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근대 소설의 신체 이미지 비교 연구 : 근육감각 이미지의 시대적 변모 양상을 중심으로

        양윤의 ( Yang Yun-eui ) 국제비교한국학회 2017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Vol.25 No.1

        이 논문은 근대소설의 변천을 근육감각 이미지의 변화를 통해 연구한 논문이다. 최근 새롭게 조명되는 이미지의 역량을 수용, 인정하면서 이를 연구방법론으로 삼고자 한다. 먼저 한 시대를 대표하는 지배 이미지를 파악하고 다음으로 이 지배 이미지가 근육감각이라는 개별 이미지와 어떻게 교섭하는가를 살피는 방법으로, 이미지의 시대적·역사적 변천과정과 의미를 추적하고자 한다. 이광수, 이상, 손창섭, 김승옥의 소설을 통해서 밝혀낸 대표 이미지는 다음과 같다. 1910년대 계몽주의 시대의 지배 이미지는 `빛(앎)/어둠(무지)`이며 1930년대의 지배 이미지는 `정신/육체`의 불화, 불균형을 표현하는 형상들(절름발이, 시체, 비뚤어진 얼굴, 원숭이)이다. 1950년대의 지배 이미지는 죽음을 현시하는 몸(동물과 병자)이고 1960년대의 지배 이미지는 `나란히 놓인 방`이다. 이 이미지들과의 교섭 양상에 따라서 근육감각 이미지는 `주체적인 흔듦/ 비주체적인 떪`(이광수의 경우), 환상적인 `푸드덕거림, 가려움`(이상의 경우), 벌레나 환자의 `꼬물거림, 허비적거림`(손창섭의 경우), 무의미한 아랫배의 `출렁거림`과 시체의 얼굴 `비빔`(김승옥의 경우) 등으로 변화되어 나타난다. 이 논문의 제안을 따를 때 기대되는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미지를 통해서 당대의 의식적, 무의식적 지표들을 검토할 수 있다(지배 이미지). 또한 지배 이미지의 지반 위에서 개별적인 상상력이 어떻게 표현되는가를 살필 수 있다(개별 이미지). 둘째, 이를 통해서 작가나 사회사, 서사론과는 구별되는 새로운 문학사 서술 방법론을 제안할 수 있다. 셋째, 나아가 한 개인의 무의식에서 한 시대나 공동체의 집단 무의식을 연구할 수 있다. This paper studies changes in muscle sensory images through their portrayal in modern Korean novels. The image, which is recognized for its capacity to hold meaning, is utilized as a research methodology. The dominant image characterizing an era is first determined, and its interactions with individual muscle sensory images are examined. Using this process, this study traces changes in body images over time and their significance. The dominant images and their evolution over time in the novels of Lee Kwang-su, Lee Sang, Son Chang-sop and Kim Seungok are as follows. The leading image of the era of enlightenment in the 1910s was light (knowledge) versus darkness (ignorance), while that of the 1930s was the disharmony of mind/body and forms indicating imbalance (cripples, corpses, crooked faces, monkeys). Bodies associated with death (animals and the diseased) were employed as the dominant image during the 1950s, and “rows of rooms” were used in the 1960s. Examples of muscle sensory images include “independent shaking/dependent trembling” (Lee Kwang-su), “flapping, itching” (Lee Sang), the “wriggling” of worms or patients (Son Chang-sop), and the meaningless “sloshing” of the lower belly and the “rubbing” of a corpse`s face (Kim Seungok). The expected outcom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conscious and subconscious indicators of a certain era can be derived (dominant image), and the expression of individual imaginative power within that period can be examined (individual images). Second, it will enable a new narrative of literary history. Third, individual subconscious minds or the collective subconscious of the community during different time periods can be studied.

      • KCI등재

        국가이미지가 와인이미지와 와인선호도,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와인관여도를 조절변수로 -

