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Resisting Hollywood? The Transformation of the Korean Film Industry and Its Limits

        주정숙 ( Joo Jeongsuk )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7 인문학연구 Vol.0 No.53

        본 논문은 1980년대 중반 한국 영화시장 개방 이후 한국영화산업과 할리우드의 대립에 비추어 1990년대 말부터 2000년대 중반까지 한국영화산업의 성공과 이의 문제점을 고찰하고자 한다. 한국영화산업은 1980년대 중반 국내 영화시장의 개방, 이후 할리우드 영화의 국내시장 잠식, 스크린쿼터 등을 둘러싸고 오랫동안 할리우드와 대립하고 저항하였다. 그러나 이에도 불구하고 1990년대 말 이후 한국영화산업의 부흥은 할리우드 영화와 산업 모델을 따름으로써 성취되었다. 이 결과, 한국영화산업의 강세 속에 할리우드 영화의 한국 시장 지배는 상대적으로 쇠퇴하였지만, 한국영화산업의 변화한 방식은 할리우드의 강력한 영향력을 잘 드러낸다. 이는 할리우드 지배에 대해 한국영화산업의 성공이 갖는 근본적인 한계를 잘 보여주며 동시에 한국영화산업에 문화다양성 및 스크린쿼터와 관련하여 쉽지않은 문제를 제기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는 한국영화산업의 사례를 할리우드의 지배나 이에 대한 도전이라는 이분법으로 규정하기 보다는 세계화의 문맥 속에서 갈수록 복잡해지는 한국영화산업과 할리우드의 관계와 한국영화산업의 재편을 주목 할 것을 제안한다. This paper examines the problematic nature of the Korean film industry`s success from the late 1990s to the mid 2000s in light of its long opposition to Hollywood. It looks at how the Korean film industry, despite its ongoing conflicts with Hollywood and resistance to it, largely achieved its success by emulating Hollywood films and its industrial practices. As a result, even while Hollywood domination of the Korean market declined amid Korean films` success, the way the Korean film industry transformed revealed profound Hollywood influence. This indicated the fundamental limits of its challenge to Hollywood, while also creating some vexing dilemmas for the Korean film industry, especially the question of cultural diversity and the screen quota. Yet, being wary of uncritically celebrating or dismissing the Korean film industry`s success as a case of challenge or submission to Hollywood power, it suggests recognizing the complexities of the developments within the Korean film industry as well as its shifting relationship with Hollywood in the context of globalization.

