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RISS 인기논문

        강박장애환자의 인지행동치료프로그램 참여경험에 대한 질적사례연구

        박제인,김수진 한국질적탐구학회 2016 질적탐구 Vol.2 No.1

        본 연구는 강박장애환자의 인지행동치료프로그램 참여 경험을 탐색하기 위한 질적 사례연구이다. 연구 참여자는 강박장애를 진단 받은 만 20세 이상의 성인이며 교육내용과 질문내용을 이해하고 의사소통이 가능하며 본 연구의 참여를 동의한 자이다. 자료수집은 G시 소재의 J 정신병원 강박증 클리닉에 참여한 7명의 연구 참여자를 대상으로 2012년 7월부터 2013년 1월까지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take(1995)가 제시한 범주합산과 유형 만들기 분석기법을 활용하여 분석 하였으며 3개의 유형, 13개의 범주, 49개의 의미단위가 도출되었다. 연구 결과 강박장애환자의 특성을 파악하였고, 인지행동치료프로그램에 참여한 환자의 경험을 탐색하였으며 인지행동치료프로그램이 강박장애환자의 강박사고 및 강박행동을 감소시킴으로써 그들의 삶에 변화를 가져올 수 있는 효과적인 중재방안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 제시하고 있는 강박장애환자들의 인지행동치료프로그램 참여 경험은 강박장애환자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며 강박장애환자 대상 간호중재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if the cognitive behavior therapy program for patients with obsessive-compulsive disorder made the meaningful difference in the lives of patients with obsessive-compulsive disorder and to explore their experiences during their participation in the program. Data were collected during the period from July, 2012 to January 2013 throughout in-depth personal interviews, participant observation and instruments. The subjects were 7 patients with obsessive-compulsive disorder participated in cognitive behavior therapy program at a obsessive compulsive disorder clinic in J Mental Hospital, located in G City.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he data analysis method, suggested by Stake (1995). In conclusion, the experiences of patients were divided into 3 patterns, 13 categories, 49 meaningful units. The cognitive behavior therapy programme could reduce the obsessive thinking and compulsive behavior of patients with obsessive-compulsive disorder. The study is expected to be the foundation to develop nursing interventions to understand and help patients with obsessivecompulsive disorder, based on in-depth understanding of their vivid experiences.

      • KCI등재

        예비간호사를 위한 인지행동치료 기반 공감훈련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김혜영,김정민,이미영 한국인지행동치료학회 2016 인지행동치료 Vol.16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간호사를 위한 인지행동치료 기반 공감훈련프로그램을 개발, 실시한 후 그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임상 실습을 마친 간호학과 대학생 30명으로 인지행동치료 기반 공감훈련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집단, 일반 공감훈련프로그램을 실시한 비교집단 및 무처치 통제집단에 각각 10명씩 임의 배정되었다. 인지행동치료 기반 공감훈련프로그램의 구성 요인은 공감 인지 훈련, 인지적 재구성, 의사소통기술 훈련이며, 주 2회 90분씩 총 10회기로 진행되었다. 프로그램의 효과 검증은 사전, 사후 및 3개월 추후 검사를 통해 이루어졌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프로그램 실시 후 공감 변인인 간호사 공감역량, 공감 수준은 실험집단이 비교집단과 통제집단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인관계 반응지수는 실험집단, 비교집단, 통제집단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반면, 간호사 공감역량의 하위 요인인 민감성과 대인관계 반응지수의 하위 요인인 개인적 고통은 집단 간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둘째, 프로그램 실시 후 인지 변인인 부정적 자동적 사고, 비합리적 신념,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사고의 하위 요인인 부정적 자동적 사고는 실험집단이 비교집단과 통제집단에 비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사고의 하위 요인인 긍정적 자동적 사고는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부정적 자동적 사고의 하위 요인인 현실에 대한 불만과 변화욕구와 비합리적 신념의 하위 요인인 정서적 무책임감은 집단 간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셋째, 프로그램 실시 후 행동 변인인 의사소통은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프로그램 종료 3개월 후 공감 변인인 간호사 공감역량, 공감 수준, 대인관계 반응지수는 실험집단이 비교집단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난 반면, 대인관계 반응지수 하위 요인인 개인적 고통은 집단 간 차이가 없었다. 또한 프로그램 종료 3개월 후 인지 변인인 부정적 자동적 사고, 비합리적 신념,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사고 모두 실험집단이 비교집단에 비해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행동 변인인 의사소통은 실험집단이 비교집단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empathy training program based on the cognitive behavior therapy(CBT) and verify its effect. The sample of this study was thirty student nurses who completed clinical training. They were randomly assigned into 3 groups; an experimental group for the CBT-based empathy training program, the comparison group for the general empathy training program and the control group for no treatment. The CBT-based empathy training program comprised empathic cognitive training, cognitive reconstitution and communication skill training, and offered a 90-minute session twice a week for a total of 10 sessions. The effect of the program was verified through a pretest, post-test and 3-month follow-up test.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empathy capability of nurses and EQ-short-K-empathic variables were found to be higher for the experimental group than the comparison group and control group after the program implementation. The interpersonal reactivity index was marked as the highest for the experimental group followed by the comparison group and the control group. However, no difference was found for sensitivity, a subscale of empathy capability, and personal pain, a subscale of the interpersonal reactivity index. Second, negative automatic thought of the cognitive variable, irrational belief, and negative automatic thought of the social interactional anxious thought were marked lower for the experimental group than the other two groups. Positive automatic thought, a subscale of social interactional anxious thought, was higher for the experimental group than the control group. However, no difference was found for dissatisfaction at reality, a subscale of negative automatic thought, desire for change, and sense of emotional irresponsibility, a subtype of irrational belief. Third, communication skill of the behavioral variable was marked higher for the experimental group than the control group. Fourth, at the 3-month follow-up test, the empathy capability of nurses, EQ-short-K and interpersonal reactivity index of empathic variables were marked higher for the experimental group than the comparison group, whereas no difference was found for personal pain, a subscale of interpersonal reactivity index. In addition, at the 3-month follow-up test, negative automatic thought of the real cognitive variable, irrational belief and social interactional anxious thought were marked lower for the experimental group than the comparison group, and communication skill of the behavioral variable was marked higher for the experimental group than the comparison group.

