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실어증 환자의 단기기억 및 작업기억용량과 실어증 중증도 및 문장처리와의 상관

        성지은(Jee Eun Sung)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0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5 No.3

        배경 및 목적: 실어증 환자들의 단기기억(short-term memory) 및 작업기억용량(working memory capacity)의 개인차에 따른 실어증 중증도 및 문장처리능력 차이에 관한 연구가 주목을 받고 있다. 하지만, 정상인을 대상으로 개발된 산출을 기반으로 하는 기억기제 평가방법을 실어증 환자들에게 직접적으로 적용하는 데는 다양한 문제가 제기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에 사용되던 단기 및 작업기억과제(Martin, Kohen & Kalinyak-Fliszar, 2008)를 지시하기폭과제(pointing span task)로 변형한 후, 숫자 및 단어로 자극 양상을 조절하여 과제별 수행력 차이를 살펴보았으며, 기억과제들과 실어증 중증도 및 문장처리 능력에 관한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방법: 대상자는 영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실어증 환자 20명과 정상 노인 30명이다. 단기기억과제로는 숫자 및 단어 바로 따라지시하기 과제가 사용되었으며, 작업기억과제로는 숫자 및 단어 거꾸로 따라지시하기 과제를 사용하였다. 실어증 중증도는 Porch Index of Communicative Ability(PICA)를 통해 평가되었으며, 문장처리능력은 Computerized Revised Token Test(CRTT)를 사용하여 살펴보았다. 결과: 두 집단 모두 단기기억과제에 비해 작업기억과제에서 더 낮은 수행력을 보였으며, 숫자에 비해 단어에서 더 어려움을 보였다. 두 집단 간의 차이가 가장 크게 나타나는 과제는 숫자 거꾸로 따라지시하기 과제였다. 주성분 분석 결과에 따르면, 네 가지 기억과제는 하나의 공통적인 성분으로 추출될 수 있으며, 총분산의 80% 가량을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네 가지 기억과제의 공통적인 기제를 개념화하자면, 짧은 시간동안 정보를 저장하거나 조작하는 데 기여하는 인지적 기제라고 할 수 있다. 네 가지 기억과제 중, 실어증 중증도와 실어증 환자의 문장처리 수행력을 유의하게 예측한 변수는 숫자 바로 따라지시하기 과제였다. 작업기억용량이론에 바탕을 둔 결과 해석이 논의되었으며 한국어를 사용하는 실어증 환자를 위한 작업기억과제 개발에 대한 필요성도 제기되었다. Background & Objectives: Short-term memory and working memory capacities have gained considerable attention as underlying cognitive mechanisms, which may account for language processing difficulties in people with aphasia. However, there are limitations to the employment of short-term and working memory tasks for assessing normal cognitive processing in order to evaluate language-impaired clinical populations. The current study investigated 1) the performance differences between people with aphasia and normal elderly adults in short-term memory and working memory tasks when the stimuli modality was manipulated using digits and words and 2) how their performances on the memory tasks were related to aphasia severity and sentence processing. Methods: Twenty people with aphasia and 30 normal elderly adults participated in the present study. Digit forward and word forward span tasks served as short-term memory tasks, and digit backward and word backward span tasks served as working memory tasks. Porch Index of Communicative Ability (PICA) was used as a measure of language impairment severity, and the Computerized Revised Token Test (CRTT) was a measure of sentence processing. Results: Both groups showed greater difficulties in working memory tasks than short-term memory tasks and those involving words compared to those involving digits. The greatest group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digit backward span task.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of four span tasks revealed that a one-factor solution accounted for approximately 80% of the total variance in both groups, indicating that the four span measures served as a unified index of the underlying memory-related cognitive mechanism that is responsible for maintaining and manipulating information. Among the four span measures, the digit forward task significantly predicted aphasia severity and sentence-processing abilities in people with aphasia. Discussion & Conclusion: Results were partially consistent with the working memory capacity theory. Korean versions of short-term and/or working memory span tasks need to be develope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underlying cognitive mechanisms responsible for language impairments in aphasia.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Disorders 2010;15;285-297)

