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영유아교사의 긍정심리자본과 사회적 지지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김경란 영곡사회심리발달학회 2021 사회심리발달연구 Vol.2 No.4

        본 연구는 영유아교사의 긍정심리자본과 사회적 지지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과 경기도 지역에 소재한 어린이집에 근무 중인 영유아교사 429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SPSS 21.0와 AMOS 21.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영유아교사의 긍정심리자본은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영유아교사의 사회적 지지는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를 통해 첫째, 기존의 연구결과와 같이 긍정심리자본과 사회적 지지가 심리적 안녕감에 긍정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둘째, 영유아교사의 심리적 안녕감을 증대시키는 역할을 하는 심리·상담과 사회적 요인에 대한 중요성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영유아교사의 심리적 안녕감을 증진시킬 수 있는 구체적 방안과 대책을 제시하고, 연구의 교육적 시사점과 제한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s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social support on psychological well-being of early childhood teachers using structural relational formulas. Data were collected from 550 early childhood teachers working at daycare center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for two weeks from October 26 to November 6, 2020.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tatistical programs SPSS 21.0 and AMOS 7.0. The summary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sense of self-efficacy and the optimism of early childhood teachers had an effect on the psychological well-being.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social support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had an effect on psychological well-being. In terms of counseling psychotherapy, first,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firmed the necessity of interest in psychological counseling that play a role in increasing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infants and toddlers. Second,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se factors, such as social factors play the positive role in psychological well-being based o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social support. Based on the results on this study, it is suggested that educational programs and policies that can improve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infant teachers will be needed and suggeste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 자연물 탐색에 기초한 미술활동이 영아의 놀이성과 사회정서발달에 미치는 효과

        한은주(EUN-JU HAN) 영곡사회심리발달학회 2022 사회심리발달연구 Vol.3 No.1

        본 연구는 자연물 탐색에 기초한 미술활동이 만 2세반 영아의 놀이성과 사회정서발달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실시되었다. 본 연구의 대상으로 영아 28명을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으로 배정하고, 실험을 처치한 후에 아동의 놀이성과 사회정서발달을 측정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연물 탐색에 기초한 미술활동은 영아의 놀이성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연물 탐색에 기초한 미술활동은 영아의 사회정서발달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는 자연물 탐색에 기초한 미술활동이 영아의 놀이성과 사회정서발달에 미치는 효과를 밝힘으로써 자연물 활용의 가치를 밝히고 영아 미술교육의 기초자료를 제공하였음에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rt activities based on naturel object exploration on playfulness and socio-emotional development of infants. 28 infants of childcare center were assigned as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mparative group. Data were collected from these subjects on the playfulness and socio-emotional develop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art exploratory activities using natural objects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playability of infants. Second, art exploratory playing activities using natural objects had significant effects on socio-emotional development of infant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the value of utilization of natural objects based on the result that art exploration activities using natural objects were effective in playfulness and socio-emotional development of infants and in that it provided basic data for infant art education.

      • 문학적 접근법을 통한 인성교육이 만 4세 유아의 사회성발달과 언어발달에 미치는 영향

        신고은 영곡사회심리발달학회 2020 사회심리발달연구 Vol.1 No.1

        본 연구는 문학적 접근법을 통한 인성교육이 만 4세 유아의 사회성발달과 언어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선정하였다. 첫째, 문학적 접근을 통한 인성교육은 유아의 사회성발달에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문학적 접근을 통한 인성교육은 유아의 언어발달에 영향을 미치는가? 40명의 4세 유아를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배정하고 실험집단에 인성교육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학적 접근법을 통한 인성교육은 만 4세 유아의 사회성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문학적 접근법을 통한 인성교육은 만 4세 유아의 언어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의 이러한 결과는 문학적 접근법을 통한 인성교육으로 유아가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자신의 생각을 타인과 공유하며 인정받고, 상대방을 배려하는 연습을 할 기회가 제공된 효과로 이해할 수 있다. This study sought to find out the effect of personality education through a literary approach on social development and language development of 4-year-old infants. The research targets 40 students at a private D kindergarten, one class out of four-year-olds and one class out of two classes were assigned as a experimental group and the other as a control group.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personality education through the literary approach had a positive effect on social development of a 4-year-old child. Second, personality education through a literary approach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language development of a 4-year-old child. These results can be seen as the effect of literary approach to personality education, understanding the context in a fairy tale book, exchanging ideas with each other, and influencing the context of the book.

