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전문학, 그 혼종성에 관한 이론적 고찰

        문지희(Moon Jihie)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12 외국문학연구 Vol.- No.45

        21세기 노벨문학상 수상자인 V.S. 나이폴, J.M. 쿳지, 헤르타 뮐러, 마리오 바르가스 요사 등의 작품은 공통적으로 작가의 실제적 삶을 글 속에 재현해 낸 자기반영적 글쓰기라 할 수 있을 것이다. 뿐만 아니라 현재 동서양을 막론하고 적극적으로 출간되고 있는 자전문학작품들 - 이러한 자전적 글쓰기가 작가들과 문학이론가들의 많은 관심을 받고 있는 것이 사실이나 실제적으로 이러한 자전문학에 대한 이론적 연구는 아직 부족한 듯 보인다. 1980년대 이후 고개를 내민 자전적 글쓰기를 둘러싼 적극적 논의와 연구는 한마디로 자전문학의 혼종성에 대한 연구라 해도 과언이 아닐 듯 하다. 기억의 허구성에 대한 논의와 장르의 개념에 대한 반문, 사실과 허구의 경계에 대한 의구, 절대적이며 불가변한 ‘자아’개념에 대한 반기 등은 정전(正典)과 비정전을 구분하고 문학장르의 카테고리를 분명히 정의해 내며, 고유한 존재로서의 ‘자아’에 초점을 맞추고 있던 기존의 비평이론에 많은 논란을 불러왔다. 현대의 자전적 글쓰기는 많은 경우 다문화적이며, 장르의 다양성을 아우르는 글쓰기를 표방하고, 유동적이며 유기체적 자아형성과정을 적나라하게 표방하는 자전문학들이기 때문이다. 사회문화적 요소와 자전적 주체와의 긴밀한 유대관계를 중요시하며, 정체성의 가변성과 다양성을 드러내는 이러한 글쓰기들은 또 한편으로 자신이 처한 사회적 컨텍스트에서 끊임없이 자신을 (재)정의하고 (재)위치시키려는 노력을 대변하기도 한다. 그렇기에 이러한 글쓰기는 불가피하게 사회정치적 피드백을 동반한다. 이러한 자전문학의 혼종성에 대한 고찰은 결국 자아와 주체간의 관계성, 주체와 사회간의 유대성, 내러티브와 담론의 성격 등 여러 각도에서의 재점검을 가능케 한다. 따라서 현재 생산되는 다양한 자전적 글쓰기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힐 수 있으며 작품연구에 있어 좀 더 풍요로운 이론적 토대를 마련해 줄 수 있길 기대한다. Autobiographical texts are claiming an increasingly important position in literary studies in the world literature in the 21st century. In spite of this, theoretical studies on the genre of autobiographical writing has received little attention within the cadre of literary analysis. This study focuses on the heterogeneous and hybrid forms of contemporary autobiographical writing and on the manner in which the autobiographical self is represented and constructed in the self-referential texts. Firstly, many contemporary autobiographical texts resist categorisation under a single genre and thereby demonstrate their generic hybridity. Also, contemporary autobiographical texts develop new rhetorics of identity and strategies of self-representation. Challenges to the borderlines between fact and fiction, to the concept of a unified, sovereign subject and to belief in language’s transparency have shattered the socio-cultural authority of what Lyotard calls the ‘master narrative’, including the institution of traditional (or canonical) autobiography. These new autobiographical writing can be regarded as productive sites for rethinking the ideology, socio-cultural structure, politics, and even possibilities of ‘authoring’ one’s life. I hope that this study will be a useful critical introduction to the study of contemporary autobiographical writing. 21세기 노벨문학상 수상자인 V.S. 나이폴, J.M. 쿳지, 헤르타 뮐러, 마리오 바르가스 요사 등의 작품은 공통적으로 작가의 실제적 삶을 글 속에 재현해 낸 자기반영적 글쓰기라 할 수 있을 것이다. 뿐만 아니라 현재 동서양을 막론하고 적극적으로 출간되고 있는 자전문학작품들 - 이러한 자전적 글쓰기가 작가들과 문학이론가들의 많은 관심을 받고 있는 것이 사실이나 실제적으로 이러한 자전문학에 대한 이론적 연구는 아직 부족한 듯 보인다. 1980년대 이후 고개를 내민 자전적 글쓰기를 둘러싼 적극적 논의와 연구는 한마디로 자전문학의 혼종성에 대한 연구라 해도 과언이 아닐 듯 하다. 기억의 허구성에 대한 논의와 장르의 개념에 대한 반문, 사실과 허구의 경계에 대한 의구, 절대적이며 불가변한 ‘자아’개념에 대한 반기 등은 정전(正典)과 비정전을 구분하고 문학장르의 카테고리를 분명히 정의해 내며, 고유한 존재로서의 ‘자아’에 초점을 맞추고 있던 기존의 비평이론에 많은 논란을 불러왔다. 현대의 자전적 글쓰기는 많은 경우 다문화적이며, 장르의 다양성을 아우르는 글쓰기를 표방하고, 유동적이며 유기체적 자아형성과정을 적나라하게 표방하는 자전문학들이기 때문이다. 사회문화적 요소와 자전적 주체와의 긴밀한 유대관계를 중요시하며, 정체성의 가변성과 다양성을 드러내는 이러한 글쓰기들은 또 한편으로 자신이 처한 사회적 컨텍스트에서 끊임없이 자신을 (재)정의하고 (재)위치시키려는 노력을 대변하기도 한다. 그렇기에 이러한 글쓰기는 불가피하게 사회정치적 피드백을 동반한다. 이러한 자전문학의 혼종성에 대한 고찰은 결국 자아와 주체간의 관계성, 주체와 사회간의 유대성, 내러티브와 담론의 성격 등 여러 각도에서의 재점검을 가능케 한다. 따라서 현재 생산되는 다양한 자전적 글쓰기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힐 수 있으며 작품연구에 있어 좀 더 풍요로운 이론적 토대를 마련해 줄 수 있길 기대한다. Autobiographical texts are claiming an increasingly important position in literary studies in the world literature in the 21st century. In spite of this, theoretical studies on the genre of autobiographical writing has received little attention within the cadre of literary analysis. This study focuses on the heterogeneous and hybrid forms of contemporary autobiographical writing and on the manner in which the autobiographical self is represented and constructed in the self-referential texts. Firstly, many contemporary autobiographical texts resist categorisation under a single genre and thereby demonstrate their generic hybridity. Also, contemporary autobiographical texts develop new rhetorics of identity and strategies of self-representation. Challenges to the borderlines between fact and fiction, to the concept of a unified, sovereign subject and to belief in language’s transparency have shattered the socio-cultural authority of what Lyotard calls the ‘master narrative’, including the institution of traditional (or canonical) autobiography. These new autobiographical writing can be regarded as productive sites for rethinking the ideology, socio-cultural structure, politics, and even possibilities of ‘authoring’ one’s life. I hope that this study will be a useful critical introduction to the study of contemporary autobiographical writing.

