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예수회 서한집『교훈적이고 호기심 어린 편지』(1702-1776)와 조선

        김은영(Kim, Eun-Young) 서강대학교 신학연구소 2010 신학과 철학 Vol.- No.17

        본고는 18세기 예수회 선교사 서한의 유통 및 영향을 관찰한 후 ‘예수회 방식의 글쓰기’가 19세기에 어떻게 계승되었는지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가능하면 조선 관련 글쓰기를 활용할 것이다. 이 연구를 통해 조선과 관련된 예수회의 글쓰기 및 예수회 방식의 글쓰기가 프랑스에서 얼마나 지속적으로 영향을 끼쳤는지, 그 의미는 무엇인지 탐구할 수 있을 것이다. 18세기 프랑스에서 출판된 예수회 선교사들의 서한집『교훈적이고 호기심 어린 편지』(1702-1776)는 동아시아에 대한 실증적 지식을 프랑스인 및 유럽인에게 지속적이며 대량으로 공급한 최초의 글쓰기였다. 게다가 예수회원의 저작은 19세기 중반까지 유럽인이 손에 넣을 수 있는 조선과 관련된 매우 드문 자료 중 하나였다. 그러나 19세기에 이르면 ‘교훈적이고 호기심 어린’ 외부 세계의 소식을 전해주는 역할이 더 이상 예수회에 의해 주도되지 않았다. 그런데 흥미롭게도, 19세기에 가장 영향력 있는 선교 후원 출판물로 꼽히는 정기간행물『전교회보』(1825-1933)는『교훈적이고 호기심 어린 편지』의 유일하고 진정한 19세기 계승자를 자처하면서 창간되었다.『전교회보』는 19세기 중반까지 재조선 프랑스 선교사들의 편지를 독점적으로 연재한 유일한 서양 정기간행물로서, 이 매체를 통해 출판된 프랑스 선교사들의 서한은 독자를 감화시키면서 독자의 호기심을 충족시키려는 예수회의 교훈적이고 호기심 어린 편지를 계승한다. 물론 재조선 선교사들의 서한도 예외는 아니다. 이렇듯 근대시대에는 중국 및 일본에서 활동한 예수회 선교사들의 서한 덕분에 프랑스 교양인들에게 소개된 조선은, 19세기에는 예수회 방식의 글쓰기를 지향한 『전교회보』를 통해 프랑스 대중에게도 알려졌다. 요컨대 조선은 예수회원의 글 및 예수회 방식의 글을 통해 ‘교훈을 주고 호기심을 자극하는’ 전형적인 이국적 선교지 중 하나로 인식되었다. This study is aimed at revealing two goals: 1) to look at the circulation of letters written by Jesuit missionaries in modern Europe, and 2) to analyze the continuation of a certain Jesuit style writing tradition in the nineteenth century. In order to do this, the paper will be particularly focused on writings regarding Korea. This work will ultimately contribute to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role of Jesuit writing and Jesuit style writing in the ‘discovery’ of Korea by the Europeans and its significance. In modern Europe, Jesuit missionaries were among the most representative travellers due largely to the French collection of their letters, Lettres éifiantes et curieuses: the first writings that provided Europeans ‘real’ knowledge on East Asia in a continuous and regular way. The Jesuit missionaries who lived outside of Europe and used to send letters home invited contemporary European intellectuals to discover the new worlds such as China. However, the letters of the Jesuits served as reference books for travel story collections or geographical works over the centuries. In the case of Korea, of no doubt, no Jesuit missionary was sent to this ‘closed’ kingdom during the period in question; yet some texts written by Jesuit missionaries in China and Japan concerning Korea were published and distributed in Europe by channels other than an official collection. These printed pages were part of the very few documents related to Korea that the Europeans were able to acquire until the second half of the nineteenth century. In the nineteenth century where Catholic mission extra muros enjoyed fervent and popular support, the Jesuits were no longer the most influent people who provided Europeans with ‘edifying and curious’ news about the worlds outside of Europe. Moreover, the nineteenth century communicated more than modern times or was much more public than modern times. However, despite this changes, the missionary publications flourished in the nineteenth century in Europe and in the Christian world in the wake of the Edifying and Curious Letters. One publication in particular, the Annals of the Propagation of the Faith(1825-1933), a French world-wide leader of missionary periodicals, aimed at being the only authentic continuation of the Edifying Letters of the Jesuits. This observation is crucial in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missionaries’ letters distributed in large numbers during the nineteenth century: the Jesuit style travel account. Through the Annals of the Propagation of the Faith, which continued to be popular, French missionaries’ letters from the Korean Mission taught Europeans about Korea. Many of these letters corresponded perfectly with travel accounts that were both ‘edifying and curious’ by Jesuit missionaries. The missionary letter must, as we know, promote and develop missionary work as well as console and edify the reader. The Edifying and Curious Letters of the Jesuits inaugurated a new era of missionary writings by offering not only consolation and edification, but also satisfy a growing curiosity about the exotic and new worlds, so that the Europeans might find the figure of ideal and typical traveller in the Jesuit text. In the nineteenth century, the Annals of the Propagation of the Faith took over. Prior to the opening of Korea, the French were among the main European authors to write about this ‘hermit’ kingdom and they were mostly Catholic missionaries. In modern times, the Jesuit missionaries working in Korea’s neighbouring countries spread knowledge about Korea throughout Europe by describing it indirectly. In the nineteenth century, the writings relating to Korea began to appear regularly and frequently by the Annals of the Propagation of the Faith, the purported successor to Edifying Letters. In sum, through these missionary writings, the Europeans discovered Korea, a land of edification and curiosity.