      • KCI등재

        한국어 어순 규범성과 문장유형이 노년층 문장이해능력에 미치는 영향 및 작업기억용량과의 관계

        성지은(Jee Eun Sung)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5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0 No.1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한국어 어순 규범성에 따른 문장유형이 노년층 문장이해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이와 관련된 인지기제로써 작업기억과의 관련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총 51명의 한국어 사용자 노년층이 실험에 참가하였다. 문장이해과제는 총 3가지 문장유형으로 구성하였으며(능동문-2항동사, 능동문-3항동사, 피동문), 모든 문장유형은 규범 및 비규범 어순 조건으로 이루어졌다. 문장이해과제는 의미처리과정이 최소화되고 통사구조에 중점을 두어 평가할 수 있도록 색상을 활용한 픽토그램으로 과제를 구성하였다. 작업기억용량은 숫자 및 단어 따라말하기 과제를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결과: 반복측정 이원분산분석결과(어순 규범성×문장유형), 규범성 및 문장유형에 대한 주효과가 유의하였으며, 이차상호작용 또한 유의하였다. 규범 어순의 경우, 피동문이 가장 낮은 정반응률을 보인 반면, 비규범 어순의 경우에는 능동문-3항동사 문장유형에서의 정반응율이 가장 낮았고, 피동문에서의 정반응률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문장이해과제는 작업기억과제와 높은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논의 및 결론: 노년층의 경우, 한국어 어순 규범성에 따라 문장이해과제에서 수행력의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결과는 노년층의 문장이해에 미칠 수 있는 한국어 특징적인 요소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yntactic structure as a function of the canonicity of word-order on sentence comprehension ability and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ing memory capacity and sentence comprehension ability for Korean-speaking normal elderly adults. Methods: A total of 51 normal elderly individuals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sentence comprehension task (SCT) consisted of three syntactic structures (active sentences with 2-place verbs, active sentences with 3-place verbs, and passive sentences) with the canonicity of word order being manipulated for each syntactic structure. A total of 36 sentences were administered to participants using a sentence-picture paradigm. Digit and word span tasks were used as working memory measures. Results: A two-way repeated ANOVA revealed significant effects for sentence type and the canonicity. A two-way interaction was significant, indicating that performance was differentially affected by sentence type as a function of canonicity. Participants showed the worst performance on passive sentences under the canonical word order; when sentences followed the non-canonical word order, they exhibited worse performance on active sentences with 3-place verbs. The SCT was highly correlated with working memory measures. Conclusion: Even though Korean is considered a free word-order language,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canonicity of word order affects sentence comprehension ability for normal elderly adults. More studies need to be conducted to further examine the critical factors that are associated with age-related changes in sentence comprehension ability.

      • KCI등재

        Production Frequency, Semantic Typicality, and Familiarity of Noun Exemplars for Elderly Adults

