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청소년 인권의식의 형성 및 유형화에 관한 연구

        김자영 ( Ja Young Kim ) 한국법교육학회 2011 법교육연구 Vol.6 No.2

        1980년대 후반부터 시작된 민주화에 대한 시민적 요구 속에서 우리 사회에서는 인권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였다. 이에 따라 인권에 대한 법과 제도가 상당부분 마련되었지만, 인권의식은 아직 이에 미치지 못한다는 평가가 많다. 인권의식은 자신을 포함한 사회 구성원이 가진 인권에 대해 인식하고, 자신과 타인의 인권을 존중하며, 이를 적극적으로 수호하고 옹호하려는 태도이다. 이러한 인권의식은 크게 인권판단력, 인권감수성, 인권행동의사로 구성되어 있다. 인권판단력은 인권과 관련된 지식과 인권의 옳음에 대한 신념을 가지고 판단하는 능력을 의미한다. 인권감수성은 인권 침해 상황속에 놓인 타인의 입장에서 공감하고, 불편함이나 괴로움, 분노 등을 느끼는 감정을 의미한다. 인권행동의사는 인권 침해 상황을 개선하거나 해결하기 위한 행동에 참여하려는 의지를 말한다. 인권의식은 이 세 가지 요소가 결합하여 형성하는 복합적인 태도이므로, 이 세 가지 요소의 범주(높음, 낮음)에 따라 여덟 가지 유형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인권의식의 여덟 가지 유형은 수호자형, 관망형, 온정형, 무기력형, 원칙형, 무감각형, 맹목형, 무관심형으로 이러한 유형분류를 토대로 청소년의 인권의식 실태를 분석하고, 문제점을 도출할 수 있을 것이다. 청소년의 인권의식의 형성 및 유형에 대한 분석은 인권교육의 방향과 내용, 방법을 모색하는데 도움이 된다. 청소년의 인권의식에 대한 진단을 토대로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인권교육의 문제점을 점검할 수 있으며, 바람직한 인권의식 함양을 위해 어떤 영역이 어떻게 보완 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실천적인 해결 방안을 도출할 수 있다. 이는 궁극적으로 민주주의 사회에서 인권을 존중하는 민주시민의 양성에 기여할 수 있다. In recent years, concerns of human rights goes on increasing while demanding for democratization in our society. Accordingly, the legal system of human rights has considerably been enacted, but the human rights consciousness fell short of the system. Human Rights Consciousness is the attitudes that is cognized the human rights of people and is respected the human rights of themselves and other people, and is defended the human rights positively. This Human Rights Consciousness is composed of three dimensions: Human Rights Judgement, Human Rights Sensitivity, and Human Rights Behavioral Intention. The Human Rights Judgement means knowledge related human rights and ability to evaluate by principle that human rights are correct. The Human Rights Sensitivity is emotion that empathies for other people`s situation in human rights abuse and that feels uncomfortable, pain, and anger. The Human Rights Behavioral Intention means willingness to improve and to solve the human rights abuse. According to the level of these three requisites for human rights consciousness, the human rights consciousness can be categorized into eight types. The types of human rights consciousness are guardian type, wait-and-see type, compassion type, lethargy type, principle type, insensibility type, and blindness type. These classification helps to analyze of the situation and to point out the problems of youth`s human rights consciousness. The study on the formation and typology of youth`s human rights consciousness can serve to seeking directions, contents, and methods of human rights education. That is, this study will be helpful to find practical solutions to be raising youth`s human rights consciousness. Eventually, it will be contributed to educate citizens who respect the human rights in democratic society.

      • KCI등재

        전시디자이너와 전시관람자의 의식비교 연구

        차동익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10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8 No.3

