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전공만족도를 매개로 개인 및 대학재정변인이 대학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구성우,김병주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022 敎育財政 經濟硏究 Vol.31 No.4

        본 연구는 전공만족도를 매개로 개인 및 대학재정변인이 대학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은 일반대학교 대학생 9,453명이며, 한국고용정보원이 조사하고 있는 2019년 대졸자 직업이동 경로조사(2018GOMS) 자료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변인은 독립변인으로 개인특성(입학전형, 취업목표 설정, 전공 재선택시 동일전공 선택)과 대학재정(학생 1인당 교육비, 학생 1인당 교내장학금, 학생 1인당 자료구입비), 매개변인으로 전공만족도, 종속변인으로 대학생활만족도를 선정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매개변인인 전공만족도는 종속변인인 대학생활만족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전공만족도가 높을수록 대학생활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전공만족도가 대학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은 다른 변인들의 영향력 중 가장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개인특성은 전공만족도를 매개로 대학생활만족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구체적으로 취업 목표를 설정하고 동일 전공을 재선택하려는 대학생은 매개변인인 전공만족도를 통해서만 대학생활만족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개인특성 중 학생부 종합 및 교과 전형으로 입학한 학생들은 정시전형으로 입학한 학생들보다 전공만족도와 대학생활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대학재정 중 학생 1인당 교육비와 자료구입비는 전공만족도를 매개로 대학생활만족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학생 1인당 교육비와 자료구입비가 많을수록 매개변인인 전공만족도와 종속변인인 대학생활만족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넷째, 학생 1인당 교내장학금은 매개변인인 전공만족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종속변인인 대학생활만족도에는 직접적으로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즉, 학생 1인당 교내장학금이 많을수록 대학생활만족도가 낮아지는 연구 결과가 도출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전공만족도를 매개로 개인 및 대학재정변인이 대학생활만족도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논의 및 결론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의료기관 전공의의 노동법적 지위와 보호방안 검토 - 전공의 근로자성과 전공의 특별법의 문제점을 중심으로 -

        이영학 전북대학교 동북아법연구소 2017 동북아법연구 Vol.11 No.1

        이 글은 의료기관 전공의의 열악한 수련환경을 개선하고 그들의 인권을 보호할 수 있는 원칙적인 방법이 무엇인지를 모색하기 위해 작성된 글이다. 먼저, 전공의 수련제도의 일반적인 내용과 보호의 필요성에 대해 분석하고 평가한다. 그 다음으로 판례 분석과 법 해석 전반에 걸친 쟁점사항을 검토하여 전공의의 노동법적 지위를 확인하고 마지막으로 새롭게 재정된 전공의 특별법의 주요내용과 문제점을 평가하여 기본적인 보호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의료 질 향상을 통해 수준 높은 의료 서비스 제공을 목적으로 시작된 전공의 수련제도는 오늘날 의료인에게 일반화된 과정이다. 그러나 주100시간 넘는 수련시간 등 그 환경은 매우 열악하다. 수련병원이 전공의를 피교육자 지위에서 과도한 근로를 전제로 진료계획을 세우기 때문이다. 법원은 전공의의 근로기준법상 근로자성을 일관되게 인정한다. 근로 경험이 곧 수련이라는 관점에서 사용종속관계가 인정됨에 따라 근로자 권리를 인정하고 있다. 하지만 수련기준의 법제화라는 평가를 받는 전공의 특별법과 의료현실은 여전히 전공의를 피교육자 지위에서 처우하고 있고 일부에서는 근로제공의 동기가 수련이라는 점이 근로기준법을 온전히 적용 할 수 없는 이유라고 지적한다. 그러나 수련병원의 경영상 어려움이나 이중적 지위는 근로자성을 배제하는 근거로 볼 수 없고, 근로제공의 동기는 근로자성 판단요소가 아니다. 따라서 전공의 수련은 근로자 지위에서 평가되고 재정립되어야 한다. 아울러 전공의 특별법은 그 동안 전공의가 법원의 결정을 통해 근로자 권리를 인정 받아오던 상황에서 주80시간 근로에 대한 법적 근거로 활용될 수 있다는 점, 근로기준법상 근로자이나 보호 규정이 배제 된다는 점, 수련과 근로에 대한 개념 구별이 없고 각종 가산임금 산정 기준에 관한 규정조차 없다는 점 그리고 대등한 교섭 주체를 인정하지 않으면서 근로와 수련계약 체결을 강제하고 있다는 점 등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결국 전공의 수련제도는 근로기준법상 각종 근로자 권리를 전제로 재정립되어야 하고, 국가의 재정적 지원이 수반되어야 한다. 또한 스스로 수련환경을 결정할 수 있도록 교섭 가능한 전공의단체와 수련환경을 관리․감독할 수 있는 독립적인 단체의 설립 근거를 마련하여 전공의 보호의 실효성을 높이는 방안이 필요하다. This article has been written with specific objectives in seeking the effective ways to improve inadequate training environments of the residents in medical institutions, and to find out complementary principles to protect their labor rights. To cope with such objectives, the empirical analysis and evaluation on the concept and enactment background of medical resident training system, along with its substantive needs of protection will be conducted. Subsequent efforts will be made to properly define the right concepts by determining the controversial issues on attitudes of the court, its interpretation of the laws and the labor legal status of medical residents in general. Lastly, some of the main contents, disadvantages and improvement methods for Special Act on Medical Residents, with other means of resolving the issues will be suggested as effective alternatives for protective directions. Medical resident training system has been initiated in order to deliver a high standard of medical services through the enhancement of medical qualities, which has become a generally accepted procedure among the medical specialist nowadays. Nevertheless, its training environments reveal quite inadequate institutional policies with more than 100 hours of training per week, and other infringements of labor rights. Such realities have been due to medical treatment plans, which are organized by the training hospitals based on a precondition of excessive training hours for medical residents as trainee status. In this regard, the court recognizes the status of trainee for medical residents, together with their legal nature of the labors based on the Labor Standards Act. In the perspective of practical working experiences as means of training, the court further acknowledges the appropriate labor rights in this context as well. However, the medical reality with Special Act on Medical Residents being evaluated as merely an enactment of training standards, still place medical residents in trainee status. Some has pointed out that resident training as the motives of offering labors may have caused an inability to apply the Labor Standards Act in its entirety. Unfortunately, neither the managerial difficulties nor dual status can be perceived as the evidence that excludes a legal nature of the labors. Even the motives of offering labors cannot be a judgement factor for such nature. Thus, it will be proper to perceive a resident training with the status of professional worker, rather than simply conclude it based on the perspective of trainee. Especially, there have been many disadvantages of Special Act on Medical Residents as it can be used for a legal evidence of working 80 hours per week, under the situation where the court has been the one to make a decision on the residents’ labor rights; the reality of partial applications of Labor Standards Act upon the residents; non-existence of payment standards and ambiguity in the differences between training and working; and finally for forcing the labors and training contracts with no such recognition of equal bargaining subjects. To conclude the article, the medical resident training system should be readjusted to meet various labor rights in the Labor Standards Act as obligatory prerequisites. Moreover, the nation’s financial supports should be entailed with empowering the protection of the residents’ rights through the inaugurations of relative associations, and the independent management supervisory institutions.

