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瀟灑園48영”의 의미경관 구성에 있어서 음양오행론적의미(陰陽五行論的意味)

        장일영 ( Il Young Jang ),신상섭 ( Sang Sup Shin ) 한국전통조경학회 2013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31 No.2

        본 연구는 소쇄원 48영의 잠재적 의미경관 구성에 있어서 인간의 본성과 우주적 보편적 질서를 연결하는 사유체계라 할 수 있는 음양오행론(陰陽五行論)적 의미를 추출하는데 목적이 있다. 지금까지의 논의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소쇄원 48영에 대한 음양(陰陽)적 경관구성 중 자연과 행위의 관계를 형상화 한 시문은 작중 화자가 산수를 유유자적하게 완상하거나 답사하는 동적인 모습을 그렸다. 주로 양(陽)의 배속을 통해 동 남쪽에서 창작된 경우가 많았다. 반면 정적인 음(陰)의 경관구성이라 할 수 있는 자연과 경물을 형상화 한 시문은 북 서쪽 부근에서 창작된 경우가 많았다. 자연과 인공 경물을 작품으로 형상화 한 시문은 김인후 자신이 경물을 두고 의미경관을 표출하고자 한 경우와 있는 그대로의 사실적 정원의 이미지를 묘사한 경우로 구분 지을 수 있다. 시문은 행위의 표현보다는 경물을 형상화하는데 치중했음을 보여준다. 또한 제1영과 마지막 작품인 ‘장원제영’의 시문이 모두 같은 구역 안에 있다는 것은 음과 양, 자연의 순환원리가 내재된 종시(終始)적 공간으로 파악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2. 소쇄원 48영에 대한 오행론(五行論)적 경관해석 중 발산(發散)에 의해 결합된 세계로서 木, 火기(氣)를 들 수 있다. 먼저 목의 성정을 나타내는 시문은 경물을 형상화 한 시문이 많았으며, 정내의 전체구도에서 동향인 오곡문 구역에 배치되어 있었다. 시문의 내용은 유연하고 소박함 속에서 발생과 곡직(曲直)을 나타내고 있다. 화의 성정을 나타내는 시문은 행위를 형상화 한 시문이 많았으며, 정내에서는 낮에 해가 위치하는 남향인 애양단 구역에서 창작되었다. 모두 양의 속성인 발산과 상승을 특징으로 하는 변(變)의 운동에 오른 상태라 할 수 있다. 3. 소쇄원 48영에 대한 오행론적 경관해석 중 수렴(收斂)에 의해 결합된 세계로서 金, 水기를 들 수 있다. 먼저 금의 성정을 나타내는 시문들은 모두 경물을 형상화 한 시문이었고, 정내의 전체구도에서는 서향인 대나무 숲 구역에 배치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사계절 중 가을의 경치를 나타내며, 선비의 단호함과 의로움의 정결을 나타내고 있다. 수의 성정을 표현한 시문은 정원의 가장 상단이라 할 수 있는 북향의 제월당 부근에서 창작되었으며, 시간적으로 저녁 늦은 밤 달맞이를 하는 행위를 형상화 한 시문과 설경의 자연경물을 형상화 한 시문이었다. 모두 수렴에 의한 음으로 화(化)하는 기운을 표현한 시문이라 할 수 있다. 4. 소쇄원 48영에 대한 오행론적 경관해석 중 수렴과 발산의 복합체라 할 수 있는 土의 성정을 나타내는 시문은 내원의 경관 중 중앙에 위치한 광풍각 계류주변이며, 자연현상과 인공경물을 통해 작가의 행위를 매개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potential semantic landscape makeup of “the Forty Eight Poems of Soswaewon” according to Yin-Yang and Five Elements Principle(陰陽五行論). that speculation system between human`s nature and cosmical universal order. Existing academic discussions made so far concerning this topic can be summed up as follows: 1. Among Yin-Yang-based landscape makeups of the Forty Eight Poems of Soswaewon, poetic writings for embodiment of interactions between nature and human behaviors focused on depicting dynamic aspects of a poetic narrator when he appreciates or explores hills and streams as of to live free from worldly cares. Primarily, many of those writings were created on the east and south primarily through assignment of yang. On the other hand, poetic writings for embodiment of nature and seasonal scenery - as static landscape makeup of yin - were often created on or near the north and west for many times. Those writings focusing on embodiment of nature and artificial scenery as a work are divided into two categories: One category refers to author Kim In-hu`s expression of semantic landscape from seasonal scenery in nature. The other refers to his depiction of realistic garden images as they are. In the Forty Eight Poems of Soswaewon, the poetic writings show that author Kim focused on embodying seasonal scenery rather than expressing human behaviors. In addition, both Poem No. 1 and Poem No. 48(last poem; titled ``Jangwon Jeyeong``) were created in a same place, which author Kim sought to understand the place as a space of beginning and end where yin and yang - i.e. the principle of natural cycle - are inherent. 2. According to construction about landscape in the Forty Eight Poems of Soswaewon on the basis of Ohaeng-ron (five natural element principle), it was found that tree(木) and fire(火) are typical examples of a world combined by emanation. First, many of poetic writings depicting the sentiments of tree focused on embodying seasonal scenery and were located in the place of Ogogmun(五曲門) area in the east, from overall perspective of Soswaewon. The content of these poems shows generation and curve / straightness in flexibility and simplicity. Many of poems depicting the sentiments of fire(火) focused on embodying human behaviors, and they were created in Aeyangdan area on the south of Soswaewon over which sun rises at noon. These poems are all on a status of side movement that is characterized by emanation and ascension which belong to attributes of yang. 3. With regard to Ohaeng-ron`s interpretation about landscape in the Forty Eight Poems of Soswaewon, it was found that metal(金) and water(水) are typical examples of world combined by convergence. First, it was found that all of poems depicting sentiments of metal focused on embodying seasonal scenery, and were created in a bamboo grove area on the west from overall perspective of Soswaewon. They represent scenery of autumn among 4 seasons to symbolize faithfulness vested in a man of virtue(seonbi) with integrity and righteousness. Poems depicting sentiments of water were created in vicinity of Jewoldang on the north, possibly topmost of Soswaewon. They were divided into two categories: One category refers to poems embodying actions of welcoming the first full moon deep in the night after sunset, and the other refers to poems embodying natural scenery of snowscape. All of those poems focused on expressing any atmosphere of turning into yin via convergence. 4. With regard to Ohaeng-ron`s interpretation of landscape in the Forty Eight Poems of Soswaewon, it was found that poems depicting sentiments of earth(土), a complex body of convergence and emanation, were created in vicinity of mountain stream around Gwangpunggak which is located in the center of Soswaewon. These poems focused on carrying actions of author Kim by way of natural phenomena and artificial scenery.