        전시는 단순히 전시물로서가 아니라 그것이 담고있는 의미를 관람자에게 효과적으로 전달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관람자와의 소통이 중요한데 이러한 소통에 대한 전시디자이너의 의식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전시디자이너의 의식을 파악하여 유형화하고 각 유형별 특성을 분석하였다. 연구를 위해 특정 대상의 의식을 분석하고 이해하기 위한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수단인 Q 방법론(Q-methodology)을 적용하였으며, 전시디자이너 36명을 대상으로 33개 Q 문항의 분류를 시행하고, QUANL PC 프로그램을 통해 주요인분석(PCA:Principal Component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4개의 유형이 발견되었으며 제1유형은 ‘관람객유입 중시형’, 제2유형은 ‘전시방법 중시형’, 제3유형은 ‘전시수준 중시형’, 제4유형은 ‘접근성 중시형’으로 나타났으며 각 유형은 유의미한 특징을 나타내고 있었다. 선행연구인 전시관람자의 의식 유형과의 비교·분석을 통해 전시관람자와 디자이너의 의식유형 간에는 ‘전시 수준 중시’와 ‘접근성 중시’의 2개 의식유형이 공통유형으로 나타났으며 전시디자이너의 ‘관람객 유입 중시’가 가장 독립적인 의식유형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내용을 바탕으로 향후 연구에서는 전시 행정담당자 의식 연구를 통한 발주자와 수행자, 그리고 사용자의 3방향 의식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전시디자인에 대한 심도있고 구체적인 대안을 모색할 수 있을 것이다. Since an exhibition should effectively communicate the implications of an exhibiting object beyond presenting a simple display of an object, interactions with viewers are important, but studies on exhibition designers' attitudes toward such interaction have been inadequate Thus, by understanding exhibition designers' attitudes, this study identifies patterns in exhibition designers' attitudes and analyzes characteristics for each type. For the study, Q-methodology, a systematic and scientific method, was applied to analyze and to understand the attitudes of specified subjects, and a classification of 33 Q samples with 36 exhibition designers as subjects and the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 using QUANL PC program were performed. The study results yielded 4 types with Type 1 being ‘viewer attraction oriented,’ Type 2 being ‘exhibition method oriented,’ Type 3 being ‘exhibition standard oriented’ and Type 4 being ‘accessibility oriented’ where each showed meaningful characteristics. In addition, through a comparison analysis with a previous study on the attitude types of exhibition viewers, 2 common attitude types were found between attitude types of exhibition viewers and designers, which were 'exhibition standard oriented‘ and 'accessibility oriented.' Through the next study on the consciousness of an exhibition administrator, it needs to find out the significant correlation among 3 groups of people, such as an exhibition administrator, an exhibition designer, and a viewer.

      • KCI등재후보

        사회복지학 전공 학생들의 복지의식에 관한 주관적 인식 연구

        정현태 한국복지상담교육학회 2017 복지상담교육연구 Vol.6 No.1

        본 연구는 사회복지학을 전공하고 있는 학생들의 복지의식에 대한 인식을 유형화하고 인식 유형별 특성을 탐색함으로써 복지의식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확인하려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Q방법론을 적용하여 연구대상자의 주관적 인식을 파악하고 복지의식과 관련된 32개의 진술문을 가지고 33명의 경남에 소재한 사회복지학과 학생을 대상으로 Q 분류를 하게 하였다. 분석결과, 사회복지전공 학생들이 인식하는 복지의식의 주관적 인식유형으로 네 가지가 도출되었다. 1유형은 ‘인간중심 사회복지 지향형’, 2유형은 ‘공공복지 강조형’, 3유형은 ‘가치중시 현실 갈등형, 4유형은 ‘공공복지 자원 효율형’ 으로 명명하였다. 본 연구는 사회복지학을 학습하고 실천현장으로 나갈 전공 학생들의 복지의식에 대한 주관적 인식 유형과 유형별 특성을 살펴보았다는 것에 의의가 있으며, 이상의 유형화의 결과와 특징들은 사회복지학전공 학생들의 복지의식이 복지교육에 반영될 수 있는 여지와 근거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mote revitalization of welfare consciousness by classifying perception on the welfare consciousness of social welfare majoring students and exploring characteristics for different types of perceptions. For this purpose, subjective perceptions of the study subjects were grasped by applying Q methodology and were required to conduct Q classification to 33 students of social welfare department in Gyeongsangnam-do, Korea with 32 questionnaires of welfare consciousness. Analysis showed that 4 types of subjective perceptions of welfare consciousness perceived by social welfare major students were derived as follows; It was designated the type 1 is ‘social welfare-oriented centered on human’, type 2 is ‘public welfare-oriented’, type 3 is ‘conflict in the reality that emphasizes on the value’ and type 4 is ‘efficiency for resource of public welfare’ It is a significant fact that the subjective perception of welfare consciousness of students who study social welfare and participate to practice work field and characteristics of each types were examined. With the result of classification and its characteristics, welfare consciousness of social welfare major students can be reflected to the welfare education and also used as base data.

