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총련'계 재일 디아스포라 시문학 연구

        하상일(Ha, Sang-Il) 한국문학회 2010 韓國文學論叢 Vol.56 No.-

        이 논문은 해방 이후 재일 디아스포라 시인 정화수의 시세계를 연구한 것이다. 특히 해방 이후 재일조선인 조직의 변화 과정을 통해 <총련>계 재일 디아스포라 시문학의 전개 양상을 개괄적으로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재일 디아스포라 시인 정화수의 시세계를 <총련>계 재일조선인의 의식 변화를 중심으로 분석하는 데 목표를 두었다. 정화수 시인은 2000년 이후 <총련>계 재일 디아스포라의 변화를 주도한 시인으로, 그가 중심이 되어 발간한 '종소리'는 <총련>계 재일 디아스포라 시문학의 혁신된 모습을 분명하게 보여준다. 재일조선인 사회는 '민단'과 <총련>을 중심으로 한 남북의 이념적 대리전 양상을 노골적으로 드러냄으로써 재일조선인들의 인권이나 생활보다는 남북한의 이해관계에 종속된 정치조직의 성격이 강했다. <총련>의 결성은 재일조선인들의 생활과 민족운동에 획기적인 전환을 가져왔다. <총련>계 재일조선인 문학예술 운동은 북한과의 조직적인 연대 위에서 혁명적 문예전통과 주체적 사실주의창작방법론을 확립하는 방향으로 나아갔다. <총련>계 재일 디아스포라 문학 활동은 『문학예술』, 『겨레문학』,『종소리『등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문학예술』은 <문예동>의 이념과 정체성을 가장 충실하게 반영하고 실천한 <총련>계 재일 디아스포라 문학의 가장 대표적인 잡지로, 김일성의 교시를 토대로 <총련>의 이념적 지향성과 <문예동>의 창작 방향을 제시하는 데 집중함으로써, 사실상 북한의 문예이론에 입각한 <총련>계 재일 디아스포라 문학 활동의 지침서이자 대표적인 발표 지면으로서의 역할을 했다. 문학예술의 휴간 이후 <총련>계 재일 디아스포라 문학은 『겨레문학』과 『종소리』를 통해 이어나갔는데, 특히 『종소리』의 창간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2000년 이전까지 재일조선인 시문학의 발전과정은 재일조선인 사회운동의 발전 단계와 특성에 따라 크게 세 단계로 나눌 수 있는데, 첫째는 공화국 창건 이후 <총련>이 결성되기 이전까지의 시기(1948년 9월~1955년 4월)이고, 둘째는 <총련> 결성 이후 김일성 주체사상을 바탕으로 창작의 기치를 드높이던 시기(1955년 5월~1973년)이며, 셋째는 재일 조선인들의 조국방문을 시작으로 사상예술성의 강화가 이루어진 시기(1974년~1990년대)이다. 이러한 재일조선인 시문학의 흐름에서 종소리의 창간은 넷째 시기의 시작을 의미한다. 즉 시 창작에 있어서 사상성과 예술성의 조화를 모색하는 뚜렷한 변화를 보여주었다는 점에서, 종소리의 출현은 <총련>계 재일 디아스포라 시문학의 획기적인 전환점이 되었다고 할 수 있는 것이다. 정화수의 시세계는 1980년 북한에서 출간한 시집 영원한 사랑 조국의 품이여에 수록된 시편들과 2000년 이후 종소리에 발표한 시편들 사이에 내용과 형식면에서 상당한 차이를 보였다. 시집에 수록된 시들에서는 수령 형상 창조와 조국(북한)에 대한 찬양 일변도의 작품이 대부분이었던 반면, 종소리에서는 이러한 경향을 직접적으로 형상화한 작품은 사실상 전무하고 근원적 고향의식에 바탕을 둔 통일에 대한 열망이나 재일조선인의 생활상을 통해 민족공동체의 모습을 형상화한 작품이 대부분이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그의 시세계의 변화를 주목함으로써 <총련>계 재일 디아스포라 시문학의 전개 양상을 통시적으로 살펴보았다. This study looked into the poet Jeong Hwa-su, the Korean-Japanese Diaspora. After liberation, the Korean-Japanese Diaspora poetry started from Huh nam-gi, Kang Sun, and Nam si-woo, and it was transferred to Kim si-jong, Kim Yun, Jung hwa-hum, Kim hak-ryeol, and Jung hwa-su. Jeong Hwa-su‘s poetry world was based on the yearning toward his mother country, our fundamental emotion. Jeong Hwa-su‘s poetry showed strong politics including the pro-North Korea and anti-South Korea as a Chongryun member while dealing with ordeals and pains Koreans went through. His poetry announced right after making Chongryun showed socialistic realism while expressing straightly admiration for North Korea, and sneers and criticism for North Korean politics. In addition, he announced the purposeful poetry of propaganda supporting actively Chongryun’s patriotic projects. His poetry shows the point of confusion that seems hard to be considered as the one person’s poetry world because of a conspicuous gab between pre-and post- Chongryun of 1955. This resulted from the inner conflict and hurt that he could not but go through as the Korean who experienced the history of national division under the Japanese imperialism. His poetry definitely became the most significant guide to overall understand the history and meaning of the Korean-Japanese Diaspora after liberation. After liberation, the Korean-Japanese Diaspora poetry was based on historical consciousness and ideology of the Korean-Japanese who internalized their hurt of colonization and division. Therefore, most of works tried to stand for realistic nature directly showing political social issues, instead of focusing on deepening the lyricism to condense personal emotion to the indentified world. As post-nationalism, post-society discourse is currently appearing as the important issue beyond the boundary of race and nation, the perspective of ‘Diaspora’ and problem awareness have attracted attention as the effective discourse to understand and analyze the rapidly changing world. Jeong Hwa-su's poems have an important literary meaning as the text containing such the problem awareness.