      • KCI등재

        음양오행론에서 『淮南子』와 『五行大義』의 위상과 상이점

        강성인,김만태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2016 東洋學 Vol.62 No.-

        This study conducted comparative research on Huainanzi, which can represent Yin-yang and Five Elements in the Qin Dynasty(秦代) and the Han Dynasty(漢代), and Wuxingdayi in the Sui Dynasty(隋代). Huainanzi including Shicheukhun(時則訓) mentioned the Ruling with Times-Theory, contains a variety of the Theory of Yin-yang and Five Elements in Cheonmunhun·Jihyeonghun· Jusulhun(天文訓·墬形訓·主術訓), etc. So the Theory of Yin-yang and Five Elements is the most developed among literature up to the Han Dynasty. Wuxingdayi is the representative record of the Thory of Yin-yang and Five Elements that organizied and compiled the Yin-yang and Five Elements of ancient times generally. In the Theory of Yin-yang and Five-Elements discussed in Huainanzi, the Sheng·Geuk of the Five Elements and most of Wangsanghyususa(旺相休囚死) and ‘Putting things into Five Phases’ are similar with those of Wuxingdayi. However, Ganhap(干合) and Jihap(支合) theories, which were not exactly identified in Huainanzi, were established in Wuxingdayi. In Huainanzi, the Sheng(生) and Geuk(剋) theory was completed but the Hap(合) and Chung(沖) theory was not established, while in Wuxingdayi, the Sheng·Geuk·Hap·Chung theory was defined and it was developed to the Hyeong(刑) and Hai(害) theory. In the former, Haihap(會合) of the Earth(土) was called Osulin(午戌寅), which was arranged to Jinsulchukmi(辰戌丑未) in the latter. In Huainanzi, the period during which the Earth governs a year was not defined, thus it was described in various ways such as Sagyewolseol(四季 月說)·72Ilgyehaseol(72日季夏說)·30Ilgyehaseol(30日季夏說). But in Wuxingdayi, Jinmisulchukwol (辰未戌丑月) referring to Sagye (四季) was designated as the month when the Earth prevailed. 秦漢代의 음양오행론을 대표할 수 있는 『淮南子』와 隋代 『五行大義』의 음양오행론을 비교·분석하였다. 『회남자』는 時令을 기술한 「時則訓」을 포함하여 「天文訓」·「墬形訓」·「泰族訓」 등에서 음양오행 이론이 다양하게 수록되어 한대까지의 문헌 중 음양오행론이 가장 발전하였고, 『오행대의』는 古代의 음양오행 이론을 전반적으로 정리하여 편찬한 음양오행론의 대표적인 전적이다. 『회남자』의 음양오행론 중 오행의 생극과 왕상휴수사, 諸事物의 오행배속 등 대부분의 음양오행론이 『오행대의』와 상동하다. 그러나 오행의 生剋制化에서 『회남자』는 相生과 相剋을 설명하면서 合沖에 대한 논의가 없는데, 『오행대의』에서 干合과 支合, 그리고 干沖과 支沖의 합충이론을 기술하면서 생극합충 이론이 완성되었으며, 나아가 刑害 이론도 성립되었다. 그리고 『회남자』에서 토의 會合을 午戌寅이라 한 것을 『오행대의』에서辰戌丑未로 정리하였고, 『회남자』에서는 토가 일 년을 관장하는 기간이 정리되지 않아 四季月說·72日季夏 說·30日季夏說로 다양하게 사용하였으나, 『오행대의』에서 四季에 해당하는 辰未戌丑月을 토가 주재하는 달로 정하였다.

