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원불교의 정체성 정치와 위치

        고병철(高炳哲)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15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63 No.-

        이 글의 목적은 원불교가 전개한 종교 정체성의 정치를 검토하는 데에 있다. 이와 관련하여, 연구자들은 대체로 원불교를 불교나 신종교와 동일시하는 관점을 보여주었다. 그에 비해, 이 글에는 원불교가 정체성의 정치를 통해 중층적인 종교 정체성을 형성해왔다는 관점이 담겨 있다. 이런 관점을 토대로, 제2장에서는 종교 정체성의 변화를 드러내기 위해 원불교의 역사를 검토하였다. 그리고 이를 통해 저축조합(1917), 불법연구회기성조합(1919), 불법연구회(1924), 원불교(1948) 등으로 전개된 역사적 과정에서 스스로를 불교단체 또는 신종교로 인식할 수 있는 부분이 원불교 내부에 축적되었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제3장에서는 1970년대 이후, 원불교의 종교 정체성에 관한 연구 경향을 논쟁 형태로 분석하였다. 여기서 논쟁 형태는 불교와 차이를 드러내어 신종교임을 강조하는 연구 경향, 그리고 불교와 유사성을 강조하는 연구 경향의 구도를 말한다. 그리고 이런 논쟁 구도가 형성된 배경이 원불교 역사에서 축적된 중층적 종교 정체성에 있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제4장에서는 원불교가 사회적으로 전개한 종교 정체성의 정치와 효과에 관해 검토하였다. 이 부분에서는 원불교가, 비록 1970년대 중반 이후 한국불교종단협의회에 참여하지 않았지만, 1948년 이후 불교 연합체에 꾸준히 참여한, 동시에 1962년 이후 범종교 연합체에서 활동한 내용을 고찰하였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사회적으로 불교와 다른 독자성을 강조하면서 국가장, 군종, 교화위원, 인구총조사, 학문 분류 등의 측면에서 여러 제도적 이익을 획득했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끝으로, 이상의 내용을 토대로, 원불교의 중층적 종교 정체성이 역사적 경험의 축적물이고, 원불교의 현재 위치가 특히 해방 이후에 종교 정체성의 정치가 만들어낸 산물이라고 지적하였다. 구체적으로, 원불교가 이런 중층적 종교 정체성을 가지고 불교나 신종교와 공존할 수 있었고, 불교와 다른 독자성을 강조하여 불교와 동등한 차원에서 여러 제도적 이익을 획득할 수 있었다고 지적하였다. 그리고 이런 공존 가능성과 제도적 이익을 고려할 때 앞으로도 원불교가 종파불교나 신종교단체 가운데 어느 한 쪽만으로 종교 정체성을 규정하기는 쉽지 않을 것으로 전망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identity politics of Won-Buddhism in Korea. So far, many researchers have claimed that Won-Buddhism is a modernized form of Buddhism or a new religion. However, I take the view that Won-Buddhism has formed layered identities as both Buddhism and new religion, through the politics of religious identity. Based on this perspective, in chapter 2(‘Religious identities of Won-Buddhism’), I revealed the multi-layer dimensions of Won-Buddhists’ identities, examining the history of Won-Buddhism, And, I argued that Won-Buddhism can be regarded as a modernized form of Buddhism or as a new religion. In chapter 3(‘Controversy between a modernized form of Buddhism and a new religion’), I examined the research trends on identities of Won-Buddhism since the 1970s. Looking at these trends, the researches of the first type have exposed the differences between Won-Buddhism and Buddhism, and have emphasized Won-Buddhism as a new religion. By contrast, the researches of the second type have exposed the similarities between Won-Buddhism and Buddhism, and have emphasized Won-Buddhism as a modernized form of Buddhism. These trends were made because multi-layer dimensions of Won-Buddhists’ identities. Finally, in chapter 4(‘Won-Buddhism and Identity politics’), I examined the identity politics as Won-Buddhism. Here, I pointed out that Won-Buddhists, though they did not participate in Association of Korean Buddhist Orders since the mid-1970s, have worked in Buddhist association since 1948, not only in the pan-religious coalitions since 1962. As a result, Won-Buddhists could obtain various institutional interests through their identity politics. In summary, Won-Buddhists have formed multi-layer religious identities in their historical experiences, and Won-Buddhism could have existed between a modernized form of Buddhism and a new religion through its identity politics. And Won-Buddhism has obtained institutional interests at the similar level with Buddhists organizations. Considering these aspects, we can assume that multi-layer identities of Won-Buddhism will continue in the future.

