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중남미 근대화와 모데르니스모 환상문학 - 초자연적 소재와 서사구성요소, 세계관 분석을 중심으로 -

        전용갑 한국외국어대학교 중남미연구소 2009 중남미연구 Vol.27 No.2

        El modernismo surgió en los ú́ltimos años del siglo XIX y fue propiamente una reacció́n esté́tica y artística contra la modernizació́n hispanoamericana. Frente a los fenó́menos negativos de la modernidad, los modernistas querían recuperar tanto los valores subjetivos como personales. Fue de esta manera que la respuesta de los modernistas era considerada como un rechazo ambiguo y ambivalente a la modernidad misma ya que en sus obras se encuentran posturas 'anti-modernas'. Sin embargo, paradó́jicamente trataron de llevar a cabo lo anterior mediante medios expresivos que directa e indirectamente se derivan de los adelantos científicos y pragmáticos. En este sentido, la literatura fantá́stica constituyó́ una categorí́a literaria en la que se reflejaba má́s efectivamente la realidad social de la é́poca porque ésta nació con una visió́n del mundo en la que se adimten los poderes subjetivos del hombre como instrumento cognoscitivo para captar la realidad, sin rechazar asimismo los poderes racionales y científicos. Desde este punto de vista, hemos analizado las relaciones entre la literatura fantá́stica y la realidad moderna hispanoamericana, en concreto, la influencia de los fenó́menos modernos, como el desarrollo científico y la filosofí́a positivista, en esta literatura. Hemos podido saber que hubo algunos cambios esté́ticos tanto en el plano de los elementos narrativos como en el del proceso narrativo. Por ejemplo, en la literatura fantá́stica modernista empiezan a aparecer los hechos sobrenaturales relacionados con la ciencia moderna en vez de los tradicionales del romanticismo como la aparició́n de vampiro y fantasmas. Tambié́n en el personaje y el espacio, se puede ver algunas modificaciones formales influidas por el desarrollo cientí́fico de la é́poca. Sin embargo, el cambio má́s significativo se encuentra en el proceso narrativo puesto que los fenó́menos sobrenaturales nos acercan a formas invisibles y ambiguas mientras que en la literatura fantá́stica romá́ntica casi siempre irrumpí́́an en nuestro mundo seres misteriosos e inexplicables con la forma visible.

      • KCI등재

        꼬르따사르와 신환상문학 - 「파리의 아가씨에게 보내는 편지」와 「점거된 집」을중심으로

        전용갑 서울대학교 라틴아메리카연구소 2015 이베로아메리카硏究 Vol.26 No.1

        The great works of Julio Cortázar have been considered as ‘something incomprehensible’ by not only the general readers but also by many of the Hispanic American Literature specialists. This is due to the fact that the thematic meaning that the author insinuates throughout the text cannot be easily perceived. Most of hisworks are generally classified and categorized as fantastic literature. However, his messages cannot be fully decrypted in theories or traditional concepts in the field of fantastic literature. Generally speaking, the traditional fantastic idea is based on a fundamental schemewhere a supernatural incident interrupts (the inexplicable, impossible or abnormal) in the real world and generates a conflict or struggle between the natural and the supernatural world (the real and the unreal, otherwise the rational and the irrational). Nonetheless, in the works of Cortázar, these traditional fantastic genre characteristics do not appear. Therefore, contrasting points of view are needed to understand the works of Cortázar by applying a different theoretical resource. It can be essentially called ‘the neo-fantastic’, distinguished from the traditional fantastic. Sure enough this frame is not a new one since the termitself originated from the works of Cortázar. Actually, the term of ‘the neo-fantastic’ appeared for the first time in a research text in the work “En busca del Unicornio: Los cuentos de Julio Cortázar”, written by Jaime Alazraki. This study aims to improve the new understanding and to offer another interpretation to Cortázar’s readers. Concurrently, it presents theories of Alazraki’s ‘the neo-fantastic’ in relation with an approach of Nietzsche’s metaphor concept, which is also different from the traditional Aristotelian metaphor. For the case studies, this research examined two of the best-known stories of the author, “Carta a una señorita en París” and “Casa tomada”. 일반 독자들은 물론 일부 라틴아메리카 문학 전공자들에게까지 훌리오 꼬르따사르의 작품은 의미가 쉽게 포착되지 않는 ‘난해한 문학’으로 인식되고 있다. 그의 작품들은 대부분 ‘환상문학’의 장르적 범주로 분류되지만, 전통적인 환상문학적 이론과 세계관으로는 그 의미가 해독되지 않는다. 전통적인 환상성이란 일상적인 ‘현실세계’에 ‘초자연적’인(설명불가능한, 혹은불가능하거나 비정상적인) 요소가 개입함으로써 야기되는 자연/초자연, 현실/비현실, 이성/비이성적 질서의 갈등과 충돌을 서사의 기본구도로 삼고 있는데, 꼬르따사르의 작품에는 이와 같은 전통적인 환상성의 장르적 특징들이 보이지 않는다. 따라서 꼬르따사르의 문학을 이해하기위해서는 소위 ‘신환상성’이라는 -환상성과는 다른- 이론적, 세계관적 접근이 필요하다. 물론이 프레임은 전혀 새로운 것이 아니다. 신환상성이라는 용어 자체가 꼬르따사르의 작품에서 비롯된 것이기 때문이다. 이 용어는 1983년 하이메 알라스라끼가 펴낸 작가에 대한 연구서 『유니콘을 찾아서: 훌리오 꼬르따사르의 단편들』에서 처음으로 언급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알라스라끼는 꼬르따사르 작품의 내용과 형식에서 전통적인 환상성과 구분되는 이른바 ‘신환상성’의개념을 정초(定礎)한 후, 이를 하나의 미학적 개념으로 제시하였다. 이 논문은 알라스라끼의 신환상성의 이론, 특히 아리스토텔레스적 메타포와 구분되는 니체적 메타포의 개념을 중심으로꼬르따사르 문학세계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기 위한 것이다. 분석 텍스트로는 작가의 가장 널리알려진 두 편의 단편인 「파리의 아가씨에게 보내는 편지」와 「점거된 집」을 대상으로 하였다.

