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이중언어 사용 성인의 작업기억용량 개인차가 문장처리 및 자가평가지수에 미치는 영향

        성지은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10 특수교육 Vol.9 No.2

        작업기억용량에 따른 문장처리능력의 개인차에 관한 연구는 다양하게 진행되어왔다. 이중언어사용과 작업기억용량에 관한 연구에 따르면 작업기억용량이 높을수록 외국어 능숙도 검사에서 높은 점수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문장처리과제에서 말속도를 조절하여 인지적 부하량을 체계적으로 조절하였을 때, 작업기억용량의 개인차가 이중언어 사용 성인의 제2언어 문장처리 능력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고찰하였다. 대상자는 한국어를 모국어로, 영어를 제2언어로 사용하며 미국에 거주하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문장처리과제로는 개정판 토큰검사(Revised Token Test)를 사용하였으며, 세 가지의 작업기억과제를 사용하여 작업기억용량을 측정하였다. 문장처리과제의 말속도를 보통 말속도와 빠른 말속도로 구분하여 비언어적 인지 부하량을 조절하였다. 작업기억용량은 제2언어로 제시된 문장처리과제 점수를 예측하였으며, 제2언어 자가평가 지수들을 통제하였을 때에도 작업기억용량과 문장처리 정확도의 상관관계는 유의하였다. 또한, 작업기억용량이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으로 나누어 분석하였을 때, 작업기억용량이 낮은 집단이 유의하게 높은 집단에 비해 문장처리과제에서 더 많은 어려움을 보였다. 말속도 조절에 따른 집단간 차이가 유의하였으며, 빠른 말속도에서 두 집단 모두 문장처리과제에서 정확도가 감소하였다. 작업기억용량에 따른 집단 간 차이는 말하기, 듣기에 관한 제2언어 자가평가지수에서도 유의하였으나, 읽기 지표에서는 집단 간 차이가 유의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작업기억용량은 제2언어 능숙도(proficiency)를 넘어서 보다 근본적인 인지적 기제(underlying cognitive mechanism)로서 문장처리능력에 관여하고 있음을 뒷받침하는 근거가 될 수 있다. Working memory capacity has been argued to serve as an underlying cognitive mechanism involved in various cognitive tasks. It has been of interest whether working memory capacity is related to individual differences in second language processing.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was to investigate relationship between working memory capacity and sentence processing in non-native speakers who learned English after puberty. Three different working memory measures were employed. The computerized revised token test served as a measure of sentence processing abilities presented under the normal and fast presentation rates. Participants'second language proficiency was assessed based on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Results revealed that working memory capacity was significantly and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sentence processing task when the second language proficiency indexes were partialled out, and the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suggested that the working memory capacity is the factor, which significantly predicted performance on second language processing. When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the low and high working memory groups, low working memory group showed significantly worse performance on the sentence processing task than the high working memory group. In sum, working memory capacity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individual differences in the abilities of second language processing.

      • KCI등재

        인공와우 이식 아동에 있어서 작업기억용량과 수술 후 언어능력과의 관계

        조응경(Eung Kyung Cho),성지은(Jee Eun Sung),심현섭(Hyun Sub Sim)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2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7 No.1