      • KCI등재후보

        원불교의 연중 의례와 종교 생활

        허남진 원광대학교 종교문제연구소 2020 한국종교 Vol.47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daily religious life of Won-Buddhism by surveying the annual rituals and how the religious life of one year is organized. A study on the annual religious life provides a good opportunity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Won-Buddhism.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the study was divided into three areas: daily religious life of Won-Buddhists, annual religious rituals of Won-Buddhist headquarters and annual religious life in Won-Buddhist temples. This paper discusses the religious duties conferred on Won-Buddhists in the process of becoming a Won-Buddhist and specifically looks at daily religious life centering on the methods of daily Dharma Training. Next, it elucidates the Four Celebrations and Two Memorial Services of Won-Buddhism and their composition to examine the one-year cycle of Won-Buddhism’s religious life. The paper also examines aspects of the communal religious life of Won-Buddhists through the dharma meeting, the activity of edification units (a group of ten persons which was organized for religious edification) and fixed-term training at a Won-Buddhism temple.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Won-Buddhism can be characterized as a religion for daily life that is not limited to the time and place of religious practice. 본 연구는 원불교 교도의 연중 종교 생활이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를 살펴봄으로써 실제 원불교 교도의 종교 생활을 이해하려는 목적을 지닌다. 1년의 주기로 반복되는 종교 생활은 교단뿐만 아니라 개개 종교인들의 일상적인 종교 생활을 파악할 수 있는 주요한 대상이며, 1년의 주기의 연중 종교 생활에 대한 연구는 원불교 의례의 특성뿐만 아니라 원불교의 특성을 이해할 수 있는 하나의 계기가 되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1년이라는 기간 동안 종교 생활이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원불교 교도의 일상의 종교 생활, 원불교 중앙총부의 연중 의례, 교당의 종교 활동이라는 세 가지 영역으로 구분하여 다루었다. 원불교 교도의 일상 종교 생활에서는 원불교 교도가 되는 과정과 사종의무를 통해 원불교 교도에게 부여되는 종교적 의무를 논했고, 구체적으로 상시훈련과 일상수행의 요법을 중심으로 일상의 종교 생활을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원불교 종교 생활의 1년 주기를 살펴보기 위해 원불교의 사축이재와 그 구성을 서술했다. 앞에서 원불교 교도의 각 개인의 일상의 종교 생활을 살펴보았다면, 한 교당을 중심으로 법회, 교화단 활동, 정기훈련을 통해 원불교 교도의 공동체적 종교 생활 측면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를 통해 원불교는 시간과 공간에 제한하지 않는 생활 종교로서의 특성을 명확하게 드러내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KCI등재

        법인정신과 원불교의 공공성

        원영상(元永常)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19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82 No.-

        현대사회는 위기에 처해 있다. 문명 그 자체의 위기라고 할 수 있다. 자본주의가 가져온 피로사회, 중독사회는 인류의 이러한 심리상황을 잘 보여주고 있다. 그 뿐만이 아니라 기후환경문제, 대규모 전쟁의 가능성, 사회적 분열 등 다양한 측면에서 그 종말론적 위기감이 더해지고 있다. 불안이 엄습하는 현대사회에서 종교는 과연 어떤 역할을 해야 하는가, 라는 물음이 제기된다. 원불교는 기성종교가 타개하지 못한 지구의 위기상황에 대처하기 위해 근대기에 탄생한 종교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따라서 ‘물질이 개벽되니 정신을 개벽하자’라는 표어를 내건 원불교의 종교적 정신은 현대문명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하나의 처방전이라고 할 수 있다. 나아가 원불교가 소태산 박중빈과 그 제자들이 1919년, 법계(法界)로부터 인증받기 위해 하늘에 올린 ‘법인기도(法認祈禱)’는 원불교가 사회적 공공성(公共性)을 표방하고 나온 종교임을 보여주고 있다. ‘부처를 이루고 중생을 구제한다’는 성불제중(成佛濟衆), 또는 ‘나를 제도하고 세상을 구제한다’라는 제생의세(濟生醫世)는 이러한 원불교의 종교적 가치를 잘 보여주고 있다. 즉 원불교의 종교성은 ‘세상의 고통을 해결하기 위해 무아의 자세로 공공의 삶을 살아간다’는 무아봉공(無我奉公)의 정신을 나타내는 사무여한(死無餘恨, 죽어도 여한이 없다)의 법인정신(法認情神)에 잘 나타나 있다. 대승불교와 그 근본정신인 참여불교(Engaged Buddhism)의 정신을 계승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원불교는 세계 인류의 모든 고통을 해결하기 위한 사회적 참여를 적극적으로 해야 하며, 원불교의 가르침이 그러하듯 모든 종교의 가르침을 회통하여 세계를 낙원으로 이끌어 가기 위한 노력을 멈추지 않아야 할 것이다. 본 논문은 이처럼 원불교의 종교정신의 근원을 다시 확인하는 것이 그 목표다. 이를 통해 원불교는 철학, 정치, 경제, 문화에 열려있는 종교를 지향해야 한다. 이는 현대문명의 치유를 위해 등장한 종교로서의 사명을 다하기 위한 것이다. 실험적인 1세기를 끝내고 2세기로 접어든 원불교의 정체성 확립과 미래는 결국 이 법인정신을 어떻게 현대사회에 재현해내느냐에 달려 있다고 할 수 있다. The modern society is in crisis. It can be said that it is the crisis of the culture itself. The burnout society, and the addicted society show this psychological situation of human being. On top of that, there are more problems such as the climate change, possibility of large scale war and social conflict, thus adding to the apocalyptical crisis. In the modern society where the uncertainty is prevalent, we get the question of what kind of role the religion shall play. It is not an overstatement that Won -Buddhism was born in the modern period in order to handle the crisis on Earth, which could not be handled by the existing religions. Accordingly, the religious spirit of Won - Buddhism under the motto of "As the materials open, let"s open the mind." can be one of the prescriptions for solving the problem in modern culture. Furthermore, Sotaesan Park Jung Bin and his disciples made a prayer called "Beopin Prayer(法認祈禱)" to get the certification from Beopgye(法界) in 1919. That shows that Won -Buddhism is the religion proclaiming the public character. The principle "Seongbuljejung(成佛濟衆)", which means that "I first discipline myself, and then educate the public" and the principle "Jesaenguise(濟生醫世)" which means that "I first cure myself and then cure the world" show the religious values of Won -Buddhism. The religiousness of Won -Buddhism is well expressed in the Beopin Spirit(法認情神) of Samuyeohan(死無餘恨), which means the spirit of Muabonggong(無我奉公) "I live a public life with the attitude of living without trying to get my personal gains to solve the pains in the world", showing the endless service mind for the humanity. It contains the mind of Mahayana Buddhism and Engaged Buddhism. Accordingly, Won -Buddhism shall actively make the social participation to solve all pains for the humanity in the world and as shown in the teachings of Won -Buddhism, it shall understand the teachings of all religions and not stop the effort of leading the people to the heaven by spreading the teachings. This study is designed to check the root of religious mind of Won - Buddhism. Through this, Won -Buddhism shall pursue the religion which is opened to philosophy, politics, economy and culture. This is to accomplish its mission of curing the modern culture.The establishment of identity of Won -Buddhism which ended its first experimental century and started its second century depends on how it can reproduce the Beopin Spirit in modern society.