      • KCI등재

        중앙아메리카 근대사상 연구 - ‘중미의 스위스’ 코스타리카, 만들어진 신화

        전용갑 세계문학비교학회 2019 世界文學比較硏究 Vol.67 No.-

        There have been few researches on Central American countries in the field of Latin American studies in Korea. This absence of research is considerable, if we take into account the geopolitical importance of the abovementioned region, which lies between North and South America, and between the Pacific and Atlantic Seas. That lack of interest would be one of the causes of our prejudice of considering them as countries without self peculiarity. Nevertheless, Central American countries, after independence, continue to seek their own national identity as other Latin American countries such as Mexico, Argentina, Peru, etc. This study has been planned from this problematic point of view. Thu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reconsider our erroneous or monotonous judgment about these countries through the analysis of the socio-historical processes to build their own identity and the related intellectual discourses. Throughout this research, the national identity of Costa Rica shall be analyzed as an exemplary case. This country, known as 'a tropical paradise' and 'Central American Switzerland', has historically been considered as 'an exceptional one' in an area full of social problems such as violence, inequality, poverty, etc., keeping a very good exterior image, even taking the first position of the Happy Planet Index. However, this absolutely positive evaluation would be another erroneous or monotonous judgment without considering the historical-social reality of the country. Behind the values of the country's national identity as ethnic homogeneity, social equality and political democracy, some obscure ideologies such as racism, machismo and classism are hidden. At the same time, the ideal image projected to the outside could be a myth invented by political and intellectual leaders –most of them from the oligarchic class- known as 'the generation of Olympus' between the late nineteenth and early twentieth century. Likewise, in this study, the historical process for the constitution of this 'imagined' national identity and the related polemics shall be analyzed. 중앙아메리카 국가들은 이제까지 국내 중남미학계에서 거의 연구의 사각지대에 위치해 왔다. 북미와 남미, 태평양과 대서양의 교차로에 위치한 지정학적 가치를 고려할 때 이 지역에 대한 상대적 연구부재는 다소 의외의 일이다. 이러한 관심부족은 중미지역 국가들에 대해 다소 일반화되고 단조로운 인식을 낳게 된 한 원인이 되었다. 하지만 중미국가들을 자체적인 고유성이 희박한 몰개성의 지역이라고 단정하는 것은 성급한 일이다. 이들 또한 독립 이후 다른 라틴아메리카 국가들과 마찬가지로 자신들의 정체성을 찾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해 왔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의 연장선상에서 기획되었다. 즉, 이 지역 국가들이 추구하는 고유의 정체성 확립 노력을 실제의 사회, 역사적 전개과정은 물론 주요 지적 담론을 중심으로 살펴봄으로써 기존의 획일화, 정형화된 인식을 재고(再考)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구체적인 사례로 코스타리카를 설정하였다. 코스타리카는 독립(1821) 이후의 국가 발전 과정에서 일찍이 ‘열대의 낙원’, ‘중미의 스위스’ 등으로 불리며 ‘라틴아메리카 역사에서는 보기 드믄 예외적인 경험’으로 간주되어 왔으며, 오늘날에도 여전히 ‘지구행복지수 1위 국가’, ‘생태환경의 보고’ 등 ‘선량한’ 인상을 유지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양질의 평판 역시 실제의 사회, 역사적 현실과는 유리된 또 다른 ‘획일화, 정형화’의 사례일 것이다. 소위 인종적 동질성, 사회적 평등, 정치적 민주주의의 세 가지 가치에 기저하고 있다고 여겨지는 코스타리카의 국가적 정체성의 기저에는 인종주의적(racista), 남성우월주의적(machista), 계급주의적(clasista)인 이데올로기가 숨어있으며, 사회적 차이를 무시하고 은폐하려한 과거 국가지도자들의 의도적인 노력의 산물이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코스타리카 국가정체성의 역사적 형성과정과 이를 둘러싼 논쟁을 살펴볼 것이다.

