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오천석(吳天錫) 연보의 재구성: 미국 유학 후 조선 생활을 중심으로

        김광규 역사학연구소 2024 역사연구 Vol.- No.49

        본 논문은 교육가이자 교육학자로 유명한 오천석의 생애에서, 오천석이 미국유학에서 돌아온 후부터 8·15 해방 이전까지의 시기에 그가 무엇을 했는지, 그가 자서전에서 간략하게만 언급했거나 전혀 말하지 않은 부분을 밝힌 것이다. 오천석은 1932년 1월 귀국하여 동년 4월부터 보성전문학교 교수로 재직하다 1935년 9월 사직했다. 보성전문학교에 전공인 교육학 과목이 개설되지 않았기 때문에 교육과 연구에 대한 아쉬움, 미국 박사를 우대하지 않는 학교 분위기와 운영에 대한 불만 등으로 오천석의 보성전문학교 교수 생활은 그리 만족스럽지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보성전문학교를 사직한 뒤 오천석은 회사 임원으로 살아갔다. 처음에는 평양의 대표적인 유지로서 사업가이자 개신교 장로인 김동원이 설립한 태안양행에서 중역으로 일했다. 이후 다시 서울로 이주하여 평안도 출신 실업가 박흥식의 화신무역에서 영업과장으로 재직했다. 화신무역에 재직 중이던 1940년 12월-1941년 4월, 화신무역의 동남아 ‘진출’을 위해 남양 출장을 다녀왔으며, 『조광』 1941년 2-7월호에 「남양행」이라는 제목으로 기행문을 기고했다. 그로부터 약 1년 뒤인 1942년 봄, 가족과 함께 상하이로 이주했다. 상하이에서도 임승업의 경화산업과 기타 조선인, 중국인이 경영하는 회사에서 일했다. This paper reveals what Oh Chun-seok, famous as an educator and educational administrator, did until the Liberation of Korea on August 15, 1945 after returning from studying in the United States. Oh Cheon-seok returned to Joseon in January 1932, served as a professor at Boseong College from April 1932, and resigned in September 1935. He didn’t have the opportunity to teach his major, pedagogy, at Boseong Colege, and he was dissatisfied with the school’s management style and atmosphere, so it appears that he was not ssatisfied with his life as a professor at Boseong Colege. After resigning from Boseong College, Oh Chun-seok served as a company executive. The companies he worked for were trading companies suspected of cooperating in the Japanese Aggressive War, including Park Heung-sik’s trading company ‘Hwashin Trade’ and Lim Seung-eop’s company ‘Kyunghwa industry’. Oh Chun-seok never mentioned the fact that he had worked at these kinds of companies. In the spring of 1942, Oh Chun-seok left for Shanghai with his family. As a result, he was able to avoid engaging in wartime cooperation. Oh Chun-seok was able to endure the wartime period without engaging in pro-Japanese behavior, whether actively or passively, by utilizing the network derived from his background, religion, education, and connections. So he could have moral confidence in working as an educator in Korea after 1945. Therefore, Oh Chun-seok would have wanted to erase or conceal the fact that he worked at a company suspected of being pro-Japanese.

