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위젯 서비스를 위한 오픈 API 프록시 서버 시스템

        안병현(Byunghyun Ahn),이혁준(Hyukjoon Lee),최용훈(Yonghoon Choi),정영욱(Younguk Chung) 한국정보과학회 2010 정보과학회 컴퓨팅의 실제 논문지 Vol.16 No.9

        위젯은 자주 이용하는 서비스를 독립적으로 구동시키는 작은 응용프로그램으로서, 콘텐츠를 제공하는 웹 사이트 등을 직접 방문하지 않고도 사용자가 원하는 콘텐츠를 손쉽게 얻을 수 있어서 많은 관심을 끌고 있다. 이러한 위젯은 오픈 API를 이용하면 손쉽게 개발될 수 있다. 하지만 위젯의 다양한 응용 가능성에도 불구하고, 현재 오픈 API를 제공하는 웹 사이트가 많지 않다. 그 이유는 웹 사이트 운영자가 오픈 API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웹 서버 구조를 변경하거나 웹 서버 리소스를 수정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기 때문이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웹 서버 구조 또는 웹 서버 리소스를 변경하지 않고, 개발자가 위젯 개발을 가능하도록 하는 것은 물론, 사용자가 위젯을 사용할 수 있도록 웹 서버를 대신하여 오픈 API를 제공하는 오픈 API 프록시 서버 시스템을 제안한다. 오픈 API 프록시 서버 시스템의 구성은 크게 오픈 API 소스 코드 생성기와 오픈 API 프록시 서버로 이루어져 있다. 오픈 API 소스 코드 생성기는 사용자가 원하는 오픈 API를 생성하도록 사용자에게 GUI를 제공하여 오픈 API 프록시 서버로 오픈 API 소스 코드 생성 요청을 보내는 프로그램이다. 오픈 API 프록시 서버는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HTML 테이블 처리 라이브러리를 이용하여 웹 사이트로부터 HTML 웹 페이지를 받아서 대상 HTML 테이블로부터 유용한 정보를 추출한다. 그리고 이를 XML 문서로 가공하여 오픈 API를 통해 제공한다. 실제 웹 사이트의 HTML 테이블을 대상으로 실험하여 오픈 API 프록시 서버 시스템의 동작을 검증하였다. A widget is a small application running by the users’ favorite services, so they are provided with web contents without explicitly visiting the web site. Although widgets can be easily implemented with Open APIs, only a few web sites provide them because of refactoring the structures of web resource to supply Open APIs to the widget developers. This paper presents an Open API Proxy Server System for widget services. The system consists of two components: an Open API Source Code Generator and an Open API Proxy Server. The Open API Source Code Generator provides a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for users to generate the Open APIs of user's choice and sends the Open API source code generation request to the Open API Proxy Server. The Open API Proxy Server using the HTML Table Processing Library receives the HTML web page from web site and extracts useful information from the target HTML table. The proxy server converts the extracted data into the corresponding XML document which becomes available through the Open API. We verify the operation of the proposed system through experiments with the HTML tables in the example web sites.

      • KCI등재

        한국형 오픈뱅킹 API 플랫폼의 활성화 요인에 대한 고찰

        오상승,정경찬,조근태 한국지급결제학회 2023 지급결제학회지 Vol.15 No.1

        In this study, the characteristics and success factors of Korean open banking API platform, which has shown explosive growth in a short period of time since its launch in December 2019, were analyzed. In order to analyze the elements that make up the open banking API platform, the technical elements of the open API, the application process to financial services, the formation of the open banking concept, and the platform building process were studied, focusing on the European cases where the service was first started. For the Korean Platform, the establishment and development process of the system and the status of service use were analyzed, based on actual service application cases and statistical data of the market. In particular,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open banking API platform and how these factors contributed to the fintech market growth were analyzed by comparing with Europe, which was first implemented in actual financial services through integration with open API technology. In addition, the impact of the open banking API platform on the changes of the financial market, fintech service innovation, and fintech industry growth was studied, focusing on the actual business cases in which the platform was used for fintech services. 본 연구에서는 2019년 12월 출범 이후 단기간에 폭발적인 성장세를 보이고 있는 한국의 오픈뱅킹 API 플랫폼의 특징과 활성화 요인을 분석하였다. 오픈뱅킹 API 플랫폼을 구성하는 요소들에 대해 오픈 API의 기술적 요소, 금융서비스에 대한 적용 과정, 오픈뱅킹 개념의 형성 및 플랫폼 구축 과정 등을 동 서비스가 가장 먼저 시작된 유럽의 사례들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한국에서 동 시스템의 구축 및 발전과정과 서비스 이용현황을 실제 서비스 적용 사례 및 통계 데이터를 기반으로 분석하였다. 특히, 오픈뱅킹의 개념을 오픈 API 기술과의 접목을 통해 가장 먼저 실제 금융서비스에 구현한 유럽과의 비교를 통해 한국형 오픈뱅킹 API 플랫폼이 가지고 있는 독특한 특징과 이러한 특징들이 서비스 활성화에 어떻게 기여하였는지를 분석하였다. 아울러 동 플랫폼이 실제 핀테크 서비스에 활용된 사례들을 중심으로 오픈뱅킹 API 플랫폼이 금융시장의 구조 변화, 핀테크 서비스 혁신, 핀테크 산업 발달에 미친 영향에 대해 고찰하였다.

