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불량식품 사건발생 실태와 경찰의 위해방지 대책

        정웅 한국치안행정학회 2014 한국치안행정논집 Vol.11 No.2

        본 연구는 최근 불량식품 유통에 따른 소비자 질병유발 위험 등 우리사회의 먹거리 불안에 대 한 대책 마련 필요성을 제기하면서, 특히 식품 팽창제ㆍ표백제 등 화학적 위해요소(독성물질)이 포함된 불량식품의 인체유해 위험성과 그 단속활동에 대한 문제점을 분석하고 위해방지를 위한 단계별 대책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식품첨가물, 농약, 중금속, 환경호르몬 등 화학적 독성물질에 의한 식중독은 체내 흡수가 빨라서 중독량에 달하면 급성증상을 보이고, 미량씩 장기간 섭취할 경우에도 체내에 축적되어 만성중독을 유발한다. 또한 다른 독성요소와 달리 화학적 위해요소에 의한 인체유해는 계절과 관계없이 발생하며 일단 유발되면 대규모로 발생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는 특징이 있다. 최근까지도 이러한 인체유해 불량식품 사건이 빈발하였으며, 독성 위해식품의 인 체 위험성에도 불구하고 불량식품에 대한 단속활동은 위해식품보다는 과장광고ㆍ표시위반 식품 위주의 단속, 식품안전 취약 대상(아동, 노약자, 임산부) 보호와 관련 식품 단속의 미흡, 압수ㆍ잔 여 불량식품 폐기 처리의 애로 등 문제점이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불량식품의 척결, 그중에서도 특히 인체 유해한 위해식품의 근절을 위한 단계별 대책으로서 첫째, 위해요소 발생단계에서 검사 성적서 등의 철저한 확인을 통한 위해요소의 저감화, 둘째, 질병유발 예방단계에서 질병유발 고위 험 소비자군의 중점관리, 셋째, 불량식품 단속단계에서 유해ㆍ독성물질 사용 식품군에 대한 단속 강화, 넷째. 단속활동 후속단계에서 불량식품 확산 방지를 위한 식품회수ㆍ처리 조치의 적기 시행 등이 특히 강조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rope for some phased countermeasures from the regulatory activities of recent harmful food case containing toxic materials, especially chemical hazard(food additives, industrial chemicals, etc). When people get sick from food poisoning by the toxic chemicals, generally the harmfulness to human health comes out as distinctive features like acute poisoning and chronic addiction. Furthermore it takes place regardless of season, once it occurs, there is a high possibility of appearance on a large scale. In spite of such a recurrent harmful food case the problem of the police activities, they work harder to counter the false advertising and food labeling violation than harmful food itself. In addition they fall short of food safety expectations for the vulnerable including children, the old and the weak, pregnant women and nursing mothers. They are faced with a bottleneck in the disposal of residual harmful food as well. In the perspective of risk prevention and crackdown against harmful food, this study suggests the phased countermeasure which passes through four stages in food circulation. That is, the first is a decrease of chemical hazard by thorough identification of examination documents in the generation stage of toxic materials. The second is critical attention to high risk consumer group in the prevention stage of disease. The third is more intensive control over harmful food group containing toxic materials in the crackdown stage of harmful food. The fourth is timely disposal measure against the spread of the rest harmful food in the follow-up stage of crackdown.

      • KCI등재

        위해요소관리 중심의 GAP모델 확립을 위한 사과 재배단계의 화학적, 생물학적 위해평가

        심원보,김경열,김정숙,윤요한,김장억,심상인,김윤식,정덕화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2013 농업생명과학연구 Vol.47 No.1

