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피의자신문조서와 형사소송법 제314조의 관계에 대한 소고

        김정한 대검찰청 2019 형사법의 신동향 Vol.0 No.63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wofold: (1) to examine whether the interrogation report about the accused written by the defendant’s prosecutor or law-enforcement officers can take its admissibility as an evidence based on Article 314 and (2) whether the interrogation report written by the prosecutor of the accomplice who is not indicted can be used an evidence for the indicted defendant. As an attempt to surmount the issue, this study focuses on the problem of the fictitious assent of admissibility in the absent trial and on the problem of Article 312 Clause 1 and Clause 3, Clause 4, Clause 4 and Clause 3, which are the necessary conditions of admissibility as an evidence for another accomplice’s defendant with the accomplice’s judicial precedents. Since the defendant’s interrogation report written by the prosecutor cannot be used as an evidence based on Article 314, I argue that the accomplice’s interrogation report written by the prosecutor cannot be used as an evidence for the defendant of other accomplice based on Article 314. An close examination also reveals that the problem of the issue of the admissibility as an evidence in the absent trial is fundamentally similar to that of the interrogation report on the accused based on Article 314. To expedite the trial and impose a sanction against the defendant’s absence or denial of statement in trial, it is not correct to give the disadvantage at fact examination. 이 글을 통해 필자는 피고인 자신의 검사 또는 사법경찰관 작성 피의자신문조서에 제314조를 적용하여 증거능력을 부여할 수 있는지, 그리고 공범인 피고인의 검사 또는 사법경찰관 작성 피의자신문조서에 제314조를 적용하여 다른 공범인 피고인에게 증거능력을 부여할 수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이 문제에 관하여 학설은 나누어져 있고, 참고판례 1과 2가 보여주듯 판례는 공범의 사법경찰관 작성 피의자신문조서에 제314조를 적용하여 다른 공범인 피고인에게 증거로 사용할 수는 없다는 점과 기소되지 아니한 공범의 검사 작성 피의자신문조서에 제314조를 적용하여 기소된 피고인에게 증거로 사용할 수 있다는 점을 밝힌 일이 있을 뿐 위 문제의 대부분에 관하여는 직접적으로 밝힌 바가 없다. 위 문제를 풀기 위해서 궐석재판에서의 증거동의 의제 문제와 공범의 피의자신문조서가 다른 공범인 피고인에게 증거능력을 가지기 위한 요건에 관한 제312조 제1항/3항설, 제4항설, 제4항/3항설의 문제를 함께 살펴보았다. 만일 통설, 판례처럼 형사소송법 제318조 제2항에 따라 궐석재판의 경우에는 증거동의가 의제된다고 본다면 제314조 사유 대부분이 피고인의 출석 불가이기 때문에 피고인 자신의 피의자신문조서에 대하여 제314조를 적용할 필요성 대부분이 소멸한다. 그러나 필자는 증거동의 의제는 피고인 불출석에 대한 제재로서 대단히 부적절하기 때문에 폐지 또는 제한해석 되어야 한다고 본다. 아울러 공범의 피의자신문조서의 증거능력 요건에 관하여 제4항설을 취하면 피고인에게 대단히 불리한 불합리한 결과가 발생하고, 제4항/3항설을 취하면 피의자와 참고인 체계가 붕괴되기 때문에 현행 형사소송법에서는 취하기 어려우므로 결국 제1항/제3항을 유추적용 하되 피고인에게는 해석상 반대신문권이 인정된다고 보아야 한다. 이러한 논리를 피의자신문조서에 제314조를 적용할 수 있는지의 문제로 확장하여 풀어보면, 피고인 자신의 피의자신문조서에 제314조를 적용하면 궐석재판에서 제318조 제2항에 따라 증거동의를 의제하는 것과 동일한 폐해가 발생하기 때문에 피고인 자신의 피의자신문조서에 제314조를 적용하여 피고인에게 증거로 사용할 수는 없고, 공범의 사법경찰관 작성 피의자신문조서에 제314조를 적용하여 다른 공범인 피고인에게 증거로 사용할 수 없다는 점은 이미 다수설, 판례가 밝힌 바와 같으며, 피고인 자신의 검사 작성 피의자신문조서에 제314조를 적용하여 증거로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공범의 검사 작성 피의자신문조서에 제314조를 적용하여 다른 공범인 피고인에게 증거로 사용할 수는 더더욱 없다는 것이 필자의 주장이었다. 주의 깊게 살펴보면 궐석재판에서의 증거동의 의제의 폐해와 제314조를 피의자신문조서에 적용할 때의 폐해는 매우 유사하다. 피고인이 불출석하거나 진술하지 않아도 신속한 재판 또는 불출석에 대한 제재 등의 미명 하에 피고인에게 사실인정상의 불이익을 가하는 것은 옳지 않다는 것이 필자의 소신이다.