      • KCI등재

        공간정보 오픈플랫폼 설계를 위한2D Web Mapping Open API 비교 연구

        최원근,김민수,장인성,장윤섭 대한공간정보학회 2014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Vol.22 No.5

        Google Maps have changed the response time of Web-GIS using AJAX technologies. In addition, Google released the Open API named Google Maps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and it lead to the big paradigm on the Open API, where the SDK(Software Development Kit) and ASP(Application Service Provider) had ruled at the related map market. In short, the Open API has been paradigm-shifting for the web mapping. After this, government, many companies and open source foundations have guided Web-GIS market’s growth through releasing the relevant Open APIs. So many comparative analysis on web-mapping API carried out by many researches. However there were no researches that can be applied to our current domestic environments. This paper investigates components of web-mapping API. Then we compare how many components supported and enumerate features for each of those APIs. Finally this paper presents direction of future development of Web Mapping API. Google 지도는 AJAX(Asynchronous JavaScript and XML) 기술을 이용하여 Web-GIS의 반응 속도를 크게 변화시켰다. 또한 Google은 Open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인 Google Maps API를 공개하여 기존의 SDK(Software Development Kit)와 ASP(Application Service Provider)가 주도하던 지도 시장에 Open API라는 패러다임의 변화를 가져왔다. 이후, 많은 정부와 기업과 오픈소스 진영에서 비슷한 방식의 Open API를 내놓았으며 Web-GIS 시장을 키워왔다. 또한 HTML5 표준에 대한 최신 웹브라우저의 적극적인 표준 구현으로 인해 웹지도는 단순한 웹페이지가 아닌 하나의 웹어플리케이션으로 진화하여 속도와 성능향상을 이루었다. 하지만 많은 공간정보 2D Open API들이 나왔지만 국내의 API에 대한 현실적인 비교분석은 잘 이루어지지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먼저 공간정보 2D Open API를 이루고 있는 구성요소들을 살펴보고, 각각의 API들이 어떠한 기능들을 얼마만큼 지원하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각 API 별로 기능적인 특징과 서비스적인 특징들을 살펴보고 비교분석을 수행하고자 한다. 끝으로, 공간정보 2D Open API의 서비스 사례들을 살펴보고 앞으로의 발전 방향에 대해 제시하고자 한다.

      • KCI등재

        다양한 Open API 타입들을 지원하는 시맨틱 기반 매쉬업 개발 툴

        이용주 ( Yong-ju Lee ) 한국인터넷정보학회 2012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Vol.13 No.3

