한다. 그래서 ‘이름해석기’(name interpreters)로 알려진 문항들을 추가하여 고유번호를 재구성하면 그 오류 가능성을 현저히 낮출 수 있다. 동시에, 전화번호 끝 네 자리 숫자를 이용해 고유번호를 부여하는 방식의 이름생성기와 이름해석기를 이용해 응답자의 사회적 관계를 측정한 전수조사 자료는 사회적 네트워크 자료로 쉽게 변환할 수 있다. 그 결과, ‘자아중심적 네트워크’뿐 아니라 ‘전체 네트워크’과 ‘개별 네트워크’도 발견할 수 있다. Social scientists have measured the social networks by individuals in the context of everyday life. One of the best measurement tools is ‘name generator’. In this paper, we examine how the name generator was developed, and how it was translated and spread to non-English speaking societies such as France, Turkey, and South Korea. As an innovation for the name generator survey questions, we propose a method of assigning a identification number using the last four digits of the phone number. This method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identify a specific person easily, but at the same time, it contains the possibility of an error of considering other people who share the last four digits of the phone number as the same person, that is, a ‘β error’. So, adding ‘name interpreters’ survey questions and reconstructing identification numbers, the possibility of that error can be significantly reduced. The complete enumeration survey data, which measures the social relationship of respondents by name generators and interpreters using the method of assigning identification numbers with the last four digits of the phone numbers, are easily transformed to social network data.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analyze not only ego-centered network, but also whole network and individual network.

      • KCI등재

        성장담에서의 “3의 법칙” -이강백의 희곡 <동지섣달 꽃 본 듯이>

        김만수 ( Man Su Kim ) 국제비교한국학회 2015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Vol.23 No.2

        본고는 이강백의 희곡 <동지섣달 꽃 본 듯이>를 성장담의 관점에서 읽고자 했다. 이 작품은 ‘3의 법칙’에 입각하여 세 명의 인물이 세개의 시련을 거쳐 자신의 최종 목적지인 ‘어머니 찾기’의 과제에 도달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는 아직 미성숙의 단계에 머물러 있는 셋째 아이가 첫째, 둘째를 극복하고 훌륭한 영웅으로 성장하는 성장담에 속하는 것이며, 이는 영국 민담 <아기 돼지 삼형제>의 구조와 비슷하다. 프로이트의 용어를 빌면, 이강백의 희곡과 <아기 돼지 삼형제>에서 첫째는 초자아, 둘째는 자아, 셋째는 이드에 해당한다. 이들 성장담의 공통점은 이드에 불과했던 셋째가 의미 있는 노동을 통해 자연을 극복하고 문명에 달한다는 이야기이며, 이는 레비 스트로스가 설정한 ‘문명: 자연’의 구조와도 일치한다. 이강백의 희곡은 의미 있는 문명(노동)의 자리에 ‘연극’을 삽입함으로써, 첫째가 보이는 정치 지향성, 둘째가 보이는 관념 지향성을 극복하는 셋째의 인간적인 모습을 제시한다. 지나친 정치 지향, 지나친 관념 지향을 극복하는 셋째의 연극 행위는 지나친 잠(첫째), 지나친 폭식(둘째)을 극복하는 셋째 돼지의 이야기와 중복되면서, 미약한 존재가 위대한 영웅으로 재탄생 하는 ‘거지에서 부자로’의 플롯을 재현한다. 이제 미약한 존재는 구스타프 융의 개념을 빌면, ‘전체로서의 자기’에 도달한 셈이다. This paper focused on the structure of the growth stories, especially in surveying Gangbaek Lee(이강백)`s drama <Like Looking at the Flower in the Midwinter (동지섣달 꽃 본 듯이)>. It is structured by ‘rule of the three’. In this text, three sons go to seek their mother, they experience the tests three times. Third son wins the game because he succeeds to find his true and alternative mother. It is similar to the story of English fairy tale <Three Little Pigs>. In Freudian terms, the characters of the both texts are superego, ego and id. The core of the growth story is that third son(id) wins the first son(superego) and the second son(ego) by using his own energy(meaningful labor). In Levi Strauss’ terms, the contrast between the third and the others can be schemed the contrast between culture and nature. Lee’s drama presents the third son as the real hero who overcomes two elder brothers. The first is so conservative(oversleep), the second is so selfish(overeat). Two brothers were too political or too ideal to become a true, humanistic and warm-minded adult. In his view, ‘drama’ related to the third son is the most humanistic and warm-minded action in the world. These both stories are based on the plot ‘rags to riches’ which contains the success of the poor and powerless. In other words, the poor and weak child can grow to the true hero, and reach the final destination, according to the Gustav Jung’s expression, ‘the Self as a Whole’.

