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형 의사결정유형 척도 타당화 연구

        임혜빈 한국소비자·광고심리학회 2016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 Vol.17 No.3

        The aim of this study is to validate the Korean version of the Decision Making Style Inventory(DMI). The DMI is a 45-item, self-report measure, composed of three subscales, designed to measure an individual’s propensity towards three distinct decision making styles: analytical, intuitive, and regret-based. With a sample of 808 participants, factor analyses confirm that the K-DMI measures three separate latent constructs. Positive and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K-DMI scale scores and theoretically relevant scales’ score provide evidence for construct validity of the K-DMI. Furthermore, results show K-DMI scale relates to the use of specific decision making strategies: compensatory decision rules or non-compensatory decision rules.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he K-DMI provides reliabld and valid measurements of the degree to which individuals employ analytical, intuitive, and regret-based decision making styles. 본 연구는 Nygren과 White(2000)가 개발한 45문항 의사결정 유형 척도(Decision Making style Inventory: DMI)를 한국어로 번역하여 타당화한 한국판 의사결정 유형 척도(Korean Decision Making style Inventory: K-DMI)를 제안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DMI는 이중정보처리 이론과 후회 이론을 바탕으로 의사결정의 유형을 분석적 의사결정 유형, 직관적 의사결정 유형 그리고 후회기반 의사결정 유형으로 구분하여 측정한다. 총 808 명의 응답을 대상으로 한 탐색적,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K-DMI 역시 DMI와 마찬가지로 3 요인으로 구성된 척도임이 지지되었다. 이어 K-DMI의 타당도 검증을 위해 실시한 상관 연구 결과, 하위 척도인 분석적, 직관적, 후회기반 의사결정 유형 척도가 예상과 동일한 방향으로 합리적 사고 유형, 경험적 사고 유형, 자아존중감, 일반적 자아효능감, 낙관성, 충동성 수준과 관련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K-DMI를 통해 구분되는 의사결정 유형이 특정 의사결정 전략의 사용과 관련이 있는지 검증하였다 그 결과 분석적 의사결정자와 후회기반 의사결정자들은 선형 모형과 같은 보완적 의사결정 전략이 본인들이 주로 사용하는 전략과 유사하다고 보고한 반면, 직관적 의사결정자들은 결합 모형이나 속성별 제거 전략과 같은 비보완적 의사결정 전략을 주로 사용한다고 보고하였다. 본 연구는 그동안 국내에 소개된바 없는 새로운 의사결정 유형 척도를 제안함으로써 소비자의 의사결정유형에 대한 향후 연구 확장에 기여하였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 KCI등재

        보험소비자의 의사결정유형과 의사결정과정의 특성

        장연주(Youn Ju Jang) 한국FP학회 2017 Financial Planning Review Vol.10 No.3

        본 연구는 보험소비자의 의사결정유형을 도출하고, 보험상품 유형에 따라 소비자의 의사결정유형과 의사결정과정의 특성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심층면접을 통해 수집된 질적 자료를 근거이론을 적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된 양적 자료를 분석에 함께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험소비자의 의사결정유형은 합리형, 직관형, 의존형, 충동형, 회피형으로 분류되었으며, 유형별로 의사결정과정의 특성에 차이를 보였다. 둘째, 소비자가 인지하는 보험상품 유형별 속성의 차이에 따라 의사결정행동에 차이가 있었다. 셋째, 상품유형에 따른 속성의 차이와 소비자의 성향이 복합적으로 보험소비자의 의사결정유형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보험상품 유형별로 보험상품의 특수성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 보험 구매의사결정의 어려움, 의사결정 결과의 측면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는 정책적 및 실무적 측면에서 보험소비자의 의사결정유형 및 보험상품 유형에 따른 차별적 접근방안을 마련하는 데 실효성 있는 시사점을 제공했다는 측면에서 의의가 있다. The objectives of this research are: 1. to elucidate the decision making style of insurance consumers; 2.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between decision making style and the characteristics of decision making processes according to insurance product types. To fulfill the above objectives, we applied qualitative data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to the analysis of grounded theory, and used quantitative data collected through questionnaires for analysis. The following is the research outcome. First, the decision making style of insurance consumers was categorized into five different styles: Rational, intuitive, dependent, impulsive, and avoiding, and depending on to which style they belong, the consumers showed different characteristics in decisionmaking process. Second,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decision-making behavior according to the difference of the property by the insurance product type that the consumer perceived. Third, the difference of attributes and consumer tendency according to product type have a great effect on the decision making style of insurance consumers. Fourth,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onsumers" perception about the specificity of the insurance product, the difficulty of the insurance purchase decision-making, and the decision-maling result by insurance product typ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d effective implications for the differentiation approach of insurance consumers" decision-making style and insurance product type in policy and practical aspects.

