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소리의 전달 과정’에 대해 초등 과학영재 학생들이 구성한 과학적 그림의 설명 유형과 표상 수준 분석

        장진아(Jina Chang),박준형(Joonhyeong Park),박지선(Jisun Park) 한국물리학회 2022 새물리 Vol.72 No.6

        본 연구의 목적은 소리의 전달 과정에 대한 학생들의 개념적 이해를 돕기 위해, 영재 학생들이 구성한 과학적 그림의 특징을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5 – 6학년 과학영재 수업에 참여하는 18명의 학생들이 구성한 과학적 그림을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학생들은 소리굽쇠의 소리가 우리의 귀까지 전달되는 과정을 그림으로 설명하였다. 눈에 보이지는 않지만 소리 전달 과정의 핵심 요인인 ‘공기입자’와 ‘공기입자 간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학생들의 그림들을 유형화하고 각 그림 유형에서 시각적으로 표현된 소리 전달의 개념적 특징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공기입자 간의 충돌은 나타내었지만 충돌로 인해 공기입자가 소리의 전파방향으로 앞뒤로 진동하는 것을 개념화하지 못한 유형이 가장 많았다. 예를 들어, 공기입자의 진동을 입자 자체의 떨림으로 표현하거나, 공기입자들이 말 그대로 물건 건네듯 진동을 전달하는 모습을 표현한 사례도 발견하였다. 끝으로 초등학교와 중학교 학생들이 가진 소리에 대한 대안개념과 이를 어떻게 지도할 것인가에 대한 교육적 시사점을 논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features of student-generated drawings to foster their understanding of sound transmission. In this regard, eighteen student-generated drawings constructed by the fifth and sixth elementary science gifted student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e students were asked to draw and explain sound transmission between a tuning fork and our ears. The researchers classified the types of student-generated drawings by focusing on ‘air particles’ and ‘their interactions’, which are invisible, and key ideas of sound transmissions, and then analyzed the features of the students’ conceptions, as visually expressed in each type. Consequently, most students focused only on the collisions among air particles, the medium transmitting sound, without conceptualizing the particle vibrations, i.e., the back-and-forth movements of particles. For example, some students drew that the particles themselves vibrate, or the particles literally transmit vibrations as if handing over an object. Finally,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were discussed in terms of alternative conceptions for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and how to teach sound transmission.<br/>