      • KCI등재후보

        인지행동 프로그램이 지역사회 조현병 회원의 심리사회적 기능에 미치는 효과

        김보미(Kim Bo Mi),조옥귀(Cho Ok Kwi) 한국복지상담교육학회 2018 복지상담교육연구 Vol.7 No.2

        본 연구는 조현병 회원이 가진 비합리적 사고를 합리적 사고로 전환시킴으로써 심리사회적 기능 즉 자기효능감, 대인관계, 행복감 향상에 목적을 둔 인지행동 프로그램이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조현병 회원의 심리사회적 기능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DSM-5 기준에 따라 조현병으로 진단받은 회원으로서 정신건강복지센터에서 주간재활 프로그램에 참여 중인 26명이다. 이들은 각각 실험집단 13명, 비교집단 13명으로 무선배정 되었다. 실험집단은 주간재활 프로그램과 더불어 인지행동 프로그램에 추가적으로 참여하였고, 비교집단은 주간재활 프로그램만 참여하였다. 인지행동 프로그램 실험기간은 2017년 5월 8일부터 동년 6월 7일까지이고, 주 3회기 50분씩 진행되었으며 프로그램 시작 전 후에 사전검사와 사후검사가 실시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v.19.0 사회통계분석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되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지행동 프로그램은 지역사회 조현병 회원의 자기효능감을 증진시켰다. 둘째, 인지행동 프로그램은 지역사회 조현병 회원의 대인관계를 증진시켰다. 셋째, 인지행동 프로그램은 지역사회 조현병 회원의 행복감 증진에는 효과가 없었다. 따라서 인지행동 프로그램이 지역사회 조현병 회원의 심리사회적 기능 향상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그러므로 향후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지역사회 기관에서 적극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sychosocial function of self-efficacy,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happiness by transforming the irrational thoughts of schizophrenia member s into rational thoughts. The study subjects were 26 patients who were diagnosed as chorus disease according to the DSM-5 standard and participated in the rehabilitation program at the mental health welfare center. They were randomizationed to 13 experimental groups and 13 comparison groups, respectively.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the cognitive-behavioral program in addition to the rehabilitation program, and the comparison group participated only in the rehabilitation program. The experimental period of the cognitive-behavioral program was from May 8, 2017 to June 7 of the same year.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v.19.0 Social Statistical Analysis Program.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ognitive-behavioral program promoted self-efficacy of schizophrenia s. Second, the cognitive-behavioral program promoted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of schizophrenia s. Third, the cognitive-behavioral program was not effective in enhancing the happiness of schizophrenia s. Therefore, we think that the cognitive-behavioral program can be fully utilized to improve the psychosocial function of schizophrenia s.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continuously studied and utilized in community organizations.