      • KCI등재

        오해와 진실 사이 - 18세기 초 북경 예수회 내성(內城) 부동산 계약을 둘러싼 교황 특사 투르농(Charles-Thomas Maillard de Tournon)과 예수회의 충돌 -

        강원묵 국립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4 인문사회과학연구 Vol.25 No.1

        이 글은 1705년에 예수회가 체결한 북경 내성(內城) 가옥 계약과 이듬해 이 계약을 둘러싸고 발생한 예수회 측과 교황 특사 샤를 토마 마이야르 드 투르농(Charles-Thomas Maillard de Tournon, 多羅, 鐸羅, 1668-1710) 측 간의 논쟁을 고찰한다. 가옥의 ‘매도자’는 양광총독(兩廣總督)의 아들로 북경 내성 남서쪽에 거주하고 있던 양홍기(鑲紅旗) 기인(旗人)이고 ‘매수자’는 북경에서 강희제(康熙帝)를 위해 복무하며 전교(傳敎) 사업에 힘쓰던 남당(南堂) 예수회 선교사들이었다. 당시 의례(儀禮) 논쟁 재조사를 위해 북경에 거류하고 있던 교황 특사 투르농은 이 계약을 두고 매매를 가장한 채무 계약이라고 비난했고 예수회 측은 투르농의 그 같은 이해가 전(典)이라는 중국 사회 관행에 대한 무지의 소치라며 응수했다. 그러나 예수회 측이 ‘중국 사회에서는 너무나 분명하게 매매 거래로 간주’된다고 그토록 강조한 전(典) 관행에는 사실 채무 거래와 쉽게 구분할 수 없는 모호성이 존재했다. 당시 로마에 만연했던 매매 계약을 가장한 다양한 채무 계약과 그것들을 막기 위한 비오 5세의 칙서(bull)는 북경 예수회에게도 그리 생소한 정보가 아니었을 것이다. 예수회가 ‘중국 특유의’ 것이라고 강조했지만 외형상 로마의 부도덕한 관행과 너무나도 유사한 북경 예수회 측 계약 건들에 대해 투르농이 우려를 표하고 조사에 착수한 것을 단순히 상대 문화에 대한 무지의 소산으로만 치부할 수 있을까? 예수회 측이 ‘반대자들에게 공격의 빌미’를 줄 수 있다는 이유로 끝내 건네주지 않은 계약서들로 인해 우리는 당시 예수회 측 계약의 구체적 실상을 현재로서는 더 밝혀내기 어렵다. 하지만 북경기사 가 묘사하는 투르농 상(像) 즉 ‘중국 문화에 대한 무지한 독불장군 이방인’ 이미지는 재고될 필요가 있다. 우리가 종종 너무 쉽게 상정해버리는 예수회의 ‘중국 문화 존중’, 투르농, 더 나아가 ‘반(反) 예수회’ 측의 ‘유럽 중심적 사고’라는 이분법적 이해방식 사이에는 좀 더 세밀히 따져봐야 할 지점들이 있다. 중국 문화의 특수성을 강조하는 예수회의 논리 한 꺼풀 뒤에 ‘동양’과 ‘서양’을 넘어선 보편성이 여전히 존재하는 것은 아닌지 좀 더 엄밀히 따져볼 필요가 있는 것이다 This article examines a contract for a house in the Inner City of Beijing signed by the Jesuits in 1705 and the subsequent controversy between the Jesuits and the papal envoy Charles-Thomas Maillard de Tournon (1668–1710). The seller of the house was the son of the Governor-General of Guangdong-Guangxi Provinces, a Bordered Red bannerman, who lived in the southwest of the Inner City of Beijing, and the buyers were the Jesuit missionaries of the South Church (nantang), or College of St. Joseph, who were in the service of the Kangxi emperor in Peking. Tournon, who was in Peking at the time to re-investigate the Rites Controversy, denounced the contract as a loan disguised as a sales contract, and the Jesuits responded that Tournon’s understanding reflected his ignorance of Chinese culture. But the practice called “dian,” which the Jesuits emphasized as “so clearly regarded by Chinese society as a sales transaction,” was in fact ambiguous and indistinguishable from a loan. The variety of debt contracts masquerading as sales contracts that were rampant in Rome at the time-and Pius V’s bull to stop them-would not have been unfamiliar to the Peking Jesuits. Should Tournon’s concern about and investigation into the Peking Jesuits’ contracts, which the Jesuits emphasized as “peculiar to China” but which bore a striking resemblance to the immoral practices of Rome, be dismissed as mere ignorance of another culture? The specifics of the Jesuit contracts at the time are difficult to uncover at this time, as the Jesuits ultimately withheld them for fear of “giving their opponents ammunition to attack.” However, the image of Tournon as a “self-righteous foreigner ignorant of Chinese culture” depicted in the Acta Pekinensia needs to be reconsidered. The dichotomy of the Jesuits’ “respect for Chinese culture,” versus Tournon’s or anti- Jesuits’ “Eurocentric bias,” which we often too easily assume, also needs to be examined more closely. Behind the Jesuit logic of emphasizing the specificity of Chinese culture, we need to ask whether there is still a universality beyond “East” and “West.”