        배경 및 목적: 인공와우 이식 아동의 수술 후 언어능력에 관한 개인차를 설명할 수 있는 근본적 기제에 관한 관심이 대두되고 있다. 이 중, 작업기억용량은 언어정보 유지 및 처리와 관련하여 다양하게 연구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인공와우 이식 아동의 수술 후 언어능력에 있어서 언어ㆍ인지적 근본기제로서 작업기억용량이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선천성농 혹은 고심도 청각장애로 인공와우 이식 수술을 받은 7∼9세 아동 2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언어능력은 표준화된 검사인 『수용ㆍ표현 어휘력 검사』 및 『구문의미이해력 검사』로 평가하였고, 작업기억용량은 단어 바로 및 거꾸로 지시하기 과제로 측정하였으며 두 과제의 평균을 작업기억용량의 지표로 사용하였다. 인공와우 이식 수술연령과 인공와우 사용기간, 생활연령, 그리고 작업기억용량 중에서 수용어휘력과 구문이해력을 유의하게 예측하는 변수를 단계적 중다회기분석을 통해 알아보았다. 그리고 작업기억용량에 따라 두 집단으로 구분하여 인공와우 이식 수술연령 및 인공와우 사용기간, 그리고 생활연령을 통제하였을 때 수용어휘력과 구문이해력간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결과: 단계적 중다회기분석 결과, 인공와우 이식 수술연령, 인공와우 사용기간, 생활연령, 작업기억용량 중에서 수용어휘력과 구문이해력을 유의하게 예측하는 변수는 작업기억용량인 것으로 나타났다. 인공와우 이식 수술연령 및 인공와우 사용기간과 생활연령을 통제하였을 때 작업기억용량에 따라 수용어휘력과 구문이해력 간의 차이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작업기억용량이 높은 집단이 구문이해력에서 작업기억용량이 낮은 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수행력이 향상되었으나 수용어휘력에서 집단 간 수행력의 차이는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작업기억용량이 인공와우 이식 수술연령, 인공와우 사용기간, 생활연령 변수에 비해 수용어휘력과 구문이해력을 유의미하게 예측하였으며, 작업기억용량이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에 비해 구문이해력에서 높은 수행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이러한 결과는 작업기억용량이 다른 변수에 비해 언어능력에 기여도가 높은 변수이며, 언어처리부담이 높은 구문이해력에서 나타나는 개인차를 설명할 수 있는 근본기제로 작용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Background & Objectives: Working memory capacity (WMC) has received considerable attention as an underlying cognitive mechanism that may account for individual differences in language skills in children with cochlear implants.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was to investigate which variable significantly predicted differences in performance on a receptive vocabulary test and a sentence comprehension task among age of the cochlear implant, chronological age, duration of usage of cochlear implant, and WMC. In addition, the study examined whether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high and low WMC groups in the two language tests when the age of the cochlear implant, duration of usage of cochlear implant, and chronological age were statistically controlled. Methods: Twenty prelingual and congenital deaf children between the ages of 7 and 9 years, who received cochlear implantation,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language skills were assessed using standardized tests such as the Receptive and Expressive Vocabulary Test (REVT) and Korean Oral Syntax Expression Comprehension Test (KOSECT). WMC was measured using word forward/backward pointing span tasks. The average of the results of the two span tasks was used as an index of WMC. Results: The results from the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revealed that the WMC was a significant predictor of score on both language tests. The results of ANCOVA showed that the high WMC group showed significantly better performance on the KOSECT than the low WMC group, whereas the group differences were negligible in the REVT. Discussion & Conclusion: The current results suggested that WMC serves as an underlying cognitive mechanism responsible for individual differences in language performance in children with cochlear implants. The effects of WMC emerged more evidently in a test with greater cognitive load such as a syntactic comprehension test compared to the receptive vocabulary test, given that the high and low WMC group differences were the greatest in the sentence comprehension test.

      • KCI등재

        작업기억용량 개인차에 따른 부정적 얼굴정서처리에서의 작업기억부담 효과

        박태진,김정희 한국인지및생물심리학회 2015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Vol.27 No.1

        The present study examined whether individual differences in working memory capacity (WMC) modulate the effect of working memory load on emotional face processing. Each group of high-span and low-span was selected by virtue of participants’ WMC scores of operation span task. Working memory load (WML) was manipulated within subjects by the mental rehearsal of two (low-WML) versus six (high-WML) visual objects in delayed recognition task. A picture of negative (angry) or neutral face was presented during delay while event-related brain potentials were recorded. Behavioral results of recognition judgment showed that relative inaccuracy by negative face compared to neutral face was found only at high-WML. In case of low-WML, valence effects (enhanced N170 amplitude to negative compared to neutral face) were found on both left and right hemispheres of low-span as well as high-span. But, in case of high-WML, valence effect was found only on right hemisphere of high-span. These results suggest that working memory load reduces attentional resources for distracting negative facial expressions, but high-span of working memory can process facial expressions even under high load of working memory. Taken together, these findings demonstrate that facial expression processing is dependent on attentional resources. 얼굴정서처리에 미치는 작업기억부담효과가 작업기억용량에 따라 달라지는지를 규명하기 위해 ERP연구를 수행하였다. 먼저 작업기억용량을 측정하는 조작폭과제 점수에 따라 고용량집단과 저용량집단을 선발하였다. 지연재인과제에서 기억해야 할 시각적 대상의 수를 2개(저부담) 또는 6개(고부담)로 하여 작업기억 부담을 조작하였고, 지연기간 동안 제시된 부정적 또는 중립적 얼굴자극에 대한 ERP를 측정하였다. 재인반응은 저용량집단보다 고용량집단에서, 그리고 고부담조건보다 저부담조건에서 더 빠르고 정확하였고, 중립얼굴조건에 비해 부정얼굴조건에서 재인반응이 더 부정확한 정서가효과는 고부담조건에서만 관찰되었다. 하후측영역의 N170 진폭을 분석한 결과, 중립얼굴에 비해 부정얼굴에서 N170 진폭이 더 큰 정서가효과가 작업기억용량에 따라 상이하였는데, 저부담조건의 경우 두 용량집단 모두 양반구에서 정서가효과를 보였지만, 고부담조건의 경우에는 저용량집단이 양반구에서 정서가효과를 보이지 않은 반면 고용량집단은 우반구에서 정서가효과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작업기억부담이 얼굴정서처리에 필요한 주의자원을 감소시키지만 고용량집단의 경우 저용량집단과 달리 작업기억부담이 큰 상황에서도 정서처리가 가능하며, 얼굴정서처리가 주의자원에 의존함을 시사한다.