        김은경,황조혜 한국관광학회 2015 관광학연구 Vol.39 No.8

        Despite the increase and diversification of the wine market, there is a scarcity of image-related study in the wine industr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in three folds: first, to develop wine image measurement scale; second,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country image, their wine image, preferences, and purchase intentions; and third, to examine a moderating effect of wine involvement in those relationships. A survey study was conducted, and 444 responses were collected from a convenience sample of wine consum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the country image affected their wine image which in turn affected wine preferences and purchase intentions. Additionally, affective image had stronger effects on consumer responses than cognitive image. Interestingly, wine involvement did not have moderating effects on those relationships. This study provides academic insights for wine-related research as well as practical marketing implications for the wine industry. 국내 수입와인 시장규모는 최근 10년 사이 꾸준한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소비자들은 품질이 우수한 외국산 와인을 다양하게 접할 수 있게 되었다. 본 연구는 현재 수많은 와인에 대한 정보파악이 어려운 가운데 그 대리적 지표로 생산국에 대한 이미지가 사용되며, 이러한 국가이미지와 제품이미지가 선호도와 구매의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와 함께 제품관여도의 조절효과에 대한 연구도 다수 진행되었다. 이러한 영향이 와인이미지에도 적용되는지 분석하기 위하여 와인이미지 측정을 위한 문항을 도출하였고, 이미지의 두 가지 하위 구성요소의 상대적 영향력을 비교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수도권에 거주하는 20세 이상 한국인 성인 남녀 중, 와인 음용 경험자를 대상으로 2014년 11월 8일부터 11월 17일까지 총 480부의 설문지를 무작위로 배포하였으며, 총 444부가 실증분석 자료로 사용되었다. 연구결과, 국가이미지와 와인이미지, 와인선호도, 구매의도 간에 정(+)의 영향관계가 존재하며, 이러한 관계에 와인관여도의 조절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국가이미지와 와인이미지의 하위 구성요소 중, 정서적이미지가 인지적이미지에 비해 보다 큰 영향력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마케팅적 관점에서 기존의 와인 자체에 대한 마케팅과 더불어 와인생산국의 긍정적 이미지와 감성을 자극하는 홍보 전략을 최대한 활용하는 것이 더욱 효율적일 것이라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 KCI등재

        특집논문1 : 이미지와 응시: 고대 그리스도교의 시각적 신심(visual piety)