      • KCI등재

        18세기 예수회의 사상과 계몽주의 철학 사이의 역설적 연결

        전종호 ( Chun Jong-ho ) 한국프랑스고전문학회 2021 프랑스고전문학연구 Vol.24 No.-

        이 글은 예수회가 18세기 초 계몽사상의 형성에 역설적으로 기여한 점에 관한 연구이다. 르네상스와 반종교개혁의 위기 속에서 가톨릭 세계를 구하기 위해 창설된 수도단체인 예수회는 르네상스의 위마니즘과 기독교를 조화하려는 신학적 입장으로 인해 커다란 성공을 거두었고, 18세기 초 가톨릭교회에서 가장 강력한 세력이 되었다. 하지만 교육과 선교 그리고 정치 분야에서 이들이 거둔 성공은 교회 안팎에서 강한 질투와 반발을 불러일으켰는데, 그로 인해 예수회는 고립되었고 결국은 해산하기에까지 이른다. 그런데 이런 과정에서 벌어진 예수회와 계몽주의 철학자 간의 갈등이 당시 ‘예수회의 파멸’의 주요 원인 중 하나였다는 것이 일반적인 시각이다. 그러나 예수회가 교육과 출판 분야에서 행한 활동을 자세히 살펴보면, 18세기 초 예수회가 (특히 파리에서) 계몽주의 사상이 형성됨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했음을 발견할 수 있다. 예수회의 ‘혼합주의’는 이교도 문화를 용인함으로써 당시 유럽인들이 기독교 중심의 세계관에서 벗어나 상대적이고 열린 세계관을 갖도록 해주었다. 예수회의 신학적 입장인 ‘몰리니즘’은 17세기 말에서부터 18세기 초까지 지배한 얀센주의의 아우 구스티누스주의적 원죄 개념에서 인간을 해방하고, 인간이 지상에서 그 정당한 위치를 찾을 수 있게 하였다. 즉, 인간 본성을 긍정적으로 복권함으로써 ‘지상에서의 행복’의 가능성을 열어준 것이다. 또한 예수회 학교, 특히 루이 르 그랑 콜레주에서 행한 이신론적 종교교육은 역설적으로 계몽주의자들, 그중에서도 그들의 제자인 볼테르의 이신론 형성에 이바지한 면이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예수회와 계몽주의자들의 갈등과 이로 인한 예수회의 몰락은 18세기 지성사에서 벌어진 하나의 역설적인 사건으로 볼 수 있다. Cette étude porte sur l’apport paradoxal des jésuites dans la formation de la pensée des Lumières au début du XVIII<sup>e</sup> siècle. L’ordre religieux des Jésuites, créé pour sauver le monde catholique pendant la crise de la Renaissance et de la Contre-Réforme, adopte une position théologique qui essaye de réconcilier l’humanisme et le christianisme. Au début du XVIII<sup>e</sup> siècle, les Jésuites sont devenus la force la plus puissante de l’Église catholique. Ce succès a provoqué une forte réaction à la fois à l’intérieur et à l’extérieur de l’Église, qui a finalement conduit à sa dissolution. Dans ce processus, il ressort que le conflit entre les Jésuites et les penseurs des Lumières fut l’une des causes majeures de « la destruction des Jésuites » à cette époque. Cependant, en observant leurs activités dans les domaines de l’éducation et de l’édition, nous pouvons constater que les Jésuites au début du XVIII<sup>e</sup> siècle (surtout à Paris) constituent un apport important pour la formation des idées des Lumières : le syncrétisme des Jésuites a permis aux Européens de l’époque de s’éloigner de la vision du monde centrée sur le christianisme et d’adopter une vision relative, ouverte. Le molinisme des Jésuites a libéré l’homme de la conception augustinienne du péché originel et lui a permis de trouver sa juste place sur terre. En d’autres termes, cela a ouvert la possibilité du bonheur sur terre par un mouvement de réhabilitation de la nature humaine. En outre, l’éducation religieuse dans les écoles jésuites, en particulier au collège Louis le Grand, a contribué à la croissance du déisme des Lumières, notamment celui de Voltaire. De ce point de vue, le conflit entre les Jésuites et les Lumières et la chute des Jésuites qui en résulte peuvent être considérés comme un événement paradoxal dans l’histoire des idées du XVIII<sup>e</sup> siècle.

