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뇌교육기반 실천중심 인성교육 프로그램이 아동의 사회적 관심에 미치는 영향

        김소영 ( Kim So-young ),오미경 ( Oh Mi-kyoung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뇌교육연구소 2016 뇌교육연구 Vol.18 No.-

        본 연구는 뇌교육 기반 실천중심 인성교육 프로그램이 아동의 사회적 관심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울산에 소재한 H초등학교 6학년 78명이었다. 뇌교육 기반 실천중심 인성교육 프로그램을 1회 40분간 10회 적용한 실험집단(26명:남13, 여13), 짝 뇌체조를 실시한 비교집단 (26명:남13,여13),아무런 처지도 하지 않은 통제집단(26명:남13, 여13)을 대상으로 사전과 사후에 사회적 관심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분석은 반복측정 분산분석(Repeated Measures ANOVA)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간에 사회적 관심 전체와 태도 요인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고,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에 사회적 관심 전체와 하위요인(태도, 행동) 모두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비교집단과 통제집단 간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이러한 결과로 뇌교육 기반 실천중심 인성교육 프로그램이 사회적 관심의 향상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사회적 관심의 향상을 위해서는 뇌체조 이외의 실천중심 뇌교육 인성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요소들(가치관, 정서조절, 본질적 자신감, 명상, 호흡 등)이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뇌교육 기반 실천중심 인성교육 프로그램이 ``더불어 함께 사는 사회``를 강조하는 사회적 관심 향상을 위한 방안으로 제시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ass the limits of the existing Character Education in terms of effectiveness, to devise the Practice Centered Character Program based on Brain Education that is suitable for a developmental level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Subjects were 78 students, the Sixth graders in an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Ulsan to conduct this study. Firstly, an experimental group(26 participants; M13/F13) that was applied to the Practice Centered Character Program utilizing Brain Education performed 10 times for 40minutes at a time. Secondly, a comparative group(26 participants; M13/F13) that Pair Gymnastics was done. Thirdly, a controlled group(26 participant; M13/F13) that was handled anything. This research materials were collected after conducting surveys through the pretest and the posttest. Repeated Measure ANOVA was used for the data analyses. As a result, all the act & attitude and social concern in the experimental group compared to the comparative group was significant. All Social Interest & Subfactor(attitude, act)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led group was meaningful,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he comparative group and the controlled group. So, this study showed that the Practice Centered Character Program based Brain Education had an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of a Social Concern. The experiment of only Pair Brain Gymnastics among the Practice Centered Character Programs gave the study some effect and the average improved, but there was fallen behind the improvement of Social Interest. This study emphasize the importance of elements(values, emotional regulation, an essential confidence, meditation, respiration) in the improvement of Social Interest. This Practice Centered Character Program based on Brain Education is expected to advance in the Social Interest stressing ``the society along with others.

      • "뇌교육"적 관점의 인성교육 방안 탐색

        신재한 ( Jae Han Shin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뇌교육연구소 2015 뇌교육연구 Vol.- No.S

        본 연구에서는 ``뇌교육적 관점``에서의 인성교육 방안을 탐색하기 위해 인성교육에 대한 뇌과학적인 이해 즉, 청소년기의 뇌 특징, 뇌 구조 및 기능 차원, 신경전달물질 차원 등을 중심으로 고찰해고, 뇌교육적 관점의 인성교육을 적용한 사례를 살펴봄으로써 학교현장에 확산시키고 일반화할 수 있는 가능성을 탐색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기의 두뇌 발달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인성교육을 실시할 필요가 있다. 둘째, 두뇌 구조 및 기능의 문제, 신경전달물질의 과다 및 부족 등 근본 원인을 모색하여 그에 적절한 처방이나 인성교육 방안을 제공해 줄 필요가 있다. 셋째, 정서·인지·신체 등 통합적인 관점에서 뇌교육적 관점의 인성교육을 실시함으로써 올바른 습관 형성 및 내면화에 기여하는 것은 물론 자기주도적인 인성교육을 실시할 수 있다. 지금까지 살펴본 바와 같이 뇌교육적 관점의 인성교육은 올바른 습관 및 가치관 형성, 자기주도적인 정서조절, 자아존중감 및 대인관계 향상, 자아정체성 정립 및 도덕성 발달 등 인성교육과 관련하여 국내·외 많은 교육현장에서 큰 성과를 거두고 있어 인성교육의 새로운 대안이 될 수 있다. 이러한 뇌교육적 관점의 인성교육은 학습자들의 삶 속에서 근본적인 의식 변화를 가져오는 것은 물론, 몸과 마음, 정신이 일치된 인격 형성을 추구함으로써 전인(全人)교육을 실천하는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goal of the present study is to understand personal education through brain science, focusing on features of adolescent brain, the structure and functions of brain, and dimensions of neurotransmitter, and to explore the possibilities to generalize and spread personal education by observing the cases adopting it from the perspective of brain science.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the following. First, it is necessary to provide tailored personality education considering the traits of development stage of adolescent brains. Second, it is necessary to offer appropriate treatment or measures for personality education by analyzing fundamental causes of the problems in excess or scarcity of neurotransmitter, and the structure and functions of brain. Third, schools can conduct self-initiated personality education as well as contribute to students` making good habits and their internalizing them, by providing personality educ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brain, which as sumes integrative view of emotion, cognition and the body. Personality education can be a new alternative as it has born fruits in the internal and external education field regarding humanistic education such as self-initiated emotion control, self-esteem, improving abilities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 forming identity, and moral development. This personality educ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brain science not only brings about fundamental consciousness change in students` lives but also contribute to conducting whole-rounded education by pursuing character building for well rounded people.

