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온라인 교사공동체 경험이 교사전문성과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이한비 ( Lee¸ Han Bi ),이수영 ( Lee¸ Soo-young )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20 한국초등교육 Vol.31 No.4

        최근 교사들은 온라인 교사공동체를 일상적으로 활용하고 있으며 공동체 안에서 지식을 공유하고 구성원 간의 상호작용과 정서적 교류를 경험한다. 교사는 온라인 교사공동체에 자발적으로 참여하고 있으며, 이러한 온라인 교사공동체는 수업 및 업무와 관련한 지식을 습득하고 공유할 수 있는 실천공동체적 성격을 지닌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교사공동체에 대한 논의는 대부분 오프라인의 교사학습공동체를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으며 온라인 교사공동체에 대해서는 성공적으로 운영되는 특정 공동체의 특징을 분석하거나 교사의 경험을 질적으로 탐구하는 연구가 대부분이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보다 자발적이고 일상적인 참여가 가능한 공동체적 성격에 중점을 두고, 온라인 교사공동체에 대한 교사의 경험이 교사전문성과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통해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온라인 교사공동체에 대한 초등 교사의 경험을 지식공유와 사회적 지지 척도를 활용하여 측정하고자 하였으며, 교사전문성과 교사효능감 척도를 추가하여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러한 온라인 설문조사에 초등학교 교사 총 324명이 참여하였으며, 그중 239명(74%)의 자료를 최종 분석하였다. 통계분석을 실시한 결과, 온라인 교사공동체의 지식공유와 사회적 지지가 교사전문성과 교사효능감에 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점을 밝혔다. 즉, 온라인 교사공동체에서 사회적 지지를 경험하는 교사가 지식공유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할 가능성이 높다는 점을 확인하였으며 온라인 교사공동체에서의 지식공유가 교사의 전문성에, 사회적 지지가 효능감에 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곧 온라인 교사공동체의 활발한 지식공유를 촉진하기 위해서는 구성원들의 사회적지지가 기반이 되어야 하며, 온라인을 통한 교사 간의 상호작용 경험이 교사 개인의 전문성 함양과 효능감 증진을 돕는 기제로 작용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Teachers are voluntary and routinely involved in the online teacher community. Through the online teacher community, teachers share instructional or work-related knowledge with other teachers and experience social support. This study explores impacts of online knowledge sharing and social support on teacher expertise and efficacy. The research question was ‘what is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knowledge sharing, social support, teacher expertise and efficacy experienced by teachers in the online teacher community?’ The knowledge sharing scale, social support scale, teacher expertise scale, and efficacy scale were used to measure elementary teachers' online teacher community experiences. The online questionnaire consists of 66 questions. 324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swered the questionnaire, of which 239 samples (74%) were statistically analyzed, except for those who did not agree to participate in the study or who had no experience of participating in online teacher communities.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SPS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es were performed using AMOS. As a result, teacher's social support had a positive effect on knowledge sharing, teacher's social support had a positive effect on teacher's efficacy, and teacher's knowledge sharing had a positive effect on teacher expertise and efficacy. The study showed that online knowledge sharing and social support for primary school teachers had a positive effect on teacher expertise and efficacy. This study provided in-depth understandings of teachers’ online teacher community experiences and provided a new perspective on development of teachers’ personal learning experiences.