      • KCI등재

        전국시대 일본 예수회의 적응 선교의 한계 -『일본제사요록』과 『일본사』를 중심으로-

        장혜진(JHANG Hyejin) 동아시아일본학회 2020 일본문화연구 Vol.0 No.74

        예수회 동인도 순찰사 발리냐노는 일본인과 문화를 존중하는 적응 선교의 방침을 강조함으로써, 예수회로 흡수되지 않은 일본 권력자들과 우호적 관계를 유지하며 선교활동을 전개할 수 있었다. 그러나 발리냐노의 적응 선교는 유럽 선교사들의 일본문화로 동화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고, 유럽과 일본의 ‘다름’을 냉철하게 인식하고 유연한 처세 판단의 정확성을 추구하는 문화적 적응의 성격을 담지한다. 그러나 정치적인 측면에서 예수회의 선교활동은 당시 전국 통일을 꾀하는 정치 권력자와의 충돌을 피할 수 없었다. 오다 노부나가와 도요토미 히데요시 같은 권력자는 일본정치와 예수회의 양자관계만을 보지 않았다. 특히 히데요시는 전국시대 불교 세력의 정치조직화에 예의주시하면서 예수회도 정세에 따라 자신의 정치적 정적이 될 수 있다고 생각했다. 히데요시 금령에서 일향종과 예수회가 동일시되고 있다. 천하통일을 이루려는 히데요시의 구상은 교토를 중심으로 한 일향종 세력을 무력화시키고, 규슈를 평정한 다음 중국 정벌에 앞서 예수회 세력을 약화시키는 데 이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예수회에 대한 히데요시의 권력과 힘의 과시는 1587년 그리스도교 금령으로 드러나며, 일본 사회의 제도 종교로 진입하고자 한 예수회는 정치장(政治場)에서의 톱다운 적응 선교의 좌절을 겪게 되었다. The adaptation of Valignano starts with the recognition that there is a very large difference between Japanese life, customs, feelings, behavior and Europe. He then understood the “difference” accurately, responded in a suitable manner, and decided that a missionary strategy for Japan could be carried out more efficiently. However, as for the other political missionaries, they could not avoid conflicts with those in power who were trying to unify the nation during the Sengoku period(Age of Warring States). As part of the great task of unifying the whole country, Hideyoshi was to weaken the power of the Jesuits like Ilhyangjong. This speculation can be confirmed by Hideyoshi"s ban of 1587. In other words, the adaptive missionary strategy of the Jesuits developed by Valignano may have been accepted to some extent by a cultural approach such as the art of worldly wisdom in Japan, but the limits of adaptive missionary can be seen from the fact that it has not been freed from the framework of the political conception of the powerful in the eunification of Japan.

