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학고(鶴?) 금이만(金履萬)의 부(賦)에 나타난 제천(堤川) ‘임호(林湖)’의 심상지리 -「임호부(林湖賦)」와 「한거부(閒居賦)」를 중심으로-

        권경록 ( Kwon Kyong Rok ) 한국한문학회 2016 韓國漢文學硏究 Vol.0 No.63

        이 글은 鶴? 金履萬의 「林湖賦」와 「閒居賦」를 중심으로 堤川 ‘林湖’의 심상지리를 논한 것이다. ‘임호’는 제천 북쪽에 있는 큰 호수로, 지리적으로 남한강 수로를 이용해 서울로의 접근이 용이한 충청지역에 위치하고, 강원도에 치우쳐 고립된 지세, 사시사철 변화하는 수려한 수변 풍경 등 자연 친화적 삶을 영위 할 수 있는 곳이다. ‘임호’는 園林 공간의 사유체계 속성인, 관계 지향적, 변화 지향적, 환경 지향적 속성을 지니는 장소였다. 김이만은 ‘임호’에 자신이 꿈꾸는 삶을 구체화 하여 ‘樂拙’의 심상공간을 구축했다. 「林湖賦」와 「閒居賦」에는 김이만의 공간 인식 체계와 지향하는 삶의 방향성이 제시된다. 김이만은 ‘임호’의 경관을 하나의 원림 체계로 인식했다. 김이만은 計成의 園冶에 제시된 상하좌우 및 시점에 따른 5관점과 潘岳의 「閑居賦」에 보이는 철학을 계승했다. 김이만은 「임호부」에서 漢陽客과 임호 주인의 문답형식을 빌려 수려한 임호의 인문·자연 지리적 공간성을 핍진하게 그려낸다. 김이만은 ‘임호부’에서 임호 주변 공간을 동서남북 네 구역으로 구획하고, 사계절의 변화에 따른 경관을 표상했다. 이러한 구획과 표상체계는 임호 주변 지역의 실재 地勢와 공간성을 반영한 것이지만, 김이만의 지리 감각과 반악의 「한거부」에 나타난 철학이 반영된 결과이다. 김이만에게 있어서 ‘林湖’는 굽히고 비워서 분수를 지키는 ‘樂拙’을 실천해 나가는 공간 이었다. 「樂拙齋記」에는 김이만이 인식하는 ‘樂拙’의 개념이 제시되고, ‘한거부’에서는 그 실상이 명시적으로 드러나 구체화된다. 김이만에게 ‘임호’는 몸가짐을 고고하게 하는 물러남의 장소가 아니라, 평범한 民속으로 들어가 소박한 小民의 삶을 영위하고 그 속에서 가장 民다운 사회의 일원으로서 자신이 꿈꾸는 공간 세계를 구축하여 드러내 보이는 장소이며, ‘樂拙’의 심상지리였다. This study presents a discussion about the imaginative geography of ‘Imho’ in Jecheon with a focus on Imhobu and Hangeobu by Hakgo Kim Yi-man. ‘Imho’ is a huge lake in northern Jecheon and place for naturefriendly life with its location in Chungcheong Province with easy access to Seoul via the waterway of southern Han River, its topography inclined toward Gangwon Province, and its beautiful waterside scenery changing season after season. It is also a place with relation-, change-, and environment-oriented attributes, which are the attributes of thinking system in the garden space. Kim Yi-man embodied the life of his dream in the lake and built his imaginative space called ‘Nakjol’. His Imhobu and Hangeobu reflect the system of his spatial perception and the directionality of life he was oriented to. He recognized the landscapes of ‘Imho’ as a garden system and inherited Gyeseong``s five perspectives in Wonya according to up and down, right and left, and viewpoints and the philosophy of Banak``s Hangeobu. In his Imhobu, Kim borrowed the question-answer approach between a guest from Hanyang and the owner of Imho and vividly represented the geographical spatiality of beautiful Imho based on humanities and nature. He also divided the surrounding space of the lake into four sections in the four directions and represented its landscapes according to the seasonal changes. Those sectioning and representation systems reflect both the actual topography and spatiality of surrounding areas of the lake and also Kim``s geographical senses and Banak``s philosophy in his Hangeobu. To Kim, ‘Imho’ was a place to practice ‘Nakjol’ by yielding, emptying, and keeping within due bounds. Nakjoljaegi presents the concept of ‘Nakjol’ perceived by him, and Hangeobu explicitly revealed and specified its reality. ‘Imho’ was not a place for taking a detached attitude and withdrawing to him. As far as he was concerned, it was a place for leading a humble life of petit bourgeois among people and building and revealing the spatial world of his dream as the most commoner-like member of society, representing the imaginative geography of ‘Nakjol’.