      • KCI등재

        원불교 학술활동의 현황과 과제 : 원불교사상연구원의 학술·연구활동을 중심으로

        양은용(梁銀容)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11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47 No.-

        이 논문은 원불교의 학술활동상을 살펴 그 전망과 과제를 제기하는것이 목적이다. 이를 원불교사상연구원의 학술·연구활동을 중심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원광대학교 교책연구기관으로 1974년 설립된 원불교사상연구원은 원불교학의 센터역할을 해왔으며, 그 학술·연구활동을 살펴보면 원불교학계의 현황과 과제가 드러나기 때문이다. 학술활동은, 첫째 가 1982년부터 2010년까지 29회 열려 572편의 논문이 발표되었다. 둘째 가 원광대학교와 일본의 불교대학 간의 학술자매결연에 의해 1973년부터 2009년까지 21회 열려 193편의 논문이 발표되었다. 셋째 가 1974년부터 2010년까지 176회 열렸고, 넷째 그 밖에 특별 주제를 내건 학술회의가 1977년부터 2010년까지 15회 열려 85편의 논문이 발표되었다. 연구활동은, 첫째 학술연구지『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를 1975년부터 2010년까지 45회 발간하여 587편의 논문을 수록하였다. 둘째『원불교사상연구원 원보』를 1979년부터 2010년까지 62회 발간하였고, 셋째 10권과 12권을 발간하였다. 이와 같은 원불교사상연구원의 학술·연구활동은 성과에 있어서도 원불교학을 주도하는 역할을 해왔다. 특히 2010년에는 한국연구재단의 인문한국(HK) 지원사업에 이 아젠다로 선정되어, 10년간 새로운 차원의 연구를 진행하게 된다. 그런데 원불교학계가 안고 있는 현안의 여건과 관련해 보면 다음과 같은 과제를 지적할 수 있을 것이다. 그것은 첫째 연구인력의 육성, 둘째 연구방법론의 개발, 셋째 특수과제의 진행에 따른 원불교학 연구의 위축 등의 문제이다. 원불교 개교100년을 내다보는 시점에서 원불교사상 연구원은 원불교학계의 미래를 전망하면서 중장기 발전계획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 이에 바탕하여 학술·연구활동을 조직적으로 추진할 때 교단적인 협력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본다. This article is to suggest the prospect and task of academic activities in Won-Buddhism by investigating it. It is mainly focused on academic and research activities of the Institute of Won-Buddhist Thought. It is the research institute established for policy of Wonkwang University at 1974, and has been played a role of center of Won-Buddhist studies. Therefore, investigating its academic and research activities would manifest current status and tasks. Activities of the Institute of Won-Buddhist Thought can be divided into academic and research. For academic activities, firstly, has been held 29 times with 572 presented articles between 1982 and 2010; secondly, has been held 21 times and presented 193 articles between 1973 and 2009 by academic alliance with Bukkyo Univesity in Japan; thirdly, has been held 176 times between 1974 and 2010; fourthly, other academic conferences for specific themes have been held 15 times and presented 85 articles. In research activities, firstly, a research journal, Won-Buddhist Thought and Religious Culture has been published 587 articles in 45 volumes between 1975 and 2010; secondly, Bulletin of the Institute of Won-Buddhist Thought has been published 62 volumes between 1979 and 2010; thirdly, 10 volumes of the Collections of Won-Buddhist Thoughts Research and 12 volumes of Commemoration Journal have been published. Those academic and research activities of the Institute of Won-Buddhist Thought lead Won-Buddhist studies and brought an outstanding result. Especially, on 2010, its new agenda“ Mind Humanities: New Hope of Human Spiritual Civilization”has selected for Humanities Korea Supporting Projects o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and will carry on new dimension of research for next ten years. However, considering current condition of Won-Buddhist studies, following tasks can be pointed out. Those are 1) upbringing of human resources for research, 2) development of research methodology, and 3) shrinking research on Won-Buddhist studies for development of special theme. On the point of coming the Centennial Anniversary of Foundation of Won-Buddhism, the Institute of Won-Buddhist Thoughts has to establish middle and long term development plan, considering the future of Won-Buddhist Studies. On the such ground carrying on systematic academic and research activities, the Institute can attain help from order of Won-Buddhism.