      • KCI등재

        자전문학 용어의 정립을 위한 시고(試考)

        박진성(Park, Jin-sung) 한국고전연구학회 2021 한국고전연구 Vol.0 No.52

        본고는 한문학의 자기 일생 서술 작품을 지칭하는 개념어로서 ‘자전’과 ‘자전문학’이라는 용어를 사용할 것을 제안하면서 그 타당성에 대해 논의해 본 것이다. 본고는 우선 연구자들이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자서전과 자전 용어를 비교 대상으로 삼아 그 어원과 기본개념, 용례와 범주 등을 고찰하였다. 그리하여 용어의 전통, 포용력과 융통성, 동아시아의 보편적 용례 등을 근거로 자서전보다 자전이라는 용어를 사용하는 것이 타당함을 밝혔다. 이어서 최근에 확장되고 있는 자전의 영역을 포괄적으로 지칭하는 개념어로서 자기서사와 자전문학이라는 용어에 대해 고찰하였다. 자기서사는 자전을 비롯해 수필, 편지, 일기 등 자기를 대상으로 한 양식들을 모두 포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사실상 자전적 글쓰기의 다른 표현에 지나지 않는 용어로서 자전의 개념과 유형을 지나치게 확대해석한 것이라 할 수 있다. 반면에 자전문학은 자전의 기본적 성격을 따르면서도 문학의 범주가 넓은 한문학의 특수성에 따라 여러 양식들을 포괄할 수 있기에 자전의 상위개념어로서 적합하다고 할 수 있다. 오늘날 자전과 자서전이 같은 의미로 통용되고, 자서전을 문학텍스트로 이해하려는 경향이 강함을 고려하면 자전문학 용어는 현대문학에서도 충분히 활용될 수 있다. This paper discusses the validity of the terms, “Auto-biography (自傳)” and “Autobiographical Literature (自傳文學)” and proposes to use them as conceptual terms for the autobiographical narrative of Chinese literature. First, we comprehensively considered and compared its etymology, concepts, usage, and categories, using the words “Autobiography (自敍傳)” and “Auto-biography (自傳),” which are used most commonly by researchers. Thus, based on the tradition of terms, acceptability, flexibility, and universal usage in East Asia, we determined that it is more reasonable to use the word Auto-biography (自傳) than Autobiography (自敍傳). Next, we discussed the words “Self-Narrative (自己敍事)” and “Auto-biographical Literature,” both of which comprehensively refer to the various writing styles of the recently expanding autobiography. “Self-Narrative”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cover all self-writing styles of Auto-biography (自傳), essays, letters, and diaries, but in reality, it is a different autobiographical writing style. Self-Narrative is an over-expanding interpretation of the concept and type of auto-biography. However, “Autobiographical Literature (自傳文學)” follows the basic nature of Auto-biography(自傳) and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cover various styles due to the wide literary nature of Chinese literature. Therefore, it is appropriate as an advanced term for Auto-biography (自傳). Moreover, the term Auto-biography(自傳) is used in the same sense as modern Autobiography(自敍傳), and given the current tendency to understand autobiography as literary text, the term Autobiographical Literature(自傳文學) can be used sufficiently in modern literature.