      • KCI등재

        재일 한국인 문학과 일본 근대문학과의 영향관계 고찰

        이승진(Lee, Seung-jin) 가천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2014 아시아문화연구 Vol.33 No.-

        본고는 재일2세 작가 김학영의 작품을 일본문학과의 관계성에서 고찰하고자한 것이다.지금까지 재일문학은 주로 일본문학과의 대립적인 구도에서 포착되어 왔다. 재일이라는 존재가 일본어라는 표현 수단,그리고 일본문단이라는 문학 공간을 포기하지 않는 한 일본문학의 지근거리에 위치할 수밖에 없음에도 불구하고 그 관계성이 애써 무시되어 온 것이다. 그렇지만 유미리와 가네시로 가즈키와 같은 신세대 재일작가의 문제의식에서 엿볼 수 있듯이 재일의 ‘특수성’은 더 이상 재일문학을 담보하는 근거로 기능하지 않는다. 1990년대 무렵부터 등장하기 시작한 일본어문학이라는 탈근대주의적 개념의 등장이 상징하듯이 재일은 현재 변화하는 시대 환경 속에 놓여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재일의 안팎을 가리지 않고 찾아오는 변화는 재일문학에 대한 새로운 해석을 요구하고 있다. 재일2세 작가 김학영 작품은 사소설적 색채가 농후할 뿐 아니라,주인공의 ‘내면’이 ‘아버지’와 밀접히 관계하며 형성해 간다는 점에서 일본문학과의 관계성을 주목받아 왔다. 물론 부자관계를 통한 세계인식은 재일2세 문학에서 쉽게 발견되는 전형이라고 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대부분의 2세문학은 부자갈등과 재일정체성의 위기와 같은 문제들을 재일의 역사성 획득을 통해 극복하는 것으로 묘사하고, 그 과정에서 ‘아버지’와 ‘민족’은 유화된 상으로 재구성하는 과정을 밟는다. 이에 비해 김학영은 유사한 경로를 거치면서도 전혀 다른 감촉으로 ‘아버지’와 ‘민족’그리고 ‘재일’의 문제들을 그려낸다. 이는 작가가 인간의 ‘불완전함’을 단서로 재일의 불완전한 현실을 바라본 태도에서 기인하는데, 바로 이곳에서 김학영 작품에 대한 일본 근대문학의 영향을 엿볼 수 있다. This study aims at examining works of Kim Hak Young, a secondgeneration author in Japan in terms of relationship with Japanese literature. So far, Korean literature in Japan has been captured mainly from the antagonistic composition to Japanese literature. Such relationship has been neglected though the existence of In-Japan is forced to be within a distance near to Japanese literature unless it gives up expressive means of Japanese and a literature space of the Japanese literary world. However, shown from the critical awareness of new generation authors in Japan including Yu Mi Ri and Kaneshiro Kazuki, ‘specialty’ of In-Japan doesn’t function as a base to ensure literature in Japan. As the advent of a postmodern concept of Japanese literature appeard from around 1990s symbolizes, now In-Japan literature is positioned at the changing environment of the age. As such, changes occurred to the inside and outside of In-Japan are requiring a new interpretation of literature in Japan. Therefore, this study intends to grope for a new potential of In-Japan literature research from an active point of contact with Japanese literature.

