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새로운 패러다임 구축을 위한 ‘출판’의 재개념화 연구

        김기태(Kim, Ki-Tae) 한국출판학회 2010 한국출판학연구 Vol.36 No.1

        This study proposed the implementation of new ‘publishing paradigm’ under the recognition as saying that ‘re-conceptualization in publication’ is absolutely necessary, based on essence of the publishing medium, which is effective even in the 21st century. Based on this, it examined the conceptual limitation of relevant definitions such as the existing ‘book’, ‘reading’ and ‘publishing’ and suggested new paradigm through ‘re-conceptualization’ in ‘book,’ ‘reading,’ and ‘publishing’ based on this. On the other hand, this study was progressed with the aim of forecasting new publishing paradigm based on an effective change such as improvement in policy and legislation of surrounding the publishing environment, as effect available for expectation, on the basis of this research result. First of all, what is ‘a book’ has been understood in the meantime as “non-periodical publication, which was published at home and abroad and printed at least more than 49 pages(except cover), which are offered to the use of the public.” It examined a point that this book is also divided its kind according to contents or title, selling market and distributing method, and book size and book-binding type. Also, it confirmed a fact that ‘reading’ as “behavior of reading a book or writing” passes through the process that a reader selects any book and work, the process of interpreting and comprehending, which proceeds with reading a book, and the process of re-constructing own life by the influence of reading a book after reading a book. In addition, it minutely examined its meaning of the ‘publishing’ as “behavior of economic and cultural communication of pursuing profit in its return for satisfying their mental desire or interest, by which book publisher or publishing company offers books, which it obtained, arranged and manufactured manuscript or original painting, which is writing of oneself or author, with selling tool or other method.” A researcher first re-conceptualized ‘a book’ as a meaning as saying that “as a book is what was officially announced targeting the public, which are the specific majority or non-specific majority, it should be used by the public as a reader with a purchasing or borrowing method. At this time, its use form shouldn't be limited only to ‘reading’ and should be analyzed as a concept of including what uses ‘seeing’ and ‘listening’ or utilizes ‘writing’ simultaneously based on synesthesia.”Next, it re-conceptualized ‘reading’ as follows. “Reading implies is behavior of progressing the reading, seeing, listening, or simultaneously reading, seeing, and listening the media, which was given ISBN (International Standard Book Number) through book number center of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which has its contents as writings, which were expressed a human being's thought or emotion as what was officially announced targeting the public, which are the specific majority or non-specific majority.” Finally, ‘publishing’ was re-conceptualized as follows. “Publishing implies cultural and social activity of achieving public goal or pursuing profit as well by distributing writings, which were expressed a human being's thought or emotion, to readers, by reproducing the majority or mounting those in several electronic devices in the form of a book, by using a printing technique or mechanical, chemical and electronic method through creative editing activity.” 이 연구에서는 21세기에도 유효한 출판 매체의 본질성에 입각하여 ‘출판의 재개념화’가 절대적으로 필요하다는 인식 아래 새로운 ‘출판 패러다임’의 구축을 제안하고 있다. 이에 기반하여 기존의 ‘책’, ‘독서’ 그리고 ‘출판’ 등 관련 정의들의 개념적 한계를 살펴보고,이를 바탕으로 ‘책’, ‘독서’ 그리고 ‘출판’의 ‘재개념화’를 통한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는 한편, 이러한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기대할 수 있는 효과로서 출판 환경을 둘러싼 정책적․ 법제적 개선 등 실효성 있는 변화에 기초한 새로운 출판 패러다임을 전망하는 데 그 목적을 두고 진행되었다. 먼저 ‘책’이란 그 동안 “국내외에서 출판되어 공중의 이용에 제공되는 최소한 49쪽(표지제외) 이상의 인쇄된 비정기간행물”이라고 이해되어 왔으며, 이러한 책은 또한 내용이나 주제, 판매 시장과 배포 방법, 판형 및 제본 형태 등에 따라 그 종류를 나누기도 한다는 점을 살펴보았다. 또, “책 또는 글을 읽는 행위”로서의 ‘독서’는 독자가 어떤 책과 작품을 선택하는 과정, 책을 읽어가는 해석․해독의 과정, 책을 읽은 뒤 책 읽기의 영향에 의해 자신의 삶을 재구조화하는 과정을 거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아울러 “서적 발행인 또는 출판사가 자신 또는 저작자의 저작물인 원고 또는 원화를 입수.정리.제작한 서적을 판매기구 또는 기타의 방법으로 독자에게 제공하여 그들의 정신적 욕구나 흥미를 만족시켜주고 그 대가로 이윤을 추구하는 경제적 및 문화적 커뮤니케이션 행위”로서의 ‘출판’에 대하여 그 뜻을 자세히 살펴보았다. 연구자는 우선 “책은 특정다수 혹은 불특정 다수인 공중을 대상으로 공표된 것으로서 독자로서의 공중이 구매 혹은 대여의 방식으로 이용할 수 있어야 한다. 이때 그 이용형식은 반드시 ‘읽기’로만 한정되지 않으며, ‘보기’와 ‘듣기’ 등을 이용하거나 ‘쓰기’를 동시에 공감각적으로 활용하는 것까지 포함하는 개념으로 해석하여야 한다.”는 뜻으로 ‘책’을 재개념화하였다. 다음으로 ‘독서’는 다음과 같이 재개념화하였다. “독서란 특정다수 혹은 불특정 다수의 공중을 대상으로 공표된 것으로서 인간의 사상이나 감정이 표현된 저작물을 그 내용으로 하는, 국립중앙도서관 문헌번호센터를 통하여 국제표준도서번호(ISBN)가 부여된 매체를 읽거나 보거나 듣거나 혹은 동시에 읽기·보기·듣기를 진행하는 행위를 말한다.”끝으로 ‘출판’은 다음과 같이 재개념화하였다. “출판이란 인간의 사상이나 감정을 표현한 저작물을 창의적인 편집활동을 통하여 인쇄술 또는 기계적.화학적.전자적 방법을 사용하여 책의 형태로 다수 복제하거나 각종 전자기기에 탑재하여 독자에게 분배함으로써 공익의 목적을 달성하거나 이윤을 추구하기도 하는 문화적·사회적 활동을 말한다.”