      • KCI등재

        김용(金庸)의 「소오강호 笑傲江湖」에 나타난 한의학적(漢醫學的) 음양오행론(陰陽五行論)

        안금영(An, Gum-Young) 한국문화융합학회 2018 문화와 융합 Vol.40 No.4

        『소오강호 笑傲江湖』는 홍콩의 작가 김용(金庸)(1924- )이 1967년에서 1969년 사이에 홍콩의 일간지 명보 『명보 明報』에 연재한 무협소설이다. 소설은 주인공인 화산파의 대 제자 영호충이 무술비급을 차지하려는 악인들의 탐욕 사이에서, 그리고 오악검파(五嶽劍派)와 일월신교(日月神敎) 사이의 투쟁이라는 외형적 갈등 속에서 겪는 사랑의 이야기이다. 이들 두 집단의 이름은 중국 문화의 뿌리 깊은 철학 사상을 내포하고 있는데, 작가의 계산된 의도로 보인다. 태양과 달을 의미하는 이 ‘日月(yang yin)’은, 음과 양의 또 다른 서체인 阴과 阳에 나타나듯이, 음양의 대표적 형태로서, 중국에서 道(Dao), 氣(Qi) 그리고 生命의 또 다른 형태로 이해되었다. 五行說은 우주의 모든 사물이 木 火 土 金 水 의 다섯 가지 요소로 이루어져 있으며, 지구의 모든 물질들은 그러한 특성으로 분류될 수 있다는 사고방식이다. 각자 독자적으로 발생한 음양론과 오행론은 점차 조화를 이루기 시작하여 BC 2세기 경 결합되어 음양오행론으로 정립되었다. 작가는 이 종합적인 세계관을 두 갈등 집단에게 나누어 부여하였지만, 음양과 오행의 출발점이 太極이듯이 인간 삶에 발생하는 갈등의 뿌리가 동일하다고 주장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렇게 우주를 하나의 ‘운영체계’로 이해하는 음양오행론은 인체를 이해하는 의학의 근본 원리가 되었다. 작품에서 초자연적 힘으로 나타나는 무술의 비법들이 그러한 음양오행에 근거한 한의학적 지식에 연계되는 것은 자연스런 과정이라 할 수 있겠다. 이렇게 소설의 서사구조는 철학, 의학, 무술, 인간 삶, 우주 등이 하나의 유기체적 관계에 있다고 말하고 있다. Xiaoao Jianghu or The Smiling, Proud Wanderer is a Martial arts novel written by a Hong Kong writer, Jin Yong(1924-) and published serially between 1967 and 1969 by “Ming Pao,” a Hong Kong daily. It is a romance story of Linghu Chong, the hero and favorite disciple of Mount Hua Sect, who struggles with the desire of people to get possession of the Secret Book of Martial arts and the conflict between Five Mountain Sword Sects Alliance and Sun Moon Holy Cult. The names of the two groups contain the traditional philosophies of Chinese culture, which seems to have been intended by the author. Yin, or the moon and Yang, or the sun were considered to be different forms of Dao, Qi and life in China as represented more specifically in the Chinese characters, “阴” and “阳.” The Five Elements theory is a set of beliefs that the universe is composed of and classified into the five elements: Wood, Fire, Earth, Metal, and Water. The Yin-Yang and the Five Elements theory, which were developed separately initially, gradually became harmonized and finally combined as one theory by the 2nd century BC. The author divided the comprehensive theory into two and attributed them to the opposing factions. However, he seems to argue that the source of all conflicts is shared by all humanity just as both Yin and Yang and the Five Elements stem from Taiji. The Yin-Yang and the Five Elements theory, which sees the universe as one “operating system” came to constitute the fundamental principle of Chinese medicine. It would be safe to assume that the Supernatural martial arts skills depicted in the novel is a corollary to the chinese medicinal knowledge based on the theory of Yin and Yang and the Five Elements. The narrative of the novel describes philosophy, medicine, martial arts, human life and the universe as parts of one organic entity.

      • KCI등재

        음양오행적 상상력에 기반한 <구운몽>의 창작과 향유 방식 연구

        황혜진 ( Hwang Hye-jin )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017 고전문학과 교육 Vol.35 No.-