      • KCI등재

        로욜라의 성 이냐시오 리더십 : 예수회 회헌을 중심으로

        김영훈(Kim Young Hoon) 서강대학교 신학연구소 2016 신학과 철학 Vol.- No.28

        본고의 목적은 로욜라의 성 이냐시오의 『예수회 회헌』에 나타난 예수회 총장의 자질을 해석하여 이냐시오 리더십(Ignatian leadership)을 탐구하는 것이다. 성 이냐시오는 예수회의 창립자였고 첫 번째 총장이었으며 회헌의 저자였다. 따라서 회헌의 9부 2장에 나와 있는 예수회 총장의 자질은 이냐시오 자신의 모습이고 삶의 양식이었다고 여겨져 왔다. 특별히 공의회 이후 예수회에서는 창립자인 이냐시오의 카리스마로 돌아가서 자신의 정체성을 성찰하고 시대의 징표를 읽어내어 사명과 사도직을 살아가고자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었다. 본고의 연구에 있어서 적용할 해석학적 방법론은 과거의 영적 유산인 회헌을 어떻게 오늘날의 변화하는 시대 상황에서 살아갈 수 있는가라는 문제 제기에 대해 응답하기 위한 가장 적절한 방법론이다. 따라서 다음의 세 단계로 구분할 수 있을 것이다. 첫째, 예수회 총장의 자질에서 드러난 이냐시오의 리더십을 기술한 회헌을 숙고한다. 둘째, 회헌에 대한 비평적 분석을 통하여 이냐시오 자신의 리더십과 이냐시오의 리더십을 해석한 초기동료들의 문헌을 비교하고 재검토함으로써 이냐시오의 리더십을 이해하는 창조적 충실성이라는 성격의 해석적 탐구를 시도한다. 셋째, 오늘날의 이냐시오 리더섭을 살아가고자 하는 이들에게 창조적 충실성을 지니고 끊임없이 식별하는 삶을 제언한다. 결론적으로 본고는 이냐시오의 『예수회 회헌』에 나타난 예수회 총장의 자질에서 드러난 이냐시오 리더십의 핵심에는 식별을 통해서 하느님의 현존과 활동에 관한 신뢰 그리고 공동체 구성원들의 마음의 일치가 놓여 있음을 제안한다. This research on the idea of Ignatian leadership develops with the understanding of the Superior General of the Society in the Constitutions. The methodology begins with a hermeneutical question: How can one bring the lgnatian texts, as classics of spirituality, into the present, discovering their authentic meaning for today? How can the lgnatian texts be newly and freshly experienced? This study adapts a hermeneutic of creative fidelity. According to Peter-Hans Kolvenbach, fidelity in mission means union with God and the Church and creativity means attention to the Holy Spirit recognized in the signs of the times in mission. The procedure of this study has two parts. On the one hand, by comparing, contrasting and synthesizing the qualities of the candidate, the novice, and the scholastics in Part I, III, and IV and those of the Superior General in Part IX, this article revisits the Superior General as a role model for lgnatian leadership. On the other hand, this study reflects on how Ignatius's companions developed their own lgnatian leadership for the service of the Church. By distancing between the Constitutions and Ignatius and his companions, this research will be helpful, for those who are following lgnatiu's example, to understand and live his way of life. This article will draw out of the qualities of the Superior General a number of implications and perspectives. Blessed with an awareness of God's presence and working all over the world, especially in discernment, those who are following Ignatius's example find themselves invited to trust in God and seek the union of minds and hearts among their community members.

      • KCI등재

        세계화 시대 `가톨릭`(catholic-universal) 교회되기

        김우선(Kim, Woo-Seon) 광주가톨릭대학교 신학연구소 2015 神學展望 Vol.- No.189

        본고는 세계화와 가톨릭교회의 역동적 관계를 탐구한다. 국내 학계의 기존연구는 세계화를 신자유주의에 기반한 세계화로 읽으며 이에 저항하는 교회의 사명에 집중해왔다. 본고는 기존 연구의 공헌을 수용하지만 기존 연구가 간과하고 있는 세계화의 다른 측면, 곧 ‘글로벌사회’의 등장이 교회의 사명에 갖는 함의를 성찰한다. 이를 위해서 예수회를 사례로 삼는다. 현대 예수회는 세계화를 상호의존성과 주변화의 상호증가로 이해한다. 예수회는 오늘날 주변화를 낳는 문제는 글로벌한 대응을 요청한다고 보며, 자신을 ‘보편적 사명 수행을 위한 한 몸’이라고 규정한다. 또한 자신의 사명을 하느님과 인간과 피조물과의 삼중 화해라고 규정하며, 초국가적 네트워크를 바탕으로 하는 사도직과 통치구조를 발전시키고자 노력하고 있다. 이와 같은 이해와 조직화는 세계화라는 외적 변화에 응답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하지만 이는 동시에 창립 카리스마와 그 전통에 대한 재해석의 결과이기도 하다. 특히 현대 예수회는 자신의 사명을 ‘정의를 실천하는 신앙’으로 재해석하였고, 이에 대한 투신을 이어왔다. 이 과정에서 관구 간 국제협력을 강조했고, 이런 바탕에서 새로운 이해와 조직화가 나타나는 것이다. 역사적으로 지리적인 의미나 사상적인 의미에서 예수회는 교회의 전방에서 활동하며 그 보편성을 심화시켜 왔다. 예수회의 사례는 세계화의 맥락에서 예수회가 초국가적, 초민족적 방향으로 보편성을 추구하는 변모를 보여준다. 본고는 글로벌사회의 등장이라는 세계화의 모습이 교회의 사명 인식에 끼치는 영향을 드러내고, 지역 교회나 이민, 환경, 평화와 같은 다른 영역에서 어떻게 초국가적 사도직이 전개되고 있는지 후속연구의 기반을 놓는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paper aims at exploring the dynamic relationship between globalization and the Catholic Church through the case of the Society of Jesus. In response to globalization, the Society has made efforts to become more ‘one body for universal mission’. It has identified globalization as the context of its mission and has defined the three-folds reconciliation as its mission: reconciliation with God, with others, and with creation. Moreover, it has re-constructed its governance structure and ministries so that they can be based more on transnational structures and networks. This new formulation of and re-construction for its mission can be understood as a response to the external change, namely globalization. However, it is also a re-interpretation both of its founding charism and of its tradition, in particular. Since 1975, its emphasis on the promotion of justice cannot be separated from faith. As a pioneering order among the Catholic Orders, the Society of Jesus embodies, leads, and deepens the typical characteristics of the Catholic Church. The Society offers a case that globalization has brought an opportunity for the Catholic Church to be transnational and catholic-universal. It also affirms the public religion thesis of Casanova.