      • KCI등재

        인지행동 학습치료 프로그램이 ADHD 성향 중학생에게 미치는 효과 검증

        백은영(Baek, Eunyeong),채규만(Chae, Gyuman)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5 한국청소년연구 Vol.26 No.1

        본 연구는 인지행동 학습치료 프로그램(Cognitive-Behavioral Learning Therapy Program)이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장애 성향을 보이는 중학생의 ADHD 성향, 주의력 그리고 자기조절학습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소재의 B 중학교 1∼3학년이며, 담임교사에 의해 시행된 한국어판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평정척도-교사용(Dupaul, Power, Anastopoulous, & Reid, 1998)에서, 교사용 분류점 17점 이상을 얻은 ADHD 고위험군 27명을 선별한 후, 본 연구에 동의한 16명의 학생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각각 8명씩 무선할당하였다. 연구가 진행되는 동안 학생들의 개인 사정으로 인해 3명이 탈락하여, 최종 분석은 실험집단 6명, 통제집단 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인지행동 학습치료 프로그램은 주의력 훈련과 학업 전략 훈련에 초점을 맞추어 ADHD 성향 학생들의 주의력 및 자기조절학습능력을 향상시키는 데에 초점을 맞추어 구성하였고, 실험집단을 대상으로 한 회기당 60분씩 진행하여 4주 동안 주 2회씩, 총 8회기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사전-사후검사 통제집단 설계(pretest-posttest control design)를 실시하였다. 먼저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동질성을 검증하기 위해 독립 t검증을 시행한 후,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사전검사 점수를 공변인으로 하는 공변량분석(ANCOVA)을 시행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지행동 학습치료 프로그램은 ADHD 성향 중학생들의 ADHD 성향을 유의한 수준으로 감소시켰다. 둘째, 인지행동 학습치료 프로그램은 ADHD 성향 중학생들의 시각 주의력 향상에는 효과가 없었으나 청각 주의력 중 주의력의 일관성에서 유의미한 효과가 나타났다. 셋째, 인지행동 학습치료 프로그램은 ADHD 성향 중학생들의 자기조절학습능력의 하위요인 중 동기조절 및 행동조절 향상에는 효과가 없었으나, 인지조절을 유의한 수준으로 향상시켰다. 본 연구는 ADHD의 높은 유병률과 ADHD 청소년들의 학업 문제 호소에도 불구하고 이를 직접적으로 다루고 있는 경험적 연구가 드문 현실 속에서, ADHD 성향 중학생을 대상으로 인지행동 학습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그 효과를 검증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cognitive-behavior learning therapy programs for adolescents with ADHD tendencies. The program was conducted for an experimental group, consisting of 6 students with the score of 17 and over on the K-ARS. No treatment program was conducted for the control group. Treatment effects were assessed by means of the Conners-Wells adolescent self-report scale, the Advanced test of attention, and the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scale.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participa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achiev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s in the areas of ADHD tendencies, sustained attention in ATA-auditory, and cognitive regulation in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se results also suggested that a learning therapy program for the middle school students with ADHD tendencies has the potential to effectively improve academic performance for those adolescents with ADHD. Based on these results, suggestions for future possible studies were also proposed.