        이 연구는 음양오행과 관련된 문화적 상상력이라는 참조 체계를 활용하여 <구운몽>의 창작과 향유 방식을 연구하였다. 음양오행의 상상력은 오랜 세월 생활문화뿐만 아니라 예술문화의 생성과 향유에도 영향을 끼쳤다. 김만중이 <구운몽>을 쓸 때에도 이러한 상상력을 기반으로 인물과 관계, 인연을 이루는 사건들을 구성했을 수 있다. 특히 이 연구는 김만중이 아직 팔선녀들의 이름과 개성을 구체화하기 전의 구상 단계에서 갑녀, 을녀, 병녀, 정녀 등으로 순서를 정하고 해당 천간(天干)이 지닌 음양오행적 속성을 고려하여 형상화 작업을 시도하지 않았을까 가정하였다. 다양한 천간의 특성을 핵으로 삼아 개성적 인물을 만들어낼 때, 중첩되는 인물 창조를 피하고 이들이 만드는 다채로운 관계의 양상과 사연을 구성하기 용이한 까닭이다. 위 표는 천간에 대응되는 <구운몽>의 인물을 배치한 것이다. <구운몽>은 각 천간적 특성을 인물 개성의 핵심으로 삼아 등장하는 시기와 배경, 인물의 성격과 분위기, 인물이 겪는 갈등의 원인과 주요 사건 등을 구성하였다. 초봄의 버드나무를 연상시키는 갑목의 진채봉은 솔직하고 적극적인 한편, 분칠한 담을 배경으로 하여 만개한 앵두꽃 같은 을목의 계섬월은 을목 답게 섬세하고 부드럽다. 해로 비유되기도 하는 병화의 정경패는 화려한 정사도 집의 무남독녀로서 모든 것을 환히 비추는 병화의 능력을 발휘하여 양소유가 연주하는 곡의 의미와 의도를 꿰뚫어보기도 한다. 또 정경패는 예(禮)를 중시하고 화를 참지 못하는 병화의 성격으로 양소유에게 속아 체면을 잃은 것에 대한 앙갚음을 반드시 하고야 만다. 병화가 한낮의 작렬하는 태양이라면 정화는 밤에 빛나는 달이나 촛불에 가깝다. 정화의 가춘운은 단아하고 신비로운 정화의 매력으로 양소유의 마음을 사로잡으며, 수시로 변화하는 불꽃처럼 여선이 되었다 귀신이 되었다 하는 등 연기에도 능하다. 영웅호걸을 마음대로 고르기 위해 자신을 창가에 팔거나 양소유를 따르기 위해 연왕의 천리마를 타고 도주하는 적경홍은 자주적이며 결단력 있는 경금의 특성을 잘 보여준다. 칼과 같이 날카로운 신금에 대응하는 인물인 심요연은 서늘한 기운과 함께 양소유 앞에 등장하여 창검 빛으로 화촉을 대신하며 그와 인연을 맺었다. 계수의 백능파는 물과 관련된 애욕으로 인한 고난을 겪으며 반사곡이란 차갑고 깊은 계곡에 유폐된 신세였다. 마지막으로 난양공주 이소화는 물처럼 아래로 흘러 하방(下方)의 존재를 감싸는 겸손함과 포용력으로 2처 6첩이 서로 자매로 일컫는 평등한 관계를 만들어내는 데 주도적인 역할을 하였다. 한편, 무토는 성진에, 기토는 양소유에 해당한다. 기토인 양소유는 무른 흙으로 팔선녀와 스며들고 동화되어 각색의 인연을 만들기에 적합한 기질을 갖추고 있으며, 그림의 ‘여백’처럼 자신은 비어 있으나 대상의 정을 비춰내는 기능을 담당한다. 무토인 성진은 너르고 단단한 무토의 기질답게 팔선녀와 양소유의 꿈[九雲夢]을 너른 흉중에 품고서 단단한 자신중심을 지키며 불도에 정념하고 자기를 따르는 도반(道伴)을 안정적으로 이끌 수 있었다. 개개 인물뿐만 아니라 서사세계를 구성하는 데 있어서도 <구운몽>은 음양오행적 상상력을 발휘한다. 음양오행에 따라 오악(五嶽)을 배치한 작품의 서두에서부터 작동시키는 음양오행적 상상력은 천간적 특성을 갖는 인물들의 개성을 감지하게 하는 생성적 틀로 작용하며, 나아가 인물의 개성이 잘 발현된 대화 장면에서 생동감 있게 움직인다. 인물의 형상뿐만 아니라 인물간의 관계에 대해서도 오행의 상생상극의 기운은 역동적으로 상호작용한다. 또 음과 양이 꼬리를 무는 미시적 사건의 연쇄, 양과 음의 세계를 오가는 거시적인 서사의 움직임, 그리고 음과 양이 서로를 품고 있는 구조 등을 갖춘 서사세계에 노닐며 수용자들은 마음속의 태극도가 움직이는 것 같은 느낌을 갖게 된다. 이런 점에서 <구운몽>은 추상적 음양오행론을 서사적으로 구현한 커다란 상징이라고 할 수 있다. 물론 작가인 김만중이 음양오행의 원리(道)를 의도적으로 상징화하려 하지는 않았을 것이다. 그러나 그 역시 오랜 세월에 걸쳐 형성되어 이미 다른 학문과 종교 영역에 습합된 음양오행적 상상력의 자장(磁場) 안에 있는 존재였으며 의식적이든 무의식적이든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었다. <구운몽>의 당대 향유자들도 마찬가지이다. 굳이 이 소설을 분석적으로 읽지 않아도 그들은 자연스럽게 음양오행적 상상력을 적용할 수 있었으며 익숙한 세계관과 인간관이 강화되는 쾌감을 얻었을 것이다. This study explores the creation and enjoyment of Kuwoonmong (九雲夢) using a reference system called the cultural imagination, which is related to the Yin-Yang (陰陽) and Wu Xing (五行). When Kim Manjung wrote Guwoonmong, he may have composed figures and events based on this imagination. In particular, when he designed the eight seonnyeo (팔선녀), he set the order such as Gap (甲), Eul (乙), Byeong (병), Jeong (丁), etc. and characterized them according to the celestial stem (天干). Thus it was easy to avoid overlapping of characters and to construct various stories and relationships between them. The table below shows the characters of Kuwoonmong corresponding to the celestial stem. In not only the individual person but also the narrative world, Kuwoonmon demonstrates Yin-Yang and Wu Xing's imagination. In this respect, Kuwoonmon can be considered a large symbol encompassing the abstract theory of Yin-Yang and Wu Xing. Of course, the writer, Kim, Manjung would not have tried to symbolize the principle intentionally. However, he was also present in the environment of the cultural imagination that has been formed over the years. The same is true for the contemporary recipients of Guwunmong. They would have had a pleasant experience applying the cultural imagination and strengthening their familiar world view and human view.

