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독일어와 영어 명사 구조 비교 - 형태적 유사성이 없는 어휘를 중심으로

        김순임 ( Kim Soonim ) 한국독일언어문학회 2017 독일언어문학 Vol.0 No.77

        독일어와 영어는 같은 계통인 게르만어에 뿌리를 두고 있으나, 서로 다른 발달과정을 겪어왔다. 영어는 그 발달과정에서 프랑스어의 영향으로 독일어와는 다른 변화를 겪게 된다. 특히 어휘 면에서 프랑스어의 영향이 두드러졌다는 사실은 이미 여러 연구에서 밝혀졌다. 독일어, 영어, 프랑스어 명사들 사이의 유사성에 관한 이전 연구에서 밝혀진 대로 영어 어휘의 1/3 정도가 프랑스어 명사의 어원과 관련이 있는 반면 독일어와 영어의 유사성은 10%에 불과하다. 그러나 이전 연구에서는 세 언어의 명사들이 전적으로 다른 형태로 나타난 경우가 기술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이전 연구에서 기술되지 못한 세 언어 명사들이 전적으로 다른 형태로 드러난 목록을 대상으로 독일어와 영어 명사 어휘들의 구조적 특징을 밝힘으로써 이들 사이에는 어떤 관계들이 있는지 보고자 한 것이다. 대상 어휘들의 분석 결과 독일어 어휘에 끼친 프랑스를 비롯한 로만스어의 영향은 미미하며, 독일어는 조어나 어휘구조에서 게르만어의 특성을 강하게 유지하고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영어의 어휘들에서도 이전의 유사유형 연구에서 드러났던 강한 로만스어의 영향을 그대로 수용하기 어렵다. 물론 어휘 자체는 프랑스어와 형태적으로 유사하지 않을지라도 로만스어에서 온 접미사들이 여전히 영어 어휘들에서 발견된다는 것은 어휘발달과정에서 로만스어의 영향을 배제할 수 없음을 말해준다. 다만 상대적 비교 관점에서 이 연구대상 영어 명사들에는 게르만어적인 특성이 많이 있다는 것이다. 예컨대 접미파생 명사를 만드는 영어의 접미사를 보면 영어와 프랑스어가 유사한 목록에서 영어고유 접미사가 2.96%에 불과했던 것이, 본 연구대상 어휘에서는 47.87%로 나타났다. 더불어 이들 접미사와 결합하는 기저 어근들 역시 고유 접미사들은 대부분 게르만어에 기원을 두고 있다. 또한 합성어 결합구조에서도 영어는 고유의 특성을 드러낸다. 영어는 합성어에서 다양한 구조방식을 보이는 반면, 이에 대응된 프랑스어 명사에서는 이런 구조가 전혀 나타나지 않는다. 결국 이 연구대상 어휘들의 영어 명사들은 영어 고유의 특성을 많이 유지하고 있다는 점에서 프랑스어의 영향을 많이 받지 않았다고 볼 수 있다. Sprachen werden von Sprachen benachbarter Lander beeinflusst. Dies geschieht zumeist auf lexikalischer Ebene. Allerdings gibt es auch Falle, in denen die grammatikalische Struktur durch den Einfluss einer Nachbarsprache eine Veranderung erfahrt. Hierfur ist die englische Sprache ein typisches Beispiel. Wie allgemein bekannt, handelt es sich beim Englischen ursprunglich um eine um eine germanische Sprache des Altertums. Durch die normannische Eroberung erfuhr sie jedoch einer drastischen Veranderung, nicht nur im Hinblick auf ihr Vokabular, sondern auch in ihrer grammatischen Struktur. Die Folgen dieses Prozesses lassen sich sowohl in den germanischen als auch den romanischen Elementen der Sprache wiederfinden. Die Untersuchung des Einflusses der beiden Sprachen, z.B. des Deutschen und des Franzosischen auf die englische Sprache wurde einen bedeutenden Beitrag fur die Linguistik darstellen. In Kim (2016) haben wir die Substantivstruktur im Deutschen, Englischen und Franzosischen statistisch analysiert, um den Grad des Einflusses der deutschen und franzosischen Sprachen auf das Englische aufzuzeigen. Die Analyse basierte auf 4.702 Substantiven des,,Europaischen Worterbuch“ (1991). In der Analyse wurde dargelegt, dass 10% der deutschen und englischen Nomen formale Ahnlichkeiten aufweisen. Die Ahnlichkeit zwischen franzosischen und englischen Nomen betrug 27,97%. Die Anzahl der gleichartigen Substantive in den drei Sprachen betrug 23,82 %. Demgegenuber betrug die Zahl der Worter in den drei Sprachen, die keine formalen Ahnlichkeiten aufwiesen, 34,07%. Die letzte Gruppe scheint hinsichtlich ihrer Zahl und Menge nicht unbedeutend zu sein. Mit dieser Gruppe von Substantiven beschaftigen wir uns in unserer aktuellen Analyse. In einem ersten Schritt haben wir zunachst die deutschen und englischen Nomen dieser Gruppe untersucht. Die Ergebnisse dieser Analyse lassen sich wie folgt zusammenfassen: die deutschen Substantive zeigen hinsichtlich ihrer Zusammensetzung und morphologischen Struktur die typischen Charakteristika der germanischen Sprachen. Wie in den anderen Gruppen ist auch in dieser Gruppe englischer Substantive der Einfluss der franzosischen Sprache nicht eindeutig nachzuweisen. Vielmehr zeigen sie in ihrem Ursprung und ihrer morphologischen Struktur relativ mehr Charakteristika des Germanischen. Dementsprechend wiesen 47% der nominalen Suffixe germanische Ursprunge auf. Diesem steht ein Wert von 2,96% in der Gruppe der englischen und franzosischen Nomen gegenuber. Ebenso zeigen die englischen Substantive ihre eigenen Merkmale in der Struktur ihrer Komposita, sodass auch hier kein Einfluss der franzosischen Sprache nachgewiesen werden konnte.

