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숙련성에 따른 QED와 골프퍼팅 수행의 관계 : 위계적 회귀분석의 활용

        김유라,박승하,신명진 한국골프학회 2018 골프연구 Vol.12 No.2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위계적 회귀분석을 활용하여 Quiet eye duration(QED)과 퍼팅 수행 간의 관계를 직접적으 로 비교하는 것이다. [방법] 숙련자, 비숙련자 각 5명이 실험에 참가하였으며, 모든 대상자들은 오르막, 내리막 경사 조건에서 각각 30회씩, 총 60회 퍼팅 과제를 실시하였다. 안구 움직임 추적 장비를 사용하여 시선 행동을 분석, QED 를 계산하였으며, 골프 퍼팅의 정확성과 일관성은 각각 반경오차와 이원변량가변오차를 산출하여 계산하였다. 측정 된 모든 자료를 활용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숙련자는 비숙련자보다 QED와 QED의 표준편차가 통계적으로 크게 나타났다.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숙련성과 QED의 상호작용 변수가 퍼팅의 정확성에 유의미한 영 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숙련자는 QED가 길수록 평균반경오차가 감소하는 경향성을 보였고, 비숙련자는 QED가 길수록 평균반경오차가 증가하는 경향성을 보였다. 반면에 숙련성과 QED 표준편차의 상호작용 변수는 퍼팅 의 일관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결론] 본 연구 결과를 통해 QED와 수행의 정확성 간의 관계가 숙련 성에 따라 다를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비록 유의미한 결과를 도출하지 못하였지만 QED의 일관성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도 논의하였다. 마지막으로 QED 연구에 있어서 위계적 회귀분석의 활용 가치를 제안하였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rectly compare the relationship between Quiet eye duration(QED) and putting performance using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Method] 5 individual players from each so called experts and novice group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 Each players participated in putting tasks 60 times, 30 times for both uphill and downhill inclination conditions. The eye movements were analyzed by using the eye movement tracking system thus QED was calculated. The accuracy and consistency of the golf putting were calculated by analyzing the radius error and the bivariate variable error, respectively.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all measured data. [Result] The SD of QED and QED were shown statistically higher in experts than novice. As a result of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it was shown that the interaction variables of expertise and QED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accuracy of putting. Experts group showed the tendency of decrement in the mean radius error with longer QED, and novices group showed the tendency of increment in the mean radius error with longer QED. On the other hand, the interaction variables of proficiency and QED SD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consistency of putting. [Conclusion]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found out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QED and performance accuracy can vary depending on expertise. We also discussed the necessity of research on the consistency of QED, although it did not yield a meaningful result. Finally, we suggest the utility value of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in the QED study.

      • KCI등재

        일반선형모형을 적용한 한국남자프로농구 경기기록분석 : 2014-2015 정규리그

        김세형,Kim, Sae Hyung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 2015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Vol.26 No.4

        이 연구는 일반선형모형에 이원변량분석과 위계적회귀분석을 적용하여 한국남자프로농구 경기기록 (2014-2015 정규리그 270경기)을 분석하였다. 이원변량분석 결과, 3점슛시도에서 승패와 홈원정 집단간에 상호작용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이 외에 변인들 (2점슛시도, 어시스트, 속공, 선수교체)은 모두 승패 집단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홈원정경기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게 나타났다. 위계적회귀분석 결과, 어시스트는 3점슛시도가 총득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조절변수로 나타났으며, 속공은 어시스트가 2점슛성공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유의한 조절변수로 나타났다. 반면 어시스트는 2점슛시도가 총득점에 미치는 영향에, 그리고 속공은 어시스트가 3점슛성공에 미치는 영향에 유의한 조절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선수교체는 2점슛시도, 3점슛시도 그리고 어시스트가 총득점에 미치는 영향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조절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records of Korean pro-basketball using general linear model (two-way ANOVA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Korea Basketball League (KBL) informed the records (2014-2015 season) of this study. The eight variables (TA, 2PA, 3PA, 2P, 3P, Ast, TFB, CH) were selected in content validity. SPSS program was used to analyze general linear model. All alpha level was set at 0.05. Major results were as follow. 3PA had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between victory & defeat variable and home & away variable. Victory teams showed that 3PA was higher in home games than away games, and defeat teams was the other. 2PA, AS, TFB, and CH were selected significant variables affecting victory and defeat. In result of hierarchical regression, Ast had significant moderation effect between 3PA and TS. TFB also had significant moderation effect between AS between 2P. The other construct (Ast between 2PA and TS; TFB between AS between 3P) had no significant moderation effect. In the effect of 2PA, 3PA and Ast to TS, CH also had no significant moderation effect.