      • KCI등재

        알프레드 되블린의 보편주의적 자연철학 : 철학적 에세이 연구 Untersuchungen zu den philosophischen Essays

        한복희 한국독일언어문학회 2004 독일언어문학 Vol.0 No.24

        Alfred Dablins Natuxphilosophie gehijrt wegen ihres essayistischen CharWs der modernen, in Nietzsches Gefolgschaft stehenden Philosophie an. Daraus folgt jdoch keineswegs, dass es ihr an einer systematischen Fundierung fehlen wiirde. Denn die Naturphilosophie erNlt den Anspruch, universelle Harmonie in ihrer ge-danklichen Konstruktion widemspiegeln. Dablin jedenfds war sich der Einbettung seines Systems in nalmphilosophische Tradition bewusst, als er sich m univer-salistischen Betrachtungsweise bekannte. Hier sol1 haupts&hIich untersucht werden, welchen Platz der Universalismus als systematisches Fundament in Dliblins Naturphilosophie, wie er sie priigmnt in seinen philosophmhen Schriften, besonders in Das I& iiber der Natur (192 7) und auch in Unser hein (1933) entwickeit hat, einnimmt. Dablins Naturphilosophie nimmt den Universalismus in sich auf. Sie versucht, wissenschaftliche Beschrh-kungen zu tiberwinden und auf metaphysische Fragen, welche die Wissenschaften offen lassen mussten, nammtlich auf die Frage nach Wesen und Wert des hdividueilen, auch eine metaphysische Antwort zu geben. Daher ist der philosophische Ansatz Dabfins kein wissenschaftlich-logischer, sondem ein metaphysisch-intui-tiver. Seine naturphilosophische Auffassung vom geistigen Prinzip der Natur wird als das Wirken jener der Welt immanenten und anonymen Kraft erfasst, aus der alles Sein hervorgegangen ist, die Dliblin mit den in seiner Naturphilosophie entfalteten Begriffen Ur-Ich und Ur-Sinn zu beschreiben sucht. Erst die raum-zeitliche htmtidtAt ermtiglicht es dem Ur-Ich, sich mittels raum- und zeit-gebundener Geschijpfe in der Existenz zu individualisieren. So antworkt auf die Essenz das Individuum als empirische, in Ram und &it konkretisierte Existenz. Dablin untastreicht die Grtise und Wiirde des Individuums. Das Ich, Sttick und Gegenstiick der Natur, ist eigenWich mit der Welt verbunden, auch eigen-tiimlich isoliert; es ist in die Welt eingefugt, ihr auch entgegengestdlt Individuum und Welt stehen in einer Wechselbeziehung zueinander; die Welt durchdringt und beeinflusst das Individutrm, dim debt und mchliellt die Welt. D6blin gelangt zu einer geistgebundenen Enheit. Er deukt das Existierende organisch und versteht darunter die Manifestationen jeder Ordnung, jeder Smerung und deren Funktionszusammenhang. So schafft das Organische als auf- und abbauendes Merkmai des Ur-Ichs die Voraussetzungen fiir seine existentide Realisierung. Solcherart wird das Organische als eine M&@t des Urwesens angesehen und den Darstellungsmodi der Transzendenz zugemhnet. Die vorliegende Schrift arbeitet den universellen Charakter der Naturphilosophie Dijblins heraus. Zugleich wird deutlich, dass seine Naturphilosophie trotz ihrer Zugehorigkeit zu einer alten Tradition eine modeme Weltsicht und -deutung vermittelt. Seine Philosophie versucht, das hdividuelle mit einzubeziehen, dessen Wesen zu kennzeichnen und dem Einzelnen wie auch dem Ganzen gerecht zu werden. Dabei handelt es sich um einen erg5inzenden und zugleich mcdemen Aspekt seiner Naturphilosophle, die die menschlichen Geistes- und Vernunftkr8t.e eben nicht nur als Organe der Individuation, sondern auch als existentide Organe der Essenz zu begreifen sucht. Daher kann sich Dijblins naturphilosophisches System vor allem als ein universalistisches verstehen. Es weist sich zudem als zeitgws aus und befdigt, der Spezialisierung, welcher die modmen Natur-wissenschaften verfieielen, zu widerstehen und eine Antwort auf die Probleme unse-rer Epoche zu geben. Die Asthetik und ihre Anwendung im dichterischen Werk bedeuten filr Dijblin die Umsetzung der Naturphilosophie in den kiinstlerischen Bereich. Kunst versteht er als produktive Erkenntnis des Vexbundenseins des Menschen nit der Natur.