      • KCI등재

        한국 테니스 선수들의 자신감 향상을 위한 전략 : 호주 및 미국 테니스 코치들과의 비교분석

        박정근,전진효 한국스포츠심리학회 2002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Vol.13 No.3

        본 연구 목적은 13가지 자신감 향상 전략들에 대한 한국 테니스 코치들의 이용빈도 및 지각된 효율성을 호주 및 미국 테니스 코치들과 비교하는데 있다. 또한 한국 테니스 코치들의 코칭 경험, 국가대표경력 유무, 그리고 학력이 자신감 향상 전략들의 이용빈도 및 효율성에 차이가 있는가를 비교하는데 있다. 피험자들은 클럽이나 중,고,대학에서 지도하고 있는 55명의 테니스 코치들이다. 한국 코치들은 자신감 향상을 위해 고안된 13가지 전략 모두를 적절한 정도로 이용하였으며, 이러한 전략들이 최소 적절한 효과가 있었다는 결과가 나왔다. 13가지 전략 중에서 지도와 훈련을 통한 경기력 증진, 언어적 설득, 성공적인 심상 사용, 자신감 있게 행동, 선수들로 하여금 긍정적 대화 유도, 강도 높은 체력훈련 실시, 시합의 결과를 중시하는 것 보다 기술적인 증진을 강조, 그리고 유사한 선수나 성공한 선수 모델링 기법을 사용하는 것 등 8가지 기술들은 한국 코치들이 아주 효과적이고 자주 이용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또한 코칭 경험, 국가대표 경험 유무, 학력에서 판별되는 자신감 전략 변인들에서는 약간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3가지 자신감 향상 전략들에 대한 한국, 호주, 그리고 미국 코치들의 결과를 비교해 볼 때, 거의 차이점을 발견할 수가 없었다. 그러나, 호주 코치들은 지도와 훈련을 통한 경기력 증진, 선수들로 하여금 긍정적 대화 유도, 자신감 있게 행동, 보상적인 언어사용, 시합의 결과를 중시하는 것 보다 기술적인 증진을 강조, 그리고 언어적 설득을 더 많이 사용하였다. 또한 미국인 코치들은 선수들로 하여금 긍정적 대화 유도, 언어적 설득, 지도와 훈련을 통한 경기력 증진, 자신감 있게 행동, 보상적인 언어 사용, 시합을 결과를 중시하는 것 보다 기술적인 증진을 강조하는 자신감 향상 전략들을 더 많이 사용하였다. 한국, 호주, 미국 세나라 국가 테니스 코치들의 공통점은 지도와 훈련을 통한 경기력 증진, 언어적 설득, 자신감 있게 행동, 선수들로 하여금 긍정적 대화 유도, 시합의 결과를 중시하는 것 보다 기술적인 증진을 강조하는 5가지 자신감 향상 전략들을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은 Bandura의 자신감 이론의 관점에서 토의되어졌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stigation was to compare Korean tennis coaches' frequency of use, and perceived effectiveness, of 13 self-efficacy building strategies to those of Australian and American tennis coaches. And this study was to compare Korean coaches' frequency of use and perceived effectiveness, of self-efficacy building strategies based on coaching experience, national team playing experience, education background. Subjects were 55 Korean tennis coaches coaching at the club, high school, or college level. Results indicated that Korean coaches used all 13 strategies designed to enhance self-efficacy to a moderate degree and found these techniques to be moderately effective. The most often-used strategies to enhance self-efficacy, as well as those strategies found most effective, included using instruction drills, using verbal persuasion, having the player imagine succeeding, acting confident, encouraging positive self-talk, employing physical-conditioning drills, emphasizing improvements in technique, and the modeling of other successful players. Results showed that there are little differences in self-efficacy building strategies discriminated in coaching experience, national team playing experience, education background. When comparing the results of the Korean, Australian, and American coaches, few differences were found. However, 3 countries coaches used more of the following self-efficacy strategies: using instruction drills, using verbal persuasion, acting confident, encouraging positive self-talk, and emphasizing improvements in technique. Results are discussed in terms of Bandura's self-efficacy theory, Weinberg and Jackson's(1990) efficacy-building strategies used by American tennis coaches, and Weinberg, Grove, & Jackson(1992) by Australian tennis coaches.

