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인간과 로봇의 도덕성 판단, 마음지각과 불멸지각의 관계

        신홍임,신홍임 한국감성과학회 2023 감성과학 Vol.26 No.3

        The term and concept of “immortality” has garnered a considerable amount of attention worldwide. However, research on this topic is lacking, and the question of when the mind of a deceased individual survives death has yet to be answered. This research investigates whether morality and mind perception of the dead correlate with immortality. Study 1 measures the perceived immortality of people, who were good or evil in life. The results show that the perceived morality is related with the perceived immortality. Moreover, participants indicated the extent to which each person had maintained a degree of morality and agency/experience of the mind. Therefore, morality and mind perception toward a person are related to perceived immortality. In Study 2, participants were asked to read three essays on robots (good, evil, and nonmoral), and had to indicate the extent to which each robot maintains a degree of immortality, morality, and agency/experience of the mind. The results show that good spirits of a robot are related to higher scores of mind perception toward the robot, resulting in increasing tendency of perceived immortality. These results provide implications that the morality of humans and robots can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mind perception and immortality. This work extends on previous research on the determinants of social robots for overcoming difficulties in human-robot interaction.

      • KCI등재

        한국 수화의 도상성에 따른 TOF 현상

        신홍임 한국인지및생물심리학회 2019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Vol.31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음성언어의 연구에서 도출된 언어의 특징이 한국 수화(Korean sign language)에서도 나타나는지를 검증하는데 있다. 또한 수화가 음성언어와 달리 시각적으로 전달되기 때문에, 정보처리과정에서 차별화된 현상이 나타나는지를 탐색해보고자 한다. 농인 참가자 29명을 대상으로 음성언어의 ‘혀끝에 맴도는 현상’(TOT: tip of the tongue)과 같이 수화에서도 단어가 ‘손끝에 맴도는 현상’(TOF: tip of the fingers)이 나타나는지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수화에서도 TOF가 관찰되었으며, 수화소수준(모양, 위치, 방향, 움직임)에 따라 TOF가 다르게 나타나는 것이 관찰되었다. 또한 수화단어의 도상성이 높을수록 TOF가 적게 나타나서, 수화단어의 의미와 음운의 연결이 강할수록 수화단어의 인출과 표현에 어려움이 적어질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한국 수화에서 TOF가 관찰된 것은 한국 수화에서 의미와 음운이 구분되어 표상됨을 보여주며, 이 결과는 미국 수화(American Sign Language)의 선행연구결과와도 일치한다. Signed languages are generally more dominant in visual modality than spoken languages. This study (N=29) examined whether the “tip of the fingers (TOF)” phenomenon for sign language would parallel to the “tip of the tongue (TOT)” phenomenon for spoken language. TOF occurred among Korean signers, and specifically, Korean signers were more likely to retrieve a target sign’s hand shape, location and orientation than to retrieve its movement. The existence of TOFs supported a separation between semantic and phonological representations in Korean Sign Language. The link between meaning and phonology was activated automatically for high iconic properties of a sign. These results were consistent with those of previous research on American Sign Language.

      • KCI등재

        성취-흥미 목표점화를 통한 자발적 과제선택의 무의식적 조절

        신홍임,김민식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2012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Vol.26 No.2

        자발적 과제전환 패러다임은 다양한 과제수행의 상황에서 참가자의 자유로운 과제선택행동을 분석하는데 유용한 방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자발적 과제전환 패러다임을 토대로 목표의 무의식적인 활성화가 한 개인이 일상적으로 추구하는 동기와의 상호작용속에서 과제들간의 전환손실과 과제선택행동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실험에서는 참가자에게 그림과제를 통해 성취목표 또는 흥미목표를 점화한 후, 난이도가 다른 과제를 자발적으로 선택하며 수행하도록 했다. 그 결과, 성취목표점화조건에서 흥미목표점화조건보다 오답율의 전환손실이 더 적게 나타났으며, 일상적으로 성취목표를 추구하는 경향이 높은 참가자들에게 성취목표가 점화되었을 때, 쉬운 과제로의 편향이 나타났다. 이 결과는 과제전환의 상황에서 외부환경의 목표점화를 통해 의식적인 과제선택행동에 무의식적으로 영향을 줄 수 있는 가능성과 과제전환손실과 과제선택행동의 개인차변인으로서 목표 및 동기의 중요성을 시사하고 있다. 논의에서는 과제선택행동과 인지적 조절과정에 무의식적으로 영향을 줄 수 있는 변인들에 대한 후속연구의 방향을 다루었다. The voluntary task switching paradigm is a helpful method to explore task choice behaviors. Using a voluntary task switching paradigm, we examined whether the unconscious pursuit of goals has an impact on switch costs and task choice behavior. At the beginning of the experimental session, participa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an achievement goal or a fun goal priming condition. The priming manipulation was carried out through a picture-search task. After that, number tasks were presented, and the participants had to choose voluntarily just one of the two numbers, which were always simultaneously presented in Korean (easy task) and in German (difficult task), to judge the magnitude (relative to 5). The results showed that switch costs in error rates were higher in the fun goal priming than in the achievement goal priming. More importantly, the easy task was more often preferred in the achievement goal priming condition than in the fun goal priming condition, while this task choice bias increased among people with chronically high-achievement motivation. Implications of the outcomes for cognitive flexibility in task switching are discussed.