      • KCI등재

        원불교 개벽사상 연구사 고찰

        정향옥(鄭香玉)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15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63 No.-

        원불교는 ‘물질이 개벽되니 정신을 개벽하자’는 표어를 내걸고 1백년의 역사를 걸어온 한국의 신종교이다. 한국에서 원불교가 창립된 시기는 한반도의 모든 역사 가운데 가장 어두운 때였다. 서양 문명이 침투되고 조정은 문란했으며 타국에 의해 주권을 잃은 시기였던 것이다. 이 시기 민중들은 살아나갈 다각적 방법을 모색하였고 이러한 열망은 종교적 신앙과 결합하여 대단위의 조직적 운동으로 확대되기도 하였다. 그 대표적인 사례가 바로 동학?천도교, 증산교 그리고 원불교(불법연구회)이다. 동학ㆍ천도교와 증산교, 원불교는 현실변혁의 사상적 토대를 ‘개벽(開闢)사상’에 두고 있다. 개벽사상은 선천의 물리적 개벽에 대한 인문(人文)개벽을 말하는 것으로 이들 신종교는 이로써 시대의 변혁을 도모하였다. 이들 신종교 중 가장 뒤에 설립된 원불교는 동학과 증산교의 개벽사상에 영향을 받았고 창조적으로 승화시켰다. 개벽사상이 학계연구의 중심 주제로 인식된 시기는 1980년대에 들어서면서부터이다. 이전에도 동학과 정역, 증산교, 원불교의 개벽사상에 대한 연구자들의 논의가 있었지만 단편적 고찰에 머물렀고 김홍철의 「원불교의 후천개벽사상」이라는 석사논문(1980)을 기점으로 전문적 연구성과가 발표되기 시작하였다. 하지만 2000년대 이후로 연구의 명맥을 이어가지 못하고 기존 연구를 답습하는 정도에 그치고 있다. 본고는 개벽사상을 원불교의 중심사상 중 하나로 보는 관점에서 격동기 시대를 뚫고 성장한 백년의 역사 가운데 어떠한 역할과 발전을 하였는지 지속적이고 심도있는 연구의 필요성에서 출발하였다. 그 연구의 첫 단계로 원불교 개벽사상의 연구사를 고찰하여 선행연구들을 정리하고 앞으로 연구되어야할 과제를 살폈다. 먼저 원불교 개벽사상 연구의 기반이 되는 동학?천도교와 증산교 개벽사상의 초기연구를 살펴볼 것이다. 다음으로 원불교 개벽사상의 논저류 및 원불교의 대표적인 기관지인 「원광(圓光)」에서의 개벽사상에 대해 어떻게 논의되었는지 정리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는 원불교 개벽사상 연구의 기반을 제공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Won-Buddhism is entering its 100th year since its founding and is considered one of the new religions in Korea with the founding motto: ‘With this Great Opening of matter, Let there be a Great Opening of spirit.’ Won-Buddhism emerged during a turbulent period in Korea’s history. During this era, western civilization started to penetrate the country and politicians were disorderly and the nation lost its sovereignty to a foreign country. In response to the difficult times, people yearned for change and started creating large-scale movements combined with religious belief. The representative examples were as follows: Donghak?Cheondogyo(東學ㆍ天道敎), Jeungsangyo(甑山敎) and Won-Buddhism(圓佛敎:佛法硏究會, The Society for the Study of the Buddhadharma). One of the key concepts in Korean modern new religions is the Gaebyeok(開闢) theory hereby new religious leaders aimed for the transformation of the era. The Gaebyeok(開闢) theory refers to the Humanities(人文) Gaebyeok for a congenital physical Gaebyeok. Won-Buddhism was influenced by the Gaebyeok theory of Donghak and Jeungsangyo and creatively sublimated this theory into its doctrine. The Gaebyeok theory is recognized as a central theme of academic research starting from the 1980s. Even before there was discussion among researchers about this theory. In 1980, Kim-Hong-Chul wrote a master’s thesis titled, “Won-Buddhism’s Theory of Hoochungaebyeok(後天開闢, The Great Opening of the Latter Heaven)” that is deemed the starting point of academic research on this topic. But after 2000, research on this theory started to wane. This paper argues that the Gaebyeok theory is one of the central ideas of Won-Buddhism and therefore requires continuous and in-depth research about its historical role and development which grew during turbulent times. The first step is to study the research history of Gaebyeok theory of Won-Buddhism by organizing previous research and examining research tasks in the future. First of all, this paper examines the earlier works of Gaebyeok theory in Donghak?Cheondogyo, Jeungsangyo because those theories were based on Won-Buddhism; Secondly, organizes Gaebyeok theory of Won-Buddhism in books, articles(including thesis) and a representative periodical of Won-Buddhism “WonKwang(圓光)”. This study is helpful to provide the foundation of research on Gaebyeok theory of Won-Buddhism.