        성지은(Jee Eun Sung),모경옥(Kyeong Ok Mo),이지선(Ji Sun Lee),심현섭(Hyun Sub Sim)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4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9 No.2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향후 신경언어장애군을 대상으로 이름대기 중재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확보하는 목적으로, 명사 범주별 본보기 산출빈도, 의미전형성 및 친숙도에 대해 조사하였다. 방법: 실험 1에서는 전문가 및 보호자 75명을 대상으로 이름대기 중재에 필요한 명사 범주 총 17개를 중요한 순서대로 우선순위를 정하도록 하였다. 실험 2에서는 노년층 45명을 대상으로 17개의 명사 범주에 대한 생성이름대기를 실시하였다. 실험 3에서는 실험 2에 참여하지 않은 노년층 78명을 대상으로 실험 1에서 우선순위 3순위 안에 포함되는 6개 범주에서 정리된 각 항목별로 의미전형성 및 친숙도에 대한 7점 척도 평정을 실시하였다. 결과: 실험 1에 따르면,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범주는 음식(요리)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실험 2에서는 가장 많은 본보기 산출빈도를 보인 범주는 신체부위였다. 실험 3에서는 산출 본보기에 대한 의미전형성 및 친숙도 평정척도를 표준화점수(Z-score)로 환산하여 기초자료를 제시하였으며, 의미전형성 및 친숙도는 강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향후 신경언어장애군의 이름대기 중재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명사 범주별 속성에 관한 노년층 기초자료를 제공함으로써 임상적 활용가치가 높을 것으로 기대한다. Objectives: This study seeks to provide normative data on the production frequency and semantic typicality and familiarity of noun exemplars by semantic category for elderly individuals. Methods: A total of 198 individuals participated in the study. In Experiment 1, participants were categorized into two groups: professionals involved in dementia care and primary care-givers of patients with dementia. They ranked 17 semantic categories based on the priority of the stimuli required for naming treatment. Forty-five normal elderly individuals (NEIs) participated in Experiment 2, in which they were administered a generative naming task. Seventy-eight NEIs participated in Experiment 3, where they rated the semantic typicality and familiarity of each noun exemplar obtained from Experiment 2. Results: Experiment 1 revealed that ‘food (dish)’ was ranked as a top priority followed by ‘clothes’, ‘fruits’, and ‘body parts’. In Experiment 2, ‘body parts’ generated the highest mean of production frequency among 17 semantic categories. Results from Experiment 3 suggested that the semantic typicality was positively and strongly correlated with the familiarity ratings. Conclusion: These results are clinically important and meaningful given that they provide preliminary guidelines to select stimuli for the naming treatment of individuals with neurogenic language disorders.

      • KCI등재

        Aging-Related Differences in the Resolution of Ambiguity from Case Marker Deletions in a Verb-Final Language

        Jee Eun Sung(성지은),Seunghun J. Lee(이승훈),Bora Eom(엄보라)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9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4 No.3

        배경 및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의 형태론적 중의문을 해결하는 과정에서 청년층과 노년층 간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형태론적 중의문을 형성하는 명사구의 개수(1 vs. 2) 및 동사의 형태(능동형 vs. 피동형)를 조절하였을 때 그림선택 과제(picture-selection task)에서 청년층과 노년층 간 차이가 유의한지를 살펴보았다. 방법: 한국어를 모국어로 하는 청년층 49명, 노년층 56명으로 총 105명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형태론적 중의문은 명사구에서 조사를 생략하여 구성하였으며, 명사구의 개수는 1개인 조건과 2개인 조건으로 구분된다. 각 명사구 조건별로 동사의 형태를 능동형과 피동형으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실험자극은 청각적으로 제시하였으며, 조사가 생략된 중의문을 듣고 명사구를 주격으로 해결하는 선호도(nominative-initial preference)를 파악할 수 있도록 그림선택 과제를 실시하였다. 결과: 연구 결과, 청년층과 노년층 간 중의문의 명사구를 주격으로 해결하는 선호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청년층은 전반적으로 모든 조건에서 명사구를 주격으로 해결하는 전략을 뚜렷하게 사용한 반면, 노년층은 이러한 선호도가 청년층에 비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 결과를 통해 노년층이 중의문을 해결하는 데 있어 청년층에 비해 주격선호전략을 사용하는 능력이 감퇴되었음을 알 수 있다. 모호한 정보를 처리할 때, 집단 간 전략사용선호도에서 차이가 있다는 점은 노화에 따른 문장이해 능력의 저하가 일어나는 기저와 관련이 있을 수 있으며, 이러한 노화의 기저를 파악하는 데 문장해결 능력 및 전략에 대한 기초연구가 더욱 이루어질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Objectives: This study investigated how age differences impact the resolution of syntactic ambiguities arising through the manipulation of verb voice types and the number of noun phrases (NPs) in stimuli sets. The stimuli consisted of ambiguous sentences that we created by deleting case markers in Korean sentences. We examined resolution strategies from the viewpoint of the nominative-initial preference. Methods: A total of 105 Korean-speaking individuals participated in the study (young adults 49, old adults 56). We manipulated the number of NPs (1 vs. 2) and the verb voice types (active vs. passive) in morphologically ambiguous sentences with NPs that had no case markers. We administered a picture-selection task to examine this nominative-initial preference. Results: We foun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use of the nominative-initial strategy between the two age groups. Younger adults consistently demonstrated a preference for the nominative-initial strategy across conditions. In contrast, elderly adults presented less preference for the nominative-initial strategy than the younger adults. Conclusion: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elderly adults performed significantly differently in the engagement of the more frequently used syntactic template-based strategy (nominative-initial strategy) than younger adults when resolving syntactic ambiguity. The differences between the age groups in ambiguity resolution strategy may explain aging-related declines in sentence comprehension abilities.

