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호텔종사원이 지각하는 노동유연성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마음챙김의 조절효과-

        김하얀 한국관광산업학회 2019 Tourism Research Vol.44 No.1

        As the business environment is rapidly changing today, the enterprises’ flexible and active coping with it exerts direct in fluence on their growth.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Laber Flexibility on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Hotel Employees. And, this study examines the moderating effect of perceived mindfulnes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aber flexibility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For this purpose, the following two hypotheses were proposed. Hypothesis 1. Labor flexibility will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Hypothesis 2. The relationship between laber flexibility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s moderated by mindfulness. The data collected from a survey of 296 Hotel Employees working on was analyzed using exploratory factor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mediation regression analysis. First, functional flexibility, internal numerical flexibility, wage flexibility positively influenced organizational commitment while external numerical flexibility negatively influence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Second, mindfulness moder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wage flexibility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results also show that the mindfulnessis not able to control the external numerical flexibility, internal numerical flexibility, functional flexibility. And, through the study result, the necessity of the laber flexibility management in the organizational aspect is presented with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노동시장의 환경적 변화를 의미하는 노동유연성은 종사원들과 조직성과 차원에서 연구되어 지고 있다. 노동유연성은 변화된 환경에서 필요한 것으로 종사원들의 지각과 결과변수에 영향을 미치는지 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호텔종사원을 대상으로 노동유연성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 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또한 마음챙김이 종사원의 노동유연성을 조절하는 역할을 하는지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두 가지의 가설을 설정하였다. 가설1. 노동유연성은 조직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2. 마음챙김에 따라 노동유연성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은 달라질 것이다. 실증분석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가 도출되었다. 첫째, 호텔종사원의 노동유연성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검정한 결과 하위변수 기능적 유연성, 내부 수량적 유연성, 임금 유연성은 정(+)의 영향을 미치며, 외부 수량적 유연성은 부(-)의 영형을 미친다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두 번째 호텔종사원의 노동유연성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마음가짐의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임금유연성만 조절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부 수량적 유연성, 내부 수량적 유연성, 기능적 유연성에 미치는 영향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따라 노동유연성은 조직구성원들에게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 수 있으며 마음챙김은 그들의 임금 유연성만 조절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연구결과를 통해 조직적 관점에서의 노동유연성 관리의 필요성을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으로 제시하였다.

      • KCI등재

        중학생의 유연성 유형에 따른 하위집단 분류 및 하위집단별 스트레스 인지와 학교적응의 차이검증: 잠재계층분석

        이재연,김성봉 한국청소년복지학회 2019 청소년복지연구 Vol.21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latent classes in terms of resilience types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and to verify differences in the levels of stress recognition and school adaptation between the identified latent classes. For doing this, we analyzed a total of 1,253 middle school studen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based on the eight sub-factors of resilience, four latent classes were identified, depending on the level of resilience: ‘resilience-low’, ‘resilience-intermediate low’, ‘resilience- intermediate high’, and ‘resilience-high’. Second, the difference between stress cognition and school adaptation according to the latent classes classified in terms of resilience was identified. Stress recognition factor was high in the order of ‘resilience-low’, ‘resilience-intermediate low’, ‘resilience-intermediate high’, and ‘resilience-high’ groups. School adaptation was the highest in the‘resilience-high’ group, followed by ‘resilience-intermediate high’, ‘resilience-intermediate low’, and ‘resilience-low’ groups. The upshot of this study is that subgroups according to resilience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were classified by considering classification error, and analyzed by the BCH method that includes result variables as condition model. These findings could be used as evidence-based data for enhancing resilience programs. 이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의 유연성으로 잠재계층을 구분하고, 잠재계층에 따라 스트레스 인지와 학교적응에 차이가 있는지 검증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확률적 표집으로 구성한 중학생 1,253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유연성의 개인내적 특성과 외적 보호요인의 8가지 하위요인으로 분석한 결과는 유연성 수준에 따라 네 개의 집단으로 분류되었으며, 유연성-하, 유연성-중하, 유연성-중상, 유연성-상 집단으로 명명하였다. 유연성으로 분류된 잠재계층에 따른 스트레스 인지와 학교적응의 차이검정을 실시한 결과는 스트레스 인지 하위요인 모두에서 유연성-하, 유연성-중하, 유연성-중상, 유연성-상 집단 순으로 유의하게 높았고, 학교적응은 하위요인 모두에서 유연성-상, 유연성-중상, 유연성-중하, 유연성-하 집단 순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이 연구는 분류오류를 고려하여 중학생의 유연성에 따른 잠재계층을 구분하였고, 결과변수를 조건모형으로 포함하여 연구 모형 안에서 검증하는 잠재계층 BCH방법으로 분석하였다는데 방법론적 의의가 있으며, 연구결과가 유연성 증진 프로그램을 위한 근거기반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 실천적 함의가 있다.

