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기주도학습 구현을 위한 청소년 학습 사태의 정비

        배영주 한국청소년학회 2006 청소년학연구 Vol.13 No.3

        Self-directed learning is emphasized as one of learning methods and educational principles that learners might pursue to survive in lifelong learning society. Even though many studies on self-directed learning showed to establish its comprehensive conception and characteristics of self-directed learners, few studies were conducted on the contextual factors that affect learners carry through theirs self-directed learning. For a good while, self-directed learner's competencies of managing learning resources and strategies, and certain characteristics of adult learners has emerged as important factors in facilitation of self-directed learning.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situational and contextual factor or conditions for facilitation of self-directed learning and to inspect contextual features of learning settings of youth learners. Unfortunately, the features of learning settings of youth learner are for removed from principles of self-directed learning. On the contrary, other-directed learning is seemed to be encouraged in various youth educational settings. In order to facilitate the self-directed learning, the tasks of youth lifelong education may include the following elements; having a different point of view on learning and learner, connecting and cooperation with formal, nonformal and informal youth educational settings. 이 연구는 주로 성인교육 분야를 중심으로 논의되어 왔던 자기주도학습을 청소년의 학습활동과 관련지어 논의하는 가운데, 실제 청소년의 학습 사태에서 자기주도학습을 구현하고 촉진할 수 있는 조건과 가능성을 타진하고, 그것을 위한 학습 사태 정비의 방향을 제안할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그동안 자기주도학습이 아동 및 청소년과 관련하여 여러 차례 논의된 바 있지만, 정작 그것이 전제로 하는 학습 사태의 특징을 고려한 논의가 전개되지 못하였고, 오로지 자기주도학습 추진에 필요한 학습자 능력의 차원에만 관심이 집중되어 왔다. 연구자는 청소년의 자기주도학습 구현을 위해서는 성인의 학습사태와는 다른 특징을 갖는 청소년 학습 사태에 대한 점검과 정비가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판단하였으며,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본 연구는 현재 청소년의 학습 사태에서 학습을 주도하는 일과 관련된 가능성 및 제한점을 찾아, 자기주도학습 구현을 위한 청소년 학습 사태의 정비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혼란스럽게 논의되고 있는 자기주도학습 개념의 의미와 조건을 탐색함으로 자기주도학습의 정체를 구명하였으며, 실제 9명의 중학생들의 자기주도학습을 추적함으로써 그들의 자기주도학습 사태에 대한 점검 작업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현재 우리 청소년들의 자기주도학습은 ‘부과된’ 학교 학습의 영향력이 지나치게 커서 자기주도학습의 의도성, 반성성, 협력적 관계성, 그리고 체험성을 획득하는 데 어려움을 주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입시 위주 학교 교육에서의 탈피와 각종 학습 사태의 평생교육적 통합, 그리고 청소년과 그들의 학습을 바라보는 새로운 관점의 정립 등이 청소년의 자기주도학습 구현에 있어 무엇보다 중대한 과제임을 지적하였다.

      • KCI등재후보

        공공도서관 구성원이 인식한 조직학습준비도가 자기주도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