      • KCI등재

        작업기억(Working Memory) 확장을 위한 유아 복합 드로잉 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장지현,이신동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9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37 No.5

        Based on the educational potential of infant drawing,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aim of developing an infant drawing education program using infant working memory, along with a theoretical explan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infant drawing activities and working memory. To this end, the concept of working memory and the structure of the schema were summarized and the concept of M-capacity and the structure of the working memory was presented, and the drawing program of the visual infant drawing based on the drawing map system was evaluated through the secondary system. The result shows that the drawing of classes through teaching methods that stimulate working memory is significantly more complicated and sophisticated than previous drawing. Through this process, it can be assessed that the drawing process through WM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overall working memory of infants as well as on the drawing results of infants. This study clarifies the working process of working memory in theoretical terms and applies it through practical training programs. The results of drawing can be expected to improve through the expansion of the size of M-capacity, which is affected by the maintenance, expansion, integration of working memory, the process of observation, perception, coding and the transition of mental resources to long-term memory, and can be attempted through the process of suppression, modification and supplementation of executive functions. Ultimately, the expansion of the size of the M-capacity can be achieved through active activity of the working function along with the expansion of the number of utilized schemas, where infant drawing can be an effective activity. 본 연구는 유아 드로잉(drawing)의 인지과정 기반 으로 유아 드로잉 활동과 작업기억의 관계에 대한 이 론적 규명 및 유아 작업기억을 활용한 유아 드로잉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을 목적으로 실시된 연구이다. 작업기억의 개념과 작업기억의 작용에 있어 M-용량 과 스키마의 구조성에 대하여 개념을 정리한다. 드로 잉 지도체제에 대한 24차시 작업기억 역할을 바탕으 로한 유아 드로잉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교수방법을 제시하였다. 2차시 프로그램을 통해 작업기억역할을 활용한 유아 드로잉 효과를 평가하여 보았다. 그 결과 작업기억을 자극하는 교수 방법 드로잉수 업은 사전 드로잉활동에 작품의 결과가 복잡해지고 정교화된 것을 알 수 있다. 작업기억을 활용한 드로 잉 수업은 유아의 드로잉표현의 향상 및 유아 작업 기억 전반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평가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유아 드로잉인지과정에서 작업기억의 작 용 과정을 명확히 하고 이를 실제 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적용해 보는 것이다. 드로잉의 결과는 M-용량의 크기의 확장을 통해 향상을 기대할 수 있으며 이는 작업기억의 유지, 조작, 통합을 위해 관찰, 지각, 부호 화의 과정과 정신자원의 장기기억으로의 전환 등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작업기억의 집행기능의 억제, 수 정, 보완의 과정을 통해 향상을 시도할 수 있다. 유아 드로잉 인지 과정에서 스키마 수의 최대치를 동시에 활성화 하면서 작업기억의 M-용량의 크기를 확장시 킨다. 유아 드로잉은 작업기억의 용량을 확장 시키는 효과적인 활동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질투와 존경의 이득 비교: 작업기억용량의 정서조절효과

        신홍임,김주영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2016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Vol.22 No.1