      • KCI등재

        17세기 동아시아 자전문학의 특징적 국면(Ⅰ)-창작 배경 및 자아형상화 양상을 중심으로-

        박진성 한국한문학회 2019 韓國漢文學硏究 Vol.0 No.75

        This study comprehensively examined the autobiographical literature of Korea, China and Japan in order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East Asian autobiographical literature research, which has remained only in one country until now. Through this, we are to identify the concept and features of East Asian autobiographical literature more objectively. In the autobiographical literature in Korea, a new form of autobiography combined with forms appeared such as preface, chronological records, miscellaneous records in addition to self-written epitaph or autobiography after the 17th century, and a narration tendency became more diverse. This paper focuses on the factional strife which was fierce at that time as a cause of the prevalence of autobiographical literature during this period. Isolating themselves in successive political hardships, many of the noblemen at that time wrote their autobiography, imprinted their existence and expressed lonely self-consciousness. In the case of autobiographical literature in China, as civic consciousness grew due to the prevalence of economic activities and the theory of literature emphasizing personality emerged from the 16th century, autobiographies of various characters were created, and works emphasizing individuals’ emotions and tastes appeared. In the 17th century, there was a great change of dynasty fall, but previous literary achievements and diversification of ideas were still inherited, allowing many works that highlighted individual self while containing the pain of the times to appear. In Japan, the autobiographical literature was born in earnest when the end of war in the 17th century caused military men to collapse and Neo-confucianism was settled, and the complex world of consciousness of Confucian scholars and military men could be identified in terms of the author's consciousness. In terms of style, autobiography in the form of essays using both Chinese character and Japanese language in addition to the authentic Chinese works appeared to contain the inner world and everyday matters abundantly. The autobiographical literature of three East Asian countries in the 17th century is common in terms of creation background and self-figuration. First of all, in the creation background, East Asian autobiographical literature in the 17th century was the most motivated by the willingness to imprint their existence in social turmoil and misfortune. Unfortunate factors including factional strife, dynasty fall and exile are different, but they are the same in that they provoked an autobiographical narrative while reminding people of disconnection from the world and death. Next, the self shaped in the East Asian autobiographical literature was mostly frustrated or alienated from reality, and self-consciousness also showed confusion of identity and pessimistic mood. However, there were some writers who attempted to overcome reality by revealing their self-respect or individuality rather than being immersed in the helpless reality. Until now, it has been recognized that only a few works reflected on their dark past or actively expressed deep reflection on self and feelings such as sadness in East Asian autobiographical literature. However, a new meaning can be given in that East Asian autobiographical literature in the 17th century reveals these trends. 본 연구는 지금까지 一國에만 머물러 있던 동아시아 자전문학 연구의 한계를 극복하는 차원에서 한․중․일 삼국의 자전문학을 종합적으로 고찰하였다. 이를 통해 동아시아 자전문학만의 개념과 특징을 보다 객관적으로 구명하고자 하였다. 한국의 자전문학은 17세기 이후 자전이나 자찬묘지명 이외 序文, 年譜, 筆記雜錄 같은 양식과 결합한 새로운 형태의 자전이 등장하였고 서술 경향도 더욱 다채로워졌다. 본고는 이 시기 자전문학 성행의 원인으로 당대 치열하게 전개된 당쟁에 주목해보았다. 당시의 많은 사대부들은 연이은 정치적 환란 속에서 스스로 고립시킨 채 자전을 써 내려가며 자신의 존재를 각인시키고 고독한 자의식을 표출하였다. 중국의 자전문학은 16세기부터 경제활동의 성행으로 시민의식이 성장하고 개성 중시의 문학론이 대두됨에 따라 다양한 인물의 자전이 창작되고 개인의 감정과 취향을 강조한 작품들이 등장하였다. 17세기에 이르러 왕조의 멸망이라는 큰 변화을 겪었지만 이전의 문학적 성과와 사상의 다변화는 여전히 계승되어 시대적 아픔을 담으면서도 개성적 자아를 부각시킨 작품이 다수 등장할 수 있었다. 일본의 경우, 17세기 전란의 종식으로 무인층이 몰락하고 주자학이 정착하는 상황에서 자전문학이 태동하였으며, 그 작자의식 면에서 유자와 무인의 복합적인 의식세계를 확인할 수 있다. 양식적으로는 정통 한문 작품 외에 漢文과 和文을 함께 사용한 수필 형태의 자전이 출현하여 내면세계와 일상을 풍부하게 담아냈다. 17세기 동아시아 삼국의 자전문학은 창작 배경과 자아의 형상화 측면에서 공통점을 발견할 수 있다. 우선, 창작 배경에서 17세기 동아시아 자전문학은 사회적 혼란과 불우 속에서 자신의 존재를 각인시키고자 하는 의지가 가장 큰 동기로 작용하고 있다. 당쟁, 왕조멸망, 유배 등 불우 요인은 각기 다르지만, 그것이 세상으로부터 단절과 죽음을 상기시키면서 자전적 서사를 추동시킨 점은 동일하였다. 다음으로 동아시아 자전문학에서 형상화된 자아는 대체로 현실로부터 좌절하거나 소외된 자아가 많았고 자의식 역시 정체성의 혼란과 비관적 심사가 두드러진다. 하지만 무기력한 현실에 침잠되기보다 오히려 자존 의식이나 개성을 강하게 드러내면서 현실을 극복하고자 했던 문인들도 존재하였다. 지금까지 동아시아의 자전문학은 자신의 어두운 과거를 반추하거나 자아에 대한 깊은 성찰과 비애의 감정 등을 적극 표출한 작품이 드문 것으로 인식해왔다. 그러나 17세기 동아시아의 자전문학은 이와 같은 경향들이 두드러진다는 점에서 새로운 의미를 부여할 수 있다.