        최근에 매쉬업은 미래 IT 융합 서비스의 효과적인 구현 방법으로써 그 관심도가 점점 높아지고 있으며 그들의 활용도 매우 다양하다. 그렇지만 이러한 높은 관심에도 불구하고 Open API들을 매쉬업 속으로 결합할 때 여러 가지 이슈들이 있을 수 있다. 첫째, 포털 사이트들은 매쉬업에서 사용 가능한 수많은 API들을 제공하고 있는데, 이들에 대한 적합한 API들을 수동으로 탐색하고 발견하는 것은 매우 힘들고 많은 시간이 소비되는 작업이다. 둘째, 현존하는 어떠한 매쉬업 포털 사이트들도 전통적인 SOAP 기반 웹 서비스 분야에서 보였던 것처럼 API들을 찾고 통합하는데 시맨틱 기법을 활용하는 사이트는 없다. 세째, 적합한 API들을 발견하였더라도 특별한 기술적 훈련 없이 값어치 있는 매쉬업을 생성하기란 현실적으로 어려운 일이다. 본 논문에서는 위와 같은 이슈들을 해결하기 위해 먼저 기존의 SOAP 기반 웹 서비스 분야에서 사용된 시맨틱 기반 기술 및 알고리즘들을 최소의 수정만으로 재사용할 수 있음을 보인다. 다음으로, 조합 가능한 API들을 발견하기 위해 어떻게 API 특성들이 신택틱하게 정의되고 시맨틱하게 묘사될 수 있는지 보인다. 그러고 이러한 신택틱/시맨틱 정보들이 어떻게 Open API들의 발견과 조합에 도움을 줄 수 있는지 보인다. 마지막으로, 동적 Open API 조합을 위한 대화형 목표 지향 접근 방법을 제안한다. 여기서 최종 매쉬업은 API들의 순차적 접근 방법에 의해 점차적으로 각단계에서 하나씩 새로운 API가 조합에 첨가된다. Mashups have become very popular over the last few years, and their use also varies for IT convergency services. In spite of their popularity, there are several challenging issues when combining Open APIs into mashups, First, since portal sites may have a large number of APIs available for mashups, manually searching and finding compatible APIs can be a tedious and time-consuming task. Second, none of the existing portal sites provides a way to leverage semantic techniques that have been developed to assist users in locating and integrating APIs like those seen in traditional SOAP-based web services. Third, although suitable APIs have been discovered, the integration of these APIs is required for in-depth programming knowledge. To solve these issues, we first show that existing techniques and algorithms used for finding and matching SOAP-based web services can be reused, with only minor changes. Next, we show how the characteristics of APIs can be syntactically defined and semantically described, and how to use the syntactic and semantic descriptions to aid the easy discovery and composition of Open APIs. Finally, we propose a goal-directed interactive approach for the dynamic composition of APIs, where the final mashup is gradually generated by a forward chaining of APIs. At each step, a new API is added to the composition.

      • KCI등재

        음성 인식 오픈 API의 음성 인식 정확도 비교 분석

        최승주,김종배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7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7 No.8

        Speech recognition technology is transformation skill using sound sensor such as microphone to transfer the acoustical signal to words or sentence. Speech conversation system using this technology and artificial intelligence is receiving attention as next generation of interface, and it is used in variable areas like smartphone, smart TV, car and so on. Recently, Samsung released ‘Bixby’ which is speech conversation program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and a lot of company such as Google and Naver are providing speech recognition open API. In this paper, we select three typical APIs and do comparison analysis of APIs’ features. In addition to that, we do three experiment in mobile for analysis of APIs’ speech recognition accuracy. First, we test number recognition. In second test, we test Korean word recognition. Lastly, we test sentence recognition with mobile instruction sentence. With result, we expect developers can select appropriate speech recognition open API in each situation. 음성인식기술은 마이크와 같은 소리 센서를 통해 얻은 음향학적 신호를 단어나 문장으로 변환시키는 기술을 말한다. 이 기술과 인공지능을 결합한 음성 대화 시스템은 차세대 인터페이스로 주목받고 있으며, 스마트폰, 스마트TV, 자동차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삼성전자에서 인공지능과 음성인식을 결합한 ‘빅스비’를 출시하였으며, Google, Naver 등 다양한 기업들은 음성인식기술을 오픈 API로 제공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대표적인 음성 인식 오픈 API 3개를 선택하여 각 특징을 비교 분석한다. 또한 한 3번의 실험을 통해 모바일 환경에서 각 음성인식 API별 인식률을 비교하였다. 첫 번째로 숫자 인식을 실험하였고, 두 번째로는 가나다 한글 인식을 실험하였다. 세 번째 실험에서는 모바일 음성인식 프로그램에서 쓰이는 대표적인 명령 문장을 입력하여 문장 인식 실험을 진행하였다. 이러한 비교실험을 통해 한국어를 지원하는 음성인식 오픈 API의 선택 기준을 제시하여 상황별로 적절한 API를 사용하는 데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신용정보 공유 활성화를 위한 API 표준화 방안 및 이에 따른 법적 쟁점 검토

