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재발성 요추간판 탈출증에서 단순 추간판 절제술의 임상결과

        김동준,고영도,김종오,임형묵 대한척추외과학회 2015 대한척추외과학회지 Vol.22 No.4

        Study Design: This is a retrospective study. Objectives: To analyze the clinical outcomes of simple discectomy in patients with recurrent lumbar disc herniation. Summary of Literature Review: There are two methods of studying the treatment of recurrent lumbar disc herniation. The first type of study considers fusion for the prevention of complications such as postoperative lumbar segmental instability and persistent back pain. The second type of study assumes that simple discectomy without fusion is sufficient in the surgical management of recurrent lumbar disc herniation. Materials and Methods: Sixteen patients who underwent simple discectomy due to recurrent lumbar disc herniation were followed up over 3 years. The mean age was 52.8 years (38-68 years). The mean follow-up period was 75.4 months (36-144 months). VAS scores for back pain and radiating lower leg pain were each compared pre- and post-operatively. The Oswestry Disability Index (ODI) was used to analyze the clinical outcome. A modified MacNab’s outcome was used to evaluate patient satisfaction. Subjective survey data in a Delphi checklist was reviewed to verify clinical lumbar instability. Results: The mean back pain VAS score showed 87.5% improvement (p<0.001). The mean lower leg VAS score showed 89% improvement (p<0.001). The mean preoperative ODI score was 29.9, and the mean score checked at the last follow up was 3.5. It thus showed 88.3% improvement (p<0.001). Excellent or good satisfaction was reported by fourteen patients (87.5%), and clinical lumbar instability was identified in one patient (6.3%). Conclusions: Simple discectomy without fusion is one of treatment option for recurrent disc herniation without instability. 연구 계획: 본 연구는 재발성 요추간판 탈출증 환자에서 단순 추간판 절제술 후 추시결과에 대한 후향적 연구이다. 목적: 재발성 요추간판 탈출증 환자의 수술시 단순 추간판 절제술만을 시행한 후 임상적 결과를 확인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선행 문헌의 요약: 재발성 요추간판 탈출증 환자의 재수술시 요추부 불안정성과 지속적인 요통이 합병증으로 고려되어 유합술을 시행해야 한다는 연구와 단순 추간판 절제술로도 충분하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대상 및 방법: 재발성 요추간판 탈출증에 대하여 단순 추간판 절제술을 시행한 16명의 환자를 3년 이상 추시하였다. 평균 연령은 52.8세(38-68세)였고 평균 추시 기간은 75.4개월(36-144개월)이었다. 수술 전후 요통과 방사통의 visual analogue scale (VAS)을 비교하였고, 수술 전후 Oswestry disability index (ODI)를 측정하여 임상적 결과를 분석하였다. Modified MacNab’s outcome을 이용하여 환자 만족도를 평가하였으며, Delphi check list 중 주관적설문을 이용하여 임상적 요추 불안정성을 확인하였다. 결과: 요통의 VAS는 수술전 평균 8점에서 최종 추시시 평균 1점으로 87.5%, 하지 방사통의 VAS는 평균 7.3점 에서 0.8점으로 89% 호전되었다. 수술전 평균 ODI는 29.9였으며 최종 추시시 3.5로 평균 88.3%호전 되었다. 14예(87.5%)에서 우수 이상의 환자 만족도를 보였다. 1예(6.3%)에서 임상적 요추 불안정성을 보였다. 결론: 요추 불안정성이 없는 재발성 요추간판 탈출증 환자의 수술 방법으로 단순 추간판 절제술을 고려해 볼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요추 추간판 탈출증 수술 후 시행되는 운동 프로그램에 대한 웹사이트 조사