      • KCI등재후보

        계명대학교 <전공글쓰기>의 교수법 개발을 위한 운영과정 분석 및 제언

        이은숙,기도형,박창일,이은숙,최성곤 한국교양교육학회 2015 교양교육연구 Vol.9 No.4

        This study amis to examine a settlement and spread in <Writing in major> in Keimyung University and develop better teaching methods of writing and operating scheme. The operating scheme is divided into three stages: a conceptual recognition sage of <Writing in major> in 2013, an embodiment stage of <Writing in major> through analysis of cases of class in 2014, and an activity stage <Coaching writing in major> in 2015. First, the development of syllabus was conducted in an conceptual recognition sage of <Writing in major>. There exist a number of questions about the concept of <Writing in major>, association with <Korean Writing Tutoring Clinic>, methods of teaching, and contents of the lecture; however, professors did not understand the definite conception of them. In the second stage, an embodiment stage of <Writing in major> through analysis of cases of class in 2014, the cases of <Writing in major> were presented in department of <Sports Marketing>, <Taekwondo>, and <International Trade & Commerce> in fall semester, 2014. It was to give opportunities to propose directions of class operation through a demonstrative lesson in an instruction part and to learn that teaching methods of writing is more crucial than contents of major. In the last stage, an activity stage <Coaching writing in major> in 2015 endeavors to devise plans for the future by conducting surveys with students and professors of <Writing in major>. The professors appreciate the writing class was grueling compared to other classes and importance of writing made them take charge of the classes. The professors also found that development of lecture contents was the most difficult and suggested the cooperation with instructors in teaching writing. Students recognised that they had benefits in improving communication skills and seeking for a job. Both professors and students agreed to the necessities of <Writing in major>. Therefore, in order to stabilize <Writing in major>, a regular workshop of teaching writing on campus is essential. Second, it is important to research suitable models of writing according to majors. Third, assignments should be focused on the depth, not the numbers of them. Forth, objective assignment criteria must be presented to the students. Fifth, materials for the class or writing could be abundant if the teachers share their ideas. Sixth, the way students learn to write other than <Writing in major> could be assisted by tutors in <Korean Writing Tutoring Clinic> and the professors let tutors know the students’ visits in advance. Lastly, it is imperative for students to study logical writing for college students in addition to grammatical rules and practice writing. 이 글은 계명대학교의 <전공 글쓰기>의 개설과 정착 및 확산의 과정을 살펴보고 <전공 글쓰기>의 더 효율적인 운영방안과 글쓰기 교수법을 모색하고자 하는 목적을 지니고 있다. 이를 위해 <전공 글쓰기>의 운영단계를 2013년의 <전공 글쓰기>의 개념 및 필요성 인식의 단계, 2014년의 <전공 글쓰기>의 수업사례 분석을 통한 구체화 단계, 2015년의 <전공 글쓰기 코칭 다이어리> 교수커뮤니티의 활동 단계로 나누어 살펴볼 것이다. 먼저, 2013년의 ‘<전공 글쓰기>의 개념 및 필요성 인식의 단계’에서는 2번의 워크숍과 <전공 글쓰기> 표준강의안 개발에 대해 살펴보았다. 워크숍에서는 <전공 글쓰기>의 개념 및 필요성, ‘표현력 클리닉과의 연계’ 등에 대해 많은 질의응답이 오고갔으나 아직은 <전공 글쓰기>의 개념 및 교수법, 강의 콘텐츠 등에 대해 많은 교수들이 분명한 개념을 확립하지 못하고 있었다. 두 번째, 2014년의 ‘<전공 글쓰기>의 수업사례 분석을 통한 구체화 단계’에서는 2014년 2학기에 개설한 <스포츠마케팅학과>, <태권도학과>, <국제통상학과>의 전공 글쓰기 사례를 발표하였다. 이런 수업 사례 발표는 <전공 글쓰기>의 수업 운영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는 데 큰 도움을 주었다. 뿐만 아니라 도입부의 수업 시연까지 함으로써 <전공 글쓰기>를 앞 둔 교수들에게 실제적인 도움을 주고자 했다. 담당교수들에게는 전공 컨텐츠보다는 글쓰기 교수법에 대한 콘텐츠가 더 필요한 것을 알 수 있었던 워크숍이었다세 번째, <전공 글쓰기 코칭 다이어리> 교수커뮤니티의 활동 단계에서는 <전공 글쓰기> 수강생과 교수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통해 <전공 글쓰기>의 향후 방안을 모색하고자 했다. 설문결과 담당교수들은 이 강의가 타 강의에 비해 아주 힘든 강의라고 인식하고 있었지만 글쓰기 관련 강좌의 중요성 때문에 책임감을 느껴 강의를 맡았으며, 강의 콘텐츠 개발을 가장 힘든 것으로 밝혔으며, 글쓰기 담당교수들과의 협업을 제의하고 있었다. 학생들은 전공인으로서 의사소통능력 및 자기표현능력, 전공 관련 취업능력 향상에 도움을 받았다는 의견을 보여주고 있었다. 담당교수와 수강학생 모두 이와 같은 강의가 절대적으로 필요하다는 의견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전공 글쓰기의 성공적인 운영 및 정착을 위해서는 첫째, 규칙적인 교내 전체 워크숍을 통해 글쓰기 교수법의 확산을 도모할 필요하기 있다. 둘째, 계열별 전공 글쓰기의 모형을 따로 개발할 필요가 있다. 셋째, 과제를 출제할 때 중간고사를 전후하여 학생들의 과제의 숫자보다는 깊이에 주목하는 것이 좋다. 넷째, 과제를 출제할 때는 미리 평가기준을 제시하여 학생들에게 평가기준이 주관적이라는 인상을 주지 않는 것이 좋다. 다섯째, 강의소재발굴의 어려움은 해당학과 전공 교수님들께서 공유하는 방향으로 진행하면 다양한 강의 콘텐츠를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여섯째, 전공 콘텐츠외 글쓰기 어문규정에 대해서는 표현력 클리닉의 도움을 받는 것이 효율적이며, 표현력 클리닉에 학생들을 보낼 때는 미리 튜터에게 지침을 주는 것이 필요하다. 일곱째, 어문 규정 외에도 대학생에게 꼭 필요한 논증 글쓰기에 대한 개념을 주지시키고 이를 적극적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