      • KCI등재

        1960-70년대 공급중심 영화산업 체제와 상영영역의 이중적 지위 - 서울개봉관을 중심으로

        조준형 한국극예술학회 2014 한국극예술연구 Vol.0 No.43

        This article focuses on the movie screening sector in 1960s-1970s, the most important era in Korean film history. Traditionally, the movie screening sector has not been valued as much as it deserves in Korean film industry. That is because official viewpoint, discussion and policy for Korean films have been oriented toward 'production' of the 'national art'. The film production industry was recognized as having a role in the creation of the national art due to its productive nature. On the other hand, theater business and movie screening was stigmatized as a decadent business that often involved law manipulation and deviation and theater owners (and local film distributors) as businessmen with no understanding of art hindering the development and modernization of the film industry. However, after 1960s, the movie screening sector in fact had held a powerful position in the film industry. Mass production system of films, which was enforced by Park Jung-hee regime from the early 1960s, led to oversupply. The number of theaters, especially those in Seoul, was relatively fewer than the films produced, so the theater owners occupied dominant positions over producers. This kind of gap between official aim and reality hindered accurate analysis of problems in the film industry and impeded efforts for rational progress of Korean film industry. As a result, Korean film industry went into stagnation for 20 years from early 1970s. This article describes the change of dynamics between the movie screening sector and other sectors in Korean film industry. It also looks into the collapse process of the screening system unique to Korea that specified Korean-film-only theaters and foreign-film-only theaters, especially from late 1960s to early 1970s during which the Korean film boom was on the wane. By examining these points, this article explains the origins of the deep-rooted conflicts between production and screening and between production capital and commercial capital and describes the tradition of supply oriented ‘national films’that were the cause of the conflicts. 이 글은 한국영화사의 뼈대가 되는 시기였던 1960-70년대, 서울개봉관을 중심으로 상영영역의 동향을 중점적으로 다룬다. 전통적으로 한국영화산업 내에서 상영영역은 그 중요성에 걸맞는 지위를 확보하지 못했다. 그것은 무엇보다 한국의 영화에 대한 공식적인 차원의 인식과 담론, 정책이 ‘민족’ ‘예술’의 ‘제작’에 맞춰져 있었기 때문이다. 영화제작업은 상대적으로 생산적 성격이 강조되어 민족 예술 창조의 임무를 가진 영역으로 인정받았던 것에 반해, 상영관은 퇴폐와 탈법, 탈선의 영역으로, 상영업자(와 지방배급업자)들은 예술을 이해하지 못하는 장사꾼들, 영화산업의 발전이나 근대화를 가로막는 존재들로 낙인찍혔다. 그러나 상영영역은 1960년대 이후 영화산업 내에서 실질적으로 강력한 힘을 발휘했다. 1960년대 초 이래 박정희 정권이 인위적으로 강제한 한국영화 대량생산체제로 인한 과잉공급 상황 속에서, 상영관, 특히 서울의 개봉관 수는 상대적으로 부족했고, 상영업자들은 제작자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힘의 우위에 설 수 있었다. 이러한 공식적인 지향과 실제 현실간의 괴리가 영화산업 내외의 문제에 대한 정확한 진단과 한국영화산업의 합리화를 가로막았고, 이는 1970년대 초 이후 20여년에 걸친 한국영화산업의 침체의 한 원인이 된다. 이 글은 특히 1960년대 후반에서 1970년대 초 영화산업의 호황기가 끝나는 시점에서 당시의 한국영화산업 환경 내에서 상영영역과 여타 영역의 역관계의 변화와 한국영화전용관과 외화전용관이라는 한국영화 산업 특유의 체제가 붕괴되는 과정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한국영화산업에서 뿌리 깊은 제작영역과 상영영역, 혹은 산업자본과 상업자본의 갈등의 연원, 그리고 이와 같은 갈등의 배경이 된 공급 중심의 ‘민족영화’의 전통을 살펴보고자 했다.

      • KCI등재

        Problems and Perspectives of the Korean Film Industry in the Age of the WTO

        유임수(Im Soo Yoo),이상면(Sang Myon Lee),안드레아스슐체(Andreas Schulze) 한국유럽학회 2004 유럽연구 Vol.19 No.-