      • KCI등재

        서비스유연성의 구성요소, 영향요인 및 운영성과에 관한 연구

        이보라 한국서비스경영학회 2022 서비스경영학회지 Vol.23 No.1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lexibility component of service firms, organizational capability and service operation performance. The first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fine the concept of service flexibility and find a new dimension of service flexibility. Second, the factors influencing service flexibility are categorized into service leadership capability, service human resource management competency, and service process technical support competency, focusing on organizational capability. Third, classify service flexibility into service level flexibility, service human function flexibility, and service process flexibility, and empirically analyzes the relationship with operational performance. Lastly, it examines whether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ervice process in relation to organizational capability, service flexibility, and operational performa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suggest the following implications. Academically, first, redefines the concept of service flexibility and draws out the components to suggest a conceptual framework for flexibility in service operation management. Second,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service flexibility components and service operation performance. Third, comprehensive research model of organizational capability, service flexibility and operational performance. Practically, first,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service flexibility and enables flexibility in measuring and classifying service firms. Second, exploring the organizational capability management of service providers for service flexibility and operational performance. 본 연구는 서비스유연성의 구성요소와 기업의 조직역량, 서비스운영성과의 관계를 실증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의 목적은 첫째, 서비스기업을 대상으로 서비스유연성의 개념을 정의하고 구성요소를 도출한다. 둘째, 서비스유연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서비스기업 내부의 조직역량을 중심으로 서비스리더십 역량, 서비스인적자원관리 역량, 서비스프로세스 기술지원 역량으로 구분하고 조직역량과 서비스유연성의 관계를 파악한다. 셋째, 서비스유연성의 차원을 크게 서비스 수요대응 유연성, 서비스인적기능 유연성, 서비스개별화유연성으로 구성하고 유연성의 구성요소와 서비스기업의 운영성과의 관계를 규명한다. 이를 위해 서비스기업의 접점 근무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총 436개의 자료를 회수하여 최종적으로 410개의 유효응답을 실증분석에 사용하였다.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실시하여 가설을 검증한 결과 서비스리더십 역량은 서비스 수요대응 유연성, 서비스인적기능 유연성, 서비스개별화유연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서비스인적자원 관리역량도 서비스 수요대응 유연성, 서비스인적기능 유연성, 서비스프로세스 유연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서비스프로세스 기술지원역량도 서비스 수요대응 유연성, 서비스인적기능 유연성, 서비스개별화유연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서비스유연성의 구성요소가 서비스운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서비스 수요대응 유연성과 서비스개별화유연성은 운영성과에 유의한 정(+)의 영향이 나타났으나, 서비스인적기능 유연성은 운영성과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고 서비스 수요대응 유연성과 서비스개별화유연성을 통해 운영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한국판 대처유연성 질문지(COFLEX)의 타당화