      • KCI등재후보

        음양오행론을 중심으로 한 사주명리학과 『황제내경』 의 질병 이론에 관한 고찰

        백강희,정미숙미숙 한국아유르베다학회 2024 아유르베다 융합 연구 Vol.16 No.-

        본 연구는 음양오행론을 중심으로 한 사주명리학과 『황제내경』의 질병 이론에 관한 고 찰로서 문헌 연구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음양오행론을 중심으로 한 사주명리학과 『황제내 경』의 질병 이론이 일치함을 밝히고, 사주명리학 질병 이론에 『황제내경』의 양생법을 활용 하여 많은 이들의 건강관리법에 도움을 주는 것에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음양오행론을 중심 으로 한 질병 이론에 대하여 세 가지 측면에서 고찰하였다. 첫째, 음양오행과 인체의 대응 관계가 사주명리학과 『황제내경』에서 각각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살펴봤는데, 肝·心·脾·肺·腎 인 오장(五臟)과 膽·胃·大腸·小腸·膀胱·三焦인 육부(六腑)의 음양오행이 모두 일치하였다. 둘 째, 음양오행을 중심으로 한 질병 이론에서 사주명리학과 『황제내경』 모두 음양오행의 태 과(太過) 또는 불급(不及)을 질병의 발생 원인으로 보는 점에서 일치하였다. 셋째, 오행에 따른 성정에서 사주명리학은 주로 용모와 성격에 관한 내용이 주를 이루고 있다면 『황제내 경』은 오장과 감정과의 연관성을 강조하는 부분에서 서로 차이가 있었다. 연구 결과 음양 오행론을 중심으로 한 사주명리학과 『황제내경』의 질병 이론이 음양오행과 인체 배속 관계 그리고 음양오행 불균형을 주요 질병 원인으로 보는 점에서 서로 일치함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is a literature study as an examination of the disease theory of Saju Myungri-Hak and 『Hwangje-Naegyeong』, focusing on the theory of yin-yang and five elem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e consistency between the Saju Myungri-Hak and the 『Hwangje-Naegyeong』 disease theory centered on the Yin-Yang and Five Elements theory, and to help many people manage their health by utilizing the health care methods of the 『Hwangje-Naegyeong』 to the Saju Myungri-Hak disease theory.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disease theory centered on the theory of yin-yang and five elements from three aspects. First, we looked at how the correspondence relationship between yin-yang and five elements and the human body appears in the Saju Myungri-Hak and the 『Hwangje-Naegyeong』respectively. The yin-yang and five elements of the five organs, which are the intestines, and the six organs, which are the stomach, large intestine, and small intestine, all coincided. Second, in the theory of disease centered on the yin-yang and the five elements, both the Saju Myungri-Hak and the 『Hwangje-Naegyeong』 were consistent with the yin-yang and the five elements. They were consistent in viewing the birth defects or non-performance as the cause of disease. Third, in the nature according to the five elements, the Saju Myungri-Hak mainly focuses on appearance and personality. While the contents mainly consist of related issues, 『Hwangje-Naegyeong』 differs from each other in that it emphasiz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ive organs and emotions. As a result of the study, it focused on the theory of yin-yang and the five elements. It was found that the disease theories of the Saju Myungri-Hak and 『Hwangje-Naegyeong』 are consistent with each other in that they view the relationship between yin-yang and the five elements and the imbalance of the yin-yang and the five elements as the main cause of disease.

