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유통경로 관계에서 영업사원의 조직지원 인식이 직무만족과 고객에 대한 공감에 미치는 영향

        편해수 한국경영컨설팅학회 2015 경영컨설팅연구 Vol.15 No.4

        최근 유통경로상에서 기업간 거래관계에 많은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기업들은 고객과의 장기적인 거래 관계를 구축하고 발전시키기 위하여 관계마케팅을 도구로 사용하고 있는데, 이는 고객과의 장기적인 관계가 고객 만족, 충성도, 긍정적 구전, 수익 증대와 같은 다양한 가치를 창출하기 때문이다. 기업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가치에 고객이 만족하고, 고객과 기업의 장기적이고 수익성 있는 관계를 구축하는 면에서 중요한 역할을 차지하는 대상이 바로 영업사원과 같은 서비스 제공자이다. 그래서 고객과의 접점에서 기업을 대표하여 활동하는 영업사원에 대한 관리가 점차 주요한 이슈로 떠오르고 있다. 영업사원이 고객과의 접점에서 가치를 제공함으로써 경쟁사와 차별화된 경쟁력을 갖추게 하는 면에서 중요하게 고려할 수 있는 개념이 고객에 대한 공감이다. 공감은 자신과 타인간의 상호관계를 타인의 관점에서 이해하려는 심리적 과정으로써, 타인의 생각과 경험을 자신이 경험한 것처럼 내적인 경험을 재생하는 것이며, 타인의 감정을 공유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고객을 공감하기 위해서는 우선 영업사원이 자신의 직무에 만족하여 내면상태가 준비되어 있어야 한다. 이러한 추세를 반영하듯 영업사원을 만족시키고 성과를 제고하기 위한 연구들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그리고 개별적인 영업사원의 만족과 성과제고를 위하여 금전적 보상, 복지후생 등과 관련된 인지적 요인뿐만이 아니라 영업사원의 정서적, 심리적 요인을 고려하는 연구의 필요성을 언급하고 있다. 이와 같이 조직의 성공적인 목표달성을 위해서는 조직 구성원들이 자신의 역할을 잘 수행하는 것은 물론이고, 조직에서 공식화 할 수 없는 내용의 업무들에 대한 구성원들의 추가적인 노력도 충실히 수행하는 것이 중요하다. 하지만 기업간 경쟁이 강화되면서 구성원에 대한 조직의 지원과 배려가 부족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구성원들의 추가적인 노력을 기대하기 어려울 수도 있다. 이런 관점에서 사회적 교환 이론에 근거한 조직지원 인식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지금까지 조직지원 인식에 대한 기존 연구는 선행요인과 결과요인을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직무 만족, 인지적 공감, 정서적 공감간의 구조적 관계를 실증함으로써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기존 조직지원 인식, 직무 만족, 공감 등에 대한 연구를 토대로 가설을 도출하였고, 식품 제조업체의 영업사원을 대상으로 영업사원이 지각하는 조직지원, 직무 만족, 인지적 공감, 정서적 공감에 대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설문을 토대로 신뢰성, 타당성 분석을 실시하고, 공분산 구조분석을 통해 가설을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조직지원 인식이 직무 만족과 인지적 공감에 미치는 영향, 직무 만족이 인지적 공감에 미치는 영향, 인지적 공감이 정서적 공감에 미치는 영향 등 본 연구에서 제시한 모든 가설이 지지되었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의의를 갖는다. 첫째, 조직지원 인식이 직무 만족과 인지적 공감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하였다는 점이다. 이를 통해 조직지원 인식과 직무 만족, 인지적 공감과의 관계를 밝히고 결과요인을 확장하였다. 둘째, 직무 만족이 인지적 공감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하였다는 점이다. 셋째, 인지적 공감이 정서적 공감에 미치는 영향을 유통경로의 기업간 거래관계에서 확대하여 검증하였다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한계점과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High and growing levels of company investment in salesforecs and salespeople, and the escalating importance of effectively managing business-to-business customer relationships have mandated the interest of scholars and executives in methods of achieving higher levels of salesperson performance. Some researchers proposed that to meet needs for approval, affiliation, and to judge the organization’s readiness to reward increased effort, employees form a general belief regarding the extent to which the organization thinks highly of their contributions and promotes their welfare. But, there in no prior research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and empthy. So, this research aimed to establish and test an empirical model for the effects of perceived organizatonal support on job satisfaction and empathy in channel relationships. For this purpose, I described perceived organizatonal support, empahty based on related literature review and four hypotheses were drawn from the previous researches. To verify these hypotheses, 234 data were collected as samples, and the data were tested by reliability test,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The overall implications to researchers and practitioners are presented, and limits and further study direction were discussed as a final.