      • KCI등재

        노자(老子)의 내재화된 "도(道)" 범주와 칼 융(C.G.Jung)의 "자기(Self)"

        양승권 ( Seung Gueon Yang ) 동양철학연구회 2013 東洋哲學硏究 Vol.76 No.-

        이 연구는 다음과 같은 내용과 방법에 따라 수행되었다. (1) 老子의 ``道``와 칼 융(C. G. Jung)의 ``자기``(Self)는 우리의 이해를 넘어서는 초월적 구조다. 연구자는 노자의 ``無`` 개념이 융의 ``무의식`` 개념에 대응될 수 있다고 보았다. 노자에게 ``道``는 ``無``의 원리적 차원이다. 노자가 볼 때 ``道``의 실재는 인식 불가능하다. 하지만 우리는 우리 내면 깊숙이 내재 되어 있는 이 도를 잘 인식하여 현실에서 쓰임새가 있도록 해야만 한다. 이 경지는 여러 원형 상징들에 의해 은유적으로 표현된다. 노자가 언급 한 원형의 실례로는 谷神·食母·樸·영兒·등이 있다. 이는 융이 말한 원형 상징인 어린이·老賢人·어머니인 大地·자연계의 대상과 수레바퀴 등에 대응된다. 그리고 노자가 말한 여성성과 남성성의 조화는 융의 ``아니마``(Anima)와 ``아니무스``(Animus)라는 개념과 일맥이 상통한다. 융에 따르면 모든 정신현상은 서로 상반된 영역이 갈등과 통합의 과정을 거치면서 형성된다. 우리는 의식과 무의식, 남성성과 여성성, 선과 악, 아름다움과 추함, 정신과 신체, 내향성과 외향성 등 무수한 상반된 영역 사이의 갈등과 통합 속에서 살아간다. 노자에게 있어서도 無欲과 有欲, 道와 도를 잃은 것, 선함과 불선함, 남성성과 여성성, 화와 복, 영혼과 육체 등, 상반된 영역간의 대립과 종합이 잘 묘사되어 있다. 노자가 말한 ``和光同塵``은 곧 ``자기`` 실현의 기본자세다. 이 ``화광동진``에는 상반된 범주의 공존이 잘 표현되어 있다. 이런 간섭현상에 의해 노자의 ``도``와 융의 ``자기``는 정신 내에서 대극의 합일을 이루어낸다. (2) 무의식으로의 ``물러남``은 새로운 원천을 불러오는 태도다. 아울러 다시금 생기를 되찾기 위한 ``치유``를 통한 재생이다. 노자는 "근원으로 돌아가는 것이 道의 움직임"이라고 말한다. 인류사에서 보이는 수많은 전설이나 신화 또한 이러한 원형적 세계로의 물러남이 잘 표현되어 있다. 융이 말한 ``자기``의 발견과 노자의 ``復歸``는 같은 맥락을 지닌다. 융에 의하면 ``자기``는 다른 모든 원형들을 아우르는 중심적인 원형이다. 이 ``자기``란의 식과 무의식을 포함한 ``전체성``이다. 노자의 ``道`` 또한 융의 시각으로 바라보면 중심적 원형이다. 노자는 ``有無相生``을 언급하면서, 현실세계와 그 현실을 낳게 한 근원적 세계를 아울러 중시하였다. 사람으로 하여금 ``그 사람 자신``이 되게끔 하는 능력이 바로 자기원형의 기능이다. 이는 노자의 ``自然``이다. (3) 자기 자신의 원형적 세계와 조화를 이루면 이기적 욕망으로부터 초월할 수 있다. 그리고 타인의 원형성과 교류하고 조 화를 이룰 수 있다. 이는 우리의 상처받은 내면을 ``치유``하는데 도움이 된다. 이러한 인간형은 끊임없이 ``자기 변형적``이 된다. 연구자는 이 연구에서 노자 사상과 칼 융의 분석심리학을 접목하여 새로운 방법론을 창출하고자 했다. 그리고 이를 토대로 현대인의 정신적 위기에 대해 고민해 보았다. 이 작업에 의해 최종적으로는 "스스로의 존재를 배반하지 않는" 스스로의 아이덴티티에 대해 성찰해 보았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in accordance with the following contents and methods. (1) Lao-tzu`s ``truth`` and C.G.Jung`s ``Self`` are the structures beyond our understanding. The researcher considered that Lao-tzu`s ``nothing`` concept can correspond to Jung`s ``unconsciousness`` concept. From the perspective of Lao-tzu, the reality of ``truth`` is impossible to be recognized. However, by well recognizing this ``truth`` inherent in deep inside us, we must use it in reality. This stage is expressed metaphorically by several archetypal symbols. The archetype makes people view the reality where they belong reflectively. The examples of the archetype mentioned by Jung are children·old wise men·Mother Land·targets of nature and wheels etc. (These correspond to Goksin (God of valley)·Sikmo (Mother feeding all things)·Bak (Unfinished gourd)·Younga (Child)·Gok (Wheel) etc. mentioned by Lao-tzu. These archetypical symbols set by Lao-tzu have a relation with several symbols set by Jung. The harmony of femininity and masculinity mentioned by Lao-tzu has something in common with the concept of Jung`s ``Anima`` and ``Animus.