      • KCI등재

        오행론(五行論)의 인문학적 위상과 동아시아 역대 왕조

        이민홍 ( Lee Min-hong ) 동방한문학회 2018 東方漢文學 Vol.0 No.75

        五行論과 禮樂論 三正論 및 文質論은 동아시아 人文學의 기반이다. 특히 오행론은 예악론과 더불어 고대와 중세의 정치 사회 문화 등 국가 통치의 이데올로기였다. ‘金·木·水·火·土·穀’의 六府는 천지만물 생육의 모태로 인식했으며 고대 유물론적 사유의 일환이었다. 육부는 民人의 물질적 삶의 근간이었고 여기에 ‘正德·利用·厚生’의 三事를 첨가하여, 이를 九功으로 요약한 뒤 음악에 입혀 <九歌>로 가창케 하여 백성들을 보육코자 했다. 秦 始皇 대에 와서 鄒衍의 음양오행설과 五德終始說이 결부되어, 왕조교체에 따른 권력 장악의 정당성의 홍보와 역성혁명의 합리화로 원용되었다. 오행론은 ‘五常·五德·五聲·五星·五色·律呂·五味·五臭·權量·五事·五臟·風水·醫術·占卜’등과 연계되어 백성 실생활에 침투했다. 중원 24史에도 『漢書』를 비롯하여 『明史』에 이르기까지 12여 正史에 「五行志」가 편성되어 있고 『淸史稿』에도 오행지에 수록될 내용이 산적되어 있다. 『고려사』에도 「오행지」가 비중 있게 편차되었다. 고려조의 이승휴와 태봉국의 弓王도 관심을 가졌고, 조선조의 70여의 선학들도 오행에 관한 다수의 글을 남겼다. 특히 정약용은 전래 오행론의 논리를 牽强附會에 불과하다고 폄하했다. 고대와 중세의 실상을 파악하기 위해 당시에 막중한 영향력을 행사했던 오행론의 검토는 절실하므로, 후학들이 이에 대한 관심을 가져야 할 필요가 있다. The theory of the Five Elements(五行論), the theory of the Ritual and Music(禮樂論), the theory of the Three Rights(三正論) and the theory of the Wen-zhi(文質論) are the basis of the East Asian humanities. In particular, the theory of the Five Elements(五行論) was the ideology of the national administration such as the politics, society and culture of the ancient and medieval times. Six elements(六府) - ‘Metal·Wood·Water·Fire·Earth·Grain’ - were recognized as the birthplace of all things and were part of ancient materialistic thought. It was the basis of the material life of the people, and added three things of 'Righteousness(正德), Utilization(利用) and Welfare(厚生) to it, summarizing it in the form of the nine contributions(九功), putting it in music so that it would sing as < Nine Songs(九歌) > to take care of the people. In the era of Qin Shi Huang(秦始皇), it was tied up with Chu-yeon(鄒衍)’s the theory of Yin-yang and five elements(陰陽五行說) and the theory of the five virtues circulation(五德終始說), so it was invoked as the promotion of justification for seizure of power following the replacement of the dynasty and the rationalization of the dynastic revolution. The theory of the Five Elements was associated with the five constant virtues(五常), the five virtues(五德), the five tunes(五聲), the five stars(五星), the five colors(五色), the five tastes(五味), Yul-ryeo(律呂), the five smells(五臭), scale(權量), the five works(五事), the five viscera(五臟), geomancy(風水), medical techniques(醫術) and divination(占卜), so it infiltrated into the real life of the people. In the Central Districts 24 histories, from 『Han-seo(漢書)』 to 『Myeong-sa(明史)』, 「Ohaeng-ji(五行志)」 was organized in 10 authentic histories. 「Ohaeng-ji(五行志)」 was significantly divided in 『Goryeo-sa(高麗史)』. Lee Seung-hyu(李承休) of the Goryeo dynasty and Gung-Ye(弓裔) of Tae Bong(泰封) paid attention, and more than 70 senior scholars of the Joseon Dynasty also wrote a number of articles on the Five Elements(五行). In particular, Jeong Yak-yong(丁若鏞) disparaged the theory of the Five Elements as a farfetched argument. In order to understand the realities of ancient and medieval times, it is imperative to review the theory of the Five Elements that had a great impact at that time. So younger scholars are necessary to be interested in this.

      • KCI등재

        中國古典에서 漢代 陰陽五行論의 성숙과정 考察 - 『淮南子』・『春秋繁露』・『白虎通義』를 중심으로

        강성인 한국외국어대학교 중국연구소 2019 中國硏究 Vol.80 No.-

        중국의 음양오행론은 전국시대에서 이론적인 형태가 갖추어지기 시작하여 漢代의 정치・사회・문화 등 다방면에 유행하였고, 당시의 諸文獻에 음양오행론이 다양하게 기술된다. 한대의 문헌 중 특히 『淮南子』・『春秋繁露』・『白虎通義』에 음양오행론이 중요하게 다루어졌는데, 한대의 세 문헌에 나타난 음양오행학론을 중심으로 生剋制化 이론의 기반이 되는 오행의 상생과 상극, 오행의 기세를 구분할 수 있는 오행의 십이운성법과 왕상휴수사, 四象의 설명을 통하여 木・火・金・水・土가 少陽・太陽・少陰・太陰・中宮에 결합되어 오행이 음양에 배속, 오덕종시설의 영향을 받아 한대에는 土를 중시하여 오행 중 土에 대한 해석이 다양해져 四季月說・72日季夏說・30日季夏說・土王四季說 등이 성립되는데, 이러한 음양오행론의 근간이 되는 제 이론들의 성숙과정 그리고 인월세수와 24절기 등이 정립되어 가는 과정을 고찰하였다. The theory of Yin-Yang and the Five Elements in China was theoretically organized during the Warring States period, became prevalent in many fields of politics, society and culture etc. in Han Dynasty, so was described in all the documents in a variety of way. Among the documents of Han dynasty, the theory of Yin-Yang and the Five Elements was dealt importantly particularly in 『Huainanzi(淮南子)』, 『Chunqiu Fanlu(春秋繁露)』 and 『Baihu Tongyi(白虎通義)』. As for the characteristics of the theory of Yin-Yang and the Five Elements in those three books of Han dynasty, the diagraming of Sangsaeng and Sanggeuk of the Five Elements, the foundation of the theory of Saenggeukjehwa(生剋制化), was made, Sibeewunseongbeop and Wangsanghyususa of the Five Elements that can divide the force of the Five Elements were covered, the Five Elements were combined with Yin and Yang wholly by the assignment of wood(木), fire(火), metal(金), water(水) and earth(土) to So-Yang(少陽), Tae-Yang(太陽), So-Yin(少陰), Tae-Yin(太陰), and Jung-Gung(中宮) through the explanation of Sasang(四象, four images), diversification in the interpretation of earth(土) among the Five Elements led to the establishment of theories on earth(土), such as Sagyewolseol(四季月說, the theory of four seasons), 72ilgyehaseol(the theory of 72 days of late summer), 30ilgyehaseol(the theory of 30 days of late summer) and Towangsageyron(土王四季論, the theory of four seasons with earth as the king) because earth(土) was regarded as important during Han dynasty under the influence of Odeokjongsiseol(the theory of ending and beginning by five virtues) and a new theory was established through the description of Inwolsesu, the 24 divisions of the year and so on.