      • KCI등재

        재생건축 레스토랑의 물리적 환경, 인지적 만족, 감정적 만족, 재방문의도, 추천의도와의 관계 연구

        김나형(Kim, Na-Hyung) 한국식공간학회 2018 식공간연구 Vol.13 No.1

        본 연구는 재생건축 레스토랑의 물리적 환경과 인지적 만족, 감정적 만족, 재방문 의도, 추천의도와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재생건축 레스토랑에 1회 이상 방문한 소비자를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첫째, 재생건축 레스토랑의 물리적 환경과 인지적 만족과의 인과관계를 분석한 결과 물리적 환경의 콘셉트 요소는 인지적 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지만 물리적 환경의 주변 요소, 디자인 요소, 사회적 요소는 인지적 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주지 않았다. 둘째, 재생건축 레스토랑의 물리적 환경과 감정적 만족 간의 인과 관계를 분석한 결과 물리적 환경의 콘셉트 요소와 주변 요소는 감정적 만족에 영향을 주었으며, 물리적 환경의 디자인 요소와 사회적 요소는 감정적 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주지 않았다. 셋째, 인지적 만족·감정적 만족과 재방문 의도와의 인과관계를 분석한 결과 인지적 만족과 감정적 만족은 재방문 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다. 넷째, 인지적 만족·감정적 만족과 추천의도간의 인과관계를 검증한 결과 인지적 만족과 감정적 만족은 추천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다. 고객의 욕구가 다양해짐에 따라 비슷한 욕구를 가진 사람들을 하나의 시장으로 분류하여 소비자의 욕구에 맞 는 효율적인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는 시장 세분화가 중시되고 있는 시점에 새롭게 등장한 재생건축 레스토랑에 대한 연구는 마케팅 방향성을 제시해 줄 뿐 아니라 향 후 운영에 필요한 유용한 정보와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how the physical environment of regenerative architecture restaurants affects cognitive satisfaction, emotional satisfaction, revisit intentions and recommendation intentions of the customers and its data for research was acquired from consumers who visited those restaurants at least once. It found out that the element of concept in the physical environment had a significant impact on cognitive satisfaction while its surroundings, design or social elements did not after a causal analysis. Next, the concept and surroundings elements had an impact on emotional satisfaction unlike design and social elements in the analysis of causal relations between the physical environment and emotional satisfaction. Third, cognitive and emotional satisfaction did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revisit intention and they also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revisit intentions. As customers have varying desires over time, market segmentation is critical in that categorizing customers with similar desires in the market and building more efficient marketing strategies for their desires. This study on the newly emerging regenerative architecture restaurants might not only offer some guidelines on the marketing directions but also provide data to use for operation and implication to consider in the future.

      • KCI등재

        이동통신사의 서비스품질과 만족 및 서비스충성도 관계에서 감정적만족과 서비스명성의 인과적 역할

        최철재(Chul-Jae Choi),박승환(Seung-Whan Park) 한국콘텐츠학회 2009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9 No.6