      • KCI등재

        해방직후 재일조선인 문학의 자리 만들기

        이재봉(Lee Jae Bong) 한국문학회 2016 韓國文學論叢 Vol.74 No.-

        재일조선인 문학은 특정한 국가에 귀속시키려는 근대 국민국가적 욕망에서 벗어나 디아스포라 문학으로 바라볼 때 그 독특한 위치성이 밝혀질 수 있다. 이 논문은 이와 같은 관점에서 1945년 조선의 해방과 일본의 패전이라는 역사적, 정치적 상황 아래서 재일조선인 문학이 어떤 위치를 만들려고 하는지를 살펴보고자 했다. 조선과 일본 그리고 변화하는 국제정세 속에서 재일조선인 문학은 스스로의 위치를 확립하기 위해 끊임없이 조선과 일본에 개입한다. 따라서 재일조선인 문학 역시 조선과 일본을 동시에 지향하고 있었다. 󰡔민주조선󰡕의 필자가 재일조선인, 일본인, 본국의 조선인 등으로 나뉘어 있는 것 등에서 이런 성격을 충분히 짐작할 수 있다. 조선과 일본에 동시에 개입해야 하는 이 독특한 위치성은 재일조선인들이 조선을 적극적으로 번역하는 행위로 나타난다. ‘재일조선문학회’가 ‘조선문학가동맹’의 강령을 거의 그대로 번역한 것이나 조선을 배경으로 삼은 문학작품이 많은 것은 이 때문이다. 그런데 같은 표현이라도 발화 위치와 문맥에 따라 번역의 의미는 달라질 수밖에 없었고 조선은 여전히 식민지적 모순에 가득 찬 공간으로 번역된다. 그래야만 재일조선인은 일본이라는 식민지 종주국 공간에서 일본인들과 공동투쟁 또는 공생의 명분을 마련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또 재일조선인은 일본인들에게 적극적으로 번역되어야 하는 존재이기도 했다. 󰡔민주조선󰡕의 창간 목적 중의 하나가 조선과 재일조선인에 대한 왜곡된 일본의 시선을 바로잡는 것이었다는 점은 여기서 기인한다. 조선과 일본에 끊임없이 개입하고 번역하는 존재임과 동시에 번역되어야만 하는 존재였던 재일조선인 문학은 바로 이 때문에 이미 세계성을 띠게 되고 그들의 문학은 상호문학적 과정이라는 특성의 세계문학적 특징을 보여준다. The unique positionality of the Korean-Japanese literature can be revealed when it is viewed as a diaspora literature, which gets out of the modern national desire of imputing to a certain nation. This paper, approached in this terms, intended to look into which positionality the Korean-Japanese literature tried to make under the historical, political situation of the Korean liberation and Japan defeat in 1945. In the circumstances between Korea and Japan and international changes, the Korean-Japanese literature continuously intervened in Korea and Japan to establish their own status. Thus the Korean-Japanese literature also had an innate respect for Korea and Japan at once. It is possible to judge from the fact that the authors of 『Minju Chosun』 were composed of the Koreans in Japan, Japanese and inland Koreans etc. The unique positionality, intervening in Korea and Japan at once, is outed as behaviour that the Koreans in Japan translated Korea actively. That is why ‘The Association of Choseon Literary Writers in Japan’ translated the organizational statement of ‘The Union of Chosun Literary Men’ to the letter and there were many literary works with Korea setting. However it has been inevitable that the same expression differed in accordance with utterance places and contexts and Korea is still translated as a space filled with colonial contradiction. Only then could the Koreans in Japan get justification for joint struggles or symbiosis with Japanese in space of Japan, the country from which colony originated. Besides, the Koreans in Japan were beings translated by Japanese positively. That contributes to the point that one of the purposes for 『Minju Chosun』 foundation was to correct distorted views on Korea and the Koreans in Japan. The Korean-Japanese literature was a translated being as well as a continuously intervening in Korea and Japan and translating being, and because of this, it has already taken on globality and their literatures have showed world literary character that is inter-literary process.

      • KCI등재

        재일조선인 디아스포라 시의 특성 고찰

        홍용희(Hong Yong-hee) 한국현대문학회 2009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27