        최근 경제에서 확장되고 있는 서비스 산업에서 그 중요성을 점점 많이 인정받고 있는 문화산업 가운데 영화산업은 핵심적인 오락산업이다. 영화산업은 단순히 영화 시장뿐만 아니라 비디오, 애니메이션, 텔레비전, 캐릭터, 대중음악 등과 연관된 복합적인 성격을 지니고 문화산업에 큰 영향을 끼치는 부문이다. 세계 여러 나라들은 영화산업을 보호·육성하려고 하지만, 전 세계 영화시장은 미국의 할리우드 영화에 의해 지배당하고 있다. 더구나 1993년 세계 무역기구(WTO)의 우루구아이 라운드 협정이후 영화를 비롯한 영상물도 미국의 시장개방 압력을 받고 있는데, 프랑스를 비롯한 유럽 몇몇 나라들은 영상물을 일반 무역상품의 교역과는 다르게 취급하자는 `문화적 예외`조항을 주장함으로써 양측은 아직까지 대립되어 있다. 한국은 취약한 영화산업을 갖고 있지만, 한국 영화는 스크린쿼터(screen quota)제아 더불어 최근 수 년 동안 자국 시장의 점유율이 40%이상 될 정도로 놀랄만한 상업적 거두며 미국 영화에 대해 자국 영화시장을 방어하고 있다. 한국의 스크린쿼터제는 1년에 106일(29%)의 자국 영화 상영일을 보장하는 세계 경제의 추세에 어떻게 대처할 것인지가 현재 문제시되고 있다. 미국은 韓美상호투자협정을 계기로 한국 영화 상영일을 연간 76일(20.8%)까지 축소할 것을 요구하고 있으나, 한국의 영화제작자들은 영화산업 보존을 위해 스크린쿼터제의 존속을 강력하게 주장하고 있다. 그러나 점진적인 개방으로 가는 세계 무역의 흐름에서 한국은 스크린 쿼터제를 고수만 할 수는 없으므로, 한국의 영화산업은 방어적인 자세에서 벗어나 취약한 영화산업을 확충하는 것이 더 유익하며 미래지향적인 방법이다. 이를 위해 한국에서는 프랑스와 독일의 영화발전 정책을 참고삼아 영화산업의 인프라 구조개선과 더불어 영화문화, 영화 교육 등 전반에 걸친 수준 향상이 필요하다. 영화산업에 있어서는 더 많은 자본의 투자와 제작 자금의 형성, 외국과 합작의 시도로써 안정적인 제작 환경을 조성하고, 합리적인 배급과 경영 시스템을 도입하고, 예술영화의 제작과 상영 및 비상업적인 외국 영화의 상영을 지원함으로써 다양한 영화 문화가 조성되도록 해야 한다. 또한, 비체계적이고 비합리적인 영화 비즈니스 현장과 영화 관련 매체와 교육에 종사할 전문 인력을 양성하기 위해 수준 높은 교육이 요구된다. Film takes a core part of the entertainment industry (game, animaion, video etc) in the service sector and in the 21st century the significance of film business is embossed even more, because as a cohesion of culture and economy the film industry can be seen as a motive power for the economical growth. While recently the film industry has been more and more expanded with globalization in exchange of entertainment goods across the boarders and in the WTO negotiations since the Urguay Round 1993 the protectionism of France and the free market argument of the United States has come into conflict, the korean film industry has faced up to the pressure for opening of its market. The korean government protects the domestic market by maintaining the screen quota system (106 minimum screeining days for the domestic films per year: 29%) against the world-dominant Hollywood films, but it is problematic whether this protective measure will be hold further in the tendency of globalization and opening of goods exchanges. Concerning this problem the french and german film policies and measures which have been practised in coping with the Hollywood`s giant power since the beginning of the film history might give much lessons to korean film industry. For the near future it is recommended to diminish or abolish the screen quota, and the structure of the korean film industry in production and distribution should be changed to be more competitive as well as to get the strong self-surviving power. Especially, more creative and talented peoples not only in screenplay writing and acting but also in technical staff and international marketing should be able to be educated. Surely more investment efforts for production of various are necessary that heightens solid production system and upgrades production atmosphere. To achieve above factors film promotion policy has to be launched to strengthen diverse elements in the infrastructure of film industry and to elevate global competitiveness. Reforming along the governmental supporting policy is in desperate need to upbringing korean motion picture industry.

      • KCI등재

        영화진흥위원회 부산 이전과 부산영화 산업

        김정호(Jung-Ho Kim),김재성(Jae Sung Kim) 한국콘텐츠학회 2012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2 No.11