      • KCI등재

        예수회의 ‘루이 르 그랑 콜레주(Collège Louis le Grand)’와 프랑스의 계몽주의

        전종호(Chun Jong Ho) 서강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4 서강인문논총 Vol.0 No.41

        예수회는 르네상스 이후 , ‘역 종교개혁’또는 ‘가톨릭 개혁’을 선도하는 선교 단체로서 시대적인 요청에 부응하는 새로운 교육기관을 설립?운영하여 커다란 성공을 거둔다. 파리의 루이 르 그랑 콜레주는 그 대표적인 예로, 구체제 하 프랑스에서 가장 중요한 교육기관이 되었다. 18세기 프랑스의 예수회 콜레주, 특히 루이 르 그랑 콜레주는 그리스 로마 고전문화의 보루 역할을 하였다. 18세기 계몽사상가들과 예수회의 대립은 무엇보다도 예수회와 백과전서파 간에 벌어진 상업적인 갈등의 소산이었다. 또한 파리고등법원은 예수회의 또 다른 적인 얀센주의자와 프랑스교회 중심주의에 경도되어 있었다. 특히 파리대학교는 항상 예수회의 교육활동을 경계하였다. 이것이 1762년 예수회의 해산을 초래했다. 정치적인 맥락을 결부시키지 않는다면 지성사적으로 예수회와 계몽사상가들 간의 갈등은 역사의 아이러니라고까지 말할 수 있다. 그 갈등은 계몽주의의 이상 중 하나인 지식의 대중화를 둘러싼 경쟁이었다. 당시 기독교의 모든 교파 중에서 예수회가 교리상으로 계몽사상가들과 가장 가까웠다고 볼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역설은 당시 루이 르 그랑 콜레주가 바로 계몽사상가들의 양성소 역할을 한 것에서 잘 드러난다.

      • KCI등재

        남아메리카 기독교 공동체와 음악: 도메니코 지폴리(Domenico Zipoli)와 치키토스 예수회 선교단(Jesuit Missions of the Chiquitos)을 중심으로

        장유미 한국실천신학회 2022 신학과 실천 Vol.- No.82

        음악은 제국주의를 바탕으로 한 강압적인 선교 정책을 지양하고, 토착민들과 함께 생활하며 사회, 문화적 공동체를 형성하고자 했던 선교사들의 선교 정책으로 적극적 으로 활용되었다. 특별히 남아메리카에서 활동한 예수회는 ‘이상적인 도시’에서 영감 을 받아 기독교화된 원주민 공동체를 세우는 것에 목표를 두었는데, 이러한 공동체를 ‘레두시온(reducción)’이라 불렀다. 음악은 남아메리카의 원주민들이 예배 의식에 참여 하고, 사회조직을 구성하고, 서양의 문화를 배우도록 유도하였다. 본 연구는 예수회의 음악을 활용한 선교 정책이 남아메리카 기독교 공동체 설립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 이해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첫째, 예수회에서 음악을 활용한 선교 정책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었던 배경을 알아볼 것이다. 예수회는 그들의 뛰어난 교육체계인 대학을 통해 인재들을 훈련하였고, 음악을 사도적 사역의 일부로 여겨 남아메리카에서 체계적인 음악 교육이 가능하도록 설정하였다. 둘째, 예수회 소속 음악가 중 가장 뛰어나다는 평을 받는 도메니코 지폴리(Domenico Zipoli, 1688-1726) 와 그의 음악을 비롯한 대규모의 악보가 발견된 치키토스 예수회 선교단을 살펴볼 것 이다. 지폴리와 그의 음악은 예수회가 음악을 통한 남아메리카에서의 선교 정책을 지 속해서 지지하였음을 보여주는 자료이다. 마지막으로 치키토스 예수회 선교단에서 발 견된 지폴리의 음악을 통해 남아메리카에서 활용되었던 음악의 특성을 파악하고, 음 악을 활용한 예수회의 선교 정책이 남아메리카의 기독교 공동체에 미친 영향과 한계 점을 제시할 것이다. Missionaries made active use of music when they tried to form a social and cultural community by living with indigenous people, rather than engage in coercive mission practices that were based on imperialism. In particular, the Jesuits in South America aimed to establish a Christianized indigenous community inspired by the ideal city, which was called ‘reducción’. Music encouraged indigenous peoples in South America to participate in worship rituals, organize social organizations, and learn Western cultu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how the missionary policy using the music of the Jesuits influenced the establishment of the Christian community in South America. First, the background of the systematic Jesuit missionary policy of using music will be examined. The Jesuits trained talented people through their excellent educational system and universities, and made music part of their apostolic ministry to enable systematic music education in South America. Second, this study turns to Domenico Zipoli (1688-1726), is considered to be one of the most outstanding musicians of the Jesuits and the Chiquitos Jesuit mission, where large-scale musical scores including his music were found. Zipoli and his music show that the Jesuits continued to support the mission policy in South America through music. Finally, through the music of Zipoli found in the Jesuit missionaries of Chiquitos, the characteristics of the music used in South America are revealed, and this study presents the influence and limitations of the missionary policy using the music of the Jesuits on the Christian community in South America.