      • KCI등재

        근대건축물의 보존과 활용에 관한 전문가 의식 유형화

        박종혜 ( Park Jong-hye ),신경주 ( Shin Kyung-joo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4 한국디자인포럼 Vol.42 No.-

        우리나라에서는 2001년부터 등록문화재제도를 도입하여 보존가치가 있는 건축물들에 대하여 외관을 보존하고 내부는 기능을 변경하거나 수리·수선할 수 있도록 하여 보존건물에 대한 활용을 중요시 하여 장려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우리나라 등록문화재에 등록된 건축물들의 상당수가 미사용으로 방치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사회변화에 따라 그 기능을 상실한 채 방치되고 있는 근대건축물의 적극적인 활용을 유도하기 위한 연구로 근대건축물의 보존과 활용의 의미를 고찰하고, Q 방법론을 통하여 근대건축물의 보존과 활용에 대한 전문가 의식을 유형화하는데 연구목적을 둔다. 근대건축물의 보존과 활용 방안에 대한 전문가들의 의식을 다음과 같이 세 가지로 유형화하여 명명하였으며, 그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역사교육 추구형은 근대건축물이 변형되거나 훼손되는 것에 대해서 큰 우려를 하며, 원형을 가장 잘 보존할 수 있게 역사 교육프로그램을 갖춘 문화 공간으로 활용되기를 바라는 유형이었다. 둘째, 공간개조 추구형은 근대건축물의 외부를 보존하면서 내부는 시대 변화에 적합한 기능을 갖는 공간으로 활용하여 보다 많은 사람들이 각자의 방식으로 공간을 향유하기를 바라는 유형이었다. 셋째, 지역연계 추구형은 건축물 자체의 활용에서 나아가 그 지역과 연계한 프로그램으로 지역의 활성화를 바라는 유형이었다. Since the introduction of the registered cultural asset system in 2001, Korea is highly regarding and encouraging the utilization of the buildings that are worthy of conservation by preserving their exterior while allowing the changes in function or repair of their interior. However, many of the buildings that are currently registered as the cultural assets in Korea are left unused. This study is the study for the active utilization of modern architecture that lost its function with the changes in society and investigated the utilization plan of modern architecture, and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stereotype experts` consciousness for the utilization of modern architecture through the classification of the experts` importance. This study derived the experts` consciousness for the utilization plan of modern architecture into the following three types by using Q methodology, and their characteristics are as follows. First, the history education-oriented type was most concerned about the deformation or damage of modern architecture and is the type that seeks the utilization as the cultural space with the history education program that can best conserve the original form. Second, the space remodeling-oriented type was the type that wants more people to enjoy the space in each individual`s way by utilizing the interior as the space with the functions according to the periodical changes while conserving the exterior of main architecture. Third, the regional connection-oriented type is the type that wants to serve for the purpose of the regional revitalization through the programs connected with the region as well as the utilization of modern architecture itself.

      • KCI등재

        공공임대아파트에 대한 의식 및 평가에 관한 연구 : 지방 중,소도시 주민을 대상으로

        김영민,신소영,김익환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12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Vol.14 No.1

        본 연구는 공공임대아파트에 대한 도시주민의 의식구조와 중요도 평가구조를 규명한 것이다. 분석 결과 공공임대아파트에 대한 일반도시주민의 인식은 임대아파트거주자에 비해 비교적 긍정적이며 건립에 대한 필요성(7할)을 강하게 느끼고 있고 과반이 입주를 희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주택 환경의 중요도 평가로부터 도시 주민의 유형화결과 4개의 유형이 추출 되었으며 각 유형별 평가구조를 달리 하고 있으나 편리성 및 안전성과 쾌적성 추구가 아파트 계획시 주요한 과제로 대두 되었다. 또한, 건강과 환경 친화적인 아파트에 대한 선호도가 높으며 안전 시스템과 에너지절약 시스템 도입을 원하고 있어 금후 건강지향적이고 환경친화적인 수법개발과 보안및 소비 절약형의 설비시스템 도입이 적극적으로 검토되어야 함을 알수 있다.