        영화진흥위원회는 영화에 관하여 문화체육관광부의 역할을 위임받아 수행하는 기관이다. 공기관 지방이전 계획에 따라서 2013년 부산이전을 앞두고 있다. 부산 국제 영화제로 유명한 부산시는 단순히 영화제를 개최하는 페스티발 도시이기를 거부하고, 영화산업을 적극 육성하고자 그동안 많은 투자를 하여 왔다. 영진위의 부산 이전을 계기로, 한국영화정책에서 부산을 한국영화산업을 이끄는 또 하나의 축으로 설정하여, 한국영화의 미래를 위한 투자를 촉진하여야 할 것이다. 서울, 경기 지역과 부산지역을 한국영화의 두 개의 port로 삼고, 종합촬영소 건설, 영화제작 펀드 조성, 다양성 영화를 통한 영화 인재 육성, ASEAN 국가들과의 국제교류 강화를 통한 한국영화의 국제화 등이 앞으로의 과제이다. Korean Film Council (KOFIC) is entrusted by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Republic of Korea, aiming to support and promote Korean films. With the government’s policy for balanced regional development, KOFIC head office will be relocated to Busan. Busan is famous for the Busan International film Festival and their effort for Korean film industry. Until now, the Korean film industry is concentrated on the Seoul metropolitan areas. With the relocation of KOFIC, it is the time for KOFIC to recognize and promote and Busan as the Second key Cluster of Korean film industry. With the cooperation with Busan Film Commission, KOFIC needs to set up the new promotion plan for Korean film industry for future including building new film production studio, raising regional film production fund, and scouting new talented filmmakers

      • KCI등재

        ‘기울어진 운동장’으로서의 한국 영화와 성평등 영화정책에 대한 시론

        주유신 동국대학교 영상문화콘텐츠연구원 2019 영상문화콘텐츠연구 Vol.0 No.-

        This paper firstly examines the structure of Korean film industry and the statuses of women working behind and in front of the camera in terms of the gender equality policy in its starting phase. Then it tries to find a way to fomulate the gender equality policy that is possibly most beneficial and realistic. The 'sloping playground' shown by the Korean film industry is the fundamental foundation of gender inequality which is depicted in Korean cinema as wll as women in Korean film industry have endured. One could pinpoint two aspects of Korean film industry that have been creating environments hostile to women's entry into the film industry and their survival in the field. Those aspects are ‘vertical integration and screen monopoly' and 'polarization of box office and thereby weakening of middle-budget film.' They tend not only to cultivate and maintain the male-centered industrial culture but also to accelerate the breakaway of the outstanding creative workforce from the industry. Recent Korean films show serious gender imbalance in their ways to tell and portray narratives. They are filled with male actions, crimes, and adventures while they seldom deal with stories of women. However, some cracks and new movements have been detected in the topography of recent Korean films. Some films focus either on attractive female characters or on relationships between women. Another films try either to write history through the perspective of women or to display the social reality in which women of various generations are. In addition, it is absolutely not easy for female filmmakers to enter the industry but sadly natural for them to leave there. It is because female filmmakers are rarely provided with stable working conditions and their works are often undervalued. They have been forced to put up with working environments like poor terms of employment, threats of sexual harassment and sexual violence, etc. I would like to submit two proposals regarding the gender equality policy, giving enough thoughts to the reality of Korean film industry. One is to draw up short and long term plans in order to achieve the 50:50 target employment rate within three years from 2019 by 2021. It is to actualize the gender equality in the domain of public funds. The other is to promote active and efficient collaboration among three important organizations in this matter such as Korean Film Council, Seoul International Women's Film Festival and Women in Film Korea. 본 논문은 이제 겨우 출발 단계에 놓여 있는 한국 영화 성평등 정책과관련하여, 이를 규정하는 영화 산업적 구조 그리고 카메라의 안과 밖에서여성들이 처해 있는 위치 등을 살펴본 후에 바로 이런 현실 위에서 수립가능한 성평등 정책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한국 영화산업이 보여주는 ‘기울어진 운동장’으로서의 모습은 바로 영화계에서 여성 인력이 처한 열악한 현실이나 한국 영화 속 여성 재현이보여주는 젠더 불평등의 토대이자 출발점이다. ‘수직계열화와 스크린 독과점’ 그리고 ‘흥행 양극화와 중예산 영화의 약화’라는 두 가지 양상은 남성중심적 산업문화의 지속, 우수한 창작 인력의 영화계 이탈을 가속화시킨다는 점에서 여성의 영화계 진입과 영화계에서의 생존 모두를 위협하는 환경을 만들어내고 있기 때문이다. 최근 한국 영화는 남성 중심의 액션, 범죄, 모험 등으로 채워져 가는반면에 여성적 서사는 절대적으로 부족해지면서 영화 속 이야기와 시각에 있어서 젠더 불균형이 심각한 상황이다. 그러나 최근 한국 영화의 지형도에도 약간의 균열이나 새로운 움직임이 감지되고 있는데, 일부 영화들은 매력적인 여성 캐릭터, 여성 간의 관계와 에로티시즘에 집중하거나, 여성의 시각을 통한 역사쓰기를 시도하거나, 다양한 세대의 여성들이 처한 사회적 현실을 힘있게 묘파하기 때문이다. 또한 여성 영화인들은 낮은 고용의 질, 경력 단절, 성희롱과 성폭력의위협 등으로 인해서 그 노동을 정당하게 평가받지 못하거나 안정적인 작업 환경을 갖지 못함으로써, 진입은 쉽지 않은 반면 이탈은 손 쉬운 현실에 처해 있다. 이러한 한국적 현실에 걸맞은 성평등 영화 정책을 여기에서는 두 가지측면에서 제안하고자 한다. 하나는 2019년∼21년에 이르는 3년 안에 공적기금의 남녀 동수 지원이라는 50:50 타깃제를 달성하기 위한 장단기 계획이라면, 다른 하나는 영화진흥위원회, 서울국제여성영화제 그리고 여성영화인모임이라는 세 주체의 적극적인 협력과 효율적인 역할 분담에 대한 것이다.