      • KCI등재

        임호권의 시 연구

        맹문재 ( Mun-jae Maeng )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16 한국문예비평연구 Vol.- No.50

        임호권은『신시론』(1948)과『새로운 도시와 시민들의 합창』(1949)에 시작품을 발표한 데서 볼 수 있듯이 해방기의 모더니즘 시 운동을 적극적으로 추구한 시인이다. 그렇지만 그가 남긴 작품의 수가 많지 않은데다가 월북했다는 전기적인 사실 때문에 그동안 연구의 대상에서 제외되었다. 1988년 월북 및 재북 문인들의 작품에 대한 해금 조치가 이루어짐에 따라 그에 관한 연구가 가능해졌는데, 이 논문에서는 그가 월북하기 이전에 발표한 작품들을 집중적으로 고찰했다. 임호권은「生活」, 「등잔」, 「동지설야」, 「산우에서」등에서 자신과 가족이 겪는 궁핍함을 동시대 민중들의 형편과 연계해서 담아내었다. 그러므로 그의 가난 인식은 개인적인 것이면서 동시에 사회적인 것이라는 의미를 갖는다. 또한 역사적인 것이라는 점에서 주목된다. 일제가 조선에서 물러났지만 미군정의 지배에 따라 또다시 진정한 민족 국가 건설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는데, 임호권은「하늘이 둥근地域」, 「검은 悲哀-故裵仁哲에게」등을 통해 추구했다. 임호권은 해방기의 상황을 반영하면서 모더니즘 인식으로 극복하는 것을 지향했다. 「불노리」, 「시내」, 번역시「YESTERDAY AND TODAY」등의 작품들에서 새로운 세계관과 감각, 형식, 이미지, 시어 등을 통해 ‘코페르니크스의 승리’를 제시한 것이다. 결국 임호권은 해방기의 상황을 외면하지 않고 적극적으로 인식하고 참여했다. Im Ho-Gwon was active as a member of Shinsiron (new poetry theory, 1948) and The new city and the citizenry``s chorus(1949) at liberation period of Korea. He went to Japan to literature study during the Korea under Japanese rule, and returning home from abroad. After he conflicted between right ideology and left ideology, at last he made a choice the third way. That is he participated in movement of modernism, namely Shinsiron (new poetry theory). He went to North Korea around the Korean War. Because of he concerned about political socialism or communism, which for people of Korea. So his poetry disappeared in literary history of South Korea. But the number of his poems is not so many, it is valuable because of the following three themes of consciousness. At first, we regard recognition of poverty as one of the major consciousness of Im Ho-Gwon``s poems. He sharply perceives other``s poverty, describing his own and of his family``s poverty. In fact his conception of poverty is both individual and social and epochal. Another theme of his poem is historical consciousness. US military rule during the emancipation period resulted in the tragic division of South Korea and North Korea, because Washington really wanted not the true independence but its own benefit. Im Ho-Kwon sharply appreciated the need of the true independence though Japan had been defeated. Another theme is the modernist consciousness. Along with Park In-Hwan, Kim Kyung-Rin, Kim Byung-Wook, Kim Kyung-Hee, Yang Byung-Sik, Im Ho-Kwon reflected the chaotic Korean society and its epoch in his modernism.