        본 연구에서는 위해요소관리 중심의 사과 GAP 모델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경남에 소재한 GAP 미인증 사과농장 3곳을 선정하여 재배단계에서 화학적(중금속), 생물학적 위해요소(위생지표세균, 병원성 미생물, 곰팡이)를 분석하였다. 화학적 위해요소인 중금속은 재배환경 중 토양에서만 국내 허용치 이하 수준으로 Cu, Pb, Zn 및 Ni이 검출되었다. 생물학적 위해요소의 경우 일반세균과 대장균군은 재배환경에서 각각 0.8~6.1과 0.0~5.0 log CFU/g(or mL), 사과와 잎에서 0.4~3.6과 0.0~3.5 log CFU/g(or leaf), 개인위생에서 3.2~5.3과 0.4~2.7 log CFU/hand(or 100 cm2) 수준으로 검출되었고, 대장균은 모든 시료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병원성 미생물은 S. aureus가 작업자의 손에서 최대 4.4 log CFU/hand 수준으로 검출되었고, B. cereus는 사과를 제외한 모든 시료에서 0.0~5.2 log CFU/g(or leaf, mL, hand or 100 cm2) 범위로 검출되었으며, L. monocytogenes, E. coli O157:H7 및 Salmonella spp.는 검출되지 않았다. 곰팡이는 모든 시료에서 0.0~4.9 log CFU/ g(or leaf, mL, hand or 100 cm2) 수준으로 검출되었다. 이상의 결과는 안전한 사과를 생산하기 위한 위해요소관리 중심의 사과 GAP 모델 개발에 있어 재배환경 및 재배단계에서의 위해요소를 파악하고 분석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assessed chemical(heavy metals) and biological(sanitary indications, foodborne pathogens and fungi) hazards at the growing stage of apple farms uncertified GAP for the establishment of GAP in the production of apple. A total of 96 samples were collected from 3 apple farms located in Gyeongnam and tested for the analysis of hazards. Heavy metals were detected in soil, but their levels were lower than Korean regulation. For biological hazards, APC and coliform were detected at the level of 0.8~6.1 and 0.0~5.0 log CFU/g(or mL) in the cultivation environment, respectively. Also, they were detected at the level of 0.4~3.6 and 0.0~3.5 log CFU/g(or leaf) in the crops and 3.2~5.3 at 0.4~2.7 log CFU/hand(or 100 cm2) on the workers, respectively. But Escherichia coli was not founded in any samples. In case of major foodborne pathogens, Staphylococcus aureus was 4.4 log CFU/hand on the workers' hand and Bacillus cereus was detected at the level of 0.0~5.2 log CFU/g(or leaf, mL, hand or 100 cm2) in all the samples except the apples. Listeria monocytogenes, E. coli O157:H7 and Salmonella spp. were not detected. The level of fungi were 0.0~4.9 log CFU/ g(or leaf, mL, hand or 100 cm2) in all the samples. These results could be useful as basic data to understand and analyze chemical and biological hazards on the development of GAP model to produce a safe apple.

      • KCI등재

        위해요소관리 중심의 GAP모델 확립을 위한 사과 재배단계의 화학적, 생물학적 위해평가

        심원보,김경열,김정숙,윤요한,김장억,심상인,김윤식,정덕화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2013 농업생명과학연구 Vol.47 No.1

        본 연구에서는 위해요소관리 중심의 사과 GAP 모델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경남에 소재한 GAP 미인증 사과농장 3곳을 선정하여 재배단계에서 화학적(중금속), 생물학적 위해요소(위생지표세균, 병원성 미생물, 곰팡이)를 분석하였다. 화학적 위해요소인 중금속은 재배환경 중 토양에서만 국내 허용치 이하 수준으 로 Cu, Pb, Zn 및 Ni이 검출되었다. 생물학적 위해요소의 경우 일반세균과 대장균군은 재배환경에서 각각 0.8~6.1과 0.0~5.0 log CFU/g(or mL), 사과와 잎에서 0.4~3.6과 0.0~3.5 log CFU/g(or leaf), 개인위생에 서 3.2~5.3과 0.4~2.7 log CFU/hand(or 100 cm2) 수준으로 검출되었고, 대장균은 모든 시료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병원성 미생물은 S. aureus가 작업자의 손에서 최대 4.4 log CFU/hand 수준으로 검출되었고, B. cereus는 사과를 제외한 모든 시료에서 0.0~5.2 log CFU/g(or leaf, mL, hand or 100 cm2) 범위로 검출되었 으며, L. monocytogenes, E. coli O157:H7 및 Salmonella spp.는 검출되지 않았다. 곰팡이는 모든 시료에서 0.0~4.9 log CFU/ g(or leaf, mL, hand or 100 cm2) 수준으로 검출되었다. 이상의 결과는 안전한 사과를 생 산하기 위한 위해요소관리 중심의 사과 GAP 모델 개발에 있어 재배환경 및 재배단계에서의 위해요소를 파악하 고 분석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assessed chemical(heavy metals) and biological(sanitary indications, foodborne pathogens and fungi) hazards at the growing stage of apple farms uncertified GAP for the establishment of GAP in the production of apple. A total of 96 samples were collected from 3 apple farms located in Gyeongnam and tested for the analysis of hazards. Heavy metals were detected in soil, but their levels were lower than Korean regulation. For biological hazards, APC and coliform were detected at the level of 0.8~6.1 and 0.0~5.0 log CFU/g(or mL) in the cultivation environment, respectively. Also, they were detected at the level of 0.4~3.6 and 0.0~3.5 log CFU/g(or leaf) in the crops and 3.2~5.3 at 0.4~2.7 log CFU/hand(or 100 cm2) on the workers, respectively. But Escherichia coli was not founded in any samples. In case of major foodborne pathogens, Staphylococcus aureus was 4.4 log CFU/hand on the workers' hand and Bacillus cereus was detected at the level of 0.0~5.2 log CFU/g(or leaf, mL, hand or 100 cm2) in all the samples except the apples. Listeria monocytogenes, E. coli O157:H7 and Salmonella spp. were not detected. The level of fungi were 0.0~4.9 log CFU/ g(or leaf, mL, hand or 100 cm2) in all the samples. These results could be useful as basic data to understand and analyze chemical and biological hazards on the development of GAP model to produce a safe apple.