      • KCI우수등재

        관광․호텔 분야의 조절회귀분석: 3단계 위계적 절차 사용이 필요한가?

        김진후 한국관광학회 2019 관광학연구 Vol.43 No.6

        Moderation analysis is conducted frequently because it helps to better understand human behavior and social phenomena. Korean tourism and hospitality research investigating moderation effects often uses a three-step hierarchical variable entry procedure, which incorporates an independent variable first, moderator variable next, and the interaction term last in a regression model. Reviewing the articles published in the Journal of Tourism Sciences for 2016-2018, this study examined how often this procedure was used, what problems it had, and how it should be changed to test moderation properly. Results include: (1) the three-step hierarchical procedure was widely used; (2) the procedure is based on the premise that the independent variable and the moderator variable mus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dependent variable for a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to exist; and (3) the three-step procedure has no theoretical basis and increases the probability of missing moderation when in fact it exists.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urges researchers to discard the idea that the three-step procedure is necessary in testing moderation. Using the procedure itself may not be wrong, but whether the independent or moderator variable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dependent variables in the first- and the second-step models should not affect determining moderation effects between them. 조절효과 분석은 인간 행동이나 사회 현상을 깊이 이해하기 위해 여러 분야에서 자주 수행하는 분석이다. 그런데 관광․호텔 분야 국내 연구가 회귀모형을 사용해 조절효과 분석을 할 때 독립변수, 조절변수, 상호작용항을 하나씩 차례로 투입하는 3단계 위계적 절차를 따르는 경우가 많다. 본 연구는 2016년부터 2018년까지 최근 3년간 관광학연구에 실린 조절효과 분석 논문을 검토해 그러한 절차가 얼마나 자주, 어떤 방식으로 사용되며, 거기에 어떤 문제가 있는지 논한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3단계 위계적 회귀분석 절차가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관광․호텔 분야 국내 연구에서 하나의 규범처럼 널리 쓰인다. 둘째, 이 절차는 독립변수, 조절변수의 주효과가 존재할 때에만 조절효과가 존재할 수 있고, 그렇기 때문에 독립변수, 조절변수를 단계적으로 투입하면서 각각의 주효과 존재를 확인하는 것이 꼭 필요하다고 본다. 셋째, 이 방법은 그 이론적 근거가 없고, 실제로 존재하는 조절효과를 확인하기 어렵게 만드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조절효과를 검증할 때 3단계 위계적 변수 투입 절차가 꼭 필요하지는 않다고 주장한다. 즉, 3단계 절차를 따르지 않았다는 이유로 조절효과 검증을 잘못했다고 비판해서는 안 된다. 연구 목적상, 또는 논리 전개상 필요해 3단계 위계적 방법을 사용해도 틀린 것은 아니지만, 그때도 독립변수와 조절변수가 각각 종속변수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지를 조절효과 존재의 필요조건으로 여겨서는 안 된다.