      • KCI등재

        보험소비자의 의사결정유형별 구매의사결정과정의 차이 분석

        장연주 ( Younju Jang ),최현자 ( Hyuncha Choe ) 한국소비자학회 2015 소비자학연구 Vol.26 No.5

        본 연구는 보험소비자가 의사결정과정에서 경험하는 현상의 맥락 안에서 개별 소비자의 의사결정과정은 어떠한 차이를 보이며, 이러한 차이를 보이는 요인들이 어떻게 작용하는지에 대해 실증적으로 접근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장연주, 최현자(2013)에서 제시한 보험소비자의 보험 구매의사결정과정 모형을 연구의 틀로 선정하였으며, 개별 소비자의 상황적 요인에 따라 보험소비자가 의사결정과정에서 활용하는 전략에 차이가 있을 것으로 보고 의사결정전략을 기준으로 소비자를 유형화하여 유형별로 의사결정과정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으며 유형별 특성은 무엇인지를 실증분석을 통해 밝히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험소비자의 의사결정유형은 구매의사결정에서 주로 활용하는 전략에 따라 비대면 유통채널 활용형, 대면 유통채널 활용형, 대면 채널·소비자주도적 정보 활용형, 멀티채널 활용형의 네 가지 유형으로 분류되었으며, 유형에 따라 사회인구학적 특성과 의사결정과정의 특성에 차이가 있었다. 둘째, 보험소비자는 구매의사결정 시 활용하는 전략에 따라 완화되는 어려움에 차이가 있었다. 셋째, 전략을 활용함으로써 보험 구매의사결정의 어려움이 완화되는 효과는 유형별로 다르게 나타났다. 넷째, 소비자 자신감, 관여도, 가용한 자원은 보험 구매의사결정의 어려움을 완화시키거나 가중시키고, 보험소비자들의 전략 선택 및 의사결정 결과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요인이었으며, 그 효과는 의사결정유형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는 실제 보험소비자가 의사결정 시 활용하는 전략을 기준으로 소비자를 유형화함으로써 정책적 및 실무적 측면에서 유형에 따른 차별적 접근방안을 마련하는 데 시사점을 제공했다는 측면에서 의의가 있다. The objectives of this research are: 1. to identify different types of decision-making process that occur within different contexts; 2. to determine how those factors function. To fulfill the above objectives, participants were categorized based on their decision-making strategies and revealed the difference in strategies and categorical characteristics through analysis of actual proof. The following is the research outcome. First, the type of insurance consumers was categorized into four different types depending on what strategy they adopt: non-face-to-face sales channels, face-to-face sales channels, face-to-face sales channels and consumer-direct information resources and the ones that use multi-channels. Depending on to which type they belong, the consumers showed different characteristics in decision-making as well as socio-demographic difference. Second, it was observed that strategies adopted by the consumers determined what sort of burden was eased. Third, the effect of specific strategy in easing the consumer burden varied widely depending on the type. Fourth, intervening factors such as consumer confidence, level of involvement, and usable resources either deteriorate or lessen the difficulties, and determined the result of consumers’ decision-making process. The effect of intervening factors varied widely depending on the type. This research has the following significance. Categorizing the consumers by what strategies they adopt when making decision can provide ground to create different approach that reflects both practical insights and policy perspectives.

      • CSCL 에서 의사결정 유형과 협력적 정보처리지원 수준이 협력성과, 협력구성원 간의 사회적지지도 및 협력부하에 미치는 영향

        김경진(Kyungjin Kim),김동식(Dongsik Kim),김경(Kyung Kim) 한양대학교 교육공학연구소 2014 학습과학연구 Vol.8 No.3