        재일조선인 디아스포라 시는 ‘일본 사회 속의 북한 시’의 특성을 지닌다. 그것은 ‘재일조선문학가예술동맹’이 친북단체인 ‘재일본조선인총연합회의’ 산하기구로서 조총련의 기본 지침과 방향성에 대한 문학적 실천을 목적으로 하는 단체라는 점에서 간접적으로 드러난다. 한편, 일본의 재일본조선인문단은 재일본조선문학예술가동맹(문예동)이 1959년 6월 7일 결성되면서 조총련의 지도 아래 김일성과 조선로동당의 문예정책을 받드는 작가, 예술인 대오를 집중적으로 강화해 나간다. 이러한 상황을 통해서도 짐작할 수 있는 바처럼 재일조선인 시는 기본적으로 북한 시와 근원 동일성을 지닌다고 할 수 있다. 시 창작의 방법론은 물론 위상, 역할, 평가 등이 북한의 주체적 사회주의 혁명을 위한 사상적 무기로서의 특성에 직접 대응되는 것이다. 재일조선인 디아스포라 시의 시적 양상을 주제의식에 따라 유형별로 나누어 보면, 대체로 일본사회에서의 정착과 시련, 조국에 대한 그리움, 김일성ㆍ김정일에 대한 송가, 남한 사회의 비판과 조국통일에 대한 염원 등으로 요약된다. 이러한 재일조선 디아스포라 시의 특성을 살펴보는 것은 한민족 문학권의 중심에 있으나 아직 우리에게 미답의 영역으로 남아 있는 재일조선인 디아스포라시의 현황과 위상을 확인하고 아울러 북한문학의 미래지향적인 변화에 순기능으로 작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가늠해 볼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고 할 것이다. 재일조선인은 폐쇄적인 북한과 달리 자본주의 문화의 첨단을 직접 접할 수 있는 제 3의 공간에 거주한다는 분명한 변별성을 지닌다. 다시 말해, 재일조선인 디아스포라는 북한식 사회주의의 과거와 미래에 대해 객관적으로 이해하고 판단할 수 있는 미적 거리를 확보하고 있는 것이다. 이것은 재일조선인 디아스포라가 앞으로 전지구적 시장화에 대응해야 하는 북한사회의 개방화를 선도적으로 도와줄 수 있는 가능성을 지니고 있는 점으로 파악된다. 또한, 이러한 논법은 재일조선인 디아스포라 문학의 경우에도 그대로 적용된다. 북한문학의 일방적인 영향권에 놓인 재일조선인 디아스포라 문학이 앞으로 폐쇄적인 북한문학의 변화에 적극적인 충격과 영향을 끼칠 수 있는 전도된 위상을 상정해 볼 수 있다. 재일 디아스포라는 세계정세의 흐름에 대한 객관적인 이해와 더불어 북한 주민에 비해 남한과의 원할한 소통도 가능하기 때문이다. 앞으로 재일조선인 디아스포라 시에 대한 논의는 이와 같은 한반도의 통일시대와 민족적 통합을 향한 미래지향적인 가능성에 대해 적극적으로 주목하고 평가하는 자세가 요구된다. The poetry written by Korean-Japanese have characteristics of North Korean poetry in Japan society. That is directly appeared in the 'Art Community of Korean-Japanese literary people" which is the affiliate organization of 'Korean-Japanese Union', pro North Korean organization, and has an purpose on practicing literally about basic principle and direction of North Korean residents’ league in Japan. The platform of North Korean residents’ league in Japan suggests practice of reunification, protection of national interests of Korean-Japanese, contribution to world independency and so on based on the level as an subordinated organization of North Korea. On the other hand, Korean-Japanese Literature Artist Union is formed in June 7, 1959, writers and artists supporting Ilsung Kim and literature policy of North Korean political party are centered and Korean-Japanese literary world in Japan was developed. As you may know under this situation, the poetry of Korean-Japanese has identification in their roots with North Korean poetry. Status, role and evaluation as well as the methodology of poetry correspond to characteristics as ideological weapon for independent socialistic revolution of North Korea. As we divide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Japanese poetry according to subject consciousness, they can be summarized as establishment of identity of Korean-Japanese, conflicts with Japan society, emphasis on mother tongue use, anti American feeling and criticism on South Korean society, desire of reunification, praise of Ilsung Kim and Jungil Kim, shaping of ordinary life and so on. Among this characteristics except poetry about ordinary life, other poetry have their role in teaching and enlightening ideological direction of Korean-Japanese society. When studying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Japanese poetry, they are still in the center of the Han race literature range but they have importances because we can confirm the current situation and status of Korean-Japanese poetry which remains as unsolved field, along we can watch the possibility to work as pure function to the future directed change.

      • KCI등재

        최실의『지니의 퍼즐』로 알 수 있는 재일한국인 3세대 문학의 새로운 경향

        김선정 한국일본근대학회 2023 일본근대학연구 Vol.- No.79

        지금까지 재일한국인 3세대 문학이라고 하면, 이양지와 유미리를 대표작가로 알고 있고, 많은 선행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재일한국인문학 3세대 작가의 시작인 이양지 이후 영화나 다른 분야가 아닌 일본문학계에 새로이 최실이라는 재일한국인 3세대 작가의 등장은 재일한국인문학연구에 있어 새로운 환기(喚起)였다. 최실의『지니의 퍼즐』은 이양지가 살던 시기보다 더 많은 시간이 흐르고 나온 작품이다. 이양지로부터 유미리로 이어지는 재일 3세대문학이 개인적이고 자아정체성에 대한 소극적인 문제였다면,『지니의 퍼즐』이라는 작품을 통해 이야기하고 있는 최실의 재일 3세대문학은 적극적이고 재일이라는 감정은 결코 사소하지 않은 감정으로 개인의 이야기에서 벗어나 바깥세상에서 벗어나 바깥세상과의 소통과 관계의 문제로 나아가는, 좀 더 대외적이라고 할 수 있겠다. 일본 내에서의 재일한국인 차별문제를 구체적으로 다루고 있으며, 작품을 통해 알 수 있는 것은 지금 이 시대의 재일한국인의 작품에서 보이는 재일하는 자의 고민은 예전의 형이상학적 고민에서 구체적이고 현실적인 고민으로 바뀌어 가고 있다는 것이다. 구체적이라고도 할 수 있을 것이다. 조선학교에 대한 서술도 작품의 주된 내용으로 지금까지 재일한국인문학 작품에서는 볼 수 없었던 새로운 모티프로 등장한다. 디아스포라로서 차별과 갈등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제 디아스포라문학, 소수문학, 재일한국인문학은 소외된 문학이 아니고 하나의 독립성을 가지게 된 것이다. 디아스포라이기 때문에 느낄 수 있는 감정, 그들만이 볼 수 있는 것들이 이제 특수성을 넘어 사람들의 보편적인 관심을 끌고 있는 시대가 되었다고 생각한다. 물론『지니의 퍼즐』이라는 한 작품으로 논하기에는 한계가 있겠으나, 재일한국인의 최근의 삶을 다룬 문학작품으로는 거의 유일하므로 이 작품을 통해서, 최근의 재일 3세대 작품의 특징을 알아보고자 한다. 또한 본고를 통해 일본에서 일본인으로 귀화하지 않고 재일한국인으로 살아가는 그들의 삶을 알고 이해하는 그리고 모국인으로서 해야 할 일을 살펴보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

      • KCI등재

        재일 한민족 문학과 죽음 의식

        장사선(張師善),지명현(池明鉉) 한국현대문학회 2009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27

