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장애인복지 서비스 프로그램의 패러다임 동향 분석 - Priestly의 다중 패러다임의 적용 -

        박경수 한국장애인복지학회 2007 한국장애인복지학 Vol.- No.6

        In the West, the model for provision of services to the disabled has shifted from a focus on the individual to that of a social model. This shift reflects a movement away from a materialist approach to one that is grounded in idealism. In the context of the multiple service paradigm movement this paper explores trends in the provision of social services to the disabled in Korea. In order to accomplish this task the writer conducted an analysis of Community Chest of Korea proposals. Data was collected from the 2002 and 2006 program proposals submitted to the Community Chest of Korea. This data was classified using Priestly's Multiple Service Paradigm of Disability. The results suggest that practitioners of social welfare for the disabled favored an individual idealist approach. And there was little change service paradigm trend for past 4 years. This paper argues the need for a reversal of this trend through practitioners' challenging effort of social welfare for the disabled and that the social model should be given greater attention by this funding body.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혼재되어 있는 다양한 장애인복지의 이념 속에서 실천현장의 서비스 패러다임의 동향을 파악함으로써 향후 서비스의 지향성을 모색하기 위해 실행되었다. 분석은 프리슬리(Priestly)의 다중 패러다임 분석틀을 적용하였고, 서비스는 사회복지공동모금회에 접수된 사업제안서를 대상으로 하였다. 다중 패러다임의 관점에서 볼 때, 서구사회에서의 장애인복지 서비스는 개별적 모델에서 사회적 모델로 방향이 이동하는 추세에 있으며, 또한 유물적 접근에서 관념적 접근으로 이동하는 현상을 보여주었다. 그에 비해 우리의 실천 서비스 패러다임은 지난 4년간 특별한 변화가 없었다. 즉 네 가지 다중 패러다임이 공존하면서, 개별적 모델이 강세를 보이고 있는 가운데, 유물론적 서비스 욕구도 여전히 공고한 편이다. 이 같은 현상은 최근 부각되고 있는 인권, 자립생활, 차별금지 등 장애인복지의 법적 환경변화 및 운동 패러다임 동향과는 다소 거리가 있었다. 이 같은 결과는 우리의 실천현장에서 사회적 모델에 기반한 실험적 서비스들을 적극 개발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다중 패러다임의 각 입장을 통해 장애라는 사회 현상을 바라보고, 그 흐름을 규명함으로써 장애인복지학 연구의 이론적 논의와 실천서비스의 방향성을 모색해 볼 수 있었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장애아동을 위한 체육 정책 패러다임