      • 사회복지연계전공 활성화 방안

        이해주 한국방송통신대학교 2015 정책과제 Vol.14 No.-

        이 연구는 2010년부터 2014년까지 4년 동안 시행해 온 사회복지연계전공에 대한 평가, 즉 사회복지연계전공개설 당시 목적과 실제 운영과정에서 나타난 결과 간의 격차를 평가하고 문제점 해결을 위한 방향과 제도를 모색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기존자료를 조사하여 그 속에 담긴 문제점들을 범주별로 드러내고 정리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질적조사와 양적조사를 동시에 실시하였으며, 질적조사에서는 연계전공참여학생, 연계전공비참여 방송대의 일반학생, 연계전공 운영진(교수 및 조교), 실습지도교수 등을 대상으로 그들의 요구사항을 수렴하였다. 또한 양적 조사는 방송대 재학 일반학생과 사회복지전공에 참여하고 있는 방송대 학생을 대상으로 웹설문시스템을 활용하여 조사하였다. 사회복지연계전공개설 목적이 입학자원의 확대와 양질의 사회복지전문인력 양성에 있었으므로 본 연구의 대상은 실제운영과정을 통해서 볼 때 원래의 목적을 달성했는가 하는 점이다. 본 연구는 사회복지연계전공을 구체적인 운영과정을 평가하기 위해 연계전공진입부터 졸업까지의 과정을 세 단계로 구분(과정진입단계, 운영단계, 졸업이후)하여 각 단계를 평가하였다. 과정진입단계의 경우 진입의 입학기준, 합격자와 탈락자의 태도를 중심으로 입학기준에 대해 검토하였으며 운영단계의 경우, 행재정적 문제, 교육과정운영, 중도탈락의 원인, 실습지도 및 운영진의 고충을 중심으로 문제를 밝혀내고 대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졸업이후의 단계에서는 전문적인 사회복지인으로 사회에 진입할 때 방송대에서의 학습과 경험이 적합한지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다음으로는 사회복지연계전공의 성과와 한계에 대해 알아보았다. 먼저 성과로는 사회복지학에 대한 학생들의 욕구를 어느 정도 해소하였으며 사회복지사 자격증을 취득하고자 하는 학생들의 욕구에 부응하였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또한 복지국가시대에 발맞추어 사회복지 영역의 전문인력 양성에 기여하였다고 말할 수 있겠다. 그러나 한계로는 그동안 사회복지연계전공에 대한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하지는 못했다는 점을 지적할 수 있겠다. 그 문제점으로 첫째, 여전히 500명(행정학과 80명, 나머지 학과 70명)으로 제한된 인원으로 인해 사회복지연계전공 진입의 어려움이 발생한다는 점, 둘째, 진입에 성공했을지라도 제한된 교과목과 동일학년 타과수강의 어려움으로 인한 졸업의 어려움이 발생한다는 점 그리고 셋째, 학습과정상 학과가 아니기 때문에 학습동아리나 과모임 등이 부재하여 혼자서 공부해야 하는 어려움 등이 존재하였다. 더 나아가 현행의 사회복지연계전공이 과연 전문인력을 양성할 수 있을까라는 의문이 제기되었다. 첫째, 19개가 개설된 전공교과목과, 학과 전공교수가 1명인 상태에서 전문적인 학습의 어려움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즉 타전공교수에 의한 전공공부와 제한된 교과목은 사회복지학과에서 제공하는 수업의 양과 질측면에서 차이가 날 수밖에 없다. 둘째, 사회복지연계전공의 운영에 있어서도, 교수 1인과 조교 1인의 전담인력으로 프로그램을 운영하는데 어려움이 따른다. 특히 잦은 조교의 이직으로 인한 일의 연속성을 확보하기 어려움이 존재한다. 셋째, 사회복지연계전공운영협의회가 운영의 논의기구인데, 학과장과 과목교수로 운영위원이 구성되어 학과장의 주기적인 교체로 인해 운영의 지속성이 확보되기 어렵다. 