      • KCI등재

        조선 후기 중인층 자전문학의 서술적 특징 연구

        박진성 ( Park Jin-sung ) 우리한문학회 2020 漢文學報 Vol.42 No.-

        본고는 창작 주체에 주목하여 조선 후기 자전문학을 고찰해보고자 하였다. 그리하여 조선 후기 중인층의 자전문학을 대상으로 그 서술적 특징을 살폈다. 조선시대 중인층은 조선 후기에 이르러 하나의 신분층으로 입지를 다지고 경제적·문화적 토대를 구축하였지만, 사회 제도와 관습에 의해 신분상승이 제한되고 권력으로부터 소외를 겪었다. 이러한 환경은 중인층이 자기 정체성을 확인하고 자의식을 형성함에 있어서 중요한 영향을 끼쳤다. 이처럼 중인층이 자신의 정체성과 자의식을 확립해가는 과정 속에서 자전문학이 본격 창작되었다. 사회적 모순 앞에서 중인층 문인들은 자전 창작을 통해 자기 존재 가치를 스스로 증명하면서 불만과 소외감을 해소하고자 하였다. 중인층 자전문학의 서술적 특징은 크게 두 가지이다. 첫째, 자전문학의 대표적 양식인 자찬묘지명을 확인할 수 없고 그보다 전 양식의 自傳을 애호하였다. 일생동안 기릴만한 이력이나 공덕이 많지 않았던 중인층은 관력을 나열하고 격식을 따져야 하는 묘지명보다 보다 대중적인 양식으로서 유연한 서술이 가능한 전 양식을 애호하여 自傳을 지었다. 두 번째 특징은 글쓰기 방식과 작품 구성에 있어서 새로운 양상을 보이는 작품이 많다는 것이다. 정태진술과 과정진술을 복합적으로 사용하여 의식세계의 변모를 선명히 보여준 崔奇男의 拙翁傳, 일반 자전과 달리 1인칭 시점에서 자기 일생을 직서한 柳最鎭의 自序傳, 필기잡록형 자전으로 지방 향리의 소시민적 삶을 생생하게 보여주는 金敬天의 『巽窩謾錄自序』, 자찬연보의 공적 서술 흐름에서 이탈하여 개인사의 기쁨과 슬픔을 모두 다루고 있는 馬聖鱗의 平生憂樂總錄이 대표적이다. 조선시대 취약 계층이라 할 수 있는 중인층의 자전문학을 통해서 창작 주체의 신분, 정치적 지위, 경제적 상황 같은 현실적 문제들이 자전문학의 유형이나 서술 방식이 결정됨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This paper focused on the author’s group and studied the Autobiographical Literature of the late Joseon Dynasty. Thus, Descriptive features were discussed in the Autobiographical Literature of the middle class in the late Joseon Dynasty. During the late Joseon Dynasty, the middle class developed economically and culturally to become a solid class. But the rise in status was limited by social institutions and customs and alienated from power. This environment has had an important impact on the middle class’ identification and self-consciousness. Their Autobiographical Literature was created i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one’s identity and self-consciousness among the middle class. In the face of social contradictions, the writers of the middle class resolved their dissatisfaction and alienation by proving themselves the value of their existence through the creation of autobiography. There are two main descriptive features of middle-class Autobiographical Literature. First, the representative form of Autobiographical Literature, the name of the Self-written epitaph(自撰墓誌銘), could not be confirmed, and the Autobiography(自傳) was favored. The middle class, who had no outstanding achievements throughout their lives, could change their narrative and preferred to create popular Autobiography(自傳). Because the name of the cemetery records official matters and values formalities. The second characteristic is that there are many works that show a new aspect in the way they are written and composed. Choi Kinam(崔奇男)’s Jolongjeon(拙翁傳) which clearly showed the transformation of the conscious world by using a fixed narration and time process description methods, Yoo Choijin(柳最鎭)’s Jaseonjeon(自序傳) who wrote his life directly from the first person point of view, and Kim Kyungcheon (金敬天)’s Sonwamanrokjaseo(巽窩謾錄自序) gives a detailed account of the lives of the middle class. Ma SeongLin(馬聖麟)’s PyeongseongUrakChongrok (平生憂樂總錄) deviated from the official description of the Self-Chronology (自撰年譜), he described both the joys and sorrows of the individual. The Autobiographical Literature of the middle class, which is considered a vulnerable class during the Joseon Dynasty, shows that practical problems such as the status, political status, and economic situation of the creative entity have an important effect on the determination of the type or method of Autobiographical Literature.

      • KCI등재

        [특집: 한국문집과 한학연구] 한중 문화의 교차적 이해 (2) : 심노숭(沈魯崇)의 자전문학(自傳文學)에 나타난 글쓰기 방식과 자아 형상

        정우봉 ( Woo Bong Chung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4 民族文化硏究 Vol.62 No.-