      • KCI등재

        수업 전문성 재개념화 연구 동향 및 과제

        진영은(Youngeun Chin),함영기(Younggi Ham) 한국열린교육학회 2009 열린교육연구 Vol.17 No.2

        전통적으로 교사의 수업 전문성을 신장하기 위하여 행해진 방법은 '효과적인 수업'에 초점을 두고 교사의 자질을 향상시키는 것이었다. 이러한 관점에서 교사에게 필요한 능력은 해박한 교과지식과 수업기술이다. 그러나 최근 교과지식과 수업기술의 연마를 핵심으로 하는 수업 전문성 신장 방식을 비판하며 이에 대한 대안적 관점을 주장하는 의견들이 활발하게 제시되고 있다. 대안적 관점의 연구들은 학습자에게 축적되는 지식의 성격과 교사의 역할을 재정립해 보려는 시도에 초점을 두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시도에도 불구하고 수업 전문성의 재개념화를 위한 여러 주장들은 이론적, 선언적 수준에 그치면서 실제 교수·학습 장면에서 충분한 적용을 거쳐 실전적인 모습으로 가시화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 연구에서는 그동안 개별적으로 진행되어온 수업 전문성의 재개념화 관련 연구들을 체계적으로 수집, 분석하여 통합적 이해의 바탕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아울러 대안적 관점끼리의 비교, 분석을 통하여 현 단계에서 수업 전문성의 재개념화 연구의 동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수업 전문성의 재개념화 관련 연구물을 몇 개의 범주로 유형화하여 비교, 분석하고 향후 실천적 재개념화를 위한 과제를 탐색하였다. Traditionally, the method of improving the teacher's teaching professionalism is enhancing the teacher's quality focused on the effective instruction. In this respect, the ability needed to the teacher is the extensive knowledge on the subject and instructional skills. However, recently, criticizing the improving type of the Teaching professionalism focusing on textual knowledge and research of instructional skills, opinions asserting the alternative respects are suggested positively. The studies of alternative respect are focused on the efforts examining characteristics of knowledge accumulated on the learner and the attempts reshaping the teacher's role. But this attempt is deferred to the declarative argument because it isn't verified enough in the practicing process. This study is for collecting and analysing systematically each assertion on the reconceptualization of Teaching professionalism processing respectively, making synthetic understanding possible. Moreover, through the comparison and analysis between the alternative respects, this study aims at grasping the level of the study of reconceptualization of Teaching professionalism at present phase. For that, this study makes the researches related to the reconceptualization of Teaching professionalism into a few categories, comparing and analyzing them, searching the assignments for practicing reconceptualization afterwards.