      • KCI등재

        고정 효과 회귀분석 vs. 무선 효과 위계적 선형모델(HLM): 가족 구성 및 정보 프라이버시 염려가 비판적 정보 추구 행위에 미치는 영향

        류성진 한국언론학회 2024 커뮤니케이션 이론 Vol.20 No.1

        In the case of regression analysis, it is necessary to diagnose whether the assumptions such as linearity, normality, homoscedasticity, and independence of residuals, multicollinearity are satisfied before full-scale analysis. If some assumptions are not met, appropriate measures, such as data transformation, must be applied to the data to achieve valid and reliable analysis results only after full-scale analysis is performed after the assumptions are met. Textbooks or papers dealing with the diagnosis of residual linearity, normality, homoscedasticity, and multicollinearity among the various assumptions introduced earlier are not difficult to find in communication academia. However, papers and discussions on the assumption of independence are hard to find in those area. In this repect, the study aims to introduce the assumption of residual independence, diagnosis, and statistical analysis technique that can overcome violation of residual independence, that is, hierarchical linear model(hereinafter, HLM). If clustering occurs due to interactions among members within the group, residual independence may be violated, which leads to an increase in standard error, resulting in a problem of testing inappropriate statistical significance. HLM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test appropriate statistical significance in consideration of such residual non-independence. In this study, 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characteristics of HLM, we tried to conduct a comparative analysis with the results of fixed effect regression analysis. Using 2023 media panel survey data, the two statistical analysis techniques presented above were applied to test the differences in the impact of information privacy concerns on media literacy according to family compositio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effect on media literacy according to family composit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fixed effect regression analysis, and the interaction between family composition and information privacy concerns on media literacy was significant. However, in the case of this regression analysis, Durbin Watson d statistics confirmed that the assumption of independence was violated, confirming that there is a possibility of committing a Type I error. To the contrary, HLM revealed that the average difference in random effects of influence on media literacy according to family composition and the difference in the slope of random effects of information privacy concerns on media literacy according to family composition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either. This study confirmed that in the case of data that can violate the assumption of residual independence, that is, if group clustering is likely to occur, using HLM is an effect way to reduce Type I errors. 회귀분석의 경우 본격적인 분석에 앞서 잔차의 선형성, 정규성, 등분산성, 독립성, 다중공선성 등의 가정 충족 여부를 진단해야 한다. 만일 일부 가정이 충족되지 않을 경우, 데이터에 적절한 조치, 예를 들어, 데이터 변환 등을 통해 가정을 충족한이후분석을 실행할 때 타당하고 신뢰할 수 있는 분석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커뮤니케이션 학계에서는 앞서 소개한 잔차의 선형성, 정규성, 등분산성, 다중공선성에 대한 가정 진단을 다룬 교재나 논문을 어렵지 않게 접할 수 있다. 그러나 독립성 가정을 다룬 논문이나 논의는 의외로 찾기가 쉽지 않다. 이 점에 착안하여, 이 연구는 잔차의 독립성 가정 및 진단 방법을 소개하고자 한다. 더불어, 잔차의 독립성 위배를 극복할 수 있는 통계분석기법, 즉 위계적 선형모델(hierarchical linear model: HLM)도 함께 소개하고자 한다. 집단 내 구성원 간 상호작용으로 인한 군집화가 발생할 때 잔차 독립성은 위배될 가능성이 있으며, 이는 곧 표준오차의 증가로 이어져부적절한통계적유의성을검증하는문제가 발생한다. HLM은 이 같은 잔차의 비독립성을 고려하여 타당한 방식으로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번 연구에서는 HLM의 특징을 명확하게 설명할 목적으로 기존 연구에서 일반적으로실행하는고정 효과 OLS 회귀분석의 결과와 비교분석을 진행했다. 2022년 미디어패널조사데이터를활용하여 가족 구성에따라정보 프라이버시 염려가 비판적 정보 추구 행위에 미치는 영향의 차이를 검정하기 위해 앞서 제시한 두 가지 통계분석기법을 적용하여 비교분석했다. 분석 결과, 고정 효과 OLS 회귀분석에서는 가족 구성에 따라 비판적 정보 추구 행위에 미치는 영향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했으며, 비판적 정보 추구 행위에 미치는 가족 구성과 정보 프라이버시 염려 간 상호작용은 유의미한 것으로 드러났다. 그러나 잔차 간 독립성 가정을 진단한 결과, 이 가정은 위배되었음이 밝혀졌고, 따라서 유의성 검증에 대한 제1종 오류를 범할 위험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HLM을 실행한 결과, 가족 구성에 따라 비판적 정보 추구 행위에 미치는 영향의 무선 효과 평균 차이 그리고 가족 구성에 따라 정보 프라이버시 염려가 비판적 정보 추구 행위에 미치는 영향, 즉 무선 효과 기울기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이번 연구 결과를 통해 잔차의 독립성 가정을 위배할 수 있는 데이터의 경우, 즉 집단의 군집화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경우, 향후 연구자들은 HLM 사용을 신중하게 고려해 보길 이번 연구는 제안하고자 한다.