        아우구스티누스의 『고백록』에 기원을 둔 서구의 자전문학은 서구 특유의 고유한 문학 양식으로 인식된 적도 있었다. 하지만 동양문화권 내에서도 자전문학의 존재와 그 역사적 변화상에 대한 인식과 함께 그 연구 성과 또한 활발하게 제출되었다. 동아시아 문학사의 전통 속에서 자전문학이 어떠한 성격과 특징을 지니며 변화해 왔는지를 살펴보는 작업은 앞으로 해명해야 할 과제이다. 여기에서는 조선후기 자전문학의 중요한 성과를 평가될 수 있는 孝田 沈魯崇(1762-1837)의 사례를 집중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심노숭은 자기의 삶을 서사화하는 데에 특별한 관심을 가졌다. 그는 매우 상세하게 자신의 삶을 기록하였으며, 또한 다양한 형식을 활용함으로써 자전적 글쓰기의 실험을 모색했다. 심노숭은 자전적 글쓰기 방식에 있어서 장편 형태의 서술방식을 주로 선호했는데, 自撰 年譜 형식 이외에 주제별 분류 방식을 새롭게 채택하여 자기 삶을 다각적으로 증언하고자 하였다. 더 나아가 심노숭은 사건과 행적을 단순히 나열하는 통상적인 자전문학의 서술 방식에 그치지 않고 자신의 내면과 심리를 진지하게 성찰했으며, 숨기고 싶은 비밀이나 자신의 결점과 단점까지도 스스럼없이 토로하였다. 주제별로 구획하여 자기를 이야기하는 방식은 종래 자전문학의 형식과는 매우 다르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심노숭의 자전문학에 나타난 자아상은 진실한 인간적 면모를 지닌다. 희노애락의 자기 감정을 진솔하게 표현하였으며, 자신의 과오와 결점을 드러내 보이고 이성에 관한 개인의 은밀한 욕망까지도 숨김없이 토로했다. 또한 불우한 문인지식인으로서의 자기 모습을 그려보이기도 하고, 때로는 당대의 시대 상황을 예리한 시선으로 증언하고자 하는 목격자의 모습을 띠기도 하였다. 미셸 푸코에 따르면 근대적 주체는 내밀한 욕망의 고백을 통해 진정한 자기를 인식하며, 동시에 고백을 통해 사회의 금기를 스스로 받아들임으로써 자기를 구축해나간다. 심노숭의 자아상은 그 같은 근대적 개인의 자기 고백을 향한 도정 위에 서 있었다고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utobiographical literature of Sim No-sung. He was concerned about autobiographical writings. Sim No-sung made attempt to innovate new writing style in Jajeosilgi and Jajeoginyon. These two books is representative of his autobiographies. Jajeoginyon was arranged in a chronological order. This book was his own chronology. Jajeosilgi was unusual autobiographical literature. This book was made up according to four topics. The topics was appearance, character, art and experience. This method of organizing was very unique attempt. And Sim No-sung expressed private and secret feelings, complicated mentalities and subjective desires in his autobiographical literature. He made attempt to write his own life with truthful narrative mode. It was similar to Rousseeau`s Les Confessions. It was a plain statement of fact without any coloring. He was tied up with self-censorship. Rather he refused self-censorship. First self image which was reflected in his autobiographical writings was human-like figures. He did not hide his human weaknesses, shortcomings and sexual desires. He was someone who admits his shortcomings. Second self image in his autobiographical writings was unsuccessful writer. In spite of his talents he has regarded him as an unfortunate intellectual. He did not get ahead in the world and he was sent into exile by his political rivals. He was exiled to a far-off land. And third self image in his autobiographical writings was an eyewitness. He has witnessed a realty of his age. He has described his times as an honest reporter. Jajeosilgi and Jajeoginyon is important texts within autobiographical literature in the late Joseon dynasty because inner confession and feelings was well expressed in two books. The value of his autobiographical literature was characteristic self images and unique writing style.

      • KCI등재

        지류(支流)와 환류(還流): 자전문학(自傳文學)의 관점에서 본 조선시대 자만시(自挽詩)

        임준철 ( Lim Jun Chul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7 民族文化硏究 Vol.76 No.-

        이 글은 자전문학의 관점에서 조선시대 자만시의 특성을 살핀 것이다. 자만시를 자전문학의 일종으로 볼 수 있느냐란 문제는 분명하게 규정하기 어려운 문제다. 하지만, 현대 학계의 자전문학 규정 방식이나 동아시아 문학전통의 실상에 비추어 볼 때 자전문학과 자만시는 매우 가깝거나 동종의 문학양식으로 볼 수 있다는 것이 이 글의 결론이다. 하지만 자만시는 다른 자전문학과 차이도 있다. 자만시에서 시적 화자인 `나` 와 죽은 것으로 설정되어 있는 `나`는 시를 쓰는 과정에서 만들어진 텍스트 내적 자아이지만, 그 가공의 내가 현실을 살아가는 `나`를 규정하고 만들어낸다고 볼 수 있다. 이렇게 시인의 삶과 자만시가 서로 맞물려 있다는 의미에서 자만시라는 글쓰기는 일종의 자기형상 창조라고 볼 수 있다. 이런 특성이 십분 발휘될 때 다른 자전문학에서 보기 힘든 복합적인 혼성(hybrid)의 자아가 형성되고 그것이 독특한 자아표현 방식으로서 기능하게 된다. 자만시는 동아시아 한문학사에서 자전문학이란 흐름 속에서 갈려 나온 支流이다. 하지만, 그 지류는 본류와는 다른 문학적 환경과 수사적 특성으로 인해 나름의 변화된 흐름을 형성하였다. 특히 남효온의 「자만 4장」과 후기에 들어 점증한 예외적 작품들은 조선시대 자만시의 還流的 성격을 잘 보여준다. This article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self-elegy poetry of the Joseon D ynasty from the perspective of autobiographical literature. There is disagreement am ong researchers regarding the question of whether they can view self elegy poetry as a form of autobiographical literature. However, in light of contemporary scholars ` rules of defining literature and the traditions of Asian literature, autobiographical literature and self-elegy poetry can be regarded as a very near literary form. However, self-elegy poetry has its own way of self expression that distinguishes itself from other forms of autobiographical literature. The author, "Me" and anothe r "me", who is set to be dead, are the egos inside the text, but these fictional "me "s can define and produce the "me" in the real world. When this characteristic is fully attained, a hybrid alter ego of self-elegy poetry is formed in a more complex form of hybrid than other forms of autobiographical literature. Self-elegy poetry is a kind of tributary divided from the mainstream of autobiogr aphical literature. At the same time, self-elegy poetry of the Joseon Dynasty also is a tributary of the main stream of self-elegy poetry tradition since Wei, Jin, Souther n and Northern Dynasties(魏晉南北朝). However, the tributary formed their own v aried streams due to differing currents and sources from that of the origin. In parti cular, Nam Hyo-on(南孝溫)`s work “Self-elegy Chapter 4(「自挽 4章」)”and the incre asing of these exceptional works represents the changed characteristics of the self-el egy in Joseon Dynasty.