      • KCI등재

        연령 및 동사 논항 구조에 따른 애니메이션을 활용한 동사 이름대기 과제 수행력 차이

        성지은(Jee Eun Sung),곽은정(Eun Jung Kwag)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2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7 No.4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연령 및 동사 논항 구조에 따라 애니메이션을 사용한 동사 이름대기 과제에서 수행력 차이가 나타나는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방법: 총 60명의 정상 성인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청년층(만 20~39세), 장년층(만 40~64세), 노년층(만 65세 이상)의 연령 집단 별로 20명의 대상자로 분류하여 동사 논항 구조에 따른 효과를 살펴보았다. 동사 논항 구조는 총 4가지 유형으로, 1항 비능격, 1항 비대격, 2항, 3항 동사로 분류하였다. 동사 이름대기 과제는 흑백 선화로 그려진 애니메이션으로 제작하여 컴퓨터로 제시하였다. 결과: 교육년수와 한국판 간이 정신상태 선별검사(이하 K-MMSE) 점수를 통제한 후, 동사 논항 구조에 따라 연령 집단 간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기 위해 공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노년층은 청년층 및 장년층에 비해 정반응수가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청년층과 장년층 간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1항 비능격 동사에 비해 1항 비대격 동사의 정반응 수가 유의하게 높았으며, 1항 비대격 동사에 비해 2항 및 3항 동사에서의 정반응 수가 유의하게 낮았다. 단, 2항 및 3항 동사 간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논항 구조 및 연령 집단 간 상호작용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교육년수 및 K-MMSE를 통제한 후, 연령과 동사 이름대기 정반응수와의 편상관계수는 -.261로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논의 및 결론: 본연구의 결과는 노화에 따라 동사 이름대기 능력이 저하된다는 기존의 연구 결과와 일치한다. 동사 논항 구조에 따른 수행력 차이는 한국어 특징에 따라 영어권 연구 결과와는 차이가 날 수 있으며, 정상 노년층을 대상으로 동사의 다양한 측면을 고려한 향후 연구가 필요함을 논의하였다. Background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was to investigate age-related verb naming abilities depending on the argument structures of verbs. Methods: A total of 60 normal participa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3 groups: Group 1 (20 to 39 years of age), Group 2 (60 to 64 years of age) and Group 3 (above 65 years of age). Verbs were classified into 4 categories based on the argument structure: one-place unergative, one-place unaccusative, two-place, and three-place verbs. Stimuli for a verb naming task were presented using animation. Results: The ANCOVA results after controlling for years of education and the Korean-Mini Mental Status Exam (K-MMSE) scores revealed that the main effects for age and argument structu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Group 3 performed significantly worse on a verbnaming task than Group 1 and 2. Participants showed greater difficulties in the three-place and two-place verbs compared to the one-place unaccusative verbs. The partial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age and verb naming performanc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fter controlling for years of education and K-MMSE. Discussion & Conclusion: The results were consistent with previous findings, which suggested that age is related to verb naming difficulties. Performance on verb naming depending on the argument structure was partially consistent with previous findings. However, there were some discrepancies across languages and Korean-specific verb syntactic structures need to be further investigated.