      • KCI등재

        중년기 배우자 사별 여성을 위한 애도 인지행동치료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임선희,이미영,김정민 한국인지행동치료학회 2013 인지행동치료 Vol.13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배우자 사별을 경험한 중년기 여성의 애도 과정을 돕기 위해 Worden의 4 가지 애도 과제를 중심으로 인지행동치료를 적용한 애도 인지행동치료 프로그램을 개발,실 시한 후,인지적,정서적 및 행동적 측면에서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또한 프로그램 종료 3개월 후 프로그램 효과가 유지되는지를 살펴보았다.본 연구의 인지행동치료 프로그램은 자 기 모니터링,인지적 재구성,문제해결훈련에 초점을 맞추어 구성되었다.연구대상은 실험집 단과 통제집단에 각각 배우자 사별을 경험한 중년기 여성을 10명씩 무작위로 배정하였다.프 로그램은 실험집단을 대상으로 주 2회,120분씩 총 12회기가 실시되었다.본 연구의 주요 결 과는 다음과 같다.첫째,프로그램 사전-사후 실험집단의 자동적 사고,부정적 애도 인지,우 울은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스트레스 대처 방식 및 사회적 문제해결 능력은 유의하게 증가 하였다.둘째,프로그램 사전-3개월 추후 실험집단은 자동적 사고,부정적 애도 인지,우울 및 불안이 유의하게 감소한 반면,스트레스 대처 방식 및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은 유의하게 증가 한 것으로 나타났다.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conduct cognitive behavior treatment program for middle-aged women in their spousal bereavement by applying CBT on Worden's Four Tasks of Grief (2009), then we tried to verify its cognitive, emotional and behavioral effects. In addition, after 3 months since the end of the program, we checked to see if the program is maintained. CBT program of this study is composed by focusing self-monitoring, cognitive reframing and problem solving training. For objects of the study, we randomly allocated 10 middle-aged women in their spousal bereavement to each experiment andcontrol groups. The program was conducted twice a week for experimental group, for 120 minutes, with the total of 12 times. Main outcome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automatic thoughts, negative cognitive behavior, and depression have been decreased dramatically for experiment group that compared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while stress coping behavior, social problem resolving ability has been significantly increased. Secondly, for experimental groups that compared results before and after 3 months since the program has meaningfully decreased their automatic thoughts, negative cognitive behavior, depression and anxiety while their stress coping behavior, social problem resolving ability has been considerably increased.

      • KCI등재

        공황장애 기독교인지행동치료 프로그램을 통한 변화과정 연구 : 사례연구를 중심으로

        양정선 한국실천신학회 2020 신학과 실천 Vol.0 No.69

        본 연구의 목적은 공황장애 기독교인지행동치료 프로그램을 통한 변화과정을 확인 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공황장애로 진단받은 기독교인을 대상으로, 기독교인지행동치 료 프로그램에 참여한 맥락에서 공황장애 경험과 변화과정 그리고 결과를 질적 사례 연구 방법으로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공황장애 기독교인지행동치료 프 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자가 개발한 기독교인지행동치료 프로그램은 공황장애 인지행동치료인 MAP(Mastery of Your Anxiety and Panic)을 기독교적 세계관으로 해석하여 수용하고, 기독교적 변화기제 5가지를 사용하여 구성되었다. 이어서 12주간 공황장애 기독교인지행동치료 프로그램을 집단상담으로 실시하였으며, 프로그램에 참 여한 9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다. 프로그램 진행과정에서 회기별 녹취록과 연구 자의 관찰기록지, 프로그램 종료 후 심층 인터뷰를 수행하여 원자료를 구성하였다. 자료는 맥락을 나눈 후 분석하였고, 의미단위, 요약개념, 범주를 구성한 후 이를 경험, 변화과정, 결과로 배열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공황장애 경험은 일상생활의 어려움, 요동치는 감정의 기복, 나락으로 떨어뜨리는 부정적 생각, 벗어나려는 몸부림, 치료의 시행착오이다. 변 화과정은 하나님과 함께하는 치료의 시작, 인격적인 하나님 체험, 부정적 사고를 성경 적 사고로, 새로워진 하나님 이미지, 달라진 하나님과의 관계이다. 결과는 변화를 향 한 도전, 변화된 일상, 새 삶을 향한 소망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에 근거하여 공황 장애 변화과정에 대한 논의와 제언을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process of change through Christian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for Panic Disorder. This study sought to identify the experience, process of change and results of panic disorder through qualitative case studies in the context of participating in Christian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for Panic Disorder for Christians diagnosed with panic disorder. Christian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for Panic Disorder developed by this researcher was composed of five Christian change mechanisms, interpreting and accepting MAP, a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for panic disorder, as a Christian world view. Then a group counseling program was conducted for 12 weeks to treat Christian cognitive behavior with panic disorder, and nine people who participated in the program were selected as research participants. In the course of the program, the source materials were composed by conducting in-depth interviews after the end of the program, including recordings of each session, observational records of researchers. The data were analyzed after dividing the context, organizing the semantics, summary concepts, and categories, and arranging them into experience of panic disorder, process of change, and outcome.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The experience of panic disorder is the difficulties of everyday life, fluctuating emotions, negative thoughts that fall into the abyss, struggle to escape, and trial and error of treatment. The process of change is the beginning of treatment with God, personal experience of God, converting negative thoughts into bible thinking, renewed image of God, and changed relationship with God. The outcome was a challenge to change, a changed routine and a desire for a new life.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discussions and suggestions on the process of changing panic disorder were made.