        최화선 ( Hwa Sun Choe ) 한국종교문화연구소 2014 종교문화비평 Vol.25 No.25

        이 연구의 목적은 4세기 그리스도교 순례 문헌들을 통해 순례 현상에서 드러난 시각적 신심의 성격을 규명하고, 그러한 시각적 신심이 그리스도교의 이미지 공경, 성유물 공경에 끼친 영향을 밝히는 데 있다. 시각적 신심은 단순히 이미지에 대한 혹은 이미지를 통한 신앙심만이 아니라, 종교적 실천 행위로서의 ‘이미지’와 ‘보는 행위’ 이를 통해 구축되는 세계와 주체, 그리고 그 이면에서 작동하는 힘의 메커니즘 전체 안에서 고찰될 필요가 있다. 그런 점에서 이 연구는 고대 그리스도교의 벽화나 도상이 아닌 순례라는 현상에서 드러나는 ‘보는 행위’의 메커니즘을 분석하고, 이 메커니즘이 어떻게 이미지 공경과 성유물 공경에서도 작동하는지, 그 과정을 보여주는 데 주목한다. 《에게리아의 여행기》를 비롯한 4세기 순례 문헌들 속에 나타난 순례자들의 경험에서 가장 특징적인 것은 현재의 풍경을 보면서 과거의 성서 속 사건들의 이미지를 떠올리는 것이다. 히에로니무스가 사용한 ‘신앙의 눈(occulus fidei)’ 이라는 표현은 이러한 경험을 요약해주는 대표적인 단어라 할 수 있다. 순례자들이 성지에서 ‘응시’를 통해 현재가 아닌 과거의 ‘이미지’를 보는 것을 뜻하는 이 ‘신앙의 눈’은, 역설적으로 신자들이 성지라는 장소의 성스러움을 넘어설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준다. 순례자들의 ‘응시’를 통해 기억에 저장된 ‘이미지’는 더 이상 성지라는 특정한 장소에 국한되지 않고 독립적인 시각적 이미지로 남아 언제 어디에서든지 신자들에게 성스러움의 경험을 재현할 수 있게 해주기 때문이다. ‘성스러움’을 포착한 어떠한 ‘이미지’도 우리를 성스러움과 연결시켜 줄 수 있다는 이러한 생각은 이미지 자체에 대한 공경심으로 이어지며, 이것은 ‘응시’와 ‘이미지’가 성스러움과의 연결통로가 되는 시각적 신심(visual piety)이다. 이러한 시각적 신심은 후기 고대 교부들의 성유물 공경에 대한 해석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성유물 공경은 흔히 성인과 직접적으로 접촉한 물질에 대한 촉각적 신심으로 해석되어 왔다. 그러나 놀라의 파울리누스는 예수의 십자가 조각이 갖는 힘을 이야기하며, ‘내면의 시각(interna acies)’으로 십자가에서 예수를 보고 구원을 보는 경험을 강조한다. 이처럼 성유물 공경에 대한 옹호에서도 성유물을 바라보는 눈의 힘, 성유물을 응시함으로써 이미지 너머의 성스러움을 불러내오는 시각의 힘에 대한 긍정이 중심적인 것으로 나타난다. 신성과의 직접적인 접촉을 주장하며 성스러움을 담보하려는 것은 고대로부터 여러 종교들에서 사용되어 오던 테크닉이다. 그러나 시각적 신심은 물리적인 접촉이 아니더라도 ‘응시’를 통해 성스러움과 연결될 수 있다는 믿음을 표방한다. 4세기 그리스도교 성지 순레에서 드러나는 ‘응시’를 통한 ‘시각적 신심’은 성지라는 특정한 물리적 장소를 넘어, 성유물과 도상적 이미지, 그리고 그것들의 복사본에게까지 확장될 수 있는 신심이며, 여기서 우리를 성스러움과 연결시켜 주는 것은 바로 우리의 보는 행위, ‘응시’과 그러한 ‘응시’ 앞에 놓인 ‘이미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nature of visual pietymanifested in fourth-century Christian pilgrimage materials and to shed lighton the influence of visual piety on the cult of images and the cult of relics. Visual piety is not mere devotion expressed to or through an image; rather, itdemands consideration of images as a religious practice, of the act of seeing, of the world and the self constructed through these visual religious practices, and of the power mechanism operating in these practices. In that context, this study analyzes the mechanism of seeing in ancient Christian pilgrimages and shows how this mechanism applies to the cult of images and the cult of relics. The most characteristic feature of fourth-century Christian pilgrimage writings such as Egeria’s Travels is the visualization of images of past biblicalevents while looking at the contemporary landscape of the Holy Land. Thephrase “eye of faith” (occulus fidei) very well encapsulates this practice of evoking images of the past while gazing on a contemporaneous landscape. The eye of faith paradoxically enabled pilgrims to transcend the limits of thesacred tied to certain locations, because the image was made by pilgrims’gaze and, stored in their memories, could re-create the experience of thesacred anywhere, far beyond the physical holy places. The idea that anyimage which captured the sacred could connect viewers to the sacred was also found in the cult of image and formed the essence of visual piety, in which people believed that they could reach the sacred through gaze and images. This concept of visual piety is also found in the writings of the Church fathers on the cult of relics from late antiquity. The cult of relics has been usually interpreted in terms of tactile piety. However, Paulinus of Nola, in his writings about the relic of the Holy Cross, emphasized the ability to see the suffering of Christ and his salvific drama on the cross through the aid of “inner vision” (interna acies). Thus, in shaping the cult of relics, the Church fathers emphasized the power of eyes and the ability of gazing at relics to evoke the sacred reality beyond the image. Since ancient times, many religions have authenticated experiences of the sacred through claims to direct contact with the divine. However, visual piety in ancient Christianity proclaimed that, even without the direct physical contact, we can connect to the sacred through gaze. This visual piety of gaze revealed in fourth-century Christian pilgrimage materials could extend beyond specific holy places to the image, relics, and even to the copies of those things. What connected one to the sacred was the act of seeing, the gaze and the image in front of one.