      • KCI등재

        콩 GAP 모델 확립을 위한 재배환경의 위해요소 조사 및 분석

        김경열,김정숙,심원보,정찬식,박금룡,정덕화,송정언,허록원,이원경,남민지,길중권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2010 농업생명과학연구 Vol.44 No.6

        Soybean farms in Changnyeong were selected for hazard analysis to establish the Good Agricultural Practices (GAP) model of soybean, and physical, chemical(heavy metal) and biological(sanitary indications, foodborne pathogens) hazard analysis for cultivation environment (soil, water) was carried out. First, bow which is able to be mixed in soil and water was confirmed as physical hazard. Levels (Cd:0.01~0.103, Cu:0.001~6.036, As:0.006~3.045, Hg:ND~0.041, Pb:0.003~3.952, Cr+6:0.007~0.496, Zn:0.001~66.500, Ni:0.003~18.010) of heavy metals in soil and water were appropriate for GAP criteria. In biological hazard, APC and coliform in soil were detected at the levels of 6.0±0.3 and 3.6±1.6 log CFU/g, and levels of water were 3.5±0.7 and 1.9±0.7 log CFU/mL, while E. coli wasn’t detected in all sample. However, coliform in water wasn’t appropriate for criteria, and E. coli O157 was detected about 22% in some farms, so it needs ways to prevent contamination by human and animals excrements. In conclusion, it needs proper management to prevent cross-contamination of hazards although physical and chemical hazard level were appropriate for GAP criteria while biological hazard wasn’t. 콩 GAP 모델 확립을 위해 경남 창녕에 소재한 콩 재배농가 3 곳을 선정하여 각 재배환경에 대한 물리적, 화학적(중금속) 및 생물학적(위생지표세균, 병원성 미생물) 위해요소를 분석하였다. 재배환경에 대한 물리적 위해요소로는 토양과 농업용수에 혼입될 수 있는 이물 등으로 확인되었고, 화학적 위해요소 중 토양과 농업용수에서의 중금속 (Cd:0.01~0.103, Cu:0.001~6.036, As:0.006~3.045, Hg:ND~0.041, Pb:0.003~3.952, Cr+6:0.007~0.496, Zn:0.001~66.500, Ni:0.003~18.010)이 모두 허용기준치 이하로 검출되었다. 생물학적 위해요소의 경우, 위생지표세균은 토양에서 일반세균과 대장균군이 6.0±0.3 및 3.6±1.6 log CFU/g, 농업용수는 3.5±0.7 및 1.9±0.7 log CFU/mL 수준으로 각각 검출되었고, E. coli는 모든 시료에서 불검출 되었다. 그러나 농업용수에서 대장균군이 허용기준치를 초과하였고, E. coli O157도 토양 중에서 약 22%가 검출됨에 따라 분변오염 방지를 위한 적절한 방안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결론적으로 재배환경 중 물리적 및 화학적 위해요소 (중금속)의 오염수준은 허용기준에 적합했지만, 생물학적 위해요소의 경우 농업용수에서 대장균군이 기준치를 초과함에 따라 최종산물로의 교차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체계적인 관리방안이 모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콩 GAP 모델 확립을 위한 재배환경의 위해요소 조사 및 분석

