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아의 자기조절학습능력과 놀이행동 간의 관계

        박미정(Park, Mi Jung),엄정애(Ohm, Jung Ae) 한국육아지원학회 2017 육아지원연구 Vol.12 No.3

        본 연구는 유아 자기조절학습능력의 전반적인 경향과 변인별 차이를 알아보고, 자기조절학습능력과 놀이행동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시와 경기도에 위치한 유아교육기관 3곳의 만 3, 4, 5세 9학급 유아 126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연구대상 유아들의 자기조절학습능력은 하위요인 중 인지적, 정서적, 동기적, 친사회적 조절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연령에 따른 자기조절학습능력의 경우, 만 3세 유아들보다 만 5세 유아들의 친사회적 조절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여아가 남아보다 친사회적 조절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기조절학습능력이 높을수록 비놀이 행동보다 놀이행동을 많이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지적 놀이행동 유형 중 기능놀이를 많이 할수록 자기조절학습능력이 낮으며 규칙 있는 게임을 많이 할수록 자기조절학습능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놀이행동 유형에서는 병행놀이를 많이 할수록 자기조절학습능력이 낮으며, 집단놀이를 많이 할수록 자기조절학습능력이 높은 것으로 측정되었다. 한편 비놀이 행동 중 쳐다보기와 돌아다님 행동을 많이 보일수록 자기조절학습능력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유아기 자기조절학습능력에 대한 이해와 자기조절학습능력 증진과 연관이 있는 놀이의 중요성을 재인식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a general tendency and difference by variables of self-regulated learning in children and to examine a relationship between self-regulated learning and play behaviors.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126 children aged 3, 4 and 5 in 9 classes at 3 educational institution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Do.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ly, for sub-factors of self-regulated learning, cognitive regulation was the highest, and emotional, motivational, prosocial regulations in order. For self-regulated learning according to age and sex also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rosocial regulation. Secondly, children did more play behaviors than non-play behaviors as they had higher self-regulated learning, and more non-play behaviors than play behaviors as they had lower self-regulated learning. For cognitive play types, children showed lower self-regulated learning as they showed more functional play and as they played more rule games they showed higher self-regulated learning. For social play types, children showed lower self-regulated learning as they did more parallel play and as they played more group play they showed higher self-regulated learning. On the other hand, children did more watching behavior of non-play type as they showed lower self-regulated learning.

      • KCI등재

        중학생이 지각한 학급풍토와 자기조절학습능력과의 관계에서 자기결정성동기의 매개효과

        김유리 한국콘텐츠학회 2019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9 No.6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mediating roles of self-determined motivations on the effect of class climate perceived by middle school students on self-regulated learning ablility. For this purpose, a total of 589 students were selected as subjects in this researc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conducted so as to verify the relationship among all the variables. As a results, first, the perceived autonomous class climate had a direct effect on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and an indirect effect on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through the mediation effect of identified regulation. Second, the perceived controlled class climate had a direct effect on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and an indirect effect on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through the mediation effect of identified regulation, introjected regulation, and external regulation. This study implies that facilitating autonomous engagement in learning activities will be a effective educational intervention to improve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본 연구는 중학생이 지각한 학급풍토와 자기조절학습능력과의 관계에서 자기결정성동기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중학생 589명의 자료를 사용하여 지각된 학급풍토가 자기결정성동기를 매개로 자기조절학습능력에 미치는 구조방정식모형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중학생이 지각하는 자율지향적 학급풍토가 자기조절학습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본 결과, 지각된 자율지향적 학급풍토는 자기결정성동기 유형 중에서 확인된 조절을 매개로 간접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중학생이 지각하는 통제적 학급풍토가 자기조절학습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본 결과, 지각된 통제적 학급풍토가 확인된 조절, 부과된 조절과 외적조절을 매개로 자기조절학습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학업에 대한 자기결정성을 높이는 것이 자기조절학습능력 향상을 위한 효과적인 교육적 개입이 될 것을 시사한다.