      • KCI등재후보

        원불교 100년, 경전 주석의 현황과 과제

        이성전(李聖田)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11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47 No.-

        경전은 성자의 가르침을 기록한 문헌을 지칭한다. 종교의 사상은 교조와 후래 제자들의 사상적 집적이라고 할 수 있다. 원불교 사상 또한 소태산 대종사의 사상과 소태산 대종사 재세 당시 제자들의 사상에 뿌리를 두고 이를 전승하는 후래 제자들의 노력이 집적된 산물이라 할 수 있다. 원불교 경전은 소태산 대종사의 친저에 가까운『정전』과 그의 사후 제자들이 소태산 대종사의 언행을 기록한 내용을 편집한『대종경』을 비롯한 7대 교서를 일컫는다. 이 가운데『정전』과『대종경』은 원불교의 ‘본경’으로 중시되고 있다. ‘원불교 100년’을 맞이하면서 원불교는 세계 보편종교를 지향하고 그에 상응하는 준비를 진행 중에 있다. 근래에 인류 사회가 다양하고 급격히 변화하고 교화의 범위가 세계화되면서 경전에 대한 재해석의 요청도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요청들에 주목하면서 논의의 타당성을 확인하기 위해 경전 발전사를 유가 경전을 중심으로 간략히 검토하여 경전의 변화 역사를 살펴보았다. 원불교 교사와 교리에서도 그 근거를 찾아보고 현재 경전 해설서들의 현황을 살펴보았다. 오늘의 원불교는 궁극적 진리(일원의 진리)에 대한 끊임없는 긴장과 수행의 증험에 바탕한 반성과 성찰이 요구된다. 구도의 열린 정신과 실행의 열정이 새 종교 원불교의 생명임을 다시 확인할 필요가 있다. 동시에 교리에 대한 학문적 천착과 일관된 체계의 정립, 문화적 정착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이러한 시각에 입각하여 원불교 경전 주석의 첫 걸음으로 현재 진행되고 있는 경전의 주석 상황과 과제를 점검해 보고 전망을 예측해보았다. 경전의 재해석과 관련된 전초 작업의 하나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원불교사회복지법인의 형성과 변천에 관한 탐색적 연구

        오세영,구형선,송정화 한국신종교학회 2019 신종교연구 Vol.41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rocess of formation and transformation of Won-Buddhism social welfare foundation.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background and process of the establishment of Won-Buddhism social welfare foundation were reviewed, and the response of Won-Buddhism social welfare foundation to the institutional and legal changes of Won-Buddhism social welfare foundation was analyzed, and the issues and issues that followed were analyzed. Lastly, the characteristics of Won-Buddhism social welfare foundation in relation to the formation and change of Won-Buddhism social welfare foundation were examined.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description of Won-Buddhism social welfare foundation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Won-Buddhism social welfare foundation was the result of an active response to the enactment of the social welfare service law in 1970. Second, the Won-Buddhism social welfare foundation and its facilities, which soared in the 2000s, account for the overwhelming portion of the social welfare foundation Samdonghoi, and the type of social welfare facilities was the most common among the elderly, and was the most concentrated in Jeonbuk by region. Third, Won-Buddhism founded a social welfare corporation in each diocese across the country while advocating ‘nationalization of welfare foundations’but failed to grow to its original purpose. This can be seen as a result of insufficient diocese capability and poor response at religious body. Fourth, the Won-Buddhism social welfare foundation is highlighted as the issue of reintegration of social welfare foundations, the problem of improvement of delivery system, and the issue of religious body responsibility for diocese foundations. Finally, the history of Won-Buddhism social welfare foundation has been formed and changed in line with the institutional and legal changes in Korea’s social welfare system. 본 연구의 목적은 원불교사회복지법인의 형성과 변천과정을 탐색하는 것이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원불교사회복지법인의 설립 배경과 과정을 살펴보았으며, 원불교사회복지법인의 변화 추이와 사회복지의 제도적⋅법적 변화에 따른 원불교사회복지법인의 대응을 분석한 후, 그에 따른 현안과 쟁점을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원불교사회복지법인의 형성과 변천에 따른 원불교사회복지법인의 특징을 고찰하였다. 연구의 결과, 원불교사회복지법인에 대한 설명은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첫째, 원불교사회복지법인은 1970년 사회복지사업법 제정에 따른 적극적인 대응의 결과였다. 둘째, 2000년대에 들어서 급증한 원불교사회복지법인 및 시설은 사회복지법인 삼동회가 압도적으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사회복지시설의 유형은 노인복지시설이가장 많고, 지역별로는 전북지역에 편중되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셋째, 원불교계는 ‘복지법인의 전국화’를 표방하면서 전국 각 교구에 사회복지법인을 설립하였으나본래의 취지에 맞게 성장하지 못하였다. 이것은 교구역량부족은 물론 교단적 차원에서의 대응이 미비한 결과로 볼 수 있다. 넷째, 원불교사회복지법인은 사회복지법인의재통합 문제, 전달체계 개선에 관한 문제, 교구법인에 대한 교단적 책임 문제 등이쟁점으로 부각되고 있다. 마지막으로 원불교사회복지법인의 역사는 우리나라 사회복지의 제도적⋅법적 변화와 그 맥을 같이하면서 형성되고 변천해왔다고 볼 수 있다.