      • KCI등재

        가톨릭의 영혼의 정복: 후안 히네스 데 세풀베다, 바르톨로메 데 라스카사스, 프란시스코 데 비토리아의 원주민 관과 정당한 전쟁(Guerra Justa)론을 중심으로

        전용갑 한국외국어대학교 중남미연구소 2022 중남미연구 Vol.41 No.1

        The Catholic Church (the Pope) recognized the monopoly of Spain and Portugal on the conquest of the so-called New World on condition of the conversion of the indigenous peoples. Therefore, the Spanish conquest war went beyond territorial expansion, and was justified by the mission of 'saving Indians’ souls'. However, the use of force against the American Indians caused great social controversy, since they were nothing more than 'pagans', who were unaware of the existence of Christianity before the arrival of the Spanish colonizers. Consequently, the legitimacy of wars against indigenous peoples had to be judged from the epistemological point of view of "what class of beings should they be considered as?", which generated a great theological and legal debate on the 'Just War'. Thus, this article attempts to analize this question through representative theologians of the 16th century such as Juan Ginés de Sepúlveda, Bartolomé de Las Casas and Francisco de Vitoria. In this regard, it is well known that the differences between Sepúlveda and Las Casas, the two protagonists of the so-called Valladolid Controversy (1550-1551), are marked; each of them represented contradictory perceptions of the time when the indigenous people were considered as 'servants by nature' and 'good savages', respectively, and therefore reached the opposite conclusion about the legitimacy of the Spanish war in the New World. On the other hand, Francisco de Vitoria, who developed the “Just War” theory in a modern way as well as organized systematically legal and illegal elements in the war against the American Indians, had a profound influence on both Las Casas and Sepúlveda. Nevertheless, despite the differences in views and methodologies, all equally raised their voices on the 'justification for the indigenous people’s conversion'. Furthermore, they defined the indigenous people as 'barbarians' inferior to the Spanish –no matter whether they were considered as servants by nature or good savages– and held the same opinion that the domination of secular power (of Spain) as well as religious power (of Christianity) were inevitable in order to rescue them from barbarism and in order to civilize them. This is why their arguments ultimately do not deviate from the 'conquest discourse' from the Western point of view. In this article, this issue shall be examined in depth by comparing their positions on the 'Indian vision' and 'Just War'. Likewise, through this process, it is important to emphasize that the historical stigma given to Sepúlveda was false and excessive. Thus, this study will focus particularly on Sepúlveda. That is to say, after presenting the main logics of Sepúlveda exposed in his <Democrates Segundo>, those will be compared with the opinions of Las Casas and Vitoria to reach this research conclusion. Although the themes and characters treated in this work occupy a very large proportion in the intellectual history of Latin America in the 16th century, studies on this issue in national academic circles have been insufficient. In particular, the positions of Las Casas and Sepúlveda are still perceived at a conventional and traditional level. Therefore, the meaningful attribute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Sepulveda's <Democrates Segundo> and the research achievements of the international academic community in Korea, aimed to enhance interest in this topic in order to trigger related national research. 가톨릭교회(교황)는 원주민 개종을 조건으로 스페인과 포르투갈의 신대륙 정복사업 독점권을 인정했다. 따라서 스페인의 정복 전쟁은 해외영토 확장이라는 물리적 차원을 넘어 원주민들의 ‘영혼의 구제’를 필수적인 소명(召命)으로 표방했다. 하지만 아메리카 원주민에 대한 무력 사용에는 논란의 여지가 있었다. 원주민들은 스페인인들의 도착 이전에는 기독교의 존재 자체를 모르고 있던 ‘이교도’에 불과했기 때문이다. 따라서 원주민과의 전쟁은 이들을 ‘어떠한 존재로 볼 것인가?’ 하는 인식론적 관점에 따라 그 합법성이 가늠될 수밖에 없었으며 이는 ‘정당한 전쟁(guerra justa)’을 둘러싼 커다란 논쟁을 불러 일으켰다. 본고는 16세기의 대표적인 신학자들인 후안 히네스 데 세풀베다(Juan Ginés de Sepúlveda)와 바르톨로메 데 라스카사스(Bartolomé de Las Casas) 그리고 프란시스코 데 비토리아(Francisco de Vitoria)를 통해 이 문제를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소위 ‘바야돌리드 논쟁(Controversia de Valladolid, 1550-1551)’의 두 주역인 세풀베다와 라스카사스의 입장차는 극명한 것으로 익히 알려져 있다. 전자는 원주민을 ‘천성적 노예(Siervos por naturaleza)’로 후자는 ‘선량한 야만인(Buen Salvaje)’으로 여기던 당대의 인식을 대변하며, 이에 따라 스페인인들이 벌인 정복전쟁의 합법성 여부에 대해서도 상반된 결론을 내렸기 때문이다. 한편, ‘정당한 전쟁론’의 이론을 근대적으로 정초하고 아메리카 원주민에 대한 전쟁에서 합법적인 요소와 불법적인 요소를 체계적으로 정리한 비토리아는 라스카사스와 세풀베다 모두에게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관점과 방법론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이들은 모두 ‘원주민 개종의 당위성’에 대해서는 한 목소리를 내었다. 또한 원주민을 – 그들의 선량성 여부와 상관없이 - 스페인 사람보다 열등한 ‘야만인’으로 규정했으며, 이들을 야만상태에서 구제하고 문명화하기 위해서는 종교(기독교) 뿐만 아니라 세속권력(스페인)의 지배가 불가피하다는 동일한 입장을 견지했다. 이들의 주장이 궁극적으로는 서구중심의 ‘정복 담론’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본고에서는 이들의 ‘원주민 관’과 ‘정당한 전쟁’에 대한 입장을 비교, 고찰하여 이 점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 과정에서 세풀베다에게 드리워진 역사적 오명이 그릇되거나 과도한 것이었음을 이야기하고자 한다. 글의 논지는 세풀베다를 중심으로, 그의 주장과 직, 간접적으로 연계된 라스카사스와 비토리아의 견해를 비교, 분석하는 형식으로 전개될 것이다.