        심대무,김태균,임철민,이용찬,김다희 대한척추외과학회 2014 대한척추외과학회지 Vol.21 No.2

        Study Design: Exercise therapy after lumbar disc herniation surgery which is presented through hospital website was studied. Objectives: To assess the efficacy of exercise therapy after lumbar disc herniation surgery; the methods of evaluation are identifiedthrough the participating hospital’s web site and exercise therapy that is presented on reference is compared. Summary of Literature Review: Exercise therapy after lumbar disc herniation surgery is effective; however, patient training is neededto ensure compliance. Materials and Methods: After searching on five different portals using the term ‘spine surgery,’ 230 websites were retrieved. Theperformance of lumbar disc herniation surgery and presentation of postoperative exercise therapy was discovered and the presentation ofexercise therapy for surgery type and departments difference were investigated. Exercise therapy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purposesand method for reference and the number of each exercise therapy was investigated. Exercises which were divided by postoperativeperiod were also investigated. Results: In 230 websites were retrieved; there were a total of 103 hospitals performing lumbar disc herniation surgery: 23 websites (22%)proposed exercise therapy after surgery is 23(22%), and 2(9%) of websites proposed exercise therapy for the type of surgery. The numberof exercise therapy proposed by the website was 15; of the exercises mentioned, deep abdominal muscle contractions was the mostcommonly mentioned, using the treadmill was least. There were 5 websites that proposed exercise therapy divided by postoperativeperiod. Conclusions: Only 22% of hospitals with websites that performed lumbar disc herniation surgery proposed postoperative exercisetherapy. Although th common trends seem biased, postoperative exercise therapy needs more attention and the construction of websitesfor patient access is necessary to provide better rehabilitation for patients. Key Words: Lumbar Disc Herniation, Postoperative exercise, Web site 연구 계획: 병원 웹사이트를 통해 제시되는 요추 추간판 탈출증 수술 후 운동요법에 대해 조사하였다. 목 적: 요추 추간판 탈출증 수술 후 운동요법의 시행 여부와 방법을 병원 웹사이트를 통해 파악하고, 참고논문상에서 제시하는 운동요법을 비교하여 그적절성에 대해서 조사하고자 한다. 선행문헌의 요약: 요추 추간판 탈출증 수술 후 운동요법을 체계적으로 시행하는 것은 효과가 있으며 환자를 위한 교육이 필요하다. 대상 및 방법: 포털 사이트 5개를 통해 ‘척추수술’로 검색된 230개의 웹사이트 중 요추 추간판 탈출증 수술 시행여부와 수술 후 운동요법의 제시유무를 알아보고 요추 추간판 탈출증에 시행하는 수술의 종류별 운동요법의 제시여부 및 진료과별 차이를 조사하였다. 또한 웹사이트에서 제시된 운동요법을 참고논문을 통해 목적과 방법에 따라 분류하고, 웹사이트에서 각각의 운동이 제시된 횟수를 조사하였다. 또한, 수술 후 시기별로 나누어 제시된 운동요법을 조사하였다결과: 검색된 230개의 웹사이트 중 요추 추간판 탈출증 수술을 시행하는 병원은 103(45%)개, 이 중 술 후 운동요법을 제시한 웹사이트는 23개(22%)로조사 되었고, 이 중 수술의 종류별로 운동요법을 제시한 웹사이트는 2개(9%)로 조사되었다. 웹사이트에서 제시된 운동요법은 총 15가지 였고 심부 복근 수축운동을 가장 많이(17개, 73%), 자전거타기(1개, 4%)와 트레드밀(1개, 4%)을 가장 적게 제시하였고, 심혈관계운동, 계단오르기, 등척성 운동은 제시되지 않았다. 수술 후 시기별로 나누어 운동요법을 제시한 웹사이트는 23개 중 5개(21.7%)였다. 결론: 요추 추간판 탈출증 수술을 시행하는 병원의 웹사이트에서 22%에서만 술 후 운동요법을 제시하며 공통된 운동요법의 종류가 적었고 편중된 경향을 보이는바, 향후 술 후 운동요법에 대해 더 많은 관심이 필요하며 환자들에게 보다 나은 재활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웹사이트의 구축이 필요 할 것이다. 색인 단어: 요추 추간판 탈출증, 운동 요법, 웹사이트약칭 제목: 요추 추간판 탈출증 수술 후 운동요법의 웹사이트 조사