      • KCI등재

        지각된 자율성, 지각된 유능감 및 또래 영향이 고등학생들의 영어 어휘 학습 동기 및 어휘 지식에 미치는 영향

        이나경,임현우 한국외국어대학교 영미연구소 2019 영미연구 Vol.46 No.-

        The present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perceived autonomy, perceived competence, and peer influence on English vocabulary knowledge and learning motivation. Participants were 160 female high school students. The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indicate that the participants’ motivation for English vocabulary learning significantly predicts their receptive and productive vocabulary knowledge. Both external regulation and introjected regulation significantly predict the receptive vocabulary knowledge, but in opposite directions. Only intrinsic motivation significantly predicts the productive vocabulary knowledge. Furthermore, perceived autonomy, perceived competence, and peer influence prove to be significant predictors of Korean high school students’ motivation for learning English vocabulary. While perceived autonomy negatively influences external regulation, perceived competence positively influences both intrinsic motivation and identified regulation. Peer influence has a significant impact on all three types of extrinsic motivation and amotivation. In addition, the results of multivariate analyses of variance showed that students with balanced high levels of perceived autonomy and perceived competence showed significantly higher levels in intrinsic motivation than their low-level counterparts. The former also outperformed the latter in both receptive and productive vocabulary knowledge. Overall, the study results suggest the need of enhancing Korean students’ perceived competence to promote their self-determining motivation for learning English vocabulary and productive vocabulary knowledge. 본 연구는 자기결정성 동기 이론을 바탕으로 지각된 자율성, 지각된 유능감, 지각된 관계성(또래 영향)이 영어 어휘 학습 동기 및 어휘 지식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였다. 서울시 소재 여자고등학교 재학생(N = 160)을 대상으로 수용적ㆍ산출적 영어 어휘 지식을 평가하고 영어 어휘 학습 동기 및 동기의 선행요인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중다회귀 분석 결과, 첫째, 어휘 학습 동기는 수용적 어휘 지식과 산출적 어휘 지식을 유의미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용적 지식에 대해서는 외부적 조절이 정적으로, 부과된 조절과 무동기가 부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반면, 산출적 어휘 지식에 대해서는 유일하게 내재적 동기가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지각된 자율성, 지각된 유능감, 또래 영향은 한국 고등학생들의 영어 어휘 학습 동기를 유의미하게 예측하는 선행요인들로 나타났다. 지각된 자율성은 외부적 조절에 부적인 영향을 미쳤고, 지각된 유능감은 내재적 동기와 확인된 조절에 정적으로, 부과된 조절과 무동기에는 부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또래 영향은 외재적 동기 유형들과 무동기를 유의미하게 예측하였다. 마지막으로 다변량 분산 분석 결과, 지각된 자율성과 지각된 유능감이 모두 높은 집단은 자율성과 유능감이 모두 낮거나 어느 한 요인이 낮은 집단에 비해 자기 결정적 동기화 수준이 높고 무동기 수준이 낮았다. 또한, 지각된 자율성과 지각된 유능감이 모두 높은 집단은 두 요인이 모두 낮은 집단에 비해 수용적 및 산출적 어휘 지식이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한국 고등학생들의 영어 어휘 학습에 대한 자기 결정적 동기를 촉진하고 산출적 어휘 지식을 확장하는 데 있어, 특히 지각된 유능감을 고양해야 할 필요성이 시사되었다.