      • KCI등재

        일제하 미국 유학생으로서의 오천석: 유학생회 활동과 박사학위 논문을 중심으로

        이윤미 ( Lee Yoonmi ) 한국교육사학회 2017 한국교육사학 Vol.39 No.3

        이 논문은 해방후 미군정시기의 대표적 교육주도인물이자 이후 남한 교육계 및 교육학계에 큰 영향을 미친 오천석(1901-1987)의 교육사상을 미국유학시기를 중심으로 분석한다. 오천석이 교육계에서 주도적 활동을 시작한 것이 미군정기 이후였기 때문에 그의 교육관에 대한 분석은 해방이후를 중심으로 이루어져왔다. 특히 그의 주요 저서들은 일부를 제외하고 대부분 1960-70년대에 집중적으로 출간되었기 때문에 그의 교육사상의 형성기라고 할 수 있는 해방이전 시기에 대한 연구는 매우 제한적이다. 이 연구에서는 오천석의 박사학위논문이 최근 재영인·재인쇄됨에 따라 이를 기초로 그의 교육사상의 주요 형성기인 1921-31년까지의 활동을 분석한다. 그간 자료적 제한으로 인해 충분히 밝혀지지 못했던 오천석의 초기 사상을 확인하고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그가 20대와 30대초라는 청년기를 보냈던 미국 유학생사회의 공유된 의식과의 관련 속에서 규명한다. 이 연구는 오천석의 사상을 보다 복합적이고 종합적으로 이해하고자 할 뿐 아니라 식민지시기라는 조건속에서 미국유학이 지니는 의미가 무엇이고, 이러한 미국유학세력이 해방후 파워엘리트로 부각되는 맥락을 재조명하는 데에도 의미있는 시사점을 줄 수 있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work of Auh Chun Suk (or Paul C. Auh, 1901-1987), a protagonist for educational reform during the reign of the United States Military Government in Korea, who grew up with a strong Christian background and received his higher education in the United States from 1921 to 1931. I examine the formative years of Auh by paying particular attention to the community of Korean students in the United States during the colonial period and his doctoral dissertation at Teachers College, Columbia University in 1931. Regarding the formation of his thoughts and ideas, Auh`s stay in the United States as an international student should not be dismissed. The period between 1921 and 1931 was crucial, as he completed both his undergraduate and graduate studies during this ten-year period, when the political atmosphere in Korea was most liberal after the nation-wide March 1st independence movement of 1919. The liberalism of the 1920s provided momentum for many intellectuals, including Auh and other Korean students, to boost their underlying motivations for serving their nation. The Korean students organized themselves into associations and were often involved in political activism with those who were in the United States in exile or as immigrants. Auh was not only an active member of the Federation but was responsible for the publication of the organizations` newsletters, both in Korean and in English, as an editor. The students actively shared their ideas and political views through the publications. His dissertation, where Auh assertively presented himself as an opponent of Japanese educational policies on the assimilation of Koreans, defining the time as an age of “nationalism and democracy” and criticized the policies employed by the Japanese as anachronic, was also a product of this shared communal consciousness of the Korean students in the United States.