      • KCI등재

        코로나 19 이후 교육과정 재개념화 방향 탐색

        윤옥한 사단법인 미래융합기술연구학회 2022 아시아태평양융합연구교류논문지 Vol.8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future of education by exploring the direction of curriculum reconceptualization after COVID-19. The research method is literature synthesis. The review of the research literature resulted in the following findings. First, the reconceptualization of educational objectives must educate a new value chain. Education on a new value chain is needed to create a better order to replace the previous status quo of modern society. Second, the reconceptualization of the curriculum requires the formation and implementation of a convergence curriculum in order to foster creative convergence-type abilities adept for future society. Third, the reconceptualization of educational methods must realize various educational methods suitable for the changed learning tendencies of the digital generation.Fourth, for the reconceptualization of education methods, process-based paper-and-pencil evaluations and process-oriented performance evaluations should be balanced. In addition, absolute evaluation rather than relative evaluation is required. It is difficult to reconceptualize the formal decision process in the school field, but it is possible to reconceptualize the performance process. In this respect, it is believed that it will be helpful to nurture talented individuals suitable for future society if teachers are interested in even a partial reconceptualization of the curriculum. 이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19 이후 교육과정 재개념화 방향을 탐색하여 미래 교육의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은 문헌연구이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목적 재개념화는 새로운 가치사슬을 교육해야 한다. 지금까지 현대 사회를 유지해 온 질서 대신 새로운 질서를 창출하기 위한 새로운 가치사슬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다. 둘째, 교육과정 재개념화는 미래 사회에 적합한 창의 융합형 인재육성을 위해서는 융복합 교육과정 구성 및 운영이 필요하다. 셋째, 교육방법 재개념화는 디지털 세대의 변화된 학습 성향에 맞는 다양한 교육방법을 실현해야 한다. 넷째, 교육평가 재개념화는 과정중심 지필평가와 과정중심 수행평가가 균형 있게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상대평가보다는 절대평가가 필요하다. 학교 현장에서는 공식적 결정 과정을 재개념화하는 것은 어렵다 그러나 수행과정에 대한 재개념화는 가능하다. 이러한 측면에서 일부만이라도 교사가 교육과정을 재개념화하는 것에 관심을 갖고 노력할 경우 미래 사회에 적합한 인재양성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판단된다.