      • 뇌교육의 경험유무에 따른 뇌교육의 법적 정의탐색

        김보연 ( Kim Bo-yeon ),권효숙 ( Kwon Hyo-sook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뇌교육연구소 2018 뇌교육연구 Vol.21 No.-

        이 연구는 실천지식의 특성이 강한 뇌교육의 의미를 이해하고 나아가 그에 관한 법적 정의를 내리는 데 뇌교육 경험의 유무가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뇌교육 무경험자로서 뇌교육과 무관한 직업을 가진 A그룹과 뇌교육 경험자로서 현재 뇌교육 관련 직업을 영위하고 있는 B그룹을 대상으로 뇌교육의 법적 정의를 탐색함으로써 ‘경험과 지속적 체험, 실천현장’ 차원의 차이가 뇌교육을 인식하는 데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A그룹에서는 뇌교육의 목적으로 ‘지구평화, 인류평화’ 등의 추상적 목적을 일부 제시하였으며 B그룹은 ‘올바른 인성, 양심을 살리고, 양심대로, 건강ㆍ행복ㆍ평화 실천’ 등을 제시하였다. 뇌교육의 대상으로 A그룹은 ‘청소년’으로 특정한 경우가 많았고 B그룹은 특정하지 않은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둘째, 뇌교육의 접근방식에 대한 언급은 A그룹과 B그룹이 주로 ‘뇌관련 제반 연구와 지식 활용, 뇌과학 기반’ 등 표현의 큰 차이는 없었으나 B그룹에서 ‘뇌체조, 호흡명상, 에너지교류’ 등 특정 체험방식을 언급하기도 하였다. 셋째, 뇌교육의 내용으로 A그룹은 ‘융합학문, 융복합학문’이라는 표현을 제시해 ‘뇌교육’과 ‘뇌교육학’에 대한 혼란이 일부 존재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인식의 차이는 교육적 경험과 그 지속에 따라 사회통념상 통용될 수 있는 일반적ㆍ구체적인 뇌교육의 정의가 달라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 연구는 서로 다른 경험과 상황 속에서 뇌교육에 관한 인식이 어떻게 다른지 파악함으로써 포괄적 합의 기준을 확보해야 하는 뇌교육의 법적 정의를 논하고 뇌교육의 교육적 방향 모색하는 데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examined the difference of legal definition of brain education between groups, whether they have brain educational experience or not. The former is called ‘group A’, and the latter is called ‘group B’. Looking at the results, group A presented for the purpose of brain education such as 'global peace and human peace' and group B suggested 'proper personality, conscience, health, happiness, peace practice'. Group A mostly specify the subject of brain education on 'youth', and group B express more broadly rather than specify one subject. The reference of the approach for brain education was not much different between group A and group B. They mainly expressed as follows, 'based on brain related research’, ‘knowledge utilization and brain science’, but in group B, ‘brain gymnastics, respiration meditation’, and also referred to specific methods. As a result of the contents of brain education, group A expressed as follows, ‘fusion science, fusion science’, and it can be considered that there was some confusion about ‘brain education' and 'pedagogy as a brain education’. This difference in perception means that the definition of both general and specific brain education can be used in society. This study can be used as a reference for the new research that explores the legal definition of brain education that is commonly used in society and can evoke the discussion for a better educational direction of brain education.