      • KCI등재

        도시·도서지역 영어교육 격차 해소를 위한 모형구축 연구방법론 시고

        김선영 ( Kim Sun-young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6 교육문화연구 Vol.22 No.5

        도서지역 영어교육의 경우, 농촌지역과도 상이한 지리적 특성을 지니고 있을 뿐만 아니라 이에 대한 연구 자체가 부재하여 영어교육 현황에 대한 실태 파악이 어려운 실정이다. 또한, 많은 연구자들이 도서지역의 교육환경 개선을 위한 연구를 계속 해오고 있지만 영어교육환경 개선과 관련된 연구는 많지 않은 실정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도서지역과 도시지역의 영어교육 격차해소를 위해 도서지역에 맞는 모형을 구축할 수 있는 연구방법론을 제시하여 실증 연구에 적용할 수 있는 토대를 제공하고자 한다. 특히, 정량적 모형을 통해 영어 격차해소 영향요인에 대해 실증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연구방법론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설문을 통한 영어교육 실태평가는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개인 영역, 환경 영역 등으로 분류해 도시지역 학생들의 설문결과와 비교, 분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영어 격차해소모형은 계량적 접근을 통해 도서지역과 도시지역 간 성취도 격차를 초래하는 요인들을 분석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다양한 요인 그룹에서 특정 지역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및 환경요인을 도출할 뿐만 아니라 영향요인을 지속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분석 틀을 제공한다. 셋째, 동태적 시뮬레이션모형은 모형의 변수간 상호작용을 동태적으로 분석하여 도시와 도서지역간 영어 격차의 변화를 예측하고, 이에 기초한 영어교육의 정책적 의사결정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한다. 앞서 소개된 연구방법론은 다양한 실천적 접근 방법을 통해 영어 격차해소에 대한 정량적 연구 풍토를 조성하여 도서지역의 교육환경 개선에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Since there were little empirical studies on the set of factors causing English divide in island areas, we as practitioners don`t have a precise criteria to evaluate educational settings of island areas in the context of English education. More importantly, since English education in island areas is different from other rural areas in terms of geographic traits and research opportunities, it is technically impossible to access to educational condition of island areas. In this respect, researchers should pay attention to the fact that these problems could serve as critical factors widening English divide in island areas. The present study attempts to provide the research methodology that helps to develop modeling an English divide in island areas. This paper analyzes a specific way to evaluate influencing factors and an empirical approach to modeling English divide by the use of various factors identified. This methodological study would contribute to improving environments of English education in island areas by promoting research climate in the field of English divide.