      • KCI등재

        아돌포 비오이 까사레스 환상문학의 공간성 연구 : 서사요소의 원칙으로서의 "현실성의 효과"를 중심으로

        전용갑 한국스페인어문학회 2004 스페인어문학 Vol.0 No.33

        La condicio´n fundamental para la constitucio´n de la literatura fanta´stica se halla en el conflicto entre dos o´rdenes contradictorios, uno racional y otro irracional, ya que toda situacio´n fanta´stica se genera por el suceso de algu´n hecho inso´lito o sobrenatural que ocurre en este mundo natural. De esta proposicio´n extraemos la idea de que el concepto de realidad guarda una relacio´n indispensable con lo fanta´stico y la verosimilitud no es un simple accesorio estili´stico sino que es una necesidad constructiva necesaria para la configuracio´n literaria del ge´nero. El ambiente realista de lo fanta´stico esta´ basado en un principio de los elementos narrativos, el efecto de realidad, que trata de mostrar como lo real incluso lo irreal e inadmisible. Sin embargo, este concepto no es una condicio´n te´cnica ni formal sino que tiene relacio´n necesaria con el plano ontolo´gico de la narrativa fanta´stica. Su funcio´n, por una parte, consiste en generar un ambiente real, con el que logra que el lector acepte lo que el narrador reconoce o plantea, pero por otra, consiste en destruir esta visio´n del mundo realista burlando esa situacio´n real y planteando so´lo un hecho inso´lito. La verdadera causa de funcionamiento del efecto de realidad consiste en la lo´gica ontolo´gica que comparten autor y lector y lo ma´s importante para generar esos efectos no reside en los perfiles externos que se muestran en la obra, sino en las lo´gicas internas que se implican dentro de ella. En cuanto a la espcialidad fanta´stica, lo que importa no es el tipo topogra´fico sino la lo´gica impli´cita que se corresponde con la recepcio´n de los lectores contempora´neos. De acuerdo con esta hipo´tesis, hemos analizado la espacialidad fanta´stica de Adolfo Bioy Casares, con especial atencio´n a los dos tipos de Buenos Aires, cuyas lo´gicas internas son diferentes.