      • KCI등재

        뮬따뚤리(Multatuli)와 『막스 하벌라르』(Max Havelaar): 네덜란드령 동인도문학의 자전적 퍼포먼스

        문지희 ( Moon Jihie ) 세계문학비교학회 ( 구 한국세계문학비교학회 ) 2016 世界文學比較硏究 Vol.56 No.-

        최근까지 『막스 하벌라르』에 관한 연구는 많은 경우 반식민주의 색채와 영향에 집중하는 경향을 보였다. 하지만 반식민주의 또는 탈식민주의라는 분석의 틀은 ‘네덜란드 현대문학의 효시’로 평가 받는 이 작품의 형식적, 구성적, 내용적 혼종성을 설명해 내는데 부족함이 있는 듯 보인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네덜란드 현대문학의 효시라고 명명되는 뮬따뚤리의 작품 『막스 하벌라르』를 자전문학의 관점에서 분석한다. 텍스트의 구성과 내러티브, 자아재현의 과정에 보이는 강한 혼종성을 해석하는 가장 분명한 코드는 ‘자전적 글쓰기’라고 판단되기 때문이다. 바흐친의 개념인 ‘자기위치화(positionality)’, ‘복합적 대화론(heteroglossic dialogism)’, ‘퍼포먼스(performance, performativity)’의 개념은 뮬따뚤리의 삶의 재현과 자전적 텍스트 분석에 유용한 장치의 역할을 한다. 이 글에서는 자전적 주체가 어떻게 복합적 대화론의 요소와 정치적인 자기위치화를 통해 국왕에 대한, 네덜란드 정부에 대한, 독자에 대한, 세계 시민에 대한 탄원과 ‘고발’의 퍼포먼스를 행하고 있는지 살펴볼 수 있다. 당시유럽문학의 틀에서는 상상하기 힘들었던 이러한 문학적 장치들은 중심과 주변, 유럽과 식민지, 네덜란드와 동인도, 권력과 박탈 등 많은 부분 경계에 서 있던 작가 뮬따뚤리 삶의 문학적 표명이며, 작가의 사회정치적 퍼포먼스라고 해석된다. Until now, many studies on Max Havelaar has focused on ``anti-colonial elements`` and its effects on other literature. However, focusing on the anti-colonial perspective only seems to be inadequate in explaining the hybridity of form, structure and contents of ``the first modern Dutch literature``. This study approaches Multatuli``s Max Havelaar from the autobiographical perspective. The most convincing tools for analyzing the hybridity of the text could be ``self-representation``, ``positionality``, ``heteroglossic dialogism`` and ``performance``. These concepts contribute to understanding how the autobiographical self, while using the agency of heteroglossic dialogism and political self-positioning, does his ``performance`` of complaining and persuasion of the King, the Dutch colonial government, the readers of his book, and the world citizen. These literary agencies which were not common in the 19th century European literary world, could be understood as a literary performance by Multatuli who was positioned between centre and margin, Europe and colony, the Netherlands and the Indies, power and relegation, and romantic idealism and reality.