        배을규,유은영,이형우,김대영 한국산업교육학회 2012 산업교육연구 Vol.25 No.-

        이 연구는 공공도서관 구성원이 인식한 조직학습준비도와 자기주도학습능력 수준을 파악하고, 조직학습준비도가 자기주도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공공도서관 구성원이 인식한 조직학습 기반 구축과 자기주도학습능력 향상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Preskill, Martinez-Papponi와 Torres(2001), Russ-Eft와 Preskill(2001)에 의해 개발된 조직학습준비도 측정도구(Organizational Readiness for Learning and Performance; ORLP)와 배을규, 이민영(2010)의 자기주도학습능력 측정도구(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Inventory; SDLAI)를 활용하여 서울특별시 공공도서관 9개, 인천광역시 공공도서관 9개, 경기도 공공도서관 8개, 521명의 구성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조직학습준비도 하위 요인(r=.420~.712), 자기주도학습능력 하위 요인(r=.160~.468), 조직학습준비도 하위요인과 자기주도학습능력(r=.160~.748), 조직학습준비도와 자기주도학습능력(r=.274)은 모두 상호 간 정적 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공공도서관의 조직학습준비도의 하위 요인 중 ‘문제해결’(β=.259), ‘의사소통’(β=.166)은 자기주도학습능력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공공도서관 구성원이 인식한 조직학습준비도와 자기주도학습능력 향상을 위한 몇 가지 시사점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how organizational learning readiness affect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perceived by public librarians and suggest how organizational learning readiness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perceived by public librarians can be improved. For this study, a survey questionnaire was developed by using Organizational Readiness for Learning and Performance(Preskill, Martinez-Papponi, & Torres, 2001; Russ-Eft & Preskill, 2001)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Inventory(Bae & Lee, 2010).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April 16, 2012 to April 30, 2012. 521 pieces distributed to public libraries located in Seoul, Incheon and Gyeonggi-Do.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positive inter-correlations between organizational learning readiness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among constituent factors of organizational learning readiness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Second, organizational learning readiness factors such as 'problem solving' and 'communication' were affecting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 KCI등재후보

        Effects of Online Self-directed Learning Lecture on Improvement of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f University Students

        이영실(Lee Young sil),이경화(Lee Kyung hwa) 숭실대학교 영재교육연구소 2018 Global Creative Leader Vol.8 No.3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자기주도학습 수업이 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력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는 지를 확인하는데 목적을 두고 실험연구로 진행하였다. 이를 위하여 온라인 자기주도학습 수업을 실시하기 전과 후에 사전, 사후검사로 자기주도학습력 검사(Lee, Park, & Kim, 2017)를 실시하여, 대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력 향상에 미치는 수업 효과를 확인하였다. 또한 온라인 자기주도학습 수업에 참여한 대학생들의 자기주도학습력 향상도가 학년, 전공에 따라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하였는데. 이 결과는 앞으로 대학에서 대학생 개인의 자기주도학습력(인지, 정의, 행동)을 향상시킬 수 있는 온라인 자기주도학습 교육과정을 추가적으로 개발하는데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다고 보았다. 이와 같은 목적으로 2017년 2학기에 온라인 자기주도학습 수업에 참여한 378명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단일집단 실험설계를 하였고, 수업 전과 후에 사전, 사후 검사를 통해 대응표본 t-test 및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온라인 자기주도학습 수업을 수강한 대학생들의 자기주도학습력은 수업 전에 비해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부가적으로, 온라인 자기주도학습 수업에서 토론 참여여부가 자기주도학습력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되는 지를 확인하였는데, 그 결과에서 온라인으로 토론 주제를 주고 자유롭게 토론하게 하는 정도로는 토론집단과 비토론 집단 간 차이를 유발시키지는 못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대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력 향상을 위해 대학에서 효과적인 온라인학습을 어떤 내용과 방법으로 실시할 것인지에 관해 대안을 마련할 수 있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pose an effective university lecture course to enhanc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f university students by confirming whether online class is effective for improving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f university students. Accordingly self-directed learning test (Lee, Park, & Kim, 2017) was conducted before and after the on-line self-directed learning lesson.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online self-directed learning on the self-directed learning of university students. In addition, researchers intended to identify the differences in the degree of self-directed learning among university students participating in online self-directed learning class by gender, grade and major, and to provide suggestions for developing self-directed learning curriculu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provide an opportunity for college students to improve their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to find out what contents and methods will be effective on the online learning of university students.