      • KCI등재

        초등학생의 자기조절학습 능력 수준에 따른 실제적 과학탐구의 진화적 요소에 대한 선호도 분석

        이준복,임채성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17 한국초등교육 Vol.28 No.4

        This study examined what, how, and why elementary school students prefer authentic scientific inquiry by their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The selected 50 6th grade students of Seoul G elementary school are tested for self-regulated learning. And after being taught about structured and opened processes of scientific inquiry, the students's responses were analyzed what and why they prefer the elements of authentic scientific inquiry applying brain-based evolutionary approach.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tudents who have higher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showed higher preference for authentic scientific inquiry than those who have lower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in diversifying and evaluating elements of brain-based evolutionary approach. The students with lower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were affected by goal-orientation, self-efficacy, elaboration variables of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Second, the students who have higher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showed higher preference for authentic scientific inquiry than those who have lower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in diversifying and evaluating elements. The students with lower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were affected by goal-orientation, self-efficacy, elaboration, check variables of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Third, the students who have higher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showed higher preference for authentic scientific inquiry than those who have lower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in diversifying, evaluating, and furthering elements. The students with lower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students were affected by goal-orientation, self-efficacy, fulfillment value, behavioral control, elaboration variables of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In conclusion, the students who have higher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showed higher preference for authentic scientific inquiry than those who have lower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in all of affective, behavioral, and cognitive domains. 본 연구는 초등학생들의 자기조절학습 능력 수준에 따라 실제적 과학 탐구에 대한 선호도를 조사하였다. 선정된 서울시 G 초등학교 6학년 50명을 자기조절학습 능력을 검사하였다. 학생들은 구조화된과학 탐구와 개방된 실제적 과학 탐구 과정에 대해 배우고 난 후, 학생들은 뇌기반 진화적 접근법을활용한 실제적 과학 탐구의 진화적 요소들에 대한 선호도를 묻는 설문지에 응답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조절학습 능력 수준이 높은 학생들은 낮은 학생들보다 뇌기반 진화적 접근법에 따른 실제적 과학 탐구의 다양화와 평가 요소들에 대한 선호도가 더 높았다. 자기조절학습 능력이 낮은 학생들은 목표달성지향성, 자기효능감, 행동조절의 정교화 요소들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둘째, 자기조절학습능력이 높은 학생들은 낮은 학생들보다 실제적 과학 탐구에 대한 선호도가 더높았다. 자기조절학습 능력이 낮은 학생들은 목표달성지향성, 자기효능감, 정교화, 점검 변인들의 영향을 받았다. 셋째, 자기조절학습 능력이 높은 학생들은 낮은 학생들보다 실제적 과학적 탐구에 대한 선호도가 더 높았다. 자기조절학습 능력이 낮은 학생들은 자기조절학습의 목표 달성지향성, 자기효능감, 성취가치, 행동통제, 행동통제, 정교화 변인들에 영향을 받았다. 결론적으로, 자기조절학습 능력이 높은 학생은 정의적, 행동적, 인지적 영역 모두에서 자기조절학습 능력이 낮은 학생보다 실제적 과학 탐구에 대한 선호도가 높았다.

      • KCI등재

        PLS 구조방정식 모형을 활용한 부모 SES, 사교육, 자기조절학습능력, 학업성취 간의 관계 연구

        오숙영(Oh, Sook Young)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2 敎育問題硏究 Vol.0 No.42