      • KCI등재

        상요추부 추간판 탈출증 - 임상 양상과 수술적 치료 결과 -

        신동은,안창수,조덕연,윤형구,김태형,방진영,차윤식 대한척추외과학회 2012 대한척추외과학회지 Vol.19 No.3

        연구 계획: 후향적 연구목적: 본원 정형외과에서 수술적 치료를 시행한 상요추부 추간판 탈출증 환자 41례에 대해 그 임상 양상 및 수술적 치료의 결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선행문헌의 요약: 상요추부 추간판 탈출증은 전체 요추부 추간판 탈출증 중 발생율은 낮지만 예측 가능한 임상적 양상과 자기공명영상 검사 방법의 개발 및 발전으로 인해 진단이 더 빨라지고 있으며, 그에 따른 수술적 치료는 만족할 만한 결과를 보이고 있다. 대상 및 방법: 1996년 9월부터 2009년 11월까지 상요추부 추간판 탈출증(요추 제1-2, 요추 제2-3, 요추 제3-4번)으로 진단받고 수술적 치료를 시행한환자 중 병력 조사와 외래 추시가 가능하였던 41례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후향적 연구를 진행하였다. 추시 관찰은 외래 방문, 전화 인터뷰와 진료 기록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여, 통증 등의 임상 양상의 변화, 기능적 결과, 일상 업무에의 복귀 등을 조사하여 수술적 치료의 결과를 평가하였다. 결과: 본 연구에서 조사된 전체 추간판 탈출증 환자 중 상요추부 추간판 탈출증의 발생률은 약 8.8%이었다. 술전 임상 양상으로 하요부 통증(85.4%),전방 대퇴부 방사통(80.5%), 감각 저하(53.7%) 근력 약화(53.7%), 슬개건 반사 저하(65.9%) 등이 나타났으며, 진찰 소견 상 대퇴 신경 긴장도 검사는78.0%에서 양성으로 관찰되어 하지 직거상 검사의 양성률(39.0%)보다 높게 나타났다. VAS score는 술전 9.0±0.8에서 최종추시 시 1.4±1.3로 호전되었다. 수술적 치료 결과는 우수 24례, 양호 10례, 보통 5례, 불량 2례로 34례(82.9%)에서 양호 이상의 판정을 받아 만족스러운 결과를 보였다. 추시상 원래의 직업 또는 약간의 변형된 상황에서 일을 계속 할 수 있는 경우가 90.2%로 조사되었다. 결론: 상요추부 추간판 탈출증의 임상 양상은 하부 요통을 동반한 전방 대퇴부 방사통, 탈출된 추간판의 위치와 일치하지 않은 감각 및 운동 저하, 감소된 슬개건 반사, 그리고 대퇴 신경 긴장도 검사상의 양성 반응이 대표적이며, 특히 자세한 진찰과 MRI에 의한 객관화 된 진단 이후 시행된 수술적 치료는 좋은 기능적 결과와 함께 환자의 만족도도 높게 평가되어 효과적인 방법으로 여겨진다. Study Design: A retrospective study. Objectives: We attempted to establish an efficient diagnosis and treatment modality by analyzing clinical manifestations and operative results of upper lumbar disc herniations. Summary of Literature Review: Upper lumbar disc herniations represented a lower incidence but have become easier to diagnose by predictable clinical aspects and an MRI scan. The operative results have been satisfactory. Materials and Methods: We evaluated 41 cases, which were operated with posterior laminectomy and discectomy from September,1996 to November, 2009. We analyzed pre-operative history, clinical and MRI findings, and then assessed operative results by Kim’s criteria and functional change in the follow up. Results: The prevalence of upper lumbar disc herniations in all disc herniations was 8.8%. Pre-operative manifestations were lower back pain (85.4%), radiating pain (80.5%), sensory deficit (53.7%), motor deficit (53.7%), and depressed knee jerk (65.9%). The positive rate of the femoral stretching test (78.0%) was higher than the straight leg raising test (39.0%). The VAS score changed from preoperative 9.0±0.8into postoperative 1.4±1.3 points. The operative results were excellent or good in 82.9%. The rate of resuming previous work, including slight modification was 90.2%. Conclusions: Predictable clinical aspects of the upper lumbar disc herniations are anterior thigh pain with lower back pain, variable motor deficit, sensory deficit, depressed knee jerk and the positive femoral nerve stretching test. Through careful examination and radiological evaluations such as MRI, operative treatment can obtain a symptomatic improvement and satisfactory results.