      • KCI등재

        임호박수검(林湖朴守儉)의 트라우머와 장자철학(莊子哲學) -치유담론으로서의 『장자』에 대한 역사적 사례-

        김종수 ( Jong Soo Kim ) 영산대학교 동양문화연구원 2013 동양문화연구 Vol.15 No.-

        17세기 중.후반을 주요 활동기로 삼았던 임호 박수검은 제천에 연고를 둔 노론계의 관인.유자였다. 수학기 적부터 자자한 문명을 떨쳤던 박수검은 20세 때에 진사초시에 합격하는 영예를 안았다. 그러나 이후 약20여 년간에 이르는 온갖 집안의 불행사들로 인하여 박수검의 과거 합격은 무한정 지연되어 가고만 있었다. 마침내 박수검은 뒤늦은 나이인 44세때에 과거에 급제하였으나, 이미 그의 영혼은 심각한 트라우머에 시달리고 있었다. 때문에 주로 한직과 외직을 전전했던 박수검의 관직생활은 단순한 생계유지의 수단 그 이상의 의미를 발휘하지 못했다. 대신에 박수검은 웅장한 경세에의 포부가 좌절된 데 따른 트라우머로 인하여 늘상 방황하는 모습을 연출하고 있었다. 박수검은 그런 자신을 ?『장자』? 속의 중증 장애인인 지리소로 비유하곤 하였다.그런 점에서 수학기 적에 만난 세 번째 스승인 무하옹 이준남은 박수검이 닮아야 할 동일시 모델로 다가섰고, 또한 텍스트 ?『장자』?를 매개.인도케해준 중요한 인물이었다. 박수검이 구축한 장자철학은 <장자소요유제물론이편주해서>로 대변되는 텍스트 ?『장자』?에 대한 해석과 시료로서 ?『장자』?를원용한 두 국면을 형성하고 있다. 전자가 정주학적 세계 구도인 음양.오행론과 역학적 사유가 묘하게 결부된 주해 방식을 선보여 주었다면, 후자의경우 자신의 트라우머를 드러내고 해소.치유하기 위한 의식적 노력과 결부되어 있다. 또한 두 국면 모두 『주역』의 복괘에 내함된 생의[陽]가 투사되어 있는바, 이는 트라우머의 치유를 위한 박수검 나름의 치열한 노력이반영된 결과였다. 그러나 박수검은 끝끝내 자신 안에 각인된 트라우머를 치유.승화시키는 단계로까지는 진입하지를 못했다. 박수검의 경우 ?『장자』?혹은 장자철학이란 자아 성찰과 세계 확장이라는 새로운 두 계기를 제공해주었으나, 궁극적인 치유담론으로 기능하지는 못한 것 같다. Imho(林湖) Park Soo-geom(朴守儉) could not pass an examination to become a government officer because of various misfortunes which continued for more than 20 years on him. He at last passed a government examination for government officer at the late age of 44 years old; however, his soul was already suffering serious trauma. Therefore, the government officer position of Park Soo-geom was just a way to make ends meet. Park Soo-geom always wandered because of the serious trauma caused by the frustration coming from the failure to realize the big aspiration he had held as a government officer. He frequently compared himself to Jiriso(支離疏), who is a seriously disabled person appearing in the book, Zhuangzi(莊子). The philosophy of Zhuangzi philosophy established by Park Soo-geom can be seen in his two writings quoting the book Zhuangzi as the material for his poetry and his preface on the two annotations on Soyoyoo (逍遙遊) and Jemullon(齊物論) in the book Zhuangzi(莊子逍遙遊齊物論二篇註解序). However, Park Soo-geom could not reach the stage of healing and sublimation of his internal trauma with deep source until the end. Consequently, the philosophy of Zhuangzi established by Park Soo-geom provided him with two opportunities of self-introspection and world-expansion; however, it seems it could not function as an ultimate discourse on healing