      • KCI등재

        원불교사회복지의 형성, 그 특징과 의의

        오세영(吳世榮)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14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61 No.-

        본 연구는 원불교사회복지의 형성과 전개에 대한 설명을 시도한다. 본 연구의 문제의식은 ‘원불교사회복지의 시작을 무엇으로 볼 것인가’에서부터 출발하였다. 그동안 원불교사회복지에 관한 많은 연구들이 이루어져왔으나, 정작 원불교사회복지 연구의 출발점을 제공하는 중요한 기준인 ‘원불교사회복지의 시작을 무엇으로 볼 것인가’에 관한 논의는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기존의 연구들은 원불교사회복지를 판단할 수 있는 논리적 기준과 근거를 제시하지 않은 채 원불교사회복지의 시작을 원불교의 개교로 보는 견해가 지배적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견해로 본다면 모든 종교의 사회복지역사는 종교의 탄생의 역사가 되어 버리고 만다. 즉, 모든 종교사회복지의 역사는 종교의 역사와 일치하게 될 것이며, 모든 종교 활동 그 자체가 곧 사회복지활동이라는 결론에 도달하게 된다. 이러한 오류를 피하고 올바르고 일관된 논의를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원불교사회복지 시작의 규명을 위한 판단기준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원불교사회복지 시작의 판단기준은 종교사회 복지와 민간사회복지, 그리고 사회복지의 특징 내지는 기준을 통해 설정하였다. 즉, 원불교사회복지는 종교사회복지의 개념 범주에 포함되고, 종교사회복지는 민간사회복지의 개념 범주에 포함되며, 민간사회복지는 사회복지의 개념 범주에 포함된다는 전제하에 종교사회복지의 특징과 민간사회복지 및 사회복지의 판단기준을 활용하여 원불교사회복지의 시작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원불교사회복지의 판단기준으로 다음의 세 가지를 제시하였다. 첫째는 복지의 제공주체가 원불교조직이기는 하지만 그 조직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다양한 구제의 대상자를 선정하기 위한 일정한 기준을 가지고 있었느냐 하는 점이었다. 둘째는 민간사회복지로서 원불교사회복지는 그 활동들이 공공복지활동과 기능 및 역할을 분담하고 있었느냐 하는 점이다. 셋째는 종교사회복지로서 원불교사회복지활동은 당시 종교지도자의 복지문제 인식에 대한 영향을 받았는가 하는 점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세 가지 판단기준을 제시하고 그에 따른 역사적 배경을 살펴본 후 그 시기의 사회복지의 내용과 특징을 고찰하였다. 그 결과 본 연구에서는 원불교사회복지의 시작을 해방이후 정산종사의 건국사업의 일환으로 진행된 전재동포원호회와 서울보화원의 활동에서 찾을 수 있었다. This study try to explain about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Won-Buddhism Social Welfare. The critical mind started from ‘what is the beginning of Won-Buddhism Social Welfare?’ Many studies about Won-Buddhism Social Welfare have been done, It has not be done properly the discussion about ‘what is the beginning of Won-Buddhism Social Welfare?’ - the key criteria that provides departure point of Won-Buddhism Social Welfare. It has predominated the view that the beginning of Won-Buddhism Social Welfare is the foundation of Won-Buddhism, the existing studies have not lay out logical standards and basis that can judge Won-Buddhism Social Welfare. however in this view, the history of every religion social welfare is only the history of foundation of every religion. In other words, The history of every religion social welfare becomes to correspond to the history of every religion, It comes to the conclusion that the every religious activity itself is the social welfare activity. To avoid like this error and argue correctly and consistently, In this study, I would suggest the standards for determining to trace the beginning of Won-Buddhism Social Welfare. The standards for determining of the beginning of Won-Buddhism Social Welfare has be configured according to religious social welfare, private social welfare and the hallmarks and the standards of social welfare. As a result, I would suggest following three suggestions as the standards for determining of Won-Buddhism Social Welfare. The first is ‘did it have selection standards of a relief case in the organization of Won-Buddhism?’ The second is ‘did the activities of Won-Buddhism Social Welfare share duties with the activities of public welfare as a private social welfare?’ The third is ‘did the activities of Won-Buddhism Social Welfare be influenced by awareness of welfare issues of religious leaders as a religious social welfare?’ In this study, I have suggested these three standards for determining, after examining history background according to that, considered contents and characters of social welfare that times. The results of that, The beginning of Won-Buddhism Social Welfare could be founded in activities proceeded by The War Damage Compatriot Relief Association and Seoul-Bohwawon after liberation.