      • 대학생의 뇌교육 수련 정도에 따른 낙관성 및 자기효능감 특성 연구

        김진이,윤선아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뇌교육연구소 2010 뇌교육연구 Vol.6 No.-

        본 연구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낙관성과 자기효능감이 뇌교육 수련 정도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뇌교육 수련 기간이 1년 이상인 대학생 33명을 실험집단으로, 뇌교육 수련 기간이 14주인 대학생 42명을 비교집단으로, 뇌교육 수련을 받지 않은 대학생 55명을 통제집단으로 선정하였다. 일원변량분석 결과, 1년 이상 뇌교육 수련을 받은 실험집단은 14주 동안 뇌교육 수련을 받은 비교집단과 받지 않은 통제집단에 비해 낙관성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고, 비교집단과 통제집단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세 집단 간 자기효능감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1년 이상 뇌교육 수련을 받는 것은 대학생들의 취업으로 인한 심리적 부적응과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미래에 대한 긍정적인 기대와 희망을 나타내는 낙관성을 높여줌으로서 추후 낙관성 향상을 위한 뇌교육 프로그램을 만드는데 기초자료로서 활용가치가 있고, 대학교 현장에서 활용 가능성과 필요성이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optimism and self-efficacy of college students who received Brain Education training. Thirty-three college students who received Brain Education training for more than one year at training center in 20 cities in South Korea served as the experimental group. Forty-two college students received Brain Education training two hours every week for 14 weeks at a college in Cheonan served as the comparative group. Fifty-five college students who had not received any Brain Education training from two colleges in Seoul and in Daejeon served as the control group. Optimism was measured using a redesigned version of Scheier, Carver & Bridge`s LOT-R (Revised Life Orientation Test). Self-efficacy was measured using a self-efficacy test developed by Young-Min Lee, Ralf Schwarzer & Mattisa Jerusalem. PASW (Predictive Analytics SoftWare) ver. 18.0 and ANOVA (Analysis Of Variance) were used to analyze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experimental group who participated in Brain Education training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optimism compared to the comparative and the control groups.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comparative group and the control group. Second, the experimental group who participated in the Brain Education training did not show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self-efficacy compared to the comparative and the control groups. The results suggest that Brain Education training can contribute to optimism in college students. This optimism may help college students cope with their psychological maladjustment and job stress and have a positive expectation and hope for the future.

      • 뇌 기반 교육과 뇌교육의 이론적 기초와 관련성 고찰

        김연봉 ( Yeon Bong Kim ),윤선아 ( Seon Ah Yoon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뇌교육연구소 2011 뇌교육연구 Vol.8 No.-

        본 논문의 목적은 뇌 기반 교육과 뇌교육의 이론적 기초를 탐색해보고, 이를 접목하여 교육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 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뇌 기반 교육과 뇌교육의 원리와 교육방법을 고찰하여 두 접근 방식 간의 차이점과 공통점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두 이론은 뇌의 기능과 작용을 최대한 발휘하게 함으로써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학습이나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하는 동시에 교육적 효과를 통해 삶의 질을 향상시키려고 하는 궁극적인 교육 목표에서는 동일하였다. 그러나 뇌 기반 교육은 신경과학의 연구결과를 교육에 접목하려는 노력으로서 주로 뇌에 맞는 교육환경과 학습 환경을 조성해주는데 초점을 맞추는 반면, 뇌교육은 뇌발달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직접적인 요인이나 활동을 연구한다는 차이점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뇌 기반 교육과 뇌교육의 학제 간 융합을 통하여 새로운 교육방법이 마련될 필요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plore the theoretical base of brain-based education which tries to connect research results of neuroscience and learning and Brain Education which examines the primary factors or activities influencing on brain utilization and brain development. Also, this article tries to combine these two approaches to devise new method for educational field. For this purpose, principles, educational methods and research trends of brain-based education and Brain Education were reviewed. And in the aspect of interaction of cognition and behavior, emotion and learning, and emotion and behavior, we analyzed the similarity and differences of principles and methods of those two approaches. In conclusion, if new theoretical base combining brain-based education and Brain Education be devised, it can be useful in educational field for students to promote whole personality and quality of life through integrate the cognition, emotion and body and soul harmoniously.