        본 연구는 이동통신사를 대상으로 서비스품질 구성차원과 감정적만족, 인지적만족, 서비스명성 및 서비스충성도 간의 경로상의 관계를 검증함으로써 감정적만족과 서비스명성의 인과적 역할을 확인하였다. 분석결과, 서비스품질 구성차원인 확신품질은 인지적만족과 감정적만족 모두에게 영향을 주지 않았지만, 유형품질은 인지적만족에 더 많은 영향을 준 반면 대응품질은 감정적만족에 더 많은 영향력을 줌으로써 서비스품질차원에 따라 인지적만족과 감정적만족의 중요도가 달라짐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서비스품질과 인지적만족 간의 관계에서 감정적만족이 매개됨을 검증하였다. 또한 서비스품질에 대한 만족의 서비스충성도에 대한 직접적 영향력보다는 서비스명성을 통한 영향력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나 만족과 서비스충성도 간에 서비스명성이 매개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서비스품질을 통한 서비스충성도 구축을 위해서는 서비스품질 차원에 따라 감정적만족을 유도함으로써 인지적만족을 형성하여야 하며, 만족한 고객에게도 서비스명성을 높임으로써 강력한 서비스충성도을 이루어야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dentify the causal role both emotionally based satisfaction and service reputation by examining the relationships among each dimensions of service quality, cognitive satisfaction, emotionally based satisfaction, service reputation and service loyalty in mobile telecommunication company.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conviction quality had not influence on both cognitive satisfaction and emotionally based satisfaction, but tangibles quality had more influence on cognitive satisfaction than emotionally based satisfaction and responsiveness quality had more influence on emotionally based satisfaction than cognitive satisfaction. It fou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dimensions of the service quality, cognitive satisfaction and emotionally based satisfaction, and dimensions of the service quality affect satisfaction either directly or indirectly through emotion. Second, consumer satisfaction had more effect on service loyalty through service reputation than direct effect. Therefore, service loyalty can be build by increasing emotionally based satisfaction and service reputation to customer who is perceived as good service.

      • KCI등재

        노인의 삶의 만족도의 주관적 영향요인

        박성복 한국정부학회 2012 한국행정논집 Vol.24 No.4

        이 논문은 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관적 영향요인들을 밝혀내고 나아가 그 영향요인들 간 및 삶의 만족도와의 인과구조를 실증적으로 분석한 연구이다. 우선 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추정되는 요인들로서 9개의 생활영역별 만족도와 2개의 심리적 차원의 만족도를 설정하였다. 9개의 생활영역들은 건강생활, 경제생활, 근로생활, 여가생활, 가족생활, 주거생활, 근린생활, 사회관계, 그리고 공 적보장 등이다. 2개의 심리적 차원은 인지적 측면과 정서적 측면이다. 인과구조에 대해서는 앞서 언급한 9 개의 생활영역별 만족도가 독립변수들로서 종속변수인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되 직접적인 영향경로뿐 만 아니라, 인지적 만족도와 정서적 만족도라는 2개의 심리적 차원의 만족도를 매개로 한 간접적인 영향경로도 갖는다는 가정을 하였다. 이러한 가정들을 토대로 경로모형을 설정하여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직·간접 경로들에 관련된 가설들을 검증하였다. 검증결과 첫째, 9개의 생활영역들 중 근린생활만족도와 공적보장만족도를 제외한 7개의 생활영역들에 대 한 만족들이 인지적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9개의 생활영역들에 대한 만족도 모두 가 정서적 만족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9개의 생활영역들에 대한 만족도 모두가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인지적 만족도가 정서적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며, 그리고 인 지적 만족도와 정서적 만족도 모두가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건강생활만족 도, 경제생활만족도, 근로생활만족도, 여가생활만족도, 주거생활만족도, 사회관계만족도 등은 정서적 만족도 보다 인지적 만족도에 더 큰 영향을 미치며, 가족생활만족도, 근린생활 만족도, 공적보장만족도 등은 정서적 만족도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총효과의 크기는 주거생활 만족도, 인지적 만족도, 근로생활만족도, 정서적만족도, 가족생활만족도, 경제생활만족도, 여가생활만족도, 사회관계만족도, 건강생활만족도, 근린생활만족도, 그리고 공적보장만족도의 순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대학생의 학업만족과 학습 성과에 관한 실증연구: 셀프리더십과 교수에 대한 인지적, 정서적 신뢰를 중심으로