      • KCI등재

        스마트 기기 도입이 과학탐구 활동을 어떻게 변화시킬 것인가?-교육대학원 초등과학 전공 교사의 인식 사례를 중심으로-

        장진아 ( Jina Chang ),정용재 ( Yong Jae Joung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7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7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스마트 기기 도입이 `과학탐구` 활동을 어떻게 변화시킬 수 있을 것인지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을 조사하고, 이를 토대로 스마트 기기 도입이 탐구 활동에서 갖는 여러 가능성과 어려움들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교육대학원의 초등과학교육 전공 교사 12명을 대상으로 개방형 설문지, 모둠 토의, 전체 토의, 참여자 면담 등의 다양한 출처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은 스마트 기기를 통해 천체나 작은 생물과 같이 직접 관찰하기 어려운 현상에 대한 관찰 기회가 확대되어 학생들의 능동적인 참여를 독려할 수 있다고 설명하였다. 하지만 새로운 장치에 대한 조작의 부담으로 인해 학생들이 탐구에 집중하는 것을 방해할 수 있다는 의견도 있었다. 둘째, 교사들은 스마트 기기를 활용해 초등학교 과학탐구 활동에서 디지털식 측정 방식을 도입하기도 했다. 디지털식 측정은 간편하고 효율적으로 자료를 모을 수 있으며, 정확하고 정량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다는 점에서 교사들에게 선호되었다. 하지만 새로운 측정 장치로 인해 추가 변인이 생기거나 탐구 활동의 본질이 달라지는 경우도 있었으며, 교사들은 아날로그식 측정 방식과 디지털 측정 방식 사이에서 자신의 탐구에 대한 신념에 따라 적절하다고 생각되는 방식을 선택하는 모습을 보였다. 셋째, 교사들은 스마트 기기를 활용해 다양한 형식의 축적된 자료 수집하여 양질의 과학적 증거로 활용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양질의 과학적 증거들은 탐구 과정에 대한 학생들의 이해를 돕고 탐구 과정에 대한 의사소통에도 보탬이 된다고 보았다. 넷째, 교사들은 교육용 SNS를 활용하여 탐구 과정에서의 공유와 소통 기회를 확장시킬 수 있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학생들의 진지한 참여와 상호작용을 이끌어내기 위해서는 대화를 통해 적절한 규범을 형성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주장 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과학탐구와 스마트 기기의 의미 있는 통합을 위해 교사의 과학교육적 신념에 따른 디지털 기기 활용 방식, 과학탐구에서 요구되는 디지털 활용 역량의 유형과 특징,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탐구에서 형성되는 학급 규범의 특징에 대한 추가적인 분석들이 필요함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changes caused by using smart technology in school science inquiry. For this, we investigated 12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s by using an open-ended questionnaire, group discussions, classroom discussions, and participant interviews.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he introduction of technology into classroom inquiry can open up the various possibilities and can cause additional burdens as well. First, teachers explained that smart technology can expand the opportunities to observe natural phenomena such as constellations and changing phases of the moon. However, some teachers insisted that, sometimes, learning how to use new devices disrupts students` concentration on the inquiry process itself. Second, teachers introduced the way of digital measurement using smart phone sensors in inquiry activities. They said that digital measurement is useful in terms of the reduction of errors and of the simplicity to measure. However, other teachers insisted that using new devices in classroom inquiry can entail additional variables and confuse the students` focus of inquiry. Communication about inquiry process can also be improved by using digital media. However, some teachers emphasized that they always talked about both the purpose of using SNS and online etiquettes with their students before using SNS. Based on these results, we discussed the necessity of additional analysis on the various ways of using digital devices depending on teachers` perceptions, the types of digital competency required in science inquiry using smart technology, and the features of norms shaped in inquiry activities using smart technology.

      • KCI등재

        연구논문 : 문화적 관점에서 학습환경 검사 도구 재해석하기 - 과학 교실문화 이해를 위한 활용가능성 탐색 -

        장진아 ( Jina Chang ),나지연 ( Jiyeon Na ),송진웅 ( Jinwoong Song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015 초등과학교육 Vol.34 No.2

        This study, based on literature review and theoretical discussion, reinterprets the learning environment instruments from cultural perspectives and suggests the applicability of learning environment instruments for understanding science classroom cultures. To do this, the existing learning environment instruments are first investigated and compared in terms of their features and utilizations appeared in previous studies. The learning environment instruments are then reinterpreted in the light of culture. Finally, we suggest the possibilities to use the learning environment instruments to understand science classroom culture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learning environment instruments, by interpreting them culturally, could be interpreted in cultural ways and used as the alternative ways to explore science classroom cultures. Second, the learning environment instruments, such as WIHIC and CLEQ, could be interpreted both along the dimension of phenomena in classrooms and the dimension of students’ psychology in order to investigate science classroom cultures. Third, the instrument items could be interpreted culturally in different ways according to the description types of instrument items. Thus, when learning environment instruments are used in culture research, the description types should be sufficiently taken into accoun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educational implications are discussed in terms of exploring classroom cultures and of culture research.

      • KCI등재

        연구논문 : 초등 과학 교과전담 교사의 실험수업에서 형성되는 사회문화적 맥락의 특징 -사회문화적 요인 및 요인들 간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장진아 ( Jin A Chang ),박지선 ( Park Ji Sun ),송진웅 ( Jin Woong Song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014 초등과학교육 Vol.33 No.2

        This study explores the features of sociocultural context of experiment classes taught by a science subject teacher. Two experiment classes on electric circuit for fifth graders were observed and video recorded. The data was also collected through student interviews and teacher interviews. Using the cultural historical activity theory, we extracted the six sociocultural factors and analyzed their interactions. This study could identify that four features of the sociocultural context of the cases. First, the rules of science classes were not decided by the teacher, but formed and modified through the negotiation between the teacher and students or between the students. Second, elementary students played a game, i.e. ‘Countdown game’, during their electricity experiments, which had both positive and negative influences on science learning. Third, the science teacher feels a limit on life guidance because of the position as a subject teacher in an elementary school. Lastly, although the science teacher had enough time to prepare science classes, there was no guarantee of the improvement of teaching qualit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educational implications are discussed in terms of teaching science experiments and of the science subject teacher syst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