      • 신규 간호사의 자신감 개념 분석

        한영인 한국심리협회 2015 심리행동연구 Vol.7 No.2

        본 연구의 목적은 Walker와 Avant(2005)의 개념분석 단계에 따라 신규 간호사의 자신 감의 개념 속성을 확인하고 자신감의 선행요인과 결과,다양한 사례,경험적 준거 등을 확 인함으로써 신규 간호사의 자신감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고,자신감이라는 개념이 가지고 있는 의미를 살펴봄으로써,신규 간호사의 자신감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간호연구 와 이론개발에 적용될 수 있는 기초를 제공하고자 한다. 방법 :신규 간호사에 대한 자신 감을 잘 이해하는 것은 중요하며,명확한 자신감을 이해하고자 Walker& Avant의 개념 분석에 따라 여러 문헌 고찰을 통하여 다음과 같이 분석하였다.결과 :1)신규 간호사의 자신감의 속성은 긍정적인 자기 확신,조화로운 관계형성,신체수행능력,추진력,원숙한 정서 등으로 나타났다.2)신규 간호사의 자신감의 개념을 일으키는 선행요인은 지식,경 험,준비,신체적 기능,지원체계,성공 촉진 등이다.제언 :본 연구에서 밝혀진 속성을 모 두 포함할 수 있는 신규 간호사의 자신감을 측정할 수 있는 도구의 개발이 필요하며,이 개념을 적용한 후속연구가 요구된다. The purpose ofthis study was to analysis and clarify the meaning ofthe conceptofselfconfidenceinthenew nurse.Method :Theprocessdescribedby Walkerand Avant(2005)to analyze conceptwas used to define the conceptof selfconfidencein thenew nurse.Results:1.Theattributesof comprehension ofselfconfidence in the new nurse were defined as Positive selfconfidence, Harmonious relationship, Physically accomplishing ability, Promotiveness, Mellowedemotion.2.Theantecedentsof SelfConfidenceofNew Nurseofthese facts Knowledge, Experience, Gearing-up, Physical fuction, Support system, Success promotion.Conclusion : Therefore,it is necessary to development instrumentincluding thedefining attributesidentified in thisstudy ofconfidence inthenew nurses.Also,itisneedfollow upstudyofthisconcept.