      • KCI등재

        해녀 표상과 로컬리티

        김정선(Jung Sun Kim) 목원대학교 교양교육혁신연구센터 2024 지식과 교양 Vol.- No.14

        본 연구는 해녀에 대한 인식이 고정된 실체가 아니라 사회적, 정치적 욕망에 따라 발견되거나 변화되는 산물임을 전제로, 근·현대기 해녀를 주제로 한 작품에 투영된 시대별 인식의 변화를 추적하는 한편, 소라와 해녀의 작가라 불렸던 부산 1세대 서양화가 임호에게 있어 해녀 도상이 지니는 의미를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실제 조선시대까지 천역의 대상이었던 해녀는 근대기 식민자본주의 영향 아래에서 역경을 이겨내며 때로는 모성애를 자극하는 강한 해녀상의 출현으로 이어졌다. 그런데 임호의 대표적인 작품 중 한 점인 <해변>에는 이러산 기존의 해녀상과는 차별되는 서정적인 풍토경이 펼쳐진다. 논고는 이 점에 주목하여, 임호 화력에 있어 해녀 도상의 의미를 추적하고자 하였다. 해녀는 임호가 평생을 천착했던 주제였으며, 로컬리티를 넘어 민족적 정서의 발현이기도 했다. <해변>에 보이는 강인한 해녀상과는 차별되는 서정적인 향토경은 부산 1세대 서양화가로서 지역 미술과 민족 미술에 대한 고심의 결과였다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on the premise that the perception of Haenyeo is not a fixed entity but a product that is discovered or changed according to social and political desires, traces the changes in perception by era as reflected in works on the theme of Haenyeo in the modern and contemporary er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aning of the icon of Haenyeo to Lim Ho, who was called the painter of “Conch and Haenyeo.” In fact, Haenyeo, who had been subject to servile labor until the Joseon Dynasty, overcame adversity under the influence of colonial capitalism in the modern era, leading to the emergence of strong images of Haenyeo that sometimes stimulated maternal love. However, <The Beach>, one of Lim Ho's representative works, presents a lyrical landscape that is different from the existing Haenyeo. Paying attention to this point, the paper attempted to trace the meaning of the iconography of Haenyeo in Lim Ho's painting work. Haenyeo were a topic that Lim Ho had been obsessed with throughout his life, and they were also a manifestation of national sentiment beyond locality. It can be said that the lyrical local scene, which is different from the strong Haenyeo statue seen in <The Beach>, was the result of his consideration of local and national art as a first-generation Western painter in Busan.