      • KCI등재

        번역가 오천석과 세계문학 앤솔러지 - 『세계문학걸작집』(1925)을 중심으로

        김미연 한국문학연구학회 2023 현대문학의 연구 Vol.- No.79

        This article is a work to reveal the aspect of Oh Cheon-seok as a literary writer, and discussing the subject, path, aspect, method, and context of translation with The Master Works of the World Famous Writers(『世界文學傑作集』) published in 1925. Oh Cheon-seok, who is now well known as an educator, served as the head of GaeCheok(『開拓』) and HakSaengGye(『學生界』) in the early 1920s, and was active in the literary world. In particular, his career as a translator is noteworthy. He showed a spectrum that encompassed poetry, novels, plays, and fairy tales, and translated many texts. Among them, works by Walt Whitman and Fukuda Masao(福田正夫) were selected from the trend of Japanese Taisho democracy. He also translated “Rainbow Country” by Esperantist Eroshenko into Korean for the first time. The Master Works of the World Famous Writers has expanded its region and period by including diachronically from Homer in ancient Greece to Tagore, a contemporary writer. This is judged to be an example of an expanded boundary of world literature. While considering the volume of literary text, Oh Cheon-seok made considerable efforts to introduce writers and works. Looking at the path of translation, at least eight types of Japanese books were used, showing unprecedented diversity. Among Japanese books, the digest version of Matsuura Masayasu(松浦政泰) was used as a model, and the complete series of world literature published in the Taisho period in Japan were actively utilized. The foregoing content is the point where the planning and writing of CheongChun(『靑春』) in the 1910s overlap, and is the basis for assuming the historicity of the double translation. In the following content, it was revealed that Shimamura Hogetsu(島村抱月)’s commentary was extensively referenced. When translating Tagore’s “Post Office”, he used the English-Japanese translation as the basis. Through this, it was found out that Japanese books functioned as translation scripts and were used as materials for writing by editors. Most of the translations included in the book were drastically reduced from the original. Considering the volume of the original literary works, the translator had no intention of translating in detail from beginning to end. Therefore, this thesis discussed the reasons why the translation work was selected, focusing on the subject consciousness. In the contents of the works included, ‘death and freedom’ stood out. The way to regain the justice and essence of life and pursue a true life was embodied as freedom and liberation after death. As a result, this study discussed in detail the background and overall context of The Master Works of the World Famous Writers. This has a pioneering meaning in that it is the first anthology published by an individual as a book. Oh Cheon-seok, a literary, translator, and editor, should be more spotlighted in the history of translation literature. 이 논문은 오천석의 문학가적 면모를 밝히기 위한 작업으로, 1925년 출간된 『세계문학걸작집』을 연구 대상으로 삼고 번역 문제를 논의하였다. 현재 교육가로 잘 알려진 오천석은 1920년대 초 『개척』과 『학생계』의 주간을 역임하였고 문학계에서 왕성하게 활동하였다. 특히 번역가로서 이력은 주목할 만하다. 오천석은 시, 소설, 희곡, 동화를 아우르는 스펙트럼을 보여주며 다수의 텍스트를 번역하였다. 그 가운데 일본의 다이쇼 데모크라시의 조류에서 휘트먼과 후쿠다 마사오(福田正夫)의 작품을 선정하였고 에스페란티스토인 예로센코의 <무지개 나라로>를 조선어로 처음 선보였다. 세계문학걸작집 은 고대 그리스의 호메로스부터 동시대 작가인 타고르까지 통시적으로 수록하며 지역과 시기를 넓혔다. 이는 세계문학의 경계가 확장된 사례로 판단된다. 오천석은 문학 텍스트의 볼륨을 고려하면서도 작가와 작품을 소개하는 데에 상당한 공력을 들였다. 번역의 경로를 살피면 일본어 서적을 최소 8종 이상 사용하며 전례 없는 저본의 다양성을 보였다. 저본의 세부는 마쓰우라 마사야스(松浦政泰)의 다이제스트 판을 모델로 삼고 일본의 다이쇼 시기에 출판된 전집류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였다. 전자는 1910년대 『청춘』의 기획과 저본이 겹치는 지점으로서 중역(重譯)의 역사성을 상정할 수 있는 근거가 된다. 후자는 시마무라 호게쓰(島村抱月)의 해설이 광범위하게 참조되었다. 타고르의 <우편국>을 번역할 때는 영일대역서를 저본으로 삼기도 했다. 이를 통해 일본어 서적이 저본으로 기능하는 동시에 편집자가 집필을 위한 자료로 사용된 것을 규명하였다. 번역 방식은 대체로 원작을 대폭 줄인 축역, 경개역, 발췌역, 초역이었다. 원작의 볼륨을 잘 알고 있던 것으로 보아 완역하려는 의도는 처음부터 없던 것으로 분석했다. 작품의 메시지를 전하는 데 초점을 둔 번역이기 때문에 텍스트가 선정된 이유에 대해 주제 의식을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내용 면에서 ‘죽음과 자유’가 두드러졌다. 삶의 정의와 본질을 되찾고 진실된 삶을 추구하는 방식이 죽음 이후의 자유와 해방으로 형상화되었다. 결과적으로 이 연구는 『세계문학걸작집』이 만들어진 경위와 종합적인 맥락을 구체적으로 논의하였다. 개인이 단행본으로 출간한 최초의 앤솔러지라는 점에서 기념비적인 성과이며 선구적인 의미를 지닌다. 문학가, 번역가, 편집자인 오천석은 번역문학사에서 더욱 조명되어야 한다.