      • KCI등재

        17세기 동아시아 자전의 장편화 양상 연구

        박진성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2023 한국문학연구 Vol.- No.71

        This paper examines the Korean full-length autobiography in the 17th century in two aspects, the Lengthening of the existing type and the emergence of a new full-length autobiography, and considers its background and cause. And as a comparison, the full-length autobiography of contemporary Japan and China was also reviewed to deriv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three countries. The main discussion is summarized as follows. First, Korean full-length autobiographies in the 17th century can be divided into the Lengthening trend of the traditional autobiographical style of Self-written Epitaph (自撰墓誌) and Jaseo (自敍), and the emergence of new types of autobiographies such as Auto-Chronology (自撰年譜) and Pilgijaprok (筆記雜錄) style autobiographies. Second, there are three main reasons why Korean autobiographies became long in the 17th century. After the two wars of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and The Manchu war of 1636, there is a literary background in which the form of factually recording the life and events of a person has been prevalent and various narratives have increased. In addition, the full-length autobiographer had a thorough and rigorous record consciousness while having abundant experience in recording people and history. In addition, realistic factors related to survival, such as Wars and Factional Strife (黨爭), worked in a complex way to influence the long stories of autobiographies. Third, full-length autobiographies appeared in earnest in Japan and China at the same time. In Japan, in the 17th century, a Chinese character autobiography appeared for the first time, and one or two full-length autobiography also appeared. However, because of the tradition of Essay with a long history, essay-type autobiographies of type of Hanwha (漢和) mixture were actively created. In the case of China, many full-length autobiographies, including Auto-Chronology (自撰年譜), have been created before the Ming Dynasty, and in the 17th century, different style full-length autobiographies appearing that are close to modern essays or biographical novels. Fourth, in East Asian full-length autobiographies in the 17th century, chronological descriptions are common, and autobiographies using the method of Pilgijaprok (筆記雜錄) style gradually appear. And in terms of content, there is a similar trend in the gradual increase in the number of works that describe individual experiences and thoughts. And in all three countries, War or political ordeal serves as a major creative background for full-length autobiographies. However, unlike Korea, where the main creative class was Sadaebu (士大夫) and politicians, Japan and China are divided into military men, scholars, exiles, refugees, hermits, and politicians, and there are works that focus only on individual lives, not public life. In addition, as the histories of autobiographies of the Three countries are different, the degree of change in autobiographies is also different, so many new types and writings have been attempted in Chinese full-length autobiographies with a relatively long history. 이 논문은 기존 자전 양식의 장편화와 새로운 장편 자전의 출현, 두 가지 측면에서 17세기 한국 자전의 장편화 양상을 살피고, 그 배경과 원인을 고찰하였다. 그리고 비교 차원에서 동시대 일본과 중국의 장편 자전도 검토하여 삼국 간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도출하였다. 주요 논의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17세기 한국 자전의 장편화 양상은 전통 자전 양식이 장편화 경향을 보이는 것과 새로운 유형의 자전이 등장한 것으로 나눌 수 있다. 이식(李植)과 이선(李選)은 연속된 자찬묘지를 지어 자신의 복잡한 정치 이력과 감회 및 성찰을 곡진하게 기록하였으며, 허목(許穆)과 이홍인(李弘仁), 이시발(李時發)은 자서에서 일생 서술 외에도 주요 저술과 시문을 함께 기록하면서 장편화를 이루었다. 최초로 자찬연보를 지은 이정암(李廷馣)은 임진왜란 때의 활약을 중점적으로 서술하였고, 정태화(鄭太和)는 자찬연보에 20여 년간의 관직생활에서 겪었던 각종 사건과 청나라와의 전쟁 상황 및 외교적 문제, 연행의 경험 등을 상세하게 기록하였다. 이식과 남용익(南龍翼)은 주제별 구성과 연대기식 서술 방식을 함께 사용한 필기잡록형 자전을 통해 자신의 일생을 구체적으로 묘사하였고 자기변론의 모습을 보여주기도 했다. 남용익의 자전은 개인의 사적인 일상과 취향에 대한 서술도 두드러진다. 둘째, 17세기 한국 자전이 장편화된 원인은 크게 세 가지이다. 임병양란을 거치며 인물의 일생과 사건을 사실대로 기록하는 양식이 성행하고 각종 서사물이 증가한 문학적 배경과 작자 개인적으로 인물 및 역사 관련 기록 경험이 풍부한 가운데 투철하고 엄정한 기록자세를 견지한 점, 그리고 전란과 당쟁이라는 생존과 관련된 현실적 요인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자전의 장편화에 영향을 미쳤다. 셋째, 동시대 일본과 중국에서도 장편 자전이 본격적으로 등장하였다. 일본은 17세기 한문학 자전 양식이 비로소 등장하는 가운데 장편 자전도 나타나며, 수필문학의 전통하에 한화(漢和)혼용체의 수필형 자전이 활발하게 창작되었다. 중국은 명대 이전부터 자찬연보를 비롯한 장편의 자전이 다수 창작되었고, 17세기에 이르러서는 현대의 수필이나 전기소설에 가까운 장편 자전이 등장하기에 이른다. 넷째, 17세기 동아시아 삼국의 장편 자전은 서술에 있어 삼국 모두 연대기식 서술이 중심을 이룬 가운데 필기잡록 방식을 취한 작품이 등장하며, 내용에서는 개인의 사적인 체험과 사유를 기술한 작품이 점차 늘어나는 경향이 유사하다. 그리고 삼국 모두 전란이나 정치적 시련이 주요한 창작 배경으로 작용한다. 그러나 주요 창작층이 사대부이자 정치인이었던 한국과 달리 일본과 중국은 무인, 학자, 망명인, 유민, 은둔인, 정치인 등으로 분화되어 공인으로서의 삶이 아닌 오직 개인의 삶에 초점을 맞춘 작품이 보이기도 한다. 또한 자전의 변화폭 또한 차이가 있어서 상대적으로 오랜 역사를 지닌 중국 장편 자전에서 새로운 유형과 글쓰기가 많이 시도되었다.

      • KCI등재

        17세기 동아시아 자전문학의 특징적 국면(Ⅱ) - 서술적 특징을 중심으로 -

        박진성 ( Park Jinsung ) 온지학회 2021 溫知論叢 Vol.- No.66

        본고는 기존 자전 양식의 변화와 새로운 양식의 출현에 주목하여 17세기 동아시아 자전문학의 서술적 특징을 살펴보았다. 기존 자전 양식의 변화와 관련해서는 自傳과 自撰墓誌銘, 自序를 중심으로 기존의 정형성을 탈피한 새로운 글쓰기 양상을 고찰하였다. 자전은 정태진술과 과정진술을 복합적으로 사용하거나 다자간의 문답을 통해 인물을 형상화하는 多元的 서술기법을 선보이는 등 새로운 서술방식이 삼국 공통으로 나타났다. 자찬묘지명은 중국과 일본에서 간결하면서도 인물의 개성을 드러내는 새로운 글쓰기가 시도되었으며, 중국에서는 작자의 개성을 극대화시킨 傳奇같은 자서가 등장하기도 하였다. 다음으로 17세기 각국에서 처음 출현한 자전 양식에 대해 살펴보았다. 한국에서는 자전적 自序와 自撰年譜, 필기잡록형 자전이 처음으로 등장하였으며, 일본에서는 자전과 자찬묘지명 등 한문학 자전 양식 외에 和文과 漢文을 혼용한 수필형태의 자전이 창작되었다. 중국에서도 壽序 형태의 자전과 2인칭 서술기법을 사용한 새로운 유형의 작품이 처음 등장하였으며, 회고록 형태의 자전적 소설이 창작되기도 하였다. 이처럼 17세기 동아시아의 자전문학은 전통적 자전 양식의 변화와 새로운 자전 양식의 등장이라는 공통된 현상 속에서 양과 질적으로 한층 발전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동아시아 자전문학의 성장과 변화는 혼란한 시대적 상황과 문예사조의 변화, 자기 존재 가치의 증명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라고 할 것이다. 17세기 동아시아 자전문학의 특징적 서술 양상은 18~19세기 동아시아 자전문학의 변화와 발전에 밑바탕이 된 점에서 특별한 의미가 있다. This paper looks at the narrative style of 17th-century East Asian autobiography, noting the changes in existing autobiographical styles and the emergence of new ones. As for the changes in the existing autobiography style, we consider new writing methods that deviate from the traditional orthodoxy, focusing on Autobiography(自傳), Own's epitaph(自撰墓誌銘), and Self-preface(自序). As a result, the autobiography showed the same new narrative style in the three countries, such as the combination of fixed and time-changing descriptions and the multi-faceted descriptive techniques that shape characters through questions and answers from multiple people. In the case of Own's epitaph, new writing was attempted to reveal the character's personality in short sentences in China and Japan, and a Self-preface to maximize the author's personality appeared in China. Next, this paper looks at the first autobiographical form of appearance in each country during this period. In Korea, Autobiographical self-preface, Auto chronology(自撰年譜), and Pilgijaprok(筆記雜錄)-style autobiographies first appeared in the 17th century, and in Japan, many Essay-style autobiographies using Japanese and Chinese characters were created in addition to classical autobiographies such as Autobiography and Own's epitaph. In China, a new type of work using Su-seo(壽序) style autobiography and second-person narrative techniques first appeared, and Autobiographical novels in the form of memoirs were created. As such, the 17th-century East Asian Autobiographical Literature was further developed in quantity and quality amid the common phenomenon of changes in traditional autobiography styles and the emergence of new autobiography styles. This growth and change in East Asian autobiography is the result of a combination of chaotic times, changes in literary trends, and proof of self-presence values. The characteristic narrative of the 17th-century East Asian Autobiographical Literature is particularly meaningful in that it was the background for the change and development of East Asian Autobiographical Literature in the 18th and 19th centuries.