      • KCI등재후보

        우리나라 성인들의 자기주도 학습 활성화를 위한 과제

        장미옥(Chang, Mi-Ok)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07 敎育思想硏究 Vol.21 No.1

        이 연구는 우리 사회에서 성인들의 자기주도 학습을 활성화하기 위한 과제를 찾아보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자기주도 학습의 개념과 등장 배경, 미국에서 자기주도 학습에 관한 선행연구 고찰과 대학의 노인교육 사례를 검토하였다. 연구결과 자기주도 학습은 인간의 잠재성 개발을 강조하는 인본주의 성인교육 철학에서 출발하였으며 지식사회와 평생학습사회의 도래에 의해 사회적으로 요구되는 학습방법이었다. 자기주도 학습의 학문적 발상지인 미국에서 다양한 각도의 연구가 이루어졌다. 이를 요약하면 자기주도 학습은 인본주의에 뿌리를 내리지 못하고 실행과정에서 전통학습방법을 적용하는 모순을 가지고 있다. 초기의 학자들이 주장한 학습자의 인적특성은 자기주도 학습이 보편화되는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었다. 자기주도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단계교수모형도 연구되었다. 미국대학의 노인교육에서 자기주도 학습이 가장 잘 이루어지고 있었는데 자발적인 학습동기를 가진 노인들이 스터디그룹속에서 동료학습으로 지적탐구활동을 하고 있었다. 미국의 경우가 우리에게 주는 시사점은 우리나라에서도 기초연구에서 사례분석등 다양한 각도의 연구가 필요하며, 활성화를 위해서는 우선 노인교육에 주력해야 한다는 것이다. 연구자가 제시한 활성화를 위한 선행과제는 첫째, 성인교육관련자의 재교육의 필요성, 둘째, 성인학습자의 긍정적 인식과 실행의지. 셋째, 기존의 강의와 자기주도 학습을 병행하는 블랜디드 러닝도입, 넷째, 대학의 역할 강조 다섯째, 노년층에서부터 자기주도 학습실행, 여섯째, 학자들의 자기주도 학습에 관한 사례연구와 재개념화로 학문적 이론정립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ctivation tasks of self-directed learning for adults. The paper reviewed philosophical background of self-directed learning and the concepts of self-directed learning that defined from scholars. Also researches studied in America were reviewed because self-directed learning emerged in there. As results of the study, self-directed learning emerged from humanist philosophy of adult education and andragogy. Self-directed learning is purposeful learning with learner-centeredness because learner himself or herself has responsibility to plan, implement, and evaluate. Therefore, to conduct self-directed learning, leaners need to have competence to manage interpersonal sources and learning materials from resources, self-control ability, learning and thinking ability. Learning contract was introduced to conduct self-directed learning but, it is not complete method to improve educational effect. For the implement of self-directed learning elder education programs in colleges and universites in America explored as the field of self-directed learning. The paper found implications with these reviews and suggested tasks to activate self-directed learning for adults in Korea as follows; 1) People who are related adult edcuation need to re-educate about the change of education paradigm. 2) Adult educators should have positive cognition and will to implement in adult participation education 3) Self-directed learning should be conducted in parallel with the lectures in forms of blended learning. 4) Colleges and university should take a role for self-directed learning as colleges in America. 5) To activate self-directed learning elders are very suitable for. 6) Scholars in adult education need to find out successful story in self-directed learning and establish new order in self-directed learning.