      • KCI등재

        중도입국청소년의 문화적응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적 요인 연구 - 생태체계모델과 위계적다중회귀분석 중심으로 -

        서은주 한국국제문화교류학회 2021 문화교류와 다문화교육 Vol.10 No.3

        This study examines environmental factors that affect the cultural adjustment stress experienced by adolescent immigrants. By applying Bronfenbrenner’s ecological system model, this study analyzes the environmental factors through the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t Is a study to derive meaningful social and practical implication and suggest its results in the policy level. It was analyzed by using the survey data of 279 adolescent immigrants between the age of 10 to 20 who lived or attended schools in Gyeonggi-do Province.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Bronfenbrenner’s ecological system model showed its potential applicability on analyzing environmental factors of adolescent immigrants. Second, the research model of this study, which examined factors affecting the cultural adjustment stress, showed that the model 3, which had all of the individual, family, and school factors, showed the maximum explanation in the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ird, parents’ support of family factors and sense of school belonging of school factors decreased the cultural adjustment stress. In this study, only the environmental variables in microsystem level was tested because of the limitation of data.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examine the impact of environmental variables affecting the cultural adjustment stress on mesosystem, exosystem, and macrosystem levels afterwards. 본 연구는 중도입국청소년이 경험하는 문화적응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적 요인을 살펴보고, Bronfenbrenner의 생태체계모델 관점을 적용하여 위계적다중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여 유의미한 사회복지적 실천적 함의와 정책적 함의를 도출하기 위한 연구이다. 경기도에 거주하거나 학교를 다니는 10~20세 사이의 279명의 중도입국청소년의 설문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Bronfenbrenner의 생태체계모델은 중도입국청소년의 미시체계에서의 환경적 요인분석에 적용가능성을 보였다. 둘째, 문화적응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연구한 본 연구의 연구모형은 위계적회귀모델에서 개인요인 가족요인 학교요인을 모두 넣은 모델3이 가장 큰 설명력을보였다. 셋째, 가족요인에서 부모의 지지가, 학교요인에서는 학교소속감이 문화적응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연구에서는 데이터의 한계로 미시체계의 환경적 변인만을 살펴보았기에, 추후에 중간체계 외부체계 거시체계의 환경적 변인이 문화적응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 KCI등재