        본 연구는 효과적인 협력성과를 위한 정보처리과정을 제안하고 특히 학습자의 의사결정 유형에 따른 최적의 정보처리 과정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 연구의 목적은 학습자의 의사결정 유형에 따른 협력적정보처리지원 수준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것으로 협력성과, 협력구성원 간의 사회적지지도, 협력부하요인에 대한 차이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 대상은 대학생 111명(남 32명, 여 79명)이었으며, 세 종류의 협력적정보처리지원 수준을 동일 학습내용에 대하여 제시하였다. 사전검사에 의하여 의존적의사결정 집단과 합리적의사결정 집단으로 구분하였다. 연구에 투입된 협력성과, 협력구성원 간의 사회적지지도, 협력부하 요인의 세 종속변수에 대하여 협력적정보처리지원 수준과 의사결정유형에 의한 주효과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그러나 세 종속변수에서 학습자의 의사결정 유형과 협력적정보처리지원 수준에 의한 상호작용은 유의미했다. 이 결과는 학습자의 의사결정 유형에 의한 매개효과가 있음을 의미한다. 협력성과에서 병렬 및 직렬정보처리지원에서는 학습자의 의사결정유형에 따른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혼합정보처리지원에서는 의사결정유형에 따른 사후검사 결과가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협력부하요인 중 과제난이도 지각에서 유의미한 상호작용이 발견되었고, 분석결과 단순주효과에 따르면 직렬정보처리지원에 있던 의존적의사결정 집단의 과제난이도 지각이 현저히 낮게 나타났다. 또한 협력구성원 간의 사회적지지도에 대한 분석에서는 직렬정보처리지원의 합리적의사결정 수준인 학습자의 협력구성원 간의 사회적지지도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비록 협력구성원 간의 낮은 사회적지지도에 의해 협력성과가 영향을 받은 것은 아니라 할지라도 학습 효율성이 낮아질 가능성을 배제하기는 어렵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협력학습전략을 도출하기 위해서는 정보처리지원 수준이나 학습자 개인의 의사결정유형과 같은 보다 복잡한 구성요인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decision-making and collaborative information processing on performance and collaborative task performance, social support among collaborators. College students(Male=32, Female=79) participated. Three different collaborative information processing were applied(mixing vs. serial vs. parallel) to two different levels(dependent group vs intuitive group) of participants depending on their pre-test result. The dependent variables were collaboration performance, social support among collaborators and collaboration load. The result reveal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on posttest score for collaboration performance. Students under collaborative information processing condition showed no difference between levels of decision-making. However,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levels of decision-making under collaborative information processing condition. Also simple-main effect analysis showed that participants of dependent group under parallel processing condition significantly perceived task difficulty among the other condition. For the social support among collaborators, interestingly, participant of dependent group with parallel condition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ocial support. This result indicated that there possibly detrimental effect of decision-making.

      • KCI등재

        일반의사결정유형척도의 타당화

        김은주,김정일,남승규,노길광 한국소비자·광고심리학회 2011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 Vol.12 No.4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examine and validate of scale for classification of decision making style. In first study that was exploratory study, 242 undergraduates were asked to answer Korean version of general decision making style(GDMS) scale(Scott & Bruce, 1995) and scale of decision making competency(Nam, 2005). Each scale was consisted of Likert 5 points scale. To examin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Korean GDMS scale, data were analyzed by internal consistency, factor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The result showed that internal consistency was high, that 5 factors were extracted and that relationships between factors of decision making style with factors of decision making competency scale were high. Also, construct validity, converg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as well as reliability were accepted as recognized level. In second study that employed covariance structure model analysis as confirmatory study, 215 participants who include various ages were asked to fill out the shortened Korean version of GDMS that consisted of 20 items. Results showed that both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shortened Korean version of GDMS were high. Though items were reduced, internal consistency was still high and fitness indexes of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model were high. Finally, in addition to limitations of this study, themes and directions of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이 논문의 목적은 의사결정유형을 분류할 때 사용할 수 있는 일반의사결정유형(general decision making style; GDMS) 척도를 국내에서 사용가능하도록 검토하고 타당화하는 것이다. 사람들이 보여주는 판단과 선택의 기초가 되는 의사결정유형을 분류하는데 있어서 여러 나라들에서 신뢰도와 타당도를 지닌 것으로 밝혀진 GDMS 척도의 한국어판을 두 개의 연구를 통하여 검토하고 타당화하였다. 첫 번째 연구는 242명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이루어진 탐색적 연구로, 한국어판 GDMS 척도가 동일한 요인구조를 이루고 있는가를 알아보면서 구성 타당도를 검토하고, 의사결정역량과의 관련성을 살펴봄으로써 척도의 수렴타당도와 변별타당도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는 한국어판 GDMS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내적일관성계수가 높았기 때문에 신뢰도가 확인되었고, 선행연구들과 동일하게 5개의 요인이 추출되었으며, 의사결정역량 요인들과의 관련성도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에, 구성타당도, 수렴타당도, 및 변별타당도를 지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두 번째 연구는 215명의 다양한 연령층을 대상으로 공분산구조모형분석을 사용한 확인적 연구로, 축약형 GDMS 척도에 대한 타당화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20개의 문항으로 측정되는 5개의 요인을 상정한 축약형 의사결정유형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가 인정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문항수를 줄였음에도 높은 내적일관성계수를 보여주었기 때문에, 척도의 신뢰도를 확인할 수 있었고, 확인적 요인분석 모형의 적합도 지수들도 높게 나타났기 때문에 축약형 의사결정유형척도의 적합도도 확인되었다. 끝으로, 연구의 한계점과 앞으로 연구방향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유아교사의 실천적 지식이 의사결정 유형에 미치는 영향