      • KCI등재

        유항림과 절망의 존재론

        신형기 상허학회 2008 상허학보 Vol.23 No.-

        The aim of this paper is to read the ontology of despair in Yu Hang- Lim’s short stories. The characters represented in Yu Hang-Lim’s short stories are in despair. If the despair took hold of them is despair can not be oneself what they want or what they are not, it can be said that despair is the way to problematized the self. I think Yu Hang-Lim’s short stories cast some doubtful questions about self through the despair. In the ontology of despair, self regarded as the other not to be completely communicated or can not be defined from one side. The characters in Yu Hang-Lim’s short stories were depicted as the other or they saw themselves as the other. Maguen described the surplus man act like a busy person ironically, and ideologically conversed character depicted in Gugu shows that there is no key to solve his despair. The socialist idea also seemed suspicious to him. The despair was inevitable. Buho and Nongdam can be read as a criticism to the inclination apt to destroy the self or the selfish narcissism apt to disguise themselves easily. Specially in Nongdam the person who can not accept any appellation shows the conscience that demands be prudent to himself and other. The despair was an expression of conscience that knows the self can not be erased or filled with something and furthermore defined easily. The self is an object can be thought through the despair, that was a mandate of conscience. The spilt sight of despairing person deconstructed and segmented the time and space viewed by the Subject. This caused the modernistic character of Yu Hang-Lim’s short stories. In Yu Hang-Lim’s case the meaning of Modernism can be explained by the ontology of despair. In North Korea Yu Hang-Lim should describe the process of self transformation as a victory of the right and the new like other writers. But he represented confused inside of the person who could not renew himself realistically. That person was a shape to express the skepticism whether belonging to the Subject is the way to be self or not. 이 글은 유항림의 소설에서 절망의 존재론을 읽으려는 것이다. 유항림 소설의 인물들은 절망하고 있다. 그 절망이 진정한 자신이 되지 못한 절망이거나 자신이 아닌 자신이 될 수 없는 절망이라면 절망은 자신이란 것을 문제시하는 방법이라고 말할 수 있다. 이 글은 유항림의 소설이 이러한 절망을 통해 자신이란 것에 대한 의혹에 찬 물음을 던지고 있다고 본다. 절망의 존재론에서 자신이란 완전한 소통이나 일방적인 규정을 불허하는 타자이다. 유항림의 소설은 자신을 타자로 드러내고 바라본다. 「마권」은 바쁜 체 하는 잉여인간을 풍자적으로 제시했으며 「구구」의 전향자는 자신들의 절망을 해결할 어떤 열쇠도 없음을 일깨운다. 사상 또한 의혹의 대상이었다. 절망은 불가피했다. 「부호」와 「농담」은 자신을 파괴하거나 던져버리는 파행적 선택과 더불어 자신을 무엇으로든 채우려 드는 주체의 나르시즘을 비판한 것으로 읽힌다. 특히 「농담」에서 무엇으로든 규정되고 불리는 것을 용인하지 못하는 주인공은 자신과 남에 대해 조심하는 양심을 일깨운다. 절망은 자신이란 스스로 지워버릴 수도 함부로 규정하거나 채울 수도 없는 것임을 아는 양심의 발현이었다. 자신은 절망을 통해서만 생각할 수 있는 대상이라는 것―이것이 양심의 요구이자 명령이었다. 절망하는 인물의 분열된 시선은 주체에 의해 조망된 시공간을 해체하고 분절시켰다. 유항림의 소설이 보인 모더니즘적 면모는 이에 기인한다. 유항림 소설의 경우 모더니즘의 의미는 절망의 존재론을 통해서 해명되어야 할 것이다. 북한에서 유항림은 다른 북한작가들과 마찬가지로 옳은 것과 새 것이 승리해 가는 쇄신의 과정을 그려내야 했다. 그러나 그는 또 개변되지 못한 인물들의 혼란스러운 내면을 사실적으로 제시했다. 그 인물들은 대 주체에의 귀속이 과연 진정한 자신이 되는 길인가 하는 회의를 표현하고 있었다.

      • KCI우수등재

        성과 신체활동 변화단계별 체육수업 자신감

        김윤희(KimYoonhee) 한국체육학회 2017 한국체육학회지 Vol.56 No.3

        이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들의 성과 신체활동 변화단계별로 체육수업 자신감 수준과 원천을 파악하고 자신감 향상 방법을 학생의 관점에서 알아보는 것이다. 서울 소재 중학생 405명을 대상으로 체육수업 자신감에 대한 학생들의 전반적인 인식과 자신감 향상 방법을 알아보기 위해 개방형과 폐쇄형으로 만들어진 체육수업자신감 설문지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설문지는 체육수업 자신감, 체육수업 자신감 발생 원천, 체육수업 자신감 향상 방법 등을 묻는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연구 결과 첫째, 남학생이 여학생에 비해 체육수업 자신감 수준이 높았다. 둘째, 신체활동단계에 따른 체육수업 자신감 차이 비교에서 실천/유지단계 학생의 체육수업 자신감이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 준비단계, 무관심/관심단계 순이었다. 셋째, 체육수업 자신감 원천은 성이나 신체활동 변화단계에 관계없이 성공경험, 신체/정서 상태, 언어적 설득, 간접경험 순으로 나타났다. 체육수업 자신감 향상을 위해 학생 자신이 희망하는 방법으로 노력하기와 잘할 수 있다는 자기 설득과 칭찬 등을 언급하였다. 학생들은 체육수업 자신감 향상방법으로 체육교사와 동료 학생들의 칭찬과 격려를 희망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성과 신체활동 변화단계에 따른 자신감 원천 제공 방법과 향상 전략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confidence in PE class by gender and stages of physical activity of middle schol students. To this end, this study selected 405 middle students in Seoul and used mixed research method. Questionnaire on stages of exercise change was used to investigate stages of physical activity of students and used a questionnaire for subjective assessment of confidence in PE class and a questionnaire that determines 1st and 2nd sources that arouse confidence. This study conducted the two-way ANOVA and conducted chi-squared analysis(χ2 test). The open data was analyzed according to the inductive content analysis procedur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confidence in PE showed difference by stages of physical activity. Meaning, confidence in PE was highest in the order of practice/ maintenance stage, preparation stage, and disinterested/interested stage. Secondly, confidence in PE class showed difference by gender. Meaning, it was identified that boy students recognized to have higher confidence in PE class than girl students. Third, source of confidence in PE class did not show difference by gender. Fourth, source of confidence in PE class did not show difference by stages of physical activity. Meaning, the source of confidence in PE class was in the order of success experiences, physical/emotional state, verbal persuasion, and indirect experience regardless of gender and stages of physical activity. Students' confidence improve through regular practice and praise and encouragement of PE teacher and fellow students. It is considered necessary to provide suitable source of confidence, provide many success experiences of PE class, to make vibrant physical/emotional status of students, and to compliment and encourage PE teacher and fellow students to raise confidence of students in PE classes.

