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국내 전문 학술지에 의한 위암 외과의 연구 경향에 대한 분석

        오정아,김대훈,오승종,조현진,최민규,노재형,손태성,배재문,김성 대한위암학회 2009 Journal of gastric cancer Vol.9 No.4

        목적: 위암 분야 전문 학술지인 대한위암학회지와 외과 대표 학술지인 대한외과학회지에 게재된 위암 외과 관련 논문들을 대상으로 이들의 연구 경향을 분석함으로써, 그간의 국내 외과 영역에서의 위암 연구들의 흐름을 살펴보고, 향후 방향점을 논의하고 미흡한 연구 부분에 대한 연구를 유도할 수 있는 효과와 창간 이후 대한위암학회지의 질적 양적인 향상이 있었는지에 대하여 간접적으로 평가해 보고 개선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분석 대상은 2001년도부터 2008년도까지 8년간 위암 분야 전문 학술지인 대한위암학회지와 외과 대표 학술지인 대한외과학회지에 투고된 위암 연구에 관한 논문들로 하였다. 결과: 대한위암학회지와 대한외과학회지의 투고 논문의 경향을 보면, 전자의 경우에는 종설은 많았다가 점차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다가 최근에 증가하였다. 후자는 8년간 총 6편만 발표되었고 전반적으로 종설에 대한 발표 편수가 적었다. 증례는 대한위암학회지에서는 점차 증가하다가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고, 대한외과학회지에서는 매년 1∼3편 전후로 전반적으로 낮은 추세로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독특하게도 보고서는 대한위암학회지에서만 2004∼2005년도에 활발하였다. 후향적 연구는 대한위암학회지에서 초기에 많았다가 감소하다가 다시 증가하는 U자 형태를 보였고, 대한외과학회지에서는 초기에 잠시 증가하다가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 전향적 연구는 대한위암학회지에서 점차 증가하다가 최근에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고 대한외과학회지에서는 계속 감소 추세를 보였다. 위암의 생물학적연구, 암표지자 연구, 유전자 연구는 두 학회지 모두 게재 비율이 낮았다. 결론: 앞으로의 연구의 방향은 후향적 연구에서 전향적 연구로 이행되어 가고, 임상적 연구보다는 기초에서 임상으로 이어지는 이행성 연구가 중시될 것이며, 단일 기관 또는 연구자 단독 연구보다는 다기관 또는 다학제간의 협력 연구가 더 높이 평가되고 지원되고 장려될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위암환자의 위장조영검사 영상분석

        고주영(Ju-Young Ko),조영기(Young-Ki Cho),최지원(Ji Won Choi) 한국콘텐츠학회 2010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0 No.9

        위절제술을 시행한 위암환자를 대상으로 수술 전 위치확인을 위한 위장조영검사의 영상을 분석하여 위암묘출의 정확도 및 한계성을 알아보고, 이에 따른 대응책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2007년 10월부터 2009년 4월까지 본원에 내원하여 병리조직학적으로 위암으로 확진되어 위절제술을 시행한 조기위암 환자 88명과 조기위암과 비슷한 진행성위암 환자 14명을 대상으로 하여, 수술 전 시행했던 위장조영검사와 수술 후 병리학적 소견을 비교분석하였으며, 영상분석은 10년 이상 근무한 방사선사 2명이 분석하였다. 위암환자 102명의 위절제 후 병리학적 위암위치와 비교를 통한 위장조영검사에서 위암의 발견율은 “확실” 81 예 (79.4%), “실패” 21예(20.6%)로 판정되었다. “실패”로 판정된 21예의 위암형태는 IIb+IIc형이 2예(100%), IIb형이 5예(83.3%)로 발견율이 매우 낮았다. 위암의 전구병변인 장형화생은 위장조영검사에서 92예 (90.2%)의 발견율을 보였다. 위장조영검사의 한계점은 IIb형 및 1.0㎝이하 미소위암의 발견이 어려웠다. 위암과 동반된 장형화생 92예(90.2%)의 발견은 위장조영검사에서 위암의 발견에 중요한 기준으로 평가된다. 위장조영검사의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부위에 맞는 정확한 촬영법 및 풍부한 방사선학적 경험을 통한 미세한 점막의 변화를 확인하는 촬영습관이 위암을 발견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Despite significant advance in laparoscopy, upper gastrointestinal (UGI) series is still generally carried out for preoperative localization of gastrectomy. The aim of the study was to compare the accuracy of UGI series and postoperative pathological findings in the diagnosis and localization of gastric cancer. A retrospective review was carried out for 102 patients who underwent gastrectomy between October 2007 and April 2009. Preoperative reports of UGI series were compared with postoperative pathology reports and the accuracy of the preoperative reports was calculated. Two radiographer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analysis of UGI series. postoperative pathology reports of the surgical specimens, were compared with the preoperative reports of the location and extent of the tumor were correct in 81 case(sure, 79.4%) and incorrect in 21 case(failed, 20.6%). In 92 case UGI series revealed intestinal metaplasia (90.2%) at consensus review and these results demonstrate the limitation of the UGI series in the diagnosis of type IIb gastric cancer with size less than 1.0cm and the poor detection of gastric cancer is that the overlying mucous membrane often appears to be normal in these patients. In conclusion, UGI series is accurate the detection of the tumor localization and diagnosis of intestinal metaplasia. However, for the overcome with the limitation of UGI series should be used accurate technique for the region of the stomach. To achieve this goal, it is necessary to determine the changes of the mucus membrane of the stomach and UGI series is gaining acceptance as a standard method for preoperative gastric cancer screening.