      • KCI등재

        식민시대 중남미 예수회 연대기에 나타난 ‘레둑시온’ 연구 - 파라과이 관구 지역을 중심으로

        전용갑 세계문학비교학회 2022 世界文學比較硏究 Vol.81 No.-

        The historical assessment of Jesuit activities in Latin America during the colonial period tends to be highly controversial. In this regard, some value positively the fact that Jesuits have established a settlement for indigenous people called “Reducción” in order to protect them from the forced labor of the Spanish encomenderos and that evangelizing activities have also been carried out under a peaceful strategy called “inculturation”, in which traditional indigenous culture was respected. Nevertheless, others do not stop criticizing that the Jesuits pursued their interests and benefits through absolute control over indigenous peoples. These contrary perceptions could be attributed mostly to the difference in “historical interpretation”, which has been realized from the contemporary perspective. That is to say, some contemporary critics tend to judge the history of the Latin American Jesuits during the colonial period with its specific ideological intentions almost without objectively considering the social and historical context of the time. In this research, it is intended to temporarily suspend the evaluation of either side. Instead, the activities of the Latin American Jesuits will be analyzed considering the specific situations of that time. In particular, the logical consistency of the existing evaluations will be reviewed by re-examining the historical facts of the “Reducción”−the most controversial issue related to the Compañía de Jesús−emphasizing the Jesuit chronicles of the time. Likewise, the study objective will be the “Reducciones” located in the Jesuit Province of Paraguay during the 17th and 18th centuries. The foregoing given that this area was not only the cradle of the Jesuit “Reducción”, but also had an incomparable success with other regions such as New Spain (Mexico) or New France, which caused later controversies−whether it was an ‘utopian model of communism’ or a ‘theocratic capitalist model’. As is known, the Jesuit “Reducción” in Latin America is a traditional and universal topic in foreign academic circles, and the research achievements have been constantly accumulated; however, there are still not many in Korea. Therefore, in order to contribute to the study of the matter, throughout the present work the existing contradictory opinions shall be analyzed from a neutral point of view and this subject shall be exposed to Korean academic circle in order to attract its interest. 식민시대 중남미 예수회의 활동에 대한 평가는 극명하게 갈리는 경향이 있다. 한편에서는 원주민 집단공동체인 ‘레둑시온(Reducción)’을 만들어 식민자들의 강제노역으로부터 원주민 을 보호하려 하였으며 선교활동도 ‘적응주의(inculturación)’로 알려진 토착문화의 존중 하에 평화롭게 추진하였다는 점 등을 들어 긍정적으로 평가한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예수회가 원 주민에 대한 절대적인 통제를 통해 자신들의 이익을 추구했다는 비난도 끊이지 않는다. 식민 시대 중남미 예수회에 대한 이와 같은 상반된 인식은 상당 부분 - 예수회 추방 이후 – 후대의 관점에서 이루어진 ‘역사적 해석’의 차이에서 기인한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즉, 일부 현대 비평가들이 과거의 시대적 상황을 고려하지 않고 자신들의 특정한 이념적 목적에 따라 현재 적 시점에서 예수회에 대한 역사적 평가를 재단하는 경향이 있는 것이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는 일단 어느 일방(一方)의 평가를 보류하고자 한다. 대신 식민시대 중남미 예수회 활동을 당대의 구체적인 사회, 역사적 맥락에서 고찰할 것이다. 특히, 예수회를 둘러싼 가장 뜨거운 화두인 ‘레둑시온’에 대한 역사적 팩트를 당대의 연대기를 중심으로 직접 살펴봄으로써 기존 평가(들)의 정합성을 검토해 볼 것이다. 본 연구는 예수회의 파라과이 관구(Provincia de Paraguay)에 소재한 레둑시온을 대상으로 삼았다. 이 지역이 예수회 레둑시온이 가장 먼저 만들어진 요람이었을 뿐만 아니라 누에바 에스파냐(멕시코)나 누에바 프란시아 등 다른 지역 들과는 비교할 수 없을 만큼 큰 성공을 거두며 후대의 논란 – ‘유토피아적인 공유주의 모델’ 인지 ‘신정주의적 자본주의 모델’인지–을 촉발하게 되었기 때문이다. 주지하다시피 중남미의 예수회 레둑시온은 해외 학계에서는 매우 오랜 관심사이며 연구성과 또한 꾸준히 축적되어 오고 있으나 국내에서는 아직 관련 연구가 거의 전무한 편이다. 우리의 관점에서 중남미 예수 회에 대해 견해를 검토하고 이 주제에 대한 관심을 환기한다는 차원에서 본 연구의 또 다른 의미를 부여하고자 한다.