      • KCI등재

        전지구적 자본주의의 압력 하에서 동시대 한국영화산업의 변화

        하승우 ( Seung Woo Ha ) 국제비교한국학회 2015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Vol.23 No.3

        1990년대부터 2000년대 초반까지 한국영화산업은 특히 배급/투자 구조에서 큰 변화를 겪었다. 일각에서는 한국영화와 같은 작은 규모의 내셔널 시네마가 글로벌 시네마의 장에 성공적으로 진입한 것에 대해 우호적인 시선을 보내고 있지만, 이 논문은 이와는 다른 시각에서 동시대 한국영화산업이 변형되어 온 조건들을 비판적으로 검토하려고 한다. 본 논문은 한국영화산업의 변화를 ‘형식적’ 포섭과 ‘실제적’ 포섭이라는 관점에서분석함으로써 이러한 변화를 전지구적 시각 경제의 보다 넓은 자장 속에서 파악하고자 하며, 한국영화산업의 변화 과정에서 국가가 어떤 역할을했는지에 대해서도 검토하고자 한다. 한국영화산업의 변화를 설명하기위한 비판적 관점을 명료화하고자 하며, 이를 실천하기 위해 세계 체제적관점에서 한국영화산업을 바라보는 관점이 지닌 중요성을 검토하고자한다. 그러나 세계체제적 관점에서 한국영화산업의 변화 과정을 파악하는 것의 유의미성과 효과에 대해 충분히 긍정하면서도, 본 논문은 마이클하트와 안토니오 네그리를 따라 제국론의 관점에서 한국영화산업의 변화를 추적하려고 한다. 전지구적 시각 네크워크의 모든 구성 요소들이경향적으로 밀접하게 연관되는 상황 속에서, 한국영화산업은 세계체제적 관점에서 반-주변부로 위치 지어지기 보다는 전지구적 시각 체제 속으로 실제적으로 포섭된 것으로 설정될 때 보다 정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There have been dramatic changes in the Korean film industry starting from the 1990s to the early 2000s, especially in terms of the changes in the distribution/investment structure. While many authors have celebrated the way in which a small national cinema has entered global cinema, this paper aims to interrogate the terms by which the contemporary Korean film industry has been changed. By examining the shifts via Marxian concepts such as ‘formal’ and ‘real subsumption’, it seeks to situate the contemporary Korean film industry in a wide force field of the global visual economy. Moreover, this study aims to critically review how the South Korean state played a role in the shift of the domestic film industry. Rather than merely affirming the state`s role in the course of the film industry`s change, the paper critically examines the state`s role. This paper also clarifies its critical perspective by contrasting it with a world-system approach. While fully recognising the significance of a world-system approach and its relevance to the Korean film industry, this study follows the line developed by Michael Hardt and Antonio Negri in Empire (2000). As the new forms of cultural traffic in the current global film industry are exercised in every part of the network, and subsequently all the parts of the global visual network are tendentially interwoven with one another, the Korean film industry can best be understood as having been subsumed into the global visual system, rather than located in the phase of the semi-periphery in terms of a world-system perspective.