      • KCI등재

        좌산종사시대에 있어서 원불교사회복지의 전개, 그 특징과 의의

        오세영 한국신종교학회 2020 신종교연구 Vol.42 No.-

        This study started from the problem of lack of evaluation and academic research efforts despite the rapid development of Won-Buddhism social welfare in Jwa-San Er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the Won-Buddhism social welfare has been developed in A, and to examine its features and significance. To achieve this goal, the background of Won-Buddhism’s social welfare in Jwa-San Era was examined in terms of political, socio-economic and ideological aspects, and then the contents and characteristics of Won-Buddhism’s social welfare developed at that time were examin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Won-Buddhism’s social welfare in Jwa-San Era has developed directly under the influence of the government’s policy response due to changes in the regime, IMF economic crisis, low birth rate and aging. Second, Won-Buddhism’s social welfare was influenced by the perceptions of the welfare issues of the left mountain workers and the economy. Third, the method of establishing a parish unit social welfare corporation according to the ‘nationalization of welfare’ has left many problems by choosing to separate from an existing corporation rather than to establish a new corporation. Fourth, the Korean Overseas Koreans Support Project of the Won-Buddhism Social Welfare Council provided an opportunity to develop overseas business of the Won-Buddhism Social Welfare Corporation and to lay the groundwork for Chinese and North Korean cultivation. Lastly, the development of non-profit organizations created on the ideological basis of Won-Buddhism is significant in that it provided an opportunity to expand the base of Won-Buddhism’s social welfare. Despite the characteristics and significance of Won-Buddhism’s social welfare, Jwa-San Era’s Won-Buddhism social welfare has left many challenges. 본 연구는 좌산종사시대에 있어서 원불교사회복지의 비약적인 발전이 이루어졌음에도 불구하고 그에 대한 평가와 학문적 연구의 노력이 미흡하였다는 문제의식으로부터 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좌산종사시대에 있어서 원불교사회복지가 어떻게전개되어 왔는가를 고찰하고, 그 특징과 의의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달성하기 위하여 좌산종사시대의 원불교사회복지의 배경을 정치적, 사회⋅경제적 및사상적 측면에서 살펴본 후, 그 시기에 전개된 원불교사회복지의 내용과 특징을 고찰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좌산종사시대에 있어서의 원불교사회복지는 정권의 변화, IMF 경제위기, 저출산⋅고령화 등의 변화에 따른 정부의 정책적 대응의 영향을 직접적으로 받으면서 발전해왔다. 둘째, 좌산종사시대에 있어서원불교사회복지는 좌산종사의 복지문제에 대한 인식과 경륜의 영향을 받았다. 셋째, ‘복지의 전국화’경륜에 따른 교구단위 사회복지법인 설립방식은 기존의 법인으로부터분리하는 방식을 택함으로써 많은 문제점을 남겼다. 넷째, 원불교사회복지협의회의한민족해외동포지원사업은 원불교사회복지법인의 해외사업 개발과 중국 및 북한교화의 발판을 마련하는 계기가 되었다. 마지막으로 원불교의 사상적 기반위에서 생겨난 비영리조직의 발전은 원불교사회복지의 저변을 확장하는 계기를 마련하였다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다. 이와 같은 원불교사회복지의 특징과 의의에도 불구하고 좌산시대에 있어서의 원불교사회복지는 많은 과제를 남겼다.