      • KCI등재

        중국의 영어교육 : 역사적 변천 과정과 현황

        김태영(Kim, Tae-Young) 서울대학교 교육종합연구원 2020 The SNU Journal of Education Research Vol.29 No.1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ntroduction of English in China and its transformational trajectories along with Confucian tradition. Starting from China’s imperial examination system originated from the Sui Dynasty, China’s English education will be explained. Following the significant sociohistorical events in China, English education in China and the reactions of Chinese students are the main focus of this paper. First, the historical account of the early encounter with native English speakers and English communication from the 16th century will follow. The next section will focus on the characteristics of English education in the late Qing Dynasty, the Republic of China, and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While going through all these major sociopolitical incidents, English education in China experienced significant vicissitude. After the 1978 Open Door Policy initiated by Deng Xiaoping (鄧小平), English has increasingly been instructed across China. This paper explicates the most recent trends of administering the College English Test (CET), the nationwide English test for college students. The changing perceptions toward English in China are also explained with specific reference to the employment of study-abroad returnee students to China. 본 연구는 중국에 영어교육이 시작된 경위와 유교 전통에 따라 영어교육이 어떻게 중국에서 변화되어 갔는지 고찰하는 것이다. 본고는 중국 근대화 과정의 각종 정치사회적 사건들이 중국 영어교육에는 어떠한 파장을 일으켰으며 중국 민중들은 그러한 변화에 어떻게 대응했는지를 고찰하는 것이 주된 목표이다. 먼저 16세기에 최초의 영어 구사자들과 중국 상인들이 접촉한 경위와 그 후의 영어 교육 과정에 대해 설명한 후, 청 왕조 말엽, 중화민국 시기, 중화인민공화국 시기의 영어교육 상황에 대해 각각 서술한다. 이러한 시대적 격변은 중국의 영어교육에도 지대한 영향을 끼쳐왔는데, 1978년의 덩샤오핑에 의해 적극적으로 추진된 개혁개방 정책 이후, 영어교육은 중국 전역에서 점증하여 왔다. 본고에서는 최근 중국에서 절대 다수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시행되고 있는 대학영어시험(CET)의 명과 암에 대해서 서술하며, 더욱 최근의 영어권 국가 유학 후 귀국한 이른바 바다거북이(海龜) 청년들의 취업 상황을 중심으로 중국의 영어교육 현황에 대해서 서술한다.

      • KCI등재

        日本と韓国の中学校英語指導に関する実証的研究 ―「教科」と「外国語活動」としての小学校英語の影響に注目して ―일본과 한국의 중학교 영어 지도에 관한 실증적 연구 - 교과와 외국어 활동으로서의 초등영어 영향

        김현숙(Kim Hyun-Sook) 한국일본교육학회 2019 한국일본교육학연구 Vol.24 No.1

        本研究の目的は、日本と韓国の異なる小学校英語カリキュラムが中学校の英語指導にどのような影響を与えるのかを英語教員の意識調査から明らかにするものである。その際、日本と韓国の中学校英語教員1,167名への質問紙調査をもとに教員の能力、中学校英語指導の実態および小学校英語教育への課題の三つの側面から分析する。その結果、日本と韓国の中学校英語指導の部分では両国の小学校英語カリキュラムの違いが影響を与えていた。まず、日本の英語教員の英語力や授業運用能力は韓国より低いものの、授業を英語で行う割合は韓国より高く、両国とも英語の教員は異文化体験への高い願望を持っていて「長期に渡って持続的な研修」が必要であることが分かった。次に、英語の授業の方では、日本の場合「英会話」と関わる内容では韓国より充実度が高く、長文読解の部分に課題がみられた。最後に、小学校英語教育への一番の課題としては、日本は約3割の教員が「教員の英語力」に、韓国は約4割の教員が「子どもの英語力の格差」に課題を感じていた。中学校英語教員の能力として小学校で培った力を伸ばす中学校英語の授業力も重要な能力になってくる。そのためには、まずは小学校英語教育への深い理解から小․中連携を模索する必要がある。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영어교사들의 의식 조사를 통해 일본과 한국의 상이한 초등영어 교육과정이 중학교의 영어지도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를 규명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양국의 중학교 영어교사 1167명에게 설문 조사를 하여 교사의 능력, 중학교 영어지도의 실태 및 초등학교 영어교육의 과제를 세 가지 측면에서 분석했다. 그 결과, 일본과 한국의 중학교 영어지도 부분에서는 양국의 상이한 초등 영어교육과정이 영향을 끼치고 있음이 밝혀졌다. 일본 영어교사들의 영어 실력과 수업 운용능력은 한국보다 낮지만 수업을 영어로 진행하는 비율은 한국보다 더 높고 양국 모두 해외 이문화 체험을 희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원 연수에 관해서는 양국 모두 장기간에 걸쳐 지속적인 연수가 필요하다는 인식이 지배적이었다. 영어수업에서는 일본의 경우,「영어회화」와 관련된 내용에서는 한국보다 충실하고 장문독해 부분이 충실하지 못했다. 마지막으로 초등학교 영어교육의 관건으로 일본은 약 30%의 교사가「교원의 영어실력」, 한국은 대략 40%의 교사가「아동의 영어 능력의 격차」문제를 지적했다. 중학교 영어교사는 초등학교에서 배양된 영어능력을 신장시킬 수 있는 교수역량을 획득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초등학교 영어교육에 대한 깊은 이해를 바탕으로 초 · 중의 영어교육연계를 모색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대학생 해외 인턴십 성과에 대한 영향 요인 분석