        권혜진 서울대학교 기술과법센터 2020 Law & technology Vol.16 No.6

        오늘날과 같은 데이터 주도형 경제에서 산업 경쟁력은 다수가 수집한 데이터를 어떻게 효과적으로 공유하고 활용할 수 있는가에 달려 있는데 이에 대한 기술적 해법을 제공하는 것이 표준화 된 API이다. API 표준화는 은행 분야에서 선도적으로 나타나고 있는데 EU의 PSD2, 영국의 오픈 뱅킹 이니셔티브, 우리나라의 오픈 뱅킹이 그 대표적인 사례이다. API 표준화를 위해서는 법적 근거와 함께, 표준화 기구의 중심적인 역할이 필요하며, 다양한 이해관계자들도 표준화 제정 과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야 한다. 데이터를 통해 가능해진 서비스를 제공하는 선도적인 기업이 생겨날수록, 이에 대한 시장 수요가 확대될수록, 국제적으로 유사한 정책결정이 확산될수록 API 표준화를 위한 유리한 환경이 조성되며, 이러한 환경속에서 정부도 산업경쟁력 강화 차원에서 적극 참여하게 된다. API 표준화는 데이터 공유를 전제하고 있는 바, 공유되어야 할 데이터에 대해 누군가가 법적 권리를 갖고 있다면 API 표준화에 따른 정보공유 의무와 충돌될 수 있다. 현행법상 신용정보에 대한 법적 권리는 신용주체의 프라이버시 관련 권한이 유일하므로 정보 주체의 동의가 있다면 정보 공유에 대한 법적 장애물은 존재하지 않는다. 다만, 법적 안정성을 위해 명시적인 법적 근거를 마련하는 것이 필요한데 최근 신용정보법에 규정 된 정보의 직접 이동명령권이 정보이동을 위한 API 표준화의 근거가 될 수 있다. 아울러 결제 인프라를 공유하기 위한 API의 법적 근거를 위해서 는 전자금융거래법의 개정이 필요하다. API는 단순히 기술적인 도구적 측면의 역할도 하지만, 창작과 관련된 내용적 특성을 포함할 수도 있다. 후자와 관련하여, API 표준화 과정에서 기존 API를 활용하는 경우, 그리고 해당 API가 지식재산권을 갖는 경우, 지재권이 갖는 배타성과 표준이 갖는 비배타성이 충돌될 수 있다. 이 경우, API 표준화 과정에서 강제실시 또는 FRAND 요건 등과 같이 지재권적 배타성이 일정 정도 제약 될 수밖에 없을 것이다. In the current data-driven economy, industrial competitiveness depends on how to share and utilize various data from diverse sources. The effective technical solution could be provided through standardized APIs. Today, the banking sector is leading the standardized APIs, and some remarkable examples are PSD2 by EU, UK Open Banking initiative and Korea’s Open Banking, to name a few. In order to standardize APIs, there should be a legal basis and the pivotal role of standard-setting organization. At the same time, many stakeholders need to actively engage in the process of API standardization. As more promising start-ups providing data-enabled services come out in the market, more market demand is growing, and similar policy making spreads in the international fora, they will contribute to a favorable environment for standardized APIs. In this situation, the government would support this as an effort to strengthen industrial competitiveness. Standardized APIs postulate the data sharing. Therefore, if any has legal rights on the data which need to be shared, it may collide with the rights of data sharing. In the current legal framework, none has a legal claim for credit data except for data subject who has a right to privacy. Therefore, once data subject consents, there would be no legal barriers to data sharing. However, positive legal basis is necessary to provide the stability and predictability. In Korea, Credit Data Act recently introduced the right to request a direct transfer from one controller to another, which would be a legal basis of account data sharing. In order to provide legal basis for sharing the banking and payment infrastructure, Electronic Financing Transaction Act needs to be revised. API could either be a mere technical tool or comprise creative substance. In the last, if the existing APIs which are eligible to the IPR protection were used in the process of API standardization, it may be incompatible with the non-exclusiveness which a standard has. In this situation, the IPR related exclusive nature of APIs needs to be compromised to some extent, such as through compulsory licensing or FRAND commitment.