        최석봉 ( Suk Bong Choi ),임명서 ( Myung Suh Lim ) 한국고객만족경영학회 2012 고객만족경영연구 Vol.14 No.3

        본 연구는 대학생 개인의 잠재적 역량차원에서 셀프리더십이 학업 만족도와 나아가서 학습 성과와의 관계를 실증분석 하였다. 특히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관점에서 학습 성과에 대한 기존연구와 차별화 하여 의미 있는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첫째, 학습 성과의 선행변수를 학업만족을 제안하고, 학생 자신의 셀프리더십에 대한 중요성이 점점 강조되고 있음으로 셀프리더십과 학업만족과의 관계를 검증하였다. 둘째, 교수에 대한 신뢰의 중요성이 일부연구에서 검증되었지만, 보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신뢰를 인지적, 정서적 신뢰로 구분하여 셀프리더십과 학업만족의 관계에서 교수에 대한 인지적 정서적 신뢰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통하여 학생들의 셀프리더십과 학업만족간의 관계에 있어 교수신뢰의 역할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학업만족은 종국적으로는 학생들의 학습 성과에 미치는 영향이 클 것으로 가정하여 이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서울 수도권, 충청, 영남에서 159명의 대학생의 응답을 수집했으며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하여 검증하였다. 본 연구결과 대학생의 셀프리더십은 교수 신뢰(인지적 신뢰, 정서적 신뢰)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교수신뢰 역시 선행연구의 결과대로 학업만족에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업만족은 학습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이 있음이 검증되었다. 본 연구는 이론적으로 대학생들이 학습 성과를 제고에 있어서 셀프리더십과 교수신뢰 그리고 학업만족도가 어떻게 작용하는지에 대한 새로운 모형을 제시하여 학습 성과에 대한 기존연구를 확장하였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시사점과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This paper conducted empirical investigation on relationship of the self-leadership as undergraduate student potential capability to learning satisfaction and learning performance. In particular, this study is so differentiated from the previous research in the following aspects as to derive the meaningful implication on learning performance. First, reorganizing the significance of self-leadership in undergraduate student, we suggest that self-leadership is an important antecedent of learning outcome. Second, we have classified trust on faculty concept into two types which are cognitive and affective trust and examine the mediating role of thes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 leadership and learning satisfaction and learning outcome. Finally, we also explore whether learning satisfaction eventually contribute to learning outcome. Based on survey data from 159 university students in Korea, we found that self-leadership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both cognitive and affective faculty trust and the learning satisfaction. Our empirical analysis also shows that faculty trust have positive influence learning satisfaction. In addition, we suggested the high level of learning satisfaction would improve learning outcome and our empirical result supported this hypothesis. Our study extends the prior learning outcome research by developing alternative model, introducing self leadership and trust concept as an antecedent of learning performance. We discuss the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for self-leadership and learning performance research with future research agenda.

      • KCI등재

        인지적 유연성이 중․고등학교 교사의 직업 및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이은설,신윤정 한국심리학회산하학교심리학회 2017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Vol.14 No.2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was to investigate direct and indirect effect of cognitive flexibility on job and life satisfaction using a sample of Korean secondary school teachers. To do so, we applied Lent and Brown’s(2006, 2008) Social Cognitive Career Theory of Well-being. Specifically, we considered cognitive flexibility as personal trait variable, supervisory support as environmental support component, teachers’ self-efficacy and outcome expectation as person cognitive components and examined relationships among these variables and job and life satisfaction. Participants of study was 219 teachers working in middle and high schools in Seoul and Kyounggi area. We use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o test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variables as well as direct and mediating paths. The result suggested that the hypothesized model provide a good fit to the data and 9 hypothesized paths of variables were found as significant. As hypothesized, job satisfaction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overall life satisfaction, and cognitive flexibility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job satisfaction via supervisory support, teachers self-efficacy, outcome expectation. Also, a direct path between cognitive flexibility and overall life satisfaction and indirect paths via supervisory support, teachers self-efficacy, outcome expectation, and job satisfaction were significant. Based on these results, we discussed implications for counseling and educational interventions that enhance teachers’ job and life satisfaction. Finally, we discussed limitations of the present study and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본 연구는 Lent와 Brown(2006, 2008)의 사회인지진로이론의 삶의 만족 모형을 바탕으로, 중․고등학교 교사들의 직업 및 삶의 만족에 미치는 개인 내․외적 요인들 간의 관계를 탐색해보았다. 구체적으로, 개인내적인 요인으로 문제의 지각과정 및 해결과정에서 대안을 제시하고 이를 유연하게 적용하는 역량인 인지적 유연성을 설정하는 한편, 환경적인 요인으로 상사의 지지, 사회인지적인 변인으로 교사 자기효능감과 결과기대를 설정하여 이들이 직업만족 및 삶의 만족과 갖는 구조적 관계를 검증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 및 경기 지역의 중․고등학교 교사 219명이었고 이론 모형의 적합성 및 변인 간 직․간접적인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Lent와 Brown(2006, 2008)에 기초한 연구 모형이 연구대상인 한국 교사들의 자료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고, 가정한 12개의 경로 중 3개의 경로를 제외한 경로들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예상했던 대로 직업만족은 전반적인 삶의 만족과 정적인 연관성을 보였고, 인지적 유연성은 직업만족에 상사지지, 교사 자기효능감, 결과기대를 통해 유의미한 정적 관련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인지적 유연성에서 전반적인 삶의 만족에 이르는 직접경로와 상사지지, 교사의 자기효능감, 결과기대, 직업만족을 통한 간접경로가 유의미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 중․고등학교 교사들의 직업만족 및 삶의 만족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는 상담 및 교육적 개입에 대한 함의를 논의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을 바탕으로 후속 연구에 대해 제언하였다.