      • KCI등재

        ‘기울어진 운동장’으로서의 한국 영화와 성평등 영화정책에 대한 시론

        주유신(Joo You-shin) 동국대학교 영상문화콘텐츠연구원 2019 영상문화콘텐츠연구 Vol.16 No.-

        본 논문은 이제 겨우 출발 단계에 놓여 있는 한국 영화 성평등 정책과 관련하여, 이를 규정하는 영화 산업적 구조 그리고 카메라의 안과 밖에서 여성들이 처해 있는 위치 등을 살펴본 후에 바로 이런 현실 위에서 수립 가능한 성평등 정책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한국 영화산업이 보여주는 ‘기울어진 운동장’으로서의 모습은 바로 영화계에서 여성 인력이 처한 열악한 현실이나 한국 영화 속 여성 재현이 보여주는 젠더 불평등의 토대이자 출발점이다. ‘수직계열화와 스크린 독과점’ 그리고 ‘흥행 양극화와 중예산 영화의 약화’라는 두 가지 양상은 남성중심적 산업문화의 지속, 우수한 창작 인력의 영화계 이탈을 가속화시킨다는 점에서 여성의 영화계 진입과 영화계에서의 생존 모두를 위협하는 환경을 만들어내고 있기 때문이다. 최근 한국 영화는 남성 중심의 액션, 범죄, 모험 등으로 채워져 가는 반면에 여성적 서사는 절대적으로 부족해지면서 영화 속 이야기와 시각에 있어서 젠더 불균형이 심각한 상황이다. 그러나 최근 한국 영화의 지형도에도 약간의 균열이나 새로운 움직임이 감지되고 있는데, 일부 영화들은 매력적인 여성 캐릭터, 여성 간의 관계와 에로티시즘에 집중하거나, 여성의 시각을 통한 역사쓰기를 시도하거나, 다양한 세대의 여성들이 처한 사회적 현실을 힘있게 묘파하기 때문이다. 또한 여성 영화인들은 낮은 고용의 질, 경력 단절, 성희롱과 성폭력의 위협 등으로 인해서 그 노동을 정당하게 평가받지 못하거나 안정적인 작업 환경을 갖지 못함으로써, 진입은 쉽지 않은 반면 이탈은 손 쉬운 현실에 처해 있다. 이러한 한국적 현실에 걸맞은 성평등 영화 정책을 여기에서는 두 가지 측면에서 제안하고자 한다. 하나는 2019년∼21년에 이르는 3년 안에 공적 기금의 남녀 동수 지원이라는 50:50 타깃제를 달성하기 위한 장단기 계획이라면, 다른 하나는 영화진흥위원회, 서울국제여성영화제 그리고 여성영화인모임이라는 세 주체의 적극적인 협력과 효율적인 역할 분담에 대한 것이다. This paper firstly examines the structure of Korean film industry and the statuses of women working behind and in front of the camera in terms of the gender equality policy in its starting phase. Then it tries to find a way to fomulate the gender equality policy that is possibly most beneficial and realistic. The "sloping playground" shown by the Korean film industry is the fundamental foundation of gender inequality which is depicted in Korean cinema as wll as women in Korean film industry have endured. One could pinpoint two aspects of Korean film industry that have been creating environments hostile to women"s entry into the film industry and their survival in the field. Those aspects are ‘vertical integration and screen monopoly" and "polarization of box office and thereby weakening of middle-budget film." They tend not only to cultivate and maintain the male-centered industrial culture but also to accelerate the breakaway of the outstanding creative workforce from the industry. Recent Korean films show serious gender imbalance in their ways to tell and portray narratives. They are filled with male actions, crimes, and adventures while they seldom deal with stories of women. However, some cracks and new movements have been detected in the topography of recent Korean films. Some films focus either on attractive female characters or on relationships between women. Another films try either to write history through the perspective of women or to display the social reality in which women of various generations are. In addition, it is absolutely not easy for female filmmakers to enter the industry but sadly natural for them to leave there. It is because female filmmakers are rarely provided with stable working conditions and their works are often undervalued. They have been forced to put up with working environments like poor terms of employment, threats of sexual harassment and sexual violence, etc. I would like to submit two proposals regarding the gender equality policy, giving enough thoughts to the reality of Korean film industry. One is to draw up short and long term plans in order to achieve the 50:50 target employment rate within three years from 2019 by 2021. It is to actualize the gender equality in the domain of public funds. The other is to promote active and efficient collaboration among three important organizations in this matter such as Korean Film Council, Seoul International Women"s Film Festival and Women in Film Korea.