        본 연구에서는 두 개의 실험연구를 통해 질투와 존경의 이득을 자기향상의 동기화와 정보처리의 측면에서 비교하고, 작업기억용량의 개인차가 정서조절에 영향을 주는지를 분석하였다. 연구 1에서는 참가자(N=38)들의 작업기억용량을 측정한 후, 질투나 존경 중의 한 가지 조건에서 자신의 경험을 생생하게 머릿속에 떠올려보게 하였다. 그 결과 질투조건에서는 존경조건보다 타인의 우월성을 합당하다고 인식하는 정도가 낮게 나타났다. 또한 질투조건에서는 작업기억용량이 높을수록 행복감이 높았으며, 불안이 증가할수록 자기향상을 위한 학습시간을 증가시키려는 경향이 나타났다. 반면 존경조건에서는 작업기억용량과 정서, 학습시간과의 관계가 유의하지 않았다. 연구 2(N=43)에서는 참가자들의 작업기억용량을 측정한 후, 질투/존경/통제조건에서 질투시나리오에 대한 회상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질투조건에서 존경/통제조건보다 시나리오 회상율이 더 높게 나타났다. 또한 질투조건에서는 참가자의 작업기억용량이 높을수록 불안을 더 적게 느꼈고, 정확회상율이 더 높았던 데 비해, 존경/통제조건에서는 작업기억용량, 불안 및 회상율과의 관계가 유의하지 않았다. 이 결과는 질투가 정보처리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가능성을 보여주며, 작업기억용량이 정서조절능력과 관계있음을 시사한다. In two experiments, we compared envy with admiration in attentional and motivational benefits. In addition, we tested whether individual differences in working memory capacity (WMC) have consequences for emotion regulation. In Study 1, following WMC tasks, the participants were primed either with envy or with admiration through a recall task, in which they had to recall their own experiences about envy or admiration. The participants in the envy condition considered it more undeserved that another person had an advantage over them, than in the admiration condition. Additionally, in the envy condition, WMC was related to happiness, and anxiety was related to the motivation to study more. In contrast, there were no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WMC, emotion and study hours in the admiration condition. Study 2 (N=43) found greater memory for the envy scenario in the envy condition than in the admiration and in the control condition. Additionally, there were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WMC, anxiety and recall accuracy in the envy condition. However, these relations were not found in the admiration and in the control condition. Findings implicate that envy may play an important role in memory systems and that WMC is related to emotion regulation abilities.

      • KCI등재

        작업기억용량 및 인지부하가 단어 재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청년과 노년 집단 간 수행비교: 시선추적 연구

        유민아(Min Ah Yoo),오승하(Seung Ha Oh),경정숙(Jeong Sug Kyong),성지은(Jee Eun Sung)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21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6 No.2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청년과 노년을 대상으로 작업기억용량과 인지부하 정도의 차이가 단어 재인 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시선추적기법을 통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청년과 노년 집단별로 24명씩, 총 48명이 본 실험에 참여하였으며, 세부적으로 각 집단 내에서 작업기억용량(고, 저) 집단으로 분류하였다. 본 연구는 인지부하 조건(고, 저)인 숫자 외우기 과제와 단어 재인 과제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 대해 오프라인 측정변수인 반응정확도, 반응시간, 온라인 측정변수인 시선고정비율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결과: 반응정확도 및 반응시간의 경우, 단어 재인 과제에서 청년 및 노년 집단 간 주효과가 유의하였다. 추가로 반응시간의 경우, 작업기억용량에 따른 인지부하 조건 간 이차상호작용이 유의하였다. 시선고정비율의 경우, 집단 간 주효과가 유의하였다. 또한, 시간 구간에 따른 집단 간, 인지부하 조건 간 이차상호작용이 유의하였으며, 시간 구간별 인지부하 조건 및 집단 간 삼차상호작용도 유의하였다. 논의 및 결론: 반응정확도와 달리 반응시간, 시선고정비율은 집단 간 차이 이외에 인지부하, 작업기억용량 요인과의 상호작용효과가 유의하였다. 이를 통해 언어처리는 인지부하, 작업기억용량 같은 복합적인 요인이 영향을 미쳤음을 간접적으로 시사한다. 더 나아가 언어 처리과정에 대해 반응정확도 측정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 따라서 오프라인 측정변수와 함께 온라인 측정변수를 통해 노화, 작업기억용량, 인지부하 조건과 단어 재인 능력에 대한 연관성을 확인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dentify the impact of age-related working memory capacity and cognitive load to word recognition using an eye tracker. Methods: A total of 48 participants (24 young, 24 elderly adults) who were divided according to working memory capacity (high, low) participated in the study. This study consisted of a digit load and word recognition task. Results: First, the elderly group had lower accuracy and slower response times than the young group.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working memory capacity and cognitive load in response time. In the group with low working memory capacity, the response time increased under lower cognitive load, which was different from the group with a high working memory capacity. Next, the elderly group had a lower proportion of fixation than the young group by time interval. In addition, there was a significant interaction between group and cognitive load by time interval. In particular, the proportion of fixation decreased over time under a high cognitive load while the proportion of fixation increased under a low cognitive load in the elders, because the inhibition and switching abilities were weakened which made the elders unable to process information efficiently. Conclusion: The study results showed significant effects between working memory capacity and cognitive load in response time and proportion of fixation. This implies that complex factors influence language processing, which makes measuring accuracy insufficient. Thus, this research confirms the correlation among aging, working memory, and cognitive load through both online and offline measurement.