      • KCI등재

        중심성 거대 추간판 탈출증 환자의 단순 추간판 절제술 후 영상 및 임상적 결과

        고영도,이승준,김동준 대한척추외과학회 2010 대한척추외과학회지 Vol.17 No.4

        Study Design: This is a retrospective case control study. Objectives: To analyze our results following simple discectomy of central massive disc herniation focusing on instability for the usefulness of intervertebral fusion. Summary of Literature Review: Lumbar instability is a complication of central massive disc herniation. However, there is limited evidence on the correlation between lumbar instability and loss of disc material. Materials and Methods: A total of 25 patients who had undergone discectomy for a single-level lumbar disc herniation were followed up for two years. The clinical group (group A) included 12 patients that had a compromised canal with greater than 50% of the herniated disc, while the central axis of the herniated disc was less than 20% deviated from the center axis of the spinal canal, as seen on MRI. The control group ( group B) had 13 patients that had a compromised canal with less than 50% of the herniated disc while their axis was more than 20% deviated from the center axis of the spinal canal. Clinical and radiologic instability, pain and functional disability were compared between the two groups. Results: No differences was found between the two groups in clinical instability, radiological instability, visual analogue scale (VAS),and the Oswestry disability index (ODI). Conclusions: Central massive disc herniation after discectomy did not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in clinical or radiological instability from that of other herniation types. 연구 계획 : 본 연구는 중심성 거대 추간판 탈출증 환자의 단순 추간판 절제술 후추시결과에 대한 후향적 대조군 연구이다. 목적: 거대 추간판 탈출증 환자에서 단순 추간판 절제술 후의 예상되는 해부학적 추간판 탈출의 위치 및 추간판 소실 양과 요추부 불안정성의 발생의 상관관계를 밝혀 추간판 절제술에 따른 요추 불안정성의 진단과 치료 방향의 결정에 도움을 얻고자 하였다. 선행문헌의 요약: 요추 불안정성은 중심성 거대 추간판 탈출증의 합병증으로 고려되지만 요추 불안정성과 추간판 절제와의 연관성에 대한 증거는 제한적이다대상 및 방법: 한 분절의 요추부 추간판 탈출증이 있는 16세에서 64세 총 25명의 환자를 2년까지 추시하였으며, 그 중 수술 전 자기공명영상을 통해 추간판 탈출이 척추관을 50%이상 침범하며 추간판 탈출의 중심 축이 척추관 중심 축에서 20% 이내에 위치한 12명의 환자를 실험군으로 정하였다. 대조군은 추간판이 척추관을 50% 미만으로 침범하며 추간판 탈출의 중심 축이 척추관 중심 축에서 20%를 벗어난 MRI 소견을 보이는 13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수평전위, 각 전위를 측정하여 방사선학적 불안정성을, 그외 임상적 불안정성과 VAS, ODI를 비교하였다. 결과: 두군간의 임상적, 방사선학적 불안정성 및 VAS 와 ODI 로 측정한 임상적 결과 역시 두군간의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본 연구에 따르면 술 전 예상되는 추간판 탈출의 해부학적 위치 및 추간판 소실 정도는 단순 추간판 절제술 후 요추부의 장기적 불안정성과 의미있는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요추부 후측방 유합술 후 발생한 인접 분절의 요추부 추간판 탈출증에서 방사선학적 검사를 통한 경피적 내시경적 요추부 추간판 절제술의 임상 결과 분석