      • KCI등재

        점포이미지와 충성도 관계에서 인지적 만족과 감정적 만족의 역할

        최철재(Chul-Jae Choi) 한국콘텐츠학회 2009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9 No.10

        본 연구에서는 백화점을 대상으로 상품이미지, 점포환경이미지, 판매원서비스이미지, 촉진활동이미지, 물리적시설이미지, 사후서비스이미지 등 점포이미지 구성요인과 인지적만족, 감정적만족 및 충성도 간의 경로상의 관계를 검증하고 만족의 역할을 확인하였다. 분석결과, 선행연구에서 점포이미지가 충성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거나 혹은 만족을 통해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지만 본 연구에서는 점포이미지 구성요인에 따라서 인지적만족, 감정적만족, 충성도에 각기 다르게 영향을 미침을 확인하였다. 즉 상품이미지와 물리적시설이미지는 인지적만족에, 판매원서비스이미지와 사후서비스이미지는 감정적만족에 그리고 촉진활동이미지는 두 변수 모두에게 영향을 주었으며, 점포환경이미지는 직접적으로 충성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판매원서비스이미지, 촉진활동이미지 및 사후서비스이미지 등 서비스와 관련된 점포 이미지는 감정적만족를 매개하여 충성도를 구축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고객에게 점포이미지를 형성하여 충성도를 가져오기 위해서는 점포이미지 구성요소를 기능적속성과 심리적속성으로 분리하여 만족을 유도하여야 하며 궁극적으로 충성도를 형성하는 변수들을 중심으로 점포이미지를 형성해야 할 것이다. This paper is to identify how merchandise quality, store environment, personnel service, sales promotion, store amenities and supporting service which is considered to store image components influence on satisfaction and loyalty and examine the role of satisfaction in explaining relationships between store image and loyalty.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each components of store image influence on cognitive satisfaction or emotionally based satisfaction or loyalty. (2) merchandise quality and store amenities have influence on cognitive satisfaction and emotionally based satisfaction is affected by personnel service and supporting service, but store environment has directly influence on loyalty. (3) store image components that is concerned with service in the store e. g. personnel service, supporting service build customer loyalty by mediating emotionally based satisfaction. In order to build strong customer loyalty, marketer have to formed through store image components that is much stronger on loyalty.