        배성근,이희숙,정제영 한국교육개발원 2011 한국교육 Vol.38 No.3

        This study attempts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the perceived success of college students overseas internships. Quantitative data from “Research on the Current State of and Policy Intervention in College Students' Overseas Internship,” conducted in 2009, was used for this study. The success of the overseas internships is measured in terms of participants' satisfaction, enhancement of global job capacity, improvement of foreign language skills for job performance, and the increase in the likelihood of global employment. The influential factors on the outcomes include personal background, fidelity of preparation, and fidelity to the process. Feldman et al. (1998)’ model is adopted for the analysis. The results show that the influential factors affecting satisfaction are “‘active communication with colleagues” and “positive experience of foreign culture.” For enhancing global job capacity, “English readiness,” “active communication with colleagues,” and “positive experience of foreign culture” are found to be significant as the predicting variables. The predictors of improving English fluency for job performance are “participation period,” “English readiness,” and “active communication with colleagues.” Finally, the factors affecting the likelihood of global employment are “English readiness,” and “active communication with colleagues.”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for the successful outcome of an overseas internship, efforts for enhancing foreign language skills should be made, and developing a positive and active attitude toward communication with foreign colleagues and experiencing foreign culture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in implementing the education programs. 이 연구는 대학생 해외 인턴십 성과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분석하고자 진행된 연구이다. 연구를 위하여 2009년 한국교육개발원에서 발간된 ‘대학생 해외 인턴십 실태 및 개선방안 연구’의 설문조사 자료를 활용하였다. 해외 인턴십 성과는 참여자 만족도, 국제적 업무 능력 배양, 업무 관련 외국어 능력 향상, 해외 취업의 가능성 확인으로 구성되고, 성과에 영향을 주는 변인으로 배경변인, 준비의 충실도 차원, 과정의 충실도 차원의 변인들을 활용하였으며, 모형은 Feldman 등(1998)의 모형을 변형하여 적용하였다. 분석 결과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변인은 ‘상관 및 동료와의 적극적 의사소통’ 변인과 ‘외국문화의 적극적 체험’ 변인이었고, 국제적 업무 능력 배양에 영향을 주는 변인은 ‘영어 준비도’, ‘상관 및 동료와의 적극적 의사소통’, ‘외국문화의 적극적 체험’이었으며, 업무에 필요한 외국어 능력 향상에 영향을 주는 변인은 ‘참여기간’, ‘영어 준비도’, ‘상관 및 동료와의 적극적 의사소통’ 등이었고, 끝으로 해외 취업 가능성에 영향을 주는 변인은 ‘영어 준비도’, ‘상관 및 동료와의 적극적인 의사소통’이었다. 따라서 해외 인턴십의 성공적 결과를 위해 준비의 충실도 차원에서 영어 준비도를 높이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고, 과정의 충실도 차원에서 의사소통과 문화체험에 있어 적극적인 태도를 끌어내기 위한 해외 인턴십 참가 대상자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이 요구된다.

      • KCI등재

        영어성경이 영미 어문학-문화에 끼친 영향

        최수영(Choi, Soo-Young) 한국영어어문교육학회 2010 영어어문교육 Vol.16 No.4

        The Bible has been and still is one of the most influential books ever published. The English Bible has a great impact on English language, literature, and culture. Therefore, knowledge of the Bible is essential in learning English language, its literature, culture and tradition. Biblical allusions are found in great literature and the daily newspapers as well. Rock musicians, screenwriters, television producers, and advertisers use the Bible as a source. Politicians use the words and accounts of the Bible to frame their debates. The Bible has continued to be philosophically, ethically, religiously, and politically influential in Western, Eastern, now World cultures. Therefore, not to know it means not to understand a great portion of world culture. This study examines the influence of the first book of the Bible, Genesis, in English language, literature, and culture. Furthermore, this study suggests why we should incorporate the English Bible in English education.