        재일 한민족 문학에서 살펴본 ‘죽음’의 의미는 “재일”의 상황과 “재일”의 의미 변화, 그리고 한민족 전통적 죽음관과 일본적 전체주의 죽음관의 혼효, 그리고 남북한 이데올로기의 대치, 서구적 개인주의의 발효 등 복잡한 상황 속에서의 죽음의식을 형상화했다. 일본에 대한 저항 정신과 민족에 대한 집념이 일궈낸 재일 1세대 김달수, 김석범, 김태생의 작품에서 ‘죽음’은 민족을 위해 당연히 희생해야할 것으로 나타난다. 제주 4.3 사건을 제재로 하고 있는 김달수의 〈대한민국에서 온 사나이〉, 김석범〈까마귀의 죽음〉과 같은 작품에는 민족의 미래를 위해 한 목숨을 기꺼이 바치고자 하는 인물들이 등장하며, 〈너말통 할멈〉에는 재일의 상황에서도 민족성을 지키기 위해 목숨걸고 투쟁하는 어머니와 아들이, 〈뼛조각〉에는 일본의 차별과 억압을 당해 죽음에 이르는 재일 1세대의 모습이 형상화 되어 있다.〈대한민국에서 온 사나이〉에서 주인공 이용은 봉양해야 할 부모도 이국땅에 두고 반란군에 참여하겠다는 의지를 밝히고,〈까마귀의 죽음〉에서 정기준은 사랑하는 여인마저 희생할 수 있었다. 또한, 〈너말통 할멈〉의 민족주의자‘나’는 일본의 차별과 억압에 대해 민족 교육을 위해 목숨 걸고 싸우겠다는 의지를 불태울 수 있었고, 〈뼛조각〉에서 주인공 용민은 폭력적일 수밖에 없었던 재일 1세대 아버지를 이해할 수 있었다. 재일 1세대의 이러한 민족주의적 각오는 모국이 두 개의 국가로 나뉨에 따라 변화하게 된다. 재일 사회도 민단과 총련으로 나뉘어 갈등을 겪게 되고, 일본 사회의 차별도 보다 심화되었기 때문이다. 그 어디에도 속하지 못한 제 3의 위치를 자각하게 된 재일 2세대의 문학에는 조국의 상실과 사회적 차별, 그리고 가난을 이기지 못한 재일 한민족의 자살이 눈에 띄게 증가한다. 고사명 〈세상이 안온하길〉에서 ‘아버지’는 재일 한민족으로서 어느 날 어디에도 속하지 못하고 있는 제 3의 위치를 인식하고 자살을 시도하며, 자살한 작가 김학영의 〈흙의 슬픔〉, 〈유리층〉에도 일본 사회의 차별을 감당하지 못하고 자살하는 주인공들이 등장하며, 이회성 「반쪽발이」에는 자살한 귀화자 친구를 통해 차별의 실체인 귀화문제가 집중적으로 나타난다. 재일 2세대 작가들의 작품에 나타나는 자살 모티프는 이분법적 세계관에 희생된 시대 폭력성을 상징한다. 하지만 시대의 폭력에 저항하고자 하는 의지가 완전히 꺾이진 않았으니, 이회성의 「죽은 자가 남긴 것」에서는 아버지의 장례를 계기로 양분된 교포 사회가 화합에 이르는 모습을 보여 주며 민족의 통일에 대한 의지로 확대되고 있다. 이분법적 세계관의 폭력성을 극복하려는 의지가 반영된 듯 이후 재일 3세대 작가들의 작품에서는 ‘죽음’에 의미와 양상이 각각 다양하게 전개 된다. 교포사회의 화합이 형상화된 김창생의〈세 자매 - 성묘이야기〉에서는 교포 자매의 성묘를 통한 조상숭배와 귀향의식, 재일 여성세대의 인생 유전 등이 세 자매의 화합이라는 형태로 나타나고 있다. 정윤희의 〈한여름의 꿈〉에서는 신체장애자인 누이의 임신과 낙태를 통해 세대를 이어나가는 생명 자체의 소중함을 강조하고 있다. 요절한 작가 이양지의 초기 작품 「나비타령」, 「해녀」에서는 오빠의 죽음으로 인한 가족 해체와 현실적 문제에서 벗어나기 위한 방법으로서의 ‘자살’이 2세대 작가들의 죽음 의식과 비슷한 형태로 제시된다. 하지만 이후 발표되는 「오빠」, 「갈색의 오후」에서는 가족의 죽음이라는 충격과 가족의 해체는 삶에 내재되어 있는 것이기에 극복하고 살아가야 한다는 깨달음이 나타나고 있다.