      • KCI등재

        자율주행차와 윤리적 의사결정: 누가 사는 것이 더 합당한가?

        신홍임 한국감성과학회 2019 감성과학 Vol.22 No.4

        The reduction of traffic accidents is a primary potential benefit of autonomous vehicles (AVs). However, the prevalence of AVs also arouses a key question: to what extent should a human wrest control back from AVs? Specifically, in an unavoidable situation of emergency, should an AV be able to decide between the safety of its own passengers and endangered pedestrians? Should AV programming include well-accepted decision rules about actionsto take in hypothetical situations? The current study (N = 103) examined individual/situational variables that could perform critical decision-making roles in AV related traffic accidents. The individual variable of attitudes toward AVs was assessed using the Self-driving Car Acceptance Scale. To investigate situational influences on decisional processes, the study’s participants were assigned to one of two groups: the achievement value was activated in one group and the benevolence value was triggered in the other through the use of a sentence completion task. Thereafter, participants were required to indicate who should be protected from injury: the passengers of the concerned AV, or endangered pedestrians. Participants were also asked to record the extent to which they intended to buy an AV programmed to decide in favor of the greater good according to Utilitarian principles. The results suggested that participants in the “achievement value: driver perspective” groupexpressed the lowest willingness to sacrifice themselves to save several pedestrians in an unavoidable traffic accident. This group of participants was also the most reluctant to buy an AV programmed with utilitarian rules, even though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s between members’ acceptance of AVs and their expressed intention to purchase one. These findings highlight the role of the decisional processes involved in the “achievement value” pertaining to AVs. The paper finally records the limitations of the present study and suggests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자율주행차는 운전자의 부주의로 인한 사고를 줄일 수 있는 반면, 기계에 어느 정도의 자율성을 허용해야 할 것인 지의 문제를 제기한다. 특히 돌발상황의 발생시에 운전자와 보행자 중에서 누구를 선택해야 할 것인지에 대한 의사 결정은 모두가 합당하다고 생각하는 도덕적 원칙을 기반으로 일관적으로 실시되어야 한다. 본 연구(N = 103)에서는 한국 사회에서 자율주행차의 윤리적 의사결정을 프로그래밍한다고 가정했을 때, 의사결정과정에 영향을 끼칠 수 있 는 개인적/상황적 변인을 검증하였다. 이에 따라 개인적 변인으로서 참가자의 자율주행차의 자동화 기술에 대한 수 용도를 측정한 후, 상황적 변인으로 문장완성과제를 통해 참가자에게 성취 또는 배려의 가치를 활성화시켰다. 이후 자율주행차의 사고상황에서 공리주의 의사결정의 비율 및 자율주행차 구매의향이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설문지를 통해 비교하였다. 그 결과 연구참가자에게 성취의 가치를 활성화시켰을 때, 자신이 차 안의 운전자로 가정된 상황에서 다수의 보행자를 배려하는 공리주의 의사결정의 비율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또한 연구참가자가 자율자동차 기술을 긍정적으로 생각할수록 공리주의 원칙으로 설계된 자율주행차의 구매의향이 전반적으로 높았지만, 성취-운전자 조 건에서 참가자의 구매의향이 다른 조건보다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 이 결과는 자율주행차의 사고상황에서 의사결 정의 과정이 개인적 변인뿐만 아니라 특정 상황에서 활성화된 가치 및 관점의 차이에 따라 영향을 받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논의에서는 연구결과의 제한점 및 후속 연구방향에 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이 세상에 내 고양이만 있으면: 외로움이 의인화 및 비인간화에 주는 영향