      • 뇌교육이 내포하는 세 가지 교육영역의 특징과 의미

        신혜숙 ( Hye Sook Shin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뇌교육연구소 2006 뇌교육연구 Vol.1 No.-

        이 글의 주된 목적은 최근에 등장한 뇌교육의 특징과 의미를 기존의 뇌와 교육을 연계하는 교육이론과 교육실천의 흐름과 관련시켜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뇌교육이 새로운 교과로서 성립할 수 있는 가능성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뇌지식교육``, ``뇌체험교육`` 그리고 ``뇌기반교육``으로 명명한 기존의 세 가지 교육영역이 "뇌의 운영"을 목표로 하는 뇌교육 안에 모두 포함되는 것으로 보고, 각 교육영역의 장단점과 상호관계를 검토하였다. 그 과정에서 뇌교육은 뇌 자체를 학습소재로 삼아 지식과 체험을 향상하고 이를 위해 뇌의 학습적 속성과 기제에 적합한 방식으로 교수-학습을 실시하는 새로운 교과로서 성립할 수 있다는 점을 밝혔다. 앞으로 뇌교육은 교육의 주체이자 목적인 인간의 이해와 관련하여 모든 교과의 기초가 될 것이다. The main aim of this paper is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and meanings of brain education in connection with existing educational theories and practices based on the knowledge of the human brain, and lastly to clarify the possibility of brain education as a new academic subject. To do this, I organized the existing brain educational theories and practices into three fields ``brain-knowledge education,`` ``brain-experience education`` and ``brain-based education``. The goal of brain education is a "brain operating system" that presupposes all three fields. In order to distinguish the characteristics and significance of brain education, I examined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of each field, and also the interrelationship of these three fields. As a result of this study, I found that brain education can be a new educational subject that aims to improve the knowledge and experiences in the brain itself. It also makes the teaching-learning processes compatible to human brain`s natural way of learning. As the goal, and indeed the core, of all educational practices is a deeper understanding of humanity, brain education has the potential to become the basis of all educational subjects in the very near future because it deepens our knowledge of how the brain is the essential agent in all learning.

      • 뇌교육 기반 인성교육 프로그램 분석을 통한 개발 방향 탐색

        김태은 ( Kim Tae Eun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뇌교육연구소 2020 뇌교육연구 Vol.25 No.-

        본 연구는 뇌교육 기반 인성교육 프로그램을 심층적으로 분석하기 위해서 분석 준거를 개발한 후, 프로그램의 내용을 개발한 분석 준거를 토대로 질적으로 분석함으로써 뇌교육 기반 인성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방향을 제시하는데 그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국내 학술지와 학위논문 중에서 뇌교육 기반 인성교육 프로그램 관련 선행연구 60편을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개발된 분석 준거 및 내용을 토대로 11명의 전문가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평균과 표준편차, 내용타당도 비율 등 기술통계 값을 활용하고, SPSS 2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뇌교육 기반 인성교육 프로그램 개발 방향을 결론으로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프로그램의 목적과 유형 등을 고려하여 뇌교육 기반 인성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둘째, 뇌교육 기반 인성교육 프로그램 내용을 선정하고 조직할 때, 삶의 철학, 상호교류, 감정정화, 두뇌균형, 습관형성 등이 포함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셋째, 뇌교육 기반인성교육 프로그램의 교수학습방법은 신체활동, 정서활동, 인지활동 등으로 분류할 수 있기 때문에, 신체·정서·인지가 모두 포함된 통합활동을 실시할 필요가 있다. 넷째, 뇌교육 기반 인성교육 프로그램은 체험중심 인성교육, 반복을 통한 습관 형성, 비전과 목표수립 및 행동실천의 특징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일상생활 속에서도 지속적으로 실천될 수 있도록 피드백이 되는 등 추후 관리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뇌교육 기반 인성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를 내기 위해서는 두뇌친화적 환경, 정서조절, 본질적 자신감 형성, 가치관 정립 순으로 프로그램 원리 및 전략을 사용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of brain education based personality education program by developing the analysis standard for in-depth analysis of brain education-based personality education program and qualitative analysis based on analysis criteria that developed the contents of the program.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60 preceding studies related to brain education-based personality education programs were analyzed among domestic academic journals and academic papers. Based on the analysis specifications and content developed, technical statistics such as mean (M) and standard deviation (SD) and content validity ratio (CVR) were utilized and analyzed using the SPSS 22.0 program. In conclusion,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of brain education-based personality education programs is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brain education-based personality education program in consideration of the purpose and type of the program. Second, when selecting and organizing the contents of the brain education-based personality education program, it is designed to include the philosophy of life, personal interaction, emotional catharsis, brain balance, habit formation. Third,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of the brain education-based personality education program needs to be conducted to ensure that they include physical activities, emotional activities, and cognitive activities. Fourth, the brain education-based personality education program has characteristics of experience-based personality education, habit formation through repetition, vision and goal setting, and behavioral practice. Hence, it is essential to develop the manageable program that provides feedback so that can be implemented continuously in daily life. Fifth, it is necessary to use program principles and strategies in order of brain-friendly environment, emotion control, intrinsic self-confidence, and value establishment so as to have the effect of brain education-based personality education program.