      • 문화예술교육이 성인발달장애인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서지윤(Ji-yoon Seo),박종두(Jong-du Park),홍성원(Seong-won Hong),정은희(Eun-hee Jeong),이동민(Dong-min Lee) 영곡사회심리발달학회 2023 사회심리발달연구 Vol.4 No.1

        목적 본 연구는 문화예술교육이 성인발달장애인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방법 2022년 8월 16일부터 2022년 12월 29일까지 J발달장애인평생교육센터 문화예술교육에 꾸준히 참여하며 빨간 강아지, 뭐 어때? 그림책을 제작한 성인발달장애인들 중 본 연구의 취지와 방법에 동의한 4명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통하여 진행하였다. 결과 결과를 보면 첫째, 문화예술교육은 성인발달장애인의 삶의 질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 강점과 즐거움을 높였다. 둘째, 문화예술활동은 성인발달장애인의 삶의 질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 성취감, 자신감 및 자기효능감을 높여 주었다. 마지막으로, 성인발달장애인의 문화예술교육 참여를 높이기 위한 소근육 및 인지 수준 향상 활동 등이 포함될 필요가 있다. 결론 본 연구결과는 성인발달장애인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체계적인 문화예술교육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이상의 결과를 중심으로 성인발달장애인을 위한 문화예술교육 방안을 제언하고 연구의 한계점을 제시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cultural and arts education on the quality of life for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Methods From August 16, 2022, to December 29, 2022, in collaboration with J Lifelong Education Center for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four consenting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ho actively participated in cultural and arts education programs and were involved in the creation of the picture book “Red Puppy, Who Cares?” in line with the objectives and methods of this study. Result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cultural and arts education had a positive impact on enhancing the quality of life for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increasing their sense of enjoyment. Secondly, cultural and arts activities improved the sense of achievement, self-confidence, and self-efficacy, thereby positively influencing the quality of life for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Lastly, activities aimed at improving fine motor skills and cognitive levels should be included to enhance the participation of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cultural and arts education. Conclusions The findings of this study highlight the need for systematic cultural and arts education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for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Based on these results, suggestions for cultural and arts education approaches for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 provided, along with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 식재료 감각탐색활동이 만 2세반 영아의 사회정서발달과 놀이성에 미치는 효과

        이은경 영곡사회심리발달학회 2021 사회심리발달연구 Vol.2 No.3

        본 연구는 식재료 감각탐색활동이 만 2세반 영아의 사회정서발달 및 놀이성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이를 위하여 만2세반 영아 28명을 표집하여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에 14명씩을 할당하였다. 본 연구는 영아의 사회정서발달과 놀이성을 측정하기 위해 사회정서발달 평정척도와 아동의 놀이성 척도를 사용하였고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차이검증을 위해 독립 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식재료 감각탐색활동은 영아의 사회정서발달에 유의미한 긍정적 영향을 주었다. 둘째, 식재료 감각탐색활동은 영아의 놀이성에 유의미한 긍정적 영향을 주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식재료 감각탐색활동이 만 2세반 영아의 사회정서발달과 놀이성 증진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나타낸다. 본 연구의 결과는 유아교육현장에서 감각탐색활동의 교육적 가치와 중요성을 시사한다. 따라서 교육현장에서 다양한 식재료를 활용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함으로써 영아의 사회정서발달과 놀이성, 더 나아가 전반적인 발달에 긍정적인 효과를 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ensory exploration activities with food ingredients on social emotional development and playfulness of children aged 2 years or older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Twenty-eight children aged 2 years or older in B-nursery school and D-nursery school located in S-City. Fourteen children in the B-nursery school were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Fourteen children in the D-nursery school were assigned to the comparative group.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16.0 Win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ensory exploration activity using food ingredients was effective on the development of social emotions of the toddlers in two-year old class. Second, the sensory exploration activity using food ingredients was effective on infant playfulness of the toddlers in two-year old clas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food sensory exploration activities have a positive effect on social emotional development and the playfulness of the toddlers in two-year old class. Based on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the educational value and importance of sensory exploration activitie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field and develop and apply programs using various food ingredients continuously.

      • 초등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유발사건과 심리적 소진의 관계에서 지각된 스트레스, 사회인지적 마음챙김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미치는 영향