      • KCI등재

        『淮南子』에 나타난 陰陽五行論의 특징

        강성인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2015 東洋學 Vol.58 No.-

        The thought of Yin-yang and Five Elements of Huainanzi(淮南子) is inherent in the naturalphenomenon, the concept of governance, the analogy system(類比體系), and as by the concepts ofthe haps and mishaps(禍福槪念). And the distinct features of the thought of Yin-yang and Five Elements are: First, the Earth(土)was described in various way, such as Sagyewolseol(사계월설), 72Ilgyehaseol(72일계하설),30Ilgyehaseol(30일계하설), so then the importance of the Earth was being emphasized, and it’scorrelative to Jijanggan(支藏干) theory as well. Second, at Jiji(地支) Hoeguk(會局), it wastheoretically described in peculiar way as in Ohsulin(午戌寅) Hapto(合土), so that there wasformed of a variety of interpretation method about the earth, such as Twelve Win Star(十二運星). Third, as in the wollyeong(月令), the numbers which were assigned to Five Elements(五行) arenot used Seangsu(生數), but only used Seongsu(成數) is that an ancient times, the pairs ofnumbers each other in Wollyeong become 5-Earth in late summer(季夏), 6-Water in winter, 7-Firein summer, 8-Wood in spring, and Metal-9 in autumn, so it seemed to be customary used. Fourth, when analyzing literatures about the Five Elements Assignment Table(五行配屬) ofmodern theory of Yin-yang and Five Elements and offering other five organs at the time ofperforming ancestral rites, it’s thought that there was a custom that, at those days, people hadmade offering to ancestors Spleen in spring [Wood], Lung in summer [Fire], Heart in late summer[Earth], Liver in fall [Metal], and Kidney in winter [Water]. Fifth, regarding the order of FiveElements, beginning from Water, Fire, Metal, Wood, Earth, Grain(水·火·金·木·土·穀) asmentioned in Thaizokhun (泰族訓), passing through Metal, Wood, Water, Fire, Earth(金·木·水·火·土), it had been change into Water, Fire, Wood, Metal, Earth(水·火·木·金·土) according tothe order of creation of all things, and again, by Five Cyclic Virtues(五德終始說), it had beenchanged into Earth, Wood, Metal, Fire, Water(土·木·金·火·水), and, according to the order of season; spring, summer, late summer, fall, and winter(春·夏·季夏·秋·冬), it had been changed into Wood, Fire, Earth, Metal, Water(木·火·土·金·水), as stated Chunmunhun(天文訓). 『회남자』의 음양오행사상에는 자연현상적인 음양오행사상과 통치개념의 음양오행사상, 그리고 類比體系로서의 음양오행사상과 災異와 禍福槪念으로서의 음양오행사상이 내재되어 있다. 그리고 음양오행론의 특징에는 첫째, 오덕종시설의 영향으로 토를 사계월설·72일계하설·30일계하설로 다양하게 서술함에 따라 토의 중요성이 부각되었고, 지장간 이론과도 상관관계가 있다. 둘째, 地支 會局에서 이론적으로 특이한 午戌寅 合土가 서술되어 토에 대한 다양한 十二運星 해석법이 나오게 되었다. 셋째, 월령에서 오행에 배속되는 숫자를 生數는 사용하지 않고 成數만 사용한 것은 고대에는 月令에 서로 짝이 되는 숫자가 季夏에는 5 ‒ 토, 겨울에는 6 ‒ 수, 여름에는 7 ‒ 화, 봄에는 8 ‒ 목, 가을에는 금 ‒ 9가 되어 관례적으로 사용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넷째, 제사를 지낼 때 현대 음양오행론의 오행 배속과 다른 오장을 먼저 바치는 것은 문헌들을 분석해 볼 때 당시에는 봄[목]에는 비장, 여름[화]에는 폐, 계하[토]에는 심장, 가을[금]에는 간, 겨울[수]에는 신장을 사용하는 풍습이 있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다섯째, 오행의 순서가 「泰族訓」에서 언급한 水·火·金·木·土·穀을 시작으로 금·목·수·화·토를거쳐, 만물이 생성된 순서에 따라 수·화·목·금·토로 변화되고, 다시 오덕종시설에 의하여 토·목·금·화·수로 변천하였다가, 春·夏·季夏·秋·冬의 계절 순서에 따라 「天文訓」에서 서술한 목·화·토·금·수로 변화하였다.