      • 기독교적 인지행동 프로그램이 기독 중년여성의 비합리적 신념, 심리적 안녕감과 영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최은희,구본용 영곡사회심리발달학회 2021 사회심리발달연구 Vol.2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Christian cognitive behavioral program on the irrational beliefs, psychological well-being and spiritual well-being of middle-aged women in Korea. The research hypotheses are as follows. First, the Christian cognitive behavioral program will reduce the level of irrational beliefs of Christian middle-aged women. Second, the Christian cognitive behavioral program will improve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Christian middle-aged women. Third, the Christian cognitive behavioral program will improve the spiritual well-being of Christian middle-aged women.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an experimental group of seven middle aged women and the program has been conducted once a week for 8 weeks. To confirm the effectiveness of the Christian cognitive behavioral program, we accomplished pre-test and post-test of irrational belief, psychological well-being, and spiritual well-being by using standardized measurement tools. The main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Christian cognitive behavioral program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irrational beliefs of the experimental group. Second, the Christian cognitive behavioral program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the experimental group. Third, the Christian cognitive behavioral program showe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spiritual well-being of the experimental group.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Christian cognitive-behavioral program is effective in lowering the level of irrational beliefs and improving psychological well-being and spiritual well-being of middle-aged women. 본 연구의 목적은 기독교적 인지행동프로그램이 기독 중년여성의 비합리적 신념, 심리적 안녕감과 영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가설을 설정하였다. 첫째, 기독교적 인지행동프로그램은 기독 중년여성의 비합리적 신념의 수준을 감소시킬 것이다. 둘째, 기독교적 인지행동프로그램은 기독 중년여성의 심리적 안녕감을 증가시킬 것이다. 셋째, 기독교적 인지행동프로그램은 기독 중년여성의 영적 안녕감을 증가시킬 것이다. 본 연구대상은 기독 중년여성들로 구성된 실험집단 7명으로 프로그램은 주 1회 8주 과정으로 진행되었다. 기독교적 인지행동프로그램의 효과성을 확인하기 위해 표준화된 측정도구를 사용하여 비합리적 신념, 심리적 안녕감, 영적 안녕감의 사전-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기독교적 인지행동프로그램은 실험집단의 비합리적 신념을 유의하게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기독교적 인지행동프로그램은 실험집단의 심리적 안녕감을 유의하게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기독교적 인지행동 프로그램은 실험집단의 영적 안녕감을 유의하게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기독교 인지행동프로그램은 기독교 중년여성의 비합리적 신념 수준의 감소와 심리적 안녕감, 그리고 영적 안녕감의 증가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역기능적 재무행동 개선을 위한 집단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평가 : 재무치료 접근