      • KCI등재

        작업기억용량 및 신호대잡음비에 따른 문장의 의미적 타당성 판단 과제에서 노년층의 ERP 성분 비교

        송세영,오승하,경정숙,성지은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22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7 No.1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신호대잡음비(SNR)에 따라 작업기억용량 그룹 간 사건관련전위(ERP)의 평균 진폭을 비교하여 노년층의 청각 처리에서 SNR 및 작업기억용량이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방법: 정상 청력을 가진 26명의 노년층 대상자를 작업기억 검사에 따라 ‘작업기억 높음’ 그룹(N=13)과 ‘작업기억 낮음’ 그룹(N=13)으로 집단을 나누었다. 문장의 의미적 타당성 판단 과제에서 오프라인 방식으로 정반응률과 반응시간을 측정하였으며, 온라인 방식으로 뇌전도를 측정하였다. 실험 자극은 의미적으로 ‘타당함-타당하지 않음’ 문장 쌍이 사용되었으며, 서술어 부분에 -5, 0, 5 dB SNR의 백색 소음이 추가되었다. 결과: 행동 분석에서는 SNR 간의 차이가 유의하였다. -5 dB SNR의 소음 조건이 가장 청취 노력이 컸으며 청각 처리에 유의미하게 관여하는 변인이 소음임을 나타낸다. ERP 분석에서 ‘작업기억 높음’ 집단의 평균 진폭 크기가 ‘작업기억 낮음’ 집단에 비하여 유의하게 컸으며, 평균 파형 그래프와 상호작용 그래프에서도 집단 간 N400 성분의 뚜렷한 차이가 확인된다. 논의 및 결론: 작업기억용량 그룹 간 차이는 청취 노력이 많이 들어가는 SNR 조건일수록 더 명료하게 나타났다. 언어 처리 과정에 소음이 개입하였을 때, ‘작업기억 높음’ 집단은 의미적 오류의 인지를 반영하는 N400 성분이 크게 나타났다. 반면, ‘작업기억 낮음’ 집단은 실시간으로 의미적 오류의 인지를 감지하는 정도가 작업기억용량이 높은 집단에 비해 약한 것으로 해석된다.