      • KCI등재

        태권도 띠 색에 대한 고찰

        김충환,구범준,김학덕 한국코칭능력개발원 2023 코칭능력개발지 Vol.25 No.6

        본 연구의 목적은 태권도 띠 속에 내재되어 있는 철학적인 사유체계를 전통문화 속에서 다양한 관점으로 고찰함으로서 태권도 띠에함축된 철학적 의미들을 밝혀내는 것이다. 문헌연구를 중심으로 진행하였으며, 연구는 한국 전통 사상과 문화뿐만 아니라 미술학, 민속학 등의 자료를 수집․정리한 후 심층 면담을 거쳐서 태권도 오방정색 띠의 이론적인 틀을 철학적인 면에서 제시하였다. 음양론과 음양오행론은 전통문화의 구성요소와 구성원리로써 한국인의 사유체계와 가치관, 세계관에 결정적으로 영향을 미쳤으며, 우리 태권도도복과 띠에도 음양오행론 사상이 스며들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우리 민족이 음양오행의 이치에 따라 색을 활용한 오방정색의 원리가 태권도의 띠 색깔 속에 함축되어있음을 확인하였다. 태권도 오방정색 띠는 한국인의 전통적인 색상의식을 계승하였으며 태권도 수련체계의 구성요소들 속에 내재되어 있는 흰 도복과 유급자, 유품자, 유단자의 각 띠의 의미를 음양오행론적인 철학 구성원리를 통해 확인하였다. 이에 따라 태권도 띠색에 부여된 음양오행론적 의미에서, 흰 띠는 정의(義), 노란 띠는 신뢰와 믿음(信), 파란 띠는 관용과 너그러움(仁), 빨간 띠는 예의(禮), 검정 띠는 슬기와 지혜(智)를 뜻한다. 그러므로 태권도 띠 속에 녹아있는 철학적 의미를 이해하고, 그에 맞게 행동하고 실천해 나갈 때 철학적 이론이 토대가 된 태권도문화를 발전시켜 나갈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uncover the philosophical meanings implied in the Taekwondo belt by examining the philosophical thinking system inherent in the Taekwondo belt from various perspectives in traditional culture. This research focused on literature research, and after collecting and organizing materials such as art and folklore as well as traditional Korean ideas and culture, through in-depth interviews, the theoretical framework of Taekwondo's pentagonal belt was presented in a philosophical aspect. The yin and yang theory and yin and yang five elements of traditional culture had a decisive influence on the Korean th8uniforms and belts. Therefore, it was confirmed that the principle of five square colors was implied in the belt color of Taekwondo of the Korean people. Taekwondo's five-sided color band inherited the traditional Korean color consciousness, and the meaning of each band of white robes, paid people, relics, and Yu Dan was confirmed through the principles of Yin-yang and Five-Oxenistic Philosophy. Accordingly, in the five-action theory of yin and yang given to the color of the taekwondo belt, the white belt means righteousness, the yellow belt means trust and faith, the blue belt means tolerance and generosity, the red belt means courtesy, and the black belt means wisdom and wisdom. Therefore, when understanding the philosophical meaning dissolved in the Taekwondo belt and acting and practicing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develop the Taekwondo culture based on philosophical theory.

      • KCI등재

        음양오행론에 근거한 메소아메리카의 퀸컹스 문양과 안데스의 차까나 문양 분석

        박호진(Park, Ho-Jin) 한국외국어대학교 중남미연구소 2015 중남미연구 Vol.34 No.3

        이 논문은 국내 중남미 학계에서 이미 언급되었던 콜럼버스 이전 메소아메리카 인의 사상의 이원적 상보성과 동아시아 사상의 음양론과의 유사성에서 더 나아가 메소아메리카의 퀸컹스 문양과 안데스 차까나 문양, 그리고 동아시아 사상의 음양오행론을 비교분석하여 콜럼버스 이전 메소아메리카 및 안데스인의 사상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는 단순히 동아시아의 음양오행론에 콜럼버스 이전 메소아메리카인의 사상과 안데스인의 사상을 꿰맞추려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세 사상을 상호 문화 주의적 관점에서 비교하여 이 삼자의 사상을 더 깊이 이해하려는 것이다. 단순히 세 문양을 비교하는 것도 국내 의상 디자인 학계에는 의미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그것은 메소아메리카의 직물에 나타난 문양이나 안데스 지역 직물에 나타난 문양들에 대해 이들이 관심을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고에서에는 첫째, 비교의 준거인 태극도를 설명하였고, 둘째, 메소아메리카의 퀀컹스와 안데스의 차까나 문양을 설명하였다. 또 이를 바탕으로 동 아시아 사상과 콜럼버스이전 메소아메리카 및 안데스 사상의 유사성과 차이점을 밝혔다. This paper tried to clarify ancient Mesoamerican and Andean thoughts in comparison with the yin yang and five elements theory of Asia based on the renowned similarities between the dualistic complementarity of the Mesoamerican thought and the yin yang theory of Asia. It does not mean that the investigator of present dissertation intends to exaggerate similarities among three of them. On the contrary, he intends to stimulate profound understandings of three autonomous thoughts in a reciprocal way through the inter-culturalist point of view. It is very useful to compare simply the three designs of different cultures for the domestic scholars of the field of designs because they showed a great interest in the designs appeared in Mesoamerican and Andean textiles. So, at first, the investigator explained the Taiji diagram of Zhou Lianxi, after that, Mesoamerican Quincunx and Andean Chakana in this paper. And, finally, he clarified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ancient Mesoamerican and Andean thoughts on the basis of the analysed data of the three designs compar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