      • KCI등재

        한국영화산업의 노사관계 시스템 형성에 관한 연구 : 전국영화산업노동조합 결성과 1차 단체교섭 이후의 변화를 중심으로

        최인이 ( In Yi Choi ) 한국산업노동학회 2010 산업노동연구 Vol.16 No.2

        본 연구는 지난 2005년에 결성된 전국영화산업노동조합(이하 영화산업노조)이 사용자단체인 한국제작가협회(이하 제협)와 노사관계의 기본 틀을 형성하고 단체교섭을 이루어가는 과정을 검토함으로써 1) 전근대적인 제작시스템과 연결된 노동시장의 시장지배적 구조가 근대적인 노사관계 시스템으로 전환되어가는 과정을 구조적 요인들을 중심으로 분석해 보고, 2) 노사관계 시스템 도입 후 첫 번째 결과물이라 할 수 있는 2007년 l차 단체교섭에서 합의된 협약의 내용과, 이후 제협과 영화산업노조의 노사관계에서의 전략적 선택들을 구체적으로 점검함으로써 영화산업노동자들의 근로조건과 임금체계의 표준화가 구제적인 작업과정과 노동생활에 미친 영향을 분석해 보고자 한다. 본 논문은 그간 비약적으로 성장한 문화산업의 한 형태인 영화산업이 기존의 전근대적인 고용관행과 노동시장구조를 근대적인 형태로 전환하는 과정으로서의 노사관계시스템 형성 과정을 살펴봄으로써 산업조직의 합리화 과정에 미치는 자본주의 경제구조의 영향력을 확인하고, 제협과 영화산업노조의 활동을 중심으로 노사 간의 권력관계 속에서 양자의 전략적 선택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분석함으로써 영화산업 노사관계의 특수성을 살펴보고 앞으로의 발전 방향을 전망해 보는데 그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This study purposes to explore 1) economic structural factors that cause the transition from the market-dominated structure of the labor market based on the pre-modem system of the film production to the modem capitalist labor relations, and 2) the strategic choices made by FKMWU(Federation of Korea Movie Worker`s Union) and KFPA(Korean Film Producers Association), by examining the process of forming the labor relations system and of organizing the first collective bargaining between FKMWU and KFPA. Looking at the changes in labor relations in terms of working conditions and as outcomes of the first collective bargaining shows us the characteristics of the labor relations in the Korean film industry distinguished from the in other capitalist industries Also, the effects of those changes in labor relations in the film industry on employers and workers are analyzed by examining the production process at the workplace level. This study alma to analyze the influence of capitalist economic forces on the formation of the labor relations in the Korean film industry, which used to have a pre-modem style of the employment relationship, and to explain the strategic choices made by the producers and film workers in the modem capitalist economic structure under the influence of neo-liberalism.