      • KCI등재

        재일 디아스포라 한국어 시문학 연구

        이미나 국제한인문학회 2019 국제한인문학연구 Vol.25 No.-

        재일 디아스포라 시문학을 총련계 작가와 총련을 탈퇴한 작가, 민단계 작가와 어디에도 소속되지 않은 작가들의 시적 특성을 고찰하여 주제의식의 측면에서 재일 디아스포라 시문학의 전개양상을 총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총련계 시문학의 주제의식을 민족교육의 중요성과 ‘조국’ 예찬과 통일 지향의 측면에서 살펴보았으며, 민단계와 그 외 시인들의 시세계를 고찰하면서 ‘재일’의 현실과 정체성의 혼란과 근원적 고향에 대한 그리움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당시 재일 동포들에게 빼앗긴 언어와 문화, 역사를 되찾아 민족성을 회복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었으며, 모국어를 모르는 자녀들에게 한글을 가르치는 것은 당연한 일이었다. 재일 동포가 빼앗긴 문화와 민족적 자긍심을 회복하고 ‘조국’과의 연계의식을 보존하기 위해 모국어를 사용하는 것은 정체성을 획득하는 중요한 일이었기에, 총련계 시인은 민족교육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강조하였고, 민족교육과 함께 ‘조국’에 대한 예찬이 중요한 주제로 나타났다. 총련계 시문학이 북한을 지향하는 것은 당시 북한의 적극적인 지원으로 인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민단계 시인과 그 외 시인들의 작품은 이방인으로서의 자의식과 ‘재일’의 현실과 근원적 고향에 대한 그리움을 표출하고 있으며, 총련계 시인들에 비해 고단하고 힘겨운 재일동포들의 현실을 보다 핍진하게 묘사하고 있다. 따돌림을 당하는 아이들의 안타까운 현실과 고물을 팔고 사며 어렵게 살아가는 ‘재일’의 현실을 구체적으로 보여주고 있으며, 총련계 시인들과 마찬가지로 고향에 대한 그리움이 주된 주제로 나타나고 있지만, 남과 북 어느 쪽으로도 편향되지 않은 근원적 고향을 향한 그리움을 그리고 있다. 재일 디아스포라 시문학의 전개양상을 총체적으로 살펴보고, 재일 한민족 문학 연구에 있어 배제되어 왔던 시문학을 전체적으로 조망하는 일은 향후 연구의 종합적인 토대를 마련하여 재일 한민족 문학을 보다 깊이 이해하는 데 일조하는 의의를 가질 것이다. This study examined the developmental aspects of diaspora poetry in Japan from a different angle by examining the poetic characteristics of Chong-ryeon(Korean who live in Japan and support North Korea) poetry writers, and writers who left it, and Min-dan(South Korean living in Japan), and writers who do not belong anywhere, The topic of Chong-ryeon poetry and literature was examined in terms of the importance of national education, the admiration of the fatherland, and the unification orientation. Research on Min-dan and the rest poets’ tendencies were mainly focused on the confusion of reality and identity of “Korean-Japanese” and the longing for hometown. It was very important to restore nationality by regaining the language, culture, and history that had been taken away at that time, and it was natural to teach Korean to children who do not know their first language. The use of the mother tongue was important to restore the culture and national pride that had been taken away and preserve the sense of connection with the 'country'. Chong-ryeon poets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educating ethnicity, and the praise of 'the motherland' appeared as an important theme. The general poetry's pursuit of North Korea can be attributed to active support from North Korea. The works of the Min-dan poets and other poets express the self-consciousness as outsiders, the reality of ‘Korean-Japanese’, the longing for hometown, and portray the harsh reality of Korean-Japanese more realistically than Chong-ryeon poets. It shows the sad reality of bullied children and people who sell antiques in detail, and the longing for hometown is the main theme as Chong-ryeon artists, but it is not biased toward both North and South, but rather portraits a craving for hometown. A comprehensive look at the development of Korea-Japanese diaspora poetry and an overall view of poetry that has been excluded from the study of Korea-Japanese literature will have a meaning to help deepen understanding of Korea-Japanese literature by providing a comprehensive foundation for future research.