      • 뇌교육의 전제와 의미

        신혜숙 ( Hye Sook Shin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뇌교육연구소 2009 뇌교육연구 Vol.3 No.-

        이 글의 목적은 실천이 일어나는 상황과 과정을 모두 조망하는 유기체적 관점을 통해 실제로 이루어지는 교육활동을 이해함으로써 교육의 총체적 의미를 찾는 것이다. 구체적인 교육활동의 이해를 위해 심신수련을 비롯한 고유한 교육방법을 써서 `홍익인간·이화세계`의 교육목표를 실현하고자 하는 사상적·실천적 체계인 `뇌교육`을 선정하였다. 먼저 뇌교육 활동에 내재하는 핵심적 아이디어인 `뇌운영체계` 개념을 발견하고, 이 개념에 내포된 여러 가지 전제들을 차례로 분석한 후, 부분이 아닌 총체로서 뇌교육 활동이 갖는 의미를 규명하고, 이를 토대로 교육의 의미를 발견하는 과정을 거쳤다. 이를 통해 교육적 실천의 주체인 뇌와 인간은 교육적 실천을 위해 주어지는 환경이자 그 실천을 통해 구성해 가는 맥락으로서의 세계와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 상보적 관계를 맺는다는 사실과 교육 활동은 이 상보적 관계를 상생의 관계로 발달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지닌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결과적으로 공적 가치를 지향하는 교육은 뇌의 총체적 발달을 통해 인간의 자기의식이 지니는 함정에서 벗어나게 해 줌으로써 세계를 변혁하는 과정을 지속할 수 있게 한다는 의미를 찾아내었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answer a question "what is the meaning of education?" based on an organic perspective that see the elements and the process of education as a living system. For this purpose, brain education activities that aims realization of an idea of `Hong-ik-in-gan-E-hwa-sae-gae: help each other, rule without force` is selected, and concept of `Brain Operating System` is analyzed as the core concept of brain education. The analysis to find out the presuppositions and synthesis to find out meaning of brain education and ideal education is done repeatedly. To summarize the results are: Firstly, it presupposed that human brain needs educational development, human being as not to be born as the subject but to be born as to become the subject through continuous efforts, and the world as the given environment and the constructive settings and contexts for praxis. Secondly, it presupposed that brain, human being, and the world are complementarily related. Thirdly, it presupposed education as guiding activities that direct the complementary relationships among them toward the goodness. Based on these presuppositions, it found as the meaning of brain education that brain and human being as educational subject transact with the world as educational environments and contexts, and ideal brain education has the capacity to direct them toward the synergy effect. To conclude, educational praxis based on public virtues has the capacity to guide brain toward whole development, human being toward getting out of the pitfall of self consciousness, and to make the world renew the physical/constructive body continuously.

      • 영유아 창의성 교육에 관한 한·일 연구동향 -뇌관련 연구를 중심으로 -

        이혜숙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뇌교육연구소 2021 뇌교육연구 Vol.28 No.-