      • KCI등재

        대학 축구 선수들의 팀 자신감이 혁신성과에 미치는 영향: 개인 자신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정예지,홍은아 중앙대학교 학교체육연구소 2022 Asi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of Sport Scien Vol.10 No.4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eam confidence of Korean university football players on innovative performance. We specifically focused on examining the mediation effect of self-confidence between team confidence and innovative performance. To test hypotheses, we used 148 surveys for the data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PSS 21.0 and Lisrel 9.2 was employed for CFA, AVE, and CR.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eam confidence of university football players had a positive effect on players’ self-confidence. Second, players’ self-confidence had a positive effect on players’ innovative performance. Third, players’ self-confidence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eam confidence and players’ innovative performance. The study implied that players’ self confidence through elevated team confidence results in enhancing innovative performance of university football players.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대학 축구 선수들이 지니는 팀 자신감과 개인 자신감이 혁신성과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하는데 있다. 특히 팀 수준에서의 자신감이 선수 개개인의 자신감을 완전 매개체로 하여 혁신성과를 높 이는 과정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148부의 서베이를 최종 분석에 활용하였으며 Lisrel 9.2 를 활용하여 문항의 타당도 값(CFA, AVE, CR)을 구한 후 SPSS 21.0을 통해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나온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 선수들이 소속 팀에 대해 느끼는 팀 자신감은 선수 개개인의 자신 감에 정(+)적 영향을 행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선수들의 개인 자신감은 혁신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대학 축구 선수들의 개인 자신감은 선수들의 팀 자신감과 혁신성과를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는 집단 스포츠 맥락에서 선수들이 지니는 팀 자신감 의 고양을 통한 개인 자신감의 증대가 대학 축구팀 선수들의 혁신성과로 이어질 수 있음을 시사하는 바이다.