      • KCI등재

        재일조선인 문학을 호명하는 한국문학의 지형도

        윤송아 ( Song Ah Yoon ) 우리어문학회 2013 우리어문연구 Vol.45 No.-

        본고는 재일조선인 문학이 한국문학의 영역 안에 통합적으로 범주화되는 과정(시도)과 그 시대사적 맥락을 추출하고 그에 따른 한국문학 연구자들의 연구 동향을 개괄적으로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988년 해금조치 이후 ‘한민족 문학’ 혹은 ‘한국문학의 세계화’ 논의와 연동하여 한국문학 내에서는 남북한 문학 및 재외 한인 문학을 아우르는 통합적 한국문학사 서술의 당위성이 제기된다. 국적, 언어, 세대, 이데올로기를 뛰어넘은 보편적 세계문학으로서의 ‘한민족 문학’의 구상은 홍기삼, 김종회, 장사선 등의 연구 작업을 통해 다양한 접근 통로가 모색됨으로써 점진적으로 새로운 한국문학 지형도를 조성할 단초를 마련한다. 이러한 시대사적 맥락과 조응하여 한국문학계 안에서는 우선적으로 ‘조선어’ 문학을 중심으로 한 재일조선인 문학 연구 작업들이 이루어진다. 숭실대 공동 연구팀의 연구서(한승옥 외, 『재일동포 한국어문학의 민족문학적 성격 연구』, 국학자료원, 2007; 김학렬 외, 『재일동포 한국어문학의 전개양상과 특징 연구』, 국학자료원, 2007)와 하상일, 최종환 등의 재일조선인 시문학 연구는 지금까지 재일조선인 문학 내부에서 공백으로 남겨졌던 재일조선인 ‘조선어 문학’의 위상을 재조명하고 그 총체적 맥락을 살피는 선행 연구로서 주목할 만하다. ‘한민족 문학사’ 서술이라는 한국문학의 거시적 목표는 일차적으로 ‘통합적 재일조선인 문학사’ 서술로부터 가능할 것이다. 언어와 이데올로기 혹은 남북 한과의 차등적 관계를 극복한 지점에 재일조선인 문학 및 연구의 출발점을 두고 재일조선인의 실존적 삶의 형태에 기반하여 재일조선인 문학을 바라봄으로써 우리는 통합적이고 균형 잡힌 재일조선인 문학사 및 세계문학으로서의 ‘한민족 문학’을 전망해볼 수 있을 것이다. This thesis aims to extract the process (attempt) of the Korean Japanese Literature being integrated and categorized into the boundary of Korean Literature and the historical context, and to generally consider the study trend of Korean Literature researchers accordingly. Since the action to lift the ban in 1988, interlocked with discussion on ``Korean Race Literature``, or ‘Globalization of Korean Literature``, the rightfulness of description on Korean Literature history, which embraces the South and North Korean Literature and the Literature of overseas Koreans has been raised within Korean Literature. The plan of ``Korean Race Literature`` as the universal global literature which surpasses nationality, language, generation, and ideology gradually prepares the root stage to form the geography of Korean Literature,as the various pathways to approach are discovered through the study process of Hong, Gi-Sam, Kim, Jong-Hoi, Chang, Sa-Sun, etc. Corresponding to this historical context, research work on Korean Japanese Literature centered preferentially on ``Chosun Language`` Literature is being performed within the Korean Literature world. A Research Report of the SoongShil University`s Joint Research Team (by Han, Seung-Ok et al., “Study on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Literature by the Korean Japanese as national literature”, National Culture and Heritage Reference Center, 2007; by Kim, Hak-Ryul et al., “ Study on the Changing Process and characters of the Korean Literature by the Korean Japanese”, National Culture and Heritage Reference Center, 2007) and the study on the Korean Japanese Poetry by Ha, Sang-Il, Choi, Jong-Hwan, etc. is worthy of notice as the advanced research which sheds new light on the status of ``Chosun Language Literature`` of the Korean Japanese that was left as a gap inside Korean Japanese Literature until now and observes the overall context. The macroscopic goal of Korean Literature, the depiction of the ``Korean Race Literature History`` would be enabled primarily from the depiction of the ‘Integrated History of the Korean Japanese Literature``. Through the view on the Korean Japanese Literature based on the existential life form of the Korean Japanese with the starting point of the Korean Japanese Literature and Study where the language and ideology, or the graded relationship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s are overcome, we will be able to foresee the integrated and balanced Korean Japanese Literature History, and the ``Korean Race Literature`` as the global literature.