      • KCI등재
      • KCI등재

        식민시대 중남미 예수회 연대기에 나타난 ‘레둑시온’ 연구 - 파라과이 관구 지역을 중심으로

        전용갑 세계문학비교학회 2022 世界文學比較硏究 Vol.81 No.-

        The historical assessment of Jesuit activities in Latin America during the colonial period tends to be highly controversial. In this regard, some value positively the fact that Jesuits have established a settlement for indigenous people called “Reducción” in order to protect them from the forced labor of the Spanish encomenderos and that evangelizing activities have also been carried out under a peaceful strategy called “inculturation”, in which traditional indigenous culture was respected. Nevertheless, others do not stop criticizing that the Jesuits pursued their interests and benefits through absolute control over indigenous peoples. These contrary perceptions could be attributed mostly to the difference in “historical interpretation”, which has been realized from the contemporary perspective. That is to say, some contemporary critics tend to judge the history of the Latin American Jesuits during the colonial period with its specific ideological intentions almost without objectively considering the social and historical context of the time. In this research, it is intended to temporarily suspend the evaluation of either side. Instead, the activities of the Latin American Jesuits will be analyzed considering the specific situations of that time. In particular, the logical consistency of the existing evaluations will be reviewed by re-examining the historical facts of the “Reducción”−the most controversial issue related to the Compañía de Jesús−emphasizing the Jesuit chronicles of the time. Likewise, the study objective will be the “Reducciones” located in the Jesuit Province of Paraguay during the 17th and 18th centuries. The foregoing given that this area was not only the cradle of the Jesuit “Reducción”, but also had an incomparable success with other regions such as New Spain (Mexico) or New France, which caused later controversies−whether it was an ‘utopian model of communism’ or a ‘theocratic capitalist model’. As is known, the Jesuit “Reducción” in Latin America is a traditional and universal topic in foreign academic circles, and the research achievements have been constantly accumulated; however, there are still not many in Korea. Therefore, in order to contribute to the study of the matter, throughout the present work the existing contradictory opinions shall be analyzed from a neutral point of view and this subject shall be exposed to Korean academic circle in order to attract its interest. 식민시대 중남미 예수회의 활동에 대한 평가는 극명하게 갈리는 경향이 있다. 한편에서는 원주민 집단공동체인 ‘레둑시온(Reducción)’을 만들어 식민자들의 강제노역으로부터 원주민 을 보호하려 하였으며 선교활동도 ‘적응주의(inculturación)’로 알려진 토착문화의 존중 하에 평화롭게 추진하였다는 점 등을 들어 긍정적으로 평가한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예수회가 원 주민에 대한 절대적인 통제를 통해 자신들의 이익을 추구했다는 비난도 끊이지 않는다. 식민 시대 중남미 예수회에 대한 이와 같은 상반된 인식은 상당 부분 - 예수회 추방 이후 – 후대의 관점에서 이루어진 ‘역사적 해석’의 차이에서 기인한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즉, 일부 현대 비평가들이 과거의 시대적 상황을 고려하지 않고 자신들의 특정한 이념적 목적에 따라 현재 적 시점에서 예수회에 대한 역사적 평가를 재단하는 경향이 있는 것이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는 일단 어느 일방(一方)의 평가를 보류하고자 한다. 대신 식민시대 중남미 예수회 활동을 당대의 구체적인 사회, 역사적 맥락에서 고찰할 것이다. 특히, 예수회를 둘러싼 가장 뜨거운 화두인 ‘레둑시온’에 대한 역사적 팩트를 당대의 연대기를 중심으로 직접 살펴봄으로써 기존 평가(들)의 정합성을 검토해 볼 것이다. 본 연구는 예수회의 파라과이 관구(Provincia de Paraguay)에 소재한 레둑시온을 대상으로 삼았다. 이 지역이 예수회 레둑시온이 가장 먼저 만들어진 요람이었을 뿐만 아니라 누에바 에스파냐(멕시코)나 누에바 프란시아 등 다른 지역 들과는 비교할 수 없을 만큼 큰 성공을 거두며 후대의 논란 – ‘유토피아적인 공유주의 모델’ 인지 ‘신정주의적 자본주의 모델’인지–을 촉발하게 되었기 때문이다. 주지하다시피 중남미의 예수회 레둑시온은 해외 학계에서는 매우 오랜 관심사이며 연구성과 또한 꾸준히 축적되어 오고 있으나 국내에서는 아직 관련 연구가 거의 전무한 편이다. 우리의 관점에서 중남미 예수 회에 대해 견해를 검토하고 이 주제에 대한 관심을 환기한다는 차원에서 본 연구의 또 다른 의미를 부여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