        송지은,유성은 한국인지행동치료학회 2018 인지행동치료 Vol.18 No.1

        대처유연성은 상황에 따라 대처와 대처의 목표를 바꾸고 대처의 결과에 대해 고려할 줄 아는 능력을 말한다. 본 연구에서는 대처유연성을 측정하는 자기보고식 도구인 대처유연성 질문지(COFLEX)를 타당화하고, 대처유연성과 일반적인 대처와의 관계를 탐색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성인 461명을 대상으로 대처유연성(COFLEX, FGAS, CFS), 인지적 유연성, 우울 증상, 불안 증상, 삶의 만족도, 일반적인 대처를 측정하기 위한 자기보고식 설문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한국판 COFLEX의 신뢰도와 수렴타당도 및 준거타당도는 모두 적합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한국판 COFLEX는 원척도의 2요인 구조와 달리 지각된 대처자원, 대처행동 평가, 대처행동 유연성의 세 개의 요인이 추출되었다.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COFLEX의 3요인 구조는 원척도의 2요인 구조보다 더 높은 합치도 지수를 보였다. 한국판 COFLEX로 측정한 대처유연성은 일반적인 대처방식 중 문제 중심적 대처, 긍정적 해석과 수용 등의 적응적인 대처 사용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었고, 정서표출 및 사회적 지지추구와는 유의미한 상관이 나타나지 않았다. 인지적 행동적 회피 전략과 같이 부적응적인 대처를 덜 사용하는 것은 대처유연성 하위요인 중 대처행동 평가를 많이 하는 경우에만 해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높은 대처유연성과 적응적인 인지적, 행동적 대처전략의 사용과의 관계를 지지하지만, 대처유연성이 높다고 해서 적응적인 정서적 대처전략을 더 사용하거나 부적응적인 대처전략을 덜 사용한다는 근거는 부족함을 시사한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 결과 한국판 COFLEX는 한국 성인을 대상으로 사용하기에 타당한 대처유연성 척도임이 밝혀졌다. Coping flexibility refers to the ability to change goals and strategies of coping depending on the situation while considering consequences of coping behavior.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validate the Coping Flexibility Questionnaire (COFLEX; Vriezekolk et al., 2012) an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coping flexibility and general coping strategies. A total of 461 Korean adults completed self-report measures of coping flexibility (i.e., COFLEX, FGAS, CFS), cognitive flexibility, depression/anxiety symptoms, life satisfaction, and general coping. The COFLEX had a good reliability and validity. Contrary to the two-factor structure of the original scale, the results of factor analysis supported the three-factor structure of the COFLEX with the factors of perceived coping repertories, reflective coping, and flexible coping behavior.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indicated an adequate fit for the three-factor structure of the COFLEX in a Korean sample. In relationships of coping flexibility and general coping strategies, the COFLEX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problem focused coping and positive reframing and acceptance, and was not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emotion expression and seeking social support. In addition, maladaptive coping strategies such as mental and behavioral disengagement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the reflective coping factor of the COFLEX only. These findings indicated that individuals with high coping flexibility tend to use adaptive cognitive, behavioral coping strategies, but did not support they tend to use adaptive emotional coping or are less likely to use maladaptive coping. In conclusion, the Korean version of the COFLEX is a valid measure of coping flexibility for Korean adults.

      • KCI등재

        인적자원유연성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츠원쥔,진춘화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22 디지털융복합연구 Vol.20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 of human resource flexibility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 resource flexibility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order to achieve this research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on employees working in the service industry in China, an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echnological flexibility, behavioral flexibility, and relationship flexibility, which are sub-factors of human resource flexibility, all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Second,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 resource flexibility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t was verified that self-efficacy has a partial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echnological flexibility, behavioral flexibility, relationship flexibility,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Finally,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were presented and the future research direction was discussed. 본 연구의 목적은 인적자원유연성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함과 동시에 인적자원유연성과 조직몰입 간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실증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중국 내 서비스 업종에 근무하는 직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적자원의 유연성의 하위요인인 기술유연성, 행동유연성, 관계유연성은 모두 조직몰입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실증되었다. 둘째, 인적자원유연성과 조직몰입 간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자기효능감은 기술유연성, 행동유연성, 관계유연성과 조직몰입 간의 관계에서 모두 부분적 매개효과를 가진다는 것이 검증되었다.