      • KCI등재

        은행의 API 공개를 촉진하기 위한 법제도의 모색:신용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 개정안을 중심으로

        문병순 은행법학회 2019 은행법연구 Vol.12 No.1

        최근 많은 은행들은 은행의 서비스와 데이터를 다른 기업이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오픈 뱅킹 전략을 추구하고 있다. 특히 자신의 서비스와 고객 데이터를 API를 구축하여, 다른 기업이 손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해 주는 은행들도 출현하고 있다. 그러나 일부 은행들은 API를 공개하면 경쟁이 격화되고 수익성이 악화될 것을 우려하여 API의 공개를 기피하기도 한다. 은행의 동의가 없더라도 스크린 스크래핑(screen-scraping) 기법을 이용하면 은행이 보유한 고객 정보를 수집할 수 있지만, 보안상의 문제 때문에 은행의 API를 대체하기는 힘들다. 은행의 자율에만 맡길 경우 은행의 API의 공개가 사회적으로 바람직한 수준에 이르지 못할 수 있는 것이다. API의 공개와 관련하여 유럽연합은 2015년 결제서비스지침2를 제정하여 재무와 보안 등 일정한 요건을 충족한 기업들은 은행의 API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일본 역시 은행법을 개정하여 은행의 API를 공개하는 규정을 도입하였다. 우리나라도 고객이 원할 경우 은행이 보유한 신용정보를 본인이 지정하는 기업에 전송하도록 하는 신용정보법 개정안이 2018년 국회에 제출되었다. 개정안은 은행의 API 공개가 촉진할 것으로 기대되지만, 금융위원회가 허가를 한 기업만 은행의 API를 이용할 수 있다는 점은 추가로 검토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 지주회사는 본인신용정보관리업자를 소유하는 것이 가능한지 불확실하다. 앞으로 이러한 사항들을 검토하여 신용정보법 개정안을 개선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Many banks pursue an open banking strategy to disclose their services and data so that outside companies can provide various services quickly. In addition, some banks permit outside companies to use their service and data through open API, which enable outside firms to make various services more easily. However, some banks might be reluctant to disclose API, because of the concern that an open API might dent profit of bank. Therefore, if left to market autonomy, API disclosure may not reach sufficient level. In response, Europe and Japan have recently introduced legislations that allow companies that meet legal requirements, such as capital and security requirement, to use banks' payment services and data through banks' APIs. Korea government also proposed a revise bill on the Credit Information Act, which requires banks to disclose open API. The passage of the revise bill would facilitate the disclose of APIs by banks, but there are also some issues to review. First, the scope of companies which can use the API of bank is limited. Second, it is unclear whether a holding company could own a subsidiary which use an API of bank. In order to promote the use of API, it will be necessary to improve the Credit Information Revision Bill.

      • KCI등재

        래스터 자료 서비스를 위한 오픈 API의 구현

        김형우,안재성,이양원 한국지도학회 2012 한국지도학회지 Vol.12 No.3

        오늘날의 웹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에서는 다양한 원격지로부터 접근하는 사용자를 위하여 대용량 시계열 자료를 효과적으로 관리 및 공유할 수 있는 방법론을 필요로 한다. 이 논문에서는 시계열 래스터 데이터베이스의 웹 서비스를 위하여 REST(Representation State Transfer) 방식의 오픈 API를 구현함으로써 웹 GIS 서비스의 상호운용성과 확장성을 향상시키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먼저 DBMS(database management system) 내에 시간객체 및 시간함수를 생성하여, 이미 존재하는 공간객체 및 공간함수와 결합시킴으로써 시계열 래스터 자료에 대한 시공간연산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또한 사용자와 서버 간의 요청/응답 구조를 경량화한 REST 방식의 데이터 통신을 채택하고, 그 인터페이스인 URI(unified resource identifier)를 통해 시공간 질의문 구성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이러한 오픈 API는 개발 클라이언트의 환경에 상관없이 동일한 방식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Java, C++.NET, C#.NET, VB.NET 등의 컴파일러 언어와 JavaScript, Python, Ruby, R 등의 스크립트 언어를 포함하여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를 사용하는 모든 프로그래밍 언어가 지원된다. 본 연구에서 구현한 오픈 API의 가용성 테스트를 위하여, 웹상에서 3D 디스플레이를 지원하는 구글어스 웹플러그인(Google Earth Web Plugin)과 WebGL(Web Graphics Library) 을 이용하여 시계열 래스터 자료에 대한 시공간 질의와 그 결과의 3차원 시각화를 수행하였다. Current web-based GI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requires a more effective way of managing and distributing large time-series dataset. This paper describes a method for improving the interoperability and extensibility of web GIS services by implementing an Open API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for timeseries raster database on the REST (Representation State Transfer) basis. We first implemented spatio-temporal operations for time-series raster dataset by creating temporal objects and temporal functions within a DBMS (database management system) which can be combined with the existing spatial objects and spatial functions of the DBMS. We employed the REST communication for a lighter request-response structure between client and server, and defined URI (unified resource identifier) interfaces for building spatio-temporal query statements. Our Open API can be consumed by any client in the identical ways irrespective of their development environments so that all computer languages supporting HTTP (Hypertext Transfer Protocol) are compatible with the Open API. For the feasibility tests of our Open API, we carried out spatio-temporal queries and the 3-D visualization of time-series raster dataset using Google Earth Web Plugin and WebGL (Web Graphics Library).