      • KCI등재

        온라인 게임에 나타난 청소년의 공동체 문화에 관한 연구

        양철진 한국청소년학회 2006 청소년학연구 Vol.13 No.6

        본 연구는 온라인 게임 속에서의 공동체 문화 현상에 대해 기술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질적 연구 방법을 채택하였고 연구 참여자를 선정하여 참여 관찰과 심층면접을 시도하였다. 또한, 온라인 게임 안에서 존재하는 공동체적 속성을 찾기 위해 게임의 에피소드와 구조 등에 대한 내용을 분석하였다. 1차 연구 참여자들은 온라인 상에서 선정하여 온라인 게임에 대한 일반적 문화 현상에 대해 연구하였고 여기에서 제기된 점들을 바탕으로 2차 연구 참여자를 오프라인 상에서 선정하여 심층면접을 통해 온라인 게임 속에서의 공동체 문화 현상을 탐색하는데 초점을 두었다. 연구 과정에서 청소년들이 온라인 게임 속에서 공동체를 형성하는 동인은 사적인 이해관계와 온라인 게임을 잘하겠다는 욕구가 반영되어 있다는 점과 온라인 게임 공동체의 전형인 길드에는 청소년들이 추구하는 권력지향적 속성이 내재되어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온라인 게임의 공동체는 현실적 이익과 이해관계의 모임이지만 공동체 유지를 위한 규범과 구성요소들이 존재하며, 온라인 게임의 변형된 공동체인 ‘가족’은 사적이고 철저한 이해관계가 중시되는 온라인 게임의 성향을 넘어서서 친밀감, 정서적 유대의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어 공동체 문화에 대한 이해와 경험이 부족한 청소년들에게 선용의 가능성을 담고 있다는 점도 발견할 수 있었다. This research allows purpose to describe about the culture of community phenomenon within on-line game. This research focused to look for the culture of community phenomenon within on-line game, choosing research participant to achieve this purpose. According to final coclusion through this research; First, the culture of community within on-line game occurred to juvenile's desire and personal interests and on-line game. Second, A 'guild' which is typical form of the community on-line game community has the property of the power intention in online game community. Third, the community of online game has the property of off-line traditional community and exists the rule to keep community, the factor of community etc. Fourth, the community of online game appears in form that keep feeling of closeness as deformed community in on-line game. Finally, the community of online game has personal and emotional relationship's possibility as can assume in deformed community of called on-line game that is family.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at on-line game is the meaningful part of juvenile life and must take interest about community culture within on-line game in hereafter.

      • KCI등재

        초등예비교사의 테크놀로지 내용교수지식(TPACK) 증진을 위한 교육실습과 연계된 온라인 교사학습공동체 활동의 효과

        류기혁,이영주 한국교원교육학회 2017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4 No.2

        본 연구는 초등예비교사의 테크놀로지 내용교수지식(TPACK) 증진을 위해 교육실습과 연계하여 온라인 교사학습공동체 활동을 실시하였다. 60명의 예비교사들은 교육실습기간동안 실습과 더불어 온라인 교사학습공동체 활동을 하였으며, 테크놀로지활용 전문가 현장교사가 포함된 온라인 교사학습공동체에서 활동을 병행한 집단, 예비교사들끼리 온라인 교사학습공동체를 병행한 집단, 그리고 온라인 교사학습공동체 활동을 하지 않은 집단, 세 집단으로 무선 배당되었다. 이 중 두 집단의 예비교사들은 수업 전 수업지도안 초안을 작성하여 온라인상에서 집단에 따라 동료예비교사 혹은 현장교사의 피드백을 받았으며, 테크놀로지 활용 수업에 필요한 정보를 주고받았다. TPACK의 사전-사후 향상도에 관해 세 집단을 비교한 결과, 온라인 교사학습공동체 활동을 한 집단은 PCK와 TPACK에서 기존실습형태에 비해 두드러지게 향상되었다. 심층면담을 질적으로 분석한 결과, TPACK 증진 활동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인식을 ‘활동의 긍정적 효과’, ‘구성원과의 상호작용’, ‘활동의 문제점’ 측면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교육실습과 온라인 교사학습공동체 활동이 병행되었을 때 TPACK 신장에 효과적이었다는 점을 보여주었으며, 테크놀로지 역량을 갖춘 실습지도교사의 부족과 같은 현실적인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점에서 시사하는 바가 크다. In this study, the researcher implemented online teacher learning community activities linked with internship course to enhance pre-service teachers' TPACK. 60 pre-service teachers were randomly assigned into 3 groups: online learning community group with pre-service and in-service teachers, online learning group with pre-service teacher only, and existing internship course group. The participants in online community groups wrote drafts of their lesson plans and then received feedback from peers or professional in-service teachers according to their group conditions and shared informations to adopt technology. Data analysis showed that 2 online learning community group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increase of PCK and TPACK compared to the other one group. As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in-depth interviews with qualitative research, the researcher confirmed 'positive effects' and 'interaction' and 'problem' in pre-service teacher's recognition about online learning community activities. They were able to share ideas and information through a variety of activities, they were able to improve the awareness of TPACK, they wanted to inform the community to other people. And researcher confirmed about interaction professional in-service teachers and pre-service teachers and relationships of members according to development of the community. Pre-service teachers felt problem that lack of the activity time and they needed to improve accessibility. Also, they thought that it is limited only by online community activity, face-to-face meeting is necessary.