넷째, 현장실습의 경우도 한명의 조교가 모든 것을 총괄하고 전문적인 실습교수의 부재로 인해 책임있는 운영의 어려움이 존재한다. 생각하지 못했던 문제점으로 참여학과에 사회복지연계전공관련 과목이 많이 개설될수록 그 과에서는 해당학과의 과목을 양보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한다는 점이다. 이 경우 그 과에 입학한 학생은 교육의 기회가 줄어들 수밖에 없다. 사회복지연계전공의 보다 근본적인 문제점은 사회복지연계전공개설의 목적이 달성되고 있는가 하는 점에 있다. 사회복지연계전공은 입학자원의 확보와 전문적인 사회복지 인력양성이 목적이었다. 그러나 현재의 사회복지연계전공은 원래의 목적을 제대로 달성하지 못하고 있다. 첫째, 학생수 증가와 관련해 사회복지연계전공으로 인해 참여학과, 더 나아가 방송대의 학생수가 증가했는가이다. 결론적으로 학생수의 증가에 도움이 되었는지는 몰라도 많은 도움이 되었다고 말할 수 없다. 그 이유는 75%의 학생들이 대학에 들어와서야 사회복지연계전공이 존재한다는 것을 알았기 때문이다. 또한 사회복지연계전공의 존재를 알았더라도, 편입이 불가능하여 1학년부터 시작해야 하고 2학년 때 진입이 힘들고 진입하더라도 졸업이 어렵다는 것을 알게 되면 선 듯 사회복지연계전공을 선택하기 힘들기 때문이다. 둘째, 사회복지연계전공이 전문적인 사회복지인력을 양성해 왔는가라는 측면에서도 부정적인 견해가 제기된다. 일단 19개의 제한된 과목으로 전문적인 사회복지인 양성에 한계가 있고, 전공교수의 부족으로 인한 사회복지학의 일관되고 깊이 있는 학습이 어렵기 때문이다. 이런 상황에서 학교에 대한 불신이 증가하고 있고 운영진(특히 담당조교)과 학생의 이탈이 가속화되고 있다. 이러한 분석 하에 본 연구에서는 사회복지연계전공의 활성화를 위한 제언을 하는 바이다. 사회복지연계전공활성화 방안은 세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첫째, 연계전공 유지 및 보완이다. 내용은 학과 수용인원조정과 연계전공참여학과 축소(5개), 동일학년에 사회복지과목 편중 해소, 운영 인원충원, 운영협의회 조정 및 강화 등이다. 이는 변화에 따른 부담을 최소화하기는 하나 기존 한계가 유지되고 학생 불만의 근본적 해결이 불가능하다. 둘째, 사회복지학과의 신설이다. 내용은 학부의 연계전공 폐지 및 사회복지학과 신설로서 정원은 학년 당 2천명 정도의 중규모 학과로 개설한다. 정원확보의 경우 현재 미달하는 학과의 인원조정을 하게 되면 충분히 가능하다. 운영 인원은 교수 3인(정책, 임상, 실습담당), 조교 3인을 확보하며 개설과목은 현행 제도에서 확보된 사회복지 과목과 연계하고 새로운 과목을 개발하는 안이다. 다만 운영인원 확보의 어려움과 학내 합의의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으나 학과신설로 인한 비용증대를 학생 수 증가에 따른 수익창출로 해소 가능할 것으로 본다. 즉 사회복지학과가 신설될 경우 방송대 학생수 증가, 방송대 입학생들의 연령, 요구 등을 고려할 때 사회복지학과 신설은 학생 개인적 측면, 학교측면, 사회적 측면에서 의미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프라임칼리지 트랙 개설하는 방안이다. 학부의 연계전공을 폐지하고 프라임칼리지에 사회복지트랙을 개설하는 것으로 학생 수 증가에 따라 실습지도교수의 수도 증원하여 운영하고 운영인원을 확대(교수 2인, 실습총괄지도교수 1인, 조교 3인)한다. 개설과목은 현행제도에서 확보된 과목 유지하고 새로운 과목 외부 교수와 연계하여 개발한다. 그러나 이 경우 교육의 질 하락, 학점은행제도와 차별성 확보의 어려움, 전문학사 자격증을 수여 못하고, 학교 이미지 추락의 가능성이 있으며 또 다른 미봉책일 가능성이 있다. 이상에서 제시된 사회복지활성화 방안을 정리하면 다음의 <표>과 같다.