      • KCI등재

        제조기업의 유연성과 성과 간의 관계

        박철순(Chulsoon Park),박상선(Sangsun Park) 한국생산관리학회 2011 韓國生産管理學會誌 Vol.22 No.2

        Using survey data of 193 firms from 22 manufacturing industries, we empirically show that manufacturing flexibility is composed of two hierarchical constructs: internal flexibility and external one. A structural equations model provides evidence that an organizational effort to improve the flexibility by a firm enhances the internal flexibility and this improves the external one sequentially. We also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external flexibility and two dimensions of business performance – new product development(NPD) and financial performance.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external flexibility not only directly enhances the financial performance but does indirectly through the NPD performance, which confirmed the mediating role of NPD performance between flexibility and financial performance. Finally, we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 of an external variable(quality requirement level of marke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anufacturing flexibility and business performances. The results suggest that NPD performance promotes financial performance in the higher level of quality-required market. 본 연구는 제조업의 생산유연성이 단계적으로 구분될 수 있는지와 조직차원의 노력이 어떠한 경로를 통해 생산유연성이 획득되는지를 실증적으로 확인하였다. 또한, 생산유연성이 기업의 여러 성과 차원과 어떤 관계를 갖고 있으며, 그 관계가 시장의 품질 요구 수준에 따른 조절효과의 영향을 받는지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제조업의 22개 업종, 193개의 기업이었으며 분석 결과, (1) 생산유연성은 내부와 외부 생산유연성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내부 생산유연성이 외부 생산유연성을 향상시킴을 확인하였다. 또한, (2) 생산유연성을 높이려는 조직차원의 노력은 내부 생산유연성을 직접적으로 향상시키지만, 외부 생산유연성을 직접적으로 향상시키지는 않음을 확인하였다. 생산유연성과 성과 간의 관계에서는, (3) 생산유연성이 신제품개발 성과와 재무성과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신제품개발 성과를 매개로 간접적으로 재무성과를 향상시킴을 확인하였다. 특히 (4) 신제품개발 성과와 재무성과간의 관계에 시장의 품질요구수준이 조절효과를 준다는 것을 실증하였다.

      • KCI등재

        호텔종사원의 노동유연성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전환비용의 조절효과

        박지홍 한국이벤트컨벤션학회 2019 이벤트 컨벤션 연구 Vol.15 No.2

        노동유연성은 종사원들과 조직성과 차원에서 연구되어 지고 있다. 노동유연성은 변화된 환경에서 필요한 것으로 종사원들의 지각과 결과변수에 영향을 미치는지 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호텔종사원을 대상으로 노동유연성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 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또한 전환비용이 종사원의 노동유연성을 조절하는 역할을 하는지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두 가지의 가설을 설정하였다. 가설 1. 노동유연성은 이직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2. 전환비용에 따라 노동유연성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은 달라질 것이다. 실증분석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가 도출되었다. 첫째, 호텔종사원의 노동유연성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검증한 결과 하위변수 외부 수량적 유연성은 정(+)의 영향을 미치며, 임금유연성은 부(-)의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두 번째 호텔종사원의 노동유연성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전환비용의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기능적 유연성은 불안해소비용에, 기능적 유연성 및 내부 수량적 유연성은 기회상실비용에, 내부 수량적 유연성은 탐색적응비용에 조절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따라 노동유연성은 호텔종사원들에게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 수 있으며 전환비용은 그들의 노동유연성에 조절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연구결과를 통해 조직적 관점에서의 노동유연성 관리의 필요성을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으로 제시하였다.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labor flexibility on the turnover intention of hotel employees. And, this study examines the moderating effect of perceived switching cos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abor flexibility and turnover intention. Design, data, and methodology –Labor flexibility was divided into four main components: ‘functional flexibility’, ‘internal numerical flexibility’, ‘external numerical flexibility’, and ‘wage flexibility’. The data collected from a survey of 306 hotel employees working on was analyzed using exploratory factor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mediation regression analysis. Result –First, external numerical flexibility positively influenced turnover intention while wage flexibility negatively influenced turnover intention. Second, uncertainty costs moder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functional flexibility and turnover intention, setup costs moder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functional flexibility, internal numerical flexibility and turnover intention. Conclusions – The study result, the necessity of the labor flexibility management in the organizational aspect is presented with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 생산요소 관련 제조유연성이 제조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증적 연구

        최규상(Choi, Kyoosang),오중산(Oh, Joongsan) 한국경영교육학회 2010 한국경영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10 No.6