      • KCI등재

        제주지역 청소년의 복지태도 유형과 인권의식, 정치효능감에 관한 연구

        김상미(Kim, Sang Mi)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2017 한국지역사회복지학 Vol.0 No.60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복지태도를 유형화하고, 인권의식과 정치효능감이 복지태도 유형화에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제주지역 중 · 고 · 대학생 971명으로 남자 448명(46.1%), 여자 523명(53.9%)이다. 연구 분석방법은 집단 간 T-검증과 Anova를 사용하였으며, 복지태도 유형과 영향요인간의 관계는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로서 첫째, 청소년의 복지태도는 국가의 책임정도, 복지기능의 효과성이라는 두 가지 변인으로 구성하여 4가지로 유형화 하였다. 이는 제1유형(국가책임․고효과성), 제2유형(민간의존․고효과성), 제3유형(국가책임․저효과성), 제4유형(민간의존․저효과성)으로 명명화 하였다. 둘째, 청소년의 복지태도 유형별 분포를 살펴보면, 민간의존․저효과성 37.6%, 국가책임․고효과성 31.4%, 민간의존 · 고효과성 16.3%, 국가책임․저효과성 14.7%순이었다. 셋째, 인권의식과 정치효능감이 복지태도 유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본 결과, 인권의식의 세 요소 중 제2세대 권리인 경제 · 사회 · 문화적 권리를 높게 인식할수록 복지태도 유형 중 제1유형인 국가책임 · 고효과성 유형이 나타날 확률이 높게 나타났다. 정치효능감에서는 내재적 정치효능감이 높을수록 국가책임․고효과성 유형이 나타날 확률이 높게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논의 및 결론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ategorize adolescence’s attitudes toward social welfare system and analyze how both their awareness of human rights and sense of political efficacy influence on the typology of the attitudes about social welfare. A total number of 971 students from middle schools, high schools, and colleg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the attitudes were classified into 4 types by two factors; the degrees of government’s responsibility and the efficacy of social welfare functioning. They were defined as the type 1(government responsibility & high efficacy), the type 2(private dependence & high efficacy), the type 3(government responsibility & low efficacy), and the type 4(private dependence & low efficacy). Secondly, the distributions of students’ attitudes by the types explained that 37.6% of the students responded as they preferred private dependence and low efficacy, 31.4% of them answered that they liked government responsibility and high efficacy, 16.3% of them chose private dependence and high efficacy, and 14.7% of their answers belonged to government responsibility and low efficacy. Thirdly, in the analysis of how both the awareness of human rights and the sense of political efficacy influence on the typology of their attitudes toward social welfare, the higher they estimate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rights, the more likelihood they are categorized as government responsibility and high efficacy. When it comes to the sense of political efficacy, the higher their internal sense of political efficacy goes, the more likelihood the type of government responsibility and high efficacy will show.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analysis, meaningful and significant discussions and implications are presented.