        본 연구의 목적은 부모의 SES, 사교육, 자기조절학습능력, 학업성취 간의 상호 관계를 선형구조방정식 모형으로 개념화하고, PLS 구조방정식 모형을 활용하여 구조적 모형에 대한 적합도와 경로계수를 검정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첫째, 다변량회귀분석을 통하여, 모든 잠재변인의 하위요인들 간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확인하는 것이다. 둘째, PLS 구조방정식을 통하여, 구조적 모형에 대한 적합도와 경로계수를 검정하는 것이다. 셋째, PLS 구조방정식을 사용하여, 구조적 모형에 대한 매개효과를 검정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단순무선표집방법을 사용하여 오차 허용범위 5%, 신뢰수준 95%를 기준으로하여, 일반계 5개 고등학교 386명을 추출했다. 통계방법은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Multi-Variate Regression, PLS Structural Equation Model이 사용되었다. 통계프로그램은 SPSS version 20.0, AMOS version 20.0, Smart PLS Version 2.0이 사용되었다. 우선, 자기조절학습능력검사도구 타당도는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으로 수렴 타당도와 집중타당도를 검정했다. 다음으로, 전체 잠재변인들 타당도는 PLS 구조방정식으로 측정모형(수렴타당도, 집중타당도)과 구조모형으로 검정했다. 연구결과, 하위요인 간 관계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모 교육수준은 사교육비용에 유의한 영향을 주며 총수입도 사교육비용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다. 둘째, 사교육기간은 인지, 동기, 행동의 자기조절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다. 셋째, 부 교육수준은 인지조절, 동기조절, 행동조절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다. 넷째, 인지조절, 동기조절, 행동조절은 언어, 수리, 외국어, 탐구영역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었다. 다섯째, 사교육기간은 언어, 수리, 외국어, 탐구영역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다. 여섯째, 부교육은 언어, 수리, 외국어 영역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다. 구조방정식 경로계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 SES는 사교육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었다. 둘째, 사교육은 자기조절학습능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었다. 셋째, 부모 SES는 자기조절학습능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었다. 이때, 사교육은 부모 SES와 자기조절학습능력 사이에서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자기조절학습능력은 학업성취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었다. 다섯째, 사교육은 학업성취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었다. 이때, 자기조절학습능력은 사교육과 학업성취의 사이에서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부모 SES는 학업성취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그러나 부모 SES와 학업성취 사이에는 사교육의 매개효과, 자기조절학습능력의 매개효과, 사교육과 자기조절학습능력의 이중매개효과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부모의 SES는 학업성취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 못하지만, 사교육을 경유하여, 자기조절학습능력을 경유하여, 혹은 사교육과 자기조절학습능력을 경유하여 학업성취를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ceptualize parents’ SES, extracurricular learning, self-regulatory learning ability, and achievement as Linear Structural Equation Model, and then, identify the significance of Path Coefficient and Goodness of Fit Index by using PLS Structural Equation Model. Specifically, the first step i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among measurement variables of latent factors by using Multi-Variate Regression. And the second step is to testify Goodness of Fit Index and Path Coefficient of Structural Model by using PLS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subjects used are 386 students in the second grade of academic high school according to 5% permitted range and 95% confidence range. The statistics methods used in study ar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Multi-Variate Regression, and the PLS Structural Equation Model which is useful for formative indicators. The statistics programs used are SPSS version 20.0, AMOS version 20.0, and SmartPLS version 2.0.M3. The results of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at includes convergent validity and discriminant validity are presented for validity of self regulatory learning ability. The results of Measurement Model including converg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and Structural Model of PLS Structural Equation Model are presented for the validity of total latent variables. The results of the significance of path coefficients are as followed. 1)Parents’ SES has an effect on the extracurricular learning. 2)The extracurricular learning has an effect on the self-regulatory learning ability. 3)Parenrs’ SES has an effect on the self-regulatory learning ability. The mediation effect of the extracurricular learning exis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S and self-regulatory. 4)The self-regulatory learning ability has an effect on achievement. 5)The extracurricular learning has an effect on achievement. The mediation effect of the self-regulatory exis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xtracurricular learning and achievement. 6)Parents’ SES has no effect on achievement. The mediation effect of the extracurricular learning and the self-regulatory exis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xtracurricular learning and achievement. As a results, although parents’ SES has no direct effect of achievement, it can has an effect on achievement through the extracurricular learning, through the extracurricular learning, and the extracurricular learning and self-regulatory learning ability.

      • KCI등재

        자기조절학습능력과 영재성 구인 비교

        박혜영(Hye-Young, Park),이신동(Shin-Dong, Lee) 한국영재교육학회 2015 영재와 영재교육 Vol.14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영재교육 분야에서 이루어진 자기조절학습능력 구인과과 영재성구인을 비교 분석하고 이를 통해 자기조절학습능력을 영재성 구인으로 볼 수 있는지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교육 및 심리학 분야를 중심으로 학술연구정보서비스(www.riss.kr)를 통하여 2003년부터 2014년 9월까지 발표된 자기조절학습 연구과 영재성 연구 중 자기조절학습능력과 영재성 구인 연구들을 추출하여 국내 25편, 국외 8편 총 33편을 분석하였다. 33편의 논문 분석 결과의 요약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조절학습능력은 대표적인 영재성 이론에서 다루지 못한 영재성 구인들을 다루고 있어 영재성을 좀 더 포괄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 둘째, 영재성을 영재의 인지적 특성, 정의적 특성, 사회‧정서적 특성으로 보는 관점에서의 영재성의 구인과 자기조절학습능력을 인지조절, 동기조절, 행동조절로 보는 관점에서의 자기조절학습능력의 하위구인들이 일치하는 부분이 많다. 마지막으로 영재학생의 자기조절학습능력은 일반학생과 비교하여 거의 모든 하위 구인들에서 높게 나타남으로 자기조절학습능력을 영재성의 구인으로 볼 수 있다고 분석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sent some implications whether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can be seen as a construct of giftedness by comparing and analyzing researches on self-regulated learning and giftedness in terms of the constructs of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and the constructs of giftedness. 25 domestic papers and 8 international paper published from January 2003 to September 2014 were screened by key words, self-regulated learning and giftedness, and analyze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self-regulated learning does cover not only the components of giftedness, but also other components of giftedness, which menas it explains giftedness more comprehensively. Second, in the two points of view that giftedness is defined as cognitive, affective, social and emotional characteristics that the gifted have and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is composed of cognitive, motivational and behavioral aspects, there are many common features between components of giftedness and ones of self-regulated learning. Finally, comparing gifted students with normal students, it is analyzed that the gifted have better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on almost all of the components, so it can be concluded that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can be seen as a construct of giftedness.