      • 대입 학생부종합전형에서 전공적합성의 의미와 대체 용어에 관한 고찰

        임진택 ( Lim Jin-taek ),박지선 ( Bak Ji-seon ),조민경 ( Cho Min-gyeong ),김효희 ( Kim Hyo-hee ) 경희대학교 입학전형연구센터 2016 입학전형연구 Vol.5 No.-

        이 연구는 학생부종합전형의 평가요소인 `전공적합성`이 고교 교육과정을 충실히 이수하고 대학 인재선발에 맞는 학생을 선발하는데 적절한 평가요소인지 살펴보고, 고교 교육과정과 대학의 학생선발을 유기적으로 연계하는데 기여할 수 있는 대입 평가요소를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전공 적합성 관점에서 미국 대입제도와 우리나라의 학생부종합전형(舊 입학사정관전형)의 평가요소, 전형자료, 학교 카운슬러의 역할, 대학 교육과정 등의 차이를 비교해보고, 현직 입학사정관들을 대상으로 학생부종합전형 평가요소로서 전공적합성의 적절성, 고교 활동과 대학 입학 후 전공적응도, 전공적합성 대체 용어의 필요성 등에 대한 인식조사를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미국에서는 전공적 합성을 중요하게 고려하지 않은 반면, 우리나라 학생부종합전형에서는 전공적합성을 중요하게 고려하여 평가하고 있었다. 교과 외 활동에 대해서도 미국은 성적뿐만 아니라 학교 내·외 구분 없이 다방면의 비교과활동을 강조하는데 비해, 우리나라는 고등학교 내에서 대학의 지원학과에 맞는 전공 관련 활동과 경험을 중요시 하는 경향을 보였다. 설문조사 결과, 전공적합성을 중요한 평가요소로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고, 대입 평가요소로서 전공적합성이 학생들의 고교 활동 참여를 유도하는 순기능도 있지만 고교활동을 대학 전공 관련 활동으로 제약하는 역기능 있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전공적합성의 의미를 `좁은 의미의 전공 관련 활동도 아니고 넓은 의미의 학교의 모든 활동`도 아닌 `인문/사회/자연/의학 등 계열 적합한 활동`으로 정의할 필요가 있겠다. 미국 대학과 같이 무전공제·무학과제, 자율전공제, 연계 전공 확대 등의 교육환경 변화가 온다면 전공적합성을 대체하는 용어로 `관심분야 열정·몰입도`나 `탐구활동력`을 제안해본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observe whether `major suitability` is an appropriate evaluation factor in college student selection and to present college admissions evaluation factors. It conducted comparative analysis on the differences among the evaluation factors, screening data, school counselor roles, and college education courses of the U.S. college admissions system and the comprehensive student record system of Korea from a major suitability perspective and a study on the perceptions of admissions officers. Results showed differences in the U.S. system and the Korean system from a major suitability perspective. While the U.S. system did not consider major suitability to be important, the Korean system did. The U.S. emphasized diverse extracurricular activities in and out of school while Korea placed importance on activities and experiences in school associated with the university major being applied for. Surveys by admissions officers showed that major suitability was perceived as an important evaluation factor but that it had the adverse effect of limiting high school activities to those associated with university majors. The meaning of major suitability should be `affiliation appropriate activities such as in the humanities/social studies/science/medicine`. If educational environment related changes are made such as the expansion of undeclared or open major or department systems and interdisciplinary programs, then `passion·immersion in the field of interest` or `research activity` are proposed as the most appropriate terms to replace major suitability.