      • KCI등재

        오천석과 난바라 시게루의 민주교육론 비교

        오성철 ( Oh Seong Cheol ) 서울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17 한국초등교육 Vol.28 No.1

        이 논문은 1945년 8월 15일 이후 한국과 일본의 교육개혁을 주도한 두 인물 오천석과 난바라 시게루의 민주교육론을 비교 분석한 것이다. 두 인물은 민주주의 이념에 근거하여 해방 이후 한국과 전후 일본의 교육개혁에 주도적인 역할을 담당하였다. 그 두 인물이 남긴 저작을 분석 대상으로 하여 그들의 교육개혁 활동에 이념적 기반으로 작용한 민주주의 및 민주교육에 대한 인식에 있어서 공통점과 차이점을 비교하고 그것이 두 인물의 개혁 활동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를 밝히는 것을 주된 내용으로 한다. 먼저 공통점을 보면 다음과 같다. 그들은 자유민주주의 이념에 입각하여 국가나 민족에 대한 개인의 우위에 입각한 민주주의 이해를 공통된 전제로 하고 있었다. 따라서 그들의 민주주의 이해는 전체주의 및 배타적 민족주의에 대한 비판과 부정을 개념적 요소로 하고 있었다. 이에 기반하여 1945년 이전까지의 전체주의적, 중앙집권적 교육체제에 대한 비판, 교육행정의 민주적 개혁과 인간의 개성을 존중하는 교육이념 및 방법의 실현을 추구한 점에서 공통적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동시에 그들의 민주교육론에서 중요한 차이점도 확인될 수 있다. 오천석은 민주교육을 존 듀이의 진보주의 교육사상에 근거하여 교육방법론의 차원에서 구체화하려 시도하였다. 반면에 난바라 시게루는 민주교육의 핵심적 내용을 교양을 통한 비판적 정신의 함양에 두고 있었다. 따라서 오천석의 민주교육론은 주로 초중등교육 단계에서 현실화되어가는 반면, 난바라 시게루의 그것은 후기중등 및 고등교육 단계에서 현실화되어간다고 하는 차이점을 보이고 있다. 동시에 1945년 이후 교육개혁 과정에서 교원조직이 지니는 의의와 역할에 대한 인식에도 두 인물 사이에 흥미로운 차이가 보인다. 이상과 같은 사상내적 요인 외에도 그들의 교육개혁 활동은 근대 이후 두 사회의 역사적 경험 및 1945년 이후의 정치적 요인, 그리고 두 인물을 둘러싼 인적 네트워크 등 사상외적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었다. In this article, the conceptions of democratic education of two major figures who have led the transformation of post-war educational systems in Korea and Japan after 1945 are analysed in terms of comparative historical approach. Auh Chun Suk(吳天錫) and Nambara Shigeru(南原繁) pursued the democratic ideals in the transformative process of national educational system in common. They believed that liberal democracy should be the dominant ideology of national transformation of their society, and the ideal of freedom and individuality of mankind can be developed by education. They also pursued the democratization and de-centralization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system. Yet, some different points in their conceptions of democratic education could be found. Firstly, Auh stressed the importance of `experiences or interests` in curriculum in order to promote the individualities of learners, while Nambara stressed the importance of so-called `Bildung` in the curriculum in order to develop the critical consciousness of learners. As a result, the ideals of democratic education of Auh were developed and realized mainly in the realms of pedagogy or curriculum transformation in primary or secondary education, whereas the ideals of Nambara were developed and realized mainly in the realms of system or institution transformations of post-secondary or higher education. Secondly, Auh had relatively cautious attitudes toward the teacher`s union, whereas Nambara were positively supportive to it.