      •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 종교교육의 재개념화에 관한 시론

        박정현,이재일 통일사상학회 2021 통일사상연구 Vol.20 No.-

        본 연구는 하늘부모님성회시대를 맞아 지금까지 이루어진 가정연합 교육의 현실 을 바탕으로 가정연합 교육의 문제점을 살펴보고 참부모님의 말씀을 근거로 하여 교육에 대한 재개념화를 시도해보고자 하였다. 지금까지 가정연합의 교육은 교사 중 심으로 말씀을 가르치고 전달하는 지식교육, 주입식교육에 중점을 두었다. 즉 가정 연합 교육을 말씀이해중심 교육으로 이해하였고, 그러한 결과로 신앙과 생활이 연결 되지 못하는 경향이 있었다. 이러한 가정연합의 교육상황으로는 하늘부모님의 창조 이상을 실현하기가 쉽지 않으므로, 참부모님의 말씀을 중심으로 가정연합 교육의 재 개념화를 시도하였다. 그 결과 가정연합 교육을 “하늘부모님‧참부모님의 심정과 우 리의 생활이 일치될 수 있도록 하는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교육적 활동”으로 재개념 화하였다. 이것이 의미하는 바는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다. 가정연합의 교육은 첫째, 하늘부모님의 심정을 아는 것만이 아니라 체휼하여 하늘부모님의 심정과 규범과 창 조성을 닮도록 하는 것이다. 둘째, 단순히 말씀을 가르치고 배우는 것만이 아니라 말씀을 익혀 말씀의 실체가 되도록 하는 것이다. 셋째, 행동이 없는 말뿐인, 믿음뿐 인, 앎뿐인 신앙이 아니라 바른 실천(praxis)을 통해 신앙이 생활이 되도록 하는 것이 다. 이상과 같이 가정연합 교육에 대한 인식을 말씀으로 본 교육의 본질로 전환하여 하늘부모님의 창조이상을 실현해 나갈 수 있어야 한다. This study attempts to proffer three methods in reconceptualizing the FFWPU’s religious education in the era of Heavenly Parent’s Community, based on True Parents’ Words. In addition, the root cause of the current conceptualizations of the FFWPU’s education is addressed. Until now, the FFWPU’s education has been focused on teacher-centered and knowledge-centered education, with a passive learning environment. In other words, the education passively presented True Parents’ Words, which was not the true education of linking practicing faith with True Parents’ Words. Since it is not easy to realize the Ideal of Creation of Heavenly Parent through the current conceptualizations of FFWPU’s education, this study proposes that the FFWPU’s education should be reconceptualized as “a professional and systematic educational activity that aligns daily lives to the heart of Heavenly Parent and True Parents.” Specifically, what this means is as follows. Firstly, FFWPU’s education should not only guide people in understanding Heavenly Parent’s Heart, but also to become like Heavenly Parent, with methods of substantially inheriting Heavenly Parent’s heart, rules and the ideal of creation. Secondly, religious education is not just reading texts, but the education should also guide people in becoming the substantial self of True Parents’ Words. Lastly, faith can’t stand alone without praxis. It is to reinforce practicing faith in everyday life. As described above, in order to realize the Ideal of Creation of Heavenly Parent, shifting the paradigm of FFWPU’s education must be accomplished by implementing the fundamentals of education, based on True Parents’ Words.