        고영철,하동준,허정욱,박만준,박숙현,박태홍,박준형 대한척추외과학회 2017 대한척추외과학회지 Vol.24 No.4

        Study Design: A retrospective study. Objective: To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percutaneous endoscopic lumbar discectomy (PELD) for adjacent lumbar disc herniation through radiologic evaluations. Summary of Literature Review: PELD minimizes posterior structural damage, allowing rapid rehabilitation. Subjects and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on 45 patients who were followed up for 1 year after PELD for adjacent lumbar disc herniation from March 2014 to February 2016. The modified Macnab criteria, the modified Suezawa and Schreiber score (MSS score), and visual analogue scales for the back (VAS-B) and legs (VAS-L) were evaluated. The disc height ratio and segmental angulation change were compared before posterolateral fusion and before PELD. Moreover, spinal stenosis was confirmed on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before PELD. Results: Based on the modified Macnab criteria, 53.3% patients received an evaluation of at least “good,” and the mean MSS score improved from 4.77 to 6.99 at 1 year after the operation. The mean VAS-B score decreased from 7.02 to 4.67, and the mean VAS-L score decreased from 8.15 to 4.24 at 1 year after the operation. The mean disc height ratio was 87.1%, and the mean segmental angulation change was 6.5°, with a greater change in the “fair” or “poor” group, and the rate of spinal stenosis on MRI was also higher in the “fair” or “poor” group. Conclusion: The clinical outcomes of PELD, which is accompanied by degenerative changes on simple radiographic images such as disc space narrowing and increased segmental angulation or spinal stenosis on MRI, may not be satisfactory. Therefore, decisions regarding surgery should be made carefully in such cases. 연구 계획: 후향성 연구목적: 요추부 후측방 유합술 후 발생한 인접 분절의 추간판 탈출증에서 술 전 방사선학적 검사 및 지표를 통하여 경피적 내시경적 추간판 절제술의 효용성을 알아본다. 선행문헌의 요약: 경피적 내시경적 추간판 절제술은 후방 구조물 손상을 최소화하여 빠른 재활이 가능하다. 대상 및 방법: 2014년 3월에서 2016년 2월까지 인접 분절의 추간판 탈출증으로 경피적 내시경적 추간판 절제술을 시행 후 1년 추시한 45명의 환자들을대상으로 하였다. Modified Macnab criteria, Modified Suezawa and Schreiber Score (MSS Score), 허리의 Visual Analogue Scale-Back (VAS-B), 하지의Visual Analogue Scale-Legs (VAS-L)으로 임상결과를 평가하였다. 방사선학적 지표로 후측방 유합술 직전과 경피적 내시경적 추간판 절제술 직전에 비교한 인접 분절의 disc height ratio와 각 형성 변화를 측정하고, 경피적 내시경적 추간판 절제술 전 촬영한 자기공명영상에서 척추관 협착 소견의 동반 여부를 확인하였다. 결과: Modified Macnab criteria 상 술 후 1년째 53.3%의 환자들이 “Good” 이상으로 평가되었으며, 평균 MSS score는 술 전 4.77에서 술 후 1년째 6.99 로 향상되었다. 평균 VAS-B는 술 전 7.02에서 술 후 1년째 4.67로, 평균 VAS-L은 술 전 8.15에서 술 후 1년째 4.24로 감소되었다. 평균 disc height ratio 는 87.1%, 평균 분절 각 형성 변화는 6.5도로 Modified Macnab criteria 상 “Fair” 이하의 불만족 환자 군에서 변화량이 더 컸으며, 술 전 자기공명영상에서척추관 협착 동반 비율도 불만족 환자 군에서 더 높았다. 결론: 유합술 후 인접 분절의 추간판 탈출증에서 단순방사선학적 검사 상 추간판 간격의 감소 및 각 형성의 증가 등 퇴행성 변화 소견이 있거나 자기공명영상에서 척추관 협착증이 동반되어 있는 경우 경피적 내시경적 추간판 절제술을 통한 임상 결과는 만족스럽지 못할 수 있으므로 수술 적응증의 선택에있어 주의가 요구된다. 약칭 제목: 인접 분절 요추간판 탈출증에서 방사선 검사를 통한 경피적 내시경적 추간판 절제술의 임상 결과 분석