      • KCI등재

        한국 학생들의 영어 철자 <u> 인지와 발화에 대한 훈련효과

        초미희 한국콘텐츠학회 2019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9 No.11

        Given that English grapheme <u> is realized as five different American English vowels [ʌ, ju, ʊ, u, ə],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is to examine Korean learners' perception and production of English grapheme <u> and training effect on words with <u>. Thus, the current study conducted pretest, training, and posttest for 31 Korean university students on 24 English words with <u>. The overall results showed that the participants' perception and production accuracy was significantly improved in the posttest, thus indicating training effect on both perception and production. However, it was not the case that all five different vowels demonstrated training effect. In perception the accuracy rates of [ʌ], [ju], and [ə] were improved after training whereas those of [ʊ] and [u] were not . In production [ʌ], [ʊ], and [u] did not show training effect.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Korean participants had difficulty distinguishing between tense [u] and lax [ʊ] both in perception and production. In particular, the Korean participants tended to replace lax [ʊ] with tense [u] in production. This is because tense [u] is the best match to Korean [u] in acoustic measurements, so that tense [u] is easy for the Korean participants to pronounce than lax [ʊ]. Also, English [ʌ] tended to be mispronounced as [u]-quality vowels such as [u] and [ju], which is due to the spelling <u>. The Korean participants also showed errors which insert [j] after alveolars [t, d, n, s], which runs against yod-dropping in American English. They also deleted [j] after labials and velars, which is due to the absence of orthography <j> in the target words. Finally, pedagogical implications were discussed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current study. 다섯 가지 미국 영어 모음 [ʌ, ju, ʊ, u, ə]으로 실현되는 영어 철자 <u>를 어떻게 듣고 발음하는지 그리고 훈련의 효과는 어떠한지 살펴보기 위해서 31명의 한국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철자 <u>를 포함한 24개의 영어 단어들에 대하여 사전 시험-훈련-사후 시험의 형태로 인지와 발화 시험을 실시하였다. 전체적 결과를 살펴보면, 사후 시험에서 인지와 발화 점수가 모두 사전 시험보다 유의하게 향상되었으나 다섯 가지 모음 소리가 모두 향상된 것은 아니었다. 인지에서는 긴장 모음 [u]와 이완 모음 [ʊ]을 제외한 모음 소리들의 점수가 유의하게 상승되어서 훈련의 효과를 보였으며 발화에서는 [ʌ], [u], [ʊ]를 제외한 모음들이 훈련의 효과를 보였다. 이는 인지와 발화에서 모두 한국 학생들이 영어의 긴장 모음과 이완 모음의 차이를 구별하기 어려워 한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특히 발화에서 이완 모음 [ʊ]를 한국어 [우]와 가장 비슷한 음향적 성질을 가진 긴장 모음 [u]로 대치하여 발음하는 오류를 우세하게 보였으며 [ʌ]의 경우에는 [u]-비슷한 소리들로 대치함으로써 철자의 영향을 실증적으로 보여주었다. 또한 인지와 발화 시험의 오류 유형을 통해서 목표 모음이 [t, d, n, s]같은 혀끝소리 뒤에서는 미국 영어에서 [j]-탈락이 일어난다는 것을 한국 학생들이 모르고 [j] 삽입하는 경우가 기회 수준 이상으로 발생하였다. 반대로, 입술소리 ([p, b, f, v, m])나 연구개소리 ([k, g]) 뒤에서는 [j] 소리가 있지만 철자에는 구현되지 않아서 [j]를 탈락시키는 오류도 보였다. 본 연구의 발견점들을 바탕으로 교실 현장에서 학생들에게 지도해야 할 교육적인 함축점도 논의하였다.