      • 국내 전문 학술지에 의한 위암 외과의 연구 경향에 대한 분석

        오정아,김대훈,오승종,조현진,최민규,노재형,손태성,배재문,김성,Oh, Cheong-Ah,Kim, Dae-Hoon,Oh, Seung-Jong,Cho, Hyun-Jin,Choi, Min-Gew,Noh, Jae-Hyung,Sohn, Tae-Sung,Bae, Jae-Moon,Kim, Sung 대한위암학회 2009 대한위암학회지 Vol.9 No.4

        목적: 위암 분야 전문 학술지인 대한위암학회지와 외과 대표 학술지인 대한외과학회지에 게재된 위암 외과 관련 논문들을 대상으로 이들의 연구 경향을 분석함으로써, 그간의 국내 외과 영역에서의 위암 연구들의 흐름을 살펴보고, 향후 방향점을 논의하고 미흡한 연구 부분에 대한 연구를 유도할 수 있는 효과와 창간 이후 대한위암학회지의 질적 양적인 향상이 있었는지에 대하여 간접적으로 평가해 보고 개선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분석 대상은 2001년도부터 2008년도까지 8년간 위암 분야 전문 학술지인 대한위암학회지와 외과 대표 학술지인 대한외과학회지에 투고된 위암 연구에 관한 논문들로 하였다. 결과: 대한위암학회지와 대한외과학회지의 투고 논문의 경향을 보면, 전자의 경우에는 종설은 많았다가 점차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다가 최근에 증가하였다. 후자는 8년간 총 6편만 발표되었고 전반적으로 종설에 대한 발표 편수가 적었다. 증례는 대한위암학회지에서는 점차 증가하다가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고, 대한외과학회지에서는 매년 1~3편 전후로 전반적으로 낮은 추세로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독특하게도 보고서는 대한위암학회지에서만 2004~2005년도에 활발하였다. 후향적 연구는 대한위암학회지에서 초기에 많았다가 감소하다가 다시 증가하는 U자 형태를 보였고, 대한외과학회지에서는 초기에 잠시 증가하다가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 전향적 연구는 대한위암학회지에서 점차 증가하다가 최근에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고 대한외과학회지에서는 계속 감소 추세를 보였다. 위암의 생물학적 연구, 암표지자 연구, 유전자 연구는 두 학회지 모두 게재 비율이 낮았다. 결론: 앞으로의 연구의 방향은 후향적 연구에서 전향적 연구로 이행되어 가고, 임상적 연구보다는 기초에서 임상으로 이어지는 이행성 연구가 중시될 것이며, 단일 기관 또는 연구자 단독 연구보다는 다기관 또는 다학제간의 협력 연구가 더 높이 평가되고 지원되고 장려될 것으로 보인다.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trend of the literature reported in the Journal of Korean Gastric Cancer Association (JKGCA) and the Journal of Korean Surgical Society (JKSS) in order to suggest new directions for the future studies on gastric cancer. Materials and Methods: The papers published in the Journal of Korean Gastric Cancer Association (JKGCA) and the Journal of Korean Surgical Society (JKSS) between 2001 and 2008 were compared and summarized in terms of the following categories, retrospective study, prospective study, case report, biomolecular study, genetic study, tumor marker study, review article, and report. Results: For recent 8 years, while the number of review articles in JKSS had initially increased, gradually fallen down and recently increased again, only a few (only 6 publications) in JKGCA have been published. The number of case reports in JKSS has gradually increased and fallen down. On the other hand, a few of case reports (1~3 publications) has been annually published in JKSS. Uniquely, reports were published only in JKGCA with the noticeable increase during the period from 2004 to 2005. For retrospective studies, in JKGCA the number started off very high and decreased, and finally increased again (U-shaped), whereas it had a bell-shaped trend in JKSS. The number of prospective studies in JKGCA had a bell-shaped trend, but the one in JKSS continued to decrease. Few papers of molecular biologic study, tumor marker study and genetic study had been published in both journals. Conclusion: We concluded that the transition from retrospective studies to prospective studies as well as a comprehensive multi-disciplinary team management of a clinical research would represent a desirable strategy in gastric cancer research.