      • KCI등재

        “온라인 학습 공동체” 관련 국내 연구동향 분석

        장진아(Chang, Jina),송진웅(Song, Jinwoong),정용재(Joung, Yong Jae)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18 교과교육학연구 Vol.22 No.4

        본 연구에서는 2000년부터 2017년까지 이루어진 온라인 학습 공동체에 대한 70편의 국내 연구 동향을 파악하고, 초·중등 온라인 과학 학습 공동체 구성을 위한 시사점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연구 주제, 방법, 대상별로 기존 연구들의 동향을 파악하고, 연구된 온라인 학습 공동체의 유형과 특징, 학습과 관련된 요인들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지금까지 온라인 학습 공동체의 참여 모습을 분석하거나, 프로그램을 설계·적용한 연구가 많이 수행되었으며, 대학생, 교사 또는 성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들이 많았다. 특히 참여 대상의 특징은 공동체 유형과 연결되었는데, 교사나 성인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들은 주로 ‘자발적’ 학습 공동체를, 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들은 주로 ‘전략적’ 학습 공동체를 많이 분석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에 비해 초·중등 교육이나 교과 교육 분야에 대한 연구는 적었다. 또한 온라인 학습 공동체와 관련된 여러 요인들이 공동체의 학습에 어떻게 영향을 주는지 분석하는 과정에서, ‘공동체의 개방성·폐쇄성’, ‘구성원들 간의 수평적·위계적관계’, ‘정서적 친밀감의 효과’ 문제에 대해 기존 연구들의 상충된 관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러한 문헌 분석 결과와 이론적 논의들을 토대로 초·중등 온라인 과학 학습 공동체를 구성하는 데에 있어 ‘온라인-오프라인 의존성’, ‘공동체 참여의 개방성’, ‘학습 구성의 자율성’, ‘시스템 운영의 자율성’, ‘학교 과학 교육에 대한 독립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rends of 70 studies related to ‘online learning communities (OLCs)’published in Korea from 2000 to 2017 as a basis for implementing meaningful online learning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ience education. To accomplish this aim, we investigated research themes, methods, participants, the features of OLCs and the factors related to online learning. As a result, a great deal of research have been conducted for analyzing the participation and developing the programs for OLCs. The main targets of OLCs’ research were closely related to the different types of OLCs. In details, the ‘voluntary’ learning communities usually consisted of teachers and adults, and the ‘strategic’ learning communities usually consisted of college students. In contrast, there are few studies on the field of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As for the various factors affecting the learning of OLCs, some conflicting views were found in terms of ‘openness or closeness of the community’, ‘horizontal or hierarchical relationships among the members’, and ‘the effects of emotional intimacy.’ Based on the literature analysis, we suggested the five areas that need to be considered when organizing OLCs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ience education: the extent of dependence between online and offline activities; the extent of openness in participating in OLCs; the extent of autonomy in learning organizations; the extent of autonomy in system organization; the extent of independence from school science education.