      • KCI등재

        문화에서 산업으로, IMF 이후 한국영화의 위상 변화와 인식의 전환

        이현진 ( Hyun Jin Lee ) 한양대학교 현대영화연구소 2014 현대영화연구 Vol.10 No.3

        The IMF led to rapid structural change of Korean film industry. And through the confusion and crisis of the IMF, 2000s Korean films, compared to the previous, was surprisingly improved. And recognizing on Korean film was also rapidly converted an area of culture to an area of industry. After the IMF, Korean films have been developed in conjunction with stable capital of media company. The incidents that affected the changes in the recognition on the Korean film were the advent of multiplex theaters and media company, the screen quota system discussion and film industry union establishment. The three incidents, in neo- liberalism environment and confusion after IMF, have affected each other and more particularly played a crucial role in recognition transformation of Korean movies. The role of multiplex theaters made a great contribution in these industrial development. And multiplex theaters in commercial space, as like ‘mall’, started to convert a concept of film as art to a concept of product as industry. The Screen quota system discussion will be understood as a trigger or unavoidable process that concept of film(target concept) is converting to concept of industry (source concept). Korean film industry also entered the neo-liberalism environment, thereby the Screen quarter system had to follow the logic of the economy as the Korea-US investment agreement subject. Establishment of the film industry unions and collective wage consultation could be understood as part of the result of the conversion of the recognition that movie as an industry. The film industry unions and collective wage consultation must be understood in conjunction with the new liberalism abd other elements to bring the conversion of recognition.

      • KCI등재후보

        한국 영화관시장, 배급/상영문제 진단과 대안

        노철환 ( Roh Chul-hwan ) 부산대학교 영화연구소 2016 아시아영화연구 Vol.9 No.1

        2000년대 초반, 한국의 복합상영관들은 영화투자-제작-배급-영화관을 연결하는 수직계열화를 이루었다. 한국영화산업은 영화관시장의 매출액이 80%이상을 차지한다. 그리고 영화관시장은 수직계열화한 CJ, 롯데, 메가박스(쇼박스), NEW 등 몇몇 기업이 장악하고 있다. 이들은 자본을 등에 업은 배급력으로 상영질서를 왜곡하기도 한다. 천만관객영화가 매년 2-3편씩 등장하지만, 관객선호와 흥행결과의 간극은 점차 벌어지고 있다. 한국영화산업 중, 배급과 상영을 둘러싼 문제는 언론, 영화계, 학계 전반에서 가장 많이 다루는 주제다. 한국영화관시장의 불균형이 점차 심화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현상을 흔히 ``스크린 독과점``이라고 부른다. 매년 성장을 거듭하고 있는 시장의 질서를 재편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그러나 점차 심각해지고 있는 문제점들을 들여다 볼 필요가 있다. 더 늦기 전에 성장이라는 명목 하에 덮어 놓은 한국영화관시장의 불균형을 수정해야 한다. 프랑스는 국가의 영화지원 정책을 통해 이룬 성장과 균형의 좋은 사례를 제공할 것이다. 본 연구는 한국영화관시장의 미래를 위한 대안적 제언을 목표로 한다. 대형 배급사와 복합상영관이 만들어낸 영화관시장 문제들이 연구 대상이다. In the early 2000s, Korean multiplex chains, CGV, Lotte cinema and Megabox were vertically integrated, from investment/production to distribution/exhibition. They have dominate Korean film industry until today. The theatrical market under the control of these multiplex chains, accounts for more than 80% of the total sales. These vertically integrated companies are expanding their profits with extreme wide release. We call this current situation, ``Screen monopoly and oligopoly``. It is one of the most covered issues in this industry. It is not easy to reorganize the order of this market because it is keeping the balance in the black. However, we need to examine this imbalance market to make it fair. France could provide a good example of the growth and distribution by the aid of cinema support policy. This study deals with some problems resulted from vertical integration. It intends to submit alternative proposals for the future of the Korean theatrical market and film indust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