      • KCI등재후보

        위암의 임상 특징 및 최근 치료 동향

        서지현 ( Ji Hyun Seo ),김나영 ( Na Young Kim ),이동호 ( Dong Ho Lee ),김진욱 ( Jin Wook Kim ),황진혁 ( Jin Hyeok Hwang ),박영수 ( Young Soo Park ),김선미 ( Sun Mi Kim ),김형호 ( Hyng Ho Kim ),박란영 ( Ran Young Park ),이경수 ( Kyo 대한내과학회 2006 대한내과학회지 Vol.71 No.2

        목적: 본 연구는 위암의 전반적인 임상양상과 진단경로에 따른 조기위암의 진단율 및 이에 따른 치료방법의 변화를 알아보았다. 방법: 분당서울대학교병원에서 2003년 5월부터 2004년 4월까지 1년간 조직학적으로 위암이 진단된 환자 231명을 대상으로 하여 후향적으로 조기위암의 진단율과 진단경로에 따른 임상양상과 근치적 치료법의 새로운 경향 등을 살펴보고 근치적 수술이 시행된 예에서 현재까지의 추적관찰을 시행하였다. 결과: 231명의 위암 환자 중 조기위암의 진단률은 42.0% (97명)이었다. 진단된 위암 환자는 남자가 여자보다 1.92배 많았으며 60대 이상의 고령의 환자가 64.9%를 차지하였다. 231명의 환자 중 43명이 건강검진에서 진단되었는데, 건강검진에서 진단된 43명 중 34명(79.1%)이 조기위암이었고, 건강검진에서 진단된 조기위암 환자의 72% (31명)에서 증상이 없었다. 231명의 위암 환자 중 169명이 근치적 치료를 받았는데 최소 침습적 위암수술방법인 복강경하 위절제술은 조기위암 환자의 61.9%에서 시행되어졌고 진행암에서는 10%에서 시행되었다. 근치적 수술 후의 림프절 구득률은 개복 위절제술(36.0±15.2)에서 복강경하 위절제술(27.9±10.3)보다 유의하게 많았다. 근치적 치료를 받았던 169명의 환자들의 평균 추적관찰 기간은 약 17개월이었는데 치료 방법에 무관하게 조기위암 환자에서는 재발이 없었다. 결론: 이상의 결과로 보아 조기위암 진단에 있어서 건강검진의 중요성을 알 수 있었고, 조기위암의 경우 복강경하 위절제술이 유용한 치료법임을 알 수 있었다. 향후 전향적인 대규모 연구와 생존율에 대한 장기간의 추적연구가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Background: Gastric cancer is the most common malignancy in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chronological changes of clinical feature and usefulness of recent treatment modalities such as laparoscopic assisted gastrectomy and endoscopic gastric mucosal resection (EMR). Methods: We analyzed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the gastric cancer patients who were diagnosed as gastric cancer by pathology from May 2003 to May 2004 in Seoul National University Bundang Hospital. In addition, we classified the curable treatment modalities depending on whether it was early gastric cancer or advanced gastric cancer. Results: The total number of patients was 231, and the proportion of early gastric cancer was 97 patients (42.0%). Forty three patients (18.6%) were diagnosed through health screening test. Curative treatment was performed in 169 patients (73.2%): that is, radical subtotal gastrectomy in 158 (68.4%), and EMR in 11 (4.8%). Among 158 patients who underwent curative radical surgery, 67 patients (42.4%) had been operated on laparoscopic gastrectomy (laparoscopic-assisted distal gastrectomy or laparoscopic wedge resection). There was no cancer recurrence in the early gastric cancer after curative treatment regardless of treatment modality during mean follow-up period of 15.9 months. Conclusions: These results seem to support the usefulness of health screening test for early detection of gastric cancer. Laparoscopic gastrectomy could be the primary choice for the early gastric cancer.(Korean J Med 71:149-157, 2006)

      • 원위부 진행성 위암에서의 상장간막정맥(14v) 림프절 절제술의 적응증

        임정택,정오,김지훈,오성태,김병식,박건춘,육정환,Lim, Jung-Taek,Jung, Oh,Kim, Ji-Hoon,Oh, Sung-Tae,Kim, Byung-Sik,Park, Kun-Choon,Yook, Jeong-Hwan 대한위암학회 2006 대한위암학회지 Vol.6 No.3