        신홍임 한국감성과학회 2020 감성과학 Vol.23 No.2

        Loneliness is an unpleasant experience due to the human need for social connection. Anthropomorphism is the attribution of human traits, emotions, and intentions to nonhuman entities. The inverse process of anthropomorphism is dehumanization in which individuals treat humans like animals or objects. Two studies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whether relationships exist among loneliness, anthropomorphism, and dehumanization. In Study 1, loneliness was measured via self-reports, and an anthropomorphism task was introduced to examine the extent to which subjective experiences of loneliness related to the tendency to describe nonhuman agents with humanlike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results, lonelier participants attributed more humanlike capacities to computers and cats. Study 2 examined whether significant differences emerged in anthropomorphism and dehumanization between the experimental condition of loneliness and the control condition. After having been induced to the emotion of loneliness using an experimental writing task, the participants tended to perceive nonhuman agents to be more humanlike in the condition of loneliness than in the control condition. Moreover, there was a stronger tendency of dehumanization toward other humans in the condition of loneliness than in the control condition. There was also higher levels of negatively biased perceptions of neighborhood characteristics. This scenario implies that anthropomorphism is related to sociality motivation, which is the need for social connection through establishing bonds with nonhumans, and may result in the dehumanization and emotional experiences of other humans. 외로움은 사회적 연결 욕구가 충족되지 못할 때 갖게 되는 고통스러운 경험이다. 의인화는 동물이나 무생물(예: 컴퓨터) 에게 인간의 속성을 부여하는 것인데 비해, 비인간화(dehumanization)는 의인화와 반대되는 과정으로서, 인간을 동물이나 무생물로 인식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외로움, 사회적 연결욕구 및 의인화의 관계를 분석하고, 외로움이 의인화, 외집단의 비인간화에 끼치는 영향을 검증하는데 있다. 연구 1에서는 외로움, 사회적 연결욕구 및 의인화의 관계를 분석하 고자 외로움 질문지와 의인화과제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참가자가 외로움을 강하게 느낄수록 컴퓨터와 동물에 대한 의인화의 경향이 더 뚜렷하게 나타났다. 연구 2에서는 실험상황에서 작문과제를 통해 연구참가자들에게 외로움의 정서를 유도한 후, 통제조건에 비해 의인화, 비인간화의 경향 및 이웃에 대한 신뢰감에서 차이가 나타나는지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외로움의 조건에서 통제조건보다 의인화, 비인간화 및 이웃에 대한 부정적 정서가 유의하게 더 높게 나타났다. 이 결과는 동물과 무생물에 대한 의인화는 외로움을 해결하기 위한 사회적 연결욕구와 관계가 있으며, 외로움은 다른 인간에 대한 비인간화 및 이웃에 대한 비호감에 영향을 끼칠 가능성을 시사한다.

      • KCI등재

        한국어 수화의 도상성을 활용한 교육적 시사점 모색

        신홍임(辛洪任)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19 아시아교육연구 Vol.20 No.1

        수화는 음성언어에 비해 시각적 전달이 더 중요하고, 도상성이 더 큰 비중을 차지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수화의 도상성이 수화의 어휘접속에 끼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농인과 청인을 위한 수화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탐색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연구에서는 그림판단과제 및 어휘판단과제를 활용하여 수화단어의 도상성과 연구참가자의 수화숙련도가 수화단어의 의미 및 음운접속에 끼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그림판단과제에서는 수화동작과 수화단어의 의미가 잘 연결되는 도상성이 높은 단어일수록 연구참가자가 더 빨리 정확하게 판단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반면 수화단어의 음운에만 주목해야 하는 음운판단과제에서는 수화단어의 도상성이 높아서 수화동작과 의미가 자동적으로 잘 연결되는 단어일수록 음운단위인 수화소와 의미가 서로 간섭하여 수화숙련도가 높은 연구참가자의 반응이 느려지는 경향이 나타났다. 반면 수화숙련도가 낮은 참가자에게는 의미와 음운이 자동적으로 처리되지 않기 때문에 이러한 간섭이 나타나지 않았다. 이 결과는 수화에서도 음성언어와 같이 단어의 의미와 음운이 서로 분리되어 표상됨을 보여준다. 또한 수화숙련도와 도상성이 높을수록 의미와 음운이 자동적으로 연결되며 처리되기 때문에, 이 중 음운만이 부각되면 수화단어의 자동적 처리에 방해가 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이 결과는 수화숙련도가 낮은 농인과 청인을 위한 수화입문교육에서 도상성이 높은 수화단어로부터 시작하는 것이 의미와 음운의 연결에 더 효과적이며, 수화단어의 음운만을 부각시키는 것은 수화단어의 학습을 방해하는 결과가 나타날 수 있음을 시사한다. Signed languages are generally more dominant in visual modality than spoken language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plore iconicity of Korean Sign Language to find implications for Korean sign language learning. In this Study, participants performed picture tasks, in which they decided whether a sign corresponded to the meaning of pictures. Fluent signers were better with increasing iconicity of words than nonfluent signers and non-signers. In contrast, fluent signers were not better with increasing iconicity of words than nonfluent signers and nonsigners, when they had to focus just on the hand movement (i.e., “Does it involve straight or curved fingers?”) in a phonological decision task.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implicated that meaning was activated automatically for high iconic properties of a sign, and this contributed to lexical access for Korean Signed Language in the picture naming task. However it led to interferences in making form-based decisions for fluent signers in the phonological decision task.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meaning and form are represented separately in sign language. Iconicity is critical for sign language learning. It helps to bridge the gap between meaning and linguistic form. These results also provide implications for developing sign language learning programs through highlighting the role of highly iconic signed words especially for beginners in sign language learning.