      • KCI등재

        탈출된 요추 추간판 자연 소실 후 발생한 추간판 간격 감소 - 증례 보고 -

        김형복,정훈재 대한척추외과학회 2018 대한척추외과학회지 Vol.25 No.4

        Study Design: Case report. Objectives: We report 3 cases of loss of disc height after spontaneous regression of a herniated lumbar disc. Summary of Literature Review: Reports of spontaneous regression of a herniated lumbar disc were identified. Materials and Methods: We conservatively treated 3 patients who were diagnosed with a herniated lumbar disc. During outpatient follow-up, radiating pain improved in all patients, but they complained of chronic lower back pain.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was performed for diagnostic purposes. Results: On MRI, spontaneous regression of the herniated lumbar discs was observed, but loss of disc height was also found. Conclusions: A herniated lumbar disc may be a risk factor for loss of disc height. It is important to recognize that a patient with a herniated lumbar disc can struggle with chronic lower back pain even if spontaneous regression of the herniated lumbar disc occurs. 연구 계획: 증례 보고목적: 탈출된 요추 추간판이 자연 소실된 이후 추간판 간격이 감소된 증례를 보고하고자 한다. 선행 문헌의 요약: 보존적 치료를 통한 탈출된 요추 추간판의 자연 소실이 보고되었다. 대상 및 방법: 요추 추간판 탈출증으로 진단된 3명의 환자를 외래 추시를 통해 보존적 치료를 시행하였다. 내원 당시에 관찰되었던 방사통은 호전 되었으나, 만성적인 요통을 호소하였다. 원인 파악을 위해 MRI 촬영을 다시 시행하였다. 결과: 보존적 치료로 탈출된 요추 추간판이 자연 소실 되었지만, 추간판 간격의 현저한 감소가 관찰되었다. 결론: 요추 추간판 탈출증이 추간판 간격 감소의 위험요인 중 하나일 수 있다. 요추 추간판 탈출증을 진단 받은 환자의 경우 탈출된 요추 추간판이 자연소실되더라도 만성 요통이 발생 할 수 있음을 인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약칭 제목: 추간판 간격 감소

      • 추간공외 요추추간판 탈출증

        어경윤,이규춘,이영배,박용석,정 찬 東國大學校醫學硏究所 1993 東國醫學 Vol.1 No.-

        척추후관절 돌기의 측방향, 또는 척추후관절 돌기 부위를 넘어서(극외측 탈출) 발생하는 요추부 추간판 탈출증은 척추후관절 돌기 내측에서 발생하는 보통의 요추추간판 탈출증과는 달리 특징적인 임상적 양상을 나타내며 진단면에 있어서도 특별한 문제점을 야기시키게 된다. 이의 발생률은 보통의 추간판 탈출증 환자의 약10%인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 대부분은 제3, 4 요추부위와 제4, 5요추 부위에서 발생하며 따라서 주로 상부요추 신경근을 압박하는 증세를 나타낸다. 전형적인 임상적 양상으로는 대퇴부와 하지의 전면부위의 통증과 일반 요추 추간판 탈출증 환자에서 보이는 하지직거상 검사 제한이 나타나지 않는 것이다. 요추부 통증은 별로 나타나지 않고 허리를 병변부위쪽으로 굴곡시킬 때 하지방사통이 악화되는 것이 특징이다. 진단은 초기에는 디스크 조영술로 진단을 하였으나 현재는 요추부위의 단층 촬영으로 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본 교실에서는 최근에 2명의 환자에서 제5요추 및 제1천추 부위에 발생한 추간공외 요추추간판 탈출증 환자 2명을 치험하였기에 이 질병에 대한 진단 및 치료방법에 대하여 문헌 고찰과 함께 증례를 보고하는 바이다. Lumbar disc herniations that occur far laterally beneath or beyond the facet(extreme lateral herniations) have certain characteristic clinical features and special problems of diagnosis that distinguish them from the usual herniations that occur medial to the facet. Their incidence is estimated to be about 10% of all lumber disc herniations. Most cases occur at the L3, L4 and L4, L5 interspaces, and they account for the majority of upper lumbar root compression syndromes. The typical clinical syndrome is characterized by pain in the anterior thigh and leg, a negative stright leg raising test, reproduction of the patient's pain by lateral bending to the side of the herniation, and absence of the typical back signs. The diagnosis was earlier made by discography, but is now more easily made by computed tomography. The authors present 2 patients who were diagnosed as having far lateral lumbar disc herniations at L5-S1 level in 1992. This article reports our surgical experience on 2 patients of far lateral herniated lumbar discs, all occuring lateral to the pedicle.