        무용전공 대학생의 무용지속성에 미치는 신체적 자기효능감과 자아탄력성의 영향 : 위계적 회귀분석

        윤서진,장태석 한국무용학회 2020 한국무용학회지 Vol.20 No.2

        본 연구는 무용전공자가 성공한 무용수가 되기 위해 무용 수행과정을 지속적으로 유지 시켜 줄 신체적 자기효능감과 자아탄력성을 비교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수도권에 소재한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무용전공자를 대상으로 연구가 진행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위계적 회귀분석 1단계에서는 신체적 자기효능감의 신체자신감은 무용지속성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외모타인 인식과 체력만족에서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둘째, 위계적 회귀분석 2단계에서는 신체적 자기효능감의 신체자신감과 자아탄력성의 하위요인 중 낙관적 태도와 대인관계 효율감은 무용지속성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자신감과 분노조절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최종적으로 무용지속성을 향상시키는 변수들 간의 상대적 영향력은 신체적 자신감, 낙관적 태도, 대인관계 효율감 순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자기효능감의 하위요인인 신체적 자신감이 가장 무용지속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and analyze the physical self-efficacy and its own-elasticity which will keep maintaining the dance performance in order for dance majors to become successful dancers. To achieve the goal,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dance major students attending four-year-course universities located in the capital area. The following results were found through hierarchical analysis. First, in the 1st stage of the analysis, the physical confidence of the physical self-efficacy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persistence of dance, and did not exert a meaning influence on the recognition of appearance and satisfaction of physical strength. Second, in the 2nd step of the analysis above, optimistic attitude and interpersonal efficiency among sub-factors of physical confidence and self-elasticity in the physical self-efficacy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persistence of dance, and did not affect the confidence and anger control. Finally, the results of relative influence among variables that improve dance persistence were in the order of physical confidence, optimism and interpersonal efficiency, also this could be judged that physical confidence, the sub-factor of self-efficacy, has the greatest effect on dance persistence.

      • KCI등재

        자전거 라이딩 참여자의 레크리에이션 전문화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대한 위계적 회귀분석

        김종호,황선환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 2018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Vol.42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recreation specialization of bicycle riding through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study was conducted for 393 adults over 20 years old who participated in bicycle clubs for at least one year.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factor analysis,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As the results, first, it is shown that as riders were the male and income increased, riding specialization increased. Second, according to the result added participation frequency, intensity, duration, and travel distance, income, participation frequency, participation intensity, participation duration, and distance had positive effects on riding specialization. Third, according to the result of further regression of riding satisfaction, it was found that income, participation frequency and riding satisfaction positively influenced riding specializ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leisure satisfaction is an important factor for raising the level of recreation specialization.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and happiness of participants through higher recreation specialization, it is needed to induce continuous participation in riding. For doing it, it is necessary to provide certain good/safe facilities, environment, equipment, etc. for improve the riding satisfaction. 본 연구는 자전거 라이딩 참여자의 전문화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자전거 동호회에 1년 이상 참여하고 있는 20세 이상의 성인 남녀 393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수집된 데이터는 SPSS23.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신뢰도 분석, 요인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행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남성이 여성보다, 그리고 수입이 많을수록 전문화 수준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참여 빈도, 강도, 기간, 이동거리를 추가로 회귀시킨 결과 수입, 참여 빈도, 참여 강도, 참여 기간, 이동거리가 라이딩 전문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라이딩 만족도를 추가로 회귀시킨 결과 수입, 참여 빈도, 라이딩 만족도 요인에서 라이딩 전문화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레크리에이션 전문화 수준을 높이기 위한 필요조건으로 여가 만족이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는 것이며, 레크리에이션 전문화 수준을 높여 자전거 라이딩 활동에 지속적인 참여를 유도하고 참가자의 삶의 질과 행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위해서는 자전거 라이딩의 시설, 안정성, 환경, 장비 등의 다양한 요인들을 개선하여 라이딩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국내 관광 참여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분석