        목적: 1998년도에 제정된 일본위암학회의 위암취급규약 영문판 제2판에 따르면 원위부 위암에 있어 2군에 속하는 림프절 중 14v (상장간막정맥) 림프절도 포함되어 있으나 조기 위암에서는 14v 림프절의 절제가 제외되는 등 상황과 술자에 따라 선택적으로 절제되고 있다. 저자들은 원위부 진행성 위암에 있어 14v 림프절의 전이 정도를 조사하여 14v 림프절 절제의 필요성에 대해 알아보고 이 림프절의 절제 적응증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4년 4월부터 2005년 8월까지 서울아산병원 외과 위암팀에서 원위부 위암으로 수술 받은 환자 중 수술장에서 육안적 소견으로 진행성 위암으로 판단된 환자를 대상으로 일본위암학회의 위암취급규약 영문판 2판에 정의된 D2 림프절 곽청술을 시행하고 림프절의 구획을 표기하였다. 각 림프절 구획의 위암 전이 여부를 확인하여 전이율을 계산하고, 6번 림프절의 양성율과 14v 림프절 양성율의 상관 관계와 14v 림프절 양성군과 음성군을 비교하여 14v 림프절 전이를 예측할 수 있는 인자가 있는지 분석하였다 후향적으로 의무기록을 검토하였고 환자의 예후에 대한 장기 추적은 하지 않았다. 결과: 전체 환자는 50명이었고 평균 연령은 56 ($30{\sim}80$)세, 남녀비는 1.63 : 1이었다. 47명(94%)에서 위원위부 절제술과 위십이지장 문합술을 시행하였고 3명(6%)에서는 위원 위부절제술과 위공장문합술을 시행하였다. D2 림프절 곽청술을 시행 후 림프절의 전이율이 가장 높았던 림프절은 3번(위소만부) 림프절과 6번(유문하림프절)이 54%)로 가장높았고 14v 림프절의 전이율은 10%로 다른 2군 림프절 중 7번 9번 림프절의 전이와 비슷하였다. 14v 림프절 양성군과 음성군을 비교하였을 때 전이된 림프절의 수와(평균 25.4개 vs 4.91개, P<0.001) 6번 림프절의 전이된 림프절 수에서(평균 6.5개 vs 1.42개, P<0.001) 차이를 보였고, 14v 양성군은 UICC 병기 3기 이상으로 음성군에 비해 진행된 위암인 경우가 많았다. 결론: 위암의 상태가 진행되어 있고 6번 림프절이 양성일수록 14v 림프절로의 전이 가능성이 높았다. 따라서 수술장 소견에서 3기 이상, 6번 림프절이 양성일 경우 14v 림프절의 절제가 필수이다. 그러나 14v 림프절 절제의 유용성에 대한 판단은 14v 림프절 절제하지 않은 군과 전향적인 연구를 시행하여 재발과 생존율 분석을 통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Purpose: According to the 2nd English Edition of the Japanese Gastric Cancer Association (JGCA) in 1998, in case of distal gastric cancer, the 14v (superior mesenteric vein) lymph node (LN) is included in the N2 group. However, in Korea, a modified radical gastrectomy is performed, and a 14v LN dissection is not done as a routine procedure. Thus, we investigated the rate of metastatic 14v LNs, evaluated the necessity of dissection of the 14v LN, and searched for indications of 14v LN dissection. Materials and Methods: From April 2004 to August 2005, we enrolled the patients who were diagnosed as having advanced gastric cancer in the distal third portion of the stomach. We peformed a distal gastrectomy with D2 lymph node dissection as defined in the 2nd English edition of the JGCA classification. We calculated the positive rate of metastatic LNs of each station and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ositive rates of No.6 LNs and 14v LNs. We also compared the positive 14v LN group with the negative 14v LN group. Results: The total number of patients was 50, the mean age was 56 (range $30{\sim}80$) years, and sex ratio (Male/Female) was 1.63 : 1. In 47 (94%) cases, distal a gastrectomy with gastroduodenostomy was done, and in the remaining 3 (6%) cases, a distal gastrectomy with gastrojejunostomy was done. The most frequently metastatic LNs were nos. 3 and 6 (54%). The metastatic rate of the f4v LN was 10%, which was similar to that of LN no. 9. In the comparison of the 14v positive group with the 14v negative group,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numbers of metastatic LNs (mean 25.4 vs 4.91, P<0.001) and the numbers of metastatic no. 6 LNs, (mean 6.8 vs 1.42, P<0.001), and if no. 6 LNs were metastatic, the possibility of metastasis to the 14v LN was 19.2%. In the 14v positive group, all cases were more than stage 3 by the UICC 6th edition. Conclusion: In cases of advanced cancer with metastasis to the no. 6 IN, there was a good chance of metastasis to the 14v LN. Thus, in the operative field, if the tumor is advanced to more than stage 3 by the UICC classification and the no. 6 LN is metastatic, a 14v LN dissection is necessary. However, the usefulness of a 14v LN dissection should be evaluated prospectively through an analysis of tumor recurrence and long-term survival.