        김영미,양재식 한국스포츠사회학회 2010 한국스포츠사회학회지 Vol.23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future paradigm of athletic policy for disabled children through comparing athletic policies for the disabled with social welfare one for disabled children. For this study, among the documents written after 2000, the pre-studies and materials concerned with disabled, athletics and disabled child welfare were considered and the paradigm of athletic and child welfare policies were analyzed, and with that, the athletic policy paradigm for disabled children was sought. The results made from study purpose and method like that are shown below. First, the disabled athletic policy paradigm has been started from 'welfare for men of national merit' and developed to 'preparation for elite athletic foundations'. After that, it pursued 'welfare and social unification with the recognition of the whole disabled as a equal subjects of rights', and next, pursued 'the disabled athletic policy reflecting the disabled`s demands with the recognition of the disabled as the party concerned'. The disabled athletic policy paradigm should pursue the basic values of athletics for the disabled as a consumer of athletics. And it should pursue the recognition on the disabled out of benefit, too. In the aspect of policy means, the demand on preparation of the infrastructure and change of recognition for the disabled athletics should keep on. Second, the paradigm of disabled children welfare is focusing on diagnosis, treatment and rehabilitation in the recognition on method. It pursuits the method to get welfare benefit with family. And it pursuits economical support for sporting goods and education. And in the recognition on beneficiary, it pursuits the effort to change the recognition of peer group, teacher and people around for disabled children not to be hurt from their eyes. In the end, the paradigm of disabled children welfare pursuits education and environment making for social integration as the purpose of it. Third, as the disabled children athletic policy paradigm supported by athletic policy paradigm and coordinated with child welfare paradigm, 'The family athletics' paradigm is suggested by this study, in which, the disabled child family becomes the basic unit of policy. In 'The family athletics' paradigm, jobs for the parents of disabled children can be created and disabled children`s parents are the manager of inclusive life athletics. 이 연구의 목적은 장애인 체육정책과 장애아동 사회복지 정책의 전반적인 흐름과 정책을 비교 분석하여 장애아동을 위한 미래의 체육정책 패러다임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 목적을 위해 2000년 이후 장애인과 체육에 관련된 선행연구와 정책관련 자료들, 그리고 장애아동 복지 관련 문헌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문헌 고찰을 통해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인 체육정책의 흐름은 국가유공자를 위한 복지에서 시작되어 엘리트 장애체육인을 위한 엘리트체육 기반 마련으로 발전하였다. 이후, 장애인 전체를 동등한 권리의 행사자로 인식하고 체육을 통한 복지 혜택과 사회통합을 추구하였고, 뒤를 이어 장애인을 장애인체육의 당사자로 인식하고 장애인의 의사가 반영되는 장애인 체육정책을 추구하였다. 이러한 흐름을 기반으로 장애인 체육정책 패러다임의 방향은 장애인을 위해 체육의 본질적 가치를 추구해야 하며, 장애인체육에 대한 인식 전환과 장애인체육의 인프라 구축이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장애아동 복지의 패러다임은 수단과 관련한 인식에서 진단, 치료, 재활 서비스의 제공에 중점을 두고 있다. 그리고 가족들과 함께 복지의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수단과 필요한 용구나 교육을 뒷받침 해줄 경제적 지원을 추구한다. 이에 장애아동복지의 패러다임은 사회통합을 위한 교육과 환경 조성을 통한 자립을 그 목표로 한다. 셋째, 장애인 체육정책의 패러다임과 장애아동 복지의 패러다임을 조화시켜 도출해낸 장애아동 체육정책의 패러다임으로서 장애인가족이 체육정책의 최소 단위가 되는 ‘가족 체육’의 패러다임을 제안한다. ‘가족 체육’ 패러다임에서는 장애아동의 부모가 통합체육활동의 운영자가 되며, 체육정책의 운영주체가 된다. 그리고 이는 장애아 부모를 위한 일자리를 창출을 추구한다.