      • KCI등재

        기술·가정과 ‘정보 통신 기술의 활용’ 단원에서 무들을 이용한 자기 주도 학습 모형 개발

        김미라,이용진 한국기술교육학회 2011 한국기술교육학회지 Vol.11 No.3

        This study aims to develop and implement the self-directed learning model using Moodle for the unit of 'Using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n the technology·home subject. This study are conducted as follows:First, the literature on the self-directed learning model is surveyed and the key elements and orders of self-directed learning were extracted and defined. Second, the curricula and textbooks for the 'Using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unit were analyzed and ten contents were selected for the implementation using Moodle. Third, the selected learning contents were implemented in the Moodle site. Three 8th grade students tested the Moodle site in October, 2010. Fourth, the expert evaluation was conducted on the reliability of the model, and the student evaluation was also conduc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First, 'Using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unit can be implemented by using the Moodle based self-directed learning model. Literature, expert evaluation, and student evaluation show the possible evidences. Second, student can interact with a human resources such as teachers and fellow students for the learning in the self-directed learning model. Third, main reason of improving learner's skills in the self-directed learning was to choose the study subjects for themselves. That is, Moodle based model can improve student's learning desire by helping him to select the study subjects voluntarily. 이 연구는 기술·가정과 ‘정보 통신 기술의 활용’ 단원에서 무들(moodle)을 이용한 자기 주도 학습 모형을 개발하고 이를 실제로 무들 사이트를 이용하여 구현한 것이다. 이 연구의 방법 및 절차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단계에서는 자기 주도 학습 모형에 관한 문헌을 고찰하여 자기 주도 학습 모형의 주요 요소를 추출하고 자기 주도 학습 요소의 순서를 정하였다. 두 번째 단계에서는 기술·가정과의 교육과정과 교과서 분석을 통해 ‘정보 통신 기술의 활용’ 단원의 내용과 자기 주도 학습 특성의 연관성을 이해하고, 이 단원의 내용을 무들에서 구현하였을 때의 이점을 알아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무들을 이용한 자기 주도 학습이 가능한 ‘정보 통신 기술의 활용’ 단원의 내용을 10가지 선정하였다. 세 번째 단계에서는 선정된 자기 주도 학습 모형의 주요 요소와 순서에 따라, 선정된 학습 내용을 이용하여 무들 사이트를 구현하였다. 또한, 구현된 무들 사이트가 실제로 구동 가능한지를 평가하기 위하여 2010년 10월에 중학교 2학년 3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실험하였다. 마지막 단계에서는 전문가 평가를 통해 무들을 이용한 자기 주도 학습 모형의 신뢰도를 평가받았고, 학생 평가를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술·가정과의 ‘정보 통신 기술의 활용’ 단원은 무들을 이용한 자기 주도 학습 모형으로 구현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문헌 연구, 전문가 평가, 학생 평가가 이를 뒷받침해 주고 있다. 둘째, 무들을 이용한 자기 주도 학습 모형에서 학습자는 교사, 동료 학습자와 같은 인적 자원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학습할 수 있다는 것이다. 셋째, 학습자가 자신의 자기 주도 학습 능력이 향상되었다고 느낀 가장 큰 이유는 학습 주제를 스스로 선정하였기 때문이었다. 따라서 무들을 이용한 자기 주도 학습 모형은 자발적 학습 욕구를 만족시켜주는 모형이라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중학교 학생들의 자기주도학습 실태 분석 - 인식론적 신념을 바탕으로