        오은희(Ohe Eun Hee),김미애(Kim Mi Ai) 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연구소 2019 한국유아교육연구 Vol.21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유아교사와 현직유아교사의 실천적 지식과 의사결정 유형의 차이를 탐색하고 현직유아교사의 실천적 지식과 의사결정 유형 간의 상관관계 및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유아교사의 실천 속에서 올바른 의사결정을 하는 데 도움을 주는 실천적 지식의 기능과 역할을 파악하는 것이다. 분석을 위해 대전 · 충남지역에 소재한 유아교육과 학생 중 교육실습을 다녀온 3 ‧ 4학년의 예비 유아교사 150명과 유아교육기관에 근무하는 현직유아교사 200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2.0을 사용하여 두 집단의 비교를 위해 두 독립표본 t-검증과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하고, 실천적 지식수준과 의사결정 유형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현직교사가 예비교사에 비해 높은 실천적 지식을 지니고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하는 반면, 예비교사는 현직교사에 비해 실천적 지식 수준이 낮고 직관적, 즉각적 의사결정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현직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른 차이로 실천적 지식은 연령과 경력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나, 학력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의사결정 유형 중 합리적 유형은 대학원 학력 이상의 교사들이 높았으며, 의존적, 회피형 유형은 어린 연령의 교사들이 높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현직교사의 실천적 지식은 합리적, 의존적 의사결정 유형과 정적인 상관성을, 직관적, 즉각적 의사결정 유형과는 부적인 상관성을 보였다. 또한 현직교사의 교육환경지식과 유아이해는 교사의 합리적 의사결정에 영향을, 교육환경지식은 교사의 의존적, 회피적 의사결정에 영향을, 교육과정지식, 교육학습지식, 그리고 유아이해는 교사의 즉각적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에 근거하여 본 연구는 예비· 현직 유아교사의 실천적 지식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사교육과 교육경험을 활성화하여 유아교사들이 합리적인 의사결정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도움으로써 유아교사의 질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데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differences between practical knowledge and decision-making types of pre-service teachers and in-service preschool teachers. It also examined the correlations between in-service teachers practical knowledge and their decision-making types and how the practical knowledge have an influence on the types. 150 pre-service teachers who completed their practicum and 200 in-service teachers who were working in D city participated in the study. For data analysis, two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one-way ANOVA were conducted to compare the two groups and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teachers’ practical knowledge levels and their decision-making styles using SPSS 22.0. The results showed first, in-service teachers have higher practical knowledge and reasonable decision making than in-service teachers, while pre-service teachers have lower practical knowledge level and make intuitive and immediate decisions than in-service teachers. Second, the rational type of decision-making was higher for in-service teachers with higher education than a graduate level, and the dependent and avoidance type were higher for younger age teachers. Finally, the practical knowledge of in-service teachers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rational and dependent decision-making types an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intuitive and immediate decision-making types. In-service teacher s educational environment knowledge and child understanding influence their rational decision-making style, and their educational environment knowledge influences teacher s dependent and evasive decision-making styles. In addition, teachers’ curriculum knowledge, educational learning knowledge, child understanding have effects on their immediate decision-making style. It was discussed that it is important for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ors to help the teachers develop their practical knowledge so they can play important roles as rational decision-makers.