        손상희,서원영,박민지 한국소비자정책교육학회 2020 소비자정책교육연구 Vol.16 No.4

        본 연구는 재무치료 접근을 도입하여, 소비통제의 어려움으로 인해 재무문제를 겪고 있는 소비자들의 재무건강 을 증진시키기 위한 4단계 재무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효과를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 프로그램 개발에 있어 서 역기능적 사고를 수정하고 대처방안을 정립하는 데 적합한 방법을 제공하는 인지행동기법을 중심으로 해결중 심 재무치료, 행동변화를 위한 범이론적 모델, 변증법적 행동치료를 차용하였다. 또한 집단기반 프로그램이 역기 능적 재무행동 개선에 유의한 효과를 나타낸 점을 참고하여, 심리교육(psychoeducational) 집단 프로그램으로 구성하였다. 본 교육프로그램은 4단계, 총 6회기로 구성되었다. 1단계 ‘현재 이해하기’는 현재 자신의 재무건강에 대해 이해 하고 변화에 대한 동기를 강화하기 위한 단계이다. 이 단계에서 프로그램에 대한 전체적인 안내를 받고 재무목표 를 설정한다. 2단계인 ‘원인 찾아가기’는 2회기와 3회기로 이루어진다. 2회기에서는 인지행동치료 접근에 기초하 여 돈에 대한 가치나 생각의 근원이 되는 어린 시절 경험을 탐색하고 자신의 돈에 대한 신념을 발견하며, 비합리 적 자동적 사고에 대해 학습한다. 3회기에서는 합리적인 지출과 예산 교육을 받게 된다. 3단계 ‘대처행동 개발하 기’ 는 4회기와 5회기를 포함한다. 4회기에서는 좀더 심화된 인지행동 접근의 내용을 포함하는데, 돈에 대한 핵 심믿음을 찾고 자신의 신념을 평가, 수정해본다. 또한 TTM 행동변화단계에서 본인의 위치를 평가하고, 구매충 동 대처전략을 발굴한다. 5회기에서는 돈과 관련된 감정을 이해하고 이에 대한 대처기술을 배우며, 신용과 부채 관리에 대해서 배운다. 4단계 ‘재무건강 유지하기’는 지난 프로그램을 회고하면서 성취한 바를 장려하고, 프로그 램 이후의 장애물과 어려움에 대비하기 위한 회기로 구성하였다. 프로그램 수행은 3명의 참여자를 대상으로 매주 1회 150분씩 4주간 총 15시간으로 실시되었으며, 양적, 질적 방법으로 그 효과가 검증되었다. 그 결과, 참여자들의 과소비행동과 돈에 대한 역기능적 신념, 재무불안이 감소 되고 지출통제능력, 재무관리행동, 재무안전감, 재무자신감, 재무건강이 증가하는 효과를 나타내었다. 참여자 수 가 적고 통제집단 비교를 하지 못한 점에서 연구의 제한점이 있으나, 한국에서 역기능적 재무행동을 개선하기 위 해 재무치료를 접목한 최초의 프로그램으로서 잠재적인 효과성을 나타내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financial therapy program aimed at improving financial health for Korean consumers with overspending behavior and to evaluate its effectiveness. A group financial therapy program was designed to include both psychoeducation and financial literacy education and it consisted of 6 sessions of 4 steps. Specifically, Step 1: “Understanding the current state” was to understand participants’ current financial health and financial behavior and to increase their motivation for change. Step 2: “Finding the cause” consisted of two sessions: self-understanding through exploring family interactions and childhood experience regarding money and identification of problematic financial beliefs. Financial literacy education about cash flow management, budgeting, and savings was also provided in Step 2. Step 3: “Developing coping behaviors” included two sessions about modifying problematic financial beliefs and behaviors, finding out coping strategies to overcome over-spending behavior, and managing negative emotions related to money. Credit and debt management education were included in Step 3 as well. In Step 4: “Keeping financial health”, which was the last, participants were guided to figure out what they achieved from Step 1, 2, 3. and to identify potential obstacles and future strategies for continuing the behavioral change after the program. The program was conducted once a week for 4 weeks with 3 participants, and each session lasted 2.5 hours.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the financial therapy program in terms of modifying dysfunctional financial beliefs and behaviors, and thereby financial health of the participants, both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methods were used. As for the quantitative method, participants were hypothesized to report significant reductions of financial anxiety and dysfunctional financial beliefs, and significant increases of financial management, financial security, money skills confidence, and overall financial health. The results by paired sample t-tests show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ecreases in dysfunctional financial beliefs and financial anxiety, and increases in financial security, money skills confidence, financial management behavior, and thereby financial health. In the FGI, participants also reported that they have achieved positive results through the program and evaluated the effectiveness of the group program positively. Further research is needed, however, to validate these findings because of the small sample size and a lack of a control group.