      • KCI등재

        창의성에 대한 암묵적 태도와 전체지각의 관계

        신홍임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2012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Vol.18 No.4

        The implicit association test (IAT) measures implicit attitudes of participants and is regarded as an effective method for expecting future behaviors. Based on the IAT, this study aimed to answer the question, whether implicit attitudes of an individual about creativity have any kinds of impact on global perception, which might be important for a creative process. In the experiment, participants were presented words, which were associated with one of four categories, while one attitude category (creativity /practicality) and one evaluative category (good/bad) were always paired together either on the left side or on the right side of the computer screen. After completing the IAT test, participants were led to fill out a questionnaire to assess explicit attitudes toward creativity and practicality. Then they conducted the navon task, in which they had to find one of two letters, ‘F’ or ‘H’, which were presented either as a local form or as a global form. Finally, the participants had to write down as many untypical functions of an object as possible. The results showed that not the scores of explicit attitude scores but the IAT scores correlated with the reaction time of global perception. The global perception was faster in the participants with the low IAT scores than the local perception. Compared to this, the global perception benefits disappeared in the participants with the high IAT scores. Additionally, more creative ideas about the functions of the object were listed in the group with the lower IAT scores. Implications of the role of implicit attitudes about creative processes are discussed. 암묵적 연합검사는 연구참가자의 내면적인 태도를 측정하고, 미래의 행동을 예측하는데 효과적인 방법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암묵적 연합검사를 토대로 한 개인의 창의성에 대한 무의식적인 부정적 태도가 창의적인 과정에 유리하다고 알려져 있는 전체지각과 어떤 관계에 있는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실험에서는 대학생 참가자에게 창의성/실용성과 긍정/부정단어들을 각각 짝지어 제시한 후, 창의성-긍정단어에 대한 반응시간과 창의성-부정단어에 대한 반응시간의 차이를 통해 암묵적 태도를 측정했다. 그 이후 참가자들은 전체유형 혹은 부분유형으로 나타나는 글자에 대해 신속하게 반응하는 네이본 과제를 수행했다. 그 결과, 창의성에 대한 암묵적 편견이 적은 참가자집단에서 전체지각의 반응시간이 부분지각의 반응시간보다 더 빠르게 나타났으며, 전체지각의 이득이 나타났다. 반면 창의성에 대한 암묵적인 편견이 높은 참가자집단에서는 전체지각과 부분지각의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으며, 전체지각의 이득이 사라졌다. 이 결과는 한 개인이 갖고 있는 창의성에 대한 암묵적 편견은 자신의 창의적 과정과 부적 관계에 있음을 보여주며, 창의성의 예측에서 암묵적인 태도 측정의 중요성을 시사한다.