      • KCI등재

        일제강점기 서원의 복설과 제반 비용 -안동 臨湖書堂을 중심으로-

        채광수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23 민족문화논총 Vol.84 No.-

        대원군 서원 훼철령 이후 서원이 지닌 역사적 의미는 일단락되었다는 것이통설이다. 따라서 한말-일제강점기 서원은 객관적인 탐구와 연구대상에서 배제되었고, 근대이래 생성된 자료에 대한 관심도 낮은 편이었다. 그러나 서원은 대원군 하야 직후부터 곧바로 신・복설되기 시작해 오늘날에 이르러서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다수의 서원이 복설되었다면, 그것은 어떤 방식으로 추진되었을까? 이 물음에 답할 수 있는 조건의 서원이 있다. 바로 안동의 金涌을 모신 임호서원이다. 이 서원에는 일제강점기 복설 전후에 생성한 고문서들이 잘 보존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를 토대로 먼저 이건일기를 토대로 임호서원이 복설되는 과정을 재구성하였고, 다음은 현전하는 고문서를 분석해 제반비용과 기능을 조명하였다. 1920년경 김용의 후손들은 臨川書堂 경내에 임호서원을 복설하기로 결의한다. 복설이 결정된 주된 요인은 기존에 서원이 보유한 경제력이 발판이 되었다. 일반적으로 철폐된 서원 재산은 屬公, 향교 이속, 운영 문중의 자발적처분 등으로 다루어졌다. 그러나 임호서원은 훼철 이후에도 여전히 書院田을보유하고 있었다. 그 과정에서 일부 잡음도 뒤따랐지만 운천계 ⇨ 凡 의성김문 ⇨ 호론계까지 공감대를 형성하는 절차를 거치면서 훼철 55년 만인 1922 년 서당으로 복설되는 성과를 거둔다. 서원 이건사업은 막대한 인적・물적 비용이 소요되는 役事이다. 관의 인적・ 물적 지원을 크게 기대할 수 없는 처지에서 재원 확보는 후손들과 여러 문중에 부조가 전부였다. 다행히 임천서원은 후손들의 적극적인 관심과 협력 덕에책정액보다 765냥이 더 모금되어 총 19,765냥을 수합하였다. 이건 사업에 지출된 구체적인 비용은 공사비로 총 13,105냥 9전 5푼을 비롯해 인건비, 식료품비, 식비 등이 지출이 되었다. 이렇게 복설된 임호서당은 사당이 없어 제향은 설행하지 못했던 것 같고, 주로 모임의 장소로 기능했다. 매년 정례 모임을 비롯하여 문중 혹은 향중의중요한 사안이 있을 때마다 자리를 가졌다. 회합에는 내앞의 문중 구성원들뿐아니라 먼 곳에 거주하는 유림들도 동석했다. 이 시기에 왜 서원을 복설하려고 했을까? 가장 큰 이유는 20세기 초에도여전히 서원을 필요로 했던 사회적 분위기 때문이라 하겠다. 즉 전통시대 향촌에서 실력 행사의 매개가 되었던 서원이라는 문중 기반 상실에서 오는 위기감이 크게 작용하였던 것이다. It is a common belief that the historical meaning of Seowon ended after Daewongun’s decree of demolishing Seowon. Therefore, Seowon in late Joseon and the Japanese colonial era were not subject to objective exploration or research, and interest in data generated after modern times was rather low. However, Seowon began to be built or rebuilt immediately after Daewongun’s resignation, and it is still being actively done today. If a number of Seowon were reinstalled, how was it done then? There are the conditions of Seowon that can answer this question. It is Imho Seowon in Andong which enshrines Kim Yong (金涌). It is because ancient documents generated before and after the reinstatement in the Japanese colonial era are well preserved in this Seowon. First, based on the notes of rebuilding (Igeon Ilgi), the process of reinstalling Imho Seowon was reconstructed, and next, existing ancient documents were analyzed to shed light on all related costs and functions. Around 1920, Kim Yong’s descendants decided to reinstall Imho Seowon inside the precincts of Imcheon Seodang (臨川書堂). The main factor in the decision of its reinstallment was the economic power previously held by that Seowon. Normally, the properties of abolished Seowon were treated by Sokgong (屬公), Hyanggyo Isok, or the voluntary disposition of the operating clan. Imho Seowon, however, still held Seowon Jeon (書院田) even after the demolition. In the process, some noise was there, too, but through the process of forming a consensus among Uncheon-gye ⇨ Beom (凡) Uiseong Kim’s family ⇨ Horon-gye, it was rebuilt as Seodang in 1922 after 55 years from its demolition. The project to rebuild Seowon is a construction work that requires enormous human and material costs. In the situation where they could not expect enough human and material support from the government, the only way to secure financial resources was the aid from descendants and other families. Fortunately, thanks to the great interest and cooperation of descendants, Imcheon Seowon collected a total of 19,765 Nyang that was 765 Nyang more than the estimated amount. The specific expenses spent on the project of rebuilding include not only a total of 13,105 Nyang 9 Jeon 5 Pun for construction but labor costs, food costs, and eating expenses, too. Imho Seodang rebuilt in this way seems to have been unable to perform ancestral rites because there was no shrine, and it mainly functioned as a place for meeting. E very year, they held a regular meeting and also gathered whenever there was a crucial issue of the family or village. In the meeting, not only the members of the family but Yurim living distantly, too, attended. Why did they intend to reinstate Seowon then? The biggest reason is the social atmosphere of the early 20th century in which they still needed Seowon. In other words, the sense of crisis coming from the loss of a family’s foundation, Seowon, which was the medium for exercising power in the traditional village played a major role.