      • 남북한 역사소설 연구를 위한 시론

        문흥술 서울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7 인문논총 Vol.31 No.-

        남북한으로 갈라져 체제와 이념상의 차이로 대립하는 ‘한민족’이지 만, 갈라진 민족을 하나의 민족으로 묶을 수 있는 민족적 공통분모가 분단 민족의 의식의 저류에 흐르고 있다. 남북한 민족의 심층에 자리 잡고 있는 이 집단무의식을 가장 잘 함유하고 있는 것이 남북한 역사 소설이다. 이런 측면에서 볼 때, 남북한 역사소설은 연속성과 동질성 회복으로서의 통일문학사 기술에 중요한 한 기준이 될 수 있다. 남북한 역사소설을 이런 관점에서 접근하고자 할 때, 먼저 연구방 법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첫째, 남북한 역사소설 전체에 대한 검토를 통해 한민족의 집단무의식을 공유하고 있는 작품을 선별해야 한다. 둘째, 작품 자체의 구조를 충실하게 고찰함으로써 각 작품의 미학적 특질을 추출해야 한다. 셋째, 이러한 분석을 토대로 남북한 역사소설을 유형화할 필요가 있다. 북한 역사소설의 경우, 당의 공식적 문예 이론이라는 제약과 그것을 받아들일 수밖에 없는 북한 작가들의 한계로 인해 작품 대부분이 형식과 내용면에서 도식적인 틀을 유지하고 있기에 유형화가 거의 불가능하다는 난점이 있다. 따라서 남한 역사소설을 먼저 유형화한 후, 그 유형과 같은 범주에 포섭될 수 있는 북한 역사소설을 선별해 동시에 논의하는 방법을 취해야 한다. 다음, 연구 대상 작품 선정과 관련된 측면이다. 해방 이후부터 2000년대까지, 남한 역사소설과 북한 역사소설을 시기별로 그 특징을 분석해 보면 남북한 역사소설의 이질성이 매우 심각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 주요 원인으로 북한 역사소설에 나타나는 사회주의 체제 선전과 김일성 우상화로 인한 역사의 왜곡을 들 수 있다. 특히 분단 이후를 다루는 북한 역사소설의 경우 왜곡의 정도가 심하다. 이런 점을 고려하여, 남북한 역사소설의 동질성과 이질성을 논하기 위해서는 분단 이전을 다루는 북한 역사소설에 주목할 수밖에 없다. 곧 분단 이전을 다루는 북한 역사소설 작품들과, 동일하게 분단 이전을 다루는 남한 역사소설 작품들을 대상으로 하여, 동일한 역사적 인물이나 동일한 역사적 사건 혹은 동일한 시대를 어떻게 다루고 있는가를 검토함으로써 남북한 역사소설의 동질성과 이질성을 검토하는 작업이 현재로서는 가장 유효한 방법인 것으로 판단된다. 이상의 연구를 통해, 민족적 집단무의식이 분단 이후 남북한에서 어떻게 변모되어가며, 그 편차는 무엇이고, 그리고 민족적 동일성을회복할 수 있는 공통인자는 무엇인지를 검토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럼으로써 연속성과 동질성의 측면에서 남북한 통일문학사 기술을 위한 발판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패밀리 테마 파크 사용자의 의식 연구

        이미연 한국기초조형학회 2019 기초조형학연구 Vol.20 No.5

        We live by relieving the stress of society on a daily basis. Healing in a different way in one space and visiting the theme park to find a space to enjoy life. Theme parks are also being established in department stores that can be visited in the city center. The biggest advantage of department stores is that they can be visited at any time, regardless of season and weather changes. Recently, theme parks for family units are entering a small theme park.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tudy the satisfaction of users by selecting the departments established in the top ranks of the department stores in Korea and the outdoor rest spaces. This study aims to study how users perceive their thoughts through types and characterize each type. The Q methodology was used to classify 31 Q samples from 31 experienced subjects, and then analyzed the main subjects through the QUANL PC program. The analysis showed four types, which were identified as ‘safety check reinforcement type’, ‘infant play space approach pursuit type’, ‘spatial content emphasis type’ and ‘management trust importance type’. As a result, a comprehensive analysis of the types and other opinions showed that development, safety, and management are very important for three things, and that they are negatively aware of seasonal changes in the atmosphere in the space. In other opinions, we felt that every time we visit, we feel bored because of the same atmosphere and the same content, so it is necessary to periodically introduce event-type life share content to catch the hearts and minds of consumers. Through this, it is expected to find a more desirable direction of development and go further. 우리는 일상적으로 사회에서 받은 스트레스를 해소하며 살아간다. 어느 한 공간 안에서 각자 다른 방식으로 치유를 하며 생활의 여유를 찾기 위해 테마파크를 찾아가 즐기기도 한다. 도심 속에 흔히 방문 할 수 있는 백화점내에도 테마파크가 설립되고 있는 추세이다. 백화점의 가장 큰 장점은 계절과 기상변화에도 상관없이 언제든지방문할 수 있다는 것이다. 최근 백화점 내에서는 소규모의 테마파크로 패밀리 단위를 위한 테마 파크들이 들어서고 있는 시점이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 백화점 면적 상위 순위와 옥외휴게 공간에 설립되어 있는 백화점으로선정하여 사용자들의 만족도 의식 연구를 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사용자들의 생각을 유형으로 나타내고 각 유형들의 특징분석을 통해 사용자들이 평소 어떻게 인식을 하고 있는지에 대하여 연구하고자 하였다. Q방법론을통해 31명의 경험자들을 대상으로 33개의 Q표본의 분류를 실행한 후 QUANL PC 프로그램을 통해 주요인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을 통해 나타난 유형은 4개로 분류되었으며 각각 특징을 가지고 있는 ‘안전 점검 강화형’, ‘유아 놀이 공간 접근 추구형’, ‘공간 콘텐츠 중시형’, ‘관리처 신뢰도 중시형’으로 확인 되었다. 결과적으로유형별과 기타의견들을 종합적으로 분석해보니 발전, 안전, 관리 이 3가지를 아주 중요시 여기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공간 내 계절별 분위기 변화에는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기타 의견에서는 방문을 할때 마다 항상 동일한 분위기와 동일한 콘텐츠 때문에 지루한 면을 느낀다는 의견을 볼 수 있었기 때문에 주기적으로 이벤트적인 life share형의 콘텐츠를 도입하여 소비자들의 마음과 눈길을 사로잡아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를 통해 보다 바람직한 발전 방향을 모색하여 좀 더 나아갈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김우진의 낭만주의 시 연구 - 희곡작품과 긴밀성