      • KCI등재

        중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자녀 간의 의사소통유형, 자아존중감, 우울과 진로의사결정유형의 관계

        서용원(Yong Won Seo),이지숙(Jee Sook Lee),김현순(Hyun Soon Kim),임명호(Myung Ho Lim) 한국콘텐츠학회 2018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8 No.12

        이 연구의 목적은 부모-자녀 간의 의사소통유형, 자아존중감, 우울과 진로의사결정유형의 관계를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2017년 7월 1일부터 한 달 간 대도시와 중소도시에 소재하는 4개의 중학교와 2개의 고등학교에서 중학생 399명, 고등학생 366명으로 선정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기술통계와 상관분석을 이용하여 각 변인사이의 상관관계를 확인하였고 다중회귀분석을 통하여 부모-자녀 간의 의사소통유형, 자아존중감 그리고 우울이 진로의사결정유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규명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와의 개방형 의사소통유형은 청소년의 합리적 진로의사결정유형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버지와의 개방형 의사소통유형은 직관적 진로의사결정유형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고등학생의 자아존중감은 합리적 진로의사결정유형과 정적 상관관계가, 의존적 진로의사결정유형과 부적 상관관계가, 우울은 의존적 진로의사결정유형과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상담 현장에서 부모-자녀 간의 의사소통유형, 자아존중감, 우울과 진로의사결정유형의 연관성에 대한 이해를 돕고 상담중재의 근거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the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styles, self-esteem, depression and career decision-making styles. The subjects were 399 middle school students and 366 high school students in four middle schools and two high schools in metropolitan and small towns for one month from July 1, 2017. Data were analyzed through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was used to see how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styles, self esteem, and depression affect the career decision-making style. As a result, first, open communication with mothers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rational career decision-making style and open communication with fathers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intuitive career decision-making style of adolescents. Second, self-esteem of adolescents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rational career decision-making style and negative correlation with dependent career decision-making style, and depression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dependent career decision-making style. The results may help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among the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styles, self-esteem, depression and career decision-making styles and be used for counseling intervention.

      • KCI등재

        발표논문 : 환자의 자기결정권에 관한 연구-의사,환자관계의 유형을 중심으로-

        박태신 ( Tae Shin Park ) 연세법학회(구 연세법학연구회) 2014 연세법학 Vol.24 No.-

        오늘날 의사·환자의 관계가 오히려 더욱 소원해지는 경향 속에서 환자의 권리 확보를 위하여 주요한 주제로 환자의 자기결정권이 거론되고 있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환자의 자기결정권이 무엇이고 그것을 둘러싼 문제점으로 어떠한 것이 있으며 어떻게 생각하여야 하는지의 문제가 논의되고 있다. 환자는 누구라도 기본적으로 자신의 신체나 정신에 일어날 일에 대하여 스스로 결정할 있다는 자기결정권을 가지는데 여기에는 ① 자기의 생명·신체의 처분에 관한 사항, ② 가족의 형성·유지에 관한 사항, ③reproduction에 관한 사항, ④ 기타 사항 등이 있다. 그런데 위와 같은 자기결정권의 내용과 관련해서는 ① 자기결정권을 이것과 함께 사용되는 많은 다른 개념과 구분하여야 하는 문제, ②자기결정권의 내용·의의에 관한 것, ③ 자기결정권이 수단적 가치인지, 목적적 가치인지의 문제 및 ④ 자기결정권과 관련하여 논의되는 여러 가지 문제 등의 논점이 있으나 여기에서는 환자의 자기결정권이라고 하는 한정된 범위에서 ⓐ환자의 자기결 정권을 헌법상 인권으로 볼 수 있는지, ⓑ 자기결정권을 사법상 권리로 인정할 경우 의사와 환자의 관계, ⓒ 의사·환자관계의 유형으로서 은혜유형, 계약유형, 신탁유형이라고 하는 3가지 이념형을 제시하고 그 중 신탁유형을 바탕으로 의사·환자관계를 생각하여야 한다고 하는 점 그리고 그와 같은 시각에서 바라 볼 때, 환자의 자기결정권과 관련한 여러 가지 문제를 어떻게 볼 수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결론적으로 우리나라에서 더 이상 환자의 자기결정권을 헌법적인 수준에서 논하는 것보다도 사법적인 수준에서 그 의의와 한계를 원만하게 논의할 필요가 있고 의사·환자관계를 신탁유형으로 파악하는 것이 환자의 자기결정에 관한 문제를 생각할 때 유익한 견해를 제공해 준다고 하는 점을 논증하기 위한 노력을 하였다. 미국의 특정조사가 보여주는 바와 같이 환자는 더욱 많은 정보를 요구하는 것이 현실이지만 자기결정이 바람직하지 않다고 하는 환자가 많다고 하는 점에 비추어 신탁유형은 그 희망을 실현하기 위한 기반으로 될 수 있을 또한 지적하였다. Relationship of physician and patients become estranged more than before. On the basis of such recognition, we need to and have to discuss the patient`s right to self-determination. In the midst of the discussions, theory and precedents to recognize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of a patient as a private law will being become the mainstream. The patient basically has a self-determination to decide for themselves on what will happen to his body and spirit. However, the contents and significance of the rights have not been clearly explained. Because there is a change in the doctor and patient relationship itself. In relation to this, the scholars have been discussed ① the self-determination and many of the concepts to be distinguished, ② the issues in the contents` significance of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and ③ the right of self¬determination to be used in its own value or in order to achieve other value problem. However, in this paper, I describe the general requirements for self-determination, and set the type of the doctor-patient relationship. And as the type, I have written the favor type, the contract type and the trust type. After that, I have asserted that the system of trust type must be considered a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octor` patient. In addition, I have concluded that discussing the right of self-determination of the patient in private law level is needed to be able to faithfully understand its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And to grasp the type of trust, the doctor and patients relationship were supposed to know the fact that give us useful resolution method to problems such as patient self-determination. That we have considered the doctor and patient as the trust type will give us the useful things. Because the self-determination are also all control of the information and appropriate medical care, it serves as a means for ensuring that the appropriate trust execution is carried out by a doctor.