      • KCI등재

        林湖 朴守儉의 시세계 연구

        김창영 고전문학한문학연구학회 2020 고전과 해석 Vol.31 No.-

        본고는 17세기 충북 제천 지역 재지 사족 계열 관료 문인 林湖朴守儉의 학문 배경과 다양한 양상의 작시 경향을 살펴봄으로써 그의 문학에 대한 연구의 장을 더 욱 확장하기 위한 목적으로 작성되었다. 박수검은 한미한 집안을 일으키기 위하여 과거 급제를 위한 공부를 하였고, 조석 윤, 송시열 등의 당대 명가를 사사하였다. 소년기에 지역의 명망이 있던 이영선과 왕실의 서손으로 여러 사족 자제에게 시문을 교육한 이준남에게 시문을 학습하였 고, 그 성과로 22세에 택당 이식의 칭찬을 받았다. 그러나 그의 생애는 대체로 경세 의 포부를 펼치지 못한 낙척과 좌절의 일생이었고, 그로인해 후대에는 그의 문학적 진면모가 알려져 있지 않았다. 본고에서는 그의 문집의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시문을 통해 시에 투영된 삶의 모습과 敍事詩에 보이는 역사와 현실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고자 한다. 詠史 詩, 社會詩등 敍事詩를 통해 드러난 역사 관찰자, 기록자로서 냉철한 현실 인식 으로 당대 조선 조정의 문제를 직절하게 풍간하는 등 그의 시문 등 그의 문학이 다양한 지형을 이루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그의 사회시는 숙종 중기 대기근의 참상을 다루고 있어 관련 연구에 참고가 될 만하다. This book is written for a purpose to extend further field of Park Soo-gum’ study of literature by examining his academic background and various aspects of writing, who was Im Ho Park Soo-gum (1629-1698), a civil servant of the local aristocracy in Jecheon, North Chungcheong Province, in the 17th century. Park Soo-geom(박수검) started studying for the civil service examination in order to raise his family, and was taught by many scholars of the time such as Jo Seok-yoon(조석윤) and Song Si-yeol(송시열). He learned poetry from Yi Yeong-seon(이영선), a renowned local teacher during his boyhood, and Yi Jun-nam(이준남), who taught poetry to many noble children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as a royal concubine. The achievement earned him the praise of Taekdang(택당) Yi Sik at the age of 22. However, his life was largely a continuation of poverty and frustration, which left the value of his literature unknown in later generations. In this book, we are going to examine the life reflected in the poem and the perception of history and reality in the epic poem (敍事詩) through poetry, which accounts for the largest portion of his collection of writings. It was confirmed that through epic poetry (敍事詩), such as historical poem (詠史詩) and social poem (社會詩), his literature was composed of various aspects by exhorting problems of politics and national policy by innuendo through his philosophical recognition of the reality of the Joseon Dynasty as historical observers and archives. In particular, his social poem deals with the horrors of the mid-Joseon Eul-byeong great famine(乙丙大飢饉), which makes a reference worth to related research.