      • 온라인 공동체(on-Line community)의 현황과 전망

        강호정 ( Ho Jung Kang ) 경희대학교 민속학연구소 2010 한국의 민속과 문화 Vol.15 No.-

        본고는 현재 ``SNS 열풍``이라는 온라인 공동체 활동의 현황과 전망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 과정에서 SNS는 온라인 공동체의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는 사실을 발견할 수 있었으며, 이러한 SNS 활동이 스마트 폰의 보급에 통해 시공간의 제약을 벗어나 공동체 활동을 가능하게 만들어 준 것이었다. 즉, 스마트 폰은 모바일 SNS의 발달을 가져왔고, 이러한 모바일 SNS는 스마트 폰을 통해 실생활과 온라인의 경계를 무너뜨려 어디서나 공동체 활동을 할 수 있는 장을 만들어 주었다. 기존의 공동체 활동은 시공간의 제약이 있었다 한다면, 모바일 SNS는 이러한 제약에서 벗어나 실생활 어디서나 온라인 공동체 활동을 할 수 있는 편리성을 가져다주었다. 이 때문에 SNS의 현황을 각 SNS에 따라 일상 속 공동체 활동이 온라인 공동체 활동으로 확장된 사례(싸이 월드)와 일상과 온라인 공동체 활동이 분리된 사례(블로그), 일상과 온라인 공동체 활동의 경계가 무너진 사례(모바일 SNS) 등으로 분류해 낼 수 있었다. 앞으로 SNS는 일상과 온라인 공동체 활동의 경계가 무너지는 현상이 가속화 될 것이며, 이 때문에 ``일상의 노출``이라는 부작용이 심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앞으로의 SNS를 통한 온라인 공동체 활동은 모바일 기술의 발전으로 더욱 이용자가 많아질 전망이므로 더욱 ``일상의 노출``이라는 문제 상황은 선결되어야 할 과제로 남아있다. This paper contains ``SNS fever`` status and prospects of on-line community. In this process, it is discovered that SNS perfoms as on-line community. This makes through a supply of smartphones, beyond the constraints of time and space, community activity makes easier. As an increase of using smartphone, mobile SNS breaks down a boundary of real life and online, so we can have community activities anywhere. Unlike existing community activities that the limitation of space-time, mobile SNS has convenience in any on-line communities. There for because of this, I current status of SNS system classified each for extended case (on ``Cyworld``), isolated cases (on ``Blog``), collapsed boundary case (on ``mobile SNS``). SNS makes accelerating the collapse between the boundary phenomenon and user`s daily life. As growing the development of mobile technology, many users do on-line community activities using SNS widely. At the same time, invasions of user privacy is remained to be resolved.

      • KCI등재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직면한 교회 공동체에 관한 신학적 성찰 ― 온라인 커뮤니케이션과 본회퍼의 『신도의 공동생활』을 중심으로

        이준봉(Joon-Bong Lee) 한국기독교학회 2022 한국기독교신학논총 Vol.123 No.-

        바야흐로 포스트 코로나 시대가 도래함에 따라 교회의 사역 형태는 변화에 직면하였다. 기존의 오프라인 대면 방식에서 온라인 비대면으로 전환됨에 따라 여러 혼란과 반발이 동반되었다. 본 논문은 이러한 혼동 가운데에서 디트리히 본회퍼의 『신도의 공동생활』을 통하여 현시대의 교회론을 재정립한다. 이를 위하여 우선, 온라인 교회에 관한 찬반양론의 선행 연구를 고찰한다. 다음으로는 본회퍼가 제시한 교회 공동체의 특징에 대하여 살펴본다. 본고에서는 크게 다섯 가지 유형의 공동체를 다루는데 각 항목은 다음과 같다. ① 예수그리스도에 의한 공동체 / 말씀 공동체, ② 소그룹 공동체, ③ 개인이 자유롭고 성숙한 공동체, ④ 섬김의 공동체, ⑤ 고백과 성찬 공동체이다. 이후에는 앞서 정립한 이론을 기반으로 하여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온라인 교회 공동체의 실현 가능성을 모색한다. 결론적으로 본 논고는 온라인 교회 공동체의 정당성을 확립하여, 추후 오프라인 사역과 상호보완적인 관계를 수립해야 함을 주장한다. The post-coronavirus era has arrived, and a method of the church’s ministries encountered changes. There were several confusion and oppositions as the preexisting offline way of church ministries had been switched to online untact way. This article rebuilds the contemporary ecclesiology through Dietrich Bonhoeffer’s Life Together in the period of dislocation. To prepare the work, it considers preceding researches about the pros and cons for online churches. Then, this paper analyses five characteristics of church communities from the theory of Bonhoeffer. Each component is as follows. These are 1) the community of Jesus / the community of God’s word, 2) the small group community, 3) the community which lets people be free and mature, 4) the community of serving, and 5) the community of confession and communion. Afterward, it searches the possibility of an online church community in the post-coronavirus era based on the previously referred theories. Consequently, the study establishes theological justifications of the online church community and asserts to formulate the complementary relationship between online and offline ministries.