      • KCI등재

        초등학생의 사이버가정학습에서 자기조절학습능력의 성취도와 만족도 예측

        박성희 ( Sung Hee Park ),정진아 ( Jin A Chung ) 한국초등교육학회 2010 초등교육연구 Vol.23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사이버가정학습환경에서 초등학생들의 자기조절학습능력이 성취도와 만족도를 예측하는지 알아보는 데 있다. 본 연구는 서울시 A초등학교 5학년 168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자기조절학습능력은 과제가치, 자기효능감, 암기, 정교화, 조직화, 초인지, 노력, 도움요청, 자원활용, 학습환경관리 등의 10개 하위 영역에 걸쳐 총 49문항을 통해 측정하였다. 5주에 걸쳐 비교과 초등공통학습과정내용을 사이버가정학습으로 실시한 후, 지필평가를 통한 성취도와 더불어 온라인 설문지를 이용하여 만족도를 측정하였다. 성취도와 만족도를 예측하는 자기조절학습의 하위 요인에 대하여 중다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의 사이버가정학습에서 성취도에 영향을 주는 자기조절학습능력의 하위 요인은 자기효능감이였으며, 둘째, 초등학생의 사이버가정학습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자기조절학습능력의 하위 요인은 자기효능감과 도움요청으로 나타났다. 이는 구체적으로 과목 학습 및 온라인 활동에 대한 자기효능감이 높은 학생들이 높은 성취도 점수와 함께 높은 만족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리고, 적극적인 문제 해결 성향을 지닌 학생들일수록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사이버가정학습 환경에서 학생들의 자기조절학습능력 중 자기효능감을 증진시킬 수 있는 활동 제공과 함께 학습 중 도움요청을 자유롭게 할 수 있는 분위기 조성에 대한 노력이 요구되어진다고 볼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as a predictor of the academic achievement and satisfaction in cyber-home learning. 162 fifth grade students at A Elementary School in Seoul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was measured through the on-line survey with 49 items on 10 constituent factors: task values, self-efficacy, memorizing, elaborating, organizing, meta-cognition, efforts, help seeking, resource utilizing, and learning environment managing. After finishing the five-week-long cyber-home learning contents, the academic achievement test and the online survey regarding satisfaction were conducted. The multiple regression method was employed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with the data.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self-efficacy'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s a predictor that makes an impact on the academic achievement of cyber-home learning. It might imply that students with high self-efficacy on subject learning or on-line activities resulted in high achievement scores. Second, 'self-efficacy' and 'help seeking'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s predictors that make an impact on the satisfaction of cyber-home learning. The result implied that students with high self-efficacy on class learning or on-line activities and those with more active problem solving skills lead to high levels of the satisfaction in the cyber home learning system.