      • KCI등재

        가계경제부담, 재무관리 자신감 및 가계재무만족 간의 구조분석

        허경옥,김숙 한국소비자정책교육학회 2018 소비자정책교육연구 Vol.14 No.1

        본 연구에서는 가계경제부담이 재무관리 자신감을 매개로 가계재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통해 조사했으며, 동 구조모형에서 사회․경제적 특성별 집단 간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정리․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구조방정식모형 분석결과 지출부담은 재무관리 자신감에 정적인 영향을, 자산부담과 부채부담은 재무관리 자신감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소득부담은 재무관리 자신감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미치지 못했다. 가계경제부담이 가계재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의 경우 소득부담과 자산부담, 부채부담은 가계재무만족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지출부담은 가계재무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재무관리 자신감은 가계재무만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동 구조모형 경로계수의 효과 분해를 실시한 결과 가계경제부담에서 재무관리 자신감을 매개로 가계재무만족에 이르는 4개 경로 중 지출부담, 자산부담, 부채부담의 3개 경로에서 재무관리 자신감을 매개로한 간접효과가 확인되었다. 셋째, 사회․경제적 특성 즉 연령, 남편직업, 거주지역, 거주형태, 맞벌이 여부, 부채상환유무별로 두 집단으로구분한 후, 동 구조모형 경로계수에 차이가 있는지 분석한 결과, 연령에서는 지출부담이 가계재무만족으로 가는경로와 자산부담이 가계재무만족으로 가는 2개 경로에서, 남편직업은 자산부담이 가계재무만족으로 가는 경로와재무관리 자신감이 가계재무만족으로 가는 2개 경로에서, 거주지역은 지출부담이 재무관리 자신감으로 가는 경로에서 두 집단 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확인되어 조절효과가 검증되었다. 또한 거주형태는 소득부담이 가계재무만족으로 가는 경로에서, 맞벌이 여부는 부채부담이 재무관리 자신감으로 가는 경로에서, 부채상환유무는 자산부담이 재무관리자신감으로 가는 경로와 소득부담이 가계재무만족으로 가는 2개 경로에서 조절효과가 검증되었다. This study analyzed relationships among financial stress, financial management self-confidence and financial satisfaction by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In addition, it is examined the regulation effect of age, husband job, residence, home ownership, dual income, and debt repayment. The summary of the main resul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of analysis of a structural equation model show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effects in the majority of the path. Income stress did not have significant effect on financial management self-confidence, but it had negative effect on financial satisfaction. Expenditure stress had positive effect on financial management self-confidence. However, expenditure stress did not have significant effect on financial satisfaction. Asset stress and debt stress had negative effects on both financial management self-confidence and financial satisfaction. Also, financial management self-confidence makes static effect to financial satisfaction. Second, Expenditure stress, asset stress, and debt stress had indirect effects on financial satisfaction by affecting the variable measuring financial management self-confidence. Third, this study identified the regulation effect of age, husband job, residence, home ownership, dual income, and debt repayment. Through the regulation effect, age had regulation effects on expenditure stress and asset stress to financial satisfaction. Husband job had regulation effects on asset stress and financial self-confidence to financial satisfaction. Residence had regulation effect on expenditure stress to financial management self-confidence. Home ownership had regulation effect on income stress to financial satisfaction. Dual income had regulation effect on debt stress to financial management self-confidence. Debt repayment had regulation effects on asset stress to financial management self-confidence and income stress to financial satisfaction.

      • KCI등재

        양궁선수들의 자기관리와 자신감과의 관계

        문한식 ( Han Shik Moon ),박진성 ( Jin Sung Park ) 한국스포츠심리학회 2008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Vol.19 No.1

        본 연구는 양궁선수들의 성별과 소속팀, 그리고 수행수준에 따라서 자기관리와 자신감과의 차이가 있는지, 자기관리가 자신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자는 제25회 대통령기 전국 남녀 양궁선수권대회에 참가한 고등학교, 대학교, 실업팀에 소속된 선수들이다. 자기관리는 운동선수 자기관리행동 설문지 그리고 자신감은 한국형스포츠자신감 설문지를 사용하여 t-검증, 일원변량분석, 그리고 단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성별에 따른 자기관리 및 자신감은 차이가 없었으며, 소속팀에 따른 자기관리 및 자신감은 자기관리의 하위요인인 정신관리, 자신감의 하위요인인 사회적지지, 코치의 지도력, 신체적/정신적, 준비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실업팀 선수들이 자기관리 및 자신감이 뛰어난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수행수준에 따른 자기관리 및 자신감은 자기관리의 하위요인인 훈련관리, 정신관리, 자신감의 하위요인인 사회적지지, 코치지도력, 신체적/정신적 준비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우수선수들이 자기관리 및 자신감이 뛰어난 것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자기관리가 자신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능력입증과 사회적지지는 훈련관리, 대인관리가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코치지도력은 정신관리, 몸관리가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신체적/정신적준비는 훈련관리, 정신관리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archers` self-management and self-confidence according to the gender, belonging team and to verify the effects of self-management on their confidence. Subjects were selected among, the archers, who had participated in the 25th Presidential Men`s and Women`s National Archery Championship Tournament from high schools, universities and amateur archery teams. The questionnaires for sport man`s self management and confidence were used. Such statistical methods ad t-test, one-way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by stages were done. According to the results, by gend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elf-management and confidence. By belonging team, self-management showed difference in mental management, a subordinate factor of self-management, and confidence showed difference in public encouragement, coach leadership and physical/mental status, subordinate factors of confidence. Especially, it was learned that amateurs showed good in self-management and confidence. By performance level, self-management showed difference on training, management and mental management, subordinate factors of self-management, and confidence showed difference in public encouragement, coach leadership and physical/mental status, subordinate factors of confidence. In particular, it was learned that the best archers showed good in self-management and confidence. In conclusion, reviewing the influence of self-management on self-confidence, competency recognition and public encouragement were influenced by training management and human relations management. Coach leadership was influenced by mental and physical management and physical/mental status were influenced by training management and mental management.