      • KCI등재

        말언어장애군의 단기기억 및 작업기억용량 측정을 위한 지시하기과제 개발 예비 연구

        성지은(Jee Eun Sung)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1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6 No.2

        배경 및 목적: 다양한 언어장애군을 대상으로 언어처리과정과 관련된 언어-인지적 근본기제로서 작업기억용량(working memory capacity)에 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국내에서도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지만 단기 및 작업기억을 측정하는 평가 과제는 제한적이다. 무엇보다도 구어산출 과정에 문제가 있는 장애군의 경우 구어산출을 기반으로 하는 따라말하기와 같은 과제로 단기 및 작업기억용량을 측정하는 것은 이에 관한 결과가 교락될 수 있어 주의를 요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단기 및 작업기억과제를 다양화하고 구어산출이 아닌 지시하기과제로 변형하여 개발함으로서 보다 다양한 말언어장애군의 기억기제에 관한 연구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연구 목적은 새롭게 개발된 단기 및 작업기억 지시하기과제의 재검사 신뢰도 및 타당도에 관한 예비연구를 제시하는 것이다. 방법: 가장 널리 쓰이고 있는 숫자폭 과제(숫자 바로 및 거꾸로 따라말하기)를 지시하기과제로 변형하였으며 단어폭 지시하기(단어 바로 및 거꾸로 지시하기)과제를 개발하였다. 또한, 알파벳폭 및 빼기-2 과제를 한국어로 수정-보완하여 지시하기과제로 개발하였다. 총 55명의 정상 성인들을 대상으로 새롭게 개발된 과제들의 재검사 신뢰도 및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결과: 재검사 신뢰도의 과제 별 피어슨 상관계수 범위는 .43~ .77이었으나, 두 개 이상의 과제를 조합하여 복합과제점수를 사용할 경우 재검사 신뢰도 계수는 .65~.86으로 향상되었다. 숫자폭 과제의 경우 기존의 따라말하기과제와 지시하기과제 간의 공인타당도 분석 결과, 상관계수가 .49~ .63으로 같은 자극물이지만 산출 양상에 따라 총분산의 25%~40% 가량만 공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단기 및 작업기억 과제 별 구인타당도를 살펴보면, 단기기억과제인 숫자 및 단어 바로 지시하기과제는 .79로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네 가지 작업기억 지시하기과제의 주성분분석 결과에 따르면 하나의 요인이 총분산의 62%를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제 별 문항 내적일치도는 .72~ .73으로 높은 일치도를 보였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결과를 종합해 보면, 복합 과제를 사용하였을 때 신뢰도 및 안정성이 향상된다는 기존의 연구결과와 일치하였으며, 신뢰도 계수 및 주성분분석 결과 또한 영어권 연구와 유사하였다. 향후 연령층을 다양화하여 연령이 과제에 미치는 영향뿐만 아니라 산출 양상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는 등의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Background & Objectives: Short-term and working memory capacity theories have gained considerable attention as underlying cognitive mechanisms, deficiencies in which may account for language processing difficulties in individuals with speech and language disorders. However, there are limitations to the employment of short-term and working memory tasks developed for assessing normal cognitive processing for the evaluation of speech and/or language-impaired clinical populations. The current study developed pointing span measures that do not require verbal output and thus can be used to assess short-term and working memory capacities in special populations with verbal-output deficits. The specific aim of the study was to examine psychometric properties such as test-retest reliability, concurrent and construct validity, and internal item consistency in newly developed pointing span measures. Methods: Digit forward and backward pointing span measures were developed by adapting the most commonly used digit forward/backward recall tasks to pointing measures. An alphabet pointing span task and a subtract-2 pointing span measure were developed as working memory tasks. Fifty-five normal individuals participated in the study and performed all of the tasks. Results: The test-retest reliability results revealed that the range of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was 0.43~0.77. However, test-retest reliabilities increased up to 0.86 when a composite measure was used with a combination of at least two different tasks. Concurrent validity results suggested that the pointing version of the digit span measures shared only 25~40% of the total variance with the standardized measure of the digit span-recall. As short-term memory measures, digit and word forward pointing span measures were highly correlated (r=0.79). A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revealed that the one-factor solution accounted for 66% of the total variance for four different working memory pointing tasks. Discussion & Conclusions: The current results were consistent with those from Waters and Caplan (2003), reporting composite measure increased stabilities and reliabilities for the working memory measures and all of the working memory tasks loaded onto a single factor. Further studies are required to examine the effects of age and output-modality on these tasks.