      • 자기조절학습과 의사소통능력 함양의 필요성 : 대학생을 중심으로

        정미라(Mira, Jung) 국민대학교 교육연구소 2021 교육논총 Vol.38 No.1

        본 연구는 자기조절학습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대학생들이 갖추어야 할 능력으로 자기조절학습 능력과 의사소통역량 함양의 필요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현재 전 세계적으로 코로나19사태라는 특수한 상황과 이로 인한 온라인 비대면 학습이 불가결한 상황이 되었다. 이에 스스로 학습할 수 있어야 하는 학습자의 자기주도 학습능력과 철저한 자기 규제는 학습자가 갖추어야 할 요인으로 꼽을 수 있다. 이에 학습자가 장기적인 목표달성을 위해 스스로를 해결할 수 있는 자기조절능력이 매우 중요하다(허정경, 2003). 최근 여러 분야에서 의사소통 능력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특히 의사소통을 효과적으로 하는 학습자 일수록 기능적인 면에서 자기조절 능력을 가능하게 해주는 척도가 된다(양옥승, 1993). 또 이러한 연구결과는 의사소통 능력 또한 자기조절학습능력의 발달을 이끄는 중요한 요소임을 알 수 있다. 자기조절학습능력과 의사소통역량의 하위요소를 살펴보면 각각의 하위요소가 의미하는 바는 다르나 방향성은 같다고 할 수 있다. 자기조절학습능력에서의 인지는 계획, 점검, 자기 판단에 따른 작업 분석 등의 내용이 학자마다 다르게 세분화된 것을 제시한바와 같이 의사소통역량에서의 분석과 평가가 의미하는 내용이 함축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우리 사회기 지식인, 교양인, 지성인, 지도자를 양성하는 대학에서 자기조절학습능력과 의사소통능력의 중요성을 인지하여 함양할 수 있는 교육방법 및 교육설계를 통해 인재를 양성해야 한다. This study is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self-regulated learning and the ability of college students to self-regulated learning. It is intended to suggest the need to foster communication capabilities with the department. Currently, the special situation of the coronavirus worldwide caused online learning requiring self-regulated learning. The emergence of learners self-directed learning that they should be able to require strict self-regulation of students. Given this, self-regulated learning skills can be considered as a factor that learners should have. Therefore,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for learners is very important to achieve long-term goals(Heo, 2003). Recently, many areas have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communication skills, particularly effective communication. The more adversarial learners, the more self-regulatory they are(Yang, 1993). These findings also show that communication skills are also an important factor driving the development of self-regulated learning skills. There are sub-factors of self-regulated learning and communication capabilities. They are different but the direction is the same. The recognition of self-regulated learning capabilities implies the analysis and evaluation of communication capabilities, as suggested by scholars that the contents of planning, inspection, and work analysis based on self-judgment are different. Therefore, universities that train intellectuals, cultured people, intellectuals, and leaders in our society should foster talent through educational methods and design that can recognize and foster the importance of self-regulated learning and communication skills.

      • KCI등재

        청소년의 미디어 리터러시와 가족건강성, 자기표현, 정서조절전략 및 자기조절학습능력간의 구조적 관계

        육명신(Yuk, Myungsin),박용한(Park, Yongha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9

        본 연구는 청소년들의 능동적인 학습에 요구되는 자기조절학습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미디어 리터러시, 가족건강성, 자기표현, 정서조절전략 간의 구조적 관계를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중·고등학생 865명을 대상으로 2015년 9월 20일부터 10월 23일까지 설문을 통해 수집된 자료를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청소년의 미디어 리터러시, 가족건강성, 정서조절전략은 자기조절학습능력에 영향을 미치나, 자기표현은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청소년의 미디어 리터러시, 가족건강성이 정서조절전략을 매개로 자기조절학습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청소년들의 학업성취 및 학습동기와 밀접하게 관련된 자기조절학습능력의 함양을 위한 이론적이고 실증적인 자료를 제공한다. 또한 청소년들이 자기조절학습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미디어 리터러시, 가족건강성, 정서조절전략을 함양할 수 있도록 가정, 학교, 사회 및 정부기관의 적극적인 관심과 지원에 대한 교육적 시사점을 제시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media literacy, family health, self - expression, and emotional regulation strategies as variables influencing self - regulated learning ability required for active learning of adolescents. The participants in this research were 865 students including middle school students and high school students. The survey period was from September 20, 2015 until October 23.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Main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confirmed that media literacy, family strength, emotion regulation had a significant effects on the abilities of young adolescents to self-regulate their learning.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self expression had no effect on the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ies. Third,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significantly mediated the effect of media literacy and family strength on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ies. These results provide theoretical and empirical data for the development of self - regulated learning abilities closely related to the academic achievement and learning motivation of adolescents. It also suggests educational implications for the active interest and support of family, school, society, and government agencies in order to cultivate media literacy, family health, and emotional regulation strategies that affect the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of adolescents.