      • Borrmann 제4형 위암의 임상병리학적 특성

        강태호,안지영,김용석,최민규,노재형,손태성,김성,Kang, Tae-Ho,An, Ji-Yeong,Kim, Yong-Seok,Choi, Min-Gew,Noh, Jae-Hyung,Sohn, Tae-Sung,Kim, Sung 대한위암학회 2006 대한위암학회지 Vol.6 No.4

        목적 : Borrmann 제4형 위암은 일반적으로 다른 형의 위암에 비해 예후가 나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Borrmann 제4형 위암의 임상병리학적 특성 및 예후를 다른 형의 위암과 비교 분석하고, Borrmann 제4형 위암의 예후 인자로서의 의의를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1995년 1월부터 2004년 12월까지 삼성서울병원에서 수술 받은 4,416명의 진행 위암 환자 중 Borrmann형 분류 및 생존여부의 추적이 가능하였던 4,389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적 특징, TNM 병기 및 생존율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Borrmann 제4형 위암은 다른 형의 위암에 비해 위벽침윤도, 림프절 전이, 원격 전이 모두 진행된 상태인 경우가 많았고, 근치적 절제술 비율이 낮았다. 5년 생존율은 Borrmann 제4형이 20.7%로 다른 형의 5년 생존율 53.7%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으며, 동일 병기에서도 낮은 생존율을 보이고 있었다. 단변량 및 다변량 분석에서 위벽침윤도, 림프절전이, 원격전이, 치유도 그리고 Borrmann 제4형이 위암의 독립적인 예후 인자였다. 결론: Borrmann 제4형 위암은 다른 형의 위암과 비교시 임상병리학적으로 구분되는 특성을 지니고 있으며 진행된 상태에서 진단되는 경우가 많았다. 동일 병기에서도 Borrmann 제4형 위암은 다른 형에 비해 낮은 생존율을 보이고 있어 이를 고려한 예후 판단과 보다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하다. Purpose: The prognosis of Borrmann type IV gastric cancer is poorer than that of the other gastric carcinomas. We compared the clinicopathological features of Borrmann type IV gastric cancer with those of other types of cancer and analyzed the significance of a Borrmann type IV carcinoma as a prognostic factor Materials and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clinicopathologic features, TNM stage and survival rates of 4,389 gastric cancer patients who received surgical management at Samsung Medical Center between January 1995 and December 2004. Results: Patients with a Borrmann type IV gastric carcinoma had a more advanced stage than patients with other types of gastric carcinomas at the initial diagnosis, and the curative resection rate was lower. The 5-year survival rate of patients with Borrmann type IV cancer was 20.7%, and that of patients with other types of cancer was 50.3%. The 5-year survival rate of patients with Borrmann type IV gastric carcinomas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patients with other types of gastric carcinomas at the same TNM stage. In univariate and multivariate analyses, the depth of invasion, the nodal state, distant metastasis, the TNM stage, curability and the presence of a Borrmann type IV carcinoma were independent prognostic factors in cases of gastric cancer. Conclusion: Compared to the other types of gastric carcinomas, a Borrmann type IV carcinoma has unique clinicopathological features. The prognosis should be predicated considering the differences between Borrmann type IV qastric carcinomas and other types of gastric carcinomas, and multimodal and intensive therapies are needed in patients with a Borrmann type IV gastric carcinoma.

      • 대형 위암의 임상병리학적 분석 및 예후

        장유진,박중민,김종한,박성수,김종석,목영재,Jang, You-Jin,Park, Jung-Min,Kim, Jong-Han,Park, Sung-Soo,Kim, Chong-Suk,Mok, Young-Jae 대한위암학회 2006 대한위암학회지 Vol.6 No.4

        목적: 수술 전 측정이 가능한 종양의 크기는 위암의 중요한 예후 인자로 생각되고 있으며 크기가 큰 위암은 주위 장기 침범, 광범위 림프절 전이, 원격 전이 등을 동반한 진행성 위암으로 예후가 불량하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종양의 크기를 기준으로 하여 대형위암의 임상 병리학적 분석과 생존율에 영향을 주는 인자들을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83년 9월부터 2001년 12월까지 고려대학교 외과학교실에서 위암으로 진단되어 절제술을 시행받은 2,260명을 대상으로 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군을 장경 8 cm를 기준으로 대형위암 335 (14.8%))예 소형위암 1,925예(85.2%)의 두 군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대형위암의 임상 병리학적 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두 군 간의 임상 병리학적 인자들을 다변량 분석과 단변량 분석을 시행하였으며 생존은 COx proportional hazards model을 사용하였다. P<0.05인 경우를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판정하였다. 결과: 종양의 위치(P<0.001), 수술 방법(P<0.001), 근치도(P<0.001), 위벽침윤도(P<0.001), 림프절 전이(P<0.001), 분화도(P<0.001) 그리고 타장기의 합병절제율(P<0.001)이 두 군간의 통계학적 차이를 보였다. 대형 위암의 생존율을 Cox proportional hazards model로 분석한 결과 림프절 전이(P<0.001), 근치도(P<0.001), 위벽 침윤도(P=0.010), 수술 방법(P=0.018)과 나이(P=0.033)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독립적인 위험인자였다. 결론: 대형위암은 소형위암에 비해 진행된 소견을 보였다. 대형 위암에서 근치절제는 생존율을 향상시키는 매우 중요한 인자로 근치적 절제를 위해 노력이 필요하며 근치적 수술 가능성에 대한 좀더 정확한 수술 전 병기결정에 주의를 기울여야 할 것이다. Purpose: Tumor size has been reported to be one of the prognostic factors in the preoperative setting and 8 cm has been confirmed as a cut-off value for large gastric tumors with respect to postoperative complication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linicopathologic features and the prognosis in patients with tumors larger than 8 cm in diameter. Materials and Methods: We retrospectively studied 2,260 patients with gastric cancer who underwent a gastrectomy from 1983 to 2001 at the Department of Surgery, Korea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For a comparative analysis we divided the cases into the large and the small groups according to tumor size. The clinicopathological factors associated with large gastric tumors were analyzed by using univariate and multivariate analyses. To determine which variables were independent prognostic factors for overall survival, we applied the Cox proportional hazards model and we used P<0.05 as the cutoff value for statistical significance. Results: Univariate and multivariate analyses disclosed that tumor location (P<0.001), resection type (P<0.001), curability (P<0.001), depth of invasion (P<0.001), number of metastatic lymph nodes (P<0.001), differentiation (P<0.001) and combined resection (P<0.001)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The independent factors for survival identified by using the Cox proportional hazards model for large gastric tumors were nodal status (P<0.001), curative resection (P<0.001), depth of invasion (P=0.010), type of resection (P=0.018) and age (P=0.033). Conclusion: Large gastric tumors showed more aggressive local findings than their smaller counterparts. In patients with large gastric tumors, a curative resection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for the prognosis. Therefore, we suggest that every effort should be made to do a curative gastrectomy and an accurate preoperative examination. (J Korean Gastric Cancer Assoc 2006;6:244-249)