      • KCI등재

        청년층과 노년층 간 생성이름대기에서 나타난 범주별 전형성 비교

        성지은(Jee Eun Sung),김진경(Jin Kyung Kim) 한국언어치료학회 2011 言語治療硏究 Vol.20 No.1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was to provide preliminary data on age-related group differences in naming frequency as a function of animacy and typicality. A total of 48 adults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y were provided with a list of eight superordinate category labels consisting of animate and inanimate categories andasked to write down as many examples as they think of for each category. Those examplars were given to participants for typicality-rating based on a 7-point scale. The results revealed that young normals generated significantly more examples than elderly adults, and typical examples were more frequently generated thanintermediate and atypical examples. Furthermore, significant group differences were found in typical items, indicating that younger adults tend to generate more typical examples than elderly adults compared to intermediate and atypical examples. The current results suggested that it is necessary to have a norm of generative naming performance and typicality effects for elderly adults as preliminary data for developing a semantic complexity-based anomia treatment protocol for persons with neurogenic communication disorders.

      • KCI등재

        Age-Related Differences in ERP Components Associated with Processing Homonyms Depending on the Context Type of Adnominal and Verb Phrases

        Eun Ha Jo(조은하),Jee Eun Sung(성지은)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8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3 No.2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청년층과 노년층을 대상으로 ERP 실험을 진행하여 동음이의어 처리 시 맥락유형에 따른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방법: 청년층 22명과 노년층 20명을 대상으로 문장판단과제를 실시하여 정반응률과 반응시간을 측정하는 동시에 뇌전도를 녹화하였다. 동음이의어 전후에 관형어 및 동사구 맥락이 포함된 문장을 사용하였으며, 각 맥락유형은 의미 편향성에 따라 ‘주요의미 맥락’과 ‘부가의미 맥락’으로 나누었다. 결과: 정반응률과 반응시간에서 청년층에 비해 노년층의 정반응률이 더 낮고, 반응시간도 더 느렸다. ERP 데이터 분석 결과, 300-500 ms 구간에서 노년층의 경우, 청년층에 비해 유의하게 진폭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청년층의 경우 주요의미 관형어 맥락유형에서 동사구 맥락유형이 이와 일치하지 않을 때 N400과 P600 성분이 관찰되었으며, 부가의미 관형어 맥락유형에서 동사구 맥락유형이 이와 일치하지 않을 때는 N400과 지속된 부적 성분(sustained negativity)이 관찰되었다. 반면, 노년층의 경우 관형어 맥락유형과 상관없이 500-800 ms 구간에서 지연된 부적 성분이 관찰되었다. 논의 및 결론: 청년층에서 주요의미 관형어 맥락유형에서 관찰된 N400과 P600은 각각 선행 맥락에 의해 활성화된 동음이의어의 의미가 전체 문장의 의미에 부합하지 않은 경우 발생하는 어휘적 예측의 실패와 이후 의미 통합의 실패로 인한 재분석 과정을 반영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또한 부가의미 관형어 맥락에서 관찰된 N400이 어휘적 예측의 실패를 반영하는 점은 동일하나 이후 관찰된 지속된 부적 성분은 선행 맥락에 관계없이 활성화되어 있는 동음이의어의 주요의미를 억제하는 과정을 반영하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노년층에서 관찰된 지연된 부적 성분은 노화에 따라 동음이의어 처리에 대해 약화와 처리속도 저하에 의해 나타난 것으로 해석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ge-related differences in Event-Related Potentials (ERP) components associated with processing of homonyms according to the context type of adnominal and verb phrases. Methods: A total of 42 participants (young 22, elderly 20)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stimuli were Korean sentences containing homonyms. Each sentence had adnominal and verb phrase context, and each context was biased toward dominant meaning or subdominant meaning. The target sentences were classified into four conditions depending on these contexts. Results: The elderly group showed significantly lower accuracy and slower reaction time than the younger group. ERP results revealed that the N400 and P600 components emerged in the dominant meaning of the adnominal phrase context for the younger group, whereas the sustained negativity component emerged in the subdominant meaning of the adnominal phrase context. In contrast, the elderly group demonstrated delayed negativity in both the dominant and subdominant meanings of the adnominal phrase context. Conclusion: N400 and P600 components in the younger group reflect difficulties in integrating lexical expectancy and monitoring process which trigger reanalysis when integration fails. Sustained negativity in the subdominant meaning of the adnominal phrase context from the young group seems to be associated with additional processing costs of inhibiting the dominant meaning of homonyms, which is more frequently activated than the subdominant meaning. The delayed negativity in the elderly group can likely be attributed to slowed cognitive-linguistic processing in interpreting the homonyms.