        손필영 ( Shon,Pil-young ) 한국드라마학회 2017 드라마연구 Vol.0 No.52

        김우진의 세계인식과 표현을 살펴보기 위해 1921년에 창작된 시작품의 특징을 찾아보았다. 낭만주의 시<sup>1)</sup>라 명명한 <애악곡>은 희곡처럼 구조를 가진 시로 인물의 변화와 시간의 흐름이 나타나 자연스러운 장르간의 융합이 이루어졌다. 밖으로 드러나는 구체적 갈등 없이 시적 화자의 과잉된 정서는 시간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동일 이미지로 연결되어 시적 순간의 영원성을 드러낸다. 1921년 작품이지만 낭만주의 작품에서 제외된 <이단의 처녀와 방랑자>에도 희곡처럼 시적 화자와 대상이 등장하나 이들은 `이단` 이나 `방랑자`라는 개념으로 유형화되었다. 시의 배경인 밤은 시인 정신의 은유이며, 갈등 없는 불안을 드러내 시적 화자의 정신적 상태를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이는 주관적 이미지의 가시화로 두드러지는 표현주의 극의 특징과도 유관하다. <牝羊갓흔 娼婦의 祈禱>에서는 시인과 분리되어 극화된 여성화자 `娼婦`의 자아인식을 통해 1920년대의 일반적인 시작품에 나타나는 인식과는 구별된 진보적 가치관이 드러난다. 특히 이 시는 매음녀를 주인공으로 하는 극작품 <이영녀>의 출발점이라고 볼 수 있다. 김우진의 환상과 현실이 결합된 1921년대의 시는 일반 서정시처럼 시적화자의 독백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시적화자 이외의 인물들이 등장하여 움직이면서 시적화자의 정서를 대변하고 시인의 정신적 가치를 상징적으로 드러낸다. 김우진의 시에 나타난 낭만주의 의식은 보이지 않는 세계를 정서적으로 가시화 하였고 이러한 특징은 극작품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쳐 정서의 흐름이나 상징으로 이루어진 표현주의 극을 창작하게 했고 나아가 자연 발생적인 극시의 가능성을 제공한다. This study, third part of the research which explores awareness formed through modern cultural experiences, particularly examines the poems Kim announced in 1921, during when he took the lead of Dongwoo-hoe road company. More specifically, through focusing on the poems that he regards as romanticism, this study tries to find the point of contact with plays. The < Sad, Happy Music >, which Kim regards as a romanticism poem, includes structure similar to plays with characters flow of time and movement, but is formed with narrator`s emotion without any conflicts. It shows the eternity of poetic moment by forming the same imagery despite the change in time. The < A ewe like Prostitute`s Pray >, written in 1921 but was not included in romanticism also has its poetic narrator appears similar to the main character in play but structured as `cult` or `wanderer`. Night as a background shows poet`s value of life symbolically, and the anxiety without any conflict reveals the poet`s state of mind. The < A ewe like Prostitute`s Pray > shows the poet`s attitude and social awareness towards female through self awareness of the poetic narrator as a `prostitute`. Kim`s work in 1921 where fantasy and reality are combined is different from the most lyric poetry in that Kim`s work, rather than only having the main character`s monologue uses characters around the main character to represent the main character`s emotion and symbolically reveal the poet`s spiritual value. The poems during this period where the works are regarded as romanticism, does not reveal emotions directly but structured through character`s monologues. This is related to plays` flow of emotion and symbols. The romanticism consciousness in Kim`s poems visualized the unseen world, and this directly influenced his work where Kim was able to experience writer consciousness emotionally.

      • KCI등재SCOPU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