        최정순(Choi, Jungsoon),박은아(Park, Eunah) 한국열린교육학회 2012 열린교육연구 Vol.20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서울, 경기지역 중학교 학생들의 인식론적 신념과 자기주도학습의 실태를 파악하는 것이다. 중학교는 학생들의 인지능력, 판단능력, 문제해결력 등이 급속도로 발달하는 시기로, 자기주도학습의 기반을 다지는 중요한 시기라 할 수 있다. 학교 교육을 통해 형성된 인식론적 신념은 학생들의 학습 경향이나 학습 방법 등에 영향을 주므로, 자기주도학습능력의 개선방안을 마련하는 데 있어 실제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설문 분석 결과 우리나라 중학교 학생의 자기주도학습능력은 중간 정도에 속하며, 학년이 올라갈수록 자기주도학습능력이 높아지고 있으며, 인식론적 신념의 경우 학년이 올라갈수록 권위자나 전문가 지식에 의존하는 경향이 높아졌다. 자기주도학습능력이 높을수록 인식론적 신념요소 중 학습노력/과정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자기주도학습의 정도가 중간 집단의 경우 학습노력/과정과의 상관관계가 높게 나타나고 있다. 이를 통해 학년별·자기주도학습수준별 학습방법을 달리 구성하여 자기주도학습의 질을 향상시킬 뿐 아니라 지식을 바라보는 시각의 다양성을 위해 교수·학습방법이 개선될 필요가 있다. 또한 자기주도학습 요소 중 대인관계기술은 인식론적 신념의 구성요소와 상관관계가 높게 나타나고 있으므로, 자기주도학습능력 향상을 위해서는 자기주도적 학습과정에서 협업의 기회를 많이 제공하도록 한다. This study explores middle school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in terms of epistemological beliefs using the survey method. Epistemological beliefs (i.e. personal beliefs about knowledge and knowing) and self-directed learning influence each other in that students tend to adopt learning strategies associated with their epistemological beliefs. In particular, the period of middle school is important to build up the foundation of self-directed learning because students start to think critically and behave independently. For this reason, this study focuses on middle school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The research results revealed the general patterns of epistemological beliefs, the current status of self-directed learning of middle school students, and their relationships of both. In addition, this study examined the specific traits of students according to the levels of self-directed learning-high, middle, and low.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this research proposed several ways of improving self-directed learning.

      • KCI등재

        비대면 교양영어 학습자의 자기주도학습능력과 학습성과 간 관계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

        정소영(So Young Jeong),엄철주(Chul Joo Uh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21

        목적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자기주도학습력과 자기주도영어학습력이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이 변인간의 구조 관계가 학업적 자기효능감 수준에 따라 학습성과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연구대상은 N대학교에서 2021학년도 1, 2학기의 교양영어를 수강한 172명의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수집자료는 SPSS 23.0과 AMOS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구조 모형 분석과 조절효과 검증을 위해 다집단 분석을 하였다. 결과 첫째, 대학생들의 일반적 자기주도학습력은 자기주도영어학습력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둘째, 자기주도학습력과 자기주도영어학습력, 두 요소는 수업만족도에 정적인 영향이 나타나 연구모형을 적절하게 설명하고 있으나, 학업성취도에는 자기주도영어학습력만 유의미한 영향이 나타났다. 셋째,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따른 다집단 분석결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높은 학생들은 자기주도(영어)학습력이 학업성취도에 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나 조절효과가 입증되었다. 결론 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력이 자기주도영어학습력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통계적으로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교과목에 따른 학습자의 자기주도성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함을 시사한다.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self-directed learning, self-directed English learning ability, learning satisfac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and to analyze the differences in learning performance according to academic self-efficacy in online college English classes. Methods A web-based survey was conducted on 172 students who took English classes in the first and second semesters of 2021 at N University. The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23.0 and AMOS 21.0. For the moderating effect of students' academic self-efficacy, a multi-group analysis of structural equations was used. Resul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self-directed learning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self-directed English learning ability. Second, the two factor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self-directed English learning ability, had a positive effect on learning satisfaction, but only self-directed English learning abilit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academic achievement. Third, a multi-group analysis for the moderating effect verified that students with high academic efficacy showed a significant effect on academic achievement. Conclusions It is meaningful that the effect of autonomous learning of college students o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f English subjects was statistically verifi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it is suggested that the method to improve the self-directedness and academic self-efficacy of learners should be sought properly.