      • KCI등재

        The Efficacy of Telepractice Intervention for Children & Adolescents with Speech, Language & Hearing Impairments: a Meta-Analysis

        정상임(Sang-Im Jung),임성희(Sunghee Lim),조은하(Eunha Jo),심현섭(Hyun Sub Sim),성지은(Jee Eun Sung),김영태(Young Tae Kim)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20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5 No.4

        배경 및 목적: 원격치료(telepractice)란 텔레커뮤니케이션 기술을 사용하여 원거리에서 전문적인 평가, 중재 및 상담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의미하며, 앞으로 원격치료는 더 주목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는 메타분석을 통하여 아동 대상의 원격치료의 효과를 대면치료와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방법: 9개의 국내외 데이터베이스(Academic Search Complete, Google Scholar, PsycINFO, Eric, PubMed, CINAHL PLUS, RISS, DBpia)를 통해 선정한 총 10편의 문헌을 분석대상으로 하였고, Hedges’ g를 사용하여 효과크기를 산출하였다. 결과: 원격치료와 대면치료의 중재 효과 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장애 유형에 따른 분석 결과, 청각장애와 자폐범주성장애의 경우 대면치료와 원격치료의 중재 효과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조음장애의 경우 원격치료에 비해 대면치료의 중재 효과가 유의하게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치료유형에 따른 분석 결과, 부모나 교사의 교육을 통한 간접치료의 경우에는 두 치료 방식의 중재 효과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직접치료의 경우에는 대면치료의 중재 효과가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논의 및 결론: 전체 분석의 결과에서는 대면치료의 효과가 약간 우세하였으나, 그 효과크기가 미미하였고, 장애 유형 및 치료유형에 따라 다른 양상을 보였다. 이는 치료대상자 특성과 치료유형에 따라 원격치료와 대면치료의 효과가 달라질 수 있음을 의미하며, 이는 원격치료 또는 대면치료를 선택할 때, 대상자의 장애군과 치료유형에 대한 고려가 중요함을 시사한다. Objectives: Telepractice is the remote delivery of speech and language services via telecommunication systems. No meta-analysis has investigated the topic of treating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speech, language and hearing impairments via telepractice using a direct comparison of telepractice with face-to-face-service delivery. The purpose of this meta-analysis is to estimate the efficacy of telepractice in the treatment of speech, language & hearing impairments in children and adolescents. Methods: 10 studies which met the inclusive criteria were selected from 9 electronic databases (Academic Search Complete, PsycINFO, Eric, PubMed, CINAHL PLUS, Google Scholar, RISS, DBpia, Kyobo Scholar). A systematic review of literature was carried out using meta-analysis (Comprehensive Meta-Analysis version 2). Effect sizes were calculated using Hedges’ g. Results: The analysis of the difference of mean effect sizes between telepractice and FTF intervention according to disorder types reveal that the intervention effect of FTF intervention was significantly larger than that of telepractice in speech sound disorders. Whereas in hearing impairments and AS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intervention effect of telepractice and that of FTF intervention. Also, the analysis of the difference of mean effect sizes according to treatment types reveal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ntervention effects of telepractice and FTF intervention in indirect treatment. Conclusion: When selecting a treatment method between telepractice and FTF intervention, the results of this meta-analysis suggests that the characteristics of participants such as age, type of speech-language disorders, severity of disorders and cognitive ability including attention should be considered comprehensively.