        본 연구는 자동차 부품산업과 전자 부품산업에 속한 제조업체들을 대상으로 생산요소 관련 제조유연성들(기능유연성, 기계유연성, 생산방식유연성) 간의 인과관계와 이들이 제조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규명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본 연구에서 기능유연성은 작업자들의 다기능숙련 정도로 측정되었으며, 기계유연성과 생산방식유연성은 범주·이질성·이동성·균일함과 같은 네 가지 차원으로 측정되었다. 공장을 분석단위로 구조방정식을 이용하여 모형을 추정한 결과, 기능유연성은 다른 두 가지 제조유연성에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기능유연성과 생산방식유연성은 모두 제조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반면 기계유연성은 예상과 달리 제조성과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기업은 기능유연성이나 생산방식유연성과 같은 무형의 생산요소와 관련된 유연성을 제고함으로써 제조성과를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ausal relationships among functional flexibility, machine flexibility, method flexibility and manufacturing performance. The data of this study were collected from manufacturing companies operated in the automotive and electronic parts industries. Functional flexibility was measured by the degree of a worker's multi-skilling. Machine and method flexibilities were measured by four dimensions: range-number, range-heterogeneity, mobility and uniformity. The proposed relationships were tested at the factory level by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s anticipa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functional flexibility has a positive effect on other manufacturing flexibilities. In addition, both functional and manufacturing flexibilities have positive influences on manufacturing performance. However, the effect of machine flexibility on manufacturing performa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companies can improve their manufacturing performance by facilitating flexibilities ofintangible manufacturing resources such as functional flexibility and method flexibility.

      • KCI등재

        고성과 인적자원관리관행과 조직성과 간 관계에서 인적자원 유연성의 매개효과

        전인 ( In Jun ),오선희 ( Sun Hui Oh ) 한국산업노동학회 2014 산업노동연구 Vol.20 No.2

        노동시장의 유연화에 따른 인적자원관리의 변화는 기업의 경쟁우위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이 되고 있다. 그동안 자원기반관점을 전제로 한 인적자원관리의 실증연구들은 인적자원관리관행이 조직의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검증함으로써 인적자원관리 연구의 이론적 토대를 제공하였다. 그러나 최근에는 고성과 인적자원관리관행이 어떻게 조직의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내부 프로세스를 규명하고자 하는 실증연구들이 많이 진행되어왔다. 급변하는 경쟁환경에서 종업원의 유연성은 고성과 인적자원관리관행과 기업 경쟁우위의 관련성을 설명하는데 중요한 내부 메커니즘으로 강조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고성과 인적자원관리관행이 인적자원 유연성에 미치는 영향 및 조직성과 간 관계에서 인적자원 유연성(기술유연성, 행동유연성, 관계유연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97개의 제조업 및 서비스업, 기타 기업을 대상으로 한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먼저 고성과 인적자원관리관행은 인적자원 유연성의 구성요소인 기술유연성, 행동유연성, 관계유연성을 향상시키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매개효과 검증결과, 고성과 인적자원관리관행은 조직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며, 매개변수인 행동유연성과 관계유연성은 부분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기술유연성은 매개효과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인적자원 유연성의 중요성에 대해 논의하고, 실무적 관점에서 고성과 인적자원관리관행의 실행과 인적자원 유연성과 관련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한계점과 추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our empirical study is to test the mediating role of HR flexibility in the high performance HR practices-performance linkage. We collected data by administering structured questionnaires to firms` HR managers who take change in daily activities of personnel issues and are close to gain performance data. The survey took place from August to October 2013 on a total sample of 1,005 workplace with 100 or more employees and the firms known as excellent workplace innovation cases. A total of 297 valid responses (one response per one workplace) were included for the analysis. This study found that high performance HR practices had a positive impact on HR flexibility and organisational performance as well. In addition, we showed that HR flexibility could play a intermediary role in high performance HR practices-performance linkage in general. Using the RBV arguments, this paper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human resource for organisational performance in the high performance HRM field. That is, internal, excellent human resource can be a crucial source of firm`s competitive advantage in the current business environment. In conclusion, we discussed theoretical contributions and managerial implications in details.