      • KCI등재

        경막 후방으로 이동한 추간판에 의한 요추 추간판 탈출증 : 2례 보고 Two Cases Report

        조용선,조성도,김범수,박태우,류석우,조형진 대한척추외과학회 2001 대한척추외과학회지 Vol.8 No.3

        연구계획 : 증례 발표 및 문헌고찰 연구목적 : 경막 후방으로 이동한 추간판에 의한 요추 추간판 탈출증을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연구배경 : 경막 후방으로 이동한 추간판에 의한 요추 추간판 탈출증은 매우 드물며 탈출된 추간판 편은 크기가 매우커서 공간적 한계를 넘어 경막 후방으로 이동한다. 대상 및 방법 : 경막 후방으로 이동한 추간판에 의한 요추 추간판 탈출증 2례에 대해서 수술적 치료를 시행하였고 MRI영상, 수술방법 그리고 연관된 문헌에 대해 고찰 하였다. 결과 : 경막 후방으로 이동한 추간판에 의한 요추 추간판 탈출의 경우 술 전 MRI상 비교적 큰 경막의 종괴의 소견을 나타내었고, 이 종괴는 T1 강조영상에서는 중간 신호강도, T2 강조영상에서는 저 신호강도, 조영 증강 T1 영상에서는 종괴 주변부의 조영 증강 소견을 보였다. 수술 후 비교적 빠른 시간내에 증상의 호전을 보였고, 2년 추시에서 증상의 완전한 소실을 보였다. 결론 : 경막 후방으로 이동한 추간판에 의한 요추 추간판 탈출증의 경우 임상 증상과 조영 증강 T1 영상을 포함한 자기공명영상으로 진단할 수 있으며 경막외 종괴 소견을 나타내는 다른 질환과 감별 되어야 하며, 수술적 치료로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Study Design : case report and review of the literature Objectives : toreport two cases of posterior epidural migration of herniated lumbar inrervertebral disc and review the literature Summary of Background Data : Posterior epidural migration of herniated lumbar intervertebral disc is extremely rare. The large size of the fragment evntually exceeded the limits of the anterior epidral space and the fragment subsequently settled posterior the thecal sac because of opatial and size constraints. Materials and Methods : Two cases of herniation of intervertebral disc which were caused by posteriorly migrated disc material were treated surgically with open discectomy. The magnetic resonance images, surgical treatment and related literature are reviewed. Results : Preoperative magnetic resonance images of the posterior epidural migration of hernited lumbar intervertebral discshowed a large epidural mass. The mass was of intermediate signal intensity on T1-weighted images, was of low signal intensity on T2-weighted images and was enhanced marginally with gadolinium-DTPA on T1-weighted images. Immediately after operation, a significant reduction of symptoms were achieved. The patients recovered fully at two year follow-up. Conclusions : Lumba disc herniation by posterior epidural migration of sequestered fragment can be diagnosed with clinical findings and MRI including Gadolinium-DTPA enhancement. It should be differ-entiated from epidural mass and could be managed surgically with good result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