      • KCI등재

        지난 30년간(1981~2010년) 보건복지부 소관 장애인복지예산 분석 : 규모의 적절성과 패러다임 변화에 대한 논의를 중심으로

        윤상용,이민경 한국장애인재활협회 2010 재활복지 Vol.14 No.2

        본 연구는 장애인복짖법이 제정된 1981년부터 2010년까지 지난 30년간의 중앙정부 장애인복지예산의 변화 추이를 시계열적으로 부석하는 가운데, 장애인복지 패러다임 변화에 대한 고찰과 함께, OECD 회원국과의 장애인복지예산 비교를 통해 우리나라의 현재 수준을 파악하며, 마지막으로 주요 정책 영역별로 바람직한 예산 할당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1981년부터 2010년까지의 보건복지부 세입세출예산서를 분헛하였으며, OECD 회원국의 사회 지출 데이터베이스(OECD Social Expenditure Database) 원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지난 30년간의 변화를 요약하면, 1990년대 초까지는 주거지원과 지역복지의 비중이 압도적으로 높았으며, 1990년 대 중반 이후 현재에 이르기까지 소득보장이 주거지원과 지역복지와 함께 장애인복지의 3대 영역으로 자리매김한 가운데 갈수록 그 비중을 높여가고 있고, 2000년 대 중반이후부터는 자립생활지원서비스의 비중이 급격히 높아지는 추세를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예산 비중의 변화를 장애인복지 패러다임의 변화와 관련시켜 보면, 1980년대와 1990년대 초까지는 시설9공급자)중심의 재활 패러다임이 지배적이었다면 1990년 대 중반 이후부터 2000년대에는 이용자 중심의 자립생활 패러다임의 영향력이 커지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OECD 사회지출 데이터베이스 원자료를 분석한 결과, 2005년 기준 우리나라의 GDP 대비 장애인복지예산 비중은 0.5%로서 멕시코를 제외하고는 전체 회원국 가운데 가장 낮았으며, OECD회원국 평균인 2.3%와 비교할 때 그 격차가 매우 컸다. 장애인복지예산에 대한 지속적인 확대와 함께 향후 장애인복지예산 배분은 소득조방의 예산비중을 유지하되, 의료보장, 자립생활지원서비스와 직업재활(중증장애인 취업 지원) 영역에 대한 예산 비중을 제고하는 데 주력해야 할 것 이다.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rend of the state disability policy budget in the past thirty years as exploring the change of disability policy paradigm and identifying the current status of Korea through international comparison with OECD countries and to present a desirable plan for allocation of disability policy budget in the future. To achieve the aim, this study analyzed the state disability policy budgets of the past thirty years and OECD social expenditure database. The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past thirty years' disability policy budgets shows that of all disability policy scopes income support, assistance with a residence and promotion of independent living are main component with remarkable rising in relative share of income support and promotion of independent living recently. This result is related with shift of disability policy paradigm from rehabilitation model to independent living model. And the comparison with OECD countries by the share of disability policy budget of Gross Domestic Products says Korea is the lowest country except for Mexico in OECD countries. This study therefore suggest that there is a strong need for increasing the state disability policy budget but paticularly for income support, assistance with health care, promotion of independent living and vocational rehabilitation in the future.

      • KCI등재

        브론펜브레너의 생태학적 체계이론에 의거한 장애인 복지정책 및 서비스의 분석

        허창덕 한국장애인재활협회 2012 재활복지 Vol.16 No.2

        지난 수십년 간 법적․재정적․정책적 발전을 통해 한국사회의 장애인 복지정책은 과거에 비해 그 수준이 많이 증가하였다고 평가할 수 있으며, 이 과정에는 장애인에 대한 세계 환경의 변화와 사회의 각계각층, 특히 장애인 자신의 노력이 중요한 역할을 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거시적․권리적 측면을 강조하는 방향으로서의 장애 및 장애인정책 패러다임의 변화와 장애인의 사회통합이라는 궁극적 장애 복지정책의 방향성을 고려해 볼 때, 한국의 각종 장애인 복지서비스는 아직 그 갈 길이 멀다 할 수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인간과 환경의 상호작용을 중요시한 브론펜브레너의 생태학적 체계이론을 적용하여 장애인 복지서비스 사업에 초점을 맞추어 현행 실시사업 모형의 네 가지 체계 속에서 분포 현황을 분석해 보았다. 그 결과 현행 한국 장애복지 서비스 사업의 대부분은 미시적 측면에 국한되고 정책적 성격 또한 시혜적․수동적․소비적 성격을 띠고 있다는 결론을 도출하였으며, 향후 한국사회의 장애 정책은 보다 확대된 방향으로서 중간․외․거시 체계적 요소들을 포함하는 정책적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는 사실과 그 성격 또한 적극적․능동적․가치창출적인 방향을 지향해야 한다는 점과 함께 그것을 위한 다양한 정책들을 제안하고 있다. Over the past decades, the welfare of the disabled people in Korea has been developed in regard to: paradigm change, modified regulations and laws, increased budget, implementing various programs, etc. Many factors influenced these achievements; disabled people's endeavor for their right and welfare were the most important factor for the achievements. Nevertheless, the current welfare policies do not seem to meet the ultimate goal of the welfare, because the current social welfare policies are based upon micro perspective of disability polices. Therefore, this study proposes to analyze the current welfare policies and services using a Bronfenbrenner's ecological systems theory. This theory was adopted to examine whether the welfare policies and service implementation were well developed and delivered. Bronfenbrenner's four systems: microsystem, mesosystem, exosystem, and macrosystem were used as reference to identify the balance of the service delivery system. This study found that the current welfare delivery system heavily concentrated on the microsystem. Additionally this study found that the delivery system treats the recipients as passive demander and consumerists. The study strongly suggests that the welfare service should be balanced with broader ecological system such as meso, exo, and macrosystem. By examining the current welfare with Ecological systems theory, this study proposes that the policies should be the ones which invites disabled persons as active and valuable contributors to their community.