        최승묵(Seung Mook Choi),박정숙(Jung Suk Park) 한양대학교 관광연구소 2012 觀光硏究論叢 Vol.24 No.2

        관광활동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선행연구들은 관광활동 외에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들을 통제하지 않아 관광활동이 삶의 질에 미치는 순수한 영향을 분석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또한 대부분 관광경험이 있는 계층만을 대상으로 연구가 이루어져 관광활동에 참여하지 않는 사람들의 삶의 질과 관광활동에 참여한 사람들의 삶의 질을 비교·분석할 수 없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관광활동에 참여한 사람과참여하지 않은 사람을 모두 포함하고, 관광활동 외에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을 통제하여 국내 관광여행 참여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인구통계학적 변수들을 통제하고 공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 모형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T-test 결과 국내 관광여행 참여 집단과 미참여 집단의 삶의 질 조정평균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국내관광여행 참여가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 다음으로 국내 관광여행 참여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서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독립변수로 인구통계학적 변수만을 투입한 분석(모델 1)과 국내 관광여행 참여 변수를 추가 투입한 분석(모델 2)을 실시한 결과 국내 관광여행 참여 변수를 추가한 모델 2의 설명력이 인구통계학적 변수만을 투입한 모델 1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모델 2에서 국내 관광여행 참여 횟수가 삶의 질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력이 가장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quality of life by domestic travel participation and derive implications to improve the domestic tourism by using 2010 Korea National Tourism Survey data(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As the result of hierarchial regression analysis on the observations 6,145, the number of domestic travel participation exerted the most positive influence upon the quality of life. And the quality of life increases with high income, married person, less aged person. Hence, the findings suggested that tourism policies need to more strategically focus on increase the number of domestic tourism participation in order to increase the quality of life.

      • KCI등재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연구투입규모가 기술료에 미치는 영향: 산림연구개발 사례 중심으로

        임창남 대한경영학회 2023 大韓經營學會誌 Vol.36 No.7

        As national R&D projects increase quantitatively, an effective R&D system must be established to commercialize R&D technologies, and continuous and systematic verification of R&D performance is required. The size of forest R&D projects, the subject of this study, also shows an increasing trend every year, requiring objective and reasonable verification of research result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 of research input on royalty by hierarchically analyzing the causal relationship with research results as an outcomes index according to forest R&D input factors. It evaluates the effect of the research input scale (research fund, research period, research personnel), which is an input index of national R&D projects, on economic performance (royalty), and thus is a research outcome regarding scientific performance (article), and technical performance (patent). To ensure the reliability of causal analysis between research input factors and performance, research data utilizes objective results that are linked to research tasks and performance-related indicators provided by the National Science and Technology Information Service (NTIS).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is conducted to verify the significance of the mediating factor. In this study,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employed to identify significant variables an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papers and patents in establishing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size of research input and the dependent variable, i.e., technical fee. Moreover, mediated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check the parameters' significance, and the indirect effect's significance was verified to confirm the results' reliability. According to the verification results, The analysis reveals that the number of researchers has a significant impact on all three variables, i.e., papers, patents, and technology fees. Additionally, patents also show a significant influence on technology fees. The factors that significantly affect royalty, which are economic performance, are participating research personnel and patents. Therefore, it is confirmed that patents have a mediating effect in the effect of research input on technology royalty. In other words, research personnel and patents are significant variables in the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results, and patents have a mediating effect among papers and patents. This explains a research logic model in which research input indicators lead from papers to patents and from patents to technical fees. Finally, Across all analysis models, the participation of a large number of researchers emerged as the most critical factor. Therefore, to ensure excellent research performance indicators for papers, patents, and technology fees, the top priority should be to secure outstanding research personnel. Additionally, creating technology transfer results as a parameter can help achieve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outcomes. In order to increase technology royalty, which is R&D performance, it suggests that stakeholders in R&D projects should secure the number of research personnel as input factors and the number of patents as intermediate output factors. 국가연구개발 사업이 양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연구개발 성과에 대한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검증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대상인 산림 R&D 사업의 규모도 매년 증가 추세를 보여 연구성과에 대한 객관적이고 합리적인 검증이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는 산림 R&D 투입요인에 따른 산출지표로써 연구성과와의 인과관계를 위계적으로분석함으로써 연구투입 규모가 기술료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즉, 국가 연구개발 사업의투입지표인 연구투입규모(연구비, 연구기간, 연구인력)가 연구산출물인 논문과 특허를 매개로 하여 연구성과물인기술료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 것이다. 연구 자료는 연구투입요인과 성과와의 인과관계 분석의 신뢰도 확보를 위해 정부 등록 연구과제와 국가과학기술지식정보서비스 성과 관련 지표와의 연계된 객관적 결과를 분석에 활용한다. 매개효과 검증을 위해 위계적회귀분석을 수행하여 매개 요인의 유의성 여부를 확인한다. 즉 연구투입규모와 기술료와의 인과관계 검증에 있어서논문과 특허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유의한 변수를 밝혀낸다. 그리고 매개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매개변수의 유의성 여부와 간접효과를 검증한다. 검증 결과에 의하면, 연구인력의 수는 논문, 특허, 기술료 모두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특허도 기술료에큰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다. 경제적 성과인 기술료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참여 연구인력과 특허로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연구투입규모가 기술료에 미치는 영향에서 특허가 매개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즉 위계적회귀분석 결과는 연구인력과 특허가 유의한 변수이며, 논문과 특허 중에서 특허가 매개효과가 있다. 이것은연구투입지표가 논문에서 특허로, 그리고 특허에서 기술료로 이어지는 연구 논리 모형을 설명한다. 결국, 분석모형 모두에서 연구인력 참여가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밝혀졌다. 논문, 특허, 기술료 연구성과 지표 확보를 위한최우선 과제는 우수 연구인력 확보라는 시사점이 도출되었고 매개변수로는 특허권의 확보를 통해 기술이전을 통한기술사업화 성과가 창출되어야 함을 밝혔다. 연구개발 성과인 기술료 증대를 위해서는 연구개발사업 이해관계자들이투입요인에서는 연구인력수와 중간 산출요인으로는 특허 수를 확보하여야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 군인의 개인적 특성과 셀프 리더십, 긍정심리자본, 오센틱 리더십, 심리적 웰빙, 정서적 웰빙이 조직웰빙에 미치는 영향