      • KCI등재

        청소년의 자아탄력성과 또래애착이 자기조절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

        이현주(Hyun-Ju Lee),권수정(Soo-Jung Kwon) 한국콘텐츠학회 2013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3 No.10

        본 연구는 청소년의 자아탄력성과 또래애착이 삶의 만족도를 매개로 자기조절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자기조절학습능력은 학습자가 주도적으로 학습목표를 성취하기 위한 전략적인 접근방법으로 학습에 있어 자기조절을 의미한다. 이러한 자기조절학습능력의 변인에 청소년의 내적 힘인 자아탄력성과 외적지지체계 중 하나인 또래애착의 영향력이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를 매개하여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가를 살펴보았다. 조사 대상자는 총 2,351명의 중학생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첫째, 자아탄력성과 삶의 만족, 또래애착(의사소통, 신뢰, 소외) 그리고 자기조절학습능력(성취가치, 숙달목적지향, 행동통제, 학업시간관리)의 잠재변수와 하위변수 모두 서로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었다. 둘째, 자아탄력성과 또래애착은 삶의 만족도를 매개하지 않고 직접적으로 자기조절학습능력에 영향을 주고 있었다. 셋째, 삶의 만족도도 직접적으로 자기조절학습능력에 영향을 주고 있었다. 넷째, 자아탄력성과 또래애착은 삶의 만족도를 매개하여 자기조절학습능력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which may operate within peer attachment as well as any links which may exist ego-resilience and life satisfaction and self-regulation learning ability in adolescence. The participants in this research consisted of 2,351 middle school students. the main result were as follows: first, each of three ego-resilience and peer attachment had an influence upon life satisfaction and self-regulation learning ability albeit in different ways. second, life satisfaction had a direct influence on self-regulation learning ability. third, the mediating effect of life satisfaction between ego-resilience and peer attachment upon and self-regulation learning ability were significant. finally,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along with suggestion for further research.

      • KCI등재

        정보활용능력과 자기조절능력이 성인학습자가 인식하는 온라인 학습효과의 종단적 변화에 미치는 영향

        백아롱(Ah-rong Beik),김혜빈(Hye-Bin Kim),조일현(Il-Hyun J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14

        목적 본 연구는 성인학습자의 정보활용능력과 자기조절능력, 온라인 학습효과의 변화 양상을 파악하고, 이에 따른 세 변인의 구조적 관계를 탐색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방법 이를 위해 한국교육종단연구 2005(KELS 2005) 자료의 2014(9차), 2016(10차), 2018(11차), 2020(12차)년도에 조사된 데이터를 활용하여 잠재성장모형을 활용한 시간에 따른 변화추이와 종단적 관계를 검증하였다. 결과 시간에 따른 변화추이를 살펴본 결과, 정보활용능력과 자기조절능력, 온라인 학습효과의 평균은 크게 변하지 않았으며, 온라인 학습효과의 평균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정보활용능력과 자기조절능력 모두 온라인 학습효과의 초기치를 정적으로 예측하였고, 변화율 역시 유의하게 예측하였다. 마지막으로 온라인 학습효과의 종단적 변화에 미치는 영향력에 있어 정보활용능력이 자기조절능력보다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성인학습자의 온라인 학습효과의 종단적 변화에 대한 정보활용능력과 자기조절능력이 미치는 유의한 영향에 대해 논의 및 제언을 제시하였다. 안정적인 온라인 학습 효과를 보장하기 위하여 초기부터 정보활용능력과 자기조절능력 등의 역량을 향상시킬 수 있는 사전 훈련이 필요하며, 특히 학습자가 새로운 기술에 대한 습득력과 적응력을 갖출 수 있도록 지원이 요구된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온라인 학습의 중요성과 활용 분야가 확대되고 있는 상황에서, 온라인 학습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 정보활용능력과 자기조절능력의 계발을 위한 방안을 모색할 수 있을 것이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changes in information literacy, self-regulation, and online learning effectiveness of adult learners, and to explor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the three variables. Methods A potential growth model was used by using data surveyed in 2014 (9th), 2016 (10th), 2018 (11th), and 2020 (12th) of the Korean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2005 (KELS 2005). The trend of change over time and the longitudinal relationship was verified. Results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trend of change over time, the average of information literacy, self-regulation, and online learning effectiveness did not change significantly, and the average of online learning effectiveness was relatively high. In addition, both information literacy and self-regulation statically predicted the initial value of the online learning effectiveness, and the rate of change was also significantly predicted. Finally, it was found that information literacy was greater than self-regulation in terms of the influence on the longitudinal change of online learning effectiveness. Conclusions Discussions and suggestions were presented on the significant effects of information literacy and self-regulation on the longitudinal changes in online learning effectiveness of adult learners. To ensure stable online learning effectiveness, prior training to improve competencies such as information literacy and self-regulation is required from the beginning, and support is especially required so that learners can acquire and adapt to new technologies.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ill be possible to seek ways to develop information literacy and self-regulation skills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online learning in a situation where the importance and application fields of online learning are expand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