      • KCI등재

        장애인복지관의 마케팅모형 개발 필요성 : 장애인복지관의 홍보활동을 중심으로

        전천운,김진 한국자치행정학회 2011 한국자치행정학보 Vol.25 No.1

        이 연구는 장애인복지관이 급변하는 시대적 전환기에 적절하게 부응하기 위해서는 이용자와 그 가족, 지역주민의 이해와 동의를 구하고 이용자중심의 서비스 제공을 위해서는 장애인복지관의 홍보와 마케팅의 필요성과 중요성이 날로 증대되고 있다는 것에 초점을 두고 있다. 전반적인 사회복지의 상황변화는 사회복지의 한 축을 차지하고 있는 장애인복지의 정책적 변화를 가속화시키고 있으며, 이로 인해 장애인복지의 변화모색이 진행되고 있다. 그동안 사회복지기관에서의 마케팅은 자원개발에 비중을 두었으나 본 연구는 장애인복지관의 홍보활동에 그 개념을 적용하여 변화하는 장애인복지관의 패러다임에 적극적으로 대처하고 성과 있는 장애인복지서비스 제공을 위한 마케팅 모형개발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있다.

      • KCI등재후보

        장애인복지패러다임의 변화에 따른 장애인복지관의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이효원,주석중 한국의료복지시설학회 2004 의료·복지 건축 Vol.10 No.2

        In this study, some methods for the organization of space in the welfare center for the disabled are suggested corresponding to the change of welfare paradigm for the disabled, by means of investigating and analyzing the existing organization of space, division of the areas and relevant program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The method of the spatial organization in the welfare center for the disabled is divided largely into an area of the welfare complex center used as a facility of uses and an area of the controlling center that manages and makes use of domiciliary welfare. 2) The division of counselling and management is the center for the aforementioned two areas. This division occupying the minimum space in the welfare center has to be expanded. Besides, the space for the volunteers for 'domiciliary welfare' is necessary. This can be administered synthetically along with the room for volunteers in the division of social rehabilitation. 3) It is necessary for the division of medical rehabilitation to have a common waiting area due to its close connection with other treatment rooms. It should be recommended to have it in the water treatment room. It is required to have a parents' waiting area in the treatment room for child rehabilitation. 4) In case of the division of educational rehabilitation, the daytime care center should be closely related to the division of medical rehabilitation. Meanwhile, the classrooms after school have a limited use so that they can be shared with the room for female rehabilitation in the division of social rehabilitation. 5) It is in reality for the division of social rehabilitation to have an expanded area of domiciliary welfare. The room for volunteers for domiciliary welfare should be arranged, too.