      • KCI등재후보

        대한예수교장로회(통합) 청소년부 GPL+ 공과 교육과정 분석 교육과정의 재개념화를 중심으로

        최진성 평택대학교 피어선기념성경연구원 2022 피어선 신학 논단 Vol.11 No.2

        This paper is a study on the curriculum analysis and alternatives of youth bible study textbooks used for the purpose of youth faith education. In particular, the GPL+ curriculum published by the Presbyterian Church of Korea (PCK), a representative church in Korea, was analyzed. To this end, the reconceptualization claimed by Piner was used as the basis for the macro perspective. The reason is that the reconceptualization focuses not only on the individual’s autobiographical aspect but also on social change. Therefore, we first looked at the concept of reconceptualization. Next, for the overall understanding of the curriculum published by the Presbyterian Church of Korea (PCK), the curriculum change, the current fourth curriculum, the GPL curriculum, and the GPL+curriculum, which is the analysis target of this study, were examined. The reconceptualization presented above has the characteristic that, theoretically, it cannot be defined in any one category. In order to reconceptualize the existing curriculum based on this conceptual basis, a new framework of analysis according to contemporary and cultural standards is required today. Therefore, the concept of post-conventionality was used as an analysis standard. Post-conventionality can be a criterion for analysis because it is a theory derived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postmodern society, not on the ideas and concepts of modern society. Specifically, the GPL+ curriculum was analyzed in the areas of relationship, equality, and openness, which are the three characteristics of post-conventionality. Currently, conventional characteristics remained in the GPL+ curriculum. It limited faith to a personal level, contained genderdiscriminatory educational content, and was silent on multiple cultures and social issues that are important in public faith education today. Therefore, I originally suggested that the curriculum should include not only the recovery of the goals and purposes of the GPL+ curriculum, but also the education of trinity empathy that can solve various conflicts and problems occurring in individuals, churches, society and culture, and even our society. 본 논문은 청소년 신앙교육의 목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청소년 공과교재의 교육과정 분석 및 대안에 관한 연구이다. 특히한국에 있는 다양한 교단 중 대표적 교단인 대한예수교장로회(통합)에서 출판하고 있는 『GPL+』교육과정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파이너가 주창한 재개념화를 거시적 관점의 기준으로삼았다. 그 이유는 재개념화에는 개인의 자서적 측면만이 아니라 사회 변화에도 초점을 맞추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먼저 재개념화 개념에 대해 살펴보았다. 다음으로대한예수교장로회(통합)에서 출판하고 있는 교육과정에 대한 전반적 이해를 위해 교육과정의 변화과정과 지금의 4차 교육과정인 『GPL』교육과정, 그리고 본 연구의 분석대상인『GPL+』 교육과정에 대해 살펴보았다. 앞서 제시한 재개념화는 이론적으로 볼 때, 어느 한 범주에 두고 정의할 수 없다는 특징을 가진다. 이러한 개념적 기초로 기존의 교육과정을 재개념화하기 위해서는 오늘날 시대적, 문화적 기준에 따른 새로운 분석의 틀이요구된다. 이에 탈인습성 개념을 분석 기준으로 삼았다. 탈인습성은 근대사회 사상과 개념이 아닌 후기현대사회 특징을 기반으로 도출된 이론이기 때문에 기독교교육학적으로 분석의 기준이 될 수있다. 구체적으로 탈인습성의 세 가지 특징인 관계성, 평등성, 개방성의 영역에서 『GPL+』교육과정을 분석하였다. 현재『GPL+』교육과정에는 인습적인 특징이 남아있었다. 신앙을 개인적인 차원으로 제한하고, 남녀차별적인 교육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오늘날 공적신앙교육에 있어 중요한 다문화와 사회문제에 대해 침묵하고 있었다. 따라서 필자는 본래 『GPL+』 교육과정 목표와 목적의 회복만이 아닌 개인과 교회, 사회와 문화, 나아가 우리 사회 속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갈등과 문제를해결할 수 있는 삼위일체론적 공감의 교육이 교육과정에 포함되어야 할 것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윤리함의 재개념화와 도덕과 수업에서의 실행

        김국현 한국윤리학회 2017 倫理硏究 Vol.117 No.1

        The aim of this paper were to analyze meaning of concept of ‘doing ethics’ which was newly proposed in 2015 revision moral education curriculum and discuss the direction and methods for reconceptualization of that concept. There is a lack of terminology clarity around the concept of ‘doing ethics’. This vagueness arises from the problems in conceptualization. For the reconceptualization of the concept of ‘doing ethics’, problems of concept were analyzed through methods of a meaning analysis, an inclusion analysis, an exclusion analysis, analysis of theoretical necessity, and social forces such as national needs for character education. And, clarification of meaning of tao, virtue, logical setting constructs or subconcept of the concept of doing ethics, research on teaching-learning and evaluation for the effective implementation of doing ethics in moral classroom. 본 논문은 2015 개정 도덕과 교육과정상의 윤리함의 의미를 분석하고, 재개념화를 시도하면서 도덕과 수업에서의 윤리함을 실행하는 방안을 논의한다. 본 논문은 재개념화를 파이너(w. Pinar)의 지속적인 개념 재정의라는 의미로 사용하면서 재개념화 방법을 근거로 윤리함의 개념을 명료화하기 위한 이론적 논의를 제시한다. 윤리함을 재개념화하기 위해 의미 분석, 포괄 분석, 배제 분석, 이론적으로 필수적인 것, 인성교육 등과 같은 국가․사회적 요구를 중심으로 개념을 비판적으로 분석한다. 그리고 윤리함의 하위 개념 또는 구성요소의 논리적 설정 등을 토대로 도덕과 교육에서 윤리적 기능과 도덕적 성찰능력을 교수・학습함으로써 학생들이 윤리함을 효과적으로 함양하도록 하는 수업 실행 방향과 방안을 생활과 윤리 과목을 중심으로 논의한다.