      • pT1N3 위암

        안대호,권성준,윤효영,송영진,목영재,한상욱,김욱,Ahn, Dae-Ho,Kwon, Sung-Joon,Yun, Hyo-Yung,Song, Young-Jin,Mok, Young-Jae,Han, Sang-Uk,Kim, Wook 대한위암학회 2006 대한위암학회지 Vol.6 No.2

        목적: 위내시경의 보급으로 조기위암의 빈도가 증가하고 축소치료가 활성화되고 있다. 이러한 치료는 장점도 있으나 림프절 곽청의 측면에서 제한점이 있다. 림프절 전이를 동반하는 조기위암의 대부분은 UICC-TNM 분류의 N1 또는 N2이지만 드물게 N3의 보고도 있다. pT1N3 위암은 증례보고는 있지만 review논문은 없어서 특성을 이해하거나 치료방침을 세우기가 어렵고 UICC-TNM에서 4기로 예후가 나쁜 위암으로 분류되어 있으나 객관적인 증거는 없다. 저자들은 국내 6개 대학에서 9예의 pT1N3 위암 치험예를 모아서 문헌 고찰과 함께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분당차병원,한양의대,충북의대,고려의대 구로병원, 아주의대, 가톨릭의대 성가병원의 6개 병원에서 기간은 서로 다르지만 의무기록 분석이 가능하였던 기간동안 수술을 받았던 2,772예의 조기위암 중에서 UICC-TNM의 pT1N3 위암 9예를 분석하였다. 비교 대조군은 분당 차병원에서 수술을 받은 210예의 조기위암 환자이다. 결과: 9예는 전체 조기 위암 2,772예의 0.32%이며 남자는 3명, 여자는 6명이었고 평균연령은 57세였다. 점막암이 2예, 점막하층암이 7예이고 전이된 림프절의 수는 18에서 52개로 평균 27개였다. 5예는 표층 팽창형으로 대조군에 비해서 많았고 종양의 크기도 N3군이 N0, N1, N2군보다 컸다. 7예에서 림프관 침윤이 있었으며 대조군에 비하여 높았다. 1예는 대동맥주위 림프절 전이가 있어서 비치유 절제가 되었고 2예에서 조기재발이 있는 등 예후가 불량하였다. 결론: pT1N3 위암의 위험 인자로는 여성, 점막하층암, 종양의 크기, 림프관 침윤을 들 수 있다. pT1N3 위암의 존재는 조기위암의 축소 치료 시 주의를 요하며 예후가 불량하기 때문에 적극적인 항암 보조 요법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Various minimally invasive surgical techniques, such as an endoscopic mucosal resection and a laparoscopic gastrectomy, are becoming common practice for some cases of early gastric cancer (EGC) defined in terms of the depth of invasion being limited to the mucosa or submucosa. However, there are rare cases of early gastric cancer with massive lymph-node metastasis. Materials and Methods: From 6 university hospitals of Korea, 2,772 EGC cases were resected during the various period of analysis (1,432 cases of mucosal cancer and 1,340 of submucosal cancer). Results: As control data, we used the data from a single institute, CHA University Hospital. There were nine cases of early gastric cancer (9/2,772, 0.32%) with N3 lymph node metastasis defined by more than 15 lymph nodes being metastasized according to the UICC-TNM classification (pT1N3, stage IV). Two cases were mucosal cancer (2/1,432, 0.1 4%), and seven cases were submucosal cancer (7/1,340, 0.52%). Metastasized lymph nodes varied in number from 18 to 52. There were three male and six female patients with a mean age of 57. This is a totally reversed sex ratio compared to the usual gastric cancer or EGC. Among the total of 9 EGC patients, there were 5 who had superficial spreading carcinomas with surface areas larger than $25\;cm^2$. This is a significantly higher proportion compared to the general EGC population. When we compared the tumor size according to the LN status, the N3 group was definitely larger than the other groups. 78% of the pT1N3 cases showed lymphatic invasion, which is very high compared to the 4.7% in general EGC cases. Among the 9 cases, 6 patients had too short a follow-up period to evaluate the correct prognosis, but there was one patient with a non-curative resection and two patients with early recurrence. Although the sample size is small and the follow-up period is short, we can expect a very poor prognosis when we consider the common prognosis of EGC that is widely known and accepted. Conclusion: From these results, we can a conclude that the risk factors for pT1N3 gastric cancer are female patients, submucosal invasion, larger tumor size, and lymphatic invasion. However rare, the existence of pT1N3 gastric cancer needs to be taken into consideration, especially during the diagnosis. Furthermore, minimally invasive treatment for EGC needs to be chosen with great precaution. Since the prognosis of pT1N3 gastric cancer is expected to be poor, aggressive adjuvant chemotherapy may be necessary. (J Korean Gastric Cancer Assoc 2006;6:109-113)