      • KCI등재

        전공의관련 법적 분쟁의 최근 유형들과 제도적 시사점 : 전공의관련 판례의 유형과 제도적 개선방안

        박경기 ( Park Kyung Kgi ),김기영 ( Kim Ki-young ),허정식 ( Huh Jung-sik ) 한국의료법학회 2019 한국의료법학회지 Vol.27 No.1

        전공의는 피교육자이자 의과대학의 학생의 임상실습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교육자이다. 전공의는 지도전문의의 지도하에 전문과목에 대한 수련을 받아야 하며 이는 학교와 같은 교육기관이 아니라 환자의 치료를 담당하는 병원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수련 과정은 인턴과정과 전공의 과정으로 나누어져 있으며 전문과목마다 수련기간이 다르다. 전공의의 수련환경은 각 병원마다 차이가 있으나 도제식교육과 피교육자라는 것으로 인해 장기간의 근무로 인해 만성피로와 주의력부족 등으로 인해 의료사고에 노출이 될 수 있으나 최근 전공의 특별법이 제정되어 전공의의 근무시간을 제한하게 되어 있다. 전공의의 경우 전문과목별 술기에만 교육과정이 초점을 맞추는 경향이 많다. 각 전문학회에서 전공의 교육을 위한 목표와 목적을 정하고 수련과정을 정하고 있으나 인성과 최근 변화되는 의료환경과 의료법 등에 대한 교육은 미흡하고 특히 의료사고 발생과 관련된 조치에 대한 교육은 미흡한 상태이다. 최근 의료사고와 관련되어 전공의를 포함한 의료진이 구속되는 등의 사건이 발생하였다. 전공의와 둘러싼 법적 문제들 중에서 의료법 위반 및 징계 및 행정처분 사건, 의료사고에 대한 민형사상책임문제, 전공의의 강제추행 등 사건 및 전공의의 과로 등 보호의무위반으로 인한 병원의 사용자책임 사건 등을 분석하면 다른 의료사고와 마찬가지로 전공의 능력을 초과한 부분에 대한 지도전문의의 감독지도가 부족하고 이를 인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이로 인해 전공의가 수련과정이지만 민형사상의 책임을 지는 경우가 있으며 직접 의료사고의 인과관계가 없다는 것을 설명할 수 있어야 한다. 의료사고가 발생시 적극적으로 대처하는 능력을 키워나가야 하며 이를 위한 병원과 전문학회의 교육과 보호방안이 필요할 것이다. A resident is a trainee and also a teacher who plays an an important role in the clinical practice of the students of the medical school. The residents must be trained in specialized courses under the guidance of a specialist. They work at the hospital and they are in charge of the patient's treatment, not the educational institution such as the school. The training process is divided into internship courses and resident courses. The training environment of the residents is different in each hospital, but it is exposed to medical accidents due to chronic fatigue and lack of attention, because of long-term work as the apprenticeship education and the trainee, but recent special law has been enacted, therefore working time at the hospital is limited. The resident training course tends to be focused only on the technique of each speciality. Although each special association of speciality has set goals and objectives for the education of its resident and set the course of training, the education on humanity and the recently changed medical environment and medical law is insufficient and there is no education about measures related to the occurrence of medical accidents. Recently, there have been incidents such as the arrest of the medical staff including the residents related to the medical accident. Analysis of the legal issues surrounding the medical law, cases of discipline and administrative disposition, problems of civil liability for medical accidents, cases of forced enforced of residents, and cases of hospital occupational accidents caused by violation of the protection obligations like other medical accidents, there is a lack of supervisory guidance by the specialist in areas beyond the competence of the major. This should explain the fact that the residents are in the process of training but have civil liability and there is no causal relationship between direct medical accidents. It is necessary to develop the ability to deal actively when a medical accident occurs, and education and protection measures at the hospital and association of speciality will be needed.