      • 『圓佛敎 敎典』을 통해서 본 圓佛敎의 障碍人觀

        강일조 한국원불교학회 2002 圓佛敎學 Vol.8 No.-

        장애인복지의 발전 수준은 그 시대 중심부에 있는 장애인관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다시 말하여 장애인관은 장애인복지 발전의 중요한 변수가 된다. 그러므로 장애인관 연구는 장애현상의 통합적인 이해와 더불어 장애인복지 전략개발에 중요한 단서를 제공한다. 이러한 배경에서 출발하는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에서 성장 발전하고 있는 종교집단이 장애인에 대해서 어떤 견해를 가지고 있는지 관심을 가지고, 20세기 초반 한국에서 생성하여 단일 교과의 하나로 발전하고 있는 원불교의 장애인관을 탐색적으로 고찰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원불교 경전에서 장애현상과 원인에 대한 인식, 신체나 정신에 대한 인식 등을 엿볼 수 있는 기록을 수집하고 조직하였다. 이렇게 수집한 자료를 가지고 장애현상과 장애인 문제를 인식의 차원에서 설명하는 분리이론, 상품이론, 재활이론, 편견이론, 정책부재이론 등의 관점을 통해 다양한 해석을 시도하였다. 본 논문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원불교 교전에 나타난 견해로는 첫째, 장애현상을 불완전한 상태인 불구로 보고 있다. 둘째, 장애원인에 대해서는 윤회사상을 기저에 깔고 전생의 업보를 장애원인으로 보는 인과응보에 수렴되고 있다. 셋째, 장애를 인식하게 하는 신체에 대해서는 사회적으로 가치 있는 역할을 통해 가치 있는 삶을 살아가기 위한 필수조건으로 보고 있다. 즉 완전하고 도덕적인 인간이 되기 위한 핵심적인 도구이며, 자력 생활을 위한 기관으로서 인간의 가치를 실현하는데 중요한 자본이 되는 것으로 본다. 넷째, 장애의 개념에 대해서는 손상을 입어 육체의 기능을 충분히 발휘하지 못하여 발생하는 능력장애의 차원으로 보고 있다. 이것은 한국의 장애인복지법에서 해부학적 의료적 기준으로 정의하는 장애 개념과 대체로 유사하다. 이상의 네 가지 해석을 통해 장애인에 대한 원불교의 견해가 재활이론의 관점에서 보는 견해와 상당히 일치하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고, 상품이론의 관점에서 보는 견해도 일부 포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편견이론을 통해 원불교의 장애인관 현성 배경을 설명할 수 있었다. 본 논문의 결과는 장애현상에 대한 이해 및 장애인복지실천과 관련해서 이론적, 실천적 함의를 제공하는데 그것을 간략히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원불교 장애인관을 장애설명이론을 가지고 설명할 수 있었다. 뿐만 아니라 우리 시대의 장애인관 형성에 종교적 신념이 일정 정도 영향을 미쳤을 것이라는 가설을 도출할 수 있었다. 둘째, 장애설명이론을 조직한 본 연구의 분석 틀이 특정집단이나 특정시대의 장애인관을 분석하는데 유용할 수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셋째, 장애인복지 인프라 확대와 종교의 사회참여확대와 관련해서 실천적 함의를 제공하였다. 구체적으로 국제적인 수준에서 권고되는 장애인에 대한 견해를 반영한 원불교 장애인관 정립을 중요한 과제로 제시하였다. 뿐만 아니라 성직자와 신도들의 장애인식개선을 위한 조직적이고 체계적인 노력의 필요성을 시사하였다. A view of social toward the handicapped decided quality of welfare for them. That is, the thing becomes a major variable on developing of welfare for the handicapped. Therefore, studies on a view toward the handicapped are offered important commencements in regards to understand on the appearance of handicapping and to develop of strategy on welfare for the handicapp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views toward the handicapped of the Won-Buddhist developing in the solo denomination formed early twentieth century in Korea In order to complete this purpose, I have collected and consisted of documents appeared recognition to the appearance of handicapping and causes, that to body and soul in the Won-Buddhist. The document on my collecting and consisting tried to interpret variably that is to explain the appearance of handicapping and problems with the handicapped at the recognition in a view of separate theory, goods theory, rehabilitation theory, prejudice theory, social policy absented theory and so on. The main contents of the paper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appearance of handicapping is recognized the deformity of instability in the Won-Buddhist scriptures. Second, the rotation(Samsa~ra) connotes that previous incarnation(Karma) about the cause has deformed and it comes close to retribution. Third, They think that body is requirement making a valuable role in society. So to speak, it is a core tool in order to be perfect, moral human, and capitalizes with an organ so to realize human merit for independent living importantly. Fourth, also they recognize disabilities as no showing body's function damaged to handicapped conception. This corresponds generally to the conception of handicapped defined on 「The Law of Welfare for the Disabled」 in Korea. Through above four interpretation, I could found that a view of the Won-Buddhist toward the handicapped corresponds with the view of rehabilitation theory and it corresponds the view of goods theory partly. Also, I could explain the background with a view of the Won-Buddhist with the view of prejudice theory. The result of this paper have posed som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 in regards to the understanding on the appearance of handicapping and the welfare for the handicapped. First, it could not only explain the handicapped view of Won-Buddhist in the aspect of the handicapping explanation theory but also could to reason a hypothesis that religious belief shall influence to formed of handicapping explanation theory at rate. Second, it could found that the framework of this paper formed in the handicapping explanation theory could use in analyzing the handicapped view appeared at specific group and specific period serviceably. Third, it has given practical agreement in the degree of spreading the handicapped welfare infra and spreading social participation of religion. Abstractly, it has recognized the handicapped view in recommending internationally, representing the position for the handicapped view of the Won-Buddhist to the important task, also shown off the systematic necessity of effort between the saint and the subject in order to improve the attitudes toward the handicapp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