      • 표층팽창형 조기위암의 임상병리학적 분석

        유명,김병식,오성태,육정환,이창환,Yu Myoung,Kim Byung-sik,Oh Sung-tae,Yook Jeung-hwan,Lee Chang-hwan 대한위암학회 2004 대한위암학회지 Vol.4 No.4

        목적: 조기 위암 중 점막하층 침윤과 림프절 전이가 많은 표층 팽창형 조기위암(5cm 이상)은 다른 형태의 조기위암과 다른 임상병리학적 양상을 보인다. 이에 저자들은 조기 위암 중 표층 팽창형 조기위암에 대해 임상 병리학적 특성과 수술 방법 및 예후에 영향을 주는 요소들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5년부터 2002년까지 단국대학교 외과학교실과 울산대학교 서울 중앙병원 외과학교실에서 위암으로 수술을 시행한 환자들 중 조직 병리 검사상 조기 위암으로 보고된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1,875예의 조기위암 환자 중 표층 팽창형 조기위암 300예($16.0\%$), 소형 조기위암 739예($39.4\%$)를 대상으로 임상병리조직학적 소견, 수술방법, 생존율, 재발 양상 및 재발률 등을 후향적 방법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양 군에서 육안적 소견상 IIc형이 가장 많았으며, 융기형보다 침윤형이 더 많았다. 양 군에서 수술방법의 차이는 없었다. 점막하층 침윤정도는 표층팽창형군이 185예($61.7\%$)로 소형군 294예($39.8\%$)보다 많았으며 두 군간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5). 림프관 침범은 표층팽창형군에서 39예($13.0\%$). 소형군에서 34예($4.6\%$)에서 관찰되었고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P=0.009) 종양의 재발은 표층팽창형군 300예 중 11예($3.6\%$), 소형군 739예 중 10예($1.4\%$)로 두 군 간에 통계학 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214). 전체 5년 생존율은 표층팽창형군 $84.8\%$, 소형군 $93.0\%$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고(P=0.052), 5년 무병 생존율은 표층팽창형군 $87.5\%$, 소형군은 $94.7\%$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053). 결론: 표층팽창형 조기위암은 점막하층 침범, 림프관 침범, 림프절 전이는 빈도가 유의하게 많았다. 따라서 축소 수술 등은 적응이 되지 않으며 충분한 절제연과 광범위의 림프절 곽청술을 시행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생각한다. Purpose: The superficial spreading type of early gastric cancer has different clinicopathologic features from other types of early gastric cancer in terms of its invasiveness and lymph-node metastases. Therefore, we attempted to elucidate the pathological features, surgical procedures and patients prognoses. Materials and Methods: Clinical information was reviewed for patients who had undergone a gastrectomy for gastric cancer during an 8-year period ($1995\~2002$) at Dankook University Hospital and Ulsan University, with an average follow-up of 48 months. Three hundred (300) superficial spreading lesions were analyzed with respect to macroscopic type, lymph-node (LN) metastasis, recurrent pattern, survival rate and method of surgical operation. In addition, the clinicopathological features of the superficial spreading type were compared with those of 739 other patients with small-sized cancer. Results: In both groups, the IIc-type macroscopic lesion, the elevated subtype to be more specific, occurred most frequentl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ethod of surgery between the groups. The submucosal invasion was $39.8\%$ in small-sized cancer, and $61.7\%$ in superficial spreading cancer (P=0.005). The incidence of LN metastasis was $11.3\%$ in early gastric cancer, $7.8\%$ in small-sized cancer and $20.0\%$ in superficial spreading cancer (P=0.005). The incidence of lymphatic invasion was $4.6\%$ in small-sized cancer and $13.0\%$ in superficial spreading cancer (P=0.009). The incidence of recurrence was $1.4\%$ in small-sized cancer and $3.6\%$ in superficial spreading cancer. The overall 5-year survival rate was $84.8\%$ in superficial spreading cancer and $93.0\%$ in small-sized cancer (P=0.052). The 5-year diseasefree survival rate was $94.7\%$ in superficial spreading cancer and $87.5\%$ in small-sized cancer (P=0.053). Conclusion: The superficial spreading type of early gastric cancer tends to be more invasive and to show a higher incidence of lymph-node metastasis than small-sized early gastric cancer. A wide resection with extensive lymph-node dissection seems to be an appropriate treatment for a superficial spreading type of early gastric cancer.