      • KCI등재

        전공 수행 기반 교수학습 설계모형 개발

        이진영,김현주,이희화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1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전공 수행기반 (Major Performance learning, MPL) 수업의 정의를 확립하고, 현재 대학생들에게 필요한실질적인 전공 수행 역량을 키우기 위한 교수학습 설계모형을 구성한 후 각 전공 수업에 적합한 교과목으로 개발하는 데 있다. 방법 연구 방법으로는 관련 논문이나 웹사이트, 그리고 연구 관련 교과목 교수들, 창업지원센터에 입주한 기업인, 대학교 재학생/졸업생 등을 대상으로 인터뷰 형식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특히 기존의 전공 수업방식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학생들에게 요구되는학습 목표 및 학습개요를 구성하여 MPL 수업 모델을 구축하였다. MPL 수업에 참여한 모든 학생이 전공 수행 경험에 참여할 수 있는것은 아니지만 대부분의 수업은 기본적인 전공 수행 요소를 가르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전공 수행 진행 방법은 전공 수행 미션의관찰에 의해서만 학습되는 것이 아니라, 가르치고, 연습하고, 비평을 통해서 습득할 수 있다. 결과 본 연구에서 개발한 MPL 수업은 MPL I과 MPL II의 교육과정으로 구성되어 있다. 전공 수행 역량을 위한 기본지식 배양에집중되어있는 전공 이론 교육과정(MPL I)과 전공 관련 수행성과를 위한 실제적인 전공 수행주제를 선정하고 문제 해결 후 수행 결과바탕으로 그 성과를 얻어내는 전공 수행 역량 교육과정(MPL II)으로 진행하여 MPL 교육모형을 구성하였다. 본 MPL 수업을 통해전공 관련 기본이론과 연구역량을 습득하는 것은 물론, 실질적인 전공 수행 문제를 설정하여 결과를 도출하기 위해 전공 수행의 기본과정인 과학적 아이디어 도출, 연구 결과의 분석 방법, 전공 수행 노트 작성법, 전공 수행과정에서 지켜야 하는 윤리 규정 등을 배우게된다. 그리고, 이러한 전공 수행의 결과로 실제 가시적인 수행실적인 학술논문 작성법 및 학회 학술발표, 특허의 이해, 및 산학연계(Start-Up) 자문 결과를 도출하게 된다. 결론 대학교육에서는 다가오고 있는 4차 산업 혁명 시대에 적합한 인재 양성이 절실히 필요한 시점이다. 따라서, 전공 이론 및 연구역량을 습득한 학생들이 하나의 전공주제로 수행 결과를 도출하여 한편으로는 지역사회에 봉사하는 기회를 제공하고, 더불어 수업과정에서 진행된 수행 결과를 가시적인 실적(학술논문, 학술발표, 특허 및 기업 자문 역할 등)으로 남을 수 있도록 하는 MPL 교과목의 모델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KCI등재

        학생설계전공 제도 운영 현황 분석 및 학생 지원방안 연구: 서울 소재 11개 대학을 중심으로

        임태원,박혜림,홍후조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13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 support plan to reinforce the students' major design capabilities for substantiality of student designed major. Methods This study was to suggest a support plan by analyzing major approval process and support system of 11 universities located in Seoul, and execute a perception survey targeted to the students in the university ‘A’. Results First, the approval process for the student designed major was operated in form of deliberation by committee at the department level and committee at the university headquarter level. At that point, the students were given a high-stakes task to describe designed major name, curriculum design table and subject planning, and plan for completion, etc. in detail. Second, in order to use the student design major system, students must have ‘understanding systems and procedures’, ‘cultivation of basic knowledge for curriculum design’, and ‘curriculum design competency’. Each can be proposed for the purpose of a student design major support plan, and differentiated support must be provided according to the university-affiliated. Third, as a result of conducting the perception survey for support plan to reinforce the students' major design capabilities as an object of 281 students in the university ‘A’, they answered that it was necessary to reinforce the major design capabilities to provide actual data supply and supply of learning opportunity in order of data distribution of major design exemplification, sharing meeting of major design exemplification, and distribution of guidebook.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degree of recognition of the need for support measures by university-affiliated. Conclusions To conclude, based on these research findings above, this study was to suggest a practical plan to support the students who wanted to complete their student designed majors in the future, and concept and procedural knowledge that must be guided. 목적 본 연구는 대학 교육에서 학생맞춤형 교육의 대안으로 제시되고 있는 학생설계전공의 활성화를 위하여 대학의 제도 운영 현황을 분석하고, 학생의 전공설계 지원방안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방법 이를 위하여 서울 소재 11개 대학의 홈페이지 안내자료, 전공 신청서, 가이드북, 사례집 등을 수집하고 전공 승인 절차, 전공설계 지원체계, 전공 설계 필요지식으로 구분하여 내용을 분석하였다. 또한 문헌분석을 토대로 도출한 지원방안에 대하여 ‘A’대학의281명을 대상으로 각 지원방안의 필요성 인식정도를 확인하는 조사연구를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학생설계전공의 승인 절차는 신청서를 토대로 학부(과) 차원의 위원회, 대학 본부 차원의 위원회의 심의를 거치는 형태로운영되었다. 이때 학생들은 설계한 전공의 명(名)부터 교육과정 설계표 및 교과목 구성안, 이수 계획 등을 상세히 기술하라는 고부담과제를 부여받고 있었으나 사전 준비 단계의 지원이 미흡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학생설계전공 제도를 이용하기 위하여 학생들이 갖추어야 하는 것은 ‘제도 및 절차의 이해’, ‘교육과정 설계를 위한 기초지식’, ‘교육과정 설계역량’이었다. 각각은 학생설계전공지원방안의 목적으로 상정될 수 있으며 내용적 특성에 따라 차별화된 지원이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A대학교 학생 281명을 대상으로 학생의 전공설계 지원방안에 대하여 인식조사를 수행한 결과 전공설계 예시 자료 배포 등 실질적인 자료 제공과 학습 기회 제공이전공설계 역량강화에 필요하다고 응답하였으며, 계열별로 지원방안에 대한 필요성 인식에 차이가 있었다. 결론 위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토대로 향후 학생설계전공을 이수하고자 하는 학생들을 지원할 수 있는 실제적 방안과 필수적으로 안내되어야 할 개념과 절차적 지식에 대하여 제언하였다.