      • KCI등재

        ERP Components Associated with Locality Dependency of Time References between Young and Elderly Adults

        김지인(Jee in Kim),성지은(Jee Eun Sung),이수은(Soo Eun Lee),심현섭(Hyun Sub Sim)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8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3 No.1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문장 성분 간 시제 표지 처리 과정에서 청년층과 노년층 간 연령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정상 청년층 15명, 정상 노년층 17명으로 총 32명이 참여하였다. 시제 표지 간 거리는 시제 부사와 동사 간의 거리로 정의하며, 근거리 및 원거리 두 가지 조건으로 구성하였다. 또한, 시제 표지 간 일치 여부를 조절하여 일치 및 불일치 조건을 추가하여, 총 4가지 조건으로 실험이 제시되었다. 이프라임(E-Prime 2.0) 및 BrainAmp Standard, actiCAP을 사용하여 행동 데이터 및 뇌파를 기록하였다. 결과: 문장판단과제 정확도 및 반응시간에서 노년층이 청년층에 비해 유의하게 저조한 수행력을 보였다. ERP 분석 결과, P600 성분에서 집단 간 차이가 유의하였다. 즉, 노년층에서 청년층에 비해 유의하게 평균진폭이 감소되었다. 논의 및 결론: 노년층에서 시제 표지 처리 과정에서 요구되는 문장의 구문 구조 통합 및 재분석하는 처리 능력이 저하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노년층에서 ERP 진폭의 감소가 나타난 것은 인지 용량 감소 및 처리속도 저하에 기인한 것으로 해석된다. 인지적 부담에 따른 노년층 문장처리 능력을 시제 표지 간 거리 및 실시간 처리 과정 패러다임을 통해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ge-related differences in event-related potential (ERP) components associated with locality effects on processing time references between younger and elderly adults using a verb-final language. Methods: A total of 32 participa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locality was manipulated by the distance between time-adverbs and verbs with short- and long-distance conditions. The tense agreement between time-adverbs and tense markers in the verbs was manipulated by varying the levels of agreement, resulting in a total of four conditions as a function of the distance and tense agreement. Results: Behavioral results revealed that the elderly group showed significantly lower accuracy and slower reaction time (RT) than the younger group. Longer distance and disagreement of tense references elicited lower accuracy and longer RTs. Group differences emerged in 600-800 ms, with the elderly group presenting reduced amplitude compared to the younger adults. Conclusion: Elderly adults demonstrated greater difficulties in integrating syntactic components required for processing tense references over the distance. Attenuated P600 components in the elderly group indicate that it is likely to be attributed to reduced cognitive capacity and slowed processing speed in elderly adul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