      • KCI등재

        국가발전에 관한 오천석과 정범모의 교육발전 논의 비교

        유성상(劉聖相),유은지(柳垠誌),박인영(朴仁英)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16 아시아교육연구 Vol.17 No.2

        본 연구의 목적은 국가발전에 있어 교육의 역할과 기능은 어떠해야 하는지에 관한 오천석과 정범모의 학문적 논의를 비교, 검토함으로써 해방 이후부터 1990년대까지 한국의 교육발전론이 지닌 특징을 살펴보고, 이를 비판적으로 성찰하는 데에 있다. 교육발전론은 교육을 발전과 국가발전이라는 개념과 관련지어 교육의 특성을 밝히고자 하는 연구주제의 하나로서, 본 연구에서는 두 교육연구자의 교육발전 논의를 비교하기 위하여 교육의 개념, 교육의 목적/목표, 국가발전에 대한 관점, 그리고 경제성장을 위한 교육의 기능을 본 연구의 논의틀로 제시하였다. 이 두 교육연구자의 교육발전에 관한 논의를 비교, 분석한 결과, 비록 오천석과 정범모는 다른 시기에 활동하였고, 다른 국가적 과제를 떠안았음에도 불구하고 오천석부터 시작하여 정범모로 이어지는 근대 한국 교육의 발전은 국가의 발전을 위한 주요 수단으로 기능한 것으로 밝혀졌다. 지금까지 우리 사회가 나아가야 할 방향과 구체적 방안을 모색하는 과정에서 교육의 자율성을 발휘하지 못했던 경험을 살펴보고 성찰하는 것은 적어도 미래교육의 상과 미래사회를 위한 교육연구의 과제를 구체화하기 위한 좋은 토대가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plore and compare the academic discourses of Oh Cheon-Seok and Chung Beom-Mo regarding the role of education in national development. In addition, the characteristic of Korean education development theories from 1945 to 2000 will be examined and critically reviewed. Education development theory is a theory which reveals the feature of education in relation to development and national development. In this research, it is suggested as a research framework that the two educationists’ definition and purpose of education, perspectives of national development and the role of education for economic growth. The results of the study from the comparison and analysis of their arguments about education development suggest that although Oh Cheon-Seok and Chung Beom-Mo worked at different periods and carried out different national tasks, the educational development of modern Korea was considered as a significant method for national development. This research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design education and educational tasks for future societies by reflecting the experience where education was highly dependent on development tasks.

      • KCI우수등재
      • KCI등재

        미국 유학 이전 천원 오천석의 수학과 사회활동 - 잡지 『개척』, 『학생계』 등의 활동을 중심으로 -

        강명숙 ( Kang Myoungsook ) 한국교육사학회 2017 한국교육사학 Vol.39 No.3

        이 연구에서는 천원 오천석의 생애 초기 즉 미국 유학 이전의 수학과 활동, 사상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함남에서 사광학교, 의창학교를 다녔고, 서울에서 경신과 배재에서 수학하였으며, 동경에서 청산학원 중학부를 다녔다. 지속적으로 기독교 선교계통의 각종학교를 다녔으나, 체계적으로 제도화된 학력 인정의 정규 학교교육 경험은 없었다. 3.1운동 이후 귀국하여 인천에서 영화여학교 교사를 역임하고 잡지 『개척』을 발간하였다. 1920년 초부터 서울에서 잡지 『학생계』 주간으로 있으면서 시와 소설, 논고를 직접 집필하여 발표하거나 번역하는 등의 문예활동을 하였다. 이 시기 오천석은 잡지라는 사회교육 매체를 통해 조선에 신문명을 개척하려는 소명으로 근대 지식을 소개하고 문예활동을 장려하였다. 그가 인식한 조선 사회 현실은 문명화로 나아가야 하는 부정적인 상태의 모습이지만, 식민지 지배의 탓으로 보는 시선은 강하지 않았다. 그 결과 개인적 정신적 수양을 강조하면서 진화론적 문명관에 입각하여 조선사회의 계몽을 주장하였다. 하지만 종교와는 거리를 두었다. 선교사의 조선 여성교육을 신랄하게 비판하였으나 미국유학 이전 민주주의적, 반공주의적 사상 경향은 드러나지 않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arly life and social activities of Chunwon, Oh Chunseok before he started to study in the U.S. He attended Sakwang school and Uichang school in Hamnam and then studied at Gyeongsin and Paichai school in Seoul. He later went to Tokyo to attend the Middle department of Aoyama academy. Although he was a student of these several Christian missionary schools, he was not a student of any institutionalized regular school in basic school system. After the 3.1 Movement in Korea, he returned to Incheon and worked as a teacher of Younghwa primary school. There he published the local magazine GaeCheok, which resulted in an opportunity for him to work as an editor of the magazine HakSaengGye in Seoul. As a chief editor, he did various activities including writing and translating poetry, novels, and essays. In his Seoul period, Oh Chunseok attempted to serve the mission to open a new civilization in Korea, especially through the magazine HakSaengGye. He introduced modern knowledge and promoted literary activities in it, believing it as a medium of social education. However, he was not sensitive to the reality of colonial rule and overemphasized personal and mental discipline. He insisted that the reformation of society had to be achieved by individual efforts, not by social movement. In addition, his understanding of enlightenment is based on evolutionism, according to which the definition of civilization is to become Westernized and capitalized. The last notable point is that Oh Chunseok tried to keep away from religion and criticized the missionary education of Korean women. Also, at those times, he didn`t appear to have any particular support or opposition to democracy, the subject on which he developed his faith when he studied in U.S.