      • KCI등재

        근대과학 형성기 예수회의 역할: 교육과 선교 분야 기여와 한계

        이진현 서강대학교 서강대학교 신학연구소 2023 신학과 철학 Vol.- No.45

        본고는 16세기 후반기에서 17세기 전반기 사이 예수회 초기문헌에 나타난 과학 교육과 이 분야 예수회원들의 활동의 영성적 배경과 역사적 맥락을 고찰한다. 이냐시오 영성은 창조된 모든 실재를 긍정하며 하느님의 영광과 영혼들의 구원을 위해 과학의 유용성으로 세상과 적극 소통한다. 중세 자연철학에서 근대과학으로 넘어가는 전환기에, 특별히 태양중심설의 도전 앞에서 예수회는 대학교육과 선교를 통해 개별 회원들의 인정이나 비판으로 응답하였다. 예수회원 양성지침인『연학규정Ratio studiorum 이 초판(1586)에서 최종판(1599)으로 수정되는 과정에서 과학 관련 조항이 축소되고 특히 수학 지침이 약화되어 자연철학의 하위과목으로 남게 된다. 이처럼 과학혁명기의 도전 앞에서 예수회 교육은 원칙상 아리스토텔레스-토마스 자연철학의 권위를 고수했다. 하지만 이런 제약 속에서도 로마대학의 클라비우스와 그 후임자들은 과학 수업을 계속 이어가면서 미래의 교수들과 선교사가 될 영재 예수회원들을 위한 고급 학업 과정을 운영했다. 특별히 마테오 리치가 로마대학Collegio Romano에서 이수했던 수학과 천문학 교과과정curriculum (1572-1577)은 반복숙달과 심화과정을 통해 과학분야 전문지식의 숙련도를 키우는 예수회 교수법의 특징을 보여준다. 예수회가 근대과학 체계 형성에 결정적인 기여를 했거나 특정 예수회원들이 과학혁명 시기 패러다임 전환을 주도했다고 보기에는 명백히 한계가 있지만, 전문지식을 습득한 상당수의 회원들이 대학교육과 해외선교를 통해 대중적·지속적·전지구적 지식교류망 구축에 선구적인 공헌을 하였다. This paper examines the spiritual and historical context of science education of the Jesuits and their scientific activities from the late sixteenth to the early seventeenth centuries. Ignatian spirituality affirms all created things and actively engages the world with the utility of science for the glory of God and the salvation of souls. During the transitional period from medieval natural philosophy to modern science, especially in the challenge of heliocentrism, the Society of Jesus responded with recognition or criticism by individual Jesuits within the framework of university education and overseas mission. In the process of revising the Ratio studiorum(Plan of Studies) from the first edition(1586) to the final edition(1599), the provisions related to science were reduced, and in particular, the guidelines for mathematics were weakened, leaving it as a sub-subject of natural philosophy. In the midst of the challenges of the Scientific Revolution, Jesuit education largely adhered to the authority of Aristotelian-Thomistic natural philosophy. Despite these constraints, however, Clavius and his successors at the Collegio Romano continued to offer courses in the sciences and opened advanced academic programs for the talented Jesuits who would become future professors and missionaries. In particular, the curriculum of mathematics and astronomy that Matteo Ricci took at the Collegio Romano(1572-77) demonstrates the hallmarks of the Jesuit method of teaching, which fostered mastery of scientific expertise through repetition and deepening. While there are obvious limitations to the extent to which the Society of Jesus made a decisive contribution to the formation of the modern system of science or that specific Jesuits led paradigm shifts during the Scientific Revolution, many of the Jesuits who acquired specialized knowledge made pioneering contributions to the establishment of popular, sustained, and global networks of knowledge exchange through university education and overseas miss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