        김경열,송정언,허록원,이원경,남민지,김정숙,심원보,길중권,정찬식,박금룡,정덕화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2010 농업생명과학연구 Vol.44 No.6

        콩 GAP 모델 확립을 위해 경남 창녕에 소재한 콩 재배농가 3 곳을 선정하여 각 재배환경에 대한 물리 적, 화학적(중금속) 및 생물학적(위생지표세균, 병원성 미생물) 위해요소를 분석하였다. 재배환경에 대한 물리적 위해요소로는 토양과 농업용수에 혼입될 수 있는 이물 등으로 확인되었고, 화학적 위해요소 중 토 양과 농업용수에서의 중금속 (Cd:0.01~0.103, Cu:0.001~6.036, As:0.006~3.045, Hg:ND~0.041, Pb:0.003~3.952, Cr+6:0.007~0.496, Zn:0.001~66.500, Ni:0.003~18.010)이 모두 허용기준치 이하로 검출되었다. 생물학적 위해요소의 경우, 위생지표세균은 토양에서 일반세균과 대장균군이 6.0±0.3 및 3.6±1.6 log CFU/g, 농업용수는 3.5±0.7 및 1.9±0.7 log CFU/mL 수준으로 각각 검출되었고, E. coli 는 모든 시료에서 불검출 되었다. 그러나 농업용수에서 대장균군이 허용기준치를 초과하였고, E. coli O157도 토양 중에서 약 22%가 검출됨에 따라 분변오염 방지를 위한 적절한 방안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 된다. 결론적으로 재배환경 중 물리적 및 화학적 위해요소 (중금속)의 오염수준은 허용기준에 적합했지만, 생 물학적 위해요소의 경우 농업용수에서 대장균군이 기준치를 초과함에 따라 최종산물로의 교차오염을 방지 하기 위한 체계적인 관리방안이 모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Soybean farms in Changnyeong were selected for hazard analysis to establish the Good Agricultural Practices (GAP) model of soybean, and physical, chemical(heavy metal) and biological(sanitary indications, foodborne pathogens) hazard analysis for cultivation environment (soil, water) was carried out. First, bow which is able to be mixed in soil and water was confirmed as physical hazard. Levels (Cd:0.01~0.103, Cu:0.001~6.036, As:0.006~3.045, Hg:ND~0.041, Pb:0.003~3.952, Cr +6 :0.007~0.496, Zn:0.001~66.500, Ni:0.003~18.010) of heavy metals in soil and water were appropriate for GAP criteria. In biological hazard, APC and coliform in soil were detected at the levels of 6.0±0.3 and 3.6±1.6 log CFU/g, and levels of water were 3.5±0.7 and 1.9±0.7 log CFU/mL, while E. coli wasn’t detected in all sample. However, coliform in water wasn’t appropriate for criteria, and E. coli O157 was detected about 22% in some farms, so it needs ways to prevent contamination by human and animals excrements. In conclusion, it needs proper management to prevent cross-contamination of hazards although physical and chemical hazard level were appropriate for GAP criteria while biological hazard wasn’t.

      • KCI등재

        퍼지구조모델을 이용한 선박충돌사고 원인의 구조분석

        양원재(Won-Jae Yang) 한국항해항만학회 2003 한국항해항만학회지 Vol.27 No.2

        지금까지 IMO를 비롯한 해운산업분야에서는 해상의 인명ㆍ재산, 해양환경보호에 항상 큰 관심을 가지고 해양사고예방을 위한 많은 노력들이 견주되어 왔다. 하지만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크고 작은 해양사고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것이 오늘날의 현실이다. 한편, 선박충돌사고는 수많은 원인이 서로 복잡하게 상호작용을 하고 있어서 사고예방대책마련에 어려움이 많다. 따라서, 선박충돌사고의 정량적인 분석을 위해서는 이들 상호작용요소간의 관계를 시스템적으로 파악하고 분석하는 것이 선행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지난 10년 (1991-2000)간 국내에서 발생한 선박충돌사고에 대한 위험성을 분석하였고, 또한 사고발생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위해요소(Hazard)인 인적요소(Human Factor)에 대해서 전문가집단의 의견을 수렴하여 FSM기법을 이용하여 인적 위해요소를 계층화한 후 각 요소 상호간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로써 인적요소에 의한 선박충돌사고의 발생과정과 각 계층에 속한 요소가 사고에 미치는 영향력을 규명하고, 각 요소간 상호관계를 파악하여 사고예방대책마련을 위한 우선순위를 결정할 수 있는 선박충돌사고의 인적요소 구조그래프를 제시하였다. The prevention of marine accidents has been a important topic in marine society for long time, and various safety policies and countermeasures have been developed and applied to prevent those accidents. In spite of these efforts, however, significant marine accidents have taken place intermittently. Ship is being operated under a highly dynamic environments, and many factors are related with ship’s collision, whose factors are interacting. So, the analysis on ship’s collision causes are very important to prepare countermeasures which will ensure the safe navigation. This study analysed the ship’s collision data over the past 10 years(1991-2000), which is compiled by Korea Marine Accidents Inquiry Agency. The analysis confirmed that ‘ship’s collision’ is occurred most frequently and the cause is closely related with human factor.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human factor. For this, the structure of human factor is analysed by the questionnaire methodology. Marine experts were surveyed based on major elements that were extracted from the human factor effecting to ship’s collision. FSM has been widely adopted in modeling a dynamic system which is composed of human factors. Then, the structure analysis on the causes of ship’s collision using FSM are performed. This structure model could be used in understanding and verifying the procedure of real ship’s collision. Furthermore it could be used as the model to prevent ship’s collision and reduce marine accidents.