      • KCI등재

        미군정과 대한민국의 건국시 기독교인들의 교육에 끼친 영향과 공헌

        이은선 한국복음주의신학회 2012 성경과신학 Vol.64 No.-

        미군정기와 대한민국 건국기에 걸쳐 기독교인들은 한국교육의 기틀을 다지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미군정은 한국에 들어와서 자유민주주의 국가를 수립하고 소련의 팽창을 저지하기 위하여 반공정책을 펼쳤고 이러한 목적에 부합하는 교육을 시행하고자 하였다. 그렇지만 미군정은 그러한 교육을 시행할 구체적인 준비를 갖추지 못한 상태로 군정을 시작하였다. 군정의 학무국 책임자로 임명된 락카드 대위는 오천석을 중심으로 한 교육주도세력들과 협력을 통하여 한국교육의 문제를 해결해 나가고자 하였다. 오천석을 통해 만나게 된 한국의 교육계지도자들을 중심으로 자문기구인 한국교육위원회와 조선교육심의회를 조직하게 되었다. 이들은 자문기구였지만 실질적으로 거의 준 집행기구의 기능을 담당하였다. 이들의 도움을 받으면서 군정의 학무국 조직도 갖추어져 갔고, 학무국은 양 자문기구의 도움을 맞으면서 한국교육의 당면문제와 중장기적인 과제를 해결해 나갔다. 한국교육위원회의 도움으로 초중등학교의 교장 인선과 개교와 교사들의 재교육과 충원제도마련 등을 해결하였다. 이러한 시급한 교육과제를 해결한 후에 조선교육심의회를 구성하여 홍익인간을 교육의 기념이념으로 정하고, 6-3-3-4의 민주적인 학제를 마련하였으며, 내무행정에서 교육행정을 분리하여 지방교육자치제의 기틀을 마련하였고, 의무교육제 시행을 결정하였다. 이러한 학무국의 중요 직책 12명 가운데 8명이 기독교인이었고, 한국교육위원회 10명 가운데 6명, 조선교육심의회의 61명 가운데 절반 정도인 31명이 기독교인이었다. 기독교인들은 대부분 미국 유학의 경험을 가지고 있는 유능한 인재들로 미국의 학제를 참고하면서도 우리나라의 실정에 맞은 교육제도를 만들었다. 이러한 교육제도 정비에 가장 중심적인 역할을 한 인물이 오천석인데, 그는 민주주의 교육을 정착시키고자 존 듀이의 아동중심교육과 생활중심교육의 새교육을 도입하였다. 이와 함께 한국의 수준높은 국립대학을 설립하면서도 동시에 좌파적인 성향의 교수들을 제거하여 민주적인 대학을 설립하고자 국대안 계획을 실천하였다. 그의 노력을 통하여 한국의 민주적인 교육제도의 기틀이 마련되었다. 이러한 민주적인 교육제도가 형성되는 과정에서 기독교인들은 중고등학교와 대학교의 기독교학교들을 복교시키거나 발전시켜 나가면서 신생국가건설에 필요한 인재들을 육성하였다. In the US army military government in Korea and Foundation of Republic of Korea, Christians made an important role at the foundation of Korean education system. USAMGK landed in Korea and implemented the anticommunistic policy to found the liberal democratic government and block the expansion of Soviet. And it wanted to do the education of such purpose. Lacard, the director of the education and management bureau willed to solve the korean educational problem with the cooperation of the educational leading group such as Oh Chun Seok. He organized the Korean Committee on Education and the Korean Committee on Educational Planning with the help of Oh Chun Seok. The education and management bureau solved the question at issue and the moyen long terme of education with the help of both Committees. The Korean Committee on the Educational Planning decided the ideal of education as the humanitarian ideal and the democratic school system of 8-3-3-4 years and the country educational system of self government and the duty education system of elementary school. The 8 members of 12 importand officers in the education and management bureau and the six of ten in the Korean Committee on the Education and 31 of 62 in the Korean Committee on the Educational Planning were Christians. They were the able men and women with the experience of a study abroad. They organized the korean education system proper to the korean situation consulting the US school system. Oh Chun Seok the important staff of the organization of this educational system introduced the child-centered education and life-centered education of Joh Dewey. He called it a new education. In the course of organization of the democratic educational system Christians restarted and developed the middle christian schools and the christian universities. They brought up the able man necessary for the building of the state.