      • KCI등재

        일반논문 : 한국어 재귀사 "자기, 자신"과 중국어 재귀사 "自己"의 대조 연구

        ( Yunzhu Feng ),이선웅 ( Seon Ung Yi ) 반교어문학회 2015 泮橋語文硏究 Vol.0 No.40

        본고에서는 한국어 재귀사 ‘자기, 자신’과 중국어 재귀사 ‘自己’의 사용 동기 및 그것들이 가리키는 선행사의 인칭을 분석하고 재귀사와 선행사의 조응 관계에서 보이는 특성을 기술함으로써 한국어와 중국어 재귀사의 특성을 대조 언어학적으로 분석하였다. ‘자기’는 대체로 3인칭으로 사용되고 제한적으로 2인칭에도 사용된다. 그 사용의 동기는 중의성을 해소하는 데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자신’은 1, 2, 3인칭에 광범위하게 사용되는데, 그 사용의 동기는 재귀적 상황이나 재귀적 행위를 표현하기 위한 것으로 추정된다. 두 재귀사의 선행사는 [+유정성] 자질을 지닌 (대)명사이다. ‘自己’는 1, 2, 3인칭에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그 사용의 동기는 재귀적 상황이나 재귀적 행위를 표현하기 위한 것으로 추정된다. ‘自己’의 선행사는 [+유정성]과 [-유정성] 자질을 모두 지닐 수 있다. ‘자기’는 ‘자기’가 NP를 보충어로 취한 ‘NP+자기’ 형식 속에 쓰이기 어려우나, ‘자신’은 ‘자신’이 NP를 보충어로 취한 ‘NP+자신’ 형식 속에 쓰일 수 있다. 한국어의 관형어 ‘자기의, 자신의’에서 ‘의’는 생략이 가능한 것과 같이 중국어의 관형어 ‘自己的’에서 역시 ‘的(de)’이 생략 가능하다. ‘자기, 자신’의 복수형은 ‘-들’을 첨가함으로써 만들어지지만, 중국어의 ‘自己’는 복수형이 없다. ‘자기, 자신’과 ‘自己’는 모두 재귀 지시, 강조, 두루 가리킴의 기능을 지니고 있다. 재귀 지시 기능에서, ‘자기, 자신’과 ‘自己’는 근거리 결속과 장거리 결속 양쪽에 쓰일 수 있다. ‘自己’의 역행 대용적 기능은 ‘자기, 자신’보다 광범위하다. 강조 기능에서, ‘NP+자신’의 형식은 광범위하게 쓰이는 데 반해, ‘NP+자기’의 형식은 구어 환경에서 ‘3인칭 NP+자기’와 같은 형식으로 매우 제한적으로 쓰인다. ‘自己’는 ‘NP+自己’, ‘是(shi)+(NP)+自己’의 형식으로 나타난다. 두루 가리킴의 기능에서, ‘자기, 자신’과 ‘自己’는 모두 자유롭게 쓰인다. This paper aims to analyse the motivation of use and the person of antecedent of ‘자기(jagi), 자신(jasin)’ in Korean and ‘自己(ziji)’ in Chinese and to describe some anaphoric characteristics of them from the perspective of contrastive linguistics. ‘자기’ is used mostly for 3rd person and restrictively for 2nd person. The motivation of the use is supposed for removing ambiguity. ‘자신’ is used widely for 1st, 2nd, 3rd person and the motivation of the use is supposed for expressing reflexive situation or reflexive action. The antecedents of the two reflexives are (pro)nouns of [+animate]. ‘自己’ is used widely for 1st, 2nd, 3rd person and the motivation of the use is supposed for expressing reflexive situation or reflexive action. The antecedents of ‘自己’ are all (pro)nouns of [+animate], [-animate]. Whereas ‘자기’ is hardly used in ‘NP+자기’ in which ‘자 기’ takes NP as complement, ‘자신’ can be used in ‘NP+자신’ in which ‘자신’ takes NP as complement. ‘자기의, 자신의’ are used as adnominal form and ‘의 (ui)’ of ‘자기의’ can be omitted. ‘自己的’ is used as adnominal forms and ‘的(de)’ can be omitted. The plural forms of ‘자기, 자신’ are made by adding ‘-들(deul)’, but there is no plural form of ‘自己’. ‘자기, 자신’ and ‘自己’ have all functions of reflexive reference, emphasis, wide reference. In the function of reflexive reference, ‘자기, 자신’ and ‘自己’ can be used for both short distance binding and long distance binding. The cataphoric function of ‘自己’ are wider than that of ‘자기, 자신’. In the function of emphasis, the form of ‘NP+자신’ is widely used, but the form of ‘NP+자기’ is narrowly used in ‘3rd NP+자기’ in colloquial context. ‘自己’ is used in ‘NP+自己’, ‘是(shi)+(NP)+自己’. In the function of wide reference, ‘자기, 자신’ and ‘自己’ are all used freely.