      • KCI등재

        자기주도학습 촉진을 위한 교수자 스캐폴딩 가이드라인 개발

        김윤영,정현미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육과학연구소 2012 교육과학연구 Vol.43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자기주도학습 과정에서 학습자가 겪는 어려움을 확인하고, 그 결과를 반영하여 학습자의 자기주도학습 촉진을 위한 스캐폴딩 전략을 도출하고 교수자를 위한 스캐폴딩 가이드라인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문헌분석과 인터뷰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도출된 스캐폴딩 전략과 가이드라인의 타당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전문가 검토 및 교수자 평가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자기주도학습 과정에서 학습자가 겪는 어려움은 각 단계에 따른 활동 경험 및 지식의 부족, 각 단계 활동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 부족으로 나타났다. 인터뷰를 통해 추가적으로 도출된 어려움은 학습환경조성 단계에서 자기주도학습에 대한 학습자의 부담감, 학습결과평가 단계에서 자기평가의 객관적 평가기준 부재로 확인되었다. 자기주도학습 촉진을 위한 총 31개의 스캐폴딩 전략을 도출하였고, 이 전략들은 정서적 스캐폴딩, 인지적 스캐폴딩, 자기점검 스캐폴딩으로 범주화하였다. Knowles(1985)의 자기주도학습 진행 단계별로 예상되는 학습자의 어려움과 이를 해결하기 위한 스캐폴딩 전략, 주요 활동 및 메시지 예가 제시된 스캐폴딩 가이드라인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는 문헌고찰 뿐만 아니라 학습자 인터뷰를 통하여 자기주도학습 과정에서 학습자가 겪는 어려움을 실증적으로 확인하고, 자기주도학습 촉진을 위한 교수자 스캐폴딩 전략을 자기주도학습 진행 단계별로 제시한 가이드라인을 개발함으로써 선행연구들보다 구체적인 안내를 제공한다는 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iscover difficulties learners experience in self-directed learning and to develop scaffolding guidelines for instructors to promote learners' self-directed learning (SDL). Data were collected from interviews with students. Also, expert reviews including instructors were conducted to validate the strategies of scaffolding and scaffolding guidelines were developed. Results of the study show that learners in the self-directed learning process have difficulties due to a lack of experience, knowledge and awareness of the need for each phase of the SDL process. Also, additional difficulties identified through interviews were the psychological burdens of SDL and the lack of objective criteria in self-assessment. Scaffolding strategies identified for promoting self-directed learning were categorized into three types: affective scaffolding, cognitive scaffolding, and self-monitoring scaffolding. The scaffolding guidelines included instructors' activities and message samples as well as scaffolding strategies for each phase of the SDL process. Scaffolding guidelines for promoting the SDL process are expected to be a useful tool for teachers.

      • KCI등재

        자기주도학습 개념과 신자유주의

        목영해(Mok, Young Hai) 한국교육사상학회 (구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20 敎育思想硏究 Vol.34 No.2

        한국교육계에서 매우 널리 쓰이고 있는 용어인 ‘자기주도학습’의 개념은 신자유주의의 것이다. 이 주장의 근거는 다음의 넷이다. 첫째 ‘자기주도학습’은 신자유주의 지향의 평생교육학계에서 생성되어 학교교육학계로 전해진 용어이다. 둘째, 자기주도학습은 신자유주의 교육이념에 입각하여 작성된 국가수준 교육과정이 제시하는 교수학습법이다. 셋째, 자기주도학습의 인식론적 토대인 급진적 구성주의가 신자유주의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넷째, 자기주도학습에 입각하여 학교교육이 이루어진 이후 학생들의 학업관련 정서가 신자유주의적 자기주도학습이 이루어진 성인교육의 결과와 동일한 내용의 부정적 특성을 보이고 있다. 자기주도학습법이 신자유주의의 것임으로 인하여, 이 학습법에 입각한 학습활동은 자기착취적, 자기고갈적으로 진행된다. 따라서 자기주도학습이 자기착취 활동으로 귀결되지 않고, 교육적 이상으로서의 자기활동 학습이 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이 활동이 협동학습의 기반 위에서 이루어지게 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gure out a relationship of self directed learning with Neo-liberalism . ‘The self directed learning’ is the most popular word in the Korea educational society these days. The self directed learning is a concept as the ‘Neo-liberalism , and grounds for this assertion are as follow: First, the word of self directed learning was emersed out in the life-long education society. But the ‘self directed learning in the life-long education society was connected with the Neo-Liberalism in the 1980 s, and the self directed learning was deteriorated and changed to what is self-exhausted that is called self-develop. and then the self directed learning that was deteriorated has implanted into the schooling society. Second, Korea government educational policy such as ‘the 5.31 Educational Revolution Plan’ and ‘nationwide curriculum’ have been orienting to the Neo-Liberalism since 1995. But the 5.31 plan and the curriculum have been recommending the self directed learning as a teaching & learning method for good schooling. Third, a radical constructivism have been a foundation for Korea nationwide curriculum since the 7th nationwide curriculum, and the radical constructivism as a relativism is involved with the Neo-liberalism. Forth, schooling with the self directed learning have resulted in student’ self-exhaust and self-destroyed, and feathers of the result is similar with feathers of the self directed learning activity on life-long education that deteriorated with Neo-liberalism. Educators have to try to eliminate out aspect of Neo-liberalism. on the self directed learning. Cooperative learning is a effective way to overcome the un-educational aspect of the self directed learning and to enhance the educational aspect.