      • KCI등재

        대학생의 Egogram 성격특성과 인지적 삶의 만족과의 관계: 긍정적․부정적 정서의 매개효과 검증

        강영걸,김종호 한국상담학회 2009 상담학연구 Vol.10 No.1

        This study aims to examine how personality characteristics of college student identified by Egogram related to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The study uses mediation effect test procedure by Baron and Kenny(1986) to identify how personality characteristics Egogram affect subjective well-being. Also based upon the result, it verifies its path model. For the study, a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o 681 college students (male 307; female 374) in Daegu of Gyungbuk Province. The questionnaire was designed to ask their Egogram(K-KSEG) scale, Satisfaction With Life Scale(SWLS) and Positive and Negative Affect Schedule(PANAS). The survey found followings: First, personality characteristics of Egogram have positive effects to satisfaction with life by mediation of positive and negative affect. All characteristics have an effect to satisfaction with life through mediation of positive and negative affect. Especially, NP gives a direct effect to satisfaction with life(β=.17). Second, positive and negative affect is correlated with satisfaction with life. In particular, positive affect shows a higher correlation coefficient and path coefficient in relation to satisfaction with life. Third, the study found among personality characteristics in Egogram A and FC are variables predicting positive affect. On the other hand, CP and AC are variables predicting negative affect. Further, those characteristics showed a slight gender difference. Those findings supports that subjective well-being is determined by stable inner-self properties, and NP, A, FC are important variable that may contribute to improving satisfaction with life and positive and negative affect. 본 연구는 대학생의 Egogram 성격특성과 인지적 삶의 만족과의 관계를 알아보려는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Egogram 성격특성이 긍정적․부정적 정서를 매개로 인지적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Baron과 Kenny (1986)의 매개효과 검증절차를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경로모형을 검증하였다. 연구대상은 대구․경북에 소재하고 있는 5개 대학의 대학생 681명(남학생 307명, 여학생 374명)이며, 이들을 대상으로 Egogram(K-KSEG)척도, 인지적 삶의 만족척도(SWLS), 긍정적·부정적 정서척도(PANAS)를 이용하여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Egogram 성격특성은 긍정적․부정적 정서를 매개로 인지적 삶의 만족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때, 모든 자아상태는 긍정적․부정적 정서를 매개로 인지적 삶의 만족에 영향을 주고 있었으나, NP는 인지적 삶의 만족에 직접적인 효과(β=.17)도 주고 있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둘째, 긍정적·부정적 정서는 인지적 삶의 만족과 관련이 있었으며, 이때 부정적 정서보다 긍정적 정서가 인지적 삶의 만족과 상관계수 및 경로계수가 더 크게 나타났다. 셋째, Egogram 성격특성 중 긍정적 정서를 예언하는 주요 변인은 A와 FC로 분석되었고, 부정적 정서를 예언하는 주요 변인은 CP와 AC로 분석되었다. 또한 긍정적 정서와 부정적 정서를 예언하는 Egogram 성격특성은 성별로 다소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는 주관적 안녕감이 비교적 안정적인 내적 속성에 의해 결정된다는 사실을 지지하였으며, Egogram 성격특성 중 NP, A, FC의 활성화는 인지적․정서적 안녕감을 증진시킬 수 있는 중요 변인임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후보

        가발착용 소비자들의 소비가치가 인지적 만족과 정서적 만족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이혜경 ( Hye-kyoung Lee ),권기형 ( Gi-hyoung Kwon ) 한국미용예술경영학회 2021 미용예술경영연구 Vol.15 No.1

        본 연구는 가발제품에 대한 소비가치를 구체적으로 파악하고 인지적 만족과 정서적 만족 및 가발 구매의도와의 영향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검증을 실시하였다. 조사대상자는 가발(패션가발, 부분가발, 전체가발, 피스형 가발 등)착용 경험이 있는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2021년 1월 2일부터 1월 31일 까지 온라인을 통해 자기기입식 설문을 실시하여 288부의 자료를 최종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가발제품에 대한 소비가치는 기능적 가치, 감정적 가치, 진귀적 가치, 사회적 가치, 상황적 가치의 5요인이 도출되었다. 소비가치와 인지적 만족과의 관계에서는 기능적 가치를 제외하고 사회적 가치, 상황적 가치, 진귀적 가치, 감정적 가치 순으로 인지적 만족이 증가하였다. 소비가치와 정서적 만족과의 관계에서는 기능적 가치를 제외하고 사회적 가치, 진귀적 가치, 상황적 가치, 감정적 가치 순으로 정서적 만족이 증가하였다. 소비가치에 따라 지각된 인지적 만족과 정서적 만족을 통해 구매의도가 증가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확장, 발전 중인 가발 시장의 소비자를 세분화하여 소비자 대응 및 마케팅 전략수립에 유용한 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In this study, a structural spinning model verification was conducted to specifically understand the consumption value of wig products and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cognitive satisfaction, emotional satisfaction and wig purchase intention. Subjects of the survey conducted a self-introduction questionnaire online from January 2, 2021 to January 31, 2021, targeting consumers with experience in wearing wigs (fashion wigs, partial wigs, full wigs, piece wigs, etc.). The negative data was finally analyz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ve factors were derived for the consumption value of wig products: functional value, emotional value, rare value, social value, and situational valu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nsumption value and cognitive satisfaction, excluding functional value, cognitive satisfaction increased in the order of social value, situational value, rare value, and emotional valu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nsumption value and emotional satisfaction, emotional satisfaction increased in the order of social value, rare value, mutual value, and emotional value, excluding functional value. Purchasing intention increased through cognitive satisfaction and emotional satisfaction perceived according to consumption value. Through this study, we intend to provide useful data for customer response and marketing strategy establishment by segmenting consumers in the expanding and developing wig market.