        본 연구는 영유아 창의성과 뇌교육 연구에 관하여 한·일 간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알 기 쉽게 가시화하여, 주력 영역이나 중요시하는 연구 영역을 개관하고 비교에 의한 시 사점을 도출해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한국과 일본에서 2000년-2021.10월에 발표된 총 160편의 논문을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뇌기반 교육에 관한 연구 주제의 동 향은 한국은 기초 창의성 관련 연구가 많은 반면 일본은 창의성 요소 관련 연구가 많았 다. 창의성 연구에 관한 연구는 양국 모두 비율이 높았다. 영유아 대상 뇌기반 교육 관 련 연구는 상대적으로 한국이 높은 비율을 보였다. 연구방법의 동향은 한국이 양적연구 의 비율이 높았지만, 일본은 질적연구의 비율이 높았다. 양국 모두 근년에 들어 연구방 법의 혼용도 눈에 띄었다. 연구 주제 동향에서 공통점은 세 가지로 요약했다. 하나, 영 유아의 발달단계를 고려한 교육적 관점이 강조되는 경향을 보였다. 둘, 뇌기반 교육 연 구의 비중이 점점 커지고 있다. 셋, 많은 연구가 갈수록 영유아의 교육·보육 현장 도입 을 향하고 있다. 차이점으로는, 한국은 다양한 프로그램 또는 교육방법의 개발이 주를 이루었다. 일본은 새로운 개발보다는 교사와 영유아가 접촉하는 단계에 많은 관심을 두 었다. 시사점으로는 영유아 창의성 연구와 뇌 관련 연구의 접목과 융합은 앞으로 더욱 활발하게 이루어지리라는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visualize the similarities and the differences between Korea and Japan in the study of creativity and brain education of early childhood, and to analyze the main areas or important areas of research and draw implications by comparison. For this purpose, 160 papers published in Korea and Japan from 2000 to October, 2021 were collected and analyz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trend of research topics on brain-based education is that Korea has many studies on basic creativity, while Japan has many studies on creativity factors. Research on creativity has a high proportion in both countries. Research on brain-based education for early childhood showed a relatively high proportion in Korea. The trend of research methods was high in Korea, but in Japan, the rate of qualitative research was high. In both countries, a mixture of research methods has also been noticed in recent years. The research topic trend has been summarized in three things: 1. The educational perspective considering the developmental stage of early childhood tended to be emphasized. 2. The proportion of brain-based education research is increasing. 3. Many studies are increasingly directed to the introduction of education and childcare fields for early childhood. As for the difference, Korea has developed various programs or educational methods, and Japan has been interested in the stage of contact between teachers and early childhood rather than new developments. The implication is that the integration and convergence of the research on creativity of early childhood and brain-related research will be more active in the future.

      • 효과적인 뇌기반 수업 설계 및 적용 방안 탐색 -초등학교 과학교과를 중심으로-

        권택환 ( Taeg Hwan Kwon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뇌교육연구소 2014 뇌교육연구 Vol.13 No.-

        본 연구에서는 뇌의 구조와 발달 등 이론적인 특징을 살펴 본 후, 뇌기반 관련 학습 환경 및 교수-학습 방법 등 뇌교육적인 방향성을 정립하고 구체적인 뇌기반 수업 설계 및 적용 방안을 모색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좌뇌와 우뇌가 가지고 있는 구조적 특성을 토대로 각급학교 좌뇌형 및 우뇌형 교사들이 실천 가능한 수업 방법과 좌뇌형 및 우뇌형 학생들에게 적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학습 방법을 도출 하였다. 둘째, 뇌기반 학습환경 분석, 뇌기반 단원 목표 설정, 뇌기반 한습내용 선정 및 조직, 뇌기반 교수-학습 전략, 뇌기반 단원 평가 계획 수립 등 5단계를 거침으로써 과학적으로 뇌기반 수업을 설계활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였다. 셋째, 좌뇌·우뇌·전뇌 등 뇌 특성에 적절한 맞춤형 뇌기반 수업를 설계함으로써 한쪽에 치우친 편향적인 뇌기반 수입이 아닌, 좌뇌·우뇌·전뇌 등이 균형 잡힌 뇌기반 수업을 가능해 질 수 있다. 그러나, 좀 더 발전적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교사 배경 변인, 교육과정 특성 변인, 학생 개별 특성 변인 등을 고려하여 실제 학교급별 특성이 반영된 뇌기반 교육과정 개발은 물론, 다양한 변인들을 고려하여 효과적인 뇌기반 수업을 설계·적용할 수 있는 후속 연구들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oretical features like structure and development of brain to establish direction of brain-based science such as learning environment and teaching-learning methods and to seek ways of design and application of brain-based scie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eaching methods that were available for right-brained and left-brained teacher based on structure features of right and left brain and specific learning that would work for right-brained and left-brained students were created. Second, this study prepared the ground for brain-based science class design through five steps, which were analysis of learning environment of brain-based science, brian-based unit goal setting, selection and organizing brain-based contents. brian-based teaching-learning strategy and establishment of brain-based unit assessment plan. Third, by designing customized class suitable for brain characteristic, well balanced brain-based class could be possible not one-sided brain-based class. However, follow-up studies would be necessary for more effective brain-based classes considering various variable such as teachers`` background, nature of curriculum, students`` individual characteristic. etc.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