      • KCI등재

        한스 벨팅의 이미지학(Bildwissenschaft)에서 인간 형상 이미지 연구 - 《뷰티 인사이드》를 통한 이미지론의 고찰 -

        장원 ( Chang Won ) 한국영상미디어협회 2018 예술과 미디어 Vol.17 No.2

        독일의 미술사학자 한스 벨팅(Hans Belting, 1935- )은 특정한 지역에서 특정한 시대의 담론으로 기능했던 ‘파인아트’ 개념 아래에서 진행되었던 미술사가 전(全) 지구화가 진행 중인 컨템포러리 시대에 이르러 종말을 맞이했다고 보고, 그동안 미술이 대표적으로 수행해왔다고 여겨지던 이미지 실천에 대해 과거의 미학과 미술사를 수정, 보완, 확장하고자 “이미지학(Bildwissenschaft)”의 연구를 전개해왔다. 벨팅에게 있어서 이미지학의 주요 과제는 이미지의 생산, 형성, 지각의 과정에 모두 깊숙하게 관여하는 육체적, 심리적 능력의 규명이다. 따라서 이미지를 통해 인간학을 확장하려는 그의 관점은 이미지의 수행과 전달 매체로서 신체가 가장 기본적 전제가 되며, 현대의 발전된 테크놀로지로 인한 가상과 현실의 불분명한 상황 속에서 종래의 학문들이 추적해왔던 실재나 본질이 과연 무엇인가에 대해 재고하고자 하는데 중심을 두고 있다.이에 본 연구에서는 벨팅의 “이미지-인류학(Bild-Anthropologie)”을 통해 인간 형상 이미지의 문제가 이미지와 대상이 맺는 관계에 대한 사유의 한 단초로 적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탐색한다. 이와 같은 벨팅의 이미지 사유는 영화와 드라마로 각각 제작된 《뷰티 인사이드》를 통해 그가 “이미지-인류학”과 『얼굴의 역사』에서 주장하는 이미지와 신체 또는 인간 형상과의 관계에서 논의가 확장되었다. 즉 전통적인 철학적 형이상학 체계와 다른 관점에서 인간 형상이 존재의 확실성을 어느 정도까지 담보해줄 수 있는지의 문제를 이미지의 역할이라는 측면에서 함께 다루어 존재의 실체(신체)를 입증해주는 대리물로서의 기능과 연결시켰다. 이러한 관점에서 구체적 실체로서의 인간 신체는 유한한 생명이 다한 뒤에 죽음으로써 사라지게 되지만, 그것을 대체하는 이미지가 ‘부재자(Abwesende)’를 현전시킴으로써 존속케한다는 관점은 이미지의 인류학적 의미를 뒷받침해준다. 그리고 그것은 결국 ‘얼굴’ 이미지로 귀결된다. Hans Belting’s saying that “We live with images and understand the world in images” briefly and clearly exhibits the current situation at the early 21st Century that is handled by various forms of images. We observe the production, the preservation, and the spread of information with images beyond the limit of space and time in all the area of our daily life as well as in art’s arena. The image practice or ‘Bildakte’ that has been representative with art throws questions on the scholastic availability in traditional aesthetics or art history. Since Belting raised “the end” of art as a discourse created during a certain specific era, there have been attempts to rectify, to supplement, to expand such traditional domains: ‘Bildwissenschaft’ as an alternative academic discipline in Germany, alongside Anglo-American visual studies.The rise of ‘Bildwissenschaft’ is deeply connected with diverse‘eschatology’ in art field that has been brought forward during the last two decades of the twentieth century. Particularly during the 1980’s, the fin de siecle ‘eschatology’ was conspicuously brought up within art history, aesthetics, and art criticism that tried to theorize new art conception by observing contemporary art field. Arthur C. Danto’s “End of Art” and Hans Belting’s “End of Art History” are representative among others. Both scholars paid their attentions to the aspects and characters observed from contemporary art exhibitions in the United States and in Germany, and made a similar diagnosis of the end of art concept’s availability in terms that it was an “invention” of a ‘specific’ region in a ‘specific’ period. In searching for the property of contemporary art based on Hegelian concept of history and philosophy, Danto defined its quality with “perceptual indiscernibility” and “transfiguration of the commonplace” rather than the stylistic. Such a viewpoint revealed a limitation, however, in giving the entire picture of various image practices with digital media, by subordinating image to language and text again.

      • KCI등재

        현대시와 이미지

        권혁웅(Kwon, Hyuk-Woong) 한국시학회 2018 한국시학연구 Vol.- No.55

        시에서의 이미지는 표상의 일종으로 다루어지고 있으며, 이 때문에 의식의 산출물로서 빈약하게 취급되고 있다. 이 논문은 이미지의 역량을 증언하고 그 의미를 살펴보려는 의도에서 작성되었다. 이미지는 표상이 아니라 감각의 소산이다. 감각은 의미화의 기제이며, 주체의 변용을 야기한다. 시에서 이미지를 연구하는 일은 ① 감각을 통해 생성되는 시의 진정한 의미를 연구하는 일이며, 나아가 ② 주체의 변용과정 전반 - ‘나’의 운동, 신체, 감정, 사유 등 - 을 파악하는 일이다. 이미지는 또한 비유의 기본단위이다. 은유, 제유, 환유, 상징, 알레고리 등은 이미지를 단위로 삼아서 성립한다. 비유에서 비유되는 두 항은 접면하는 서로 다른 두 세계를 대표한다. 비유의 단위로서 이미지가 도입될 때, 그것은 주체가 파악한 세계의 참모습을 보여준다. 이미지는 시간의 단면(정지)이 아니라 응축이며, 운동의 배제가 아니라 포함이다. 따라서 이미지는 (통상의 서사물과는 다른 방식으로) 사건을 표현한다. 시에서의 사건은 원형적, 상징적, 잠재적인 사건이라는 점에서 ‘이미지 -사건’이다. 이미지가 가진 잠재력이 재발견되어 정체된 이미지 연구에 새로운 돌파구가 마련되기를 소망한다. The poetic image, as opposed to the literal proposition, can sometimes be regarded as a second-order product of consciousness. However, this paper attests to the power of poetic images and aims to determine their significance. The image is not only a representation, but also a sensory product. Sensuousness is one of the mechanisms underlying meaning, and helps cause the transformation of a poetic subject. The study of poetic imagery is ① an inquiry into the profound meaning of poems, which is generated through their sensuous effects, and ② an examination of the process of transformation of the poetic “I” in terms of their movement, body, emotions, and reasoning. Thei mage is also the basic unit of figurative communication. Metaphor, synecdoche, metonymy, symbolism, and allegory are all based on the unit of meaning constituted by the image. Through metaphor, for example, the two objects being compared represent two different worlds. When an image is comprised of a metaphor, it reflects the true character of the world as perceived by the subject. Finally, the image is a condensation of time. It is not representative of a single moment or a snapshot of time, and includes motion and transience. As such, it represents an event or circumstance in a manner that is unlike other forms of communication. An event in poetry is an “image-event” in the sense that it is archetypal, symbolic, repetitive, and latent. The author hopes to spur the re-discovery of the potential of the image and thereby to stimulate related research and the emergence of new perspectives in the field.