      • KCI등재

        농산물우수관리제도 확립의 기초자료 확보를 위한 딸기농장 재배단계의 위해요소 분석

        이치엽,이원경,송정언,김경열,심원보,윤요한,김윤식,정덕화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2012 농업생명과학연구 Vol.46 No.3

        본 연구는 딸기 GAP 모델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목적으로 서부경남에 소재한 딸기 농장 세 곳을 선정하여 딸기의 재배단계에서의 생물학적(위생지표세균, 병원성 미생물, 곰팡이), 화학적(중금속) 및 물리적(이물) 위해요소를 조사하였다. 먼저 작물, 재배환경, 개인위생을 대상으로 생물학적 위해요소를 분석한 결과, 위생지표세균인 일반세균과 대장균군의 경우 재배환경에서 최대 7.3 및 5.6 log CFU/g, 개인위생에서 6.3 및 5.4 log CFU/hand or 100 cm2, 잎에서 5.3 및 4.7 log CFU/leaf으로 검출되었다. 병원성 미생물의 경우 Bacillus cereus가 토양에서 최대 6.1 log CFU/g, Staphylococuus aureus가 작업자 손에서 5.4 log CFU/hand로 검출되어 이들 병원균에 의한 식중독 발생 가능성 또한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공중낙하균의 경우는 안전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화학적 위해요소인 중금속 (Cd, Pb, Cu, Cr, Zn, Ni, Hg 및 As)은 모두 국내 허용기준치 이하로 검출되었고, 물리적 위해요소는 유리조각, 캔 등의 일반쓰레기나 경작지 폐기물 등으로 확인되었다. Physical, chemical and biological hazards of strawberry farms at the cultivation stage were analyzed to establish the GAP(Good Agricultural Practice) system. Samples were collected from the plants, cultivation environments(water, soil and air), and personal hygiene (hand, glove, and clothes) of three strawberry farms(A, B, and C) and were tested to analyze physical, chemical (heavy metals and pesticide residues), and biological(sanitary indications and foodborne pathogens) hazards. Physical hazards such as insects and pieces of metal and glass were found in the strawberry farms and can be potential bow for strawberry products. Heavy metal and pesticide residue as chemical hazards were detected at levels lower than the regulation limit. In case of biological hazards, total bacteria and coliform were detected at the levels of 1.6~7.3 and 1.3~5.6 log CFU/g, leaf, mL, hand or 100 cm2. However, Escherichia coli was not detected in all samples. Bacillus cereus and Staphylococuus aureus were detected at levels of ≤ 1.1~6.1 log CFU and 4.7~5.4 log CFU/g, mL, hand or 100 cm2, whereas Listeria monocytogenes, E. coli O157 and Salmonella spp. were not detected in all samples.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various harzards were in strawberry farms at the growing stage. Therefore proper management such as GAP is needed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food poisoning associated with the hazards revealed in this study.