      • KCI등재

        온라인 공동체 미디어(Community Media) 실천연구

        최순희(Soonhee Choi) 한국콘텐츠학회 2017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7 No.6

        본 연구는 그동안의 공동체 미디어 실천연구들이 전통적 방식의 지상파(전파) 방송에 국한되어 온 것에 대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기존연구들에서 소홀하게 다루어진 온라인 기반 위에서 실천되고 있는 지역 공동체 미디어의 특성과 콘텐츠 제작 및 유통의 특성을 규명하고자 대덕밸리라디오의 사례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와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온라인 공동체 미디어 활동은 지역 공동체의 가치를 담아내는 시민미디어(civic/citizen media) 활동이다. 둘째, 미디어 콘텐츠 제작과 유통전략에 따라 퍼블릭 액세스(Public Access)를 통하지 않고도 공동체의 지역성을 실현하는 효과적인 매체 활용을 할 수 있다. 셋째, 온라인 미디어의 콘텐츠는 공동체를 연결하며 개인이 연결점(node)이 되어 온라인과 오프라인에서 상호작용한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온라인 기반 공동체 미디어 실천은 시민들의 미디어 활동의 지속가능성을 높일 수 있는 틈새(니치) 미디어로서 기능할 수 있다는 것을 밝힐 수 있었다. This study started from the consciousness that the community media practice studies have been confined to the traditional terrestrial broadcasting. The following research results and implications were obtained by analyzing Daedeok-valley Radios case to elucidate characteristics of online-based community media and content production and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neglected in previous researches. First, online community media activities are civic/citizen media activities that capture the value of local communities, and this locality is realized through media content production and its online distribution. Second, contents of online community media link members of the community, and individuals become nodes, interacting both online and offline. Therefore, online-based citizen media activities can be utilized effectively as a means to enhance civic participation and to achieve the locality of community in online and offline spaces depending on strategies for online contents production and distribution. Utilizing online infrastructures for media content creation and distribution in Korea demonstrates potential opportunities of local online media to be considered as niche media that can increase its own sustainability.

      • KCI등재

        온라인 학습 환경에서 학습자의 공동체의식과 학습준비도가 학습효과에 미치는 영향

        김정겸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0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9 No.1

        This study is to find strategies to promote learning outcome in the online learning environment. The problems of this research are: 1. Does the learner\ s perception of a sense of community in online learning environments relate to learning effectiveness? 2. Does the learner\ s perception of learning readiness in online learning environments relate to learning effectiveness? 3. Does the learner\ s perception of a sense of community and learning readiness in online learning environments differ in influence on the learning effectiveness? To solve the problems, this study collected data using the Classroom and School Community Inventory, the Readiness for Online Learning Survey, the Effectiveness for Online Learning Testing from 155 tenth-grade highschool students in an online learning situation. Various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by using questionnaires. According to this research, there was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learner\ s perception of a sense of community and learning effectiveness (r = .759, p < .01). The learner\ s perception of learning readiness and learning effectiveness (r = .638, p < .01) appeared to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Learning effectiveness influenced the learner\ s perception of a sense of community. Between the two subordinate factors of a sense of community, namely, classroom community and school community, the classroom community had more influence than school community on the learning effectiveness. However, learning effectiveness did not influenced the learner\ s perception of learning readiness. 본 연구는 온라인 학습 환경에서 학습자의 공동체의식과 학습준비도가 학습효과와 어떤 관계가 있는가를 실증적으로 조사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학습 환경의 방송통신고등학교 1학년 학생 155명을 대상으로 교실공동체 검사, 학습준비도 검사, 학습효과 검사 등을 실시하였으며 연구 문제에 따라 상관분석과 회귀분석 방법을 사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온라인 학습 환경에서 학습자의 공동체 의식과 학습효과 간에는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 = .759, p < .01). 둘째, 온라인 학습 환경에서 학습자의 학습준비도와 학습효과 간에도 정적 상관이 있었다(r = .638, p < .01). 셋째, 온라인 학습 환경에서 공동체의식과 학습준비도 변인을 동시에 고려하여 상대적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학습공동체 의식은 학습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변 인이었다. 특히 교실공동체 의식이 학교공동체 의식에 비해 학습효과에 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학습준비도는 학습효과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중등교육을 위한 온라인 학습 환경에서 학습공동체 변인을 고려한 교수전략이 요구되고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 KCI등재