      • 사회적 상호작용증진을 위한 인지행동놀이치료 프로그램 사례연구

        박희연(Park, Heeyeon),선우현(Sun, woohyun) 한국인형치료학회 2021 인형치료연구 Vol.7 No.2

        본 연구는 인지행동 놀이치료 프로그램이 아동의 사회적 상호작용 증진에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된 사례연구이다. 초등학교 2학년 남아 2명을 대상으로 주 2회, 총 20회기로 매회기 40분 동안 인지행동 놀이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사전ㆍ사후 부모보고식 사회성숙도 검사를 실시하여 점수 변화를 제시하였고, 사전ㆍ사후 집단협동화를 실시하여 아동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관련된 행동변화를 관찰ㆍ분석하여 제시하였다. 또한 매회기 아동의 사회적 상호작용과 관련하여 나타난 변화를 살펴보았다. 연구한 결과 다음과 같은 사항을 알 수 있었다. 첫째, 인지행동 놀이치료 프로그램 진행 후 사후 검사로 진행된 사회 성숙도 검사결과에서 유의미한 긍정적인 점수 변화가 나타났다. 둘째, 인지행동 놀이치료 프로그램 진행 후 사후 집단 협동화에서 사회적 상호 작용과 관련하여 유의미한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났다. 셋째, 인지행동 놀이치료 프로그램 회기별 관찰과정에서 아동의 사회적 상호작용의 긍정적 변화를 확인하였다. 이를 종합해 볼 때 양적인 변화를 포함한 사례연구결과를 통해 인지행동 놀이치료 프로그램이 아동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is a case study conducted to find out whether cognitive behavioral play therapy programs are effective in promoting children s social interaction. A cognitive behavioral play therapy program was conducted twice a week for two boys in the second grade of elementary school for 40 minutes each session for a total of 20 sessions. Changes in scores were presented by conducting pre- and post-parent reporting social maturity tests, and pre- and post-group cooperation was performed to observe and analyze changes in behavior related to children s social interactions. In addition, the changes in relation to children s social interactions in each session were examined.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following items were found. First, a significant positive change in scores was found in the results of the social maturity test conducted as a post-test after the cognitive behavioral play therapy program.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hange in social interaction in post-group cooperation after the cognitive behavior play therapy program. Third, positive changes in children s social interaction were confirmed in the observation process for each session of the cognitive behavioral play therapy program. Taken together, it was found that the cognitive behavioral play therapy program had a positive effect on children s social interaction through case studies including quantitative changes.

      • KCI등재

        사회 · 정서유능감에 기반한 유아 문제행동 예방프로그램 적용 효과 분석

        지성애(Chi, Sung-Ae)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9 유아교육학논집 Vol.23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ㆍ정서유능감에 기반한 유아 문제행동 예방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유아교육현장 적용 타당성을 검증하는데 있다. 사회ㆍ정서유능감에 기반한 문제행동 예방프로그램의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을 선정하고, 실험집단에는 사회ㆍ정서유능감에 기반한 문제행동 예방프로그램을 처치하였으며, 비교집단에는 갈등문제해결에 기반한 이야기꾸미기중심 문제행동 예방프로그램을 제공하였다. 연구대상의 월령은 72.48개월(SD=3.42)이었고 수집된 연구자료는 t-test를 통해 실험처치의 효과를 비교분석하였다. 사회ㆍ정서유능감에 기반한 문제행동 예방프로그램은 유의미하게 유아의 인지처리능력 중 순차처리와 동시처리 인지능력을 증진시키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사회ㆍ정서유능감에 기반한 문제행동 예방프로그램은 전체 자아존중감과 인지적자아와 정서적자아를 유의미하게 증진시키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본 연구결과는 사회ㆍ정서유능감에 기반한 문제행동 예방프로그램이 갈등문제해결에 기반한 이야기꾸미기 중심 문제행동 예방프로그램보다 유아의 문제행동을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라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Behavioral Problem Preven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 based on social emotional competence" and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program effects.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 ‘Behavioral Problem Preven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 based on social emotional competence", "Behavioral Problem Preven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 based on social emotional competence" was treated to by an experimental group and the Behavioral Problem Preven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 based on story making on conflict problem resolution," was provided as the comparison group.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0 five-year-olds whose mean age is 72.48 months (SD=3.42). To analyze the program effects,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test. As a result, the " Behavioral Problem Preven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 based on social emotional competence" was effective in significantly enhancing the young children"s sequential processing and simultaneous processing skills, which are subcategories of cognitive processing skills. Also, the "Behavioral Problem Preven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 based on social emotional competence" was effective in significantly enhancing the overall sense of self-esteem, cognitive self-awareness, and emotional self-awareness. In conclusion, this study proved that the " Behavioral Problem Preven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 based on social emotional competence" is more effective to prevent young children"s behavioral problems when compared with the " Behavioral Problem Preven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 based on story making on conflict problem resolu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