`` According to Jung, all mental phenomena are formed through the course of the conflict and integration of the conflicting areas. We live in conflict and integration between numerous conflicting areas such as consciousness and unconsciousness, masculinity and femininity, good and evil, beauty and ugliness, mind and body, introversion and extraversion etc. Also for Lao-tzu, conflict and synthesis between conflicting areas are well described such as unselfishness and selfishness), truth and losing truth, good and bad, masculinity and femininity, misfortune and fortune, soul and body etc. ``Hwagwangdongjin ((the life of a wise man) mingling with the world by hiding the light of his wisdom and virtue)`` etc. mentioned by Lao-tzu are the basic attitude for ``self`` realization. The coexistence of the conflicting categories are well expressed in this Hwagwangdongjin. And incomprehensibility on Matrix that enables this coexistence is revealed well. With this interference phenomenon, Lao-tzu`s ``truth`` and Jung`s ``Self`` achieve the unity of the opposites. (2) ``Retreat`` into unconsciousness is the attitude that calls a new source. In addition, it is regeneration through ``healing`` to regain vitality again. Lao-tzu says, "Going back to the origin is the movement of truth." Such retreat to the archetypal world is well expressed in numerous legends or myths shown in human history. The discover of ``self`` mentioned by Jung and ``comeback`` of Lao-tzu have the same context. According to Jung, ``self`` is the central archetype that encompasses all other archetypes. This ``self`` is ``allness`` including consciousness and unconsciousness. From the Jung`s perspective, Lao-tzu`s ``truth`` is also central archetype. Mentioning ``Yumusangsaeng (To be and not to be create each other)``, Lao-tzu regarded both real world and the underlying world causing the reality as important. The function of self-archetype is the ability that makes a man become ``the man himself.`` This is Lao-tzu`s ``nature (it exists as it is).`` (3) By harmonizing with his own archetypical world, a person is able to transcend from selfish desires. And he can exchange and harmonize with the archetype of others. This helps to ``heal`` our wounded inner side. Such human type is constantly ``self-transformational.`` In this study, the researcher attempted to create a new methodology by combining Lao-tzu`s thought and C.G.Jung`s analytic psychology. And based on this, the researcher thought about the spiritual crisis of modern men. By this work, the researcher finally reflected his own identity "not betraying his own existence."This study was carried out in accordance with the following contents and methods. (1) Lao-tzu`s ``truth`` and C.G.Jung`s ``Self`` are the structures beyond our understanding. The researcher considered that Lao-tzu`s ``nothing`` concept can correspond to Jung`s ``unconsciousness`` concept. From the perspective of Lao-tzu, the reality of ``truth`` is impossible to be recognized. However, by well recognizing this ``truth`` inherent in deep inside us, we must use it in reality. This stage is expressed metaphorically by several archetypal symbols. The archetype makes people view the reality where they belong reflectively. The examples of the archetype mentioned by Jung are children?old wise men?Mother Land?targets of nature and wheels etc. (These correspond to Goksin (God of valley)?Sikmo (Mother feeding all things)?Bak (Unfinished gourd)?Younga (Child)?Gok (Wheel) etc. mentioned by Lao-tzu. These archetypical symbols set by Lao-tzu have a relation with several symbols set by Jung. The harmony of femininity and masculinity mentioned by Lao-tzu has something in common with the concept of Jung`s ``Anima`` and ``Animus.