      • 노인 위암 환자의 예후관련인자

        최상한 부산대학교 병원 암연구소 2008 부산대병원학술지 Vol.- No.24

        배경: 위암은 우리나라 암사망원인 중 가장 많은 암인데. 위암으로 인한 사망을 줄이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 조기 검진이다. 최근 노인 인구의 비율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지금까지 전 연령층을 대상으로 한 위암 조기검진에 의한 환자 예후 결정에 대한 연구는 있었으나, 노인인구를 대상으로 한 연구는 거의 없었다. 이에 건강검진을 통한 노인 인구 위암 조기검진으로 발견된 노인 위암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방법: 1996년부터 2002년 사이에 부산 한 대학병원의 건강증진센터의 건강검진에서 위암으로 진단을 받은 41명 중 위암으로 진단 받고 타 병원으로 전원한 사람 1명, 최종 검사에서 위암이 아닌 것으로 밝혀진 2명을 제외한 38명을 최종 연구대상으로, 60대를 기준으로 노년 군과 장년 군으로 나누어서 장년과 노년사이에 36개월 간의 추적조사를 통해 위암으로 인한 병기, 증상유무와 생존기간에 차이가 있는지를 조사하였다. 결과: 총 38명의 대상자중 증상이 있는 환자는 22명(57.9%) 이었고, 증상이 없는 환자는 16명 (42.1%)이었다. 연령과 증상유무에 따른 위암의 진단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진단이후 장년층에서는 적극적인 수술을 바라는데 비하여 노년층에서는 적극적 치료를 원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노인환자가 위암이 진행된 상태에서 발견되는 경향이 있었다(P=0.065). 연령과 성별을 변수로 하여 생존 분석시 노년 군이 장년 군에 비하여 비교 위험률이 4.615로 높은 경향이 있었으나(P=0.057) 성별에 따라서는 의미 있는 차이는 없었다. 연령, 성별, 병기를 변수로 하여 생존 분석한 결과에서는 연령과 성별은 의미가 없었으며 병기가 비교 위험률이 5.575로 의미 있는 변수로 나타났다(P=0.040) 결론: 노인은 위암의 병기가 높은 상태에서 발견되고 치료에 소극적이기 때문에 사망률이 높다. 노인환자에 있어서 위암의 조기 발견과 적극적 치료를 위하여 더 많은 노력을 해야 한다. Purpose: Stomach cancer is the most common cause of death from cancer in Korea, the most effective way to decrease the death from stomach cancer is early examination. Recently, it tends to increase at old age. There were some studies on determination of prognosis by stomach cancer early examination for all age group till now, the study for old age is rare. Accordingly, we performed the study on stomach cancer found by early health examination at old age. Subjects and Methods: Samples of this study were 41 person who got diagnose of stomach cancer at one university hospital in Pusan from 1996 to 2002, one patient who was transferred to the other hospital and two patients who were turned up no cancer were excluded, so final samples of this study was 38. They were classified into elderly group and old group by sixties. We investigated that there was any differences at stage, presence of symptom and survival time through follow up study between both group. Results: 22 patients(57.9%) had symptoms and 16 patients(42.1%) were asymptomatic.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diagnosis of stomach cancer at age and presence of symptom. After diagnosis, the elderly wanted to get an active operation, but, it appeared that the old didn't want get an active therapy(p<0.05). Old age tended to be found at advanced stage(p=0.065). When we put age and sex as variables at survival analysis, comparative risk rate was 4.615, the elderly tended to be high than old age(P=0.057)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t sex. When we put age, sex and stage as variable at survival analysi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t age and sex, comparative risk rate was 5.575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at stage(P=0.040). Conclusion: The old age shows high mortality rate because they found at advanced stage of stomach cancer and they are passive for active therapy. We should make an effort for early detection of stomach cancer and active therapy at old a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