        온라인 교사공동체의 협력적 전문성 개발 : 인디스쿨 사례연구

        서경혜 한국교원교육학회 2011 한국교원교육연구 Vol.28 No.1

        본 연구는 온라인 교사공동체에서 교사 전문성 개발이 어떻게 이루어지는 그 실제를 탐구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인디스쿨을 사례로 선정, 인디스쿨에서 이루어지는 교사들의 전문성 개발 활동과 그 특징을 탐구하였다. 연구 결과, 인디스쿨 온라인 교사공동체에서는 온?오프라인 연수는 물론이고, 교사들 간의 자료 공유, 문제 협의, 정서적 지지 등 다양한 활동을 통해 전문성 개발이 이루어졌다. 이는 전통적인 접근방식과 뚜렷한 차이를 드러내는데, 인디스쿨 온라인 교사공동체에서 이루어지는 교사 전문성 개발의 특징으로 교사들의 협력적 전문성 개발, 실천의 필요에서 비롯되어 실천의 개선을 목적으로 하는 전문성 개발, 교육현장에서 일상화된 전문성 개발, 개개인의 학습요구를 제때 충족시키는 전문성 개발 등을 들 수 있다. 인디스쿨 온라인 교사공동체는 종래 개인주의적 접근방식에서 탈피하여 온라인상에서의 협력적 전문성 개발이라는 새로운 접근방식을 제시한다. 동시에 협력의 문제를 교사 전문성 개발의 주요 쟁점으로 제기한다.

      • KCI등재

        성인학습자의 온라인 학습공동체 활동 경험에 대한 탐색적 연구

        배윤주,기영화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2 교육문화연구 Vol.28 No.4

        본 연구는 성인학습자의 온라인 학습공동체 활동 경험의 의미를 도출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문제는‘온라인학습 환경에서 성인학습자는 학습공동체 활동을 통해 어떤 경험을 하는가?’이다. 질적 연구방법으로 성인학습자8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과 참여관찰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고, 반복적 비교분석법으로 개념을 추출하고 범주화작업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20개의 개념을 추출하고 이 개념은 8개의 하위범주, 최종 3개의 범주로 구분하였다. 온라인 학습공동체 활동 경험은 ‘공동체의 구성원 되어가기’, ‘같이하는 가치 나누기’, ‘온라인에서 자리 잡기’의의미를 갖는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통하여 온라인 학습공동체 활동은 성인학습자에게 첫째, 학습자간 상호작용을증진시키며 소속감과 자부심을 갖게 하고, 둘째, 구성원간 영향력을 주고받으며 공동체를 지속하게 하고, 셋째, 온라인에서의 동시적 연결을 통해 온라인 공간에서의 유연한 연결, 결속력을 갖게 하였다. 온라인 학습공동체는 그들에게 학습을지속하고 스스로 동기를 부여하며 성장할 수 있게 만드는 하나의 학습시스템과 같은 역할을 하고 있었다. 이처럼온라인학습 환경에서 성인학습자들은 학습공동체 활동을 통해 성인학습자의 학습자 특성을 긍정적으로 강화하여실천적 학습활동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