      • KCI등재

        이미지와 자연과학적 입증 - 이미지에 의한 지식의 확산 가능성: 갈릴레이와 해리엇의 달 관찰기록을 중심으로 -

        김은지 한국미술사교육학회 2014 美術史學 Vol.- No.28

        Images show somethings or are something which is visualized anything andalso is able to make visible of invisible things. Characteristics of such visualthings are directness and immediacy for communication. It is regarded aslatent power of image and at the same time function and ability of image. Such kind of characteristics of image is used as valuable side for scientificdemonstration and scientific evidence. Moreover in astronomy is tried todiscover verity through visual information for scientific evidence andexplanation which are only possible with visualizing of the invisibles. Namelyimage or visualized information is practical used in inexplicable situation orfor phenomena in difficult summarizing in word for scientific assertion andevidence. Such kind of images for visualizing of information and knowledgesubsist singly in or with image itself. At the same time, image cannot bereplace by anything also exist merely in itself meaningful. In these background, my research will be focused on the being of image andit phenomena. Here will be considered image not as in conventional andhistorical creative frame but as in 'visualizing of something' in theepistemological and phenomenal sense in order to spreading of definition ofimage with image is produced for visual documentation in science. The aimof this is to restudy latent power and possibility of image what one overlooksmeantime. Research of its possibility can be compared with "Image of Knowledge" or "Knowledge in Image" which mean widely acceptance andbroader spreading of knowledge and information through and in image, isestablished especially by Image Science research team of Institute of HelmholzCenter in Berlin, Germany. The "Image of Knowledge" is consideration forrediscovering of infinite latent possibilities of visual being. So my researchwill reconsider the possibilities of image with focusing on attraction of imagewhich lead the way for thinking and impart knowledge and information inmore intellectual way. That is based on the view for that image is no just a'simple methode' as transfer for information and scientific theory that is matterof discussion in Image Science research worldwide. And also thesereconsideration for image will recover new valuable way for necessity andsignificance of the research "Image of Knowledge". 이미지는 무엇인가를 보여주고, 혹은 무언인가를 시각화 해낸다. 또한 비가시적인 것을 가시화 해낸다. 이러한 이미지의 특징은 직접적인 전달력과 강한 사실적 증빙력을 지닌다. 이것은 시각적 존재에 잠재하는 힘이자 기능이다. 동시에 능력으로도 간주된다. 이미지의 이러한 잠재된 힘과 기능은 비가시적인 영역을 가시화해내며 입증과 증빙에 활용하는 학문분야인 자연과학에서 고유의 가치를 발한다. 더욱이 천문학은 시각화된 상태가 아니고서는 입증과 설명이 불가한 많은 실험관찰보고 및 가설입증에 이미지를 활용하고, 비가시적인 세계를 가시화해내며 세상의 진리탐구를 지향한다. 이미지를 통하지않고서는 증명이나 설명 혹은 이해될 수 없는 사실 혹은 단어로 설명되기 어려운 순간의 과정 및 언어로 요약되지 못하는 장면을 가시적인 실질로 구체화해내기 위해 시각자료 즉 이미지를 이용한다. 이러한 과학적 실증적 시각기록자료는 전문적인 학술 내용과 직접적으로 연결된다. 동시에 이러한 시각자료는 다른 것으로 대체될 수 없다. 그 자체로 존재하며 의미를 전하기 때문이다. 이를 배경으로, 본 연구는 이미지와 그 현상에 집중한다. 이미지를 전통적인 관점에서 바라본 창작의 테두리 안에서 보지 않고, ‘무엇인가를 시각화’ 한다는 인식론적이고 현상학적인 의미에서 이미지의 개념을 확장해, 자연과학에서 생산하는 시각적 기록 및 증빙자료 역시 이미지의 범주에 포함시키고자 한다. 이를 통해 추구하고자 하는 것은, 그동안 간과해온 이미지의 또 다른가능성을 보고자 하는데 있다. 이러한 이미지의 가능성 연구는 유럽 특히 독일 베를린의 이미지학(Image Science)연구소에서 정립한 “지식의 이미지”와도닿아있다. 이미지에 의한 지식과 정보의 빠른 전달과 폭 넓은 확산을 지칭하는 “지식의 이미지”는 이미지가 지닌 무한한 잠재적 가능성의 재발견에 대한고찰이기도 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미 이미지연구학계에서 논의되고 있는이미지를 지식과 정보 혹은 사고의 전달을 위한 ‘단순매개’로 보지 않으려는관점에 입각해, 사유를 유도하는 이미지 동시에 지식정보를 보다 지적으로 전달하는 이미지의 숨은 매력 등에 중점을 두어 이미지의 가능성을 재고찰하고자 한다. 이러한 이미지의 가능성의 재고는 국제적으로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는 이미지에 의한 지식의 확산을 도모할 수 있는 “지식의 이미지” 연구 필요성과 중요성을 재고하게 하는 또 다른 길을 모색하게 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국내 아파트 브랜드 이미지에 관한 연구