        박정화 ( Jeong Hwa Park ),유성모 ( Seong Mo Yoo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뇌교육연구소 2013 뇌교육연구 Vol.11 No.-

        본 연구에서는 군인의 개인적 특성과 셀프 리더십, 긍정심리자본, 오센틱 리더십, 심리적 웰빙, 정서적 웰빙의 요인들이 단계적으로 조직웰빙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K지역 남녀 군인과 군무원을 대상으로 212명을 조사하였고 실증분석을 위해서 분산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개인적 특성에 따른 분산분석 결과, 성별, 부부군인, 신분, 학력, 수입이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셀프리더십이 자기효능감을 부분매개로 오센틱 리더십에 영향이 있고, 심리적 웰빙이 주관적 웰빙에 영향을 미친다는 선행연구를 토대로, 셀프 리더십, 긍정심리자본, 오센틱 리더십, 심리적 웰빙, 정서적 웰빙 순서대호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조직웰빙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이 크기는 오센틱 리더십, 긍정심리자본, 셀프 리더십 순이었으며, 오센틱 리더십이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심리적 웰빙, 정서적 웰빙은 영향력이 상대적으로 작으나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연구모형의 설명력은 77.5%로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심리적으로 강한 군대, 긍정적인 조직으로 변화시키기 위한 육군 인적자원개발의 정책적 제언으로서 군인의 조직웰빙에 미치는 다섯 가지 영향요인이 교육훈련 프로그램에 포함되어야 한다는 것을 제시하였다. The present study explored how personal trait, self-leadership,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uthentic leadership, psychological well-being, and emotional well-being with regard to soldiers have influenced on their organizational well-being by stages. For this study, 212 soldiers or army civilians in the military from K-region were investigated. Both variance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ere adopted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The result of variance analysis showed that five personal traits-gender, status (army-rank), education level, incom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us these were used for control variables. Self-efficacy partially mediates the relationship of psychological well-being to authentic leadership. Based on existing research, as a result of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in an order of self-leadership,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uthentic leadership, psychological well-being, and emotional well-being, authentic leadership was most effective for organizational well-being, then followed in an order of these three variables. The effects of psychological well-being and emotional well-being on organizational well-being were also statistically significant. According to the results, when we develop an improvement program of soldier`s organizational well-being in order to change the army to a psychological that these factors were important antecedents for organizational well-be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