      • KCI등재

        대학생의 의사결정유형,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동기와 진로미결정간의 관계

        김미영,이재신,이지혜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015 청소년상담연구 Vol.23 No.2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structural relation among types of decision making, career decision-making self efficacy, career motivation and career indecision of college students. In addition, the study tried to examine whether the career decision-making self efficacy and career motivation have any mediating effects on career indecision. 238 college students attending the colleges located in Chungbuk were sampled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major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fit of the final model explaining the relationship among the type of decision making, career decision-making self efficacy, career motivation and career indecision for college students was found out to be compliant with the standards. Second, the study was made to find out how the type of decision making affects the career indecision and how the career decision-making self efficacy, and career motivation have the mediating effect. The result showed that the type of decision making enhances the career decision-making self efficacy to expose the career motivation and then makes the enhanced decision making status. Especially, it was shown that the career decision-making self efficacy has the largest mediating effect. Accordingly, the college students shall get the training in a way that when they make the decision, they are not dependent but are reasonable and intuitive. Then, they could make their career decision-making self efficacy enhance and the level of career decision making improved. The long term and systematic career program shall be designed using such procedure. Key words: career decision making styles, career 본 연구는 대학생의 의사결정유형,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동기와 진로미결정간의 구 조적 관계를 검증하고, 의사결정유형과 진로미결정의 관계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진로동기가 매개효과를 가지는지를 확인함으로써 대학생들의 진로상담 프로그램 개발 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충북에 소재한 대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 238명이며,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실시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의사결정유형,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동기와 진로미결정의 관계를 설명하 는 구조모형은 모두 기준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의사결정유형이 진로미결정 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진로동기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의사결정유형은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을 높여 진로동기를 발현시킨 후 진로결정상태를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 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대학생의 합리적이고 직관적인 의사결정 훈련을 통해 진로결 정자기효능감을 높이고, 종국적으로 진로결정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기적이고 체계 적인 진로교육 프로그램이 고안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음을 말해준다.

      • 에니어그램 성격유형과 구매의사결정과정에 관한 연구

        윤여진,윤운성 한국에니어그램학회 2010 에니어그램연구 Vol.7 No.1

        본 연구는 에니어그램 성격유형과 구매의사결정과정에 관한 연구로 에니어그램 성격유형에 따라 구매의사결정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규명하는 연구이다. 438명의 응답을 토대로 연구한 결과는 에니어그램 성격유형이 제품의 구매의사 결정과정과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첫째, 5유형과 7유형은 제품의 기능 및 유용성에 의해 제품을 선택하였다. 둘째, 3번 유형은 다른 유형보다 여러 제품의 대안을 선택할 때 믿을만한 정보처(소비자 잡지, 객관적 리뷰, 품질마크)를 신뢰하였고, 4번 유형은 다른 유형보다 과거 경험이나 좋아하는 특정 브랜드를 신뢰하였다. 셋째, 3번 유형과 5번 유형은 각각 다른 유형보다 계획적으로 제품을 구매하였고, 4번 유형은 다른 유형보다 충동적으로 제품을 구매하였다. 넷째, 에니어그램 9가지 성격유형에 따라 제품 소비 후 평가에 대한 차이는 무의미하게 나타났다. 에니어그램 성격유형은 구매의사결정에 상호관련성은 매장에서 고객응대에 많은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