      • KCI등재

        농산물우수관리제도 확립의 기초자료 확보를 위한 딸기농장 재배단계의 위해요소 분석

        이치엽,이원경,송정언,김경열,심원보,윤요한,김윤식,정덕화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2012 농업생명과학연구 Vol.46 No.3

        Physical, chemical and biological hazards of strawberry farms at the cultivation stage were analyzed to establish the GAP(Good Agricultural Practice) system. Samples were collected from the plants, cultivation environments(water, soil and air), and personal hygiene (hand, glove, and clothes) of three strawberry farms(A, B, and C) and were tested to analyze physical, chemical (heavy metals and pesticide residues), and biological(sanitary indications and foodborne pathogens) hazards. Physical hazards such as insects and pieces of metal and glass were found in the strawberry farms and can be potential bow for strawberry products. Heavy metal and pesticide residue as chemical hazards were detected at levels lower than the regulation limit. In case of biological hazards, total bacteria and coliform were detected at the levels of 1.6~7.3 and 1.3~5.6 log CFU/g, leaf, mL, hand or 100 cm2. However, Escherichia coli was not detected in all samples. Bacillus cereus and Staphylococuus aureus were detected at levels of ≤ 1.1~6.1 log CFU and 4.7~5.4 log CFU/g, mL, hand or 100 cm2, whereas Listeria monocytogenes, E. coli O157 and Salmonella spp. were not detected in all samples.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various harzards were in strawberry farms at the growing stage. Therefore proper management such as GAP is needed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food poisoning associated with the hazards revealed in this study. 본 연구는 딸기 GAP 모델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목적으로 서부경남에 소재한 딸기 농장 세 곳을 선정하여 딸기의 재배단계에서의 생물학적(위생지표세균, 병원성 미생물, 곰팡이), 화학적(중금속) 및 물리적(이물) 위해요소를 조사하였다. 먼저 작물, 재배환경, 개인위생을 대상으로 생물학적 위해요소를 분석한 결과, 위생지표세균인 일반세균과 대장균군의 경우 재배환경에서 최대 7.3 및 5.6 log CFU/g, 개인위생에서 6.3 및 5.4 log CFU/hand or 100 cm2, 잎에서 5.3 및 4.7 log CFU/leaf으로 검출되었다. 병원성 미생물의 경우 Bacillus cereus가 토양에서 최대 6.1 log CFU/g, Staphylococuus aureus가 작업자 손에서 5.4 log CFU/hand로 검출되어 이들 병원균에 의한 식중독 발생 가능성 또한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공중낙하균의 경우는 안전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화학적 위해요소인 중금속(Cd, Pb, Cu, Cr, Zn, Ni, Hg 및 As)은 모두 국내 허용기준치 이하로 검출되었고, 물리적 위해요소는 유리조각, 캔 등의 일반쓰레기나 경작지 폐기물 등으로 확인되었다.

      • KCI등재

        GAP 모델 확립을 위한 토마토 농장 수확단계의 위해요소 조사 및 분석

        이채원,이치엽,허록원,김경열,심원보,심상인,정덕화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2012 농업생명과학연구 Vol.46 No.4