      • KCI등재

        기혼여성 우울증환자의 결혼만족도와 역기능적 태도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김은경,이호택,백주희,이상연,홍종문,이재원,김선무,허통욱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99 신경정신의학 Vol.38 No.4

        연구목적 : 결혼 후 우울증이 발생한 기혼 여성환자에게 있어 우울에 미치는 결혼만족도와 역기능적 태도의 중요성을 검증하기 위해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방 법 : 40명의 기혼여성 우울증환자 및 대조군으로서의 비우울 기혼여성집단 34명에 대해 우울증상의 정도 및 결혼만족도와 역기능적 태도 수준을 평가하기 위해서 각각 BDI(Beck Depression Inventory). DAS(Dysfunctional Attitude Scale). DYAS(Dyadic Adjustment Scale)를 실시하였다. t-test를 통해 결혼만족도와 역기능적 태도 및 각 소척도들에 대한 두 집단간 차이를 비교하였으며, 또한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각 변수들의 상대적 중요성을 예측하기 위해 단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 과 : 1) 기혼여성 우울환자집단은 기혼여성 비우울집단에 비해 전반적인 결혼만족도가 낮았으며, 부부간의 의견일치도, 부부관계만족도, 응집력 및 애정표현 등 하위요인에서도 만족도가 더 낮았다. 2) 기혼여성 우울환자집단은 기혼여성 비우울집단에 비해 역기능적 태도가 의미있게 높았다. 즉 기혼여성 우울환자는 승인욕구와 완전주의적 특성이 강하며, 자신의 수행을 더욱 부정적으로 평가하는 특징을 지니는 것으로 밝혀졌다. 3) 기혼여성 우울환자집단의 우울을 예측하는 중요한 요인으로 결혼만족도의 하위요인인 부부관계만족도, 역기능적 태도의 하위요인인 승인욕구와 완전주의가 지적되었다. 결 론 : 기혼여성의 경우, 결혼생활의 불만족감이 우울증의 발생 및 유지에 중요한 영향을 끼치며, 그 내재적인 사고과정에서 역기능적 태도가 인지적 취약성 요소로 작용하는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기혼여성 우울중환자의 역기능적 태도를 효율적이고 건설적인 사고방식으로 변화시킴으로써, 결혼생활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고, 궁극적으로 그들의 우울감을 감소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Objectives :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amine the effect of marital satisfaction and dysfunctional attitudes on depression in married women. Methods : Forty depressed married female patients and 34 non-depressed women as normal control group completed three self-report questionnaires, Beck Depression Inventory (BDI), Dysfunctional Attitude Scale(DAS), and Dyadic Adjustment Scale(DYAS). Marital satisfaction and dysfunctional attitudes were compared by student t-test between the two groups. Also, relative importances of each variables to depression were examined with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 Depressed patients reported significantly lower level of marital satisfaction and showed higher level of dysfunctional attitudes than normal controls. Dyadic satisfaction, approval need, and perfectionism subfactors were more important in predicting depressive symptomatology than other variables in patients. Conclusion : We conclude that marital satisfaction has significant influence on development and maintenance of depression in married women, and in underlying thinking process, dysfunctional attitudes serve as a cognitive vulnerability factor. This conclusion involves the expectation that if dysfunctional attitudes of depressed married women could be changed positively, their marital satisfaction will be increased to higher level and depression will be decreased. Overall, our findings stress that we need to consider the degrees of marital satisfaction and dysfunctional attitudes of depressed maried women, when treating them, in order to individualize treatments and optimize our ability to predict responsiveness to therap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