      • KCI등재

        사랑의 점화와 지각편향

        신홍임,김민식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2012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Vol.26 No.4

        사랑은 대상의 지각에 어떤 영향을 주는가? 본 연구에서는 긍정적인 정서가 대상의 전체 지각을 촉진한다는 선행연구들을 토대로 긍정적인 정서의 한 예로 볼 수 있는 사랑의 점화가 전체지각을 수월하게 하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한 개인이 추구하는 사랑의 유형에 따라 전체/부분지각에서 자기조절과정의 초점이 달라지는지를 탐색해보고자 하였다. 실험 1에서는 사랑의 점화조건에서 통제조건에 비해 전체지각이 부분지각보다 빨라지는 경향이 나타났다. 이 결과는 사랑의 점화가 무의식적으로 전체지각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실험 2에서는 현재 이성친구와 교제를 하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이성친구의 이름으로 사랑을 점화하고, 전체/부분 지각과제를 수행하도록 했다. 그 후 질문지를 실시하여, 낭만적 사랑과 우애적 사랑의 유형으로 구분하고, 사랑의 유형에 따라 전체 지각과 부분 지각의 반응시간에서 차이가 나타나는지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낭만적인 사랑의 유형에서는 전체지각이 부분지각보다 더 빨리 진행되었으나, 우애적 사랑의 유형에서는 전체지각과 부분지각 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 결과는 사랑이 점화되는 유사한 상황에서도 개인이 현재 추구하는 사랑의 상이한 유형이 전체 또는 부분지각에 다른 영향을 주게 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논의에서는 후속연구의 진행방향과 지각의 자기조절과정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변인들을 다루었다. On the basis of previous research showing that positive emotion like love facilitates global perception, two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to answer, whether the love priming always has a positive impact on global processing, and whether global versus local perception varies with the self-regulatory focus associated with love styles. In Experiment 1, participants were primed by either imagining a walk with a person they were in love with (love priming condition) or a walk alone (control condition). Then, they were shown large letters made of small letters and decided if either of two specific letters appeared on the screen. In contrast to this, in Experiment 2, love was primed subliminally with the name of the loved person and the participants had to do the letter task as in the previous experiment. In addition, they had to fill out the love style scales and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romantic love and companionate love). Experiment 1 showed that the love priming condition reduced the reaction time for the global perception compared to the control condition. In Experiment 2, love priming also facilitated global perception in the group of romantic love. However, in the group of companionate love, global processing benefits decreased after the love priming trials. The results implicated that various love styles could be differentiated in regard to different goals which might have an impact on the self-regulatory focus in perception.

      • KCI등재후보

        로봇의 성별에 따른 행동표상, 마음지각과 실수에 대한 용서

        신홍임 한국여성심리학회 2023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Vol.28 No.3

        선행연구에서는 여성로봇이 따뜻한 정서를 갖고 있는 대상으로 인식되어 남성로봇보다 더 선호됨을 보고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여성 로봇에 대한 선호가 주도적 행동차원, 마음지각 및 실수에 대한 용서에서도 나타나는지를 검증하려 한다. 연구 1(N=62)에서는 로봇의 성별을 조작하기 위해 남성이름 또는 여성이름을 제시하는 조건으로 조작한 후, 상위 행동수준의 적합성, 인간과의 유사성 및 마음지각을 측정하였다. 연구 2(N=60)에서는 네 가지 유형의 행동주체(남성인간 vs. 여성인간 vs. 남성로봇 vs. 여성로봇)에 대한 기술문을 제시한 후 행동주체의 성별에 따라 상위 행동수준의 적합성, 마음지각 및 실수를 용서하는 정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연구 1에서는 여성로봇의 행동은 남성로봇의 행동보다 행동주체의 의지와 목표가 부각되는 상위수준에서 더 낮게 평정되었다. 연구 2에서는 여성로봇의 실수를 받아들이는 정도가 남성로봇의 실수를 받아들이는 정도보다 더 낮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과제수행의 차원에서 여성에 대한 부정적 태도가 여성로봇에게도 전이될 가능성을 보여준다. Recent research reported that female robots are favored over male robots, mainly because female robots are judged as warmer and having emotions. This study examined whether positive attitudes toward female robots are changing depending a competence context such as identification of high level actions, agency of mind perception and forgiving mistakes. In Study 1, the participants (N=62) were randomly assigned to one of the two agent conditions (a male robot vs. a female robot) through gendering by the use of a male or a female name. The participants had to conduct an action identification task while rating how appropriate they found each action for the agent. In addition, they completed a mind perception scale. In Study 2, the participants (N=60) had to indicate the extent of how appropriate they rated each action in one of four agent conditions (male humans vs. female humans vs. male robots vs. female robots), mind perception and the extent of forgiving mistakes.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extent of the appropriateness of high-level actions was rated much lower in the female robot condition than in the male robot condition. These findings implicate that negative attitudes toward women regarding competence can be transferred to female robots in the human-robot intera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