        장미경,정유경 한국기초조형학회 2003 기초조형학연구 Vol.4 No.1

        브랜드 마케팅 전략은 90년대 후반부터 건설분야의 아파트까지 확산되어 각 업체별로 기업브랜드와는 별도로 개별브랜트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특히 최근 경제적 여유가 있는 신소비층은 '아파트 고급화'를 선호하여 그추세에 맞출 차별화된 수요층과 품질 및 서비스로 독자적인 브랜드를 걸고, 초고층 아파트가 큰 호응을 받고 있다. 따라서 브랜드명에서 볼 수 있듯이 국제화, 개성화 및 고급화를 지향하는 시대환경에 따라 창출한 새로을 이미지가 브랜드이미지의 가치를 결정한다고 똘 수 있다. 처음 소비자에게 접촉되는 것은 브랜드이름이라 할지라도 시각적 요소를 통해서 메시지와 이미지가 잘 전달될 수 있다. 그러므로 브랜드 의미에 맞는 시각이미지 활용이 소비자에게 브랜드 연상의 효과를 높여주므로, 건설업계에서 브랜드이미지의 통합 포트폴리오 만들기가 적극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Since 90's brand marketing strategy has spread out even apartment construction business, having put forth its energy into each individual brand, separating company brand strategy. Because recently newwealthy customers prefer 'Luxury apartment', high floor apartment buildings have been popular, having unique brand which have differentiated customers, quality and service and following the tendency. According to brand name, the new image which has been created by periodical tide to follow internationalizing, individualizing and luxurizing is crucial to estimate the value of brand image. Even so the brand name is the first factor which approaches to the consumer, message and image can be delivered to customers by visual factors. Since visual image can be effective to remind of customers brand image, construction business company should make portfolio to synthesize brand image actively.

      • KCI등재

        공공디자인을 위한 이미지텔링 의미생성과정 연구

        김규철(Kim, Kyu Cheul)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7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3 No.4