      • KCI등재

        위치정보 활용 측면을 고려한 공공데이터포털의 현황과 발전방안

        정재준 한국지도학회 2019 한국지도학회지 Vol.19 No.2

        Since the Korean open data portal service was launched in 2013, the level of data openness has expanded qualitatively and quantitatively, and numerous applications using open data portal have been developed. Since 70-80% of administrative data is location-related information, most of portal data also have spatial information. This study proposes spatial data improvement schemes of open data portal. To do this, at first, the 3 data types(file data, open API data, standard data) provided by open data portal was analyzed, and then status and problems of spatial data in portal were analyzed. Through status analysis, this paper suggests some improvements schemes. At first, a system for determining the data type, information level, and format of data should be established. Secondly, it is necessary to diversify data management institution and examine relevance of the data format. At last, in terms of the use of spatial information, the exact information of reference system should be provided and an integrated API for transforming the location reference system should be developed, and the handling process of irregular location reference system should be examined. 2013년 공공데이터포털 서비스가 시작되어 현재까지 공공데이터 개방의 수준이 양적으로나 질적으로 비약적으로 확대되었으며,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수많은 어플리케이션에 제작되어 활용되고 있다. 행정데이터의 70~80% 이상은 위치와 관련된 정보이기 때문에 공공데이터 역시 위치정보를 가지고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본 연구에서는 파일데이터, 오픈API, 표준데이터 형식으로제공되는 공공데이터포털의 자료를 전반적으로 분석하고, 이 중 특히 위치정보를 포함한 공공데이터포털 데이터의 문제점을 분석한후, 이를 바탕으로 공공데이터포털의 발전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현황분석을 통해, 공공데이터포털의 데이터 종류, 정보수준, 형식 등을 결정하는 체계가 확립되어야 하고, 데이터 관리주체의 다원화, 데이터에 적합한 제공형식 등에 대한 검토가 필요한점을 제시하였다. 또한 공간정보의 이용측면에서는 위치참조체계에 대한 명확한 정보제공, 위치참조체계를 변환을 위한 통합적인API 개발 및 특수한 위치참조체계에 대한 처리 방안의 모색 등이 강구되어야 함을 발전 방안으로 제시하였다.

      • KCI등재

        오픈뱅킹(Open Banking)의 현황과 정책방향에 관한 연구

        박정국,김인재 서비스사이언스학회 2020 서비스연구 Vol.10 No.1

        최근 금융산업의 글로벌 트렌드인 오픈뱅킹(Open Banking)이 향후 금융시장 내 다양한 혁신을 일으키는 원동력이 되고 금융업의 분화와 재결합을 촉발하기 위해서는 올바른 정책방향과 세부 과제의 추진이 중요하다. 본 연구는 오픈뱅킹의 등장배경, 국내외 동향 그리고 한국의 오픈뱅킹 정책을 조사·분석하고, 오픈뱅킹 제도의 성공적인 안착과 활성화를 위한 정책방향과 추진과제를 제언하고자 한다. 오픈뱅킹은 고객의 명시적 동의를 전제로 제3자(TPP: Third Party Provider)에게 은행 계좌 등에 대한 접근을 허용하고 지급결제(Payment) 기능을 개방하는 정책이다. 오픈뱅킹 시대 개막은 은행과 핀테크 기업 간의 경쟁과 협력이 본격적으로 시작되는 계기가 되어 금융산업의 경쟁력을 높이고 금융소비자의 효용 증대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를 위해 정책당국은 개방형 금융결제 인프라 의 고도화, 오픈뱅킹 법적 근거 마련과 함께 고객 데이터 유출, 금융시스템 안정성 저하 등의 부작용을 최소화하는데 만전을 기해야 한다. 은행과 핀테크 기업은 흩어져 있는 고객 금융정보를 하나의 플랫폼으로 단순 집중하여 상품 또는 서비스를 추천하는 금융서비스의 표면적 결합을 넘어 진정한 금융서비스의 융합과 차별로 발전시켜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