        Samples collected from six tomato farms(A, B, C : soil culture, D, E, F : Nutriculture) located in Gyeongsangnam-do were tested for the analyses of biological(sanitary indications, major foodborne pathogens, fungi), chemical(heavy metals, pesticides) and physical hazards. The highest levels of total bacteria(7.5 log CFU/g) and coliforms(5.0 log CFU/g) in soil culture farms were higher than those of nutriculture farms(total bacteria: 2.5 log CFU/mL, coliforms: 0.6 log CFU/mL). In crops and personal hygiene soil culture farms showed a slightly higher contamination levels. From all farms, the levels of fungi in soil farms were higher than those of nutrient solution. In case of major pathogens, Bacillus cereus and Staphylococcus aureus were detected in all sample with the exception of nutrient solution. Meantime, Escherichia coli, Listeria monocytogenes, E.coli O157 and Salmonella spp. were not detected. For airborne bacteria, soilculture farms showed less contamination than nutriculture farms. A piece of glass and can was confirmed asphysical hazards. Heavy metal(Cd, Pb, Cu, Cr, Hg, Zn, Ni and As) and pesticide residues as chemical hazards were detected, but their levels were lower than the regulation limit.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potential hazards on harvesting stage of tomato fam were exposed. Therefore, proper management is needed to prevent biological hazards due to cross-contamination, while physical and chemical hazards were in appropriate levels based on GAP criteria. 본 연구에서는 안전한 토마토를 생산하기 위한 농산물우수관리제도(Good Agriculture Practices; GAP) 모델 확립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경남에 소재한 토마토 재배 농가 중 토경 재배 3 농가와 양액 재배 3 농가를 대상으로 수확단계에서의 생물학적(위생지표세균, 병원성 미생물, 곰팡이), 화학적(중금속, 농약) 및 물리적 위해요소를 조사하였다. 먼저 생물학적 위해요소 분석결과, 일반세균과 대장균군은 토경재배 농장의 토양에서 최대 7.5 및 5.0 log CFU/g으로 양액재배 농장의 양액보다 0.1~2.8 log CFU/g 높은 수준으로 검출되었다. 그 외 다른 시료에서의 일반세균 및 대장균군의 경우 토경재배 농장에서는 1.7~6.5 및 0.3~2.9 log CFU/g, leaf, mL, hand or 100cm2로 검출되었고 양액재배 농장에서는 각각 1.1~5.7 및 0.1~4.0 log CFU/g, leaf, mL, hand or 100cm2로 검출되었다. 대장균은 모든 시료에서 검출되지 않았으며, 곰팡이의 경우 전체적으로 0.2~5.0 log CFU/g, leaf, mL, hand or 100cm2 수준으로 검출되었다. 병원성 미생물은 Bacillus cereus와 Staphylococcus aureus만 양액을 제외한 대부분의 시료에서 검출되었으며, 공중낙하균은 토경재배 농장에서 0.4~1.6 log CFU/plate, 양액재배 농장에서 0.1~1.0 log CFU/plate 수준으로 검출되었다. 화학적 위해요소인 중금속(Cd, Pb, Cu, Cr, Hg, Zn, Ni 및 As)과 잔류농약은 모든 시료에서 국내 허용기준치 이하로 검출되었고, 물리적 위해요소는 다른 위해요소에 비해 발생가능성은 낮지만 유리조각, 캔 등으로 확인되었다.

      • 지능형 CCTV기반 생활안전 위해요소 추적관리시스템 개발

        조명흠,박소영,박영진 한국방재학회 2014 한국방재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14 No.-

        지자체별 운영 및 관리되는 CCTV(Closed Circuit Television)는 범죄예방, 생활안전, 방재 및 시설물 감시 등 다양한 영역에서 활용되고 있으며, 최근 들어서는 어린이 및 여성을 대상으로 하는 범죄가 증가됨에 따라 활용도 및 효과가 지속적으로 증가 및 확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안전행정부는 `15년까지 정부의 CCTV 종합대책을 기반으로 전국 230개 시군구에 통합관제센터를 설치해 생활안전(방범, 어린이 안전 등)에 필요한 4만 3,000여대의 CCTV를 통합연계하여 전문 관제요원을 배치하고 365일 24시간 감시체계를 구성한다고 한다. 본 연구에서는 CCTV 설치와 운영되는 규모는 확대되고 있지만 나날이 지능화되는 생활안전 관련 위해요소(성범죄자, 범죄자 등)에 대한 효율적인 대응과 관리를 위해서 CCTV 설치 및 운영관리적인 측면에서 위해요소의 위치정보와 상황발생정보를 3차원 지도정보와 연계하여 입체적인 CCTV기반 추적관리 및 운영체계를 수립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국토교통부에서 중점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3차원 공간데이터구축 대상이 점차 확대되고 있는 3차원 공간정보 오픈플랫폼(브이월드)과 연계하여 지능형 CCTV기반 생활안전 위해요소 추적관리시스템을 구축하고자 한다. 본 시스템은 시범지역을 서울시 서초구 일대를 선정하여, 기존 CCTV에 대한 기본 정보를 관리하고 CCTV영상을 이용한 생활안전 및 방범을 위한 관제를 구현하며, 특히 생활안전 추적관리 대상자(GPS 착용자)의 위치를 추적하여 관리대상 구역 내 진입 시 위치정보와 CCTV영상정보를 3차원 기반 지도와 연계하여 관제함으로써 효과적인 상황관제 및 추적이 가능하도록 개발하였다. 또한 CCTV 제원을 이용하여 CCTV의 방향, 가시거리 및 중복성 평가를 수행하여 효과적인 CCTV 운영관리가 가능하고 관제상황에서 좀 더 다양한 정보를 활용할 수 있는 기초를 연구하였다. 향후, 법률 개정을 통해 생활안전 위해요소(성범죄자, 범죄자 등)의 정보 공개여부에 따라 정확한 위치정보와 신상정보 공개여부에 따라 시스템 활용이 확대 및 적용 될 것으로 기대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