        본 논문은 이미지가 일상화된 시대에 수용자들은 무엇을 보든 이미지로 이야기하게 된다는 것에서 시작되었다. 또한 대한민국의 공공디자인은 한국인을 위한 공공디자인이 되어야 한다는 전제에서 출발하였다. 이론적 배경에서 공공영역, 공공공간, 공공디자인에 대한 기본개념을 확인하고, 스토리텔링은 의미 있는 이야기하기이고, 이미지텔링은 그 이야기를 의미 있는 이미지로 이야기하는 것이라는 것을 파악하였다. 그 과정을 통해 이미지텔링은 시각화(이미지)된 스토리텔링이라고 정의하였다. 공공영역과 공공공간은 절차적 정당성을 통해 이루어져야 한다. 대한민국 공공디자인은 시민의 편리(보편성 generality)를 담보하고, 그 장소의 정체성(특수성 particularity)을 표현하여, ‘대한민국답고’, ‘대한민국스러운’(개별성 singularity)을 표현해야 한다. 이미지텔링은 보편성적인 차원에서 발굴된 원형을 재료로, 스토리텔링 단계에 들어가 정체성을 나타내는 특수성을 생산해낸다. 그 다음 특수성을 시각화함으로써 이 세상 어디에도 없는 개별성(유일성)을 확보하는 과정을 거친다. 이를 통해 이미지텔링이 나타나는 기본도식(story+(tell+ing)+image=imagetellig)이 만들어졌다. 이미지텔링 기본도식과 컨텍스트 기호학인 퍼스기호학의 도상, 지표, 상징의 형태로 나타나는 표상체를 기반으로 ‘이미지텔링 의미구조도’가 만들어졌다. 이미지텔링 의미생성과정은 스토리텔링의 서사구조를 이용하지만 그것을 이미지화 할 때는 서사구조는 무시되고 직관에 의해 맥락을 전달하는 한 장면으로 커뮤니케이션 하게 되는 과정을 구조화한 것으로, 표상체가 무엇을 의미하는지 파악할 수 있는 도구다. 이미지텔링 ‘의미생성과정’을 이용하여, 허준테마거리를 사례로 들어 이미지텔링 의미생성과정을 확인하였다. 파악해본 ‘허준테마거리’는 허준박물관, 구암공원, 동의보감 관련 상징물 등이 유기적으로 결합하여 의미 있는 장소성을 확보하였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The research study started from that accepters tell based on an image, whatever they see, in an era an image becomes ordinary, under the premise that Korea`s public design ought to become one for Korean people. Against the theoretical backdrop, the study identified the basic concept of public sphere, public space and public design, and understood that storytelling means ‘telling a meaningful story,’ and image-telling means telling such a story based on ‘meaningful image.’ In the process, image-telling was defined as visualized (imaging) storytelling. Public sphere and public space have to be established through procedural justification. Korea`s public design must assure citizens’ convenience (generality), representing the relevant space’s identity (particularity) along with the tendency right for ‘Korea’ and ‘Korea ethnicity (singularity).’ Using, as the main ingredient, the original form developed on a general level, image-telling produces particularity reflecting identity at the storytelling stage. Subsequently, it visualizes identity (particularity) to go through the process to establish singularity (exclusiveness) that exists nowhere in the world. Through it, the basic structure of image-telling was expressed into the formula: story+(tell+ing)+image=image-telling. The meaning creation process of image-telling was formulated based on representation representing the shapes of icons, indicators and symbols of Peirce`s Semiotics. The meaning creation process of image-telling utilizes the narrative structure of story-telling. But the imaging creation process plays a role as an instrument to measure the definition of representation through the structuralization of a communication process as a scene which delivers the given context by intuition. The meaning creation process of image-telling was confirmed, using the meaning creation process of image-telling and giving a case of The HeoJun Theme Street. It can be identified that The ‘HeoJun Theme Street’ has been built through a sense of place of the local area, and the symbols of Heo-jun, in an organic combination with the Museum of Heo-jun, Guam (Heo-jun’s pen name) Park and symbols related to ‘Dongeuibogam (a medical book written by Heo-jun).’