      • KCI등재후보

        장애인 거주시설 종사자의 인권기반 복지실천 경험에 관한 연구

        전지혜 경북대학교 사회과학기초자료연구소 2019 연구방법논총 Vol.4 No.1

        This study explored the dilemma experienced by social workers in living facilitie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discussed the contexts why these dilemmas were caused. The 3 focus groups interviews of social work practitioners were conducted. The analysis revealed that the dilemma situation contains three dimensions : dimension of position and role value, dimension of philosophy, dimension of social work practice. Although the disability paradigm is shifted from welfare approach to human right approach, the social work practice in living facility of people with disabilities is incompatible with human rights approach. Therefore, this study emphasized human right education to both social workers and people with disabilities for enhancing their relationship and understanding, and the development of communication skill and practical rules in conflict situation. 본 연구는 장애인 거주시설 종사자들이 인권기반 복지실천의 과정 속에서 어떤 경험을 하고 있는지 현상학적 연구를 통해 살피고, 경험의 내용과 의미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29명의 연구참여자를 의도된 표집으로 선정하였고 총 3개의 포커스그룹을 구성하여 면담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Colaizzi의 현상학적 방법으로 분석되었으며 연구결과 3가지 상위범주와 6개의 주제가 도출되었다. 장애인 거주시설 종사자들은 실존적 가치의 혼란(종사자로서의 목소리 상실, 존재 가치의 상실), 철학적 가치의 혼란(자립생활 철학에 대한 의문, 자기결정권의 본질에 대한 의문), 실천적 방향상의 혼란(자기방어적 실천, 기존의 실천방식에 대한 고민)을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거주시설이라는 제약된 공간에서 자기결정권 존중으로 대표되는 인권적 복지실천을 해야 하는 복지패러다임의 전환이 종사자들에게는 혼란스러울 수밖에 없고, 이러한 상황은 패러다임 전환의 과도기 속에서 거주시설 종사자들이 겪어내야 할 과업으로 해석되었다.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거주시설 종사자들이 인권적 복지실천을 마련할 수 있는 정책적 대안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장애모델의 다중 패러다임에 의거한 한,일 장애인복지법의 비교연구

        조원일 ( Won Il Cho ) 한국특수아동학회 2011 특수아동교육연구 Vol.13 No.2

        This study was made to analyze the disability welfare paradigm relevant with people with disabilities shown at the laws for the disabled at both Korea and Japan through multiple paradigm of disability by Priestley(1998). As a result individual materialist position was dominated in recent welfare laws of both of them. So it was necessary to amend welfare law for the disabled in the directing of social accountability, that was social creationist position and social constructionist position. In addition, domestic laws amendments relevant with disabled person was required for consistency with Convention on the Right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 KCI등재

        장애인복지관의 서비스 환경 변화와 대응 과제: 서울 N복지관의 경우

        윤재영,장순욱,안형진 한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 2017 한국사회복지교육 Vol.37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duce the faced challenges of the rehabilitation centers in Seoul from the intersection of the three dimensions of global consistency, local relevancy and personal differentiation. The global consistency theoretically assumed the support paradigm and the locality and individuality were observed in the Seoul area and the N center. As a result of observation using the concept mapping, it was found that the support system for the users who are becoming server and aging, the development of the local community as the basis of living of the person with disabilities, the person-centered management suited to the consciousness of users and providers, and the establishment of a performance management system suitable for each individual organization. 본 연구는 서울지역 N장애인복지관의 서비스 환경 변화에 따른 대응 과제를 세계적일치성, 지역적 연계성 그리고 개별적 차별성이라는 세 차원의 힘이 교차하는 지점에서도출하고자 하였다. 세계적 일치성은 지원패러다임을 이론적으로 상정하였으며 지역성과 개별성은 서울지역과 N복지관을 관찰하였다. 개념도를 활용하여 관찰한 결과, 중증화와 고령화 되고 있는 이용자를 위한 지원체계 구축, 개별 장애인의 삶의 터전으로써지역공동체의 개발, 이용자와 제공자의 권리 의식에 맞는 사람중심경영, 개별 유연화 지원을 실천하는 전문가의 양성 그리고 개별 조직에 적합한 성과관리 체계의 구축 등이장애 서비스 현장의 변화에 대응해야 하는 개별 장애인복지관의 과제로 나타났다.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