`` According to Jung, all mental phenomena are formed through the course of the conflict and integration of the conflicting areas. We live in conflict and integration between numerous conflicting areas such as consciousness and unconsciousness, masculinity and femininity, good and evil, beauty and ugliness, mind and body, introversion and extraversion etc. Also for Lao-tzu, conflict and synthesis between conflicting areas are well described such as unselfishness and selfishness), truth and losing truth, good and bad, masculinity and femininity, misfortune and fortune, soul and body etc. ``Hwagwangdongjin ((the life of a wise man) mingling with the world by hiding the light of his wisdom and virtue)`` etc. mentioned by Lao-tzu are the basic attitude for ``self`` realization. The coexistence of the conflicting categories are well expressed in this Hwagwangdongjin. And incomprehensibility on Matrix that enables this coexistence is revealed well. With this interference phenomenon, Lao-tzu`s ``truth`` and Jung`s ``Self`` achieve the unity of the opposites. (2) ``Retreat`` into unconsciousness is the attitude that calls a new source. In addition, it is regeneration through ``healing`` to regain vitality again. Lao-tzu says, "Going back to the origin is the movement of truth." Such retreat to the archetypal world is well expressed in numerous legends or myths shown in human history. The discover of ``self`` mentioned by Jung and ``comeback`` of Lao-tzu have the same context. According to Jung, ``self`` is the central archetype that encompasses all other archetypes. This ``self`` is ``allness`` including consciousness and unconsciousness. From the Jung`s perspective, Lao-tzu`s ``truth`` is also central archetype. Mentioning ``Yumusangsaeng (To be and not to be create each other)``, Lao-tzu regarded both real world and the underlying world causing the reality as important. The function of self-archetype is the ability that makes a man become ``the man himself.`` This is Lao-tzu`s ``nature (it exists as it is).`` (3) By harmonizing with his own archetypical world, a person is able to transcend from selfish desires. And he can exchange and harmonize with the archetype of others. This helps to ``heal`` our wounded inner side. Such human type is constantly ``self-transformational.`` In this study, the researcher attempted to create a new methodology by combining Lao-tzu`s thought and C.G.Jung`s analytic psychology. And based on this, the researcher thought about the spiritual crisis of modern men. By this work, the researcher finally reflected his own identity "not betraying his own existence."