      • KCI등재
      • KCI등재

        『신시론』의 작품들에 나타난 모더니즘 성격 연구

        맹문재(Maeng Mun-jae) 우리문학회 2012 우리文學硏究 Vol.0 No.35

        『신시론』에 수록된 작품들은 김경린의 경우를 제외하고 모두 현실 지향적인 모더니즘의 시세계를 보여주었다. 그렇지만 '신시론' 동인의 작품은 감각적이고 현대적인 시어와 이미지 등으로 사회성을 담아낸 것이어서 언어의 자각을 소홀히 하고 내용을 중요 요소로 삼은 조선문학가동맹 소속 시인들의 시세계와는 차이가 있었다. 또한 '신시론' 동인은 기존의 서정시에서 보여준 낭만성과 감상성에 맞서는 작품세계를 보여주었다. 기존의 인습화된 서정시를 부정하고 과학적이고 주지주의의 태도로 세계 문명의 도래를 그려낸 것이다. '신시론' 동인은 1930년대의 모더니즘 시 운동을 주도한 김기림의 시세계를 계승했다. 영미 계열의 주지주의를 수용한 김기림의 모더니즘 시와 시론은 일제 강점기의 상황으로 인해 제약받았지만, '신시론' 동인은 적극적으로 확대해나갔다. 비록 동인들의 모더니즘 시 운동이 진정한 민족 국가의 수립이라는 과제를 수행하는 데 정치적인 장벽으로 말미암아 한계를 보였지만, 해방기 시문학의 한 축을 새롭게 담당한 것이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characteristics of modernistic poetry in an epoch of emancipation through examining the poems in the Sinsiron. This anthology, published in April, 1948, was composed of 5 young poet's poems and criticisms, some of which were translated by the poets. The young poets were Kim GyungRin, Park InHwan, Im HoGwon, Kim ByungWook, and Kim GyungHee. All the writings in the anthology aimed for modernization and science of poetry by pursuing various images and poetic languages except those of Kim GyungRin, who was interested in social concerns. Looking through the Sinsiron, we are able to guess that among the poets in those days, there were lots of passion for ideology, either for the left or the right, which was the result of that period. In this respect, we are able to compare the spirit of this anthology with that of The Chungrokjib or The Chunweuishjib. The Chungrokjib was full of the right-wing ideology and devoted itself almost to nature, but the latter was full of the left-wing ideology. From the circumstances can we draw the meaning of the anthology, the Sinsiron. This anthology plays a key role to bridge the modernism in 1930's of Kim GiRim, Lee Sang and the Modernism in 1950's the Hubangee. The anthology showed the success of the early movement of modernism in 1930's laying the foundation stone of modernism in 1950's. Of course another anthology, The new city and the citizenry's chorus(1949) played the same role. Eventually we are able to conclude that The Sinsiron cherished and showed strong ideas, sharp awareness of the age, modern images and languages in the middle of the competition between the right and left-wing ideology.

      • KCI등재

        해방 전 오사카미술학교의 조선인 유학생들의 실태와 귀국 후 행방에 대하여

        김지영(Kim Ji-young) 한국근현대미술사학회 2016 한국근현대미술사학 Vol.32 No.-

        Korean artists, who had studied abroad in Japan, played an important role in introducing modern oil painting to Korea. Since the majority studied in Tokyo, the center of the Japanese art world, scholars have predominantly focused on art students in Tokyo, who in the postwar period became active in the Seoul art world. In contrast, Korean students in other regions of Japan have received little scholarly attention. There are few sources on art education outside of Tokyo and due to the policy pressuring Koreans under Japanese rule to adopt Japanese names Korean students are difficult to identify. Moreover, in contrast to students in Tokyo, Korean students in other regions of Japan were less active after their return to Korea. Nevertheless, we need to recognize the contribution of these artists to the development of regional art in Korea. Therefore, this article focuses on Korean art students at the Osaka School of Fine Arts, which had a relatively large number of students from Korea in comparison to other regional cities, and aims to illuminate their situation and postwar activities. Osaka School of Fine Arts was established in 1924 by a nihonga painter Yano Kyoson(1890-1965). It was a private school with a free atmosphere and became famous for producing many representative artists of the Kansai region. The entry requirements were not strict and there was little prejudice against Koreans; and so, by the time the school closed in 1944, over ten students from Korea had attended. The majority of students at the Tokyo School of Fine Arts came from wealthy families and made their own decision to go to Japan to pursue art. In contrast, students at the Osaka School of Fine Arts came from families which had moved to the industrial metropole of Osaka from small cities in Korea to improve their economic situation. Also, differently from Tokyo students, these Osaka students returned not to Seoul but to their home regions of Jejudo or southern part of the peninsula, and actively engaged with art education and developing regional art. By, focusing on the largely overlooked Korean art students at the Osaka School of Fine Arts in the interwar period, this article illuminates the migration between regions of Korea and Japan. More importantly, I argue that the Korean students in Osaka did not simply “study abroad” instead, their stay in Japan was deeply entangled with the economic circumstances, such as migration of Korean population resulting from colonial exploitation and industrialization within the empire. In addition, by investigating artists’ activities in the regions of Korea in the postwar period, I demonstrate how the study in Osaka differed in many aspects from studying in Tokyo and suggest that studying in Japan had diverse implications and significance depending on the artists’ destin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