      • KCI등재

        한국 학생들의 영어 철자 <a> 인지와 발화

        초미희(Mi-Hui Cho) 한국콘텐츠학회 2014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4 No.2

        영어 철자 <a>는 5 가지의 영어 모음 [?, e?, æ, ?, ?]로 실현되는데, 영어를 외국어로 배우는 한국 학생들이 영어 철자 <a>를 어떻게 인지하고 발음하는지 살펴보기 위해서 31명의 한국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철자<a>를 포함한 28개의 영어 단어들에 대하여 인지 테스트와 발화 테스트를 사전과 사후로 나눠서 실시하였다. 전체적인 결과에서는 사전과 사후에서 모두 발화의 정확도가 인지보다 조금 높았으며 상승의 정도도 발화가 조금 높게 나왔다. 인지에서는 목표 모음이 [?]와 [e?]인 경우 높은 정확도를 보였고 발화에서는 목표 모음이 [?]와 [?]인 경우 높은 정확도를 보였다. 목표 모음이 비강세 모음 [?]인 경우에는 발화와 인지에서 모두 정확도가 가장 낮아서 테스트 참여 학생들이 가장 어려워하는 모음으로 밝혀졌다. 인지와 발화에서 모두 사전 정확도보다 사후 정확도가 유의하게 상승되어 훈련의 효과를 보인 모음은 [e?]와 [æ]이었으며, [?]는 유의 수준을 약간 초과하여 향상되었다. 반면에 [?]의 사후 정확도는 사전보다 의미 있게 높아지지 않았고, [?]의 경우 사후 인지 정확도는 사전보다 크게 높아지지 않았으나 사후 발화 정확도는 사전보다 유의하게 상승되어서 인지보다는 발화에서 훈련의 효과를 보여 주었다. 철자 <a>와 관련된 영어 모음의 우세한 오류 패턴은 인지와 발화에서 모두 목표 모음이 [æ], [?], 또는 [e?]로 대치되는 것으로, 철자 <a>가 [?]로 표준화되어 나타나는 철자의 영향 이외에도 [æ]와 [e?]로도 인지하고 발화하는 오류를 흔히 일으키는 것을 보여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교육적인 함축점도 논의하였다. Motivated by the fact that English grapheme <a> is realized as 5 different English vowels [?, e?, æ, ?, ?], the present study aims to investigate how Korean students perceive and produce English grapheme <a> in words. To this end, 31 university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perception and production tests on 28 English words containing grapheme <a>. Overall, the participants performed better on production than perception both in the pretest and posttest. Also, the accuracy of perception and production was improved in the posttest. While the accuracy rates of [?] and [e?] were among highest in the perception test, those of [?] and [?] were in the production test. By contrast, the accuracy of unstressed [?] was worst both in perception and production. As for the training effect, [e?] and [æ]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both in perception and production. In addition, the perception and the production of [?] were improved at the .051-4 significance level. However, the accuracies of [?] improved significantly neither in perception nor in production. In the case of [?], the production ability was improved significantly whereas the perception ability was not. The prominent error patterns of <a> were the replacement of the target vowels with [æ], [?], or [e?]. The influence of orthography was attested through the persistent occurrence of [?]. Finally, pedagogical implications were discussed.

      • KCI등재

        초등 영어교과 신설에 영향을 미친 미디어 담론 분석

        김영실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21 교육연구 Vol.80 No.-

        English is a regular subject in elementary school since 1995. This study analyzes media discourse in newspaper articles according to a hypothesis that those discourses influence the introduction of English in elementary school. To analyze the media articles which are closely related to this introduction, this study works with the articles in the 1990s. On the basis of discursive strategy, this study elaborates the analytic frame. First, by the application of the frame, this study discovers that the image of the subject influenced by media discourse could contribute to introduce a new subject. Second, English in elementary school is introduced in terms of a close relationship with the economic field. By this analysis, the author attempts to reveal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irth of a subject and social discourse. 초등학교 영어 교과는 1995년에 정규 교과화 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본 연구는 도입 직전까지도 이를 찬성하는 의견과 반대하는 의견이 병존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신설이 된 데에는 미디어 담론을 필두로 한 사회적 담론이 큰 영향을 끼쳤으리라 보고 신문기사를 활용해 이를 분석하였다. 분석을 위해 1990년대에 초등학교 영어교육을 다룬 신문기사들을 기사가 교과에 부여하는 이미지, 교과 신설에 대한 대중적 인식 측면으로 구분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석 결과, 초등학교 영어 교과는 경제의 장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생성되었으며, 이 과정에서 담론을 통해 영어에 부여된 이미지들이 교과 신설에 주효하게 작용하였음을 발견하였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교과의 탄생과 사회적 담론의 관계를 드러내고자 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