      • KCI등재

        老子의 내재화된 ‘道’ 범주와 칼 융(C.G.Jung)의 ‘자기(Self)’

        양승권 동양철학연구회 2013 東洋哲學硏究 Vol.76 No.-

        이 연구는 다음과 같은 내용과 방법에 따라 수행되었다. (1) 老子의 ‘道’와 칼 융(C. G. Jung)의 ‘자기’(Self)는 우리의 이해를 넘어서는 초월적 구조다. 연구자는 노자의 ‘無’ 개념이 융의 ‘무의식’ 개념에 대응될 수 있다고 보았다. 노자에게 ‘道’는 ‘無’의 원리적 차원이다. 노자가 볼 때 ‘道’의 실재는 인식 불가능하다. 하지만 우리는 우리 내면 깊숙이 내재되어 있는 이 도를 잘 인식하여 현실에서 쓰임새가 있도록 해야만 한다. 이 경지는 여러 원형 상징들에 의해 은유적으로 표현된다. 노자가 언급한 원형의 실례로는 谷神⋅食母⋅樸⋅嬰兒⋅轂 등이 있다. 이는 융이 말한 원형 상징인 어린이⋅老賢人⋅어머니인 大地⋅자연계의 대상과 수레바퀴 등에 대응된다. 그리고 노자가 말한 여성성과 남성성의 조화는 융의 ‘아니마’(Anima)와 ‘아니무스’(Animus)라는 개념과 일맥이 상통한다. 융에 따르면 모든 정신현상은 서로 상반된 영역이 갈등과 통합의 과정을 거치면서 형성된다. 우리는 의식과 무의식, 남성성과 여성성, 선과 악, 아름다움과 추함, 정신과 신체, 내향성과 외향성 등 무수한 상반된 영역 사이의 갈등과 통합 속에서 살아간다. 노자에게 있어서도 無欲과 有欲, 道와 도를 잃은 것, 선함과 불선함, 남성성과 여성성, 화와 복, 영혼과 육체 등, 상반된 영역간의 대립과 종합이 잘 묘사되어 있다. 노자가 말한 ‘和光同塵’은 곧 ‘자기’ 실현의 기본자세다. 이 ‘화광동진’에는 상반된 범주의 공존이 잘 표현되어 있다. 이런 간섭현상에 의해 노자의 ‘도’와 융의 ‘자기’는 정신 내에서 대극의 합일을 이루어낸다. (2) 무의식으로의 ‘물러남’은 새로운 원천을 불러오는 태도다. 아울러 다시금 생기를 되찾기 위한 ‘치유’를 통한 재생이다. 노자는 “근원으로 돌아가는 것이 道의 움직임”이라고 말한다. 인류사에서 보이는 수많은 전설이나 신화 또한 이러한 원형적 세계로의 물러남이 잘 표현되어 있다. 융이 말한 ‘자기’의 발견과 노자의 ‘復歸’는 같은 맥락을 지닌다. 융에 의하면 ‘자기’는 다른 모든 원형들을 아우르는 중심적인 원형이다. 이 ‘자기’란 의식과 무의식을 포함한 ‘전체성’이다. 노자의 ‘道’ 또한 융의 시각으로 바라보면 중심적 원형이다. 노자는 ‘有無相生’을 언급하면서, 현실세계와 그 현실을 낳게 한 근원적 세계를 아울러 중시하였다. 사람으로 하여금 ‘그 사람 자신’이 되게끔 하는 능력이 바로 자기원형의 기능이다. 이는 노자의 ‘自然’이다. (3) 자기 자신의 원형적 세계와 조화를 이루면 이기적 욕망으로부터 초월할 수 있다. 그리고 타인의 원형성과 교류하고 조화를 이룰 수 있다. 이는 우리의 상처받은 내면을 ‘치유’하는 데 도움이 된다. 이러한 인간형은 끊임없이 ‘자기 변형적’이 된다. 연구자는 이 연구에서 노자 사상과 칼 융의 분석심리학을 접목하여 새로운 방법론을 창출하고자 했다. 그리고 이를 토대로 현대인의 정신적 위기에 대해 고민해 보았다. 이 작업에 의해 최종적으로는 “스스로의 존재를 배반하지 않는” 스스로의 아이덴티티에 대해 성찰해 보았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in accordance with the following contents and methods. (1) Lao-tzu’s ‘truth’ and C.G.Jung’s ‘Self’ are the structures beyond our understanding. The researcher considered that Lao-tzu’s ‘nothing’ concept can correspond to Jung’s ‘unconsciousness’ concept. From the perspective of Lao-tzu, the reality of ‘truth’ is impossible to be recognized. However, by well recognizing this ‘truth’ inherent in deep inside us, we must use it in reality. This stage is expressed metaphorically by several archetypal symbols. The archetype makes people view the reality where they belong reflectively. The examples of the archetype mentioned by Jung are children⋅old wise men⋅Mother Land⋅targets of nature and wheels etc. (These correspond to Goksin (God of valley)⋅Sikmo (Mother feeding all things)⋅Bak (Unfinished gourd)⋅Younga (Child)⋅Gok (Wheel) etc. mentioned by Lao-tzu. These archetypical symbols set by Lao-tzu have a relation with several symbols set by Jung. The harmony of femininity and masculinity mentioned by Lao-tzu has something in common with the concept of Jung’s ‘Anima’ and ‘Animus.’ According to Jung, all mental phenomena are formed through the course of the conflict and integration of the conflicting areas. We live in conflict and integration between numerous conflicting areas such as consciousness and unconsciousness, masculinity and femininity, good and evil, beauty and ugliness, mind and body, introversion and extraversion etc. Also for Lao-tzu, conflict and synthesis between conflicting areas are well described such as unselfishness and selfishness), truth and losing truth, good and bad, masculinity and femininity, misfortune and fortune, soul and body etc. ‘Hwagwangdongjin ((the life of a wise man) mingling with the world by hiding the light of his wisdom and virtue)’ etc. mentioned by Lao-tzu are the basic attitude for ‘self’ realization. The coexistence of the conflicting categories are well expressed in this Hwagwangdongjin. And incomprehensibility on Matrix that enables this coexistence is revealed well. With this interference phenomenon, Lao-tzu’s ‘truth’ and Jung’s ‘Self’ achieve the unity of the opposites. (2) ‘Retreat’ into unconsciousness is the attitude that calls a new source. In addition, it is regeneration through ‘healing’ to regain vitality again. Lao-tzu says, “Going back to the origin is the movement of truth.” Such retreat to the archetypal world is well expressed in numerous legends or myths shown in human history. The discover of ‘self’ mentioned by Jung and ‘comeback’ of Lao-tzu have the same context. According to Jung, ‘self’ is the central archetype that encompasses all other archetypes. This ‘self’ is ‘allness’ including consciousness and unconsciousness. From the Jung’s perspective, Lao-tzu’s ‘truth’ is also central archetype. Mentioning ‘Yumusangsaeng (To be and not to be create each other)’, Lao-tzu regarded both real world and the underlying world causing the reality as important. The function of self-archetype is the ability that makes a man become ‘the man himself.’ This is Lao-tzu’s ‘nature (it exists as it is).’ (3) By harmonizing with his own archetypical world, a person is able to transcend from selfish desires. And he can exchange and harmonize with the archetype of others. This helps to ‘heal’ our wounded inner side. Such human type is constantly ‘self-transformational.’ In this study, the researcher attempted to create a new methodology by combining Lao-tzu’s thought and C.G.Jung’s analytic psychology. And based on this, the researcher thought about the spiritual crisis of modern men. By this work, the researcher finally reflected his own identity “not betraying his own existe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