      • KCI등재

        교사 전문성의 재개념화에 관한 연구

        김옥예(kim ok-ye) 한국교육행정학회 2006 敎育行政學硏究 Vol.24 No.4

        이 연구는 교사 전문성의 개념을 분석하고 교사 전문성을 재개념화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서 교사 전문성에 대한 문헌을 분석하였으며 신념, 지식, 기술의 세 요소를 추출하고 교육환경의 변화와 교사의 역할 변화를 고려하여 참된 전문성, 잠재된 전문성, 정체된 전문성의 개념을 첨가하였다. 재개념화에 의하면 교사 전문성은 교사 개인이 신념과 지식을 기반으로 경험과 훈련을 통해서 기술을 쌓고 상황에 알맞게 교직을 수행하는 능력을 의미하며 신념기반 전문성, 지식기반 전문성, 기술적 전문성, 참된 전문성, 잠재된 전문성, 정체된 전문성이 있다. 교사 전문성의 재개념화는 교사 전문성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 발전 방안을 탐색하는데 기초자료로 사용될 것이며 이 연구를 통해서 신념 지식, 기술이 잘 조화된 참된 전문성은 학생, 교사, 학부모 모두에게 만족과 발전을 가져다 줄 수 있지만 정체된 전문성은 발전을 저해할 수 있으므로 전문성이 정체되지 않도록 지속적으로 관리하고 개발해야 함을 시사 받을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e analysis of concept and reconceptualization of teacher`s profession. For these objectives, first, analyzed the journals and books and find out the concept of the teacher's profession. And then, divided common elements into three parts - belief, knowledge and technology. At last, made the model that based on these. Through this process, the concept of teacher`s profession is teacher`s teaching capacity that based on belief, knowledge and trained technology. There are six profession - belief-based profession, knowledge-based profession, technological profession, potential profession, stationary profession and authentic profession. Belief-based profession is connected with ethics and attitude. Knowledge-based profession is knowledge of the curriculum and use of that. technological profession is know-how that we can get through the teaching performance. Potential profession is belief, knowledge, technology that hidden and do not improve but become improve to authentic profession. Stationary profession is immature belief, knowledge, technology. Authentic profession is united belief, knowledge, technology and it gives comfortable feelings and happiness to the teachers and students. This reconceptualization will present the course for development of the teacher's profession.

      • KCI등재

        포스트모더니즘의 합리성에 근거한 한국교육의 재개념화

        정석환(Chung Seok-Hwan) 한국비교교육학회 2008 比較敎育硏究 Vol.18 No.3

          본 연구는 모더니즘의 합리성과 포스트모더니즘의 합리성을 비교하고 한국교육의 재개념화를 위한 이론적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모더니즘성과 포스트모더니즘의 합리성을 비교 논의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국교육의 문제점을 분석할 개념적 준거를 도출하였다. 다음으로 한국교육의 문제점을 비판적으로 분석하고 포스트모더니즘의 합리성 이론에서 제안된 아이디어와 앞서 도출된 개념적 준거를 통합적으로 논의하여 한국교육의 재개념화 방향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포스트모더니즘 합리성의 특징인 ‘반정초성’, ‘서사적 지식’, ‘구성적 언어관’, ‘언어게임의 규칙활용’ 등의 개념은 모더니즘의 합리성이 초래한 ‘탈맥락성’, ‘비인간화’ 등의 문제점을 극복할 틀로 활용될 수 있음을 제안하였다. 한국교육의 문제점을 고려하고 제안된 개념 틀을 활용하여 도출된 새로운 한국교육의 방향은 ‘상황적 교육목적’, ‘차이를 존중하는 교육과정’, ‘상상력의 고양과 탐구의 교육내용’, ‘실천적 교사관’ 등으로 정리된다. 한국교육의 새로운 재개념화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 제안된 교육개념들을 실체적으로 구체화하는 교육적 시도와 노력이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concept of the rationality of modernism with that of postmodernism and to seek for the significance of the rec onceptualization of Korean education based on its results.<BR>  First of all, the rationality of modernism and postmodernism were being compared and discussed. Second of all, the status quo of Korean education was criticized based on the previous results and theoretical proposals were given for a new reconceptualization of Korean education. It was pointed out that the rationality of modernism became a grand narrative and functioned as an absolute standard to judge the whole. Effected by modern rationality, the Korean education was developed through the fundamental objective of an education, which is to reflect needs and interests of various individuals, with isolated competition and logic of efficiency. Therefore it is difficult for the rationality of modernism to be accepted as one of basic principles that consists Korean education positively. Under this context, theoretical foundations for a reconceptualization of Korean education were indicated with characteristics of rationality of postmodernism, such as anti-foundationalism, reasonableness, organizational discourse, and practical use of language game"s rules. It is necessary for the Korean education, which has deviated from original functions of education, to be reconceptualized through situational education objective, organizational education process, explorable educational contents and practical teachers which have been discussed from the rationality of postmodernism analysis.