      • KCI등재

        Auto-ethnographical ‘writing back’ in South Africa

        Moon, Jihie(문지희) 한국아프리카학회 2015 한국아프리카학회지 Vol.45 No.-

        이 논문은 남아공의 컬러드 작가인 아브라함 필립스의 『방황의 나라』를 자전적 민족문학의 관점에서 다루고 있다. 아파르트헤이트의 종식을 즈음하여 출간된 이 책은 당시 남아공 사회에 큰 의미를 시사하였다. 먼저 책의 저자가 전형적인 아프리칸스 작가들의 글쓰기를 거의 따르고 있지 않다는 점은 무엇보다 주목할 만한 문학적 이슈였다. 텍스트 속에 소수민족의 목소리를 여과 없이 담아내고 있는 이 작품은 자전적 민족문학의 관점에서 접근할 수 있는 근거를 제공한다. 자전적 글쓰기의 성격을 지닌 민족지학으로서의 자전적 민족문학은, 작가 자신을 텍스트의 주체로 위치시키며, 동시에 작가의 경험이 특정한 민족공동체의 특징과 목소리를 대변할 수 있는 담론의 공간을 마련한다 (Hanson, 2004: 184). 이러한 자아재현의 과정 속에선 흔히 정체성의 정치와 관련된 전략적인 객체가 등장하기 마련이다. 이런 경우, 정체성의 정치는 특정 공동체에 권력이나 힘을 부여하고자 하는 장치를 동반하며, 이는 종종 정치권의 재분배를 피력하는 것으로 비추어 질 수 있다. 따라서 정체성의 정치는 넓은 사회적 틀에서 볼 때, 특정 그룹의 ‘포함’과 ‘배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도 할 수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이 논문은, 남아공의 정치적 전환기에 컬러드 작가인 아브라함 필립스가 그의 자전적 민족문학을 통해 추구하고자 하는 바를 분석하고 있다. 필립스의 작품은 정체성의 정치뿐만 아니라, 정치적 이데올로기(아파르트헤이트)에 대항하는 자전적 민족문학의 요소를 뚜렷이 지니며, 따라서 독자는 이 작품이 표방하는 사회정치적 메시지를 분명히 엿볼 수 있다. 필립스의 텍스트는 역사적으로 철저히 타자화되어 있던 한 민족공동체의 목소리를 실어 나르며, 적극적인 사회변화를 종용하는 문학적 장치로서의 역할을 훌륭히 해 내고 있다. In this study the focus is on the text Die Verdwaalde Land (1992) by the Coloured author Abraham Phillips. The publication of this text at the end of the Apartheid era was particularly significant for South African society and that a book by an author exhibiting little of the conspicuous skill of the typical Afrikaans writer appeared, was a significant literary event. That the marginalised ethnic community’s voice is heard in the text also facilitates approaching the text from an auto-ethnographic perspective. Autoethnography, meaning ethnography that forms part of autobiographical writing (cf. Hanson, 2004:184), aims to create discursive space in which the autobiographer may be positioned as a subject, and within which the auto-ethnographer may relate aspects of his/her own experiences as part of a particular ethnic group or community. In the process of such self-(re)presentation by the autobiographer, the strategic objective with regard to the politics of identity is displayed. In such a case, identity politics may be understood in the context of activity towards empowerment of a specific group’s identity. Since it may frequently be seen as a claim for redistribution of political power, identity politics may affect the inclusion as well as exclusion of a group within the wider community. What Phillips attempts to achieve in and through his auto-ethnographic text, is investigated here against this background. Not identity politics only but also auto-ethnographic resistance to political ideologies (against apartheid) come to the fore in the text. The reader of this book, which came into existence in the time of the political turn-around, cannot deny its socio-political effect. In the Phillips text, the voice of the formerly marginalised (the Other) is positioned as an agent encouraging change in the commun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