        이충자(Choung-ja Lee) 영곡사회심리발달학회 2023 사회심리발달연구 Vol.4 No.2

        목적 본 연구는 초등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유발사건과 심리적 소진과의 관계에서 지각된 스트레스, 사회인지적 마음챙김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이 연구의 대상자는 경기지역 S시, H시, E시와 충청남도 A시, 강원도 C시 소재 초등교사 412명이었고, 자료 수집은 직접수집과 우편수집 방식으로 하였으며, IBM SPSS 프로그램과 AMOS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무스트레스 유발사건와 심리적 소진의 관계에서 지각된 스트레스는 매개효과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무스트레스 유발사건과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인지적 마음챙김은 매개된 조절효과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직무스트레스 유발사건과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에서 스트레스 대처방식은 조절된 매개효과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는 직무스트레스 유발사건과 지각된 스트레스가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사회인지적 마음챙김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감소시킬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한 의미가 있다. 이러한 결과는 초등교사가 사회인지적 마음챙김과 스트레스 대처 전략을 꾸준히 훈련한다면 직무수행에서 겪는 어려운 상황을 지혜롭게 해결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초등교사의 소진을 예방하거나 경감하는 방법으로 교사교육에서 사회인지적 마음챙김의 프로그램을 포함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how perceived stress, social-cognitive mindfulness, and stress coping strategies influence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ors and psychological burnout among elementary school teachers. Methods The study involved 412 elementary school teachers from S, H, and E cities in Gyeonggi Province, as well as A city in Chungcheongnam-do and C city in Gangwon-do. Data collection was carried out through direct and mail surveys.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IBM SPSS and AMOS programs. Results The main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perceived stress showed a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ors and psychological burnout. Secondly, social-cognitive mindfulness exhibited a mediating and moderating effect on the impact of job stressors on psychological burnout. Thirdly, stress coping strategies displayed a moderated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ors and psychological burnout. Conclusions This research holds significant importance in confirming that social-cognitive mindfulness and stress coping strategies can mitigate the negative impact of job stressors and perceived stress on psychological burnout among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ese results suggest that consistent training in social-cognitive mindfulness and stress coping strategies can enable teachers to adeptly navigate challenging situations in their professional duties. Integrating programs on social-cognitive mindfulness into teacher education is crucial in preventing or alleviating burnout among elementary school teachers.

      •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정서조절양식이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

        김옥향(Ok-Hyang Kim),구본용(Bon-Young Khu) 영곡사회심리발달학회 2022 사회심리발달연구 Vol.3 No.1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정서조절양식이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인지적 마음챙김의 조효절과를 확인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경기지역에 근무하는 보육교사 418명을 대상으로 직무스트레스, 정서조절양식, 심리적 소진과 사회인지적 마음챙김을 측정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직무스트레스, 정서조절양식과 사회인지적 마음챙김은 심리적 소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정서조절양식은 직무스트레스와 심리적 소진에 매개효과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직무스트레스와 능동적 정서조절양식이 보육교사의 심리적 소진 간에 사회인지적 마음챙김의 조절된 매개효과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직무스트레스가 보육교사의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회피분산적 정서조절양식이 매개하였고, 사회인지적 마음챙김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보육교사가 지각하는 직무스트레스와 회피분산적 정서조절양식으로 인해 경험하는 심리적 소진을 사회인지적 마음챙김이 조절함으로 심리적 소진을 완화시키는 역할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의가 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보육교사가 사회인지적 마음챙김을 꾸준히 훈련한다면 보육교사로서 그들이 직면하는 문제를 적응적인 방법으로 해결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whether socio-cognitive mindfulness can influence the effect of job stress and emotion regulation styles on psychological burnout of child care teachers. For this purpose, data was collected from 418 nursery teachers who work at daycare centers in Gyeonggi-do on TJS, ERS, SCM and PBU which then were analyzed correlation and regression.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ly job stress, emotion regulation styles and socio-cognitive mindfulness were related to psychological burnout. Second, emotion regulation styles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psychological exhaustion were related to psychological burnout. Third, although there was no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socio-cognitive mindfulness between job stress, active emotional regulation style and psychological burnout of child care teachers,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socio-cognitive mindfulness were found. Based on these results, we suggest that if child care teachers continue to train socio-cognitive mindfulness, they can adaptively solve the stress compare to the previous method of coping with the avoidant and distributed emotional regulation method when performing their duties as child care teachers.

      • 개인-환경 합치와 심리적 소진의 관계에서 조직몰입의 매개효과

        장혜선,안귀여루 영곡사회심리발달학회 2020 사회심리발달연구 Vol.1 No.2

        본 연구는 개인-환경 합치가 심리적 소진에 영향을 주는지를 검토하고, 이 변인들 간의 관계를 조직몰입이 매개하는지를 알아보고자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미네소타 직업가치관 검사(MIQ), 심리적 소진 척도(MBI)와 직무몰입 척도(OCQ)로 질문지를 구성하여 국내의 직장인을 대상으로 온라인 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 중 불성실한 응답을 제외하여 265명의 자료가 분석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환경 합치는 심리적 소진에 부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개인-환경 합치는 조직몰입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조직몰입은 심리적 소진에 영향을 미쳤다. 셋째, 조직몰입이 개인-환경 합치와 심리적 소진의 관계에서 부분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개인-환경 합치가 직장인의 심리적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일 뿐만 아니라, 매개변인인 조직몰입 역시 직장인의 심리적 소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는 진로상담과 직업상담에서 직업의 선택과 적응을 돕는 데 있어서 개인과 환경의 특성 및 가치관의 합치 여부를 고려해야 할 필요성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environment fit and burn-out and the mediating effect of commitment to organization between two variables. Data were collected from 265 participants in various occupations on MIQ, MBI and OCQ which then were analyzed using correlation and regression. statistics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person-environment fit negatively related to burn-out. Second, person-environment fit positively related to commitment to organization, and commitment to organization negatively related to burn-out. Third, commitment to organization had partially mediated effect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person-environment fit and burn-out. From these results, it could be suggest that we have to consider person-environment fit in career counseling and job counseling.