      • KCI등재후보

        일반고 고등학생의 대학전공 선택을 위한 전공별 활동, 직업, 전공교과 선호도의 변화: 2017-2021

        권승아(Seung A Kwon) 전남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23 교육연구 Vol.45 No.2

        본 연구는 일반고 학생들이 대학전공을 선택함에 있어 각 전공 및 계열에 대한 최근 5년간(2017∼2021년)의 선호도가 어떠한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전공선택검사(KCMII)에 응시한 응답 자료 중 일반고 2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성별에 따라 층화표집을 실시하여 최근 5년간 총 41,600명의 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연구에 활용된 대학전공선택검사로 44개 대학전공의 활동선호도, 직업선호도, 전공교과선호도를 측정할 수 있다. 분석 결과는 첫째, 최근 5년간 대학전공 선택에서 계열선호도는 의학계열이 높았고, 선호 계열 1순위 비율은 의학계열과 예체능계열이 높은 반면, 자연계열은 낮았다. 둘째, 최근 5년간 대학전공의 선호도의는 심리학이 가장 높고, 디자인, 언론・홍보・미디어, 보건・임상, 법학 전공은 높은 편에 속했으나, 종교학, 무용, 물리는 전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셋째, 선호 전공 1순위 비율은 심리학, 체육, 컴퓨터・정보시스템, 간호학 등이 높은 반면, 가정관리학, 무역・유통, 화학 등의 전공은 낮은 편으로, 최근 5년간 일반고 학생들의 선호 전공은 고착화된 상태이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고등학교에서의 고교학점제 운영 및 진로교육의 구체적인 전략과 산업계 관점에서 인적자원 활용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preferences during the last five years from 2017 to 2021 for each major and field in choosing a college major. To this end, stratified sampling was performed with the responses of the second-year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to the college major selection test (KCMII) according to gender, and the final data of 41,600 students was analyzed. The college major selection test measured preferences for activities, occupations, and major courses of 44 college major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most popular field of major for the past five years was the medical field. The fields of medicine and arts and sports ranked No. 1, while the field of natural sciences was positioned at a lower rank. Second, the most popular college major for the last five years was psychology. Design; journalism, public relations, media; health and clinical practice; and law ranked relatively higher, while religious studies, dance, and physics were generally positioned at lower ranks. Third, among the 44 college majors, psychology, physical education, computer and information system, and nursing ranked No. 1 most often, whereas home management, trade and distribution, and chemistry ranked low.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suggested specific strategies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and career education in high schools and the use of human resources from the industrial perspective.

      • KCI등재

        4년제 관광학과 전공자들의 전공입문, 전공만족, 전공유지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서정아(SE Seo, Junga) 대한관광경영학회 2020 觀光硏究 Vol.35 No.4

        본 연구는 4년제 관광학과 전공자의 전공입문과 전공과정 동안 진로 탐색과 전공유지 행동에 대한 30년간 동 세대별(Cohort) 추적을 통한 현상학적 연구이다.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4년제 관광학과 전공자 45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접과 현상학적 접근을 통한 질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관광 전공자들의 전공입문 동기는 적성과 흥미와 같은 내재적인 동기와 성적 수준, 지인의 추천과 같은 외재적인 동기가 복합적으로 작용하였다. 둘째, 현장실습과 같은 실무교육, 교수와 선후배들 간의 인적 네트워크 등이 전공 만족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전공유지 진로 결정에는 본인의 적성과 흥미, 지인의 추천 등이 영향을 미쳤다. 반면에 비전공 분야로의 진로 결정에는 상대적으로 저임금과 직업의 불안정성이 영향을 미쳤다. 넷째, 전공유지 취업자들의 경우에는 첫 취업 후 타 분야로 이직을 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타 분야 이직에는 저임금과 직업의 불안정성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결과는 전공과정 후 비전공 분야로 진출한 전공자들과 비슷한 이유로 이직을 결정하는 것과 유사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반면에 전공과 연관된 직업을 계속 유지하는 일부 전공자들은 흥미와 적성, 업무 만족도, 업무의 익숙함 등이 전공유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본 연구는 관광학과 전공자들의 실제적인 욕구와 요구를 파악하여 좀 더 체계적이고 현실적인 진로 교육의 지침을 마련하는데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is a phenomenological study to explore college graduates’ career decision-making process. The research was mainly designed to find out factors influencing major selection, major satisfaction and career decision of tourism graduates. 45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employing purposive sampling. The result of in-depth interview was analyzed through Colaizzi’s method.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not only intrinsic motivation such as interest and attitude in major but also extrinsic motivation such as including grades and personnel recommendation influenced on major choice for tourism students. Especially, uniform impact was one of factors that allured students to select tourism management for their majors. Second, school curriculum and networking with faculty members or peers could influence major satisfaction for tourism students while in school. In addition, tourism major students were very enthusiastic about learning hands-on practice which may in turn to lead them to work in the field of their majors. Third, those who were intrinsically motivated were more likely to choose and retain careers in their field of study. Moreover, they didn’t mind about realistic barriers such as low income and job insecurity in tourism businesses, compared to those who found jobs in different fields. The results implied that educational systems for tourism students need to be improved in order to meet students’ needs, reorganize the department’s curriculum and to intervene faculty memb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