      • KCI등재후보

        작업기억 용량에 따른 정신운동속도와 억제능력의 상관관계 연구

        김봉균(Kim, Bong-Gyun),이미향(Lee, Mi-Hyang) 한독심리운동학회 2021 심리운동연구 Vol.7 No.1

        이 연구는 작업기억 용량과 정신운동속도의 상관관계 그리고 작업기억 용량과 억제능력의 상관관계를 알아보는 연구이다. 이 연구는 경남과 전남의 만 6세에서 13세 10개월까지 남·여 아동들 60명을 대상으로 개인별 3가지 검사를 실시하였다. 작업기억 용량을 평가하기 위해 K-WISC-Ⅳ검사의‘숫자’소 검사를 실시하였다. 정신운동속도를 측정하기 위해 CCTT검사를 실시하였다. 억제능력을 평가하기 위해 STROOP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작업기억 용량과 정신운동속도는 부적 상관관계를 가졌다. 작업기억 용량과 억제능력은 정적 상관관계를 가졌다. 60명에 한정된 연구지만, 이 연구를 통해 작업기억 용량이 높으면 과제를 처리하는 속도가 빠르고, 작업기억 용량이 높으면 충동성을 조절하는 억제능력이 좋을 수 있음을 평가결과와 선행연구들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연구는 작업기억과 관련한 ADHD 심리운동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working memory capacity and psychomotor speed, and between working memory capacity and inhibitory ability. In this study, three tests were conducted individually for 60 male and female children aged 6 to 13 years and 10 months in Gyeongnam and Jeollanam-do. In order to evaluate the working memory capacity, the K-WISC-IV test s number cow test was conducted. The CCTT test was performed to measure the psychomotor speed. STROOP test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inhibitory ability.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working memory capacity and psychomotor speed. Working memory capacity and inhibition capacity had a positive correlation. Although this study is limited to 60 people, it is confirmed through evaluation results and previous studies that if the working memory capacity is high, the task processing speed is fast, and if the working memory capacity is high, the inhibitory ability to control impulse can be good. Could.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providing basic data for developing ADHD psychomotor program related to working memory.

      • KCI등재

        작업기억용량의 개인차에 따른 광고 노출 시 주의제어와 광고텍스트 언어기억 분석

        이은주(Eun Ju Lee),황은영(Eun Young Hwang),양승은(Seung Eun Yang),최명원(Myung Won Choi) 한국마케팅학회 2012 마케팅연구 Vol.27 No.4

        개인이 가진 작업기억용량(working memory capacity)의 차이가 주의제어 및 광고독해시간, 그리고 광고텍스트 언어기억의 양과 질을 결정하는 것을 조사하였다. 작업기억(working memory)은 소비자의 인지활동에 필요한 정보를 단기간 동안 저장, 처리할 수 있게 하는 인지적 자원으로 제품관여도가 동일하게 높은 두 소비자이더라도 같은 광고자극물을 보고 난 후 광고텍스트에 대한 기억은 그 양과 질에 있어 차이가 존재할 수 있는데, 이는 광고텍스트를 읽을 때 주의제어능력에 상당부분 기인한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시선추적기를 사용하여 광고 노출 시 소비자들의 주의를 측정하고 광고노출 사후기억을 측정하였다. 작업기억용량이 높은 개인들은 광고 노출 시 정보를 수용하는 과정에서 광고의 다양한 요소들 가운데 광고텍스트에 더 오랫동안 시간을 보내며 읽는다. 이들의 시선은 어지럽고 산만하게 흐트러지지 않고 필요한 부분들에서 시선이 순차적으로 머무는 양상을 보이기 때문에 전체적인 시선궤적은 작업기억용량이 낮은 이들보다 짧은 편이다. 작업기억용량이 큰 소비자들은 광고텍스트 기억언어의 어휘가 풍부하고 표현에 있어서도 수사적으로 좀 더 복잡한 2어절 이상의 수식구문을 사용할 수 있으나, 작업기억 용량이 작은 소비자들은 단어절의 단편적인 기억을 나열하되 전체적인 어휘량도 적고, 의미 요소들간의 관계를 표현하는 수식구문의 사용도 적다. 또한 기억된 단어들 중 추상적 이미지를 표현하는 제품 퍼스낼리티 같은 단어들은 작업기억용량이 높은 소비자들에게서 더 강하게 나타나는 현상이며, 색상 같은 구체적인 어휘의 기억은 작업기억용량이 높고 낮은 소비자간에 차이가 없었다. Working memory is a critical element in high-order cognition including information search, text comprehension, and ad memory. Individuals vary widely in the working memory capacity. The current research investigated how individual differences in working memory capacity (WMC) influence attentional control and ad text memory. Individual differences in WMC are measured reliably by an established neuropsychological measurement of K-CVLT (Korean California Verbal Learning Test). Based on the working memory capacity theory, it is predicted that individual differences in working memory capacity will exercise differential effects on attentional control and ad text reading time. Moreover, ad texts can represent various levels of word comprehension difficulty. For example, color-related words represent concrete images and are relatively easy to process. On the other hand, brand personality-related words represent abstract concepts and are relatively hard to process. Thus, brand personality-related words require greater working memory resources to process than do color- related words. Drawing on the current linguistic literature, it is hypothesized individuals high in WMC will also show better ad text memory in terms of total vocabularies and number of words used per memory item than will individuals low in WMC. Due to the difference in demands for cognitive resources between processing concrete and abstract words, it is hypothesized that individuals high in WMC will better remember abstract personality-related words than individuals low in WMC. However, there will be no difference between those high in WMC and those low in WMC in remembering easy color-related words that represent concrete images. We used an eye-tracker device Tobii T60 to measure consumer attentional control during advertisement exposure using eye travel distance as a measure of attention disperson. The advertisement stimulus included an image of a model, three pictures of camera, and ad text which was composed of a total of 77 words including both color-related words and brand personality-related words. A total of 126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 and we selected a subset of participants who scored top 75 to 100 percentile and bottom 25 percentile on the K-CVLT. We found that individuals high in WMC spent longer time reading the ad text than did their counterparts (Mhigh=28.17secvs. Mlow=21.17sec, t=-2.718, p=0.009). Individuals high in WMC also showed shorter eye travel distance during the first 7 seconds of ad exposure (Mhigh=16139.897pixel vs. Mlow=20022.190 pixel, t=2.065, p=0.019). Shorter eye travel distance of those high in WMC suggests that they exercised greater control of attention for the ad text reading and comprehension. Individuals high in WMC also showed a greater number of total vocabulary use (Mhigh=12.97 vs. Mlow=9.70, t=-2.551, p=0.013) and more frequent use of two- or three-word adjective phrases in ad text memory than their counterparts (Mhigh=4.96vs. Mlow=3.36, t=-2.915, p=0.005). The number of color-related words remembered by the low WMC individuals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at of the high WMC individuals (Mhigh=1.00 vs. Mlow=1.17, t=0.972, p=0.335). However, the abstract words used to express product personality were retained better in the high WMC individuals` ad text memory(Mhigh=1.06 vs. Mlow=0.36, t=-3.139, p=0.003) than in their counterparts` memory. Based on these findings, managerial implications are developed. Marketers and advertising copy writers should pay attention to target consumers` working memory capacity and adjust the level (e.g., abstract or concrete) and number of words used in advertisement text by considering consumers` limited working memory resources.