      • 유아교육 전공 대학원생 엄마의 어려움

        김민정(Min Jeong Kim) 영곡사회심리발달학회 2022 사회심리발달연구 Vol.3 No.1

        본 연구는 유아교육을 전공으로 하여 대학원에 재학하며 자녀의 양육을 병행하는 참여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학업과 양육을 병행하며 느끼는 어려움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참여자 면담은 코로나 19의 특수한 상황으로 인해 비대면 전화면담으로 1, 2, 3차에 걸쳐 이루어졌다. 연구의 결과로 참여자가 느끼는 어려움은 크게 물리적 어려움과 심리적 어려움으로 구분하여 나타나고 있었으며, 물리적 어려움에는 대리양육 과정의 어려움, 신체적 어려움, 시간적 어려움으로 나타났으며, 심리적 어려움에는 아이에 대한 걱정과 미안함, 교육신념과 양육현실의 괴리, 학업에 대한 조바심과 불안함, 두 가지 선택에 대한 자책감으로 나타났다. 엄마 대학원생이 느끼는 어려움과 부담의 가중을 감소시키기 위해 학업과 육아 양립에 대한 관심과 지원과 대학원생 엄마에 대한 모성비난과 전통적인 인식의 개선, 부담을 덜어줄 정서적 상담 지원이 필요하다. This study targeted participants who attended graduate school majoring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raised their children at the same time, and attempted to examine the difficulties they felt while studying and raising their children at the same time. Participant interviews were conducted over the first, second, and third times through non-face-to-face phone interviews due to the special situation of COVID-19.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difficulties felt by the participants were largely divided into physical and psychological difficulties, physical difficulties, and temporal difficulties. In order to reduce the difficulties and burdens felt by mother graduate students, interest and support for both academic and parenting are needed, improvement of maternal criticism and traditional perceptions of graduate students' mothers, and emotional counseling support to ease the burden on them.

      • 대학 생활 적응 향상을 위한 방안 연구

        박광엽(Kwang-Yup Park) 영곡사회심리발달학회 2023 사회심리발달연구 Vol.4 No.2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satisfaction and adaptation to college life among current university students amid significant challenges such as declining student populations and increased dropout rates. Methods The adaptation of university students was measured through satisfaction levels, adaptation, class satisfaction, class participation, and considerations of dropping out or taking a leave of absence. Factors influencing these aspects, such as goal setting, club activities, peer relationships, support from seniors, and communication with professors, were also measured. Results It was observed that as university students set specific goals for their future, they adapted well to university life, exhibited higher satisfaction levels, and were less inclined to consider dropping out or taking a leave of absence. Furthermore, the study identified variations in university adaptation and satisfaction based on the level of social support types during college life, such as engagement in club activities, peer relationships, support from seniors, and communication with professors. Active participation in club activities, close relationships with peers, receiving support from seniors, and engaging in effective communication with professors correlated with better university adaptation and higher satisfaction levels. Students who received ample social support adapted well to university life, exhibited higher satisfaction levels, and were less likely to consider dropping out or taking a leave of absence. Conclusions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ions were made regarding efforts required to enhance students' adaptation and satisfaction within university settings. 목적 본 연구는 학령인구 감소와 대학생들의 중도탈락 증가 등 대학이 처한 큰 위기 상황에서 대학에 재학 중인 학생들이 대학생활에 만족하고 적응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방법 대학생들의 대학적응을 만족도, 적응도, 수업만족도, 수업참여도, 자퇴나 휴학 고려로 측정하였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목표설정, 동아리 활동, 동료관계, 선배들의 지원, 교수와의 소통에 대해 측정하였다. 결과 대학생들이 미래에 대한 구체적인 목표를 설정할수록 대학에 잘 적응하고 만족도가 높으며, 자퇴나 휴학을 생각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학생활에서 사회적 지지 유형, 즉 동아리 활동, 동료관계, 선배들의 지원, 교수와의 소통 정도에 따라 대학적응과 만족도가 다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동아리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학생들, 동료들과 관계가 친밀한 학생들, 선배로부터 도음을 많이 받는 학생들, 교수와 소통이 많은 학생들이 대학에 적응을 잘하고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지지를 많이 받는 학생들이 대학에 잘 적응하고 만족도가 높으며 자퇴나 휴학을 고려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에 기초하여 대학에서 학생들의 적응과 만족도 향상을 위해 어떤 노력이 필요한지를 제안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