      • KCI등재

        <총련>계 재일 디아스포라 시문학 연구 -김학렬의 시를 중심으로-

        하상일 ( Sang Il Ha ) 한민족문화학회 2011 한민족문화연구 Vol.36 No.-

        이 논문은 재일 디아스포라 시인 김학렬을 연구한 것이다. 김학렬은 해방 이후 재일 디아스포라 시문학의 역사에서 허남기, 강순, 남시우를 잇는 2세대로서, <총련>계 재일 디아스포라 시문학의 이론적 토대를 정립하는 데 기여한 비평가인 동시에, <총련>계 재일 디아스포라 시문학의 전개 과정과 변화양상을 통체적으로 담아낸 대표적인 시인이다. <총련>계 재일 디아스포라 문학 활동은 『문학예술』, 『겨레문학』, 『종소리』 등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문학예술』은 <문예동>의 이념과 정체성을 가장 충실하게 반영하고 실천한 <총련>계 재일 디아스포라 문학의 가장 대표적인 잡지로, 김일성의 교시를 토대로 <총련>의 이념적 지향성과 <문예동>의 창작 방향을 제시하는 데 집중함으로써, 사실상 북한의 문예이론에 입각한 <총련>계 재일 디아스포라 문학 활동의 지침서이자 대표적인 발표 지면으로서의 역할을 했다. 『문학예술』의 휴간 이후 <총련>계 재일 디아스포라 문학은 『겨레문학』과 『종소리』를 통해 이어나갔는데, 특히 『종소리』의 창간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2000년 이전까지 재일조선인 시문학의 발전과정은 재일조선인 사회운동의 발전 단계와 특성에 따라 크게 세 단계로 나눌 수 있는데, 첫째는 공화국 창건 이후 <총련>이 결성되기 이전까지의 시기(1948년 9월~1955년 4월)이고, 둘째는 <총련> 결성 이후 김일성 주체사상을 바탕으로 창작의 기치를 드높이던 시기(1955년 5월~1973년)이며, 셋째는 재일조선인들의 조국방문을 시작으로 사상예술성의 강화가 이루어진 시기(1974년~1990년대)이다. 이러한 재일조선인 시문학의 흐름에서 『종소리』의 창간은 넷째 시기의 시작을 의미한다. 즉 시 창작에 있어서 사상성과 예술성의 조화를 모색하는 뚜렷한 변화를 보여주었다는 점에서, 『종소리』의 출현은 <총련>계 재일 디아스포라 시문학의 획기적인 전환점이 되었다고 할 수 있는 것이다. 김학렬의 시세계는 2000년 『종소리』에 창간 이전까지는 북한문학의 지도노선에 충실하여 수령 형상 창조와 조국(북한)에 대한 찬양 일변도의 작품을 썼다. 하지만 『종소리』에서는 이러한 경향을 직접적으로 형상화한 작품은 사실상 전무하고 근원적 고향의식에 바탕을 둔 통일에 대한 열망이나 재일조선인의 생활상을 통해 민족공동체의 모습을 형상화한 작품이 대부분이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그의 시세계의 변화를 주목함으로써<총련>계 재일 다아스포라 시문학의 전개 양상을 동시적으로 살펴보았다. This study looked into the poet Kim hak-ryeol, the Korean-Japanese Diaspora. After liberation, the Korean-Japanese Diaspora poetry started from Huh nam-gi, Kang Sun, and Nam si-woo, and it was transferred to Kim si-jong, Kim Yun, Jung hwa-hum, Kim hak-ryeol, and Jung hwa-su. Kim hak-ryeol`s poetry world was based on the yearning toward his mother country, our fundamental emotion. Kim hak-ryeol`s poetry showed strong politics including the pro-North Korea and anti-South Korea as a Chongryun member while dealing with ordeals and pains Koreans went through. His poetry announced right after making Chongryun showed socialistic realism while expressing straightly admiration for North Korea, and sneers and criticism for North Korean politics. In addition, he announced the purposeful poetry of propaganda supporting actively Chongryun`s patriotic projects. His poetry shows the point of confusion that seems hard to be considered as the one person`s poetry world because of a conspicuous gab between pre-and post- Chongryun of 1955. This resulted from the inner conflict and hurt that he could not but go through as the Korean who experienced the history of national division under the Japanese imperialism. His poetry definitely became the most significant guide to overall understand the history and meaning of the Korean-Japanese Diaspora after liberation. After liberation, the Korean-Japanese Diaspora poetry was based on historical consciousness and ideology of the Korean-Japanese who internalized their hurt of colonization and division. Therefore, most of works tried to stand for realistic nature directly showing political social issues, instead of focusing on deepening the lyricism to condense personal emotion to the indentified world. As post-nationalism, post-society discourse is currently appearing as the important issue beyond the boundary of race and nation, the perspective of ``Diaspora`` and problem awareness have attracted attention as the effective discourse to understand and analyze the rapidly changing world. Kim hak-ryeol`s poems have an important literary meaning as the text containing such the problem awareness.

      • KCI등재

        1960~80년대 재일(在日) 종합문예지 『한양』과 재일조선인문학의 영향

        하상일 한민족문화학회 2023 한민족문화연구 Vol.82 No.-

        본 논문은 1960~80년대 간행된 재일 종합문예지 『한양』을 통해 한국문학과 재일조선인문학의 교섭과 영향 관계를 실증적으로 논의한 것이다. 이를 바탕으로 1960년대 이후 한국문학사와 재일조선인문학사의 외연을 확대함으로써 한민족문학사의 기초적 정리 작업을 수행하는 데 목표가 있다. 따라서 우선적으로 1960~80년대 재일종합문예지 『한양』에 게재된 문학작품에 대한 전반적인 서지 정리를 기초 자료로 삼아, 1960~80년대 한국문학과의 교섭과 재일조선인문학의 영향을 비교문학적으로 연구하는 데 초점을 두었다. 첫째, 『한양』 게재 재일조선인문학의 주요 작품과 작가 현황을 시, 소설, 비평 및 산문으로 구분하여 대략적으로 추정한 통계 자료를 정리하고, 각 장르별 주요 문인과 장르별 특성에 대한 개략적인 논의를 하였다. 둘째, 『한양』과 1960~80년대 재일조선인문학의 영향을 시, 소설, 비평 분야로 나누어 그 주제와 개별 문인의 작품 세계를 개략적으로 살펴보았다. 시의 경우는 조국에 대한 양가적 인식과 재일조선인으로서의 민족정체성의 구현이, 소설의 경우는 재일의 실존과 생활에 대한 인식과 한국의 주체적 근대화를 위한 방향성 제고가, 비평의 경우는 전통의 주체적 인식과 참여문학의 논리가 주된 내용을 이루었음을 알 수 있었다. 지금까지 『한양』연구는 시, 소설, 비평 등 장르 연구, 비평사의 계보를 중심으로 한 매체 연구가 중심이었다. 이러한 기초적 연구 토대 위에서 앞으로 『한양』연구는 작가론, 주제론, 작품론 등 세부적인 논의로 심화될 필요가 있다. 1960~80년대 『한양』 연구는 1960년대 이후 한국문학사의 재인식과 재구성을 위해서 반드시 검토되어야 할 매체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정리된 1960~80년대 『한양』 게재 재일조선인 문학작품 목록과 재일조선인문학의 영향에 대한 개괄적 이해는, 한국문학사의 외연 확대와 문학사의 확장을 위한 기초적인 자료로서 중요한 의미를 지닐 것으로 기대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