      • KCI등재

        기업지배구조의 유연성에 대한 소고 - OECD 논의를 중심으로 -

        김용춘(Kim Yong Choon) 국민대학교 법학연구소 2021 법학논총 Vol.34 No.2

        우리나라에서도 기업 지배구조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면서 관련 법제도에 많은 변화가 있어왔다. 하지만 이러한 변화는 기업 지배구조의 유연성을 확보하기 보다는 대주주의 권한을 제한하는데 초첨이 맞추어져 있었다. 그리고 현재 주장되고 있는 기업 지배구조 개선 요구들도 기업 지배구조의 유연성과는 거리가 있다. 이와 관련하여 2018년 OECD에서 기업 지배구조의 유연성에 대한 의미 있는 보고서가 나왔다. OECD는 기업 지배구조의 유연성(Flexibility)의 개념을 계약적 자유(contractual freedom)를 누릴 수 있도록 다양한 선택권(many options)을 부여하고, 현실성을 충분히 갖춘 제도로 이해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기준에 따라 OECD는 39개국의 기업 지배구조의 유연성에 대한 조사연구를 실시하여 그 보고서를 발간했다. 유연성과 관련해서는 이사회에 관한 규정, 경영진 보수에 관한 규정, 관련 당사자간 거래에 관한 규정, 정기적인 재무정보 및 특별 정보의 공개, 주요주주의 공개, 기업 인수합병에 대한 규정, 신주인수권에 관한 규정 등 총 7개 분야로 나누어 분석했다. 또 유연성 판단 기준으로는 상장 여부, 기업의 규모, 기업의 법적 형태에 따른 다양한 선택권이 있는지를 조사했다. 이 보고서는 유연성 여부에 대한 비교만 했을 뿐, 얼마나 유연한 지에 대한 분석까지 이루어지진 못했다는 한계가 있다. 하지만 유연성이라는 개념을 전면에 내세워 국제적 논의를 시작했으며, 구체적 기준에 따라 각국의 제도를 비교 분석했다는 점에서 큰 의의를 갖는다. 이러한 OECD 보고서를 바탕으로 이 글은 우리나라 기업 지배구조에 대한 몇 가지 시사점을 던지고 있다. 첫째 연성규범의 활용을 확대할 것, 둘째 기업 지배구조에 관한 다양한 선택지를 도입할 것, 셋째 현실과 맞지않는 사외이사 결격사유와 같은 규정의 개선이 그것이다. 우리나라에서는 기업 지배구조의 유연성에 대한 논의가 상대적으로 적은 편인데, 향후 관련 논의를 활발히 하고, 나아가 국제적 비교를 통한 기업 지배구조 개선 논의로 이어지길 기대한다. In Korea, as interest in corporate governance has increased, there have been many changes in related legislation. However, these changes focused on limiting the rights of major shareholders rather than securing flexibility in corporate governance. In addition, the demands for improving corporate governance currently being argued are far from the flexibility of corporate governance. In this regard, a meaningful report on the flexibility of corporate governance was released in the OECD in 2018. The OECD seems to understand the concept of flexibility in corporate governance as a system that gives various options and meets reality to have contractual freedom. According to these standards, the OECD conducted a survey on the flexibility of corporate governance in 39 countries and published the report. As for flexibility, it was analyzed in seven areas: Board composition, Disclosure of information, Major shareholding disclosure, Preemptive rights, Related party transactions, Say on pay, Takeovers. In addition, as a criterion for determining flexibility, it was investigated whether there were various options depending on Size, Ownership/control structure, Listing/publicly traded, Maturity of the firm, Accounting standards used, Legal form. There is a limitation in that this report only compares flexibility and has not been able to analyze how flexible it is. However, it is of great significance in that it started international discussions with the concept of flexibility at the forefront and compared and analyzed the systems of each country according to specific standards. Based on these OECD reports, this article has several implications for Korea"s corporate governance structure. First, expanding the use of soft law, secondly, introducing various corporate governance options, and thirdly, improving regulations such as reasons for disqualification of independent directors that do not fit our reality. In Korea, there are relatively few discussions on the flexibility of corporate governance, and we hope that related discussions will be actively conducted in the future and further discussions on improving corporate governance through international comparis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