      • KCI등재

        초기영화 이미지의 존재론 - 프레임이미지

        정찬철 한국영상학회 2018 한국영상학회 논문집 Vol.16 No.3

        이 논문의 목적은 ‘프레임이미지’를 초기영화 시대의 영화이미지 체계(이하 ‘초기영화이미지 체계’로 표기함)를 설명하는 개념으로 제안하는 것이다. 그동안 초기영화이미지 체계에 대한 연구는 탐 거닝의 ‘어트렉션 시네마’ 개념과 같이 관객과 영화이미지 사이의 관계에 관한 관객성 분석이 핵심을 이루었다. 특히 이러한 연구 경향은 초기영화이미지 체계와 수용자의 관계를 근대적 시각문화 속에서 바라보는 데 관심을 두었다. 이러한 문화사적 관점의 주도 속에서, 초기영화이미지 체계의 형성에 영화 기술이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가라는 문제는 여전히 미답의 영역으로 남아있다. 본 연구는 프레임이미지를 영화 기술에 기반 한 영화이미지 체계로 규정함으로써 이러한 연구의 간극을 채우고자 하며, 문화사적 요인과 더불어 기술적 요소가 영화이미지 체계의 형성에 있어서 얼마나 결정적인 역할을 했는지를 보여주고자 한다. 이를 위해 첫째, 본 논문은 프레임이미지를 ‘단일 프레임’이라는 기술적 조건과 ‘닫힌 프레임’이라는 형식적 조건으로 나누어 설명할 것이다. 단일 프레임은 무빙이미지의 기록·저장·재현 기술 미디어인 필름의 개별 프레임을 뜻하며, 닫힌 프레임은 필름의 공간적 범위로서의 ‘프레임’을 의미한다. 둘째, 본 논문은 단일 프레임이라는 기술적 조건이 어떻게 초기영화이미지 체계의 형성에 결정적 역할을 하는지를 설명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 본고는 초기영화 시대 스펙터클하고 환상적인 장면 연출에 사용된 특수효과 중에 하나인 스톱모션 기법을 구체적으로 들여다 볼 것이다. 셋째, 본 논문은 스톱모션으로 완성된 환상적인 상황이나 대상이 쇼트로 분절되지 않고 전체적 상이 프레임 안에서 모두 보여 지는 방식으로 재현되는 경향을 ‘닫힌 프레임’이라는 용어로 개념화 할 것이다. 이를 통해 본고는 다음과 같이 결론을 내린다. 단일 프레임과 닫힌 프레임으로 특징되는 프레임이미지는 무빙이미지의 상호 연결보다는 개별 프레임의 독자성에 기댔던 ‘사진’의 확장이며, 환영적인 이미지의 재현을 위해 발명된 소마트로프와 매직랜턴과 같은 19세기 시각문화의 계보에 속한다. 영화의 전사, 즉 프레임을 합치는 것이 아닌 프레임 별로 나누는 것에 몰두했던 프리시네마(pre-cinema)의 선구적인 광학기술 및 사진술은 영화장치 등장의 기술적 기반이었을 뿐만 아니라, 초기영화 시대 영화 이미지의 체계의 기술적 조건이었다. This paper is an attempt to define the frame-image as a form of cinematic image during the early period of cinema. In order to define the frame-image, it suggests two sub-terms for it: a single frame and a closed frame. The single frame is a technical term used to refer to each frame in the sequence of the film. The closed frame describes the spatial domain of frame itself. First, this paper will argue that the regime of early cinematic images was formed practically by the technical condition of a single frame. To do this, the paper analyses stop-motion as a cinematic technique which works in a single frame. Secondly, the paper explains the closed frame as a cinematic style formed by the technical base of a single frame. In the fantastic shots created by the stop-motion technique, the entire figure of the object must be shown instead of a montage. This was a rule when attempting to make the fantastic situation more real while framing it within the frame. The closed-frame style of the frame-image manifests itself throughout the history of cinema - from its beginning to its second century – but realized now by digital imaging technology.

      • KCI등재후보

        영화를 통한 도시이미지의 홍보효과에 관한 탐색적 연구

        남인용(In-Yong Nam) 부산울산경남언론학회 2010 지역과 커뮤니케이션 Vol.14 No.1

        이 연구는 영화를 통한 도시이미지의 홍보효과에 관한 탐색적 연구이다. 영화와 도시 이미지에 관한 기존 연구를 살펴본 다음, 그동안의 연구에서 간과되어 온 영화에 나타난 도시이미지의 홍보효과를 영화 사례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영화의 도시이미지 홍보효과에 관한 향후 연구 과제를 제시해 보고, 부산의 도시이미지 홍보효과를 제고하기 위한 영화정책 및 영화산업 측면에서의 제언을 해보면 다음과 같다. 영화를 통한 도시이미지의 홍보효과에 관한 연구과제는 첫째, 영화 속의 도시이미지 분석연구, 둘째, 도시이미지 형성에 미치는 영화의 영향력 연구가 있다. ‘영화도시 부산’을 위한 영화정책 및 영화산업 측면에서의 제언으로는 첫째, 경제성을 보장하는 영화제작 지원, 둘째, 영화가 중심이 되는 문화벨트의 형성, 셋째, ‘영화도시 부산’ 이미지의 구축 및 강화를 들 수 있다. This study is an exploratory study on PR effect of city image in films. After reviewing past studies on the cinema and city image, PR effect of city image in films which has been overlooked meanwhile was examined focusing on film cases. On the basis of these analyses, future research subjects were presented and several proposals on film policy and film industry to enhance the city image of Busan in films were suggested as below. Research subjects on PR effect of city image in films are the analysis of city image in films and the effect of films on the formation of city image. Several proposals on film policy and film industry were suggested. Proposals were the support for film production promising economic feasibility, the formation of cultural belt giving top priority to film, and the building and reinforcement of Busan image as a ‘film c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