      • KCI등재

        대학 교양교육과정을 위한 역량의 재개념화-Sen의 잠재가능성 접근과 Vallance의 다양한 앎을 중심으로

        허영주 한국교양교육학회 2017 교양교육연구 Vol.11 No.4

        The purpose of the thesis is to explore that competency’s re-conceptualization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what promptly meet the needs of the times compatible with fundamental reason of its, focusing on theoretical exploration about Sen’s capability approach and Vallance’s ways of knowing. For this purpose, first, it urge the needs of re-conceptualized competency that meet the needs of the times as competitive power compatible with fundamental reason of its for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Second, it argue that existing functional definition of competency can satisfy the needs of the times, but may not serve that live an independent life and develop wide ability to look at life as fundamental reason of general education. Third, it get to know that Sen’s capability approach can to satisfy that build human with occupational knowledge and function compatible with contribute to nurture human being, because implicit extrinsic value and inherent value of education in life as human being. Also, it get to know that Vallance’s ways of knowing can to satisfy that not only include functional knowledge, but also develop wide ability to look at life, and can 대학 교양교육과정을 위한 역량의 재개념화 ― 39 consist integrated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get out of the segmented curriculum component. The fourth, on the basis of above discussion, it urge that competency for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meet compatible extrinsic value with inherent value of education be able define as ‘ various ways of knowing organically integrated in social practice, performed purposes with nurture human being. 본 연구는 Sen의 잠재가능성과 Vallance의 다양한 앎에 대한 이론적 탐색을 통해 대학 교양교육이 경쟁력 강화라는 시대적 요구와 교양교육의 근본적인 목적을 양립시킬 수 있도록 돕기 위해서는 역량이 어떻게 재개념화 되어야 할 것인지를 밝히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첫째, 교양교육을 위해서는 경쟁력 강화라는 시대적 요구와 교양교육의 근본적 목적을 함께 추구할 수 있도록 돕는 역량의 개념화가 필요함을 논하였다. 둘째, 기존의 기능주의적 역량 개념화는 시장의 요구를 반영할 수는 있지만, 교양교육의 근본 목적인 고유하고 주체적인 인간의 형성에는 기여하지는 못할 뿐 아니라 넓은 안목과 식견의 함양에 기여하지 못한다는 한계를 지니고 있음을 살펴보았다. 셋째, 교양교육을 위한 역량 재개념화의 가능성을 Sen의 잠재가능성 접근(capability approach)과 Vallance의 다양한 앎에서 찾을 수 있는지 탐색하였다. Sen의 잠재가능성 접근은 교육의 외재적 가치와 내재적 가치를 인간다운 삶 속에서 포괄하고 있으므로 주체적인 인간 형성을 지향하면서도 사회가 요구하는 지식과 기능을 갖춘 인간의 양성이라는 두 가지를 모두 포괄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Vallance의 다양한 앎의 유형을 교양교육을 위해 활용한다면, 실천적 앎이라는 기능주의적 지식을 포함할 뿐 아니라 넓은 안목과 식견을 제공할 수 있고 분과학문적 교과목 구성에서 벗어나서 삶과 연결된 통합적 교양교육을 구성할 수 있음도 알 수 있었다. 넷째, 이와 같은 논의를 기반으로 외재적 가치와 내재적 가치를 양립할 수대학 교양교육과정을 위한 역량의 재개념화 ― 37 있는 교양교육을 위한 역량은 ‘인간의 잠재가능성 향상을 목적으로 사회적 실천과 유기적으로 연결된 다양한 앎’으로 규정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교양교육의 목표를 구체적으로 설정하고 목표 달성을 위한 교육내용을 구성하고 적용하는 후속 연구의 수행을 제안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