      • KCI등재

        중년기 여성 소비자의 자신을 위한 소비에 대한 탐색적 연구 : 40대 전업주부를 대상으로

        송인숙,윤명애,양덕순 한국소비자정책교육학회 2013 소비자정책교육연구 Vol.9 No.3

        본 연구는 자신을 위해 시간과 돈을 투자하는 신세대 중년층이 늘어나는데 대해 사회적 관심이 증가하는바 구체적으로 중년기 여성소비자의 자신을 위한 소비생활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에 관심을 가지고, 자신을 위해 어떤 품목을, 왜 소비하며, 그것에 대해서 어떻게 평가하는지를 40대 전업주부를 대상으로 심층면접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중년기 전업주부인 여성소비자는 외모가꾸기를 위한 의복류와 미용품, 체력 및 건강증진을 위한 운동 및 운동용품, 건강보조식품 그리고 자기계발과 취미활동을 위한 강좌수강, 여행과 관람, 각종 가족 외의 모임 후 회식 등 다양한 곳에 자신을 위해 소비하고 있었다. 중년기 소비자들이 자신을 위해 하는 소비가 늘어난다고 주목받으며 주로 안티에이징 품목에 대해서만 사회적으로 관심을 기울이고 있지만, 본 연구에서 소비전체를 파악한 결과 그 밖에도 인간관계나 문화생활을 위해 여행, 강좌수강, 모임 후 회식 등 다양한 지출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자신을 위한 소비는 중년기 여성이 나이가 들면서 시간적 경제적으로 여유가 생기고, 신체와 외모의 변화에 따라 심리적 변화가 생기고, 정체성이 결여되거나 자신감이 부족해지는 현상 등을 배경으로 하고 있었다. 자신을 위한 소비의 직접적인 이유는 가사노동이나 가족 관계 갈등에서 생기는 주부 스트레스를 해소하기 위해, 자신의 가사노동에 대해 일정한 보상을 주기 위해, 자신을 존중하고 위로하기 위해, 자신을 위한 투자로서, 그리고 사회적 체면을 유지하기 위해서라고 스스로 설명하고 있었다. 자신을 위한 소비에 대해서 너무 즐겁고 생활에 활력이 되며 행복하다는 만족한 평가와 지나친 소비에 대한 경제적인 부담이나 후회를 느끼는 갈등이 병존하고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몇 가지 논의를 하였다. 중년 여성의 소비생활에 대해 기존 연구에서 부분적으로 다루어져 온 데 비해 가족을 위한 가사담당자로서 소비생활이 아니고 중년여성의 삶과 연결 지어 자신만을 위한 소비생활에 대해 파악하였고, 특히 가족을 위한 삶의 비중이 큰 전업주부에 대해 그들이 자신을 위한 소비를 어떻게 왜 늘려가는 지를 탐색한 데 그 의의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