      • KCI등재

        학습자의 작업기억 특성, 공간적 근접원리, 멀티미디어원리가 파지와 이해에 미치는 효과

        이현정 ( Hyun Jeong Lee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15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21 No.1

        이 연구의 목적은 학습자의 작업기억 용량의 차이가 학습에 미치는 영향과 공간적근접원리와 멀티미디어원리를 적용한 학습 자료가 파지와 이해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실험 1에서는 대학생 88명을 대상으로 공간적근접원리의 적용 여부(이미지와 문자 정보 통합 vs. 이미지와 문자 정보 분리)와 학습자의 작업기억 용량 차이(낮음 vs. 높음)가 학습자의 파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실험 결과에 따르면, 공간적근접원리의 적용 여부는 파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지만(F = 6.98, p = .010), 작업기억 용량의 차이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작업기억 용량과 공간적근접원리 적용 여부간에 상호작용 효과도 나타나지 않았다. 실험 2에서는 대학생 70명을 대상으로 멀티미디어원리의 적용 여부(이미지와 요약된 문자 정보를 함께 제시 vs. 문자 정보만 제시)와 학습자의 작업기억 용량 차이(낮음 vs. 높음)가 학습 내용 이해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실험 결과에 의하면, 멀티미디어원리의 적용에 따른 차이(F = 45.32, p < .001)와 학습자의 작업기억 용량에 따른 차이(F = 5.09, p = .028), 그리고 두 변수의 상호작용 효과가(F = 5.68, p = .020) 모두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learners` working memory capacity and instructional design principles (spatial contiguity principle & multimedia principle) on retention and comprehension. This study designed two experiments. The experiment 1 was to analyze the main effects of spatial contiguity principle and working memory capacity and the interaction effect on retention. Eighty eight college students participated and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1 revealed the main effect by spatial contiguity principle (F = 6.98, p = .010). The experiment 2 employed more complex learning task than the experiment 1 with 70 college students. The specific goal of the experiment 2 was to scrutinize the main effects of multimedia principle and working memory capacity and the interaction effect on comprehension.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2 revealed the significant main effects by multimedia principle (F = 45.32, p < .001) and by working memory capacity (F = 5.09, p = .028) and the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F = 5.68, p = .020).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