      • KCI등재

        내러티브 자아에 근거한 자기주도 학습의 재개념화 탐구

        노진규(Jin-Gyu Noh),강현석(Hyeon-Suk Kang) 한국내러티브교육학회 2021 내러티브와 교육연구 Vol.9 No.3

        자기주도 학습은 학습자가 주체가 되어 스스로 지식과 세계를 탐구하고 삶을 구성해 나간다는 점에서 교육적 논의의 대상이 되고 있다. 교육계를 포함한 우리 사회는 그동안 자기주도 학습 개념을 광의적으로 해석하며 사용한 경향이 강하였다. 자기주도 학습이 태생적으로 성인교육, 평생교육에서 시작한 개념이며, 특히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자기주도 학습과 관련된 역량들이 현장 적용에 문제가 있었다는 지적은 차기 개정 교육과정에 많은 과제를 던져주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OECD는 2030 미래 학생들의 교육의 목적을 ‘웰빙’에 두고 특히 행위주체성(agency)에 큰 관심을 가지고 있다. 이 부분은 자기주도 학습과 관련한 기존의 개념에 대하여 다시 한번 검토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문제의식으로 자기주도 학습의 새로운 방향성으로 자기성(selfhood)에 주목한다. 자기성은 내러티브 자아의 관점에서 가장 극적으로 발현될 가능성이 높다고 평가된다. 이 경우 자기주도 학습의 새로운 의미를 세 가지로 제안하고자 한다. 첫째는 내러티브 자아 구성으로 자아의 진정한 이해이며, 둘째는 학생 삶을 개념적으로 조직하는 지식 구조의 생성적 차원으로 교과 이해로의 발전을 뜻하며, 셋째 진정한 이해 중심의 자기주도 학습으로 발전이 그것이다. 이 세 방향성은 결국 진정한 나의 이해는 학교교육의 맥락에서 보면 교과 구조 이해를 넘어 학문의 진정한 이해로 계속됨을 뜻하는 새로운 의미의 자기주도 학습 개념을 내포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Self-directed learning will have an educational meaning in which learners explore the truth and construct life on their own. Our society has tended to interpret and use the concept of self-directed learning broadly. Self-directed learning is a concept that originated in adult education and lifelong education. In addition, it was pointed out that there was a problem in the field application of competencies, including self-management competencies related to self-directed learning,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Meanwhile, the OECD is particularly interested in agency, with the goal of education for 2030 students being ‘well-being’. Therefore, we need to review the existing concepts related to self-directed learning. In this regard, this study intends to propose three meanings of selfhood as a new direction for self-directed learning focusing on the perspective of the narrative self. First, authentic understanding of the self through narrative self-construction, second, development into subject understanding through a generative perspective of structure, and third development into self-directed learning centered on authentic understanding. These three directions have a new concept of self-directed learning related to authentic understand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