      • KCI등재

        조이스 킬머의 「나무」와 한국 현대시

        김욱동(Wook Dong Kim) 서강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2 서강인문논총 Vol.0 No.34

        20세기 초엽에 활약한 미국 시인 조이스 킬머(1886~1918)의 작품 「나무」(1913)가 한국 현대시에 끼친 영향은 무척 크다. 1925년 9월 ‘바울(오천석)’은 북미조선유학생회에서 발행하는 기관지 《우라키》 창간호에 「나무」를 처음 한글로 번역하여 실었다. 그 뒤 정지용은 1934년 3월 《가톨릭 청년》 제10호에 「나무」를 발표하였다. 시 형식에서 2행 연구를 사용하고 의인법을 구사하며 비슷한 시적 이미지를 사용한다는 점에서 정지용의 작품은 킬머의 작품에서 적잖이 영향을 받았다. 한편 「나무」라는 동일한 제목의 작품을 창작하면서 박두진은 킬머의 작품뿐만 아니라 정지용의 작품에서도 영향을 받았다. 김현승 또한 「나무」를 창작하면서 킬머의 「나무」에서 직접 또는 간접으로 영향을 받았다. 이처럼 한국 현대시가 발전하는 데 킬머의 「나무」를 비롯한 외국 번역시가 끼친 영향은 지금까지 몇몇 학자들이 지적해 온 것보다 훨씬 더 광범위하게 이루어졌다. 오천석의 「나무」 번역은 일본어 중역이 아닌 원천 언어에서 직접 번역하였다는 점에서도 한국 번역사에서 자못 중요하다. Comparative in its approach, this article looks closely at how the Korean translation by “Paul” (most presumably, Paul Auh) of Joyce Kilmer’s “Trees” (1913) have influenced Chi-yong Chong, Tu-jin Park, and Hyunseung Kim when they wrote their poems about trees. In his substantial use of couplets, such figures of speech as apostrophe, and symbolic imagery in his own “Trees” (1934), Chong owes much indebtedness to Kilmer’s “Trees.” Influenced by Chong, Tu Jin Park must also have Kilmer’s “Trees” in mind when he wrote his own “Trees” (1974). The same thing can be said of Hyung-seung Kim, whose poem “Trees” (1963) was influenced in one way or another by Kilmer’s poem with the same title. In sum, the influences of some western poems translated into Korean in the period of the Japanese imperial colonial control, such as